KR102357343B1 - 커피원두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커피원두 제공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7343B1 KR102357343B1 KR1020200075711A KR20200075711A KR102357343B1 KR 102357343 B1 KR102357343 B1 KR 102357343B1 KR 1020200075711 A KR1020200075711 A KR 1020200075711A KR 20200075711 A KR20200075711 A KR 20200075711A KR 102357343 B1 KR102357343 B1 KR 1023573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n
- coffee
- coffee beans
- track
- provi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09—Loose coffee being employ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원두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스팅된 다양한 종류의 커피원두를 희망하는 양으로 소비자 또는 커피추출장치에 자동적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커피원두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는 커피원두 제공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 커피원두의 이송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원두이송트랙; 상기 원두이송트랙에 접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배치되고 커피원두가 수용되어 토출되는 원두토출장치; 및 상기 원두이송트랙에 설치되어 이동되고 커피원두를 상기 원두토출장치에 공급하거나 상기 원두토출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원두의 이송동작을 수행하는 원두제공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는 커피원두 제공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 커피원두의 이송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원두이송트랙; 상기 원두이송트랙에 접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배치되고 커피원두가 수용되어 토출되는 원두토출장치; 및 상기 원두이송트랙에 설치되어 이동되고 커피원두를 상기 원두토출장치에 공급하거나 상기 원두토출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원두의 이송동작을 수행하는 원두제공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피원두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스팅된 다양한 종류의 커피원두를 희망하는 양으로 소비자 또는 커피추출장치에 자동적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커피원두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드립 커피와 같이 수작업에 의해 제조하는 추출방식과, 자동커피머신을 이용하는 추출방식에 의해 제조되고 있고, 각각의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커피는 맛과 풍미가 서로 다르므로 음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선택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커피의 맛은 상기한 추출방식 외에도 추출시간과 속도, 분쇄의 밀도, 물의 양 조절, 물의 온도, 추출압력, 스팀압력 등 수많은 인자에 의해 달라지고, 비숙련 바리스타와 전문 바리스타의 숙련도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또한 커피의 맛은 전술한 기술적 인자와 함께 커피원두의 종류, 생산지, 생산방법, 가공방법 등에 의해 현저한 차이를 갖게 되므로 소비자들은 자신의 취향에 따라 커피원두를 선택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인건비의 절감과 제조의 편의성을 위해 커피의 제조에 다관절 로봇을 채용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커피 제조시스템은 작업자의 수작업을 대체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지만 이하와 같은 문제점을 수반하는 한계점이 있다.
예컨대, 종래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커피 제조시스템은 사람을 대신하여 다관절 로봇이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커피 분쇄부로부터 제공되는 동일한 커피원두를 이용하여 정해진 추출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커피 맛이 획일적이어서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관절 로봇에 다양한 종류의 커피원두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추가 작업을 위한 인력이 필요하므로 커피 제조에 로봇을 채용한 의미가 퇴색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커피원두를 희망하는 양으로 소비자 또는 커피추출장치에 자동적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커피원두 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는 커피원두 제공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 커피원두의 이송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원두이송트랙; 상기 원두이송트랙에 접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배치되고 커피원두가 수용되어 토출되는 원두토출장치; 및 상기 원두이송트랙에 설치되어 이동되고 커피원두를 상기 원두토출장치에 공급하거나 상기 원두토출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원두의 이송동작을 수행하는 원두제공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두이송트랙은, 상기 원두제공로봇이 장착되는 트랙이동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트랙이동부가 이동되는 트랙레일부; 및 상기 트랙이동부를 이송시키는 트랙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랙이동부 또는 상기 원두제공로봇은 상기 프레임상판에 존재하는 커피원두를 청소하는 청소도구가 장착되는 보조도구설치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부재, 상기 종부재에 연결되는 횡부재, 및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 유출되는 커피원두를 수거하도록 설치되는 청결수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청결수거부는, 커피원두가 낙하하여 이동되는 슈트; 상기 슈트를 경유한 커피원두가 유입되어 이동되는 유도거터; 상기 유도거터로부터 유입되는 커피원두가 수납되는 수납서랍; 및 상기 슈트 및 상기 유도거터로 커피원두가 유입되도록 상기 프레임상판에 형성되는 수거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슈트는 상기 유도거터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슈트경사판, 및 상기 유도거터와 접한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상기 슈트경사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상향 돌출되고 상기 제1 수거홀과 대응하는 상기 프레임상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슈트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거터는 상기 수납서랍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배출홀이 천공된 유도판, 및 상기 유도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상향 돌출되고 일측에 상기 슈트경사판이 연결되는 거터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두토출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호퍼지지수단; 커피원두가 수용되는 원두호퍼; 상기 원두호퍼에 수용된 커피원두를 감지하는 원두감지수단; 및 커피원두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원두호퍼에 설치되는 원두피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는 상기 원두피더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원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배치되는 중량측정장치와, 상기 중량측정장치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원두피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원두제공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두토출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감지수단지지대, 상기 감지수단지지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낮이조절대, 상기 높낮이조절대의 상단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속되는 각도조절대, 및 상기 각도조절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속되고 상기 원두감지수단이 설치되는 센서결속부가 형성된 센서브라켓를 포함하는 감지수단설치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는 상기 원두토출장치 및 상기 원두제공로봇에 의해 취급되는 커피원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에 의하면, 원두이송트랙을 따라 원두제공로봇이 이동되면서 원두토출장치로부터 토출되는 다양한 종류의 커피원두를 희망하는 양으로 소비자 또는 커피추출장치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수작업을 대체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 간편하고 정확하게 커피원두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는 로스팅된 신선한 다품종 원두를 효율적으로 소량 제공할 수 있어서 커피매장의 관리 및 운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객의 다양한 취향에 따른 다품종 소량 음료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고객만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일측에서 나타나는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타측에서 나타나는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원두이송트랙 및 원두제공로봇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도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원두토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원두토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원두토출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원두토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5a는 원두토출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5b는 원두토출장치의 감지수단설치부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6a 내지 도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청결수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6a는 청결수거부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6b는 청결수거부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6c는 청결수거부의 요부 분리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타측에서 나타나는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원두이송트랙 및 원두제공로봇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도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원두토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원두토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원두토출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원두토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5a는 원두토출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5b는 원두토출장치의 감지수단설치부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6a 내지 도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청결수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6a는 청결수거부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6b는 청결수거부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6c는 청결수거부의 요부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6c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1 내지 도6c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커피원두 제공장치에 특징을 갖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일측에서 나타나는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타측에서 나타나는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원두이송트랙 및 원두제공로봇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도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원두토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원두토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원두토출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1 내지 도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는 품종이나 가공방법 등이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커피원두 중에서 희망하는 커피원두를 희망하는 양으로 커피추출장치나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1), 원두이송트랙(2), 원두제공로봇(3), 원두토출장치(4) 및 상기한 구성요소들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원두제공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1)은 원두이송트랙(2), 원두제공로봇(3), 원두토출장치(4) 등이 설치되는 골격을 형성하는 기본 프레임으로서 프로파일이나 형강재 등으로 구성된 종부재(11) 및 이 종부재에 연결되는 프로파일이나 형강재로 형성되는 횡부재(12)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에는 원두토출장치(4) 등이 설치되도록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상판(13)이 구비되어 있다.
원두이송트랙(2)은 커피원두의 이송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원두토출장치(4)가 설치될 직선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리니어 트랙(linear track)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니어 트랙은 원두제공로봇(3)을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송분야에서 통상 로봇이동대차, 테이블 이송 직선로봇, 리니어모터 가이드장치 등으로 호칭되는 다양한 이송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니어 트랙은 원두제공로봇(3)이 장착되는 트랙이동부(21), 트랙이동부(21)가 결합되어 이동되는 트랙레일부(22), 트랙이동부(21)를 이송시키는 트랙구동부(23) 등이 구비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이송수단이므로 세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트랙레일부(22)는 각 구성부재의 하중을 지탱하는 부분으로 내부에 LM레일(미도시)이 구비된 메인 레일부(221)와, 이 메인 레일부(221)의 상부에 결합되는 레일커버(222) 등이 구성되어 있다.
트랙이동부(21)는 메인 레일부(221)의 LM레일(Linear motion rail)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LM블록(211, Linear motion block)과, 이 LM블록(211)에 결합되고 원두제공로봇(3)이 안착, 고정되는 로봇고정판(212) 등이 구비되어 있다.
트랙구동부(23)는 트랙레일부에 내장된 볼 스크류(미도시)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트랙이동부(21)에는 청소용 붓(25) 등이 장착되는 보조도구설치브라켓(24)이 설치되어 있다.
원두제공로봇(3)은 원두이송트랙(2)에 설치되어 이동되고 원두토출장치(4)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원두의 픽업 및 이송동작 등을 수행하는 로봇으로서, 원두이송트랙(2)의 트랙이동부(21)에 배치되는 로봇구동부(31)와, 로봇구동부(31)에 의해 관절운동을 수행하는 다관절아암부(32) 등이 구비된 통상의 다관절 로봇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관절아암부(32)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아암이 감속기 및 모터 등이 내장된 관절에 의해 연결되는 통상의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서, 말단에 보충용기(81) 및 원두제공용기(82)를 선택적으로 거치하는 앤드암(미도시,end arm)이 설치된 통상의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앤드암(미도시)은 다관절아암부(32)의 말단에 설치되는 슝크(shunk), 이 슝크에 의해 개폐되는 한 쌍의 그리퍼가 구비될 수 있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원두토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5a는 원두토출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5b는 원두토출장치의 감지수단설치부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5a 및 도5b를 참조하면, 원두토출장치(4)는 원두이송트랙(2)에 접하여 배치되고 커피원두를 수용한 상태에서 정량으로 토출하는 장치로서 커피원두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 형태로 형성된 공급호퍼장치로 구성되어 원두이송트랙(2)을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두토출장치(4)는 설치 수량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원두이송트랙(2)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10개가 설치된 것으로서, 호퍼지지수단(41), 원두호퍼(42), 원두피더(43) 및 원두감지수단(44)이 구비되어 있다.
호퍼지지수단(41)은 일측이 프레임상판(13)에 설치되고 타측이 원두호퍼(42) 또는 원두피더(43)에 접속되는 구성요소로서 원두호퍼(42) 및 원두피더(43)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구조나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의 간결, 단순화를 위해 프레임상판(13)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원두호퍼에 연결되는 지지바로 구성되어 있다.
원두호퍼(42)는 커피원두가 투입, 수용되는 구성요소로서 대략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두호퍼(42)는 광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 유리, 투명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원두호퍼(42)가 투명 소재로 형성될 경우 원두감지수단(44)으로 적용할 수 있는 레이저센서와 같은 광센서에 의한 수용량의 감지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원두호퍼(42)는 상부에 커피원두의 보충시 편의성을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호퍼도어(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원두피더(43)는 커피원두를 이송하기 위해 원두호퍼(42)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커피원두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치라면 형태나 구조에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원두피더(43)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몸체 상부에 원두호퍼(42)와 연통되게 유입구(432)가 형성되고 몸체 하부에 배출구(433)가 형성된 피더몸체(431), 이 피더몸체(431)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류 형상의 이송체(미도시), 이송체를 회전시키도록 감속기 및 모터를 구비한 피더구동수단(미도시)으로 구성된 스크류 피더로 구성되어 있다.
원두감지수단(44)은 원두호퍼(42) 내에 수용된 커피원두의 수용량을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커피원두의 레벨이나 수용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면 레이저센서, 적외선센서, 등 다양한 감지센서를 제한 없이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는 원두토출장치(4)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원두 또는 원두제공로봇(3)에 의해 취급되는 커피원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LCD패널 등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디스플레이부는 첨부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원두제공제어부의 제어하에 커피원두의 정보 및 주문 정보 등을 고객이나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첨부도면, 도6a 내지 도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청결수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6a는 청결수거부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6b는 청결수거부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6c는 청결수거부의 요부 분리사시도이다.
도6a 내지 도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는 커피원두의 이송, 배출, 취급 등의 작동과정에서 낙하하거나 이탈하는 커피원두를 수집, 제거하기 위한 청결수거부(7)가 더 구성되어 있다.
청결수거부(7)는 프레임상판(13)에 형성되고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거홀(71), 이 수거홀(71)로 유입되는 커피원두가 낙하하여 이동되는 슈트(72,shute), 슈트(72)를 경유한 커피원두 및 수거홀(71)로부터 직접, 낙하하는 커피원두가 유입되어 유도되는 유도거터(73,guide gutter), 및 유도거터(73)를 경유하여 이동되는 커피원두가 수납되는 수납서랍(73)이 구비되어 있다.
수거홀(71)은 원두제공로봇(3)의 이동경로 등 다양한 위치에 제한 없이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원두토출장치(4)에 의한 커피원두의 배출동작과, 원두제공로봇(3)에 의해 커두원두의 보충동작 및 이동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커피원두의 낙하량이 많은 프레임상판(13)에 다수 개가 천공되어 있다.
예컨대 수거홀(71)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후술되는 중량측정장치(46)가 설치되도록 프레임상판(13)에 형성된 측정장치설치부(135)의 둘레에 천공된 제1 수거홀(711)과, 이 제1 수거홀(711)로부터 이격되는 프레임상판(13)의 가장자리 부분에 천공된 제2 수거홀(712)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슈트(72,shute)는 제1 수거홀(711)의 하부에 배치되어 프레임상판(13)의 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유도거터(73)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슈트경사판(721), 및 슈트경사판(721)의 커피원두 배출측을 제외한 각 가장자리 둘레에 상향 돌출되고 프레임상판(13)의 저면에 결합되는 슈트측판(7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슈트경사판(721)은 커피원두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배출측 가장자리 부분인 낮은 부분이 후술되는 거터측판(73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유도거터(73)는 커피원두를 수납서랍(74)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대략 경사진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커피원두가 원활하게 수집되도록 수납서랍(74)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배출홀(734)이 천공된 유도판(731), 및 유도판(731)의 각 가장자리에 상향 돌출되고 일측이 슈트경사판(721)에 연결되는 거터측판(7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납서랍(74)은 수집된 커피원두의 재활용 또는 폐기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된 서랍 형태로 구성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1)에 결합되는 서랍고정부재(75)에 설치되어 있다.
서랍고정부재(75)은 종부재(11)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서랍고정브라켓(751), 서랍고정브라켓(751)의 상부에 설치되는 서랍안착판(752), 수납서랍(7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서랍안착판(752)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753)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2에 미설명부호 81은 원두제공로봇(3)에 파지되어 원두토출장치(4)에 커피원두를 보충하는 보충용기이고, 미설명부호 82는 원두제공로봇(3)에 파지되어 원두토출장치(4)로부터 인출되는 커피원두를 로봇기반 맞춤형 커피제조 시스템의 분쇄기 등에 제공하는 외부제공용기이며, 미설명부호(25)는 청소용 붓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5c를 참조하면, 원두제공로봇(3)은 원두제공제어부(미도시)의 제어하에 다관절아암부(32)의 앤드암(미도시)을 이용하여 보충용기(81)를 파지하고 외부로부터 로스팅된 커피원두를 공급받아 각 원두토출장치(4)의 원두호퍼(42)에 개별적으로 채워넣는 커피원두 수납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커피원두 수납과정이 완료된 상태 또는 수납과정의 수행과정에서 특정 커피원두의 외부 제공신호가 원두제공제어부의 제어하에 원두이송트랙(2) 및 원두제공로봇(3)에 인가되면 원두이송트랙(2)의 트랙구동부(23)가 구동되면서 트랙이동부(21)가 트랙레일부(22)를 따라 이동되고, 이 트랙이동부(21)의 로봇고정판(212)에 고정된 원두제공로봇(3)이 연동되면서 설정된 위치의 원두토출장치(4)와 마주보게 정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두토출장치(4)는 원두제공제어부의 제어하에 원두피더(43)가 작동되면서 원두호퍼(42)에 수용된 커피원두를 하부에 위치한 외부제공용기(82)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배출과정에서 중량측정장치(46)에 의해 외부제공용기(82)에 채워지는 커피중량이 설정된 1잔 정도의 중량으로 감지되면 원두제공제어부의 제어하에 원두피더(43)의 배출동작이 중지된다.
이후 원두제공로봇(3)은 다관절아암부(32)의 앤드암을 이용하여 외부제공용기(82)를 파지하게 되며, 원두이송트랙(2)의 작동에 따라 원두제공로봇(3)이 커피원두를 분쇄하는 분쇄기(미도시)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다관절아암부(32)가 작동되면서 분쇄기의 투입 위치로 커피원두를 투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원두이송트랙(2), 원두제공로봇(3), 원두토출장치(4) 등의 작동과정에서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원두제공제어부의 제어하에 커피원두의 정보 및 주문 정보 등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고객이나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피원두를 공급하기 위한 원두이송트랙(2), 원두제공로봇(3), 원두토출장치(4)의 작동 중에는 진동, 오작동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자연스럽게 커피원두가 프레임상판(13)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상판(13)으로 낙하한 커피원두는 수거홀(71)로 유입된 후 슈트(72,shute)로 통해 유도거터(73)로 구름 이동한 후 수납서랍(74)으로 수집되어 제거되므로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크리닝 구조는 보조도구설치브라켓(24)에 청소용 붓(25) 등과 같은 청소도구를 장착할 경우 원두이송트랙(2) 또는 원두제공로봇(3)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프레임상판(13)에 잔류하는 커피원두 등의 이물질을 쓸어내어 제거할 수 있으므로 청소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를 치환 및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베이스프레임 11:종부재
12:횡부재 13:프레임상판
2:원두이송트랙 21:트랙이동부
22:트랙레일부 23:트랙구동부
3:원두제공로봇 31:로봇구동부
32:다관절아암부 4:원두토출장치
41:호퍼지지수단 42:원두호퍼
43:원두피더 44:원두감지수단
45:감지수단설치부재 451:감지수단지지대
452:높낮이조절대 453:각도조절대
454:센서브라켓 46:중량측정장치
7:청결수거부 71:수거홀
72:슈트 73:유도거터
73:수납서랍 74:서랍고정부재
12:횡부재 13:프레임상판
2:원두이송트랙 21:트랙이동부
22:트랙레일부 23:트랙구동부
3:원두제공로봇 31:로봇구동부
32:다관절아암부 4:원두토출장치
41:호퍼지지수단 42:원두호퍼
43:원두피더 44:원두감지수단
45:감지수단설치부재 451:감지수단지지대
452:높낮이조절대 453:각도조절대
454:센서브라켓 46:중량측정장치
7:청결수거부 71:수거홀
72:슈트 73:유도거터
73:수납서랍 74:서랍고정부재
Claims (10)
- 커피원두 제공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 커피원두의 이송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원두이송트랙; 상기 원두이송트랙에 접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배치되고 커피원두가 수용되어 토출되는 원두토출장치; 및 상기 원두이송트랙에 설치되어 이동되고 커피원두를 상기 원두토출장치에 공급하거나 상기 원두토출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원두의 이송동작을 수행하는 원두제공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부재, 상기 종부재에 연결되는 횡부재, 및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 유출되는 커피원두를 수거하도록 설치되는 청결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원두 제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이송트랙은,
상기 원두제공로봇이 장착되는 트랙이동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트랙이동부가 이동되는 트랙레일부; 및
상기 트랙이동부를 이송시키는 트랙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원두 제공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이동부 또는 상기 원두제공로봇은 상기 프레임상판에 존재하는 커피원두를 청소하는 청소도구가 장착되는 보조도구설치브라켓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원두 제공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결수거부는,
커피원두가 낙하하여 이동되는 슈트;
상기 슈트를 경유한 커피원두가 유입되어 이동되는 유도거터;
상기 유도거터로부터 유입되는 커피원두가 수납되는 수납서랍; 및
상기 슈트 및 상기 유도거터로 커피원두가 유입되도록 상기 프레임상판에 형성되는 수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원두 제공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는 상기 유도거터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슈트경사판, 및 상기 유도거터와 접한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상기 슈트경사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상향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상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슈트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거터는 상기 수납서랍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배출홀이 천공된 유도판, 및 상기 유도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상향 돌출되고 일측에 상기 슈트경사판이 연결되는 거터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원두 제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토출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호퍼지지수단;
커피원두가 수용되는 원두호퍼;
상기 원두호퍼에 수용된 커피원두를 감지하는 원두감지수단; 및
커피원두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원두호퍼에 설치되는 원두피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원두 제공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피더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원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배치되는 중량측정장치; 및
상기 중량측정장치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원두피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원두제공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원두 제공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토출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감지수단지지대, 상기 감지수단지지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낮이조절대, 상기 높낮이조절대의 상단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속되는 각도조절대, 및 상기 각도조절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속되고 상기 원두감지수단이 설치되는 센서결속부가 형성된 센서브라켓를 포함하는 감지수단설치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원두 제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토출장치 및 상기 원두제공로봇에 의해 취급되는 커피원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원두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178355 | 2019-12-30 | ||
KR1020190178355 | 2019-12-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6426A KR20210086426A (ko) | 2021-07-08 |
KR102357343B1 true KR102357343B1 (ko) | 2022-02-03 |
Family
ID=7689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5711A KR102357343B1 (ko) | 2019-12-30 | 2020-06-22 | 커피원두 제공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7343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14489B2 (ja) * | 1994-04-14 | 2000-12-04 | 富士電機株式会社 |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の原料供給装置および原料売切検知方式 |
KR101448524B1 (ko) | 2012-07-23 | 2014-10-13 | 임기정 |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원두공급유닛 |
EP3244779B1 (en) | 2015-01-12 | 2019-03-13 | Illycaffe' S.p.A. con Unico Socio | Apparatus for the proportioned feed of coffee beans |
-
2020
- 2020-06-22 KR KR1020200075711A patent/KR102357343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6426A (ko) | 2021-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96776B2 (en) |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beverage dispensing machines | |
US8621982B2 (en) | Temperature-controlled beverage brewing | |
CN106715272B (zh) | 用于将可流动材料装袋的装置和方法 | |
KR101992712B1 (ko) | 각종 음료 제조장치 | |
CN104717910A (zh) | 饮料机 | |
US6675985B2 (en) | Cup-type beverage vending machine | |
PT1811881E (pt) | Máquina de bebidas com dispositivo ajustável em altura para controlar a distância entre o recipiente de bebidas e a saída | |
KR101978718B1 (ko) |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 | |
KR102357343B1 (ko) | 커피원두 제공장치 | |
KR102357338B1 (ko) | 로봇 기반 맞춤형 커피 제조 시스템 | |
KR102428902B1 (ko) | 포터필터 자동 세정장치 | |
KR102357348B1 (ko) | 커피원두 제공장치의 크리닝 구조 | |
KR102311564B1 (ko) | 음료의 제조 및 제공을 위한 자동처리시스템 | |
KR102409944B1 (ko) | 커피원두 공급호퍼장치 | |
KR0137419B1 (ko) | 컵식 자동판매기의 컵 반송장치 | |
KR102362527B1 (ko) | 음료 자동 제공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의 제조 및 제공을 위한 자동처리시스템 | |
KR101955815B1 (ko) | 통마늘 선별 충진기 | |
JP2788025B2 (ja) | 食味管理を基にした米の配合方法および配合装置 | |
KR20220146948A (ko) | 커피 음료 제조장치 | |
IT202100005009U1 (it) | Distributore automatico con moduli di contenimento, per erogare caffe’ differenti in grani interi o macinati | |
KR20240132806A (ko) | 포터필터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시스템 | |
JP2006081853A (ja) | メダル回収機構 | |
JPH04112097U (ja) | 飲料デイスペンサー | |
JPH0451395A (ja) | カップ式自動販売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