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984B1 -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984B1
KR100897984B1 KR1020070061233A KR20070061233A KR100897984B1 KR 100897984 B1 KR100897984 B1 KR 100897984B1 KR 1020070061233 A KR1020070061233 A KR 1020070061233A KR 20070061233 A KR20070061233 A KR 20070061233A KR 100897984 B1 KR100897984 B1 KR 100897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y ash
type fly
ash zeolite
type
seed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2620A (ko
Inventor
김재관
이현동
김성철
윤영길
김정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7006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984B1/ko
Publication of KR2008011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 C01B39/20Faujasite type, e.g. type X or Y
    • C01B39/24Type 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2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19/122Incoherent waves
    • B01J19/126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9/00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 B01J29/04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having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 B01J29/06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 B01J29/08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of the faujasite type, e.g. type X or 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마이크로파 열원을 이용하여 석탄회로부터 실리카 및 알루미나를 이온상태로 추출한 후 용해액을 잔사 침전물과 분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용해액에 1M의 Al2O3를 기준으로 3~10M의 Na2O, 8~11M의 SiO2, 150~190M의 H2O가 되도록 NaAlO2, NaOH, 콜로이드 상태의 SiO2 및 H2O를 첨가하고,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NaAlO2 의 첨가량을 기준으로 5~12중량%를 첨가해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20~30℃에서 24~48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숙성시키는 1차 저온숙성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100~120℃의 가열온도로 2~5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가열가압하여 숙성시키는 2차 고온숙성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열원을 이용해 100~120℃의 가열온도로 2~5시간 동안 200~500RPM의 교반속도로 마이크로파 결정화하는 단계와; 결정화가 완료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수분을 제거하고, 미반응 물질을 세척한 후 건조시켜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은 가열원으로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신속한 승온이 가능하도록 해 결정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 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이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가 결정으로 성장하기 위한 핵점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촉매역할을 하여 초고순도의 결정화도를 가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를 합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SYNTHESIS METHOD FOR Y TYPE OF SUPER HIGH PURITY FLYASH ZEOLITE USING Y TYPE FLYASH ZEOLITE SEED POW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종래의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XRD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에 따라 제조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XRD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종래의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SEM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에 따라 제조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SEM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시 결정화 과정의 마이크로파 가열시간별 Y형 제올라이트의 결정화도 비교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초고순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열원으로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신속한 승온이 가능하도록 해 결정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이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가 결정으로 성장하기 위한 핵점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촉매역할을 하여 초고순도의 결정화도를 가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를 합성할 수 있는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의 연소 후에 발생되는 석탄회는 큰크리트 혼화제, 건축물 경량제 및 성토제 등의 저부가가치 분야에 재활용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재활용 분야의 경우 부가가치가 매우 떨어지고, 수요창출의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2008년 이후에는 석탄회의 과다발생으로 인해 석탄회 매립부지를 추가로 확보해야만 하는 실정이다.
한편, 석탄회의 주성분인 SiO2와 Al2O3성분으로부터 합성되는 고순도의 Y형 제올라이트는 독특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우수한 분사자효과(Molecular Sieving Effect), 표면활성(Surface Activity), 이온교환능(Ion Exchange Capacity)이 알려지면서 이러한 성질을 이용한 흡착제 뿐만 아니라 멤브래인, 촉매, 탄화수소 이성체 분리제, 방사성 동위원소 처리제, 사료첨가제, 세제첨가제, 이온교환제, 태양열 측적셀, 반도체 등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석탄회를 이용한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은 간접가열방식의 수열합성 법이 대다수를 차지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혼합물의 조성 및 합성온도에 따라 수 주일 간의 긴 합성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종래의 석탄회를 이용한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에서는 폐기물인 석탄회에서 용출된 실리카 및 알루미나의 반응성이 너무 낮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결정으로 성장하기 위한 핵점의 성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원으로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신속한 승온이 가능하도록 해 결정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이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가 결정으로 성장하기 위한 핵점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촉매역할을 하여 초고순도의 결정화도를 가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를 합성할 수 있는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석탄회에서 용출한 실리카 및 알루미나의 반응성을 높이고,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시드 성장을 보조하기 위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마이크로파 열원을 이용하여 석탄회로부터 실리카 및 알루미나를 이온상태로 추출한 후 용해액을 잔사 침전물과 분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용해액에 1M의 Al2O3를 기준으로 3~10M 의 Na2O, 8~11M의 SiO2, 150~190M의 H2O가 되도록 NaAlO2, NaOH, 콜로이드 상태의 SiO2 및 H2O를 첨가하고,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NaAlO2 의 첨가량을 기준으로 5~12중량%를 첨가해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20~30℃에서 24~48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숙성시키는 1차 저온숙성단계와;상기 혼합물을 100~120℃의 가열온도로 2~5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가열가압하여 숙성시키는 2차 고온숙성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열원을 이용해 100~120℃의 가열온도로 2~5시간 동안 200~500RPM의 교반속도로 마이크로파 결정화하는 단계와; 결정화가 완료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수분을 제거하고, 미반응 물질을 세척한 후 건조시켜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의 제조방법은 1M의 Al2O3를 기준으로 3~5M의 Na2O, 9~12M의 콜로이드 상태의 SiO2, 150~200M의 H2O의 혼합액을 30분간 250RPM에서 고르게 혼합한 후 20~30℃에서 24~48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숙성시키는 1차 저온숙성단계와; 상기 혼합액을 80~120℃의 가열온도로 2~5시간 동안 가열가압하여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숙성시키는 2차 고온숙성단계와; 상기 혼합액을 마이크로파 열원을 이용해 80~120℃의 가열온도로 1~5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마이크로파 결정화하여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를 합성하는 단계와; 합성된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의 수분을 제거하고, 미반응 물질을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를 건조시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석탄회로부터 실리카 및 알루미나를 이온상태로 추출하기 위한 조건은 석탄회와 2~5M의 NaOH의 액고비(NaOH ml/석탄회 g)가 2~6ml/g, 95~105℃의 용해온도, 200~500RPM의 교반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고온숙성단계는 간접가열가압방식의 열원을 이용하며,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은 완전건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은 1M의 Al2O3를 기준으로 3~5M의 Na2O, 9~12M의 콜로이드 상태의 SiO2, 150~200M의 H2O의 혼합액을 30분간 250RPM에서 고르게 혼합한 후(S10) 20~30℃에서 24~48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숙성시키는 1차 저온숙성단계와(S20); 상기 혼합액을 80~120℃의 가열온도로 2~5시간 동안 가열가압하여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숙성시키는 2차 고온숙성단계와(S30); 상기 혼합액을 마이크로파 열원을 이용해 80~120℃의 가열온도로 1~5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마이크로파 결정화하여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를 합성하는 단계와(S40); 합성된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의 수분을 제거하고(S50), 미반응 물질을 세척하는 단계와(S60);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를 건조시켜(S70)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80)와; 마이크로파 열원을 이용하여 석탄회로부터 실리카 및 알루미나를 이온상태로 추출한 후(S90) 용해액을 잔사 침전물과 분리시키는 단계와(S100); 상기 용해액에 1M의 Al2O3를 기준으로 3~10M의 Na2O, 8~11M의 SiO2, 150~190M의 H2O가 되도록 NaAlO2, NaOH, 콜로이드 상태의 SiO2 및 H2O를 첨가하고,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NaAlO2 의 첨가량을 기준으로 5~12중량%를 첨가해 혼합하는 단계와(S110); 상기 혼합물을 20~30℃에서 24~48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숙성시키는 1차 저온숙성단계와(S120); 상기 혼합물을 100~120℃의 가열온도로 2~5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가열가압하여 숙성시키는 2차 고온숙성단계와(S130); 상기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열원을 이용해 100~120℃의 가열온도로 2~5시간 동안 200~500RPM의 교반속도로 마이크로파 결정화하는 단계와(S140); 결정화가 완료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수분을 제거하고(S150), 미반응 물질을 세척한 후(S160) 건조시켜(S170) 제품화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석탄회에서 용출한 실리카 및 알루미나의 반응성을 높이고,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시드 성장을 보조하기 위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제조하게 되는데,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M의 Al2O3를 기준으로 4M의 Na2O, 10M의 콜로이드 상태의 SiO2, 180M의 H2O의 혼합액을 30분간 250RPM에서 고르게 혼합한 후(S10) 25℃에서 24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저온으로 숙성시키고(S20), 105℃에서 3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고온으로 숙성시킨 다음(S30), 상기 혼합액을 마이크로파 열원을 이용해 105℃의 가열온도로 5시간 동안 가열가압하여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마이크로파 결정화하여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를 합성하게 된다(S40).
상기와 같이 합성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의 수분을 제거하고(S50), 미반응 물질을 세척한 후(S60)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를 건조시키게 되면(S70)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얻을 수 있게 된다(S80).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의 제조가 완료되면, 마이크로파 열원을 이용하여 석탄회로부터 실리카 및 알루미나를 이온상태로 추출한 후(S90) 용해액을 잔사 침전물과 분리시키게 되는데(S100), 이때 상기 석탄회로부터 상기 실리카 및 상기 알루미나를 이온상태로 추출하기 위한 조건은 석탄회와 5M의 NaOH의 액 고비가4ml/g, 용해온도가 95℃, 교반속도가 300RPM, 용해시간을 5시간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용해액에 1M의 Al2O3를 기준으로 4M의 Na2O, 10M의 SiO2, 180M의 H2O가 되도록 NaAlO2, NaOH, 콜로이드 상태의 SiO2 및 H2O를 첨가하고,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NaAlO2의 첨가량을 기준으로 10%를 첨가해 혼합하여(S110) 상기 혼합물을 25℃에서 24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1차로 숙성시키고(S120), 상기 혼합물을 120℃의 가열온도로 3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가열가압하여 2차로 숙성시키게 된다(S130).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열원을 이용해 120℃의 가열온도로 5시간 동안 200RPM의 교반속도로 마이크로파 결정화하여(S140) 결정화가 완료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수분을 제거하고(S150), 미반응 물질을 세척한 후(S160) 건조시키게 되면(S170) 99.99%의 초고순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가 얻어지게 된다(S180).
하기 표 1은 석탄회의 조성 및 초고순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제조과정에 투입되는 성분들의 배합량을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112007045116097-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석탄회의 화학성분 분포는 실리카(SiO2)가 55.50중량%, 알루미나(Al2O3)가 25.70중량%로 나타났으며, 상기와 같은 배합량을 투입함으로써 초고순도의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를 제조할 수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XRD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에 따라 제조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XRD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에 따라 제조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결정화도는 X선 회절분석의 피크강도를 비교하여 결정하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에 따라 제조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피크강도(Intensity)가 종래의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피크강도보다 2배 가까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는 종래의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SEM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에 따라 제조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SEM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에 따라 제조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결정형태는 전자주사현미경으로 분석하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에 따라 제조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결정이 종래의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결정보다 더욱 성장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시 결정화 과정의 마이크로파 가열시간별 Y형 제올라이트의 결정화도 비교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이크로파의 가열시간이 3~5시간인 경우 결정화도가 92~99.99%로 초고순도의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가 합성되었는데, 특히 마이크로파의 가열시간을 5시간으로 수행했을 때 99.99%의 결정화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은 마이크로파를 열원으로 적용하기 때문에 용해 및 숙성과정을 포함하여 64시간으로 기존의 수열합성공정의 170시간보다 2.65배 이상 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은 가열원으로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신속한 승온이 가능하도록 해 결정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이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가 결정으로 성장하기 위한 핵점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촉매역할을 하여 초고순도의 결정화도를 가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를 합성할 수 있다.

Claims (5)

  1. 석탄회에서 용출한 실리카 및 알루미나의 반응성을 높이고,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시드 성장을 보조하기 위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마이크로파 열원을 이용하여 석탄회로부터 실리카(SiO2) 및 알루미나(Al2O3)를 이온상태로 추출한 후 용해액을 잔사 침전물과 분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용해액에 1M의 Al2O3를 기준으로 3~10M의 Na2O, 8~11M의 SiO2, 150~190M의 H2O가 되도록 NaAlO2, NaOH, 콜로이드 상태의 SiO2 및 H2O를 첨가하고,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NaAlO2 의 첨가량을 기준으로 5~12중량%를 첨가해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20~30℃에서 24~48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숙성시키는 1차 저온숙성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100~120℃의 가열온도로 2~5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가열가압하여 숙성시키는 2차 고온숙성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열원을 이용해 100~120℃의 가열온도로 2~5시간 동안 200~500RPM의 교반속도로 마이크로파 결정화하는 단계와;
    결정화가 완료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수분을 제거하고, 미반응 물질을 세척한 후 건조시켜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의 제조방법은,
    1M의 Al2O3를 기준으로 3~5M의 Na2O, 9~12M의 콜로이드 상태의 SiO2, 150~200M의 H2O의 혼합액을 30분간 250RPM에서 고르게 혼합한 후 20~30℃에서 24~48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숙성시키는 1차 저온숙성단계와;
    상기 혼합액을 80~120℃의 가열온도로 2~5시간 동안 가열가압하여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숙성시키는 2차 고온숙성단계와;
    상기 혼합액을 마이크로파 열원을 이용해 80~120℃의 가열온도로 1~5시간 동안 150RPM 이하의 교반속도로 마이크로파 결정화하여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를 합성하는 단계와;
    합성된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의 수분을 제거하고, 미반응 물질을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를 건조시켜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석탄회로부터 실리카 및 알루미나를 이온상태로 추출하기 위한 조건은 석탄회와 2~5M의 NaOH의 액고비(NaOH ml/석탄회 g)가 2~6ml/g, 95~105℃의 용해온도, 200~500RPM의 교반속도로 이루어지며,
    상기 2차 고온숙성단계는 간접가열가압방식의 열원을 이용하며,
    상기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은 완전건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70061233A 2007-06-21 2007-06-21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 KR100897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233A KR100897984B1 (ko) 2007-06-21 2007-06-21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233A KR100897984B1 (ko) 2007-06-21 2007-06-21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620A KR20080112620A (ko) 2008-12-26
KR100897984B1 true KR100897984B1 (ko) 2009-05-18

Family

ID=4037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233A KR100897984B1 (ko) 2007-06-21 2007-06-21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9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88B1 (ko) 2011-11-22 2012-07-23 이상우 석탄재를 이용한 촉매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촉매
KR101978718B1 (ko) 2018-07-12 2019-05-15 강삼태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1596B (zh) * 2019-08-29 2023-04-0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Mcm-41分子筛及其合成方法和应用
CN111908485A (zh) * 2020-07-01 2020-11-10 湖南聚力催化剂股份有限公司 一种y型分子筛的制备方法
CN114940500B (zh) * 2022-06-24 2023-05-23 辽宁科技大学 一种粉煤灰基NaP型分子筛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294A (ko) * 2005-10-31 2007-05-03 한국전력공사 제올라이트 합성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294A (ko) * 2005-10-31 2007-05-03 한국전력공사 제올라이트 합성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제저널 Microporous and Mesoporous Materials (저자: Marion Gross et al., Vol.104, page 67-76, 2007., available online 2007.01.16.)*
논문1: Fuel and Energy Abstracts
논문2: Fu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88B1 (ko) 2011-11-22 2012-07-23 이상우 석탄재를 이용한 촉매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촉매
KR101978718B1 (ko) 2018-07-12 2019-05-15 강삼태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620A (ko) 200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984B1 (ko)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
WO2014082587A1 (zh) 一种zsm-5型分子筛的合成方法
CN101962193B (zh) 晶种合成法制备zsm-34分子筛的方法
CN111392745B (zh) 一种高硅铝比镁碱沸石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905890A (zh) 使用氢氧根作为介质的凝胶合成分子筛ssz-74
CN104843735A (zh) 一种利用粉煤灰合成两种不同品位a型沸石的方法
JP2022513266A (ja) ゼオライ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928406B (zh) 一种方沸石及其合成方法
CN112209399A (zh) 一种煤矸石制备x型沸石的方法
CN105780121A (zh) 一种以粉煤灰为原料合成托贝莫来石晶须的方法
CN111847475A (zh) 13x分子筛的制备方法及13x分子筛
CN112694102B (zh) 酸处理分子筛的方法
CN113277527A (zh) 以粉煤灰为原料快速制备Na-X和Na-A分子筛的方法
CN113428887B (zh) 一种工业副产物石膏制备α高强石膏的方法
CN101962194B (zh) 直接合成法制备zsm-34及其杂原子取代分子筛的方法
KR20210074781A (ko) 리튬 부산물을 이용한 제올라이트 제조 방법
US20180029894A1 (en) Preparation method for beta zeolite
CN109052446B (zh) 一种利用工业废渣为原料制备钙铝类水滑石的方法
CN110482564A (zh) 一种微波加热类固相酸蒸汽转化法处理伊利石合成沸石分子筛的方法
KR100767815B1 (ko) 마이크로파 열원을 이용한 고순도 a형 및 p형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 및 장치
Xia et al. Template-free synthesis, growth mechanism and photoluminescent properties of Ln (OH) 3 and Ln2O3 nanorods (Ln: lanthanide ion)
CN107814393A (zh) 一种快速晶化合成emt分子筛的方法
JPH09175818A (ja) ゼオライトβの合成方法
US11542171B2 (en) Method for preparing ZSM-5 zeolite
Derewinski et al. Effect of Stirring on the Selective Synthesis of MEL or TON Zeolites in the Presence of 1, 8-Diaminooct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