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302B1 -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 - Google Patents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302B1
KR101977302B1 KR1020170171510A KR20170171510A KR101977302B1 KR 101977302 B1 KR101977302 B1 KR 101977302B1 KR 1020170171510 A KR1020170171510 A KR 1020170171510A KR 20170171510 A KR20170171510 A KR 20170171510A KR 101977302 B1 KR101977302 B1 KR 101977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center beam
wing door
airtight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드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드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드밴
Priority to KR1020170171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2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for movable panels in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함의 센터빔과 윙도어 간의 틈새로 공기가 유통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윙도어가 컨테이너형 적재함의 프레임 중앙을 길게 가로지른 센터빔 양쪽에 상하로 스윙 가능하도록 각각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상기 적재함의 양쪽 측면을 개폐하는 방식의 윙바디 트럭에 장치하되, 상기 윙도어들의 상기 센터빔의 측면과 마주하는 쪽 단부에 각각 고정된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들의 상기 센터빔의 측면과 마주하는 쪽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윙도어와 상기 센터빔 사이의 틈을 탄성 변형 및 유연하고 탄력적인 밀착으로 기밀하게 차단하기 위한 중공형 제1튜브부와 상기 제1튜브부의 바깥쪽 둘레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기밀돌기가 형성된 제1기밀재와, 상기 센터빔의 하부에 고정되고, 양쪽 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지지채널 및 상기 지지채널의 결합홈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채널 사이의 틈을 탄성 변형 및 유연하고 탄력적인 밀착으로 기밀하게 차단하기 위한 중공형 제2튜브부와 상기 제2튜브부의 바깥쪽 둘레 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제2기밀돌기가 형성된 제2기밀재를 포함하는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WING DOOR SEALING APPARATUS OF WING BODY TRUCK}
본 발명은 윙도어를 날개같이 상하로 회전시켜 컨테이너형 적재함의 양쪽 측면을 개폐하는 방식인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의 프레임 중앙을 길게 가로지른 센터빔과 이에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는 윙도어 간의 틈새로 공기가 유통되는 것을 차단하여 적재함의 보냉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각종 화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고 효율적으로 탑재 및 적재할 수 있는 이른바 탑차, 윙바디 또는 밴형 화물자동차(vantype truck) 등과 같은 각종 화물차량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우유, 유제품, 빙과류, 육류, 어패류, 야채 따위의 각종 식료품을 운반 시에는 위생성 향상과 변질 방지, 신선도 유지 등 품질저하를 막기 위해 냉동 및 냉장 설비와 같은 적정 온도 유지장치가 부착된 윙바디 트럭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윙바디 트럭은 윙도어를 날개같이 상하로 회전시키거나 들어올려 박스형 또는 컨테이너형 적재함의 양쪽 측면을 개폐하는 구조로 인해 화물을 싣고 내리는 상하차 작업이 편리하고 운송의 효율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8727호에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윙도어(500)가 적재함의 천장 중앙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센터빔(410)에 너클(knuckle)과 핀(pin)으로 이루어지는 힌지 이음(hinged joint)으로 부착되어 있고, 유압실린더의 밀거나 당기는 작동에 따라 그 힌지축을 중심으로 윙도어(500)가 스윙하면서 적재함의 양쪽 측면을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윙도어(500)가 닫힌 상태에서 센터빔(410)과 마주하는 면에는 별도의 실링용 부재를 개재함으로써 적재함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윙바디 트럭은 윙도어(500)가 센터빔(410)에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적 특성상 그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유통되는 것은 차단할 수 없어 즉, 적재함 내의 냉기가 누출되거나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없어 냉장 및 단열 등의 보냉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윙도어(500)와 센터빔(410) 사이의 틈에 단순히 여러 개의 패킹 등의 실링용 부재를 장착할 수도 있으나, 이렇게 하면 실링용 부재의 이탈 및 접촉 간섭 등으로 인해 윙도어(500)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또 주행 중 자칫 윙도어(500)가 열리면서 적재함 내의 화물이 도로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데다 윙도어(500)가 제대로 밀착되지 않아 적재함 내의 냉기가 누출될 뿐만 아니라 주행 중 흔들림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센터빔(410)은 통상 단면이 중공의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길이 방향의 양쪽 단부가 적재함의 전후 테두리 프레임 상에 고정되기 때문에 이를 5톤 이상의 대형 화물 차량에 적용할 경우에는 센터빔(410)의 자중에 의해 그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센터빔(410)에 윙도어(500)를 연결하는 힌지 구조물이 쉽게 변형 및 손상되는 등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0459019 B1(2004.11.19) KR 10-0414704 B1(2003.12.27) KR 10-0801750 B1(2008.01.30) KR 10-1618727 B1(2016.04.29) KR 20-0281946 Y1(2002.07.02)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윙바디 트럭의 적재함이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센터빔과 윙도어 사이에 이중 단열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센터빔과 윙도어 간의 틈새로 공기가 유통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하여 적재함의 보냉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윙도어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센터빔과 윙도어 사이의 틈을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윙도어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윙도어가 컨테이너형 적재함의 프레임 중앙을 길게 가로지른 센터빔 양쪽에 상하로 스윙 가능하도록 각각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어 상기 적재함의 양쪽 측면을 개폐하는 방식의 윙바디 트럭에 장치하되, 상기 윙도어들의 상기 센터빔의 측면과 마주하는 쪽 단부에 각각 고정된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들의 상기 센터빔의 측면과 마주하는 쪽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윙도어와 상기 센터빔 사이의 틈을 탄성 변형 및 유연하고 탄력적인 밀착으로 기밀하게 차단하기 위한 중공형 제1튜브부와 상기 제1튜브부의 바깥쪽 둘레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기밀돌기가 형성된 제1기밀재와, 상기 센터빔의 하부에 고정되고, 양쪽 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지지채널 및 상기 지지채널의 결합홈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채널 사이의 틈을 탄성 변형 및 유연하고 탄력적인 밀착으로 기밀하게 차단하기 위한 중공형 제2튜브부와 상기 제2튜브부의 바깥쪽 둘레 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제2기밀돌기가 형성된 제2기밀재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제1 및 제2기밀재가 센터빔과 윙도어 사이의 틈을 이중 실링하고, 아울러 지지채널이 센터빔의 강도를 보강 및 제2기밀재의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센터빔과 윙도어의 틈새로 공기가 유통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하여 적재함의 보냉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적재함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제2기밀재는, 상기 지지브래킷에 탄성 변형 및 유연하고 탄력적인 밀착을 위한 제2튜브부가 이중 구조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제2튜브부들 사이에 제3튜브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기밀재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지지브래킷의 하면에 탄성 변형에 의해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밀착패드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기밀재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채널의 결합홈과 대응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센터빔과 윙도어 간의 틈새를 더욱 효과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차단하여 냉기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막는 단열 성능과 외기가 적재함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 기밀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지지채널의 하면에 조명등이 장착됨으로써 상하차 작업 시 등에 작업자의 시환경을 확보하여 안전성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윙도어들과 상기 센터빔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윙도어들의 상면에 장착된 방수포 및 상기 센터빔의 상면에 부착된 단열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센터빔과 윙도어 간의 틈새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효과와 더불어 외부로 새어나가는 냉기를 막는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윙도어가 닫힐 때 자중에 의해 제1 및 제2기밀재가 자연스럽게 압축되면서 센터빔 측과 윙도어 측 양쪽에 밀착됨으로써 센터빔과 윙도어 사이의 틈을 기밀하게 이중 실링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센터빔과 윙도어 간의 틈으로 공기가 유통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하여 적재함의 보냉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지지채널을 센터빔에 고정하여 센터빔의 강도 및 강성을 보강 및 제2기밀재의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센터빔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여 적재함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윙도어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기밀재는 지지브래킷의 끝 부분에 장착되고, 제2기밀재는 지지채널의 양쪽 끝 부분에 장착됨으로써 차량의 주행 중에 이탈됨 없이 견고하고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 윙도어를 닫을 때 탄성 변형으로 지지브래킷의 하면과 센터빔의 측면에 자연스럽고 탄력적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윙도어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윙도어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1기밀재와 제2기밀재가 윙도어와 센터빔 각각에 순차적으로 완전히 밀착되는 이중 단열 및 이중 밀폐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기밀 유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윙바디 트럭의 적재함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도어 밀폐장치를 장치한 윙도어 트럭용 적재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도어 밀폐장치를 장치한 상태의 윙도어 트럭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국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도어 밀폐장치를 구성하는 제1기밀재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도어 밀폐장치를 구성하는 제2기밀재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윙도어 밀폐장치의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는, 컨테이너형 적재함(C)의 프레임 중앙을 길게 가로질러 지지 역할을 하는 센터빔(S) 양쪽에 윙도어(D1)(D2)가 상하로 스윙 가능하도록 각각 힌지 이음(hinged joint)으로 부착되어 있고, 또 윙도어(D1)(D2)가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 등과 같은 액추에이터(P)의 밀거나 당기는 작동에 따라 그 힌지축(H)을 중심으로 스윙하면서 적재함(C)의 양쪽 측면을 개폐하는 방식의 윙바디 트럭에 장치하는 것으로, 크게 지지브래킷(10), 제1기밀재(20), 지지채널(30) 및 제2기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브래킷(10)은 한쪽에 제1기밀재(20)를 고정하고 제2기밀재(40)와의 면 접촉으로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윙도어(D1)(D2)들의 센터빔(S)의 측면과 마주하는 쪽 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즉, 지지브래킷(10)은 윙도어(D1)(D2)의 천장을 이루는 가장자리 부분에 윙도어(D1)(D2)와 함께 스윙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브래킷(10)의 다른 한쪽은 윙도어(D1)(D2)와 리벳팅(riveting)이나 용접(welding) 등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브래킷(10)은 휨 강성을 보장하는 두께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이른바 고강도 알루미늄 프로파일(profile) 형태로 압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제1기밀재(20)는 윙도어(D1)(D2)와 센터빔(S) 사이의 틈을 탄성 변형 및 유연하고 탄력적인 밀착으로 기밀하게 차단 및 밀봉(sealing)하기 위해 지지브래킷(10)들의 센터빔(S)의 측면과 마주하는 쪽 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기밀재(20)의 한쪽에는 중공형 제1튜브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1튜브부(21)의 바깥쪽 둘레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기밀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센터빔(S)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1기밀재(20)의 가장자리에는 한층 더 기밀한 밀착을 위해 중공형 제1튜브부(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제1튜브부(21) 중 센터빔(S)과 접촉하는 면 주위에는 틈새를 기밀하게 막는 제1기밀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기밀재(20)의 다른 한쪽에는 지지브래킷(10)과 한층 더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기밀재(20)는 압력이 가해지면 부드럽고 유연하게 변형되어 기밀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및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채널(30)은 제2기밀재(40)의 장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센터빔(S)의 구조 보강을 위해 센터빔(S)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즉, 지지채널(30)의 양쪽 단부에는 제2기밀재(40)를 장착하기 위한 결합홈(3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센터빔(S)의 하부 양쪽 측면을 감싸듯이 결합하여 그 센터빔(S)의 지지력, 강도, 안정성 등을 높여 주는 보강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보강부(32)는 센터빔(S)의 양쪽 측면과 리벳팅이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채널(30)은 지지브래킷(10)과 마찬가지로 휨 강성을 보장하는 두께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이른바 고강도 알루미늄 프로파일(profile) 형태로 압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제2기밀재(40)는 지지브래킷(10)과 지지채널(30) 사이의 틈을 탄성 변형 및 유연하고 탄력적인 밀착으로 기밀하게 차단하기 위해 지지채널의 결합홈(31) 상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기밀재(40)의 상부에는 중공형 제2튜브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2튜브부(41)의 바깥쪽 둘레 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제2기밀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브래킷(10)의 한쪽 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한층 더 기밀한 밀착을 위해 중공형의 제2튜브부(4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제2튜브부(41) 중 지지브래킷(10)과 접촉하는 면 주위에는 틈새를 더욱 기밀하게 막는 제2기밀돌기(4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튜브부(41)는 지지브래킷(10)에 탄성 변형 및 유연하고 탄력적인 밀착을 위해 이중 구조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그 제2튜브부(41)들 사이에는 중공형의 제3튜브부(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2튜브부(41)들이 서로 제3튜브부(45)의 양쪽에서 감싸듯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튜브부(41)들과 제3튜브부(45)는 윙도어(D1)(D2)가 닫힐 때 충격에 의한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흡수하여 다른 에너지로 변환하거나 그 후 서서히 방출하게 하여 충격 효과를 완화시키는 완충작용도 겸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기밀재(40)의 적어도 한쪽에는 한층 더 기밀한 가압 밀착을 위해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에 의해 지지브래킷(10)의 하면에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밀착패드(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2기밀재(40)의 하부에는 지지채널의 결합홈(31)과 대응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4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기밀재(40)의 결합돌기(44)와 지지채널의 결합홈(31) 간의 결합 틈새로 냉기가 새지 아니하도록 서로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기밀재(40)는 제1기밀재(20)와 마찬가지로 압력이 가해지면 부드럽고 유연하게 변형되어 기밀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및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는, 제1기밀재(20)를 윙도어(D1)(D2) 측에 설치하고 제2기밀재(40)를 센터빔(S) 측에 설치하여 센터빔(S)과 윙도어(D1)(D2) 사이의 틈을 이중으로 실링할 수 있고, 아울러 지지채널(30)을 센터빔(S)의 하부에 고정하여 그 지지력을 강화하고 강도를 보강함은 물론 제2기밀재(40)의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빔(S)과 윙도어(D1)(D2)의 틈새로 공기가 유통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하여 적재함(C)의 보냉 성능은 물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윙도어(D1)(D2)를 닫은 상태에서 제1기밀재(20)는 지지브래킷(10)의 끝 부분에 장착된 채 센터빔(S)의 측면과 밀착되고, 제2기밀재(40)는 지지채널(30)의 양쪽 끝 부분에 장착된 채로 지지브래킷(10)의 하면과 밀착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 중 제1기밀재(20)와 제2기밀재(40)가 이탈되는 일 없이 견고하고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기밀 유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1기밀재(20)와 제2기밀재(40)가 각각 윙도어(D1)(D2)를 닫을 때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지지브래킷(10)의 하면과 센터빔(S)의 측면에 자연스럽고 탄력적으로 완전히 밀착되기 때문에 윙도어(D1)(D2)의 개폐 작동을 방해하는 접촉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윙도어(D1)(D2)의 개폐 작동이 한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는 크게 지지브래킷(10), 제1기밀재(20), 지지채널(30), 제2기밀재(40), 조명등(50), 방수포(60) 및 단열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조명등(50)은 상차 및 하차 작업 시 등에 작업자의 시환경을 확보하여 안전성 및 작업 능률을 높이기 위해 지지채널(30)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조명등(50)은 엘이디(LED) 조명으로 이루어진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포(60)는 윙도어(D1)(D2)들과 센터빔(S)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여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습기가 침투하여 힌지(H) 구조물을 부식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그 폭 방향의 양쪽 단부가 윙도어(D1)(D2)들의 상면에 접착 또는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방수포(60)는 수밀성과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70)는 적재함(C) 내의 냉기가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센터빔(S)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단열재(70)로는 얇은 은박을 피복한 폴리에틸렌 폼 소재의 열반사 단열재나 진공 단열재, 글라스울 단열재, 비드법 단열재(EPS), 압출법 단열재(XPS) 중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는, 방수포(60)가 윙도어(D1)(D2)들과 센터빔(S)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고, 또 방수포(60)와 센터빔(S)의 상면 사이에는 단열재(70)를 구비함으로써 센터빔(S)과 윙도어(D1)(D2) 간의 틈새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효과는 물론이고 외부로 새어나가는 냉기를 막는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조명등(50)의 불빛으로 화물의 상차 및 하차 작업 시 등에 작업자의 시환경을 확보하여 안전성 및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지지브래킷 20: 제1기밀재
21: 제1튜브부 22: 제1기밀돌기
23: 고정부 30: 지지채널
31: 결합홈 32: 보강부
40: 제2기밀재 41: 제2튜브부
42: 제2기밀돌기 43: 밀착패드
44: 결합돌기 45: 제3튜브부
50: 조명등 60: 방수포
70: 단열재 D1, D2: 윙도어
S: 센터빔 P: 액추에이터
C: 적재함

Claims (4)

  1. 윙도어가 컨테이너형 적재함의 프레임 중앙을 길게 가로지른 센터빔 양쪽에 상하로 스윙 가능하도록 각각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어 상기 적재함의 양쪽 측면을 개폐하는 방식의 윙바디 트럭에 장치하되,
    상기 윙도어들의 상기 센터빔의 측면과 마주하는 쪽 단부에 각각 고정된 지지브래킷;
    상기 지지브래킷들의 상기 센터빔의 측면과 마주하는 쪽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윙도어와 상기 센터빔 사이의 틈을 탄성 변형 및 유연하고 탄력적인 밀착으로 기밀하게 차단하기 위한 중공형 제1튜브부와 상기 제1튜브부의 바깥쪽 둘레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기밀돌기가 형성된 제1기밀재;
    상기 센터빔의 하부에 고정되고, 양쪽 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지지채널; 및
    상기 지지채널의 결합홈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채널 사이의 틈을 탄성 변형 및 유연하고 탄력적인 밀착으로 기밀하게 차단하기 위한 중공형 제2튜브부와 상기 제2튜브부의 바깥쪽 둘레 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제2기밀돌기가 형성된 제2기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기밀재는, 상기 지지브래킷에 탄성 변형 및 유연하고 탄력적인 밀착을 위한 제2튜브부가 이중 구조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제2튜브부들 사이에 제3튜브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기밀재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지지브래킷의 하면에 탄성 변형에 의해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밀착패드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기밀재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채널의 결합홈과 대응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된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채널의 하면에 조명등이 장착된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윙도어들과 상기 센터빔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윙도어들의 상면에 장착된 방수포; 및
    상기 센터빔의 상면에 부착된 단열재;
    를 더 포함하는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
KR1020170171510A 2017-12-13 2017-12-13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 KR101977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510A KR101977302B1 (ko) 2017-12-13 2017-12-13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510A KR101977302B1 (ko) 2017-12-13 2017-12-13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302B1 true KR101977302B1 (ko) 2019-05-10

Family

ID=66580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510A KR101977302B1 (ko) 2017-12-13 2017-12-13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3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7669A (zh) * 2021-07-07 2021-10-08 南京大学 一种移动式水热资源化处理高盐高cod危废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861U (ja) * 1993-12-27 1995-07-14 株式会社ミカワ関東 ウイング車
KR200281946Y1 (ko) 2002-04-24 2002-07-13 (주)윙테크 개선된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화물 차량용 윙바디
KR100414704B1 (ko) 2001-04-23 2004-01-16 조섬연 윙바디 트럭 적재함의 방수장치
KR100459019B1 (ko) 2001-10-19 2004-12-08 (주)윙테크 화물 차량용 개선 윙바디
KR200372907Y1 (ko) * 2004-10-21 2005-01-21 김태용 화물차용 윙 바디장치
KR100801750B1 (ko) 2007-07-26 2008-02-21 동양중공업 주식회사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KR20080054929A (ko) * 2006-12-14 200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웨더스트립
JP2011255764A (ja) * 2010-06-08 2011-12-22 Nippon Trex Co Ltd ウイング車
KR101618727B1 (ko) 2015-12-30 2016-05-09 (주)원일하이텍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861U (ja) * 1993-12-27 1995-07-14 株式会社ミカワ関東 ウイング車
KR100414704B1 (ko) 2001-04-23 2004-01-16 조섬연 윙바디 트럭 적재함의 방수장치
KR100459019B1 (ko) 2001-10-19 2004-12-08 (주)윙테크 화물 차량용 개선 윙바디
KR200281946Y1 (ko) 2002-04-24 2002-07-13 (주)윙테크 개선된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화물 차량용 윙바디
KR200372907Y1 (ko) * 2004-10-21 2005-01-21 김태용 화물차용 윙 바디장치
KR20080054929A (ko) * 2006-12-14 200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웨더스트립
KR100801750B1 (ko) 2007-07-26 2008-02-21 동양중공업 주식회사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JP2011255764A (ja) * 2010-06-08 2011-12-22 Nippon Trex Co Ltd ウイング車
KR101618727B1 (ko) 2015-12-30 2016-05-09 (주)원일하이텍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7669A (zh) * 2021-07-07 2021-10-08 南京大学 一种移动式水热资源化处理高盐高cod危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82277B2 (en) Waterproof top door for trailer
KR101977302B1 (ko)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
US6102470A (en) Motor vehicle body consisting of a shell body and a closing module, closing module for a motor vehicle body and process for mounting a closing module on a shell body
CN105383510A (zh) 一种铁路货车用的开闭顶盖及铁路货车
KR20190037675A (ko) 캡 오버 트럭의 엔진룸 방음커버장치
US20210046955A1 (en) Hopper railroad car hatch cover assembly
KR102076140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NL9302204A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binden.
KR100797097B1 (ko) 특장차의 적재함 바닥판 구조
US4984522A (en) Railroad car diaphragm assembly
ITMI930938A1 (it) Guarnizione per sportelli, portelloni e pareti laterali per la carrozzeria di autocarri aventi una superfice di carico
JP4916413B2 (ja) 断熱パネルを備えたウイング車のシール装置
KR100405556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처짐방지장치
KR101986991B1 (ko) 항공기용 객실문 씰링 장치
CN114771583B (zh) 一种用于铁路密封运输长大货物的整体翻转式车顶
CN101407269B (zh) 一种干散货集装箱及其门端密封增强机构
KR100777089B1 (ko) 도어를 갖는 차량용 박스형 적재함
JP4916414B2 (ja) 断熱パネルを備えたウイング車の煽り板の上部構造
CN215099572U (zh) 一种具有防漏热功能的冷藏集装箱
CN109733172B (zh) 一种双开盖式舱体的密封结构
JP4895973B2 (ja) 断熱パネルを備えたウイング車の煽り板の下部構造
JP4717047B2 (ja) 断熱パネルを備えたウイング車の屋根構造
KR200206916Y1 (ko)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
JP2001260948A (ja) 定温輸送用ウイング車の煽り板構造
KR200238599Y1 (ko) 특장차 적재함의 날개형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