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727B1 -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 Google Patents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727B1
KR101618727B1 KR1020150189437A KR20150189437A KR101618727B1 KR 101618727 B1 KR101618727 B1 KR 101618727B1 KR 1020150189437 A KR1020150189437 A KR 1020150189437A KR 20150189437 A KR20150189437 A KR 20150189437A KR 101618727 B1 KR101618727 B1 KR 101618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frame assembly
center beam
wing
wing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주희
조택연
Original Assignee
(주)원일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일하이텍 filed Critical (주)원일하이텍
Priority to KR1020150189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9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non-fixed roofs, e.g. foldable roofs or removable hard-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2Vehicle body, not intended to move relatively to the vehicle frame, and mounted on vibration absorbing mountings, e.g. rubber pa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에 관한 것으로,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 메인 프레임 조립체, 리어 프레임 조립체, 윙바디 조립체가 개별적으로 모듈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각 구성들을 단순히 끼워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폐차 또는 유지 보수시 모듈화된 구성을 해체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측면과 친환경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센터 빔을 캠버(camber) 형상으로 형성하여 윙바디 조립체의 개방시 센터 빔에 집중되는 하중(荷重)을 효과적으로 분산함으로써 센터 빔의 변형을 방지하며,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적재함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진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MODULATION FABRIC TYPE WING BODY CARGO TRUCK}
본 발명은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적재함을 구성하는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 메인 프레임 조립체, 리어 프레임 조립체, 윙바디 조립체가 개별적으로 모듈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각 구성들을 용접하지 않고 끼워서 손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센터 빔을 캠버(camber)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윙바디 조립체의 개방시 센터 빔에 집중되는 하중(荷重)을 효과적으로 분산하며,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적재함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진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차량으로는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눈이나 비로부터 보호되고 화물 운송시 적재함 밖으로 낙하하지 않기 때문에 박스 차량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박스 차량에는 후방이 개폐되는 캐비닛 형과 양측방향으로 개폐되는 윙바디 형이 알려져 있는데, 특히 윙바디 형의 화물차량은 화물의 상, 하차 시간이 많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윙바디 형의 화물차량은 차량의 양측 면으로 윙바디가 개폐되는 구성이므로 적재함이 구조적으로 취약한 단점이 있다. 특히, 윙바디의 개방시 하중이 센터 빔에 집중되어 센터 빔의 변형을 초래하고,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 적재함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것은 물론 진동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파이프로 제작된 메인 프레임의 전방 측과 후방 측에 철판과 파이프를 용접하여 적재함을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며, 해체 작업이 매우 힘들고, 해체한 자재를 재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국내 등록 제20-0308684호
본 발명은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 메인 프레임 조립체, 리어 프레임 조립체, 윙바디 조립체가 개별적으로 모듈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각 구성들을 단순히 끼워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폐차 또는 유지 보수시 모듈화된 구성을 해체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측면과 친환경 측면에서 유리한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터 빔을 캠버(camber) 형상으로 형성하고 센터 빔의 양쪽에 댐퍼를 설치하여 윙바디 조립체의 개방시 센터 빔에 집중되는 하중(荷重)을 효과적으로 분산함으로써 센터 빔의 변형을 방지하며,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적재함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진동소음을 방지하는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양 측면으로 화물을 상, 하차하도록 구성된 적재함을 구비하는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은 적재함의 바닥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조립체; 상기 메인 프레임 조립체의 전방 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 상기 메인 프레임 조립체의 후방 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리어 프레임 조립체; 상기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와 상기 리어 프레임 조립체의 상부 센터에 상기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와 상기 리어 프레임 조립체를 연결하도록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하중을 분산시키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캠버(camber) 형상으로 형성되는 센터 빔 조립체; 상기 센터 빔 조립체의 양쪽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윙바디 조립체; 상기 윙바디 조립체를 개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윙바디 개폐용 실린더; 및 상기 메인 프레임 조립체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 게이트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프레임 조립체의 전방 측에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를 끼워 조립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 조립체의 후방 측에는 상기 리어 프레임 조립체를 끼워서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 조립체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차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하는 바닥 프레임; 및 상기 바닥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미들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의 내측 하부에 서포트 플레이트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양쪽 하부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일단부와 체결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이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면에 상기 미들 프레임의 일단부가 체결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일단부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일단부 안으로 상기 고정 브래킷의 일단부가 슬라이드 삽입되고,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리어 프레임 조립체의 내측 하부에는 서포트 플레이트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양쪽 하부에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타단부와 체결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이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미들 프레임의 타단부가 체결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타단부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타단부 안으로 상기 고정 브래킷의 일단부가 슬라이드 삽입되고,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와 상기 리어 프레임 조립체의 상단부 센터에는 상기 센터 빔 조립체의 양단부가 체결되기 위한 센터 빔 체결 블록이 설치된다.
상기 센터 빔 조립체는 수직으로 위치하는 박스형의 웨브와 상기 웨브의 상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상 하부 플랜지로 형성되어 "ㅍ" 자형 단면을 가지는 ㅅ센터 빔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플랜지에는 상기 윙바디 조립체의 회동을 위해서 힌지 브래킷이 볼트 체결된다.
상기 윙바디 조립체는 상기 센터 빔 조립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윙 어퍼 구조물; 상기 어퍼 구조물의 끝단 부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윙 사이드 구조물; 상기 윙 어퍼 구조물 및 상기 윙 사이드 구조물의 측면 테두리에 설치되는 "L" 자형 웨더 스트립; 및 상기 윙 어퍼 구조물과 상기 윙 사이드 구조물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브래킷을 구비한다.
상기 윙 사이드 구조물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내부에 결합 홈을 구비하는 한 쌍의 레일; 상기 레일의 결합홈 안에 양단부가 끼워져서 결합하는 다수의 내부 구조체; 및 상기 레일의 결합홈 안에 양단부가 끼워져서 결합하며, 상기 내부 구조체 사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 구조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보강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센터 빔의 양측에는 상기 윙바디 조립체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댐퍼가 설치된다.
상기 댐퍼는 상기 센터 빔의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댐퍼는 박스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플랜지에 접촉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전면에 부착되며 상기 윙 어퍼 구조물과의 접촉시 쿠션을 제공하는 쿠션 패드; 및 상기 바디의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수평으로 위치하며, 중간에 볼트 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에 볼트로 체결되며, 상기 힌지 브래킷에 가해지는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브래킷을 포함한다.
상기 윙바디 조립체 의해서 상기 힌지 브래킷에 가해지는 하중은 일차로 상기 탄성 브래킷에 의해서 감소하고, 이차로 상기 바디에 의해서 감소하도록 상기 볼트 홀에 체결되는 상기 볼트의 끝단은 상기 바디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 메인 프레임 조립체, 리어 프레임 조립체, 윙바디 조립체가 개별적으로 모듈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각 구성들을 단순히 끼워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폐차 또는 유지 보수시 모듈화된 구성들의 해체 작업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측면과 친환경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센터 빔을 캠버(camber) 형상으로 형성하고 센터 빔 안에 댐퍼가 설치되어 윙바디 조립체의 개방시 센터 빔에 집중되는 하중(荷重)을 효과적으로 분산함으로써, 적재함의 변형을 방지하며,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적재함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진동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적재함의 횡바디 조립체의 개방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에서 적재함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윙바디 조립체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윙바디 조립체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윙 어퍼 구조물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윙 사이드 구조물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8은 메인 프레임 조립체의 전방 측에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가 조립되고, 메인 프레임의 후방 측에 리어트 프레임 조립체가 조립되며, 센터 빔 조립체가 조립되는 것을 보인 우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메인 프레임 조립체와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의 모듈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메인 프레임 조립체와 리어 프레임 조립체의 모듈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3은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와 센터 빔 조립체의 체결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4는 센터 빔 조립체 및 그 센터 빔의 양측에 설치되는 댐퍼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센터 빔 조립체 및 댐퍼의 하중 분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6 및 도 17은 센터 빔 조립체 및 댐퍼의 하중 분산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18 및 도 19는 힌지 브래킷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0은 댐퍼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은 양 측면으로 화물을 상, 하차하도록 구성된 적재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적재함 이외의 다른 구성은 종래구성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적재함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은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 센터 빔 조립체(400), 윙바디 조립체(500),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 게이트 조립체(10), 및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 게이트 조립체(10), 윙바디 조립체(500)를 개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윙바디 개폐용 실린더(20)를 포함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의 외측 면에는 미관(美觀)을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가 설치된다. 커버는 얇은 철판으로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 센터 빔 조립체(400), 윙바디 조립체(500)를 모듈 형태로 구성하고, 그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의 전방 측에는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를 끼워서 조립하고,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의 후방 측에는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를 끼워서 조립하도록 구성되는 점에 있다. 여기서 모듈 형태 또는 모듈 결합이란 적재함의 각 구성인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 센터 빔 조립체(400), 윙바디 조립체(500)가 부품화 또는 단품화 되어, 이들 구성들이 종래와 같이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끼워져서 조립되고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윙바디 형 차량의 특성상, 윙바디 조립체(500)의 개방시에는 하중이 센터 빔 조립체(400)에 집중되기 때문에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차량 주행시 진동을 흡수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센터 빔 조립체(400)가 하중을 분산시키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캠버(camber) 형상으로 형성되는 점에 있다.
이하에서는 모듈 형태로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는 적재함의 바닥에 위치한다.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10), 차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10)에 결합하는 바닥 프레임(120), 및 바닥 프레임(1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차량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미들 프레임(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는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의 전방 측에 수직으로 조립된다.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는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의 후방 측에 수직으로 조립된다.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와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의 상단부 센터에는 센터 빔 조립체(400)의 양단부가 체결되기 위한 센터 빔 체결 블록(201)(301)이 설치된다. 센터 빔 체결 블록(201)(301)의 상면에는 쿠션 패드(202)(302)가 위치하며, 센터 빔 조립체(400)의 양단부가 쿠션 패드(202)(302)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 홀 안에 볼트(B)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센터 빔 체결 블록(201)(301)의 양쪽에는 윙바디 개폐용 실린더 장착 공간(203)(303)과 윙바디 개폐용 실린더 장착용 브래킷(204)(304)이 설치된다.
윙바디 조립체(500)의 폐쇄시, 윙바디 개폐용 실린더 장착 공간(202)(302) 안으로 윙바디 개폐용 실린더(20)가 눕혀져 위치하며, 윙바디 조립체(500)의 개방시 윙바디 개폐용 실린더(20)가 세워지게 되어 윙바디 조립체(500)의 개폐에 간섭을 주지 않게 된다.
윙바디 개폐용 실린더 장착용 브래킷(204)(304)은 윙바디 개폐용 실린더(20)가 장착되기 위한 구조물을 말한다.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는 사각 프레임(200a) 안에 2개의 철판 시트(200b)를 끼워 조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의 사각 프레임(200a) 내측 하부에는 서포트 플레이트(210)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된다.
서포트 플레이트(210)는 복수 개의 서포트(205)에 의해서 지지된다. 서포트 플레이트(210)의 양쪽 하부에는 사이드 프레임(110)의 일단부(111)와 체결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220)이 설치된다. 그 고정 브래킷(220)에는 가드 브래킷(230)이 설치될 수 있다. 서포트 플레이트(210)의 하면에는 미들 프레임(130)의 일단부(131)가 체결된다.
사이드 프레임(110)의 일단부(111)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 브래킷(220)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메인 프레임(100)과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사이드 프레임(110)의 일단부(111) 안으로 고정 브래킷(220)의 일단부(220a)가 슬라이드 삽입되고, 볼트(B)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의 내측 하부에는 서포트 플레이트(310)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된다. 서포트 플레이트(310)는 서포트(305)에 의해서 지지된다.
서포트 플레이트(310)의 양쪽 하부에는 사이드 프레임(110)의 타단부(112)와 체결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320)이 설치되고, 서포트 플레이트(320)의 하면에는 미들 프레임(130)의 타단부(132)가 체결된다.
사이드 프레임(110)의 타단부(112)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 브래킷(320)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메인 프레임(100)과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사이드 프레임(110)의 타단부(112) 안으로 고정 브래킷(320)의 일단부(320a)가 슬라이드 삽입되고, 볼트(B)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와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의 상부 센터에는 센터 빔(410)의 양단부가 고정된다.
센터 빔(410)은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와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를 연결하도록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하중을 분산시키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캠버(camber)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캠버란 센터 빔(410) 자체의 하중은 물론 윙바디 조립체(500)의 하중을 고려하여 상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져서 곡률을 갖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센터 빔 조립체(400)의 구성을 좀 더 살펴보면, 센터 빔 조립체(400)는 수직으로 위치하는 박스형의 웨브(411)와 웨브(411)의 상,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상, 하부 플랜지(412)(413)로 이루어지는 센터 빔(410)을 구비한다. 센터 빔(410)은 종단면으로 보면 "ㅍ" 자 형상을 갖는다.
상부 플랜지(412)에는 커버(420)가 위치하여 미관을 보호한다. 박스형의 웨브(411)는 폐 구조의 공간을 구비하여 센터 빔(410) 전체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고,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상부 플랜지(412)에는 윙바디 조립체(500)의 회동(회전)을 위해서 힌지 브래킷(430)이 볼트(B)로 체결된다.
힌지 브래킷(430)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여러 개가 배치되며,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누어 보면 플랫부(431)와 링부(432)로 구성될 수 있다.
힌지 브래킷(430)의 링부(432)와 상응하도록 후술하는 윙 어퍼 구조물(510)의 끝단에도 힌지 결합구조를 위한 링부(510a)가 형성된다. 링부(432)(510a) 안에는 힌지 축(433)이 결합 됨으로써, 윙바디 조립체(500)의 힌지 구조가 된다.
윙바디 조립체(500)는 전술한 힌지 브래킷(430)의 힌지 구조에 의해서 센터 빔(410)의 양쪽에 회동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윙바디 조립체(500)는 센터 빔(41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구조로 결합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윙 어퍼 구조물(510); 윙 어퍼 구조물(510)의 끝단 부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윙 사이드 구조물(520), 윙 어퍼 구조물(520) 및 윙 사이드 구조물(520)의 측면 테두리에 설치되는 "L" 자형 웨더 스트립(530), 및 윙 어퍼 구조물(510)과 윙 사이드 구조물(52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브래킷(540)을 구비한다.
체결 브래킷(540)은 윙 어퍼 구조물(510)과 윙 사이드 구조물(520)을 수직방향으로 결합하고 고정하는 연결 구조물로서 볼트(B)에 의해서 고정된다.
윙 어퍼 구조물(510)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내부에 결합 홈(512)을 구비하는 한 쌍의 레일(511), 레일(511)의 결합홈(512) 안에 양단부가 끼워져서 결합하며 탄력적으로 볼트(B)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보강 리브(514), 외측을 커버링하는 커버(513)를 포함한다. 레일(511)의 끝단에는 엔드 플레이트(514)가 끼워져 조립된다. 엔드 플레이트(514) 안에는 "L" 자형 웨더 스트립(530)의 상단부가 끼워진다.
윙 사이드 구조물(520)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내부에 결합 홈(522)을 구비하는 한 쌍의 레일(521), 레일(521)의 결합홈(522) 안에 양단부가 끼워져서 결합하는 다수의 내부 구조체(523), 및 레일(521)의 결합홈(522) 안에 양단부가 끼워져서 결합하며, 내부 구조체(523) 사이에 위치하여 내부 구조체(52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볼트(B)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보강 리브(524)를 포함한다. 윙 사이드 구조물(520)은 끝단에 설치되는 엔드 플레이트(525)와,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모서리 마감재(526)를 구비한다.
여기서 내부 구조체(523)는 격자형 구조 또는 리브 구조 또는 허니 컴 구조로 구성되어 경량이면서도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터 빔(410)의 양측에는 윙바디 조립체(500)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댐퍼(600)가 설치될 수 있다. 댐퍼(600)는 센터 빔(410)의 상부 플랜지(412)와 하부 플랜지(413) 사이 공간에 설치된다.
댐퍼(600)는 박스형상을 가지며, 하부 플랜지(413)에 접촉하는 바디(610), 바디(610)의 전면에 부착되며 윙 어퍼 구조물(510)과의 접촉시 쿠션을 제공하는 쿠션 패드(620), 및 바디(610)의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수평으로 위치하는 탄성 브래킷(630)을 포함한다.
탄성 브래킷(630)은 중간에 볼트 홀(630a)이 형성되어 상부 플랜지(412)에 볼트(B)로 체결되며, 힌지 브래킷(430)에 가해지는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윙바디 조립체(500) 의해서 힌지 브래킷(430)에 가해지는 하중은 일차로 탄성 브래킷(630)에 의해서 감소하고, 이차로 바디(610)에 의해서 감소하도록 볼트 홀(630a)에 체결되는 볼트(B)의 끝단은 바디(61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하부 플랜지(413)는 상부 플랜지(412)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폭이 작다. 하부 플랜지(413)의 폭은 상부 플랜지(412)의 2/3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댐퍼(600)가 윙바디 조립체(500)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윙바디 조립체(500)의 하중을 좀 더 효율적으로 분산하며, 쿠션 패드(620)와 윙 어퍼 구조물(510)의 접촉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에서의 적재함의 조립, 윙바디 조립체의 개폐와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적재함 조립은,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 센터 빔 조립체(400), 윙바디 조립체(500)를 모듈 형태로 구성하고, 그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의 전방 측에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를 끼워서 조립하고,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의 후방 측에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를 끼워서 조립한 후 볼트(B)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즉,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와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를 조립하기 위하여, 사이드 프레임(110)의 일단부(111) 안으로 고정 브래킷(220)의 일단부(220a)를 슬라이드 삽입하고, 볼트(B)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서포트 플레이트(210)는 복수 개의 서포트(205)에 의해서 지지 된다. 서포트 플레이트(210)의 하면에는 미들 프레임(130)의 일단부(131)를 볼트로 체결한다.
그 다음,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와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를 조립하기 위하여, 사이드 프레임(110)의 타단부(112) 안으로 고정 브래킷(320)의 타단부(320a)를 슬라이드 삽입하고, 볼트(B)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서포트 플레이트(310)는 서포트(305)에 의해서 지지 된다. 서포트 플레이트(320)의 하면에는 미들 프레임(130)의 타단부(132)를 볼트로 체결한다.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와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의 상부 센터에는 센터 빔(410)의 양단부를 볼트(B)로 고정한다. 센터 빔(410)은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와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한다.
조립 전 센터 빔(410)은 하중을 분산시키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캠버(camber)에 의해서 큰 곡률을 갖지만, 조립 후 센터 빔(410) 자체 하중과 윙바디 조립체(500)의 하중에 의해서 센터 빔(410) 중간 부분이 하방으로 처지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센터 빔(410)을 캠버(camber) 형상으로 형성하고 센터 빔(410) 안에 댐퍼(600)가 설치되어 윙바디 조립체(500)의 개방시 센터 빔(410)에 집중되는 하중(荷重)을 효과적으로 분산함으로써, 적재함의 변형을 방지하며,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0: 사이드 게이트 조립체
20: 윙바디 개폐용 실린더
100: 메인 프레임 조립체
110: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111: 사이드 프레임의 일단부
112: 사이드 프레임의 타단부
120: 바닥 프레임
130: 미들 프레임
131: 미들 프레임의 일단부
132; 미들 프레임의 타단부
200: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
200a: 사각 프레임
200b: 철판 시트
205: 서포트
210: 서포트 플레이트
201, 301: 센터 빔 체결 블록
202, 302: 쿠션 패드
204, 304: 윙바디 개폐용 실린더 장착용 브래킷
200: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
210: 서포트 플레이트
220: 고정 브래킷
220a: 고정 브래킷의 일단부
230: 가드 브래킷
300: 리어 프레임 조립체
305: 서포트
320: 고정 브래킷
400: 센터 빔 조립체
411: 박스형의 웨브
412, 413: 상, 하부 플랜지
430: 힌지 브래킷
431: 플랫부
432: 링부
500: 윙바디 조립체
510a: 링부
510: 윙 어퍼 구조물
511: 한 쌍의 레일
512: 결합홈
513: 커버
514: 보강 리브
520: 윙 어퍼 구조물
521: 한 쌍의 레일
522: 결합홈
523: 내부 구조체
524: 보강 리브
525: 엔드 플레이트
526: 모서리 마감재
530: "L" 자형 웨더 스트립
540: 체결 브래킷
600: 댐퍼
610: 바디
620: 쿠션 패드
630: 탄성 브래킷
630a: 볼트 홀
B: 볼트

Claims (15)

  1. 양 측면으로 화물을 상, 하차하도록 구성된 적재함을 구비하는 윙바디 화물차량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
    상기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의 전방 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
    상기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의 후방 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
    상기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와 상기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의 상부 센터에 상기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와 상기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를 연결하도록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하중을 분산시키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캠버(camber) 형상으로 형성되는 센터 빔 조립체(400);
    상기 센터 빔 조립체(400)의 양쪽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윙바디 조립체(500); 및
    상기 윙바디 조립체(500)를 개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윙바디 개폐용 실린더(20);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의 전방 측에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를 끼워 조립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의 후방 측에는 상기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를 끼워 조립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10);
    차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00)에 결합하는 바닥 프레임(120); 및
    상기 바닥 프레임(1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미들 프레임(130)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의 내측 하부에 서포트 플레이트(210)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10)의 양쪽 하부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의 일단부(111)와 체결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220)이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10)의 하면에 상기 미들 프레임(130)의 일단부(131)가 체결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의 일단부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220)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의 일단부(111) 안으로 상기 고정 브래킷(220)의 일단부(220a)가 슬라이드 삽입되고, 볼트(B)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조립체(100)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 게이트 조립체(10)를 더 포함하는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의 내측 하부에는 서포트 플레이트(310)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10)의 양쪽 하부에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의 타단부(112)와 체결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320)이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10)의 하면에는 상기 미들 프레임(130)의 타단부(132)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의 타단부(112)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320)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의 타단부(112) 안으로 상기 고정 브래킷(320)의 일단부(320a)가 슬라이드 삽입되고, 볼트(B)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200)와 상기 리어 프레임 조립체(300)의 상단부 센터에는 상기 센터 빔 조립체(400)의 양단부가 체결되기 위한 센터 빔 체결 블록(201,30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 빔 조립체(400)는
    수직으로 위치하는 박스형의 웨브(411)와 상기 웨브(411)의 상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상, 하부 플랜지(412,413)로 형성되어 "ㅍ" 자형 단면을 가지는 센터 빔(410)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플랜지(412)에는 상기 윙바디 조립체(500)의 회동을 위해서 힌지 브래킷(430)이 볼트(B)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윙바디 조립체(500)는
    상기 센터 빔 조립체(40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윙 어퍼 구조물(510);
    상기 어퍼 구조물(510)의 끝단부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윙 사이드 구조물(520);
    상기 윙 어퍼 구조물(510) 및 상기 윙 사이드 구조물(520)의 측면 테두리에 설치되는 "L" 자형 웨더 스트립(530); 및
    상기 윙 어퍼 구조물(510)과 상기 윙 사이드 구조물(52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브래킷(540)을 구비하는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윙 사이드 구조물(520)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내부에 결합 홈(522)을 구비하는 한 쌍의 레일(521);
    상기 레일(521)의 결합홈(522) 안에 양단부가 끼워져서 결합하는 다수의 내부 구조체(523); 및
    상기 레일(521)의 결합홈(522) 안에 양단부가 끼워져서 결합하며, 상기 내부 구조체(52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 구조체(52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볼트(B) 체결되어 고정되는 보강 리브(524)를 포함하는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센터 빔(410)의 양측에는 상기 윙바디 조립체(500)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댐퍼(6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댐퍼(600)는 상기 센터 빔(410)의 상기 상부 플랜지(412)와 상기 하부 플랜지(413)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댐퍼(600)는
    박스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플랜지(413)에 접촉하는 바디(610);
    상기 바디(610)의 전면에 부착되며 상기 윙 어퍼 구조물(510)과의 접촉시 쿠션을 제공하는 쿠션 패드(620); 및
    상기 바디(610)의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수평으로 위치하며, 중간에 볼트 홀(630a)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412)에 볼트(B)로 체결되며, 상기 힌지 브래킷(430)에 가해지는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브래킷(630)을 포함하는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윙바디 조립체(500) 의해서 상기 힌지 브래킷(430)에 가해지는 하중은 일차로 상기 탄성 브래킷(630)에 의해서 감소하고, 이차로 상기 바디(610)에 의해서 감소하도록 상기 볼트 홀(630a)에 체결되는 상기 볼트(B)의 끝단은 상기 바디(61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KR1020150189437A 2015-12-30 2015-12-30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KR101618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437A KR101618727B1 (ko) 2015-12-30 2015-12-30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437A KR101618727B1 (ko) 2015-12-30 2015-12-30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727B1 true KR101618727B1 (ko) 2016-05-09

Family

ID=5602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437A KR101618727B1 (ko) 2015-12-30 2015-12-30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7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302B1 (ko) 2017-12-13 2019-05-10 주식회사 골드밴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
KR20210076307A (ko) * 2019-12-13 2021-06-24 한국차체 주식회사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944B1 (ko) * 2013-09-02 2014-09-25 주식회사 월드비젼코리아 푸셔액슬 시스템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믹서 트럭
KR101568285B1 (ko) * 2014-03-13 2015-11-11 한국차체 주식회사 화물차용 적재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944B1 (ko) * 2013-09-02 2014-09-25 주식회사 월드비젼코리아 푸셔액슬 시스템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믹서 트럭
KR101568285B1 (ko) * 2014-03-13 2015-11-11 한국차체 주식회사 화물차용 적재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302B1 (ko) 2017-12-13 2019-05-10 주식회사 골드밴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
KR20210076307A (ko) * 2019-12-13 2021-06-24 한국차체 주식회사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
KR102297339B1 (ko) * 2019-12-13 2021-09-06 한국차체(주)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731B1 (ko)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조립구조
US9499203B1 (en) Composite under body structure
US8376439B2 (en) Paneled deck assembly for transporter vehicle
US8256825B1 (en) Vehicle body structure
MXPA04001879A (es) Sistema de montaje de un panel de carroceria de un vehiculo.
US8496286B1 (en) Aerodynamic sidewall post for a trailer
US6742832B1 (en) Vehicle bed assembly and a method for making a vehicle bed assembly
US2827115A (en) Upwardly acting door assembly and sections therefor
KR101618727B1 (ko)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US20240101197A1 (en) Raceway for commerical cargo body
US20180257709A1 (en) Frame-to-bed assembly
US2114344A (en) Vehicle door and sill construction
KR101627751B1 (ko)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하중 분산장치
KR101627220B1 (ko) 적재함 하중분산 구조 및 그 구조를 구비하는 모듈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JP6089382B2 (ja) トラックのリヤ構造
WO2016076045A1 (ja) 車両用リヤゲート
JP4198821B2 (ja) ウイング車両の荷箱構造
US20060119135A1 (en) Tower structure supporting bed on frame
KR200372907Y1 (ko) 화물차용 윙 바디장치
WO2023189646A1 (ja) 車両の荷箱
JP5337682B2 (ja) 運搬車両用荷台の床構造
JP2552709Y2 (ja) ウイング車の床構造
KR101355379B1 (ko) 강도 보강형 체결 브라켓이 구비된 차량 루프설치용 텐트
KR102167580B1 (ko) 차량용 화물 적재함
KR102036441B1 (ko) 윙바디 특장차용 적재함 기초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