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339B1 -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 - Google Patents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339B1
KR102297339B1 KR1020190167234A KR20190167234A KR102297339B1 KR 102297339 B1 KR102297339 B1 KR 102297339B1 KR 1020190167234 A KR1020190167234 A KR 1020190167234A KR 20190167234 A KR20190167234 A KR 20190167234A KR 102297339 B1 KR102297339 B1 KR 102297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enter
frame
couple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307A (ko
Inventor
박해영
이주영
장창호
전종민
Original Assignee
한국차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차체(주) filed Critical 한국차체(주)
Priority to KR1020190167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3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6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built up with flat self-supporting panels; Fixed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바닥부와, 바닥부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패널부와, 패널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센터부와, 센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패널부 사이 공간을 개폐하는 사이드덮개부를 포함하고, 이들 구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경량화가 가능하고,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LIGHTWEIGHT CARGO BOX FOR COMMERCIAL VEHICLE}
본 발명은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등을 사용하여 적재함을 제조하므로 종래 대비 중량이 절감되며 용접에 의한 변형과 조립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용차로 사용되는 중소형 트럭의 적재함은 상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적재함의 바닥은 목재를 포함하는 바닥부가 사용된다. 바닥부의 하측은 격자 형상의 구조를 갖는 프레임이 설치되어 바닥부의 하부를 지지한다.
종래의 프레임은 철을 포함하므로 녹이 발생하기 쉬우며, 용접을 이용하여 각 부재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용접변형 및 조립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51420호(1998. 10. 07. 공개, 고안의 명칭 : 상용 적재함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알루미늄 등을 사용하여 적재함을 제조하므로 종래 대비 중량이 절감되며 용접에 의한 변형과 조립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은: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센터부; 및 상기 센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패널부 사이 공간을 개폐하는 사이드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와, 상기 패널부와, 상기 센터부와, 상기 사이드덮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패널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바닥장지지부; 상기 바닥장지지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닥장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바닥장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바닥단지지부; 상기 바닥단지지부의 단부와 결합되는 바닥사이드부; 및 상기 바닥단지지부에 안착되는 바닥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단지지부는 상기 바닥판부를 지지하는 단지지상판부; 상기 단지지상판부에서 연장되는 단지지연장부; 상기 단지지연장부에서 분기되고 경사를 갖는 단지지경사부; 상기 단지지경사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마주보는 단지지대칭부; 상기 단지지대칭부를 연결하는 단지지이음부; 상기 단지지대칭부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단지지돌출부; 및 상기 단지지이음부와 상기 단지지돌출부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바닥장지지부 또는 상기 바닥사이드부와 결합되는 단지지블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부는 상기 바닥부와 결합되는 패널프레임부; 상기 패널프레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패널차폐판부; 및 상기 패널프레임부와 상기 패널차폐판부에 결합되고, 상기 패널차폐판부를 고정하는 패널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프레임부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프레임통공부; 상기 프레임통공부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조립부; 상기 프레임조립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프레임블록부; 및 상기 프레임통공부 또는 상기 프레임조립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패널차폐판부가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프레임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부는 센터레일부; 상기 센터레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패널부와 결합되는 센터고정부; 및 상기 센터레일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사이드덮개부와 결합되는 센터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레일부는 하나 이상의 레일고정조립부; 상기 레일고정조립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레일힌지조립부; 및 상기 레일고정조립부와 상기 레일힌지조립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센터고정부 또는 상기 센터힌지부와 결합되는 레일블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은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므로 경량화가 가능하고, 볼트 결합을 통해 용접변형 방지하고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단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프레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레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1)은 바닥부(10)와, 패널부(20)와, 센터부(30)와, 사이드덮개부(40)를 포함한다.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경량 적재함 제작이 가능하다. 한편,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므로, 용접이 아닌 조립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바닥부(10)는 적재함의 하부에 해당하며, 상용차에 결합되어 적재물이 안착될 수 있다.
패널부(20)는 바닥부(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패널부(20)는 적재함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해당된다.이때, 패널부(20) 중 일부는 회전 가능하여 적재함의 후면부를 개폐할 수 있다.
센터부(30)는 적재함의 상부 뼈대를 형성하도록 패널부(20)의 상단부에 양단부가 결합된다. 그리고, 사이드덮개부(40)는 센터부(3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패널부(20) 사이 적재함의 측면 공간을 개폐한다. 이러한 사이드덮개부(40)가 개방되면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적재함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닥부(10)는 바닥장지지부(11)와, 바닥단지지부(12)와, 바닥사이드부(13)와, 바닥판부(14)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바닥장지지부(11)는 패널부(20)에 결합된다. 일예로, 바닥장지지부(11)는 상용차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바닥장지지부(11)는 디귿자(ㄷ)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용차에 결합될 수 있다.
바닥단지지부(12)는 바닥장지지부(11)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바닥장지지부(11)와 결합되고, 바닥장지지부(1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일예로, 바닥단지지부(12)는 바닥장지지부(11)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바닥사이드부(13)는 바닥단지지부(12)의 단부와 결합된다. 일예로, 바닥사이드부(13)는 디귿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바닥단지지부(1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바닥판부(14)는 바닥단지지부(12)에 안착된다. 일예로 바닥판부(14)는 적재함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바닥단지지부(12)의 상측에 연이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단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단지지부(12)는 단지지상판부(121)와, 단지지연장부(122)와, 단지지경사부(123)와, 단지지대칭부(124)와, 단지지이음부(125)와, 단지지돌출부(126)와, 단지지블록부(127)를 포함한다.
단지지상판부(121)는 바닥판부(14)를 지지한다. 일예로, 단지지상판부(121)는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바닥판부(14)가 안착될 수 있다. 단지지상판부(121)에는 조립홀이 형성되어 바닥판부(14)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단지지상판부(121)의 측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단지지연장부(122)는 단지지상판부(121)에서 연장된다. 일예로, 단지지연장부(122)는 단지지상판부(121)의 중앙부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단지지경사부(123)는 단지지연장부(122)에서 분기되고 경사를 갖는다. 일예로, 단지지경사부(123)의 좌우 폭은 단지상판부(121)의 좌우 폭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단지지대칭부(124)는 단지지경사부(123)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서로 마주본다. 일예로, 단지지상판부(12)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단지지이음부(125)는 단지지대칭부(124)를 연결하여 강성을 유지시키고, 단지지돌출부(126)는 단지지대칭부(124)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다. 일예로, 단지지이음부(125))와 단지지돌출부(126)는 단지지돌기부(128)가 형성되어 강성을 유지하고 삽입되는 단지지블록부(127)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단지지블록부(127)는 단지지이음부(125)와 단지지돌출부(126)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바닥장지지부(11) 또는 바닥사이드부(13)와 결합된다. 일예로, 단지지블록부(127)는 단지지이음부(125)와 단지지돌출부(126) 사이에 삽입되고 저면이 바닥장지지부(11)와 맞닿은 상태에서 볼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단지지블록부(127)는 단지지이음부(125)와 단지지돌출부(126)의 단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바닥사이드부(13)와 맞닿은 상태에서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20)는 패널프레임부(21)와, 패널차폐판부(22)와, 패널고정부(23)를 포함한다.
패널프레임부(21)는 바닥부(10)와 결합된다. 일예로, 패널프레임부(21)는 바닥사이드부(13)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패널프레임부(21) 사이에 배치되고 패널차폐판부(22)를 지지하는 패널지지부(24)는 바닥장지지부(11)의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패널차폐판부(22)는 패널프레임부(2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일예로, 패널차폐판부(22)는 패널프레임부(21)에 삽입되어 상하로 연이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널차폐판부(22)는 손상되면 손쉽게 교체 가능하다.
패널고정부(23)는 패널프레임부(21)와 패널차폐판부(22)에 결합되고, 패널차폐판부(22)를 고정한다. 일예로, 패널고정부(23)는 단면이 기역자(ㄱ) 형상을 하되, 일부는 패널프레임부(21)와 접촉되어 볼트 결합되고, 나머지는 패널차폐판부(22)와 접촉되어 각각의 패널차폐판부(22)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프레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프레임부(21)는 프레임통공부(211)와, 프레임조립부(212)와, 프레임블록부(213)와, 프레임삽입부(214)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프레임통공부(211)에는 관통홀부(2111)가 형성된다. 일예로, 프레임통공부(211)는 3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단면이 사각띠 형상을 하여 중앙부에 관통홀부(2111)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조립부(212)는 프레임통공부(211) 사이에 배치되고, 프레임통공부(211)를 연결한다. 즉, 프레임통공부(211)와, 프레임조립부(212)는 일체로 형성되되 서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프레임조립부(212)는 단면이 사각띠 형상을 하여 조립홀부(2129)가 형성되는 조립사각부(2121)와, 조립사각부(2121)와 병렬 연결되고, 일측이 개구된 조립삽입부(2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립삽입부(2122)는 단지지대칭부(124)와, 단지지이음부(125)와, 단지지돌출부(126)로 연결된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프레임블록부(213)는 프레임조립부(2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프레임삽입부(214)는 프레임통공부(211) 또는 프레임조립부(212)에서 연장되고, 패널차폐판부(22)가 삽입되도록 유도한다. 일예로, 프레임삽입부(214)는 프레임조립부(212)에서 연장되는 제1삽입부(2141)와, 제1삽입부(2141)에서 절곡되어 프레임조립부(212)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삽입부(2142)를 포함하고, 프레임조립부(212)와 제2삽입부(2142) 사이 공간으로 패널차폐판부(22)가 삽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부(30)는 센터레일부(31)와, 센터고정부(32)와, 센터힌지부(33)를 포함한다.
센터레일부(31)는 적재함의 상부 중앙에 배치된다. 일예로, 센터레일부(31)는 적재함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센터고정부(32)는 센터레일부(31)를 지지하고, 패널부(20)와 결합된다. 일예로, 센터고정부(32)는 패널부(20)에 결합되는 고정패널부(321)와, 고정패널부(3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절곡되어 센터레일부(31)의 저면을 지지하는 고정센터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센터부(322)는 센터레일부(31)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그 외, 고정지지부(323)는 고정센터부(322)에 결합되어 절곡된 고정센터부(322)를 지지하여 센터레일부(3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센터힌지부(33)는 센터레일부(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사이드덮개부(40)와 결합된다. 일예로, 센터힌지부(33)는 힌지 형상을 하고, 센터레일부(3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센터레일부(31)와 사이드덮개부(4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레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레일부(31)는 레일고정조립부(311)와, 레일힌지조립부(312)와, 레일블록부(313)를 포함한다.
레일고정조립부(311)는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복수개가 연이어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레일고정조립부(311)는 프레임조립부(212)와 대응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레일힌지조립부(312)는 레일고정조립부(31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일예로, 레일힌지조립부(312)는 조립삽입부(2122)와 대응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레일블록부(313)는 레일고정조립부(311)와 레일힌지조립부(3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센터고정부(32) 또는 센터힌지부(33)와 결합된다. 일예로, 레일블록부(313)는 단지지블록부(127)와 대응되는 형상을 하고, 레일고정조립부(311)에 삽입되어 센터고정부(32)와 볼트 결합되며 레일힌지조립부(312)에 삽입되어 센터힌지부(33)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닥장지지부(11)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바닥단지지부(12)를 배치하여 볼트 결합하고, 바닥단지지부(12)의 상측에는 바닥판부(13)를 안착시켜 볼트 결합한다. 이때 바닥장지지부(11)의 단부와, 바닥단지지부(12)의 단부와 결합되는 바닥사이드부(13)는 패널부(20)와 결합된다.
한편, 한 쌍으로 이루어진 패널프레임부(21)가 서로 이격되고, 패널프레임부(21) 사이로 패널차폐판부(22)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적층된다. 이러한 패널차폐판부(22)는 손상 발생시 개별 교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센터레일부(31)에 볼트 결합되는 센터고정부(32)는 패널부(20)와 볼트 결합되고, 센터레일부(3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볼트 결합되는 센터힌지부(33)는 사이드덮개부(40)와 볼트 결합되어 사이드덮개부(40)의 회전을 유도한다.
즉, 상기한 구성은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된 바닥부(10)와, 패널부(20)와, 센터부(30)와, 사이드덮개부(40)가 경량화를 도모하고, 소재의 특성상 용접이 아닌 볼트 결합을 통해 부품간의 결합력을 유지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은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므로 경량화가 가능하고, 볼트 결합을 통해 용접변형 방지하고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바닥부 11 : 바닥장지지부
12 : 바닥단지지부 13 : 바닥사이드부
14 : 바닥판부 20 : 패널부
21 : 패널프레임부 22 : 패널차폐판부
23 : 패널고정부 24 : 패널지지부
30 : 센터부 31 : 센터레일부
32 : 센터고정부 33 : 센터힌지부
40 : 사이드덮개부

Claims (7)

  1.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센터부; 및
    상기 센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패널부 사이 공간을 개폐하는 사이드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와, 상기 패널부와, 상기 센터부와, 상기 사이드덮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부는
    센터레일부;
    상기 센터레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패널부와 결합되는 센터고정부; 및
    상기 센터레일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사이드덮개부와 결합되는 센터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레일부는
    하나 이상의 레일고정조립부;
    상기 레일고정조립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레일힌지조립부; 및
    상기 레일고정조립부와 상기 레일힌지조립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센터고정부 또는 상기 센터힌지부와 결합되는 레일블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패널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바닥장지지부;
    상기 바닥장지지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닥장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바닥장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바닥단지지부;
    상기 바닥단지지부의 단부와 결합되는 바닥사이드부; 및
    상기 바닥단지지부에 안착되는 바닥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단지지부는
    상기 바닥판부를 지지하는 단지지상판부;
    상기 단지지상판부에서 연장되는 단지지연장부;
    상기 단지지연장부에서 분기되고 경사를 갖는 단지지경사부;
    상기 단지지경사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마주보는 단지지대칭부;
    상기 단지지대칭부를 연결하는 단지지이음부;
    상기 단지지대칭부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단지지돌출부; 및
    상기 단지지이음부와 상기 단지지돌출부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바닥장지지부 또는 상기 바닥사이드부와 결합되는 단지지블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상기 바닥부와 결합되는 패널프레임부;
    상기 패널프레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패널차폐판부; 및
    상기 패널프레임부와 상기 패널차폐판부에 결합되고, 상기 패널차폐판부를 고정하는 패널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프레임부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프레임통공부;
    상기 프레임통공부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조립부;
    상기 프레임조립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프레임블록부; 및
    상기 프레임통공부 또는 상기 프레임조립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패널차폐판부가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프레임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
  6. 삭제
  7. 삭제
KR1020190167234A 2019-12-13 2019-12-13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 KR102297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234A KR102297339B1 (ko) 2019-12-13 2019-12-13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234A KR102297339B1 (ko) 2019-12-13 2019-12-13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307A KR20210076307A (ko) 2021-06-24
KR102297339B1 true KR102297339B1 (ko) 2021-09-06

Family

ID=7660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234A KR102297339B1 (ko) 2019-12-13 2019-12-13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3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727B1 (ko) * 2015-12-30 2016-05-09 (주)원일하이텍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3840A (ja) * 1996-01-22 1997-07-29 Imaizumi Jikou:Kk ウィング荷台付トラック及びそのフロントフレーム並びにそのリアーフレーム
KR102047536B1 (ko) * 2018-04-26 2019-11-21 한국차체(주) 상용차용 적재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727B1 (ko) * 2015-12-30 2016-05-09 (주)원일하이텍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307A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42973B (zh) 车身后部构造
CN108068602B (zh) 车身的电池支撑结构
US8328272B2 (en) Lower structure of vehicle body rear portion
CN100478234C (zh) 车身后部结构
US8919869B2 (en) Vehicle rear body structure
KR102297339B1 (ko) 상용차용 윙바디 경량 적재함
US3163463A (en) Dump body with radius side plates
KR101990102B1 (ko) 윙바디 적재함 하중분산지지유닛
KR101734580B1 (ko) 자동차용 센터필러 패널
CN106240648A (zh) 车辆前部结构
JP2013184503A (ja) ルーフサイドレールとルーフパネルの接合構造
KR101530040B1 (ko) 트럭 적재함의 플로어패널
GB2490392A (en) Diagonally reinforced motor vehicle floor structure
EP2915771B1 (en) Forklift head-guard structure
KR20040077468A (ko) 프론트 바디 구조
KR101618727B1 (ko)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
CN103140380B (zh) 用于车辆驾驶室的车顶搁架
CN203248927U (zh) 框架及包含该框架的发动机罩组件和机器
CN105966470A (zh) 一种发动机舱纵梁与前地板纵梁的连接结构和汽车
US20200238802A1 (en) Vehicle doors including torsion bar support assemblies
CN106945733B (zh) 汽车货箱和自卸汽车
CN216232548U (zh) 一种电动矿用车的车架结构
KR102158518B1 (ko) 화물차 적재함의 적재용량 증설을 위한 적재함 연장 조립체
CN205706870U (zh) 变速器安装横梁
CN217712638U (zh) 伸缩梁和液压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