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750B1 -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 Google Patents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750B1
KR100801750B1 KR1020070074998A KR20070074998A KR100801750B1 KR 100801750 B1 KR100801750 B1 KR 100801750B1 KR 1020070074998 A KR1020070074998 A KR 1020070074998A KR 20070074998 A KR20070074998 A KR 20070074998A KR 100801750 B1 KR100801750 B1 KR 100801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frame
hinge
shap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한웅
Original Assignee
동양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윙 바디에 있어서,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그 단면이 직사각형태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힌지축이 형성되며, 내부의 저면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보강대가 형성되는 윙 프레임과;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일단이 상기 윙 프레임의 힌지축과 결합되고, 타단에 윙이 결합되어 상기 윙 프레임에서 회전되어 상기 윙을 회전시키는 힌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윙 프레임의 상면 양단에 길이 방향으로 힌지축을 각각 형성하고, 힌지축에 결합되어 윙을 회전시키는 힌지 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윙 바디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켜 메인 프레임 및 윙이 파손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빗물이 스며들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윙 바디 내부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윙 바디, 윙, 프레임, 힌지, 방수

Description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WING OPEN/CLOSING STRUCTURE OF WING BODY}
본 발명은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윙 프레임의 상면 양단에 길이 방향으로 힌지축을 각각 형성하고, 힌지축에 결합되어 윙을 회전시키는 힌지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하는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를 이용한 물류 이동의 경우 물류이송에 있어서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화물차는 적재함이 개방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자에는 물품의 고급화와 정밀화, 고부가가치화 되면서 화물의 이송중에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아 제품의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과, 운반중 도난의 문제점, 외부환경에 따른 제품의 손상, 이송중 낙하방지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적재함을 밀폐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의 덮개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윙 바디가 제공되고 있으며, 윙 바디(WING BODY)는 커다란 새의 날개처럼 측면문을 열어 적재·하역하는 것으로, 뛰어난 작업효율, 간편한 조작, 월등한 적재능력 등을 갖춘 장치이다.
즉, 상기 윙 바디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기상조건에 관계없이 화물운송이 가능하여 수송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로프 및 덮개작업이 불필요하여 적재하역 작업의 안전성을 높인 것이고, 또한 전동유압시스템 모터와 유압펌프가 일체로 구성된 전동유압 파워팩을 적용한 윙 바디는 버튼 하나로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체크밸브를 장착하여 혼자서도 쉽게 측면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종래의 윙 바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의 양측으로 2개의 윙(W,W')이 유압실린더(80,80')에 의해 개폐되게 구성되고 상기한 윙(W,W')은 사각파이프(Steel square pipe)를 격자형으로 용접시킨 바디 프레임(81,81')의 외측으로 박판의 알루미늄패널(82,82')을 여러장 재단하여 연속적으로 리벳팅시켜 부착하고 알루미늄 패널(82,82')을 내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틸 포스트(Steel post)로 보강시키고 그 내측에 합판을 부착하여 내장작업으로 윙바디를 제작하였다.
상기한 종래의 윙바디는 윙(W,W')을 지지하는 기본 골조인 사각파이프를 격자형태로 다수의 용접포인트를 용접작업에 의해 바디 프레임(81,81')을 제작하기 때문에 용접작업에 따른 작업공수가 많아지고 자체 중량이 증가되어 유압실린더(80,80')로 개폐작동 시 유압장치에 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바디 프레임(81,81')의 외측으로 여러장으로 재단된 알루미늄패널(82,82')을 사각파이프에 리벳팅할 때 박판의 알루미늄 패널(82,82')이 찌그러지거나 울지 않게 부착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숙련공이 필요하고 장시간 사용 시 리벳팅한 부위가 부식하고 차량운행에 따른 진동으로 부식부위가 파열되어 우천 또는 강설 시에는 누수로 인한 화물이 손상되는 단점과 유지보수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윙바디 트럭의 덮개방수구조(국내실용신안등록 20-0346112호, 2004.03.15)가 개발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윙바디 트럭의 덮개방수구조는 천정 프레임(2) 양측에 개폐가능케 연결 설치되는 양 덮개(4,6) 단부에 고정바(8,10)를 부착 고정하고, 상기 고정바(8,10)에 방수지(12)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윙바디 트럭의 덮개방수구조는 방수지를 결합하는 구조상 제작 시간이 많이 소비되고, 방수지가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장시간 사용시 방수지가 손상되게 되고, 이를 수리할 때 전체 방수지를 모두 제거해야 하고, 재 시공해야하는 등 유지보수가 어려운 등의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윙 프레임의 상면 양단에 길이 방향으로 힌지축을 각각 형성하고, 힌지축에 결합되어 윙을 회전시키는 힌지 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윙 바디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켜 메인 프레임 및 윙이 파손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윙 프레임의 상면 양단에 길이 방향으로 힌지축을 각각 형성하고, 힌지축에 결합되어 윙을 회전시키는 힌지 프레임을 형성하여 빗물이 스며들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별도의 방수지를 필요치 않고, 윙 바디 내부로 빗 물이 스며드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도록 하는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윙 바디에 있어서,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그 단면이 직사각형태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힌지축이 형성되며, 내부의 저면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보강대가 형성되는 윙 프레임과;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일단이 상기 윙 프레임의 힌지축과 결합되고, 타단에 윙이 결합되어 상기 윙 프레임에서 회전되어 상기 윙을 회전시키는 힌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윙 프레임의 힌지축은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윙 프레임의 상면 테두리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내측면 및 외측면의 모서리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지지대와;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을 구비하도록 "8"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끝단 저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힌지 프레임은 상기 윙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ㄱ"자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에 상기 윙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 1걸림턱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힌지축의 지지대와 회전 가이드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가이드를 따라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고리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걸고리는 상기 회전 가이드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 입되고, 회전시 상기 회전 가이드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 2걸림턱이 더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윙은 그 끝단에 상기 제 2걸림턱과 결합되도록 돌출턱이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윙 바디에 있어서,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그 단면이 직사각형태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양단에 수직으로 지지대와 양측면에 지지턱이 돌출 형성되며, 내부의 저면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보강대가 형성되는 윙 프레임과;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윙 프레임의 양측면에서 체결되어 상기 윙 프레임의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되, 내측면 및 외측면의 모서리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을 구비하도록 "8"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끝단 저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를 구비하는 힌지축과;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일단이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고, 타단에 윙이 결합되어 상기 힌지 프레임에서 회전되어 상기 윙을 회전시키는 힌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힌지 프레임은 상기 윙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에 상기 윙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 1걸림턱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힌지축의 지지대와 회전 가이드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가이드를 따라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고리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걸고리는 상기 회전 가이드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고, 회전시 상기 회전 가이드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 2걸림턱이 더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윙은 그 끝단에 상기 제 2걸림턱과 결합되도록 돌출턱이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에 따르면, 윙 프레임의 상면 양단에 길이 방향으로 힌지축을 각각 형성하고, 힌지축에 결합되어 윙을 회전시키는 힌지 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윙 바디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켜 메인 프레임 및 윙이 파손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빗물이 스며들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윙 바디 내부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 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100)는 윙 프레임(110)과, 힌지 프레임(120)과, 윙(130)으로 구성된다.
먼저, 윙 프레임(11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ABS와 같은 합성 수지 재질로 그 단면이 직사각형태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힌지축(111)이 형성되며, 내부의 저면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보강대(113)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윙 프레임(110)의 힌지축(111)은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윙 프레임(110)의 상면 테두리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내측면 및 외측면의 모서리에 곡면부(111-2)가 형성되는 지지대(111-1)와,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111-4)을 구비하도록 "8"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대(111-1)의 끝단 저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111-3)로 구성된다.
그리고, 힌지 프레임(120)은 본체(121)와, 걸고리(123)로 구성된다.
본체(121)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ABS와 같은 합성 수지 재질로 윙(130)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에 윙(1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 1걸림턱(122)이 형성된다.
걸고리(123)는 힌지축(111)의 지지대(111-1)와 회전 가이드(111-3)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이드(111-3)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본체(121)의 측면 상단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에서, 걸고리(123)는 회전 가이드(111-3)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홈(111-4)에 삽입되고, 회전시 회전 가이드(111-3)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 2걸림턱(124)이 더 형성된다.
또한, 윙(130)은 사각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에 제 1걸림턱(122)과 결합되도록 돌출턱(131)이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윙 바디 상단에 설치 고정된 윙 프레임(110)의 힌지축(111)에 윙(130)이 본체(121)에 결합된 힌지 프레임(120)을 결합시킨다.
이때, 힌지 프레임(120)을 윙 프레임(110)에서 경사를 준 상태에서 힌지 프레임(120)의 걸고리(123)를 힌지축(111)의 회전 가이드(111-3)를 따라 하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체결하여 걸고리(123)가 회전 가이드(111-3)의 외측에 치합되도록 한다. 한편, 윙 프레임(110)에 힌지 프레임(120)을 슬라이딩시켜 결합할 수도 있다.
그러면, 힌지 프레임(120)의 걸고리(123)가 윙 프레임(110)의 힌지축(111)에 의해 지지되어 이탈되지 않고,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힌지 프레임(120)을 상기에서 설명한 전동유압 파워팩과 연결시킨다.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윙 바디를 개방시키면, 윙(130)이 결합된 힌지 프레임(120)이 상승을 하게 된다.
이때, 힌지 프레임(120)의 걸고리(123)가 힌지축(111)의 회전 가이드(111-3)를 따라 지지대(111-1)와 회전 가이드(111-3)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회전되어 윙(130)을 개방시킨다.
반대로 사용자가 윙 바디를 폐쇄시키면, 윙(130)이 결합된 힌지 프레임(120)이 반대 동작으로 하강을 하게 된다.
《제 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200)는 윙 프레임(210)과, 힌지축(220)과, 힌지 프레임(230)과, 윙(240)으로 구성된다.
먼저, 윙 프레임(21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ABS와 같은 합성 수지 재질로 그 단면이 직사각형태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양단에 수직으로 지지대(211)와 양측면에 지지턱(213)이 돌출 형성되며, 내부의 저면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보강대(215)가 형성된다.
또한, 힌지축(22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ABS와 같은 합성 수지 재질로 그 단면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윙 프레임(210)의 양측면에서 지지대(211)와 지지턱(213)에 지지된 상태에서 볼트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 수단(221)에 의해 체결되어 윙 프레임(210)의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되, 내측면 및 외측면의 모서리에 곡면부(222)가 형성되는 지지대(223)가 구비되고,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224)을 구비하도록 "8"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대(223)의 끝단 저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225)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힌지축(220)을 윙 프레임(210)에 체결시 강도 보강을 위하여 별도의 체결판(22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힌지 프레임(230)은 본체(231)와, 걸고리(233)로 구성된다.
본체(231)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ABS와 같은 합성 수지 재질로 윙(240)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에 윙(2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 1걸림턱(232)이 형성된다.
걸고리(233)는 힌지축(220)의 지지대(223)와 회전 가이드(225)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이드(225)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본체(231)의 측면 상단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에서, 걸고리(233)는 회전 가이드(225)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홈(224)에 삽입되고, 회전시 회전 가이드(225)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 2걸림턱(234)이 더 형성된다.
또한, 윙(240)은 사각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에 제 1걸림턱(232)과 결합되도록 돌출턱(241)이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윙 바디 상단에 설치 고정된 윙 프레임(210)과 체결된 힌지축(220)에 윙(240)이 본체(231)에 결합된 힌지 프레임(230)을 결합시킨다.
이때, 힌지 프레임(230)을 윙 프레임(210)에서 경사를 준 상태에서 힌지 프레임(230)의 걸고리(233)를 힌지축(220)의 회전 가이드(225)를 따라 하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체결하여 걸고리(233)가 회전 가이드(225)의 외측에 치합되도록 한다. 한편, 힌지축(220)에 힌지 프레임(230)을 슬라이딩시켜 결합할 수도 있다.
그러면, 힌지 프레임(230)의 걸고리(233)가 힌지축(220)에 의해 지지되어 이탈되지 않고,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힌지 프레임(230)을 상기에서 설명한 전동유압 파워팩과 연결시킨다.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윙 바디를 개방시키면, 윙(240)이 결합된 힌지 프레임(230)이 상승을 하게 된다.
이때, 힌지 프레임(230)의 걸고리(233)가 힌지축(220)의 회전 가이드(225)를 따라 지지대(223)와 회전 가이드(225)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회전되어 윙(240)을 개방시킨다.
반대로 사용자가 윙 바디를 폐쇄시키면, 윙(240)이 결합된 힌지 프레임(230)이 반대 동작으로 하강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윙 바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실시예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윙 프레임 111 : 힌지축
111-1 : 지지대 111-3 : 회전 가이드
113 : 보강대 120 : 힌지 프레임
121 : 본체 123 : 걸고리
130 : 윙

Claims (6)

  1. 삭제
  2.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그 단면이 직사각형태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힌지축이 형성되며, 내부의 저면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보강대가 형성되는 윙 프레임과;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일단이 상기 윙 프레임의 힌지축과 결합되고, 타단에 윙이 결합되어 상기 윙 프레임에서 회전되어 상기 윙을 회전시키는 힌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에 있어서,
    상기 윙 프레임의 힌지축은,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윙 프레임의 상면 테두리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내측면 및 외측면의 모서리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지지대와;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을 구비하도록 "8"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끝단 저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3. 윙 바디에 있어서,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그 단면이 직사각형태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 되고, 상면 양단에 수직으로 지지대와 양측면에 지지턱이 돌출 형성되며, 내부의 저면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보강대가 형성되는 윙 프레임과;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윙 프레임의 양측면에서 체결되어 상기 윙 프레임의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되, 내측면 및 외측면의 모서리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을 구비하도록 "8"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끝단 저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를 구비하는 힌지축과;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일단이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고, 타단에 윙이 결합되어 상기 힌지 프레임에서 회전되어 상기 윙을 회전시키는 힌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프레임은,
    상기 윙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에 상기 윙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 1걸림턱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힌지축의 지지대와 회전 가이드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가이드를 따라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고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는,
    상기 회전 가이드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고, 회전시 상기 회전 가이드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 2걸림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윙은,
    그 끝단에 상기 제 2걸림턱과 결합되도록 돌출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KR1020070074998A 2007-07-26 2007-07-26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KR100801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998A KR100801750B1 (ko) 2007-07-26 2007-07-26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998A KR100801750B1 (ko) 2007-07-26 2007-07-26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750B1 true KR100801750B1 (ko) 2008-02-21

Family

ID=3938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998A KR100801750B1 (ko) 2007-07-26 2007-07-26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75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60B1 (ko) 2008-05-02 2008-10-24 형제산업(주)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KR101065391B1 (ko) 2010-01-12 2011-09-16 윤영만 윙바디용 스프링장치
KR20180032361A (ko) * 2016-09-22 2018-03-30 서인교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KR101858413B1 (ko) * 2017-11-28 2018-05-15 최채우 특장차의 조립식 윙바디 구조
KR101977302B1 (ko) 2017-12-13 2019-05-10 주식회사 골드밴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
KR20190124413A (ko) * 2018-04-26 2019-11-05 한국차체 주식회사 윙패널형 적재함
KR20230105881A (ko) 2022-01-05 2023-07-12 김성원 중량절감형 화물차량용 윙바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0723U (ko) 1987-08-19 1989-02-27
JPH04325315A (ja) * 1991-04-26 1992-11-13 Showa Alum Corp ウイング車
JPH06255371A (ja) * 1993-03-04 1994-09-13 Showa Alum Corp ウイング車
JPH09202270A (ja) * 1996-01-26 1997-08-05 Mikawa Tokai:Kk ウイング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0723U (ko) 1987-08-19 1989-02-27
JPH04325315A (ja) * 1991-04-26 1992-11-13 Showa Alum Corp ウイング車
JPH06255371A (ja) * 1993-03-04 1994-09-13 Showa Alum Corp ウイング車
JPH09202270A (ja) * 1996-01-26 1997-08-05 Mikawa Tokai:Kk ウイング車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60B1 (ko) 2008-05-02 2008-10-24 형제산업(주)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KR101065391B1 (ko) 2010-01-12 2011-09-16 윤영만 윙바디용 스프링장치
KR20180032361A (ko) * 2016-09-22 2018-03-30 서인교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KR101858413B1 (ko) * 2017-11-28 2018-05-15 최채우 특장차의 조립식 윙바디 구조
KR101977302B1 (ko) 2017-12-13 2019-05-10 주식회사 골드밴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밀폐장치
KR20190124413A (ko) * 2018-04-26 2019-11-05 한국차체 주식회사 윙패널형 적재함
KR102074399B1 (ko) * 2018-04-26 2020-02-06 한국차체(주) 윙패널형 적재함
KR20230105881A (ko) 2022-01-05 2023-07-12 김성원 중량절감형 화물차량용 윙바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750B1 (ko)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KR100971687B1 (ko) 트럭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US3485405A (en) Frame-structure for container
CN101321647A (zh) 货物集装箱的可拆装顶部
US8342589B2 (en) Convertible trailer
CN102351014A (zh) 一种多功能翼展式货车及货车厢体
KR101101327B1 (ko) 윙바디용 윙 잠금 장치
CN206087925U (zh) 端门结构及具有其的集装箱
CN109264157B (zh) 一种预制拼装钢筋混凝土构件运输装置
KR100983025B1 (ko) 윙바디 잠금장치
CN204713804U (zh) 一种货运集装箱
KR200456745Y1 (ko) 윙바디 트럭 측판의 고정구조
CN209670793U (zh) 一种双扇活门槛防护密闭门
KR100853708B1 (ko) 윙 바디의 프레임 연결 구조
KR101480087B1 (ko) 개선된 압축용 도어를 구비한 암롤박스
US20220072939A1 (en) System and method of tailgate to truck bed sealing to prevent debris from falling into and lodging in a gap between a tailgate and a truck bed
KR100983816B1 (ko) 윙바디용 보조 게이트 잠금장치
KR100865360B1 (ko)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CN210259716U (zh) 一种集装箱简易操作的门锁装置
KR100459019B1 (ko) 화물 차량용 개선 윙바디
CN220949469U (zh) 开顶集装箱
KR200493375Y1 (ko) 냉동 윙바디용 냉기 유지 실린더 커버
CN218877418U (zh) 拖车斗开合锁死系统
CN217730343U (zh) 一种储物箱结构及车辆
CN216685819U (zh) 一种货箱盖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