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360B1 -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360B1
KR100865360B1 KR1020080041141A KR20080041141A KR100865360B1 KR 100865360 B1 KR100865360 B1 KR 100865360B1 KR 1020080041141 A KR1020080041141 A KR 1020080041141A KR 20080041141 A KR20080041141 A KR 20080041141A KR 100865360 B1 KR100865360 B1 KR 100865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rame
wing
main frame
hin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근
Original Assignee
형제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제산업(주) filed Critical 형제산업(주)
Priority to KR1020080041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윙 바디에 있어서, 상면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T"자 형태의 체결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면 양단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걸림돌기와 체결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체결판에 볼트 결합되는 힌지 부재와; 상기 윙 바디의 윙이 체결되도록 일측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힌지 부재와 축결합되도록 축파이프가 형성되는 힌지 프레임; 및 상기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프레임의 축파이프를 관통하여 이들을 축결합시키는 힌지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고,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서 각각의 힌지 프레임과 힌지 부재의 연결 부위에 각각의 힌지를 통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자체 중량 및 윙의 중량에 의해 쳐짐을 최소화시키면서도 쳐짐이 발생하여도 윙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메인 프레임의 상면을 방수가 가능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힌지 프레임과 힌지 부재가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적재함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윙 바디, 프레임, 힌지, 빗물, 방수, 누수

Description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WING CONNECTING STRUCTURE OF WING BODY}
본 발명은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메인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고,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서 각각의 힌지 프레임과 힌지 부재의 연결 부위에 각각의 힌지를 통해 체결되도록 하는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를 이용한 물류 이동의 경우 물류이송에 있어서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화물차는 적재함이 개방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자에는 물품의 고급화와 정밀화, 고부가가치화 되면서 화물의 이송중에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아 제품의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과, 운반중 도난의 문제점, 외부환경에 따른 제품의 손상, 이송중 낙하방지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적재함을 밀폐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의 덮개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윙 바디가 제공되고 있으며, 윙 바디(WING BODY)는 커다란 새의 날개처럼 측면문을 열어 적재·하역하는 것으로, 뛰어난 작업효율, 간편한 조작, 월등한 적재능력 등을 갖춘 장치이다.
즉, 상기 윙 바디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기상조건에 관계없이 화물운송이 가능하여 수송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로프 및 덮개작업이 불필요하여 적재하역 작업의 안전성을 높인 것이고, 또한 전동유압시스템 모터와 유압펌프가 일체로 구성된 전동유압 파워팩을 적용한 윙 바디는 버튼 하나로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체크밸브를 장착하여 혼자서도 쉽게 측면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종래의 윙 바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의 양측으로 2개의 윙(W,W')이 유압실린더(80,80')에 의해 개폐되게 구성되고 상기한 윙(W,W')은 사각파이프(Steel square pipe)를 격자형으로 용접시킨 바디 프레임(81,81')의 외측으로 박판의 알루미늄패널(82,82')을 여러장 재단하여 연속적으로 리벳팅시켜 부착하고 알루미늄 패널(82,82')을 내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틸 포스트(Steel post)로 보강시키고 그 내측에 합판을 부착하여 내장작업으로 윙바디를 제작하였다.
상기한 종래의 윙바디는 윙(W,W')을 지지하는 기본 골조인 사각파이프를 격자형태로 다수의 용접포인트를 용접작업에 의해 바디 프레임(81,81')을 제작하기 때문에 용접작업에 따른 작업공수가 많아지고 자체 중량이 증가되어 유압실린더(80,80')로 개폐작동 시 유압장치에 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바디 프레임(81,81')의 외측으로 여러장으로 재단된 알루미늄패널(82,82')을 사각파이프에 리벳팅할 때 박판의 알루미늄 패널(82,82')이 찌그러지거나 울지 않게 부착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숙련공이 필요하고 장시간 사용 시 리벳팅한 부위가 부식하고 차량운행에 따른 진동으로 부식부위가 파열되어 우천 또는 강설 시에는 누수로 인한 화물이 손상되는 단점과 유지보수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국내특허등록 10-0801750호, 2008.01.30)가 개발되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100)는 윙 프레임(110)과, 힌지 프레임(120)과, 윙(130)으로 구성된다.
먼저, 윙 프레임(11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ABS와 같은 합성 수지 재질로 그 단면이 직사각형태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힌지축(111)이 형성되며, 내부의 저면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보강대(113)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윙 프레임(110)의 힌지축(111)은 "기역자"자 형태로 형성되어 윙 프레임(110)의 상면 테두리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내측면 및 외측면의 모서리에 곡면부(111-2)가 형성되는 지지대(111-1)와,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111-4)을 구비하도록 "8"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대(111-1)의 끝단 저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111-3)로 구성된다.
그리고, 힌지 프레임(120)은 본체(121)와, 걸고리(123)로 구성된다.
본체(121)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ABS와 같은 합성 수지 재질로 윙(130)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디귿자"자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에 윙(1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 1걸림턱(122)이 형성된다.
걸고리(123)는 힌지축(111)의 지지대(111-1)와 회전 가이드(111-3)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이드(111-3)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본체(121)의 측면 상단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에서, 걸고리(123)는 회전 가이드(111-3)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홈(111-4)에 삽입되고, 회전시 회전 가이드(111-3)에서 이탈을 방지하도 록 제 2걸림턱(124)이 더 형성된다.
또한, 윙(130)은 사각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에 제 1걸림턱(122)과 결합되도록 돌출턱(1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의 조립 과정 및 동작을 설명하면, 윙 바디 상단에 설치 고정된 윙 프레임(110)의 힌지축(111)에 윙(130)이 본체(121)에 결합된 힌지 프레임(120)을 결합시킨다.
이때, 힌지 프레임(120)을 윙 프레임(110)에서 경사를 준 상태에서 힌지 프레임(120)의 걸고리(123)를 힌지축(111)의 회전 가이드(111-3)를 따라 하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체결하여 걸고리(123)가 회전 가이드(111-3)의 외측에 치합되도록 한다. 한편, 윙 프레임(110)에 힌지 프레임(120)을 슬라이딩시켜 결합할 수도 있다.
그러면, 힌지 프레임(120)의 걸고리(123)가 윙 프레임(110)의 힌지축(111)에 의해 지지되어 이탈되지 않고,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힌지 프레임(120)을 상기에서 설명한 전동유압 파워팩과 연결시킨다.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윙 바디를 개방시키면, 윙(130)이 결합된 힌지 프레임(120)이 상승을 하게 된다.
이때, 힌지 프레임(120)의 걸고리(123)가 힌지축(111)의 회전 가이드(111-3)를 따라 지지대(111-1)와 회전 가이드(111-3)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회전되어 윙(130)을 개방시킨다.
반대로 사용자가 윙 바디를 폐쇄시키면, 윙(130)이 결합된 힌지 프레임(120) 이 반대 동작으로 하강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윙 바디의 개폐 구조는 윙 프레임과 힌지 프레임의 길이가 적재함의 길이와 동일하기 때문에 차량에 설치된 후 자체 중량 및 윙의 중량에 의해 쳐짐이 발생하고, 쳐짐으로 인해 윙 프레임과 힌지 프레임의 변형이 발생하여 유압실린더로 개폐작동 시 유압장치에 부하가 걸리고, 심지어 개폐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고,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서 각각의 힌지 프레임과 힌지 부재의 연결 부위에 각각의 힌지를 통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자체 중량 및 윙의 중량에 의해 쳐짐을 최소화시키면서도 쳐짐이 발생하여도 윙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의 상면을 방수가 가능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힌지 프레임과 힌지 부재가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적재함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윙 바디에 있어서, 상면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T"자 형태의 체결판이 돌 출 형성되고, 상면 양단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걸림돌기와 체결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체결판에 볼트 결합되는 힌지 부재와; 상기 윙 바디의 윙이 체결되도록 일측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힌지 부재와 축결합되도록 축파이프가 형성되는 힌지 프레임; 및 상기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프레임의 축파이프를 관통하여 이들을 축결합시키는 힌지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저면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복수의 강성 보강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저면과 결합되도록 "디귿자"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강성 보강부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보조 프레임이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힌지 부재는 한 쌍이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등간격을 가지며 복수개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힌지 부재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체결판과 체결되는 날개; 및 상기 몸체의 저면 양측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되, 이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걸림턱이 연장 형성되는 고정 다리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힌지 프레임의 축파이프는 상기 힌지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 부재가 삽입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힌지 프레임의 축파이프는 일측에 힌지 삽입홀이 구비되 고, 상기 힌지 삽입홀을 통해 상기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프레임의 축파이프의 각각의 연결 부위에 각각의 힌지축을 삽입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고,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서 각각의 힌지 프레임과 힌지 부재의 연결 부위에 각각의 힌지를 통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자체 중량 및 윙의 중량에 의해 쳐짐이 발생하여도 윙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메인 프레임의 상면을 방수가 가능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힌지 프레임과 힌지 부재가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적재함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 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200)는 메인 프레임(210)과, 힌지 부재(220)와, 힌지 프레임(230)과, 힌지축(240)으로 구성된다.
먼저, 메인 프레임(21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상면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T"자 형태의 체결판(211)이 돌출 형성되고, 방수 및 하기에서 설명할 힌지 부재(220)와의 밀착을 위하여 상면 양단이 라운드를 가지며 절곡되면서 걸고리 형태의 걸림돌기(213)가 돌출 형성된다.
메인 프레임(210)은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저면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복수의 강성 보강부(215)가 일체로 형성되는 데, 강성 보강부(215)의 하단은 삼각 형태로 형성된다.
메인 프레임(210)은 이의 저면과 결합되도록 "디귿자"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강성 보강부(215)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돌기(218)가 돌출 형성되는 보조 프레임(217)이 더 부착된다. 이때, 보조 프레임(217)의 저면에는 메인 프레임(210)의 강성 보강부(215)와 대응되는 부분에 강성 보강을 위하여 리브(219)가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 부재(220)는 금속 재질로 원통형상의 몸체(221)와, 몸체(221)의 일측면에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메인 프레임(210)의 체결판(111)과 볼트 결합되는 날개(223)와, 메인 프레임(210)에 결합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몸체(221)의 저면 양측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이중 어느 하나에서 걸림턱(226)이 연장 형성되는 고정 다리(225)로 이루어진다.
힌지 부재(220)는 한 쌍이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메인 프레임(210)에서 등간격을 가지며 복수개가 설치된다.
또한, 힌지 프레임(230)은 윙 바디의 윙 상판(210)이 체결되도록 일측에 체결부(231)가 형성되고, 타측에 힌지 부재(220)와 축결합되도록 축파이프(233)가 형성된다.
이때, 힌지 프레임(230)의 축파이프(233)는 힌지 부재(2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부(235)가 형성되어 힌지 부재(220)가 삽입 결합된다.
힌지 프레임(230)의 축파이프(233)는 일측이 절개되어 힌지 삽입홀(237)이 구비되고, 힌지 삽입홀(237)을 통해 힌지 부재(220)와 힌지 프레임(230)의 축파이프(233)의 각각의 연결 부위에 하기에서 설명할 힌지축(240)을 각각 삽입 고정한다. 한편, 힌지 프레임(230)의 체결부(231)에는 윙 상판(201)의 일단이 체결되고, 윙 상판(201)의 타단에는 절곡 프레임(203)의 일단이 체결되며, 절곡 프레임(203)의 타단에 윙 측판(205)이 체결된다.
또, 힌지축(240)은 힌지 부재(220)와 힌지 프레임(230)의 축파이프(233)를 관통하여 이들을 각각 축결합시킨다. 이때, 힌지축(240)을 다수개 사용하여 각각의 힌지 부재(220)와 힌지 프레임(230)의 축파이프(233)의 연결 부위에 연결하는 이유는 메인 프레임(210) 및 힌지 프레임(230)이 하중에 의해 쳐짐이 발생하여도 힌지축(240)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의 조립 과정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 프레임(210)의 저면에 보조 프레임(217)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보조 프레임(217)의 결합 돌기(218)가 메인 프레임(210)의 강성 보강부(215)와 강성 보강부(215) 사이로 삽입 후 보조 프레임(217)을 측면으로 밀어 넣어 이들을 조립한다.
그리고, 힌지 부재(220)를 메인 프레임(210)의 체결판(211)과 걸림돌기(213) 사이에 삽입하는 데, 힌지 부재(220)의 날개(223)가 메인 프레임(210)의 체결판(211) 측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힌지 부재(220)의 걸림턱(226)이 메인 프레임(210)의 걸림돌기(213)와 결합되도록 한다. 즉, 힌지 부재(220)의 걸림턱(226)을 경사를 유지한 채로 걸림돌기(213)에 삽입한 후 힌지 부재(220)를 회전시켜 고정한다.
그런 다음, 힌지 부재(220)의 날개(223)와 메인 프레임(210)의 체결판(211)을 볼트로 상호 고정시킨다. 이때, 볼트로 힌지 부재(220)를 고정시 동일한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힌지 부재(230)의 날개(223) 상면에 별도의 고정판(207)을 두어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웃하는 힌지 부재를 설치한 후 고정시 켜 한쌍이 상호 대응되도록 설치한 후 일정 간격으로 한쌍의 힌지 부재(220)를 각각 설치한다. 이때, 힌지 부재(220)의 간격은 힌지 프레임(230)의 절개부(23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힌지 프레임(230)을 힌지 부재(220)와 힌지축(240)을 이용하여 상호 체결시키는 데, 힌지 프레임(230)의 축파이프(233)에 형성된 절개부(235)에 힌지 부재(220)를 삽입한다.
절개부(235)와 힌지 부재(220)가 가결합된 상태에서 힌지 삽입홀(237)을 통해 힌지축(240)을 삽입한 후 힌지 부재(220)와 힌지 프레임(230)의 축파이프(233)를 관통시켜 이들을 상호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힌지 부재(220)와 힌지 프레임(230)의 축파이프(233)의 각 연결 부위에 힌지축(240)을 각각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한편, 힌지 프레임(230)을 공지의 윙바디의 전동유압 파워팩과 연결시킨다.
또한, 힌지 프레임(230)의 체결부(231)에 윙 바디의 윙 상판(201)을 고정시키고, 윙 상판(201)의 타단에 절곡 프레임(203)을 고정시킨 다음, 절곡 프레임(203)의 타단에 윙 측판(205)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윙 바디를 개방시키면, 전동유압 파워팩에 의해 힌지 프레임(23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는데, 힌지 프레임(230)이 힌지 부재(220)와 힌지축(240)의 결합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윙 바디를 폐쇄시키면, 윙이 결합된 힌지 프레임(230)이 반대 동작으로 하강을 하게 된다.
그리고, 힌지 프레임(230)의 메인 프레임(110)을 완전히 덥고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빗물 유입을 차단하고, 힌지 프레임(230)과 힌지 부재(220) 사이로 유입되는 빗물은 메인 프레임(110)의 상면에서 고이게 되는 데, 걸림돌기(213)의 형상으로 인해 힌지 프레임(230)과 메인 프레임(110) 사이로 유입되어 적재함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완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의 상면에서 고이게 되는 빗물은 힌지 부재(220)의 고정 다리(225) 사이로 배출되기 때문에 화물 차량의 이동시 또는 경사 주차시에 메인 프레임(110)의 양단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윙 바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0 : 메인 프레임 220 : 힌지 부재
230 : 힌지 프레임 240 : 힌지축

Claims (7)

  1. 윙 바디에 있어서,
    상면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T"자 형태의 체결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면 양단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걸림돌기와 체결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체결판에 볼트 결합되는 힌지 부재와;
    상기 윙 바디의 윙이 체결되도록 일측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힌지 부재와 축결합되도록 축파이프가 형성되는 힌지 프레임; 및
    상기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프레임의 축파이프를 관통하여 이들을 축결합시키는 힌지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저면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복수의 강성 보강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저면과 결합되도록 "디귿자"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에 길 이 방향으로 상기 강성 보강부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보조 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는,
    한 쌍이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등간격을 가지며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체결판과 체결되는 날개; 및
    상기 몸체의 저면 양측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되, 이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걸림턱이 연장 형성되는 고정 다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프레임의 축파이프는,
    상기 힌지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 부재가 삽 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프레임의 축파이프는,
    일측에 힌지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 삽입홀을 통해 상기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프레임의 축파이프의 각각의 연결 부위에 각각의 힌지축을 삽입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KR1020080041141A 2008-05-02 2008-05-02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KR100865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141A KR100865360B1 (ko) 2008-05-02 2008-05-02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141A KR100865360B1 (ko) 2008-05-02 2008-05-02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360B1 true KR100865360B1 (ko) 2008-10-24

Family

ID=4017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141A KR100865360B1 (ko) 2008-05-02 2008-05-02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3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361A (ko) * 2016-09-22 2018-03-30 서인교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371A (ja) * 1993-03-04 1994-09-13 Showa Alum Corp ウイング車
JPH1095236A (ja) 1996-09-25 1998-04-14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ウィング型リヤボディのルーフヒンジ構造
KR200247756Y1 (ko) 2001-05-15 2001-10-18 조섬연 윙바디 트럭 적재함의 방수구조
KR200269915Y1 (ko) 2001-10-19 2002-03-27 방승섭 화물 차량용 개선 윙바디
JP2006123768A (ja) 2004-10-29 2006-05-18 Pabco Co Ltd ウイング車両におけるレール部材と屋根との連結構造
KR100801750B1 (ko) 2007-07-26 2008-02-21 동양중공업 주식회사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371A (ja) * 1993-03-04 1994-09-13 Showa Alum Corp ウイング車
JPH1095236A (ja) 1996-09-25 1998-04-14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ウィング型リヤボディのルーフヒンジ構造
KR200247756Y1 (ko) 2001-05-15 2001-10-18 조섬연 윙바디 트럭 적재함의 방수구조
KR200269915Y1 (ko) 2001-10-19 2002-03-27 방승섭 화물 차량용 개선 윙바디
JP2006123768A (ja) 2004-10-29 2006-05-18 Pabco Co Ltd ウイング車両におけるレール部材と屋根との連結構造
KR100801750B1 (ko) 2007-07-26 2008-02-21 동양중공업 주식회사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361A (ko) * 2016-09-22 2018-03-30 서인교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9203B1 (en) Composite under body structure
MXPA01003651A (es) Ensambles de pared lateral de seccion delgada para camionetas y remolques.
US5535841A (en) Panel reinforcement structure
CZ356396A3 (en) Connecting hook
KR100801750B1 (ko)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RU63305U1 (ru) Кузов грузового вагона
EP1845225B1 (en) Container Lock and Method for Locking of Container Door
JP7162808B2 (ja) 貨物自動車の荷箱の上扉、荷室形成用構造体および貨物自動車
KR100865360B1 (ko)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KR100827309B1 (ko) 윙바디용 개폐 보조장치
KR100853708B1 (ko) 윙 바디의 프레임 연결 구조
JPH11198711A (ja) 貨物自動車の荷台構造
KR102308932B1 (ko) 로프걸이와 도어경첩구가 구비된 알루미늄 일체형 차량 적재함 도어
KR100658220B1 (ko) 탑차용 적재함의 연결 프레임
KR102167580B1 (ko) 차량용 화물 적재함
KR100983816B1 (ko) 윙바디용 보조 게이트 잠금장치
KR200330672Y1 (ko) 화물차 적재함의 덮개장치
WO2008086410A2 (en) Composite stake racks for flatbed truck body
CN217755024U (zh) 展翼集装箱
KR20190003199U (ko) 탑차용 코너 프레임
JP4157220B2 (ja) バン型車両の荷箱構造
KR20240024422A (ko) 트럭 적재함용 프론트 프레임
KR200313472Y1 (ko) 픽업트럭의 적재함커버
WO2023189646A1 (ja) 車両の荷箱
CN220949469U (zh) 开顶集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