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361A -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 Google Patents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361A
KR20180032361A KR1020160121469A KR20160121469A KR20180032361A KR 20180032361 A KR20180032361 A KR 20180032361A KR 1020160121469 A KR1020160121469 A KR 1020160121469A KR 20160121469 A KR20160121469 A KR 20160121469A KR 20180032361 A KR20180032361 A KR 20180032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ing
main frame
door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교
서영준
Original Assignee
서인교
서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교, 서영준 filed Critical 서인교
Priority to KR102016012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2361A/ko
Publication of KR20180032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trucks or 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윙바디화물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윙바디화물차의 화물차량에서 옆으로 회전되며 개폐되는 윙개폐문 및 윙메인프레임 등과 결착이 용이하도록 경첩구조물을 제공하여 윙메인프레임에 대해 윙개폐문이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윙바디화물차(10)의 윙개폐문(11)이 윙메인프레임(15)에 대해 회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윙메인프레임(15) 양측 끝단 및 윙개폐문(11) 양측 끝단에 위치되는 엔드경첩(30); 및 양측의 상기 엔드경첩(30) 사이에 다수로 구비되어 윙메인프레임(15) 및 윙개폐문(11)에 결합되는 중간경첩(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STRUCTURE OF WING BODY HINGE FOR WING BODY OF FREIGHT CAR}
본 발명은 윙바디화물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윙바디화물차의 화물차량에서 옆으로 회전되며 개폐되는 윙개폐문 및 윙메인프레임 등과 결착이 용이하도록 경첩구조물을 제공하여 윙메인프레임에 대해 윙개폐문이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는 구동력으로 이동하는 기능과 함께 화물차량에 다수 화물을 싣고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된 것이다. 대체로 종래의 화물차는 오픈된 화물칸이 이용되어 운행중에 화물이 도로로 이탈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에 탑차량으로 적용하면서 화물의 이탈은 방지하나, 대부분 탑차량은 후방으로 화물을 싣거나 내리기 때문에 대형 화물차량의 경우 화물을 싣거나 내리기가 힘든 경우가 발생된다.
이에 화물차량의 측방향에서 화물을 싣고 내릴 수 있도록 윙바디화물차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윙바디화물차의 경우 화물차량의 측방향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되는 윙개폐문이 설치된 것이며 이로써 화물차량의 앞에서부터 손쉽게 화물을 싣고 내릴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이러한 윙바디화물차의 경우 회동으로 개폐되는 윙개폐문이 화물차량 상측 중앙에 종방향으로 설치된 메인프레임을 회동축 중심으로 하여 회동된다.
이러한 윙바디화물차의 종래 기술에서는 대부분 윙개폐문을 메인프레임에 단순 회동축공을 각각 형성하여 단순 막대 형태의 축만 결합하게 된다. 이에 각각의 축공을 이루는 축공편은 대부분 윙개폐문이나 메인프레임에 각각 용접으로 접착하기 때문에 결국 개별 축공편은 서로 일치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축공편은 결국 서로 중심축방향이 다르게 용접되어 결국 윙개폐문 회동시에는 회동되는 축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윙개폐문 회동 중에 삐걱되는 시끄러운 소리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심해질 경우 축공편이나, 축, 또는 윙개폐문이나 메인프레임 등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48772호(2004년 04월 30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1579685호(2015년 12월 22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1627751호(2016년 06월 07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윙개폐문과 회동의 중심이 되는 윙메인프레임 사이에 규격화되고 균일한 형태를 갖는 경첩을 결합시킴으로써 윙개폐문의 회동시에도 시끄럽지도 않고 안정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윙개폐문의 선두방향과 후방에 각각 엔드경첩을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커다란 회동 작동력이 가해짐에 의한 강한 힘이 작용하더라고 안정적으로 윙개폐문의 회동작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안정적 개폐작동을 이루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윙개폐문의 선두,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엔드경첩, 이들 사이에 위치된 중간경첩 등에 있어서 윙개폐문이나 윙메인프레임 등과 결착되는 부분의 형상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다수 경첩이더라도 동일 회동축 중심을 이루게 함으로써 안정적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윙개폐문, 윙메인프레임 등에 대해 엔드경첩, 중간경첩 등이 볼트 등에 의해 견고하게 결착됨으로써, 종래의 용접시 축방향이 흐트러지는 단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윙바디화물차(10)의 윙개폐문(11)이 윙메인프레임(15)에 대해 회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윙메인프레임(15) 양측 끝단 및 윙개폐문(11) 양측 끝단에 위치되는 엔드경첩(30); 및 양측의 상기 엔드경첩(30) 사이에 다수로 구비되어 윙메인프레임(15) 및 윙개폐문(11)에 결합되는 중간경첩(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엔드경첩(30)은, 상기 윙메인프레임(15)에 고정된 엔드보고정부(31); 상기 윙개폐문(11)의 프레임인 도어프레임(12)에 고정된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 상기 엔드보고정부(31)에 대해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가 회전되게 회전축을 이루는 엔드축핀(35); 상기 엔드보고정부(31)에서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 측 방향으로 연결되어지되 엔드축핀(35)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원형통공을 형성한 엔드보고정회전축공(32); 및 상기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에서 엔드보고정부(31) 측 방향으로 연결되어지되 엔드축핀(35)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원형통공을 형성한 엔드도어회전축공(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엔드보고정부(31)는, 상기 윙메인프레임(15) 아래에 접하는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 상기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에서 엔드보고정회전축공(32)으로 이어지고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와 단차를 두어 높이 차이가 있는 엔드단차부(312); 상기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의 소정 위치로써 하나 이상에 형성된 통공으로써, 볼트, 리벳, 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로 윙메인프레임(15)과 체결되거나 용접을 위한 통공을 이루는 엔드보체결통공(313); 및 상기 엔드보체결통공(313) 보다 커다란 크기의 구멍을 형성한 엔드보대형공(314)을 포함하고, 상기 엔드단차부(312)는 상기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 양측 단에 구비되며, 양측단의 엔드단차부(312) 사이로 윙메인프레임(15)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는, 상기 도어프레임(12)의 횡도어프레임(121)이 위치되는 횡도어고정부(331); 상기 도어프레임(12)의 종도어프레임(122)이 위치되는 종도어고정부(332); 상기 횡도어고정부(331) 및 종도어고정부(332)와 같은 평면을 이루면서 대면적을 이루며 타면으로 윙개폐문(11)의 일측이 접하는 도어대면적부(333); 상기 도어대면적부(333) 끝단에서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대면적직교벽(334); 및 상기 횡도어고정부(331) 및 종도어고정부(33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정 위치로써 하나 이상에 형성된 통공으로써, 볼트, 리벳, 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로 도어프레임(12)과 체결되거나 용접을 위한 통공을 이루는 엔드도어체결통공(335)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대면적부(333)는 삼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경첩(40)은, 상기 윙메인프레임(15)에 고정된 중간보고정부(41); 상기 윙개폐문(11)의 프레임인 도어프레임(12)에 고정된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 상기 중간보고정부(31)에 대해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가 회전되게 회전축을 이루는 중간축핀(45); 상기 중간보고정부(41)에서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 측 방향으로 연결되어지되 중간축핀(45)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원형통공을 형성한 중간보고정회전축공(42); 및 상기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에서 중간보고정부(41) 측 방향으로 연결되어지되 중간축핀(45)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원형통공을 형성한 중간도어회전축공(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보고정부(41)는, 상기 윙메인프레임(15) 아래에 접하는 중간메인프레임접촉부(411); 상기 중간메인프레임접촉부(411)에서 중간보고정회전축공(42)으로 이어지고 중간메인프레임접촉부(411)와 단차를 두어 높이 차이가 있는 중간단차부(412); 상기 중간메인프레임접촉부(411)의 소정 위치로써 하나 이상에 형성된 통공으로써, 볼트, 리벳, 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로 윙메인프레임(15)과 체결되거나 용접을 위한 통공을 이루는 중간보체결통공(413); 및 상기 중간보체결통공(413) 보다 커다란 크기의 구멍을 형성한 중간보대형공(414)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단차부(412)는 상기 중간메인프레임접촉부(411) 양측 단에 구비되며, 양측단의 중간단차부(412) 사이로 윙메인프레임(15)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는, 상기 도어프레임(12)의 종도어프레임(122) 상면과 접하는 중간도어프레임하접촉부(431); 상기 도어프레임(12)의 종도어프레임(122) 측면과 접하는 중간도어프레임측방접촉부(432); 및 상기 중간도어프레임하접촉부(431)의 소정 위치로써 하나 이상에 형성된 통공으로써, 볼트, 리벳, 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로 도어프레임(12)과 체결되거나 용접을 위한 통공을 이루는 중간도어체결통공(4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윙개폐문과 회동의 중심이 되는 윙메인프레임 사이에 규격화되고 균일한 형태를 갖는 경첩을 결합시킴으로써 윙개폐문의 회동시에도 시끄럽지도 않고 안정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윙개폐문의 선두방향과 후방에 각각 엔드경첩을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커다란 회동 작동력이 가해짐에 의한 강한 힘이 작용하더라고 안정적으로 윙개폐문의 회동작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안정적 개폐작동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특히 윙개폐문의 선두,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엔드경첩, 이들 사이에 위치된 중간경첩 등에 있어서 윙개폐문이나 윙메인프레임 등과 결착되는 부분의 형상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다수 경첩이더라도 동일 회동축 중심을 이루게 함으로써 안정적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윙개폐문, 윙메인프레임 등에 대해 엔드경첩, 중간경첩 등이 볼트 등에 의해 견고하게 결착됨으로써, 종래의 용접시 축방향이 흐트러지는 단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경첩이 설치된 윙바디화물차에 대한 실시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드경첩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엔드경첩에 대한 저면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드경첩의 각 부재들이 분리된 상태의 분해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드경첩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엔드경첩이 윙개폐문에 결합되어 윙개폐문이 닫힌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엔드경첩이 윙개폐문에 결합되어 일측 윙개폐문이 열린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경첩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경첩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경첩이 윙개폐문에 결합되어 윙개폐문이 닫힌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경첩이 윙개폐문에 결합되어 일측 윙개폐문이 열린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 등에서와 같이, 화물을 싣고 내리는 화물칸이 측방향에서 상향으로 개폐되는 윙바디(Wing-body) 화물차량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윙바디화물차에 적용되는 윙개폐문(11)은 차량의 상부 중앙에서 화물차의 종방향으로 설치된 윙메인프레임(15)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윙메인프레임(15)에 대해서 일측 또는 양측의 윙개폐문(11)이 회동하면서 열리고 닫히게 되며, 열린 상태에서 화물을 싣고 내리게 된다.
이에 윙개폐문(11)은 대체로 'ㄱ'자 형상을 이루며 판재로 이루어져, 그 강성을 보장하기가 곤란하며, 이를 위해 윙개폐문(11) 내면으로는 프레임인 도어프레임(12)이 결합된다.
따라서 도어프레임(12)이 윙메인프레임(15)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프레임(12)과 윙메인프레임(15)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해주는 것이 바로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경첩인 것이다. 아울러 'ㄱ'자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진 윙개폐문(11)을 전면적으로 커버하기 위해 도어프레임(12)은 차량에 대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개별 프레임을 각각 형성한 종도어프레임(122), 횡도어프레임(12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이러한 종도어프레임(122), 횡도어프레임(121)과 윙바디경첩, 즉 상세하게는 엔드경첩(30) 및 중간경첩(40) 등의 일측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엔드경첩(30), 중간경첩(40)은 타측들이 각각 윙메인프레임(15)에 고정되면서, 이들 사이에 회동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경첩에 대한 상세 구성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즉 윙바디화물차(10)의 윙개폐문(11)이 윙메인프레임(15)에 대해 회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을 이루는 것이다.
이에 윙바디경첩 중 하나로써 상기 윙메인프레임(15) 양측 끝단 및 윙개폐문(11) 양측 끝단에 위치되는 엔드경첩(30)이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양측의 상기 엔드경첩(30) 사이에 다수로 구비되어 윙메인프레임(15) 및 윙개폐문(11)에 결합되는 중간경첩(40)을 포함하여 윙바디경첩을 이루는 것이다.
즉 도 1에서처럼 윙개폐문(11), 윙메인프레임(15) 등의 끝단으로써 차량의 선두 방향, 후방 방향으로 각각 엔드경첩(30)이 마련된다.
그러면서 선후의 양측의 엔드경첩(30) 사이에는 도어프레임(12)의 횡도어프레임(121)이 위치되는 부분에 대해서 각각 중간경첩(40)이 마련되는 것이다.
이 중에서 상기 엔드경첩(30)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즉 상기 윙메인프레임(15)에 고정된 엔드보고정부(31)가 마련된다. 윙메인프레임(15)의 저면에 엔드보고정부(31)가 고정되어 전체 엔드경첩(30)이 윙메인프레임(15) 및 차량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윙개폐문(11)의 프레임인 도어프레임(12)에 고정된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가 마련된다. 그리하여 엔드축핀(35)으로 연결된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가 엔드보고정부(31)에 연결되어,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와 연결된 도어프레임(12) 및 윙개폐문(11) 등이 메인 프레임인 윙메인프레임(15) 및 차량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상기 엔드보고정부(31)에 대해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가 회전되게 회전축을 이루는 엔드축핀(35)이 구비된다. 그리하여 안정적으로 윙개폐문(11)이 회전되어 개폐를 이루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엔드보고정부(31)에서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 측 방향으로 연결되어지되 엔드축핀(35)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원형통공을 형성한 엔드보고정회전축공(32)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에서 엔드보고정부(31) 측 방향으로 연결되어지되 엔드축핀(35)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원형통공을 형성한 엔드도어회전축공(34)이 마련된다.
이에 상기 엔드보고정부(31)의 상세 구성을 보면, 상기 윙메인프레임(15) 아래에 접하는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에서 엔드보고정회전축공(32)으로 이어지고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와 단차를 두어 높이 차이가 있는 엔드단차부(312)가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엔드단차부(312)는 상기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 양측 단에 구비되며, 양측단의 엔드단차부(312) 사이로 윙메인프레임(15)이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에 위치된 윙메인프레임(15)이 양측의 엔드단차부(312)에 접하여 접한 위치가 변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대체로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경첩을 비롯한 윙메인프레임(15), 도어프레임(12) 등은 철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볼트나 용접 등으로 결속상태를 단단히 하여 사용중에도 이상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윙메인프레임(15)에 대해서 윙개폐문(11)이 회동되기 때문에, 다수의 엔드경첩(30) 및 다수의 중간경첩(40) 등이 윙메인프레임(15)과 도어프레임(12) 사이에 결합되고 회동되므로, 개별 엔드경첩(30) 및 개별 중간경첩(40) 등은 윙메인프레임(15)에 대해 동일 회전중심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윙메인프레임(15)과의 결착 위치가 동일해야 윙개폐문(11)의 회동시켜 사용 중에도 이상없이 회동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어느 하나 이상의 윙바디경첩이나 각 프레임들이 틀어지거나 깨지거나 부러질 우려가 있을 것이다.
즉 개별 윙바디경첩들의 축핀이 동일한 축상에 나란하게 위치되어야 하며, 간혹 이를 맞추지 못하는 종래의 윙바디 부재들에서는 동일 축 중심을 맞추지 못하여, 회동시에 불량이 발생하거나 회동으로 개폐작동되더라도 삐걱 소리를 내는 작동 불량 현상을 보이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엔드보고정부(31)에서는 윙메인프레임(15)이 위치되는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 양측으로 단차를 형성한 엔드단차부(312)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윙메인프레임(15)이 항시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고, 이로써 윙메인프레임(15)에 대해서 윙개폐문(11)이 항시 부드럽게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의 소정 위치로써 하나 이상에 형성된 통공으로써, 볼트, 리벳, 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로 윙메인프레임(15)과 체결되거나 용접을 위한 통공을 이루는 엔드보체결통공(3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엔드보체결통공(313) 보다 커다란 크기의 구멍을 형성한 엔드보대형공(314)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하여 이들 엔드보체결통공(313)을 통해 체결부재로 윙메인프레임(15)에 고정하는 것이며, 필요한 경우 엔드보체결통공(313), 엔드보대형공(314) 등에 드러난 윙메인프레임(15)과 용접 등으로 결속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엔드보고정부(31)에는, 다수 개의 엔드보고정회전축공(32)들 사이로 위치되어,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가 있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된 엔드과회동방지돌부(315)가 형성된다. 이러한 엔드과회동방지돌부(315)는, 엔드보고정부(31) 및 윙메인프레임(15) 가장자리의 회전중심인 엔드축핀(35)에 대해 회동되는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가 최대로 회동된 상태에서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가 엔드과회동방지돌부(315)에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과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에 대한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도어프레임(12)의 횡도어프레임(121)이 위치되는 횡도어고정부(331)가 구비된다.
도 1의 예에서 처럼 도어프레임(12) 중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서 횡방향으로는 횡도어프레임(121)들이 구비되는 것이며, 이러한 횡도어프레임(121)에 대해 엔드도어체결통공(335)을 통해 횡도어고정부(331)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12)의 종도어프레임(122)이 위치되는 종도어고정부(332)가 구비된다. 즉 도 1에서처럼 도어프레임(12) 중에서, 윙메인프레임(15)과 근접되고 나란하게 마련된 종도어프레임(122)에 대해 엔드도어체결통공(335)을 통해 종도어고정부(332)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횡도어고정부(331) 및 종도어고정부(332)와 같은 평면을 이루면서 대면적을 이루며 타면으로 윙개폐문(11)의 일측이 접하는 도어대면적부(333)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도어대면적부(333)를 비롯하여 횡도어고정부(331), 종도어고정부(332) 등에 의해 형성된 형상은 대체로 삼각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즉 대면적을 이루는 것이며, 이러한 도어대면적부(333)의 상면으로는 윙개폐문(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 저면으로는 도어프레임(12)이 위치되고,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 상면으로는 판상형태의 윙개폐문(11)이 위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대면적부(333) 끝단에서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대면적직교벽(334)을 마련하여, 도어대면적부(333) 및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 형상이 외력이 작용하여도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횡도어고정부(331) 및 종도어고정부(33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정 위치로써 하나 이상에 형성된 통공으로써, 볼트, 리벳, 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로 도어프레임(12)과 체결되거나 용접을 위한 통공을 이루는 엔드도어체결통공(335)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하여 도어프레임(12)과 안정적 결착상태를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경첩(40)에 대한 상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중간경첩(40)은 도 1에서처럼 윙메인프레임(15) 및 윙개폐문(11)의 중간 부분에 다수로 마련되는 것이며, 될 수 있으면 도어프레임(12) 중에서 차량의 횡방향으로 다수 마련된 횡도어프레임(121)을 함께 지지하는 위치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우선 상기 윙메인프레임(15)에 고정된 중간보고정부(41)를 구비한 것이다.
즉 중간경첩(40)의 중간보고정부(41)가 윙메인프레임(15) 아래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중간보고정부(41)와 회동되는 것으로써, 상기 윙개폐문(11)의 프레임인 도어프레임(12)에 고정된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중간보고정부(31)에 대해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가 회전되게 회전축을 이루는 중간축핀(45)이 구비된다.
그리하여 중간축핀(45)에 의해 윙메인프레임(15)에 고정된 중간보고정부(41)에 대해, 중간축핀(45)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 및 이와 연결된 도어프레임(12)이 회전되는 것이다. 이로써 도어프레임(12)과 일체를 이루는 윙개폐문(11)이 개폐작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중간보고정부(41)에서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 측 방향으로 연결되어지되 중간축핀(45)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원형통공을 형성한 중간보고정회전축공(42)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에서 중간보고정부(41) 측 방향으로 연결되어지되 중간축핀(45)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원형통공을 형성한 중간도어회전축공(44)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중간보고정부(41)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윙메인프레임(15) 아래에 접하는 중간메인프레임접촉부(4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메인프레임접촉부(411)에서 중간보고정회전축공(42)으로 이어지고 중간메인프레임접촉부(411)와 단차를 두어 높이 차이가 있는 중간단차부(412)가 구비된다.
이에 상기 중간단차부(412)는 상기 중간메인프레임접촉부(411) 양측 단에 구비되며, 양측단의 중간단차부(412) 사이로 윙메인프레임(15)이 위치되는 것이다.
즉 앞서 엔드경첩(30)에 있어서 엔드보고정부(31)에서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 양측으로 엔드단차부(312) 사이에 윙메인프레임(15)이 위치되는 것처럼, 중간경첩(40)에서도 윙메인프레임(15)의 아래에 접하는 중간메인프레임접촉부(411) 양측으로 중간단차부(412)를 형성함으로써, 중간경첩(40)에서 윙메인프레임(15)이 위치하게 되는 위치를 항시 일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중간경첩(40)에서 중간축핀(45)을 축중심으로 하여, 윙메인프레임(15)에 대해 회동되는 윙개폐문(11)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로써 윙개폐문(11)의 회전에 따른 개폐시에도, 엔드경첩(30)의 경우에서처럼 다수 부재들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삐걱대는 소리없이 안정적인 회동작동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간메인프레임접촉부(411)의 소정 위치로써 하나 이상에 형성된 통공으로써, 볼트, 리벳, 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로 윙메인프레임(15)과 체결되거나 용접을 위한 통공을 이루는 중간보체결통공(41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중간보체결통공(413) 보다 커다란 크기의 구멍을 형성한 중간보대형공(414)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중간보고정부(41)에는 양측 중간보고정회전축공(42) 사이의 공간 부분에 홈인 윤활홈(415)을 형성하여,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의 중간도어회전축공(44)에 윤활제(그리스(grease))를 주입하기 위한 니플(nipple)이 마련된 경우, 니플에 그리스를 주입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도어프레임(12)의 종도어프레임(122) 상면과 접하는 중간도어프레임하접촉부(431)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12)의 종도어프레임(122) 측면과 접하는 중간도어프레임측방접촉부(432)가 마련되는 것이며, 이로써 도어프레임(12)의 종도어프레임(122)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중간도어프레임하접촉부(431)에는 종도어프레임(122)과 직교되는 횡도어프레임(121)과도 접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간도어프레임하접촉부의 소정 위치로써 하나 이상에 형성된 통공으로써, 볼트, 리벳, 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로 도어프레임(12)과 체결되거나 용접을 위한 통공을 이루는 중간도어체결통공(433)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중간도어체결통공(433)은 도 8의 예에서처럼 윙메인프레임(15)과 나란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도어프레임(12)의 종도어프레임(122)과 체결되는 종통공(4331)과, 이러한 종도어프레임(122)과 직교되는 방향의 횡도어프레임(121)과 체결되는 횡통공(4332)이 마련되어 더욱 견고하게 도어프레임(12)과 결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윙바디화물차 11 : 윙개폐문
12 : 도어프레임 15 : 윙메인프레임
30 : 엔드경첩 31 : 엔드보고정부
33 :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 35 : 엔드축핀
40 : 중간경첩 41 : 중간보고정부
43 :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 45 : 중간축핀

Claims (7)

  1. 윙바디화물차(10)의 윙개폐문(11)이 윙메인프레임(15)에 대해 회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윙메인프레임(15) 양측 끝단 및 윙개폐문(11) 양측 끝단에 위치되는 엔드경첩(30); 및
    양측의 상기 엔드경첩(30) 사이에 다수로 구비되어 윙메인프레임(15) 및 윙개폐문(11)에 결합되는 중간경첩(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경첩(30)은,
    상기 윙메인프레임(15)에 고정된 엔드보고정부(31);
    상기 윙개폐문(11)의 프레임인 도어프레임(12)에 고정된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
    상기 엔드보고정부(31)에 대해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가 회전되게 회전축을 이루는 엔드축핀(35);
    상기 엔드보고정부(31)에서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 측 방향으로 연결되어지되 엔드축핀(35)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원형통공을 형성한 엔드보고정회전축공(32); 및
    상기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에서 엔드보고정부(31) 측 방향으로 연결되어지되 엔드축핀(35)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원형통공을 형성한 엔드도어회전축공(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보고정부(31)는,
    상기 윙메인프레임(15) 아래에 접하는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
    상기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에서 엔드보고정회전축공(32)으로 이어지고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와 단차를 두어 높이 차이가 있는 엔드단차부(312);
    상기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의 소정 위치로써 하나 이상에 형성된 통공으로써, 볼트, 리벳, 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로 윙메인프레임(15)과 체결되거나 용접을 위한 통공을 이루는 엔드보체결통공(313); 및
    상기 엔드보체결통공(313) 보다 커다란 크기의 구멍을 형성한 엔드보대형공(314)을 포함하고,
    상기 엔드단차부(312)는 상기 엔드메인프레임접촉부(311) 양측 단에 구비되며, 양측단의 엔드단차부(312) 사이로 윙메인프레임(15)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도어프레임고정부(33)는,
    상기 도어프레임(12)의 횡도어프레임(121)이 위치되는 횡도어고정부(331);
    상기 도어프레임(12)의 종도어프레임(122)이 위치되는 종도어고정부(332);
    상기 횡도어고정부(331) 및 종도어고정부(332)와 같은 평면을 이루면서 대면적을 이루며 타면으로 윙개폐문(11)의 일측이 접하는 도어대면적부(333);
    상기 도어대면적부(333) 끝단에서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대면적직교벽(334); 및
    상기 횡도어고정부(331) 및 종도어고정부(33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정 위치로써 하나 이상에 형성된 통공으로써, 볼트, 리벳, 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로 도어프레임(12)과 체결되거나 용접을 위한 통공을 이루는 엔드도어체결통공(335)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대면적부(333)는 삼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경첩(40)은,
    상기 윙메인프레임(15)에 고정된 중간보고정부(41);
    상기 윙개폐문(11)의 프레임인 도어프레임(12)에 고정된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
    상기 중간보고정부(31)에 대해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가 회전되게 회전축을 이루는 중간축핀(45);
    상기 중간보고정부(41)에서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 측 방향으로 연결되어지되 중간축핀(45)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원형통공을 형성한 중간보고정회전축공(42); 및
    상기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에서 중간보고정부(41) 측 방향으로 연결되어지되 중간축핀(45)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원형통공을 형성한 중간도어회전축공(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보고정부(41)는,
    상기 윙메인프레임(15) 아래에 접하는 중간메인프레임접촉부(411);
    상기 중간메인프레임접촉부(411)에서 중간보고정회전축공(42)으로 이어지고 중간메인프레임접촉부(411)와 단차를 두어 높이 차이가 있는 중간단차부(412);
    상기 중간메인프레임접촉부(411)의 소정 위치로써 하나 이상에 형성된 통공으로써, 볼트, 리벳, 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로 윙메인프레임(15)과 체결되거나 용접을 위한 통공을 이루는 중간보체결통공(413); 및
    상기 중간보체결통공(413) 보다 커다란 크기의 구멍을 형성한 중간보대형공(414)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단차부(412)는 상기 중간메인프레임접촉부(411) 양측 단에 구비되며, 양측단의 중간단차부(412) 사이로 윙메인프레임(15)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도어프레임고정부(43)는,
    상기 도어프레임(12)의 종도어프레임(122) 상면과 접하는 중간도어프레임하접촉부(431);
    상기 도어프레임(12)의 종도어프레임(122) 측면과 접하는 중간도어프레임측방접촉부(432); 및
    상기 중간도어프레임하접촉부(431)의 소정 위치로써 하나 이상에 형성된 통공으로써, 볼트, 리벳, 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로 도어프레임(12)과 체결되거나 용접을 위한 통공을 이루는 중간도어체결통공(4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KR1020160121469A 2016-09-22 2016-09-22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KR20180032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469A KR20180032361A (ko) 2016-09-22 2016-09-22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469A KR20180032361A (ko) 2016-09-22 2016-09-22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361A true KR20180032361A (ko) 2018-03-30

Family

ID=6190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469A KR20180032361A (ko) 2016-09-22 2016-09-22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2361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5236A (ja) * 1996-09-25 1998-04-14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ウィング型リヤボディのルーフヒンジ構造
KR20020082073A (ko) * 2001-04-23 2002-10-30 조섬연 윙바디트럭의 상부 힌지구조
KR100801750B1 (ko) * 2007-07-26 2008-02-21 동양중공업 주식회사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KR100827309B1 (ko) * 2007-10-09 2008-05-06 (주)탑월드특장차 윙바디용 개폐 보조장치
KR100865360B1 (ko) * 2008-05-02 2008-10-24 형제산업(주)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5236A (ja) * 1996-09-25 1998-04-14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ウィング型リヤボディのルーフヒンジ構造
KR20020082073A (ko) * 2001-04-23 2002-10-30 조섬연 윙바디트럭의 상부 힌지구조
KR100801750B1 (ko) * 2007-07-26 2008-02-21 동양중공업 주식회사 윙 바디의 윙 개폐 구조
KR100827309B1 (ko) * 2007-10-09 2008-05-06 (주)탑월드특장차 윙바디용 개폐 보조장치
KR100865360B1 (ko) * 2008-05-02 2008-10-24 형제산업(주) 윙 바디의 윙 결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6748B2 (en) Gooseneck hinge assembly for vehicles
US7669908B2 (en) Endgate hinge for motor vehicle having dual pivot axes
US8167341B2 (en) Swing gate latch system
US10882385B2 (en) Cover apparatus for truck cargo box
US5297841A (en) Cargo door assembly
KR20180032361A (ko) 윙바디화물차용 윙바디상부경첩구조물
JP2012025463A (ja) コンテナ
US7681284B1 (en) Hinge
KR101982876B1 (ko) 테일 게이트의 다이나믹 가이드 범퍼 구조
KR102005557B1 (ko) 종방향 또는 횡방향 개폐가 가능한 화물차량의 적재함 도어
KR200492338Y1 (ko) 적재함
WO2019125811A1 (en) Rod securing hinge and method
KR101794674B1 (ko) 특장차 리프트게이트용 스토퍼
KR100414702B1 (ko) 윙바디트럭의 상부 힌지
KR100456945B1 (ko) 화물용 승합차량의 테일 게이트 열림구조
US9822565B2 (en) Vehicle with removable flap
KR100456935B1 (ko) 트럭 적재함 개폐장치 구조
KR100434979B1 (ko) 스프링과 와이어를 이용한 적재함 테일 게이트 잠금 장치
KR100472242B1 (ko) 화물차 적재함 체결 구조
JP2001121962A (ja) 側面開放形荷台構造
KR200158034Y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KR200260746Y1 (ko) 화물차의 적재함 캐치 어셈블리
KR200241840Y1 (ko) 윙바디트럭의 상부 힌지구조
KR101836255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힌지 마운팅 유닛
US10039355B2 (en) Storag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