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456B1 - 동박적층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동박적층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456B1
KR101975456B1 KR1020130122098A KR20130122098A KR101975456B1 KR 101975456 B1 KR101975456 B1 KR 101975456B1 KR 1020130122098 A KR1020130122098 A KR 1020130122098A KR 20130122098 A KR20130122098 A KR 20130122098A KR 101975456 B1 KR101975456 B1 KR 101975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resin
copper foil
copper
pair
clad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3088A (ko
Inventor
신상현
이근용
김은실
권용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2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456B1/ko
Priority to JP2014027270A priority patent/JP2015077777A/ja
Priority to CN201410063544.2A priority patent/CN104553146A/zh
Publication of KR20150043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32B17/0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ond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23C14/20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rganic substrates
    • C23C14/205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rganic substrates by cathodic sputte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05K1/0353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 H05K1/0366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reinforced, e.g. by fibres,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08PCBs, i.e.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75Fibers and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9Woven fibrous reinforcement or text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회로패턴의 구현이 가능한 동박적층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동박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동박시트에 각각 액상의 절연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액상의 절연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절연수지가 도포된 한 쌍의 동박시트 사이에 보강재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동박시트와 보강재가 이송롤을 통과하면서 동박적층판으로 제조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조된 동박적층판을 히터를 통해 열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박적층판 및 그 제조방법{Copper clad laminate and manufacture method it}
본 발명은 동박적층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 회로패턴의 구현이 가능한 동박적층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층 프린트 기판에는 마더보드(mother board)용의 대형 다층 프린트 기판, 및 시스템ㆍ인ㆍ패키지(SiP)용의 소형 다층 프린트 기판(반도체 패키지 기판이라 불림)이 있다.
최근 반도체의 고밀도 실장 기술의 진보에 수반하여 미세 패턴을 구비한 반도체 패키지 기판이 주목받고 있다.
종래 반도체 패키지 기판에 반도체 소자를 플립 칩 방식으로 탑재하는 경우, 이 반도체 패키지 기판은 실장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반도체 패키지 기판에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어느 정도 두께의 내층 회로판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고집적화 및 고실장화에 따른 고다층화에 의해 이와 같은 내층 회로판을 적층 했을 경우 얻어지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두께가 증대한다.
한편, 다층 프린트 기판은 주로 내층 회로판에 절연 수지막과 도체 회로층을 번갈아 적층하는 빌드 업 방식에 의해 제조된다.
빌드 업 방식에 의한 다층 프린트 기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절연 수지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캐리어가 부착된 절연 수지막이 이용된다. 다층 프린트 기판의 박형화에 따라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목적으로 이 캐리어 부착 절연 수지막에 관해서도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절연 수지막으로서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캐리어 부착 프리프레그를 이용하여 개선된 기계적 강도와 실장 신뢰성을 가지는 다층 프린트 기판을 얻는 방법이 고안되어 있다.
또한, 다층 프린트 기판의 동박적층판은 다층 기판의 워피지를 감소시키도록 소정두께를 유지하며 내부에 반도체 소자를 임베디드 시키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동박적층판은 롤 라미네이트 장치를 이용해 절연 수지막을 유리 직물의 양면에 라미네이트 하여 프리프레그를 제조하고, 프리프레그의 양측면에 동박시트를 라미네이트 시켜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동박적층판은 롤 라미네이트 장치를 이용해 권취된 절연 수지막과 동박시트를 프리프레그와 함께 일체로 압축시켜 제조하게 되지만, 절연수지막과 동박적층판의 두께를 최소화시키는데 한계성이 있어 전체 두께를 보다 슬림화된 상태로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공개 제 2007-0466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동박시트의 제조공정 개선을 통해 보다 슬림화된 동박적층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연수지와 동박시트의 접합계면의 평탄화 통해 미세 회로 패턴의 구현이 가능한 동박적층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 쌍의 동박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동박시트에 각각 액상의 절연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액상의 절연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절연수지가 도포된 한 쌍의 동박시트 사이에 보강재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동박시트와 보강재가 이송롤을 통과하면서 동박적층판으로 제조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조된 동박적층판을 히터를 통해 열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절연수지는 바니쉬 또는 코팅제일 수 있다.
상기 절연수지가 도포된 후에는 절연수지가 도포된 동박시트가 히팅기 내부를 통과하며 건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는 글래스 페브릭 또는 글래스 크로스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동박적층판은 한 쌍의 캐리어 필름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캐리어 필름에 동박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동박시트에 각각 액상의 절연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액상의 절연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절연수지가 도포된 한 쌍의 동박시트 사이로 보강재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동박시트와 보강재가 이송롤을 통과하면서 동박적층판으로 제조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조된 동박적층판을 히터를 통해 열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상의 절연수지는 바니쉬 또는 코팅제일 수 있다.
상기 절연수지가 도포된 후에는 절연수지가 도포된 동박시트가 히팅기 내부를 통과하며 건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는 글래스 페브릭 또는 글래스 크로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동박시트는 캐리어 필름이 스퍼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 및 그 제조방법은 동박시트의 제조공정을 개선하여 보다 슬림화된 상태의 동박적층판을 제조할 수 있게 있으며, 절연수지와 동박시트의 접합계면의 평탄화를 통해 미세 회로 패턴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이 제조되기 위한 공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동박적층판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의 절연수지와 동박시트의 경계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이 제조되는 공정을 도시한 다른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이 제조되기 위한 공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동박적층판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의 절연수지와 동박시트의 경계면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이 제조되는 공정을 도시한 다른 실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100)은 한 쌍의 동박시트(10) 표면에 액상의 절연수지(20)를 도포하고 한 쌍의 동박시트(10) 사이에 보강재(30)를 삽입한 후 열 성형함으로써 초슬림화된 동박적층판(100)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동박적층판(10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 쌍의 동박시트(10)를 제공한다. 동박시트(10)는 1㎛ 이하의 범위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1~3㎛ 범주의 것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동박시트(10)는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이송롤(60) 사이에 선단부를 끼워 이송롤(60)의 회전속도에 비례하도록 풀림된다. 동박시트(10)는 구리를 소재로서 사용하지만 경우에 따라 니켈, 티타늄, 알루미늄 등을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합금 또는 이형재료의 멀티 레이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이송롤(60)에 의해 풀림되는 동박시트(10)에는 바니쉬(Varnish) 또는 코팅제인 액상의 절연수지(20)가 도포된다.
절연수지(20)는 필러(40)의 혼합 없이 레진만을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 실리카, 알루미나, AIN, BN 등의 필러(40)가 혼합된 상태로 도포될 수 있다.
절연수지(20)의 점도는 고점도를 유지하며 흐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가 바람직하며, 열경성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한 쌍의 동박시트(10)에 절연수지(20)가 도포된 후에는 동박시트(10)가 히팅기(70) 내부를 지나며 절연수지(20)가 경화된다.
히팅기(70)를 통과한 한 쌍의 동박시트(10)는 이송롤(60)의 회전에 의해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한 쌍의 동박시트(10) 사이에 보강재(30)가 투입된다.
보강재(30)는 글래스 페브릭(Glass fabric) 또는 글래스 크로스(Glass cloth)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15㎛~100㎛의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보강재(30)는 이송롤(60)의 회전에 의해 연속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권취된 상태에서 이송롤(60)의 회전속도에 비례하도록 풀림되며, 한 쌍의 동박시트(10) 사이에 이송롤(60)의 압착으로 동박시트(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롤(6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동박시트(10)와 절연수지 ()그리고 보강재(30)는 이송롤(60)의 압착에 의해 동박적층판(100)으로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이송롤(60)을 통과하여 동박적층판(100)이 제조되면, 동박적층판(100)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된 히터(80)를 통해 동박적층판(100)을 열 성형하게 된다. 열 성형은 히팅기(70)를 통과한 절연수지(20)가 더욱 견고하게 경화될 수 있도록 진행된다.
열 성형이 완료된 동박적층판(100)은 권취롤(미도시)에 감겨져 별도의 보관장소로 이송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동박적층판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박적층판(100)은 한 쌍으로 제공된 캐리어 필름(50)이 스퍼터(90)를 통과하면서 표면에 동박시트(10)를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동박시트(10)의 높이는 1㎛ 이내로 구성될 수 있다.
스퍼터(90)를 지나는 캐리어 필름(50)에 동박시트(10)가 생성되면, 동박시트(10)의 표면에는 바니쉬 또는 코팅제인 절연수지(20)가 도포된다. 절연수지(20)에는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필러(4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동박시트(10)와 절연수지(20)의 접합 계면은 스퍼터(90)를 이용하지 않는 동박시트(10)와 절연수지(20)의 결합에 비해, 스퍼터(90)를 이용해 동박시트(10)를 구성한 동박시트(10)와 절연수지(20)의 결합이 상대적으로 미세패턴을 구현하기 적합한 상태가 된다.
즉, 예를 들어 도 3(a)는 일반적인 동박시트(10)에 절연수지(20)가 접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접합 계면이 매우 불규칙한 산과 골을 형성하고 있다. 반대로 도 3(b)는 스퍼터(90)를 통해 동박시트(10)가 생성되고, 그 상부에 절연수지(20)가 적층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접합 계면이 비교적 완만한 굴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접합 계면상의 구조적 차이점은 미세회로패턴을 어느 정도 미세하게 구성할 수 있는가에 있다.
다시 말해, 도 3(a)의 경우 1㎛ 이하의 폭 부분만을 보면 동박시트(10)의 표면조도가 크기 때문에 절연수지(20)와의 밀착면이 매우 작아 미세패턴을 구현하기 어렵다.
그러나 도 3(b)의 경우 동박시트(10)의 표면조도가 작아 동박시트(10)와 절연수지(20) 사이의 평탄도가 도 3(a)보다 크기 때문에 1㎛ 이하의 미세패턴을 구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동박시트(10)에 절연수지(20)가 적층되면, 히팅기(70)를 통해 절연수지(20)를 경화시키게 된다.
절연수지(20)가 경화된 캐리어 필름(50)과 동박시트(10) 그리고 절연수지(20)는 이송롤(60)의 회전에 따라 압착되면서 이동되고, 이송롤(60)이 위치한 곳에서 한 쌍의 동박시트(10) 사이에 보강재(30)가 투입된다.
보강재(30)는 글래스 페브릭(Glass fabric) 또는 글래스 크로스(Glass cloth)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15㎛~100㎛의 두께로 구성된다.
즉, 보강재(30)는 한 쌍의 동박시트(10) 사이에 배치되며, 이송롤(60)의 회전에 따라 연속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권취된 상태에서 이송롤(60)의 회전속도에 비례하도록 풀림된다.
따라서, 이송롤(6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동박시트(10)와 절연수지(20) 그리고 보강재(30)는 동박적층판(100)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이송롤(60)을 통과하여 동박적층판(100)이 제조되면, 동박적층판(100)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된 히터(80)를 통해 열 성형 된다.
동박적층판(100)의 열 성형이 완료되면, 동박적층판(100)은 권취롤에 감겨져 보관장소로 이송된 후 기판 제조과정에서 캐리어 필름(50)을 동박시트(10)에서 분리하거나, 보관장소로 이송되기 전 캐리어 필름(50)을 동박시트(10)에서 분리한 후 권취롤에 감은 후 보관장소로 이송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기재된 동박적층판(100)은 1㎛이내의 미세회로 패턴으로 구현될 수 있어 점차 박형화되고 있는 전자부품의 트랜드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동박시트
20. 절연수지
30. 보강재
40. 필러
50. 캐리어 필름
60. 이송롤
70. 히팅기
80. 히터

Claims (11)

  1. 한 쌍의 동박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동박시트에 각각 액상의 절연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액상의 절연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절연수지가 도포된 한 쌍의 동박시트 사이에 보강재를 투입하여, 상기 보강재가 한 쌍의 상기 절연수지 사이에 배치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동박시트, 상기 절연수지 및 상기 보강재가 이송롤을 통과하면서 일괄 압착되어 동박적층판으로 제조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동박적층판을 히터를 통해 열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박적층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절연수지는 바니쉬 또는 코팅제인 동박적층판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수지가 도포된 후에는 절연수지가 도포된 동박시트가 히팅기 내부를 통과하며 건조되는 동박적층판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글래스 페브릭 또는 글래스 크로스 중 어느 하나인 동박적층판의 제조방법.
  5. 삭제
  6. 한 쌍의 캐리어 필름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캐리어 필름에 동박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동박시트에 각각 액상의 절연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액상의 절연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절연수지가 도포된 한 쌍의 동박시트 사이로 보강재를 투입하여, 상기 보강재가 한 쌍의 상기 절연수지 사이에 배치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동박시트, 상기 절연수지 및 상기 보강재가 이송롤을 통과하면서 일괄 압착되어 동박적층판으로 제조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조된 동박적층판을 히터를 통해 열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박적층판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절연수지는 바니쉬 또는 코팅제인 동박적층판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수지가 도포된 후에는 절연수지가 도포된 동박시트가 히팅기 내부를 통과하며 건조되는 동박적층판의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글래스 페브릭 또는 글래스 크로스 중 어느 하나인 동박적층판의 제조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박시트는 캐리어 필름이 스퍼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동박적층판의 제조방법.
  11. 삭제
KR1020130122098A 2013-10-14 2013-10-14 동박적층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75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098A KR101975456B1 (ko) 2013-10-14 2013-10-14 동박적층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4027270A JP2015077777A (ja) 2013-10-14 2014-02-17 銅張積層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1410063544.2A CN104553146A (zh) 2013-10-14 2014-02-25 覆铜层压体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098A KR101975456B1 (ko) 2013-10-14 2013-10-14 동박적층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088A KR20150043088A (ko) 2015-04-22
KR101975456B1 true KR101975456B1 (ko) 2019-05-07

Family

ID=5300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098A KR101975456B1 (ko) 2013-10-14 2013-10-14 동박적층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5077777A (ko)
KR (1) KR101975456B1 (ko)
CN (1) CN104553146A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8136A (en) * 1980-01-08 1981-08-07 Kanegafuchi Chem Ind Co Ltd Continuous manufacture of laminated substance
JPS5757652A (en) * 1980-09-25 1982-04-06 Kanegafuchi Chemical Ind Device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one surface metallic foil lined laminated plate
JP3447070B2 (ja) * 1992-09-17 2003-09-16 三井化学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用材料
JPH0911397A (ja) * 1995-06-30 1997-01-14 Hitachi Ltd 銅張積層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プリント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32763A (ja) * 1996-02-26 1997-09-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樹脂付き金属箔
JPH09296156A (ja) * 1996-05-01 1997-11-18 Ajinomoto Co Inc 金属薄層付き多層プリント配線板用層間接着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多層プリント配線板とその製造法
JPH1177892A (ja) * 1997-09-11 1999-03-23 Sumitomo Bakelite Co Ltd 銅張積層板の製造方法
JP2000077803A (ja) * 1998-08-31 2000-03-14 Airex Inc 有機繊維強化プリント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79877A (ja) * 1999-12-24 2001-07-03 Sumitomo Bakelite Co Ltd 積層板の製造方法
JP4025177B2 (ja) * 2001-11-26 2007-12-1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絶縁層付銅箔の製造方法
KR20030048282A (ko) * 2001-12-11 2003-06-19 파이어니어 테크놀로지 엔지니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동박 적층판의 제조 방법
KR100722620B1 (ko) 2005-10-31 2007-05-28 삼성전기주식회사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53530A (ja) * 2008-12-25 2010-07-08 Nikkan Industries Co Ltd プリント配線板用の樹脂付き銅箔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JP2013123907A (ja) * 2011-12-16 2013-06-24 Panasonic Corp 金属張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5962298B2 (ja) * 2012-07-27 2016-08-0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硬化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53146A (zh) 2015-04-29
JP2015077777A (ja) 2015-04-23
KR20150043088A (ko)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0461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9260228A (ja) 絶縁シート、銅張積層板、及び印刷回路基板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印刷回路基板
KR20110077403A (ko) 기판 제조용 캐리어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기판의 제조방법
WO2014185218A1 (ja) 樹脂多層基板の製造方法
TW201513761A (zh) 電路基板、電路基板的製造方法及電子機器
US20140186581A1 (en) Primer-coated copper foil having superior adhesive strength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302920B2 (ja)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5886335B2 (ja) 電子部品内蔵基板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内蔵基板
JP2016048768A (ja) 配線板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975456B1 (ko) 동박적층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6111359A (ja) 電子部品内蔵印刷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40357147A1 (en) Core of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4128971A (ja) 金属張積層板の製造方法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2019067864A (ja)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KR20150047926A (ko)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JP2011187641A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製造方法
KR101119380B1 (ko) 기판 제조용 캐리어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기판의 제조방법
JP5117262B2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
KR101055571B1 (ko) 기판 제조용 캐리어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기판의 제조방법
KR20150060001A (ko)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캐리어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JP2006160899A (ja) 電気絶縁性基材およ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KR102436612B1 (ko) 다층인쇄회로기판의 최외층 형성 방법
KR20140011202A (ko) 메탈 코어가 삽입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101601831B1 (ko) 글래스 코어의 제조 방법
TWI358976B (en) Substrate of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