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920B1 - 진드기 포착시트 - Google Patents

진드기 포착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920B1
KR101973920B1 KR1020187028807A KR20187028807A KR101973920B1 KR 101973920 B1 KR101973920 B1 KR 101973920B1 KR 1020187028807 A KR1020187028807 A KR 1020187028807A KR 20187028807 A KR20187028807 A KR 20187028807A KR 101973920 B1 KR101973920 B1 KR 101973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ite
resin
resin sheet
mi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3690A (ko
Inventor
에이지 아키바
Original Assignee
구라레이 트레이딩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라레이 트레이딩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구라레이 트레이딩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3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aliphatically bound aldehyde or keto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6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02A50/322
    • Y02A50/37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Toxi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진드기 포착시트(1)는, 진드기를 포착하는 점착시트(3)와, 점착시트(3) 위에 배치되며 유인제를 함유하는 수지시트(4)를 구비한다. 수지시트(4)에, 점착시트(3)를 노출하기 위한 복수의 수지시트 개구부(5)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진드기 포착시트
본 발명은 진드기를 유인하여 점착면으로 포착하는 진드기 포착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활 공간 안에서 특히 이불이나 베개 등의 침구류, 카펫, 쿠션, 펫매트 등에는 다수의 진드기가 번식하고 있으며, 이 진드기를 유인·포착하기 위한 진드기 포착시트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진드기 유인제와 점착제를 함유하는 유인층 표면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외측시트층을 접합시킨 진드기 포착시트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외측시트로 형성된 포장체 내부에, 점착층과 유인제가 수납되고, 점착층과 외측시트와의 사이에 통기성 시트가 배치된 진드기 포착시트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다공질 재료의 표면에 유인향료를 함침시키고, 그 표면을 열처리하여 유인향료에 함유된 향료 성분을 용융화시켜 다공질 재료의 표면 및 다공질 재료의 다수의 미세공 내부에 유인향료막이 형성된 진드기 유인 살충체를 구비한 진드기 포획기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또한, 진드기 유인물질과, 진드기 유인물질을 둘러싸는 필름포장체와, 필름포장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완충체를 구비한 진드기 포집매트가 제안되고 있다. 이 필름포장체는, 그 내부가 어둡게 되어 있고, 필름을 관통하는 다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진드기의 배광성(背光性)을 이용하여 필름에 형성된 작은 구멍을 통해 진드기를 어두운 곳(내부)으로 유인하고, 건조제로 사멸시킨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2-253103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2008-161102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2013-252102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공개 2015-029433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진드기 포착시트에서는, 점착면의 대부분이 외측시트층으로 피복되므로, 점착에 의한 진드기 포착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진드기 포착시트에서는, 어느 정도 진드기는 포착되나 진드기의 사체나 변이 축적되어 알레르겐의 발생원이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4에 기재된 진드기 포집매트는, 광이 닿지 않는 어두운 곳에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배광성의 효과가 낮고, 또한, 진드기는 저습도를 기피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유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진드기의 포착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진드기를 효율적으로 포착할 수 있게 됨과 함께, 진드기의 사체에 기인하는 알레르겐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진드기 포착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진드기 포착시트는, 진드기를 포착하는 점착시트와, 점착시트 위에 배치되며 유인제를 함유하는 수지시트를 구비하는 진드기 포착시트로서, 수지시트에, 점착시트를 노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점착시트로 유인한 진드기를 효율적으로 포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진드기의 사체에 기인하는 알레르겐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진드기 포착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진드기 포착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진드기 포착시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진드기 포착시트의 개구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진드기 포착시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진드기 포착시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진드기 포착시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드기 포착시트>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진드기 포착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진드기 포착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진드기 포착시트(1)는, 기재(2)와, 기재(2) 위에 배치된 점착시트(3)와, 점착시트(3) 위에 배치된 수지시트(4)를 구비한다.
이 진드기 포착시트(1)의 크기는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벽장의 이불 사이에 끼워 넣어 사용하는 경우, 길이와 폭을 각각 1㎝에서 100㎝로 하여도 되고, 취급성이나 폐기 시의 수고도 고려하여 5㎝에서 50㎝가 바람직하고, 10㎝에서 30㎝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요나 러그 타입의 카펫 밑에 깔 경우, 50㎝에서 2m의 범위라면 요나 러그 타입의 카펫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사용할 수 있고, 전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요 밑이나, 마루 전면을 덮는 카펫 밑에 설치하는 경우는 더 큰 크기로 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1m에서 50m의 범위로 설정하고, 이를 복수 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진드기는 어두운 곳을 좋아하므로, 검은색, 또는 어두운 색 계열의 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착 대상이 되는 진드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형태의 진드기 포착시트(1)는, 큰다리먼지진드기, 집먼지진드기, 하플로크토니우스 심플렉스(Haplochthonius simplex), 및 발톱진드기 등의 실내 진드기를 효율적으로 포착할 수 있다.
<기재>
기재(2)는, 점착시트(3)를 균등하게 유지하고, 시트로서 취급이 가능한 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이 기재(2)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종이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이나, 부직포, 직물지, 및 편물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기재(2)로는 유연하고 얇으며 점착제와의 접착성이 좋고, 점착제로 사용할 용제에 대해 내구성을 갖고, 치수안정성이 좋은 것이 사용된다.
<점착시트>
점착시트(3)는 점착면으로 진드기를 포착하기 위한 것이고, 진드기를 포착하는데 적절한 점착성을 갖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고무계, SIS블록계, 실리콘계의 점착제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점착제는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또한, 점착시트(3)의 점착력은 높은 쪽이 좋고, 점착 후, 반영구적으로 피착체에 접착하는 영구 접착 타입이 바람직하다. 일정 기간 부착한 후에 박리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재박리 타입의 점착시트는 비교적 점착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수지시트>
수지시트(4)는, 진드기를 유인하여 상기 점착면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갖는 것으로, 수지시트(4)에는 진드기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제가 함유된다. 이 유인제로는, 일반적으로 진드기를 유인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시트랄, 프로피온산게라닐, 포름산네릴, 포름산게라닐, 리모넨, 과일 엑기스, 불포화 지방산, γ-아카리디알(γ-Acaridial), 펜타데칸, 헵타데카디엔, 펜타디엔, 및 포름산2-포르밀3-하이드록시벤질 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특히, 게라니알과 그 구조이성체인 네랄로 이루어진 시트랄은, 진드기의 집합 페로몬으로 알려져 있고, 효과적으로 진드기를 유인할 수 있다.
또한, 수지시트(4)를 형성하는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유인제를 서서히 방출하여, 수지시트(4) 전체로 진드기를 효율적으로 유인하는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시트(4)에는, 복수의 수지시트 개구부(이하, 단순히 “개구부”라 함)(5)가 형성되어 있고, 수지시트(4)는 메쉬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개구부(5)를 개재하여, 점착시트(3)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개구부(5)와, 개구부(5)로부터 노출되는 점착시트(3)에 의해, 진드기 포착영역(7)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진드기 포착시트(1)에서는, 평면에서 본(즉, 도 1에 나타내는 평면도 상태) 점착시트(3)의 전체 면적을 S1, 개구부(5)로부터 노출되는 점착시트(3)의 면적을 S2로 한 경우에, 0.2≤S2/S1≤0.95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S2/S1가 0.2 미만인 경우는, 개구부(5)로부터 노출되는 점착시트(3)의 면적이 적어지므로, 진드기의 포착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S2/S1가 0.95보다 큰 경우는, 개구부(5)로부터 노출되는 점착시트(3)의 면적이 너무 커지므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개구부(5)로부터 노출되는 점착면을 잘못 만져 버려, 피부가 점착면에 점착되는 경우나, 쿠션이나 요 밑에 설치하여 사용할 때, 섬유가 점착면에 점착되는 경우가 있어 진드기 포착시트(1)의 취급성이 저하됨과 함께, 유효한 점착면이 감소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즉, 0.2≤S2/S1≤0.95로 설정함으로써, 사용감 저하 및 취급성 저하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진드기를 효율적으로 포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진드기 포착시트(1)에서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개구부(5)가 대략 원 형상을 갖고, 수지시트(4)의 두께를 T, 개구부(5)의 평균 개구 직경을 R로 한 경우에, 0.3≤T/R≤1.0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T/R가 0.3 미만인 경우는, 평균 개구 직경(R)에 비해 수지시트(4)의 두께(T)가 상대적을 작아지므로, 피부나 섬유가 점착면에 점착되는 경우가 있어 진드기 포착시트(1)의 취급성이 저하됨과 함께, 유효한 점착면이 감소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T/R가 1.0보다 큰 경우는, 평균 개구 직경(R)에 비해 수지시트(4)의 두께(T)가 상대적으로 커지므로, 수지시트(4)가 단단하고, 유연성이 저하되므로, 본 실시형태의 진드기 포착시트(1)를, 예를 들어, 쿠션이나 요 밑에 설치하여 사용할 때, 사용감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즉, 0.3≤T/R≤1.0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감 저하 및 취급성 저하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진드기를 효율적으로 포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평균 개구 직경”이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 형상을 갖는 복수의 개구부(5)의 각각의 직경 평균값을 말한다.
또한, 개구부(5)의 평균 개구 직경(R)의 범위는, 각 개구부(5)에 의해, 상술한 실내 진드기(몸 길이 : 50∼200㎛)를 효율적으로 포착하고, 또한 이미 포착된 진드기로 유인하여 다른 진드기도 포착할 수 있는 크기가 필요한 관점에서, 0.5㎜ 이상 2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 5㎜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시트(4)의 두께(T)의 범위는, 상술한 T/R의 적정 범위를 확보함과 함께, 진드기 포착시트(1)를 사용할 때 적절한 유연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0.5㎜ 이상 3.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진드기 포착시트(1)에서는, 수지시트(4)에 포함된 유인제가, 진드기 포착시트(1)의 전체로 증산되고, 효율적으로 진드기를 유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진드기 포착시트(1)에서는, 수지시트(4)에, 점착시트(3)를 노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구부(5)로부터 노출되는 점착시트(3)에 의해, 수지시트(4)에 함유되는 유인제로 유인한 진드기를 효율적으로 포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시트(4)가 메쉬 형상을 가지므로, 수지시트(4)에서, 다수의 개구부(5)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점착시트(3)에 의한 진드기 포착 수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인된 진드기는 메쉬 형상을 갖는 수지시트(4) 위를 돌아 다니고, 머지않아 개구부(5)로부터 노출되는 점착면에 포착되나, 포착된 진드기로부터도 유인제가 확산된다. 진드기는 진드기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포착된 진드기에, 다른 진드기가 유인되어 점착면에 떨어지고, 연쇄적으로 포착되게 된다.
또한, 포착된 진드기가 산란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 알 및 부화하는 진드기도 점착면에 포착된다. 또한, 진드기가 죽은 후에도 진드기는 점착면에 포착된 채이며, 죽을 때까지 배설한 변이나, 죽은 후의 분해물로 이루어진 알레르겐도 잇달아 점착면에 포착된 채가 되어 알레르겐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시트(4)가 메쉬 형상을 가지므로, 적절한 유연성과, 어느 정도의 경도를 겸비한 진드기 포착시트(1)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벽장의 이불 틈새나, 매트 밑 틈새 등에 세팅할 때, 간단히 끼워 넣어 설치할 수 있다.
<진드기 포착시트의 제조방법>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진드기 포착시트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수지시트(4)를 형성하는 수지에 유인제를 포함시킴으로써, 유인제를 함유함과 함께, 복수의 개구부(5)가 형성된 메쉬 형상을 갖는 수지시트(4)를 제작한다. 여기서, 유인제를 수지에 포함시키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질의 무기미립자에 유인제를 담지시킨 것을 수지에 포함시키는 방법이나, 팽윤성이 높은 수지에 고농도의 유인제를 흡수시킨 것을 첨가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본특허 제3963941호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유인제를 수지에 포함시킨 마스터배치를 제작하고, 이 마스터배치를, 수지시트(4)를 형성하는 수지에 포함시키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유인제를 수지시트(4)에 포함시킴으로써, 유인제 자체가 진드기의 먹이가 되지 않으므로, 포착 후 진드기의 증식을 억제시키고, 알레르겐 증가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지시트(4) 전체에 대한 유인제의 함유량은, 수지시트(4)로부터 서서히 방출됨으로써 수지시트(4) 주위의 유인제의 농도가 진드기를 유인할 수 있는 농도에 도달하고, 이 농도가 3개월 이상 유지할 수 있는 양 이상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단, 과잉량 함유하면, 사용 시 악취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비용적으로도 불리해진다.
이상으로, 악취 발생 및 비용 증가를 억제함과 함께, 진드기를 효율적으로 유인하는 관점에서, 수지시트(4) 전체에 대한 유인제의 함유량은, 0.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1질량% 이상 1질량%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점착시트(3)를 준비하고, 점착시트(3) 한쪽 면에, 기재(2)를 접합시킴과 함께, 다른 쪽 면에, 제작한 수지시트(4)를 접합시킨다. 그리고, 기재(2), 점착시트(3), 및 수지시트(4)가 접합된 적층체를, 원하는 크기로 가공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진드기 포착시트(1)를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점착시트(3)의 편면에, 개구부(5)를 갖는 수지시트(4)가 배치된 진드기 포착시트(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2) 양면에 점착시트(3)를 배치하여, 각 점착시트(3)의 표면(즉, 기재(2)측과는 반대측 표면)에, 개구부(5)를 갖는 수지시트(4)가 배치된 진드기 포착시트(10)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점착시트(3)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수지시트(4)가 배치된 진드기 포착시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 형상을 갖는 개구부(5)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평면에서 본 개구부(5)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대략 다각형상(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나, 대략 삼각형 형상), 대략 타원 형상 등이어도 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개구부(5)의 평균 개구 직경이란, 평면에서 보아, 각 개구부(5)의 대각선(D) 길이 중, 최대길이와 최소길이의 평균값을 말한다. 또한, 개구부가 대략 삼각형 형상인 경우에는, 평면에서 보아, 밑변과 높이의 평균값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가 대략 타원 형상인 경우에는, 평면에서 보아,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의 평균값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개구부(5)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개구부(5)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시트(3)측 형상이 단면 대략 원호 형상 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개구부(5)로부터 노출되는 점착시트(3)의 면적이 증가하므로, 유인한 진드기를 한층 더 효율적으로 포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지시트(4)의 형상이 단면 대략 원호 형상이거나, 윗변보다 아랫변이 짧은 사다리꼴인 경우에는, 개구부의 하측은 오버행 상태가 되므로, 이 표면을 타고 움직이는 진드기가 점착면 근방에 접근한 경우, 그 등이나 측부가 점착면에 접촉하기 쉬워지므로, 점착면으로 더 효율적으로 진드기를 포착하기 쉬워진다.
또한, 진드기 포착시트(1)의 주연부를 보호하는 관점에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드기 포착시트(1)의 주연부에 커버부재(8)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개구부(9)가 형성된 케이스(12) 내에, 진드기 포착시트(1)를 수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진드기 포착시트(1)의 점착면에, 미세한 섬유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표면을, 진드기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50㎛ 이상의 눈금 크기를 갖는 비교적 얇은 포백으로 덮을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들 실시예를 본 발명의 취지에 기초하여 변형,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제외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진드기 포착시트 제작)
먼저, 일본특허 제3963941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폴리프로필렌(J-108M : 일본 폴리프로필렌 주식회사제)과 SEPTON(SEPS2014 : 주식회사 쿠라레제)과 시트랄(오츠키코료 주식회사제)을 60/20/20의 질량비율로 2축혼련기를 이용하여 포함시키고, 스트랜드화, 커팅하여, 시트랄을 20질량%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을 베이스로 한 마스터배치 펠릿을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폴리프로필렌제 메쉬 성형품(다이닛폰 플라스틱 주식회사제, 상품명 : P-DM2, 검정 타입)을 제조할 때 공급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에, 제작한 마스터배치를 2질량% 배합하고, 시트랄이 0.4질량% 포함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수지시트를 얻었다. 한편, 수지시트의 두께는 1.0㎜, 개구부의 평균 개구 직경은 2.8㎜이고, 두께/평균 개구 직경=0.36이었다.
다음으로, 제작한 수지시트를, 아크릴계 양면 점착시트(도요 코팅 주식회사제, 상품명 : TC5510)의 양면에 접합시킨 후, 12㎝×18㎝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단하고, 진드기 포착시트를 제작하였다.
한편, 평면에서 본 점착시트의 전체 면적에 대한,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점착시트 면적의 비율은 57%였다.
(포착 평가)
다음으로, 큰다리먼지진드기의 배양지 위에, 시판되는 면지 2장을 깔고, 이 위에 제작한 진드기 포착시트를 재치하고,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64시간 후의 진드기 포착 수를 확인한 바, 대량(278,390마리)의 진드기가 포착되었다.
(실시예 2)
(진드기 포착시트 제작)
폴리프로필렌제 메쉬 성형품(다이닛폰 플라스틱 주식회사제, 상품명: DSX321)을 제조할 때 공급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에, 실시예 1에서 제작한 마스터배치를 2질량% 배합하고, 시트랄이 0.4질량% 포함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수지시트를 얻었다. 한편, 수지시트의 두께는 0.8㎜, 개구부의 평균 개구 직경은 4.1㎜이고, 두께/평균 개구 직경=0.20이었다.
다음으로, 제작한 수지시트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아크릴계 양면 점착시트(도요 코팅 주식회사제, 상품명 : TC5510)의 양면에 접합시킨 후, 12㎝×18㎝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단하고, 진드기 포착시트를 제작하였다.
한편, 평면에서 본 점착시트의 전체 면적에 대한,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점착시트 면적의 비율은 78%였다.
(포착 평가)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64시간 후의 진드기의 포착 수를 확인한 바, 다수의 진드기가 포착되었으나(56,060마리), 실시예 1의 포착 수보다 적었다.
이는 실시예 2에서는,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점착시트 면적의 비율이 78%로 크나, 두께/평균 개구 직경이 0.3보다 작으므로, 노출 비율이 큰 점착면 일부에 피부나 섬유가 점착되어, 결과적으로, 유효한 점착면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실시예 2에서도, 다수의 진드기가 포착되었고, 유인된 진드기를 효율적으로 포착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3)
(진드기 포착시트 제작)
폴리프로필렌제 메쉬 성형품(다이닛폰 플라스틱 주식회사제)을 제조할 때 공급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에, 실시예 1에서 제작한 마스터배치를 2질량% 배합하고, 시트랄이 0.4질량% 포함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수지시트를 얻었다. 한편, 수지시트의 두께는 1.1㎜, 개구부의 평균 개구 직경은 1.0㎜이고, 두께/평균 개구 직경=1.1이었다.
다음으로, 제작한 수지시트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아크릴계 양면 점착시트(도요 코팅 주식회사제, 상품명: TC5510)의 양면에 접합시킨 후, 12㎝×18㎝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단하고, 진드기 포착시트를 제작하였다.
한편, 평면에서 본 점착시트의 전체 면적에 대한,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점착시트 면적의 비율은 15%였다.
(포착 평가)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64시간 후의 진드기의 포착 수를 확인한 바, 진드기가 포착되었으나(5,117마리), 실시예 1의 포착 수보다 적었다.
이는 실시예 3에서는, 두께/평균 개구 직경이 1.0보다 크기 때문이고, 또한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점착시트 면적의 비율이 15%로 낮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실시예 3에서도, 진드기의 포착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진드기 포착시트 제작)
폴리프로필렌제 메쉬 성형품(다이닛폰 플라스틱 주식회사제)을 제조할 때 공급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에, 실시예 1에서 제작한 마스터배치를 2질량% 배합하고, 시트랄이 0.4질량% 포함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수지시트를 얻었다. 한편, 수지시트의 두께는 3.6㎜, 개구부의 평균 개구 직경은 2.9㎜이고, 두께/평균 개구 직경=1.24였다.
다음으로, 제작한 수지시트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아크릴계 양면 점착시트(도요 코팅 주식회사제, 상품명 : TC5510)의 양면에 접합시킨 후, 12㎝×18㎝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단하고, 두께가 7.5㎜의 진드기 포착시트를 제작하였다.
한편, 평면에서 본 점착시트의 전체 면적에 대한,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점착시트 면적의 비율은 45%였다.
(포착 평가)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64시간 후의 진드기의 포착 수를 확인한 바, 다수의 진드기가 포착되었고(168,530마리), 효율적으로 진드기를 포착할 수 있었다.
한편, 두께가 7.5㎜이고, 두께/평균 개구 직경이 1.0보다 크므로, 진드기 포착시트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이불 밑에 깔면 약간 사용감이 저하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드기를 유인하여 점착면으로 포착하는 진드기 포착시트에 특히 유용하다.
1 : 진드기 포착시트
2 : 기재
3 : 점착시트
4 : 수지시트
5 : 수지시트 개구부(개구부)
7 : 진드기 포획영역
8 : 커버부재
9 : 케이스 개구부
10 : 진드기 포착시트
12 : 케이스
R : 개구부의 평균 개구 직경
S1 : 평면에서 본 점착시트의 전체 면적
S2 : 평면에서 보아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점착시트의 면적
T : 수지시트의 두께

Claims (6)

  1. 진드기를 포착하는 점착시트와,
    상기 점착시트 위에 배치되며 유인제를 함유하는 수지시트
    를 구비하는 진드기 포착시트로서,
    상기 수지시트에, 상기 점착시트를 노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포착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점착시트의 전체 면적을 S1, 상기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점착시트의 면적을 S2로 한 경우에, 0.2≤S2/S1≤0.95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포착시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상기 개구부가 원 형상을 갖고,
    상기 수지시트의 두께를 T, 상기 개구부의 평균 개구 직경을 R로 한 경우에, 0.3≤T/R≤1.0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포착시트.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는, 상기 수지시트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포착시트.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지시트가 메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포착시트.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가, 시트랄, 프로피온산게라닐, 포름산네릴, 포름산게라닐, 리모넨, 과일 엑기스, 불포화 지방산, γ-아카리디알(γ-Acaridial), 펜타데칸, 헵타데카디엔, 펜타디엔, 및 포름산2-포르밀3-하이드록시벤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포착시트.
KR1020187028807A 2016-03-08 2017-03-01 진드기 포착시트 KR101973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44004A JP6101837B1 (ja) 2016-03-08 2016-03-08 ダニ捕捉シート
JPJP-P-2016-044004 2016-03-08
PCT/JP2017/008146 WO2017154702A1 (ja) 2016-03-08 2017-03-01 ダニ捕捉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690A KR20180123690A (ko) 2018-11-19
KR101973920B1 true KR101973920B1 (ko) 2019-04-29

Family

ID=5836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807A KR101973920B1 (ko) 2016-03-08 2017-03-01 진드기 포착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116777A1 (ko)
EP (1) EP3415003A4 (ko)
JP (1) JP6101837B1 (ko)
KR (1) KR101973920B1 (ko)
CN (1) CN107404867B (ko)
HK (1) HK1246592A1 (ko)
SG (1) SG11201807654VA (ko)
WO (1) WO2017154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2425B2 (en) * 2016-04-12 2021-03-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d bug monitor
WO2019176840A1 (ja) * 2018-03-14 2019-09-19 株式会社カーボーイ 捕虫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捕虫具
USD893506S1 (en) * 2018-10-24 2020-08-18 Beijing Miiiw Technology Co., Ltd. Mouse pad
JP7452995B2 (ja) * 2019-12-26 2024-03-19 アース製薬株式会社 ダニ捕獲器
JP2021103955A (ja) * 2019-12-26 2021-07-26 株式会社大阪製薬 ダニ誘引具
US20220408716A1 (en) * 2021-06-29 2022-12-29 Michael McGrade McGrade Augmented rodent trap device and method of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1102A (ja) 2006-12-28 2008-07-17 Masaru Ihara 防ダニ捕獲シート
JP2015100299A (ja) 2013-11-22 2015-06-04 カモ井加工紙株式会社 ダニ類増殖抑制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1868A (ko) * 1973-11-13 1975-07-02
JPS63101079U (ko) * 1986-12-22 1988-06-30
JPH041812Y2 (ko) * 1987-10-02 1992-01-22
JPH0348476U (ko) * 1989-09-11 1991-05-09
JP3604517B2 (ja) * 1996-08-10 2004-12-22 日東電工株式会社 ダニ捕獲検知シート
JP3607012B2 (ja) * 1996-08-10 2005-01-05 日東電工株式会社 ダニ捕獲検知シート
JP2001302411A (ja) * 2000-04-20 2001-10-31 Kunihiro Yamamoto 皮膚ダニ捕捉用皮膚パックシート
JP3848842B2 (ja) * 2001-03-06 2006-11-22 凸版印刷株式会社 防ダニシート
JP3689054B2 (ja) * 2002-02-22 2005-08-31 秀夫 渡辺 誘引ダニ確認用具
JP3119028U (ja) * 2005-09-22 2006-02-16 秀義 伊原 粘着式ダニ捕獲シート
JP2009213417A (ja) * 2008-03-11 2009-09-24 Dainippon Printing Co Ltd 寝具用ダニ捕獲撃滅シート
US9226488B2 (en) * 2012-03-08 2016-01-05 Be-Gone Inc. Insect trap and monitor
CN202635385U (zh) * 2012-04-08 2013-01-02 王亮 除螨贴
CN202618079U (zh) * 2012-05-10 2012-12-26 有限公司日革研究所 螨虫捕获装置
JP5912889B2 (ja) 2012-06-07 2016-04-27 有限会社日革研究所 ダニ捕獲器
CN103392681A (zh) * 2013-07-12 2013-11-20 嘉兴乾昆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昆虫诱捕荧光胶粘膜
JP5369247B1 (ja) * 2013-07-31 2013-12-18 石崎資材株式会社 ダニ捕集マット
US9814232B2 (en) * 2014-02-18 2017-11-14 Nissha Printing Co., Ltd. Insect control sheet
JP2016202129A (ja) * 2015-04-28 2016-12-08 有限会社日革研究所 食品収納袋等のダニ侵入防止方法、防ダニテープおよび食品収納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1102A (ja) 2006-12-28 2008-07-17 Masaru Ihara 防ダニ捕獲シート
JP2015100299A (ja) 2013-11-22 2015-06-04 カモ井加工紙株式会社 ダニ類増殖抑制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807654VA (en) 2018-10-30
EP3415003A4 (en) 2019-03-27
US20190116777A1 (en) 2019-04-25
HK1246592A1 (zh) 2018-09-14
JP6101837B1 (ja) 2017-03-22
CN107404867A (zh) 2017-11-28
WO2017154702A1 (ja) 2017-09-14
KR20180123690A (ko) 2018-11-19
JP2017158456A (ja) 2017-09-14
CN107404867B (zh) 2021-08-17
EP3415003A1 (en)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920B1 (ko) 진드기 포착시트
US20120291337A1 (en) Bug Housing for Attracting, Monitoring, and Detecting Bugs
US20060260559A1 (en) Multifunctional canine training pad
US20150143741A1 (en) Mite propagation inhibition sheet
KR101700995B1 (ko) 진드기 포집 매트
JP2014226042A (ja)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JP2009089610A (ja) ダニシート
JP7129479B2 (ja) 歩行性害虫捕獲装置
JPH07327573A (ja) ダニ取りシート
JP2015084718A (ja) ダニ捕集紙器
JP2018074973A (ja) 3次元ダニ捕獲体
WO2021019894A1 (ja) 虫バリアテープ
JP7154050B2 (ja) 昆虫捕獲用粘着トラップ
JP2020054288A (ja) ダニ誘引捕獲器
JP3607012B2 (ja) ダニ捕獲検知シート
JP4441810B2 (ja) 害虫捕獲シート
JP2001069894A (ja) 捕虫トラップ
JP2001354503A (ja) ダニ検知捕獲シート
JP2017131139A (ja) ダニ捕獲シート
JP3054884U (ja) ペット用シ−ツ
WO2023157760A1 (ja) 歩行性害虫捕獲装置
JP7452995B2 (ja) ダニ捕獲器
WO2023054674A1 (ja) 歩行性害虫捕獲装置
JP2014001150A (ja) 害虫防除方法
AU2022257726A1 (en) Tick-trapping product and tick-trapp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