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107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107B1
KR101971107B1 KR1020177015542A KR20177015542A KR101971107B1 KR 101971107 B1 KR101971107 B1 KR 101971107B1 KR 1020177015542 A KR1020177015542 A KR 1020177015542A KR 20177015542 A KR20177015542 A KR 20177015542A KR 101971107 B1 KR101971107 B1 KR 101971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ortion
absorbent article
flat
concave portion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249A (ko
Inventor
이즈미 타시로
요시히로 타키야마
아키라 소노다
Original Assignee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0613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092841A1/ja
Publication of KR2017008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13/5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characterised by the vertical shape of the apertures, e.g. three dimensional apertures, e.g. macro-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13/512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the apertures being formed on a multilayer top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98Othe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of the 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embossed
    • A61F2013/51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embossed in gr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3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improved touch or feeling, e.g. smooth film

Abstract

액투과성의 표면세트(14)와, 액불투과성의 이면시트(12)와, 상기 표면시트(14)와 상기 이면시트(12)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13)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10)으로서, 전부 또는 일부를 오목부(21r)로 구성되는 홈부(21)이며, 상기 오목부(21r)는, 상기 흡수성 물품(10)의 상기 표면시트(14)측에, 상기 표면시트(14)와 상기 흡수체(13)를 일체적으로 접합하여 형성되는, 홈부(21)와, 상기 홈부(21)로 둘러싸이는 평탄부(24a)를 포함하고, 상기 평탄부(24a)에 대한 최대 내접원의 직경(R1)은, 상기 최대 내접원의 직경방향을 따른 상기 홈부(21)의 폭(L1)의 5배 이상 20배 이하이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냅킨이나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은, 배출된 소변 등의 체액(이하, 단순히 '체액'이라고 함)의 대부분을 흡수체에 의하여 흡수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이 체액을 흡수한 후, 피부와 흡수성 물품 사이의 공간이 다습해져, 피부에 끈적이는 느낌 등을 주게 된다. 종래,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흡수한 후의 끈적임을 경감하기 위한 궁리가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에, 지그재그 패턴 등 규칙적으로 섬세한 요철을 형성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표면시트가 흡수체도 포함하여 요철 형상으로 압착된 것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표면시트(또는 흡수체를 포함한 것)에 요철을 마련함으로써, 피부에 볼록한 부분의 선단이 접촉하고, 요철이 없는 것에 비하여,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저감시켜, 끈적거림을 억제한다고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275239호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213488호
여기에서, 예를 들어 일회용 기저귀는, 수회분의 배뇨를 확실히 흡수할 수 있는 흡수력이 필요하며, 흡수력을 높이기 위하여, 흡수체는 펄프와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이하 'SAP'라고 함)가 혼합된 것이 많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체액을 흡수하면, SAP의 영향으로 흡수체가 크게 팽창하여, 표면시트에 마련한 요철은, 흡수체 자체의 팽창에 의하여 사라져, 별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요철이, 표면시트 및 흡수체를 압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데, 이 요철의 치수에 대하여는, 끈적임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여전히 개량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에 감안하여, 체액을 흡수한 후의 흡수체의 접촉에서 오는 피부의 끈적임을 경감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액투과성의 표면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시트와, 표면시트와 이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전부 또는 일부를 오목부로 구성되는 홈부이며, 오목부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측에, 표면시트와 흡수체를 일체적으로 접합하여 형성되는, 홈부와, 홈부로 둘러싸이는 평탄부를 포함하고, 그 평탄부에 대한 최대 내접원의 직경은, 최대 내접원의 직경방향을 따른 홈부의 폭의 5배 이상 20배 이하이다.
또한, 오목부가 평탄부의 외주의 50% 이상을 둘러싸도 좋다.
오목부는, 표면시트와 흡수체를 함께 압축하여 형성되며, 오목부의 깊이는, 평탄부의 두께의 1/2 이상이다.
그리고, 홈부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액투과성의 표면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시트와, 표면시트와 이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전부 또는 일부를 오목부로 구성되는 홈부이며, 오목부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측에, 표면시트와 흡수체를 일체적으로 접합하여 형성되고, 배치되는, 홈부와, 홈부 사이에 위치하는 평탄부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2개의 홈부에 끼워진 평탄부에 대한 최대 내접원의 직경은, 최대 내접원의 직경방향을 따른 홈부의 폭의 5배 이상 20배 이하이다.
그리고, 홈부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흡수체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SAP양은 0.01g/cm2 이상이어도 좋다.
그리고,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여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일정 이상의 넓이를 가지는 평탄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평탄부에 의하여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신체의 곡면에 대하여 완전히 피트(fit)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간격이 형성되므로, 체액을 흡수한 후에도 피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가지기 쉽게 되어, 착용자에게 끈적임을 주기 어렵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응용한 실시형태 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저귀를 착용한 하반신을 등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기저귀를 분해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기저귀의 가랑이 부분을 톱시트측에서 본 부분상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기저귀의 가랑이 부분의 V-V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의 기저귀의 흡수부분이 체액을 흡수한 후, 기저귀가 착용자의 신체의 곡면에 대하여 간격을 가지고 접촉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의 기저귀의 흡수부분의 표면을 확대한 부분상면도이다.
도 8은 압착부를 간헐적으로 배열하고, 오목부를 형성한 예를 나타내는 부분상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흡수부분에 오목부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평탄부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부분상면도이다.
도 12는 흡수부분에 물결 형상의 오목부를 배열하여 형성되는 평탄부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부분상면도이다.
도 13은 흡수부분에 원 형상의 오목부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평탄부 패턴의 예를 나타태는 부분상면도이다.
도 14는 흡수부분에 불연속적인 오목부를 정육각형 형상으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평탄부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부분상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이하, 단순히 '기저귀'라고 함)(10)에 응용한 실시형태 1의 외관에 있어서,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를 도 1에 도시하고, 등쪽에서 본 사시도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는, 이러한 기저귀(10)를 영유아가 착용하였을 때의 등쪽에서 본 하반신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더욱이, 도 1, 도 2에 도시하는 기저귀(10)를 파단전개한 분해 상태로 도 3에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저귀(10)는, 신체 앞쪽 영역(10F)과, 신체 뒤쪽 영역(10R)과, 이들 신체 앞쪽 영역(10F) 및 신체 뒤쪽 영역(10R)을 연결하는 가랑이 영역(10C)을 가진다. 또한, 착용시에 신체 앞쪽 영역(10F)과 신체 뒤쪽 영역(10R)에서 착용자의 웨이스트 부분을 둘러싸는 웨이스트 둘레 개구부(10W)가 형성되어 있다. 신체 앞쪽 영역(10F) 및 신체 뒤쪽 영역(10R)의 일부와 가랑이 영역(10C)에서 착용자의 양다리의 넓적다리 부분을 둘러싸는 좌우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10L)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용시에 신체 앞쪽 영역(10F)은, 착용자의 배쪽에 위치하고, 신체 뒤쪽 영역(10R)은 착용자의 등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가랑이 영역(10C)은, 착용자의 가랑이를 덮고, 좌우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10L)에, 착용자의 다리가 각각 통과된 형태가 된다. 따라서, 다리 둘레 개구부(10L)는, 착용자의 양 다리의 사타구니에서 넓적다리 부근의 어느 곳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기저귀(10)의 신체 뒤쪽 영역(10R)에는, 기저귀(10)를 폐기할 때에 작게 말아서 고정하기 위한 폐기 테이프(10T)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기저귀(10)를 적정한 방향으로 착용하였을 때, 신체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P)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상선(P)은, 신체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기저귀(10)의 중앙부에 있어서 배쪽에서 등쪽을 향하여, 가랑이 부분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상선(P)은, 예를 들어 기저귀(10)의 웨이스트측을 위, 가랑이측을 아래로 하면, 기저귀(10)의 표면을 따라서, 그리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가랑이 부분을 경유하여, 등쪽에서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이하, 필요에 따라서, 가상선(P)을 이용하여 각 부위의 위치관계를 설명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저귀(10)는, 바깥쪽에서 순서대로 커버시트(11)와, 백시트(이면시트)(12)와, 흡수체(13)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톱시트(표면시트)(14)와, 입체개더를 형성하기 위한 한쌍의 사이드시트(18)를 겹쳐 접합한 것이다. 더욱이, 커버시트(11)는, 백시트(12)의 아래에 겹쳐지는 패드 커버시트(11A)와 이너 커버시트(11B), 아우터 커버시트(11C)로 세분되며, 모두 양호한 감촉을 얻기 위하여 얇은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0)의 신체 앞쪽 영역(10F) 및 신체 뒤쪽 영역(10R)을 구획하는 이너 커버시트(11B), 아우터 커버시트(11C)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가 상호 접합되어 폐합부(10J)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의 웨이스트 둘레 개부구(10W)가 구획된다. 이너 커버시트(10B), 아우터 커버시트(11C)는, 가랑이 영역(10C) 부분에서 둘로 분리되어 있으며, 가랑이 부분은, 패드 커버시트(11A)가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양다리의 넓적다리 부분을 둘러싸는 좌우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10L)는, 이 패드 커버시트(11A)의 단부와 폐합부(10J)의 단부에 의하여 구획된다. 액불투과성의 백시트(12)는, 이 패드 커버시트(11A)에 접합되며, 앞의 흡수체(13)는, 이 백시트(12)와 액투과성의 톱시트(14) 사이에 배치되고, 이 흡수체(13)를 통하여 톱시트(14)가 백시트(12)에 접합된다. 톱시트(14)에는 한쌍의 사이드시트(18)가 접합되고, 한쌍의 사이드시트(18)의 끝단 가장자리부에는, 입체개더를 형성하기 위한 탄성실(19)이 신장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이너 커버시트(11B), 아우터 커버시트(11C)는, 가랑이 부분도 연속된 1매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다리 둘레 개구부(10L)는, 탄성실에 의한 개더가 치우쳐진 형태로 되어 있어도 좋다.
도 4는 기저귀(10)의 가랑이 부분을 톱시트(14)측에서 본 부분상면도이다.
톱시트(14)의 아래에 위치하는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는, 주로 펄프와 SAP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SAP양은, 펄프양에 대하여, 1:0.8~1:1.5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13)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SAP양은 0.01g/cm2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체(13)는, 단위면적당 펄프양이 0.017g/cm2이고, SAP양이 0.023g/cm2이다.
흡수체(13)는, 신체 앞쪽, 가랑이, 신체 뒤쪽에 걸치도록, 가늘고 긴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흡수체(1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체 앞쪽 부분(M1), 가랑이 부분(M2), 신체 뒤쪽 부분(M3)으로 셋으로 구분되어 있다. 가랑이 부분(M2)에는, 양다리의 넓적다리 부분을 둘러싸는 좌우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10L)에 맞추어, 원호 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절결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절결부(13A)는, 흡수체(13)의 크기에 따라서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는, 절결부(13A)가 설치되고, 중앙부의 폭이 전후 단부에 비하여 좁은 모래시계형의 것인데, 본 발명의 흡수체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은다. 신체 앞쪽 부분에서 신체 뒤쪽 부분을 전후(상하) 방향으로 하고,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면, 본 발명의 흡수체는, 예를 들어 전후(상하) 단부의 모서리가 둥글게 되어 있는 것, 전후(상하)로 연장되는 타원형의 것, 원형의 것, 전후(상하)의 길이가 좌우의 길이와 다른 직사각형의 것, 전후(상하) 좌우의 길이가 같은 정사각형의 것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다.
기저귀(10)의 톱시트(14) 및 흡수체(13)로 이루어지는 흡수부분(이하, 단순히 '흡수부분'이라고도 함)은, 홈부(21) 및 평탄부(24)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있어서, '홈부'란, 전부 또는 일부를 오목부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참조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있어서, '오목부'란, 흡수성 물품(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저귀(10))의 상기 흡수부분 중, 압착되어 있지 않은 흡수부분의 최대 두께에 대하여 1/2 이하가 되는 두께를 가지는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참조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있어서, '평탄부'란, 흡수성 물품의 상기 흡수부분 중, 홈부 이외의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참조되며, 예를 들어 평탄부는, 산형, 물결형, 사다리꼴, 직사각형 등이어도 좋다. 특히, 산형인 경우, 산형의 꼭대기부는 피부에 접촉하는 한편, 산형의 산기슭부는 피부에 접촉하기 어렵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피부에 대한 접촉면적이 작아져, 피부에 대한 끈적임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평탄부(24)는, 홈부(21)로 둘러싸이는 제1 평탄부(24a)와, 홈부(21)로 둘러싸이지 않은 제2 평탄부(24b)의 2종류의 평탄부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21)의 전부는, 오목부(21r)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평탄부(24)는, 오목부(21r)로 둘러싸이는 제1 평탄부(24a)와, 오목부(21r)로 둘러싸이지 않은 제2 평탄부(24b)의 2종류의 평탄부를 가지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0)는, 제1 평탄부(24a)를 적어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및 후술하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흡수부분에는, 톱시트(14)의 표면으로부터 흡수체(13)를 향하여 압착하여 오목부(21r)가 규칙적으로 형성됨으로써, 피부에 접촉하는 면이, 복수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있다.
즉, 원래 대략 평평한 흡수부분에, 예를 들어 엠보싱 가공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압착하여 패임을 마련함으로써 오목부(21r)가 형성되고, 흡수부분은 이 오목부(21r)에 의하여 복수의 평탄부(24)로 분할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제1 평탄부(24a)의 사이는, 오목부(21r)에 의하여 모두 구분되고, 흡수부분의 표면에 규칙적으로 제1 평탄부(24a)와 오목부(21r)가 늘어서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목부(21r)는, 기저귀(10)의 흡수부분의 폭방향(도 4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단부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중앙부에 길이방향(도 4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을 따른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1r)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부분의 영역을 오목부 형성영역(N1)으로 하고, 오목부(21r)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흡수부분의 폭방향 양단부의 영역을 오목부 비형성영역(N2)으로 한다. 이것은, 후술하지만, 오목부(21r)는 적어도 기저귀(1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면, 오목부(21r)가 없는 것에 비하여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 비형성영역(N2)을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흡수체(13)의 단부까지 오목부(21r)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목부 비형성영역(N2)을 마련하지 않은 구성이어도 좋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기저귀의 가랑이 부분의 V-V방향의 단면도이고, 비스듬한 격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21r)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톱시트(14)의 흡수체(13)와 접하는 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톱시트(14)와 흡수체(13)를 함께 엠보싱 가공에 의하여 압착하여 오목부(21r)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오목부(21r)의 바닥면(바닥벽(22a))으로부터 벽면(측벽)(22b)에 걸치는 오목부(21r) 전체에 있어서, 톱시트(14)와 흡수체(13)가 맞물려, 일체적으로 접합된다. 오목부(21r)의 바닥부분에 있어서의 톱시트(14)와 흡수체(13)로 이루어지는 두께(흡수부분의 두께)의 일례를 들면, 압착하지 않은 경우의 두께의 1/6이다. 이 경우, 깊이는, 톱시트(14)와 흡수체(13)를 적층한 두께의 약 8할까지 도달하고 있어, 톱시트(14)에만 요철을 부여한 경우에 비하여, 깊은 것이 된다. 압착에 의한 흡수체(13)의 압축은, 압착하지 않은 경우의 두께의 약 1/2~1/7 정도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4~1/7 정도이다. 또한, 오목부(21r)의 깊이는, 평탄부(24)의 두께의 6/7~1/2이 바람직하고, 6/7~3/4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엠보싱 가공 전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다른) 흡수체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런데, 기저귀의 경우, 예를 들어 한번에 대량으로 배출되는 소변을, 흡수체(13)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흡수하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으로, 톱시트(14)와 흡수체(13)를 압착한 오목부(21r)는, 흡수체(13)가 압축되어 있으므로, 압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비하여, 체액을 흡수하기 어려워, 주된 흡수영역은, 압착되어 있지 않은 평탄부(24)이다. 따라서, 평탄부(24)는 체액을 순간적으로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이 필요시 된다.
본 발명의 평탄부(24)는, 이 면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고찰에 근거하여, 결정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저귀(10)는, 착용상태에 있어서, 가랑이부 전체를 덮도록 하여, 배쪽에서 등쪽에 걸쳐서 흡수체(13)가 위치하게 된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착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기저귀(10)는, 가랑이 영역(10C)의 중앙부를 정점으로 하여 휘어져서 아래 방향(화살표 J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내려가도록 되어 있어, 가랑이의 중앙부분에는 밀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체액을 흡수하여 팽창한 흡수체(13)가 가랑이에 밀착하면, 가랑이가 습해지기 쉽기 때문에, 가랑이와 기저귀(10)의 사이에는 다소의 공간이 있는 편이 좋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가랑이 영역(10C)에 이어지는 둔부의 둥근 부분에 대치하는 둔부영역(K)은, 기저귀(10)를 위로 끌어올리는 동작에 따라서, 피부에 밀착되기 쉬운 부분의 하나이다.
착용자가 위를 향하는 등 해서 누워 있는 상태에서 체액을 배출하면, 기저귀(10)의 가랑이 부분(10C)뿐만 아니라, 신체 뒤쪽 영역(10R)에도 체액이 흐르기 쉬워진다. 특히, 둔부영역(K)은 누워 있는 상태에서는 가장 낮은 위치가 되므로, 체액이 흘러들어가기 쉬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일어나 앉은 상태에서도, 둔부영역(K)은, 가장 낮은 위치가 되므로, 체액이 흘러들어가기 쉬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형태 1의 기저귀(10)의 흡수부분이 체액을 흡수한 후, 기저귀(10)가 착용자의 신체의 곡면에 대하여 간격을 가지고 접촉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0)는, 흡수부분에, 일정 이상의 크기의 제1 평탄부(24a)와, 인접하는 제1 평탄부(24a)를 구획하는 오목부(21r)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신체(B)의 곡면을 따라서 기저귀(10)를 위치시켰을 때, 일정 간격으로 오목부(21r)가 출현하고, 피부와의 사이에 일정 간격의 오목부(21r)에 의한 간격을 형성한다.
더불어, 오목부(21r)는, 톱시트(14)와 흡수체(13)를 함께 압착한 부분으로, 오목부(21r)의 폭방향에 있어서 굴곡되기 쉽다. 즉, 흡수부분은, 오목부(21r)의 바닥면(22a)을 굴곡부분으로서 골짜기접기(valley fold) 혹은 산접기(mountain fold)로 접혀, 제1 평탄부(24a)의 면폭을 기준으로 한, 신체의 곡면에 근사한 다면으로 따르게 된다. 이와 같이, 신체(B)의 커브에 대하여 제1 평탄부(24a)의 단위로 따르므로, 곡면의 호에 완전히 피트되는 것은 아니며, 피부와, 이것에 대치하는 흡수부분 사이에 공간(B1)을 가지게 된다.
또한, 체액을 흡수한 후에도, 제1 평탄부(24a)는, 제1 평탄부(24a)의 중앙을 정점으로 한 완만한 돔 형상으로 팽창한다. 도 6에 점선(S)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평탄부(24a)가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돔 형상(단면이 가운데가 불룩한 어묵 형상)으로 팽창되게 된다. 따라서, 제1 평탄부(24a)가 팽창하여 피부에 접촉하였더라도, 그 접촉면적은 제1 평탄부(24a)의 전역에 걸치는 것이 아니라 돔의 정점 부분이 되어, 피부에 접촉하는 면적이 적어지는 결과, 끈적임이 억제되게 된다. 또한, 그 접촉부분 이외에는, 간격을 가지게 되므로, 통기가 확보되어, 피부의 습함이나 발진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끈적임을 억제하기 위하여는, 제1 평탄부(24a)는 어느 정도의 크기가 필요하다. 제1 평탄부(24a)의 최적의 크기는, 구체적으로는, 오목부(21r)(홈부(21))로 둘러싸이는 제1 평탄부(24a)에 대한 최대 내접원의 직경과, 그 최대 내접원의 직경방향을 따른 오목부(21r)(홈부(21))의 폭으로 결정된다. 여기에서는, 그 최대 내접원의 직경을 R1로 하고, 오목부(21r)의 그 폭을 L1로 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오목부(21r)의 폭(L1)은 약 2mm이다. 그리고, 감촉 등을 고려하면, 오목부(21r)의 폭(L1)은 1mm 이상 5mm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21r)는 정사각형 형상을 나타내도록, 제1 평탄부(24a)를 둘러싼다. 여기에서는, 오목부(21r)로 둘러싸이는 제1 평탄부(24a)에 대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L2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L2)는 약 30mm이다. 따라서, 그 정사각형의 최대 내접원의 직경(R1)도 약 30mm이다. 평탄부(24)의 크기에 대하여, 5mm≤L2≤40mm, 5mm≤R1≤40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최대 내접원의 직경(R1)은, 오목부(21r)의 폭(L1)의 5배 이상 20배 이하가 바람직하고, 10배 이상 20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경(R1)은 폭(L1)의 약 15배로 되어 있다.
최대 내접원의 직경(R1)이 오목부(21r)의 폭(L1)의 5배 미만이면, 제1 평탄부(24a) 자체의 면적이 좁아, 신체와의 공간을 유지하면서 신체의 곡면을 따르는 효과가 별로 발휘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평탄부(24a)가 어느 정도의 면적을 확보하고 있어도, 제1 평탄부(24a)에 대하여, 오목부(21r)의 폭(L1)이 상당히 넓으면, 흡수부분 전체의 면적에 차지하는 제1 평탄부(24a)의 면적이 좁아져, 감촉이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않은다. 또한, 주된 흡수영역은 평탄부(24)이므로, 오목부(21r)의 면적이 넓어지면 흡수 가능한 체액의 양이 줄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않다.
한편, 최대 내접원의 직경(R1)이 오목부(21r)의 폭(L1)의 20배보다 크면, 오목부(21r)의 간격이 지나치게 넓어, 제1 평탄부(24a) 자체가 신체의 곡면에 피트되어 피부에 밀착되어 버린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4에 있어서의 오목부 형성영역(N1)과 오목부 비형성영역(N2)에 걸치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범위(Q)에 있어서, 오목부(21r)를 복수의 도트 형상의 엠보싱 패턴에 의하여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본 변형예에서는, 홈부(21)의 전부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오목부(21r)로 구성되어 있다. 도트 형상의 엠보싱 패턴에 의하여, 톱시트(14)의 표면으로부터 흡수체(13)를 향하여 압착하여 압착부(22)를 간헐적으로 배열한다. 이러한 압착부(22)를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배열함으로써, 압착부(22) 근방의 흡수체(13)는 눌려 내려져, 평탄부(24)보다 오목한 패임 부분(23)이 된다. 따라서, 압착부(22)를 연속하여 또는 간헐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압착부(22)와 패임 부분(23)에 의한 오목부(21r)가 형성되게 된다.
오목부(21r)의 폭(L1)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1mm≤L1≤5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인접하는 압착부(22)의 중심간 거리(L3)는, 1mm≤L3≤8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변형예에서는, 폭(L1)은 약 4mm, 거리(L3)는 약 6mm이다.
평탄부(24)의 중앙의 압착되어 있지 않은 흡수체(13)의 두께가 3~3.6mm, 밀도는 0.16g/cm3일 때, 압착부(22)의 흡수체(13)의 두께는 0.5~0.6mm이고, 밀도는 0.96g/cm3이다. 패임 부분(23)의 흡수체(13)의 두께는 1~1.2mm이고, 밀도 0.48g/cm3이다. 이와 같이, 오목부(21r)의 압착부(22)와 주된 흡수영역인 평탄부(24)의 중앙의 흡수체(13)의 밀도차가 6배 정도일 때, 오목부(21r) 중 압착부(22)와 패임 부분(23)의 밀도차가 2~3배 정도가 되도록, 오목부(21r)의 배치간격(또는 길이(L2))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IX-IX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엠보싱 가공은,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톱시트(14)와 흡수체(13)의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시켜, 톱시트(14)의 표면으로부터 톱시트(14)와 흡수체(13)를 함께 압착한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X-X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임 부분(23)은, 압착부(22)보다는 높은 위치에 있는데, 평탄부(24)(도 10에서는 제2 평탄부(24b)), 오목부 비형성영역(N2)보다 낮은 위치가 된다. 따라서, 압착부(22)를 소정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연속한 엠보싱 가공과 마찬가지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오목부(21r)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로 되돌아가, 본 실시형태의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21r)는, 흡수체(13)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한쪽(도 4 중, 마주보고 오른쪽)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1 오목부(21a)와, 다른 쪽(도 4 중, 마주보고 왼쪽)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오목부(21b)에 의하여 구성된다. 가상선(P)의 흡수체(13) 상에서의 위치는, 신체 앞쪽 부분(M1) 상단에서 신체 뒤쪽 부분(M3) 하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13)가 가늘고 긴 형상인 경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오목부(21r)는, 이 가상선(P)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된다. 즉, 가상선(P)을 축으로 하여 측변을 따른 방향, 예를 들어 길이방향에 대하여, 제1 오목부(21a)는 한쪽으로 각도(α)로 경사지고, 제2 오목부(21b)는 다른 쪽으로 각도(β)로 경사진다. 각도(α)와 각도(β)는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그리고, 도 4에서는, 복수의 제1 오목부(21)는 각각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제1 오목부(21a)가 평행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오목부(21r)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것이나, 각 오목부(21r)의 경사각도가 다른 것도 포함한다. 제2 오목부(21b)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대 내접원'은, 완전히 둥근 원인데, 본 발명에서는 타원을 포함하는 것이다. 최대 내점원을 타원으로 한 경우, 오목부(21r)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지 않은(불규칙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최대 내접원을 타원으로 한 경우의 상기 R1은, 이 타원의 긴 직경과 짧은 직경의 평균으로 구하며, 그 짧은 직경은 그 긴 직경의 1/2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 짧은 직경을 이러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인접하는 오목부(21r)가 적절하게 떨어져 평탄부(24)에 충분한 면적을 마련할 수 있어, 인접하는 오목부(21r)를 통하여 유출된 액체(예를 들어, 소변)를 평탄부(24)에 의하여 빠르게 흡수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흡수부분의 평탄부 패턴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도 4에 도시하는 정사각형이 비스듬하게 늘어서는 것뿐만 아니라, 다음에 설명하는 것 등이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 11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러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0)를 구성하는 각 요소 중, 같은 기능을 가지는 것에 대하여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흡수부분에 오목부(21r)(홈부(21))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평탄부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부분상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예는, 오목부(21r)가 가상선(P)에 직교하여 연장되어 구획됨으로써, 평탄부(24)가 흡수체(13)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어도 좋다. 도 1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오목부(21r)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평탄부(24)는 오목부(21r) 사이에 위치된다. 인접하는 평탄부(24) 사이는 오목부(21r)로 구획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끈적임을 억제하기 위하여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평탄부(24)는 어느 정도의 크기가 필요하다. 평탄부(24)의 최적의 크기는, 구체적으로는, 오목부(21r)의 배열방향을 따라서 인접하는 2개의 오목부(21r)에 끼워진 평탄부(24)에 대한 최대 내접원(도 11 중, 일점쇄선을 도시)의 직경(R1)과, 그 최대 내접원의 직경방향을 따른 오목부(21r)의 폭(L1)으로 결정된다. 직경(R1)과 폭(L1)의 관계에 대하여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홈부(21)는, 가상선(P)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거나, 그 평행하게 연장되는 오목부(21r)도 포함하는(또는 포함하지 않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하여도 좋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홈부(21)는 오목부(21r)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지 않은 구성이어도 좋다.
도 12는, 흡수부분에 물결 형상의 오목부(21r)(홈부(21))를 배열하여 형성되는 평탄부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부분상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21r)는 곡선이어도 좋다. 도 1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오목부(21r)는 사인커브 형상의 것을 흡수체(13)의 전후방향에 걸쳐 형성하고, 흡수체(13)의 폭방향에 있어서 복수열 배치한 것이다. 또한, 오목부(21r)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사인커브의 위상을 180도 어긋나게 하여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결 형상의 오목부(21r)로 둘러싸이는 평탄부(24)는, 제1 평탄부(24a)이고, 물결 형상의 오목부(21r)로 둘러싸이지 않은 평탄부(24)는, 제2 평탄부(24b)이다.
도 12에 도시한 평탄부 패턴이어도, 오목부(21r)로 둘러싸이는 제1 평탄부(24a)에 대한 최대 내접원의 직경(R1)과, 그 최대 내접원의 직경방향을 따른 오목부(21r)의 폭(L1)의 관계가, 실시형태 1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킴으로써, 끈적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3은 흡수부분에 원 형상의 오목부(21r)(홈부(21))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평탄부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부분상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21r)로 둘러싸이는 제1 평탄부(24a)가 섬 형상으로 점재하고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오목부(21r)로 둘러싸이는 제1 평탄부(24a)에 대한 최대 내접원의 직경(R1)은, 그 최대 내접원의 직경방향을 따른 오목부(21r)의 폭(L1)의 5배 이상이 되는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설정된다. 더욱이, 복수의 제1 평탄부(24a)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평탄부(24b)도 대략 평탄하므로, 제1 평탄부(24a)와 마찬가지로, 배출된 체액의 주된 흡수영역이 된다. 인접하는 제1 평탄부(24a)가 근접하고 있으면, 피부에 접촉하는 것은, 제1 평탄부(24a)가 중심이 되고, 도 4,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오목부(21r)가 제1 평탄부(24a)의 구획으로 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작용이 된다. 한편, 인접하는 제1 평탄부(24a)의 이간거리가 어느 정도의 거리를 가지는 것이라면, 피부에 접촉하는 것은, 제1 평탄부(24a) 및 제2 평탄부(24b)의 양자가 되어, 제1 평탄부(24a) 사이의 부분의 제2 평탄부(24b)가, 제1 평탄부(24a)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여기에서, 제1 평탄부(24a)를 둘러싸고 있는 오목부(21r)와, 그것에 인접하는 오목부(21r)의 사이의 거리에 대하여, 기저귀(10)의 흡수부분의 길이방향(도 13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를 L4로 하고, 그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13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를 L5로 한다. 이 경우, 오목부(21r)로 둘러싸이는 제1 평탄부(24a)에 대한 최대 내접원의 직경(R1)이 10mm 이상 40mm 이하이면, 거리(L4, L5)는 각각 5mm 이상 3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3에서는, 섬 형상의 제1 평탄부(24a)는, 같은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원으로 구성된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원을 조합한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섬 형상의 제1 평탄부(24a)는, 원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하트형 등 디자인성이 있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 가능하다. 즉, 오목부(21r)로 둘러싸인 내부가 평탄하게 되는 형태라면 좋다.
그리고, 섬 형상의 제1 평탄부(24a)는, 흡수부분 전역에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가랑이 부분(M2), 신체 뒤쪽 부분(M3)에 밀집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홈부(21)의 전부가 오목부(21r)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해왔는데, 본 발명에서는, 홈부(21)의 전부가 오목부(21r)로 구성되지 않은 경우, 즉 홈부(21)의 일부가 오목부(21r)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끈적임을 억제한다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는 흡수부분에 불연속적인 오목부(21r)를 정육각형 형상으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평탄부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부분상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21)는, 일부를 오목부(21r)로 구성되어 있다. 도 1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홈부(21) 중 오목부(21r)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오목부(21r)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홈부(21)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평탄부(24)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21)로 둘러싸이는 제1 평탄부(24a)와, 홈부(21)로 둘러싸이지 않은 제2 평탄부(24b)의 2종류의 평탄부를 가진다.
평탄부 패턴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집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1 평탄부(24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21r)에 의하여 전부가 둘러싸여 있을 필요는 없으며,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가 비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일부가 비어 있는 경우, 제1 평탄부(24a)의 외주의 50% 이상이 오목부(21r)로 둘러싸이면, 체액을 흡수한 후에도, 제1 평탄부(24a)의 형상이 유지되기 쉽다.
도 14에 도시한 평탄부 패턴이어도, 홈부(21)로 둘러싸이는 제1 평탄부(24a)에 대한 최대 내접원의 직경(R1)과, 그 최대 내접원의 직경방향을 따른 홈부(21)의 폭(L1)의 관계가, 실시형태 1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킴으로써, 끈적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압착부(22)는, 원형의 도트뿐만 아니랑, 반원형, 사변형, 삼각형, 별모양 등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흡수체(13) 상에 직접 톱시트(14)를 배치한 것뿐만 아니라, 흡수체(13)를 친수성 시트(예를 들어, 코어랩)에 의하여 감싼 후, 톱시트(14)를 배치한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톱시트(14)와 친수성 시트 사이, 또는 친수성 시트와 흡수체(13) 사이에, 액확산성을 향상시키는 액확산 시트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러한 시트에 의하여, 체액은 보다 확산되기 쉬워진다. 또한, 친수성 시트는, 흡수체(13)를 감싸도록 설치되어도 좋고, 단순히 흡수체(13)의 단부를 감싸지 않고, 표면, 뒷면에 겹쳐 배치된 것이어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기저귀(10)의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팬츠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규정된 흡수성 물품의 구성을 포함하는 기저귀라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주지의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나, 소변누출패드 등이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영유아용 기저귀로 한정되지 않으며, 성인용 기저귀나 소변누출패드 등, 착용자의 성장단계, 체형, 성별 등에 적합한 각종 흡수성 물품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나, 그 변형예는, 각각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기저귀
10F: 신체 앞쪽 영역
10R: 신체 뒤쪽 영역
10C: 가랑이 영역
10W: 웨이스트 둘레 개구부
10L: 다리 둘레 개구부
10J: 폐합부
10T: 폐기 테이프
11: 커버시트
11A: 패드 커버시트
11B: 이너 커버시트
11C: 아우터 커버시트
12: 백시트(이면시트)
13: 흡수체
14: 톱시트(표면시트)
17: 탄성실
18: 사이드시트
19: 탄성실
21: 홈부
21r: 오목부
21a: 제1 오목부
21b: 제2 오목부
22: 압착부
24: 평탄부
24a: 제1 평탄부
24b: 제2 평탄부

Claims (19)

  1. 액투과성의 표면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시트와, 상기 표면시트와 상기 이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전부 또는 일부를 오목부로 구성되는 홈부이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표면시트측에, 상기 표면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로 둘러싸이는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탄부에 대한 최대 내접원의 직경은, 상기 최대 내접원의 직경방향을 따른 상기 홈부의 폭의 5배 이상 20배 이하이며,
    상기 오목부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에 의하여 상기 압착부 근방의 상기 흡수체가 눌러 내려져 형성된 패임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로 둘러싸이는 평탄부의 경우, 상기 홈부를 구성하는 상기 오목부가 상기 평탄부의 외주의 50% 이상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표면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함께 압축하여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평탄부의 두께의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액투과성의 표면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시트와, 상기 표면시트와 상기 이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전부 또는 일부를 오목부로 구성되는 홈부이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표면시트측에, 상기 표면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배치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평탄부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2개의 상기 홈부에 끼워진 상기 평탄부에 대한 최대 내접원의 직경은, 상기 최대 내접원의 직경방향을 따른 상기 홈부의 폭의 5배 이상 20배 이하 이하이며,
    상기 오목부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에 의하여 상기 압착부 근방의 상기 흡수체가 눌러 내려져 형성된 패임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SAP양은 0.01g/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SAP양은 0.01g/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SAP양은 0.01g/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SAP양은 0.01g/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2.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77015542A 2014-12-10 2015-12-09 흡수성 물품 KR101971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9967 2014-12-10
JP2014249967 2014-12-10
JP2015228188A JP2016112408A (ja) 2014-12-10 2015-11-20 吸収性物品
JPJP-P-2015-228188 2015-11-20
PCT/JP2015/006134 WO2016092841A1 (ja) 2014-12-10 2015-12-09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249A KR20170081249A (ko) 2017-07-11
KR101971107B1 true KR101971107B1 (ko) 2019-04-22

Family

ID=5614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542A KR101971107B1 (ko) 2014-12-10 2015-12-09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70348167A1 (ko)
JP (1) JP2016112408A (ko)
KR (1) KR101971107B1 (ko)
CN (1) CN106999311A (ko)
AU (1) AU2015358714B2 (ko)
BR (1) BR112017012357A2 (ko)
EA (1) EA033364B1 (ko)
NZ (1) NZ732541A (ko)
TW (1) TWI6348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2499B2 (ja) * 2017-03-24 2021-09-29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907692B2 (ja) * 2017-05-16 2021-07-2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911515B2 (ja) * 2017-05-17 2021-07-2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20190001367A (ko)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연료레일 인젝터 고정 구조
JP2019017857A (ja) * 2017-07-20 2019-02-0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939182B2 (ja) * 2017-07-24 2021-09-2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9024606A (ja) * 2017-07-26 2019-02-2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9024607A (ja) * 2017-07-26 2019-02-2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213993945U (zh) 2017-10-19 2021-08-20 宝洁公司 吸收制品和与吸收制品一起使用的顶片
WO2019075688A1 (en) 2017-10-19 2019-04-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PPER SHEET COMPRISING NATURAL FIBERS
JP6605064B2 (ja) * 2018-03-23 2019-11-1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724063B2 (ja) 2018-04-24 2020-07-1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6924295B2 (ja) * 2018-04-24 2021-08-2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0337A (ja) 2010-03-24 2011-10-13 Unicharm Corp 体液処理用品およびその製法
JP2012213488A (ja) * 2011-03-31 2012-11-08 Uni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13153846A (ja) 2012-01-27 2013-08-15 Uni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8003A (en) * 1955-06-06 1957-04-09 Chicopee Mfg Corp Disposable absorbent pad
US4892535A (en) * 1987-08-07 1990-01-09 Landstingens Inkopscentral, Lic, Ekonomisk Forening Absorbent pa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JP3064335B2 (ja) * 1990-06-13 2000-07-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透過型電子顕微鏡
JP2582180Y2 (ja) * 1992-07-08 1998-09-30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むつ
JP4004317B2 (ja) 2002-03-22 2007-11-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416490B2 (ja) * 2003-12-18 2010-02-1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80281287A1 (en) * 2007-05-08 2008-11-13 Marcelo Ana Maria Elena R Sanitary napkin including body-facing protrusions for preventing side leakage and obliquely arranged embossed channels
US7942858B2 (en) * 2007-07-03 2011-05-17 Mcneil-Ppc, Inc. Sanitary napkin including body-facing protrusions and arcuately arranged embossed channels
US8975466B2 (en) * 2009-04-29 2015-03-10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extending channels
JP5904790B2 (ja) * 2011-12-28 2016-04-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4097132A (ja) * 2012-11-13 2014-05-29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6044413B2 (ja) * 2013-03-26 2016-12-1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トップ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0337A (ja) 2010-03-24 2011-10-13 Unicharm Corp 体液処理用品およびその製法
JP2012213488A (ja) * 2011-03-31 2012-11-08 Uni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13153846A (ja) 2012-01-27 2013-08-15 Uni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1791262A1 (ru) 2017-09-29
TWI634880B (zh) 2018-09-11
EA033364B1 (ru) 2019-10-31
US20170348167A1 (en) 2017-12-07
AU2015358714B2 (en) 2018-11-22
TW201632159A (zh) 2016-09-16
AU2015358714A1 (en) 2017-06-29
JP2016112408A (ja) 2016-06-23
NZ732541A (en) 2018-06-29
CN106999311A (zh) 2017-08-01
KR20170081249A (ko) 2017-07-11
BR112017012357A2 (pt)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107B1 (ko) 흡수성 물품
CN106999308B (zh) 吸收性物品
EP2979671B1 (en) Array of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JP6195303B2 (ja) 吸収性物品
JP5944673B2 (ja) 吸収性物品
JP6531378B2 (ja) 吸収性物品
KR101988421B1 (ko) 흡수성 물품
JP6785231B2 (ja) 吸収性物品
JP6365406B2 (ja) 吸収性物品
WO2019131325A1 (ja) 吸収性物品
JP2019069379A (ja) 吸収性物品
JP6557004B2 (ja) 吸収性物品
TWI654970B (zh) Absorbent article
WO2016092841A1 (ja) 吸収性物品
JP2016106992A (ja) 吸収性物品
CN109069326B (zh) 吸收性物品
JP2014198074A (ja) フラップ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6954252B2 (ja) 吸収性物品
JP2019024607A (ja) 吸収性物品
JP6265104B2 (ja) 吸収性物品
JP2020011113A (ja) 吸収性物品
JP2019024606A (ja) 吸収性物品
JP2019017857A (ja) 吸収性物品
BG112231A (bg) Абсорбираща сърцевина за бебешка пеле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