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859B1 -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의 분리형 t-결속 장치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의 분리형 t-결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859B1
KR101969859B1 KR1020180137645A KR20180137645A KR101969859B1 KR 101969859 B1 KR101969859 B1 KR 101969859B1 KR 1020180137645 A KR1020180137645 A KR 1020180137645A KR 20180137645 A KR20180137645 A KR 20180137645A KR 101969859 B1 KR101969859 B1 KR 101969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support
grating panel
fixing bolt
cover
to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수
Original Assignee
(주)포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위스 filed Critical (주)포위스
Priority to KR1020180137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의 분리형 T-결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건물, 가설구조물, 복층구조물, 해양구조물 등에 설치된 그레이팅 패널과 상기 그레이팅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커버를 상기 상판커버가 상기 그레이팅 패널 상부에 배치된 상태 그대로 바로 결속할 수 있는 T-결속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상기 그레이팅 패널과 상기 상판커버를 결속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의 분리형 T-결속 장치{Detachable t-joint for grating and top cover}
본원 발명은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의 분리형 T-결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건물, 가설구조물, 복층구조물, 해양구조물 등에 설치된 그레이팅 패널과 상기 그레이팅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커버를 상기 상판커버가 상기 그레이팅 패널 상부에 배치된 상태 그대로 바로 결속할 수 있는 T-결속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상기 그레이팅 패널과 상기 상판커버를 결속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가설구조물, 복층구조물, 해양구조물 등을 구성하는 바닥 구조물은 강성이 높으면서 상하 통풍이 원할하고, 시공 작업 등의 편리성을 위한 구조가 많다.
전력 공급설비, 감시반, 분진반, 통신반, 보호반, 통신제어회로, 전산기기 등이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은 케이블의 포설 및 증설 작업에 대한 공간 확보의 편리성 및 장비 운영에 따른 온도 상승 방지를 위해서 다수의 통풍구가 마련된 이중바닥 구조물이 주로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이중바닥 구조물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내부가 다수의 격자편들에 의해서 다수의 관통공들로 구획 분할된 그레이팅 패널과 상기 그레이팅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다수의 통공을 갖는 상판커버 및 상기 그레이팅 패널과 상기 상판커버를 결속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1은 이중바닥 내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격자 형상의 복수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되며, 하단부 일부에 스틸판이 용접되어 있는 그레이팅 패널; 상기 프레임과의 체결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하측에 접합되어 있는 스터드 볼트, 및 상기 스터드 볼트에 체결되어 있는 높이조절 너트를 구비하는 연결 브래킷; 상기 스터드 볼트를 수용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에 설치된 바닥판 및 일면이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일면에 수직인 면이 상기 파이프에 결합되어 있는 보강판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판에는 연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주봉;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고리부를 구비하는 연결 부재; 및 일단이 상기 고리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보강판의 연결공에 연결되는 턴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 내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는 그레이팅 패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배수구에 설치되는 그레이팅 패널 구조체에 있어서, 그레이팅 패널 구조체는, 둘레 프레임, 및 상기 둘레 프레임의 내측에 보조바가 구비되는 보강부; 상기 보조바 상에 배치되는 그레이팅 패널부; 및 상기 보조바를 지지하는 받침축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바는,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바, 및 상기 제1 보조바와 교차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바를 포함하고, 상기 그레이팅 패널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수통로가 형성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타공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특허문헌 3은 스틸 그레이팅 패널(steel grating panel)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틸 그레이팅 패널은 고정공을 가지는 플레이트와 따냄부를 가지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스틸 그레이팅 패널에 있어서, 상기한 따냄부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공을 가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틸 그레이팅 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의하면 클린룸의 바닥으로부터 이격한 상방에 고정 설치되는 블라인드(blind) 그레이팅 패널 및/또는 천공(perforated) 그레이팅 패널로 이루어지는 억세스 플로어(access floor)에 있어서 기계 장치와 같은 다양한 중량물이 위치하게 될 개소의 좌표 변경 또는 추가 시, 해당 개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그레이팅 패널 및/또는 천공 그레이팅 패널과 같은 통상적인 일반 패널만을 철거하고 해당 개소에 스틸 그레이팅 패널을 끼워 넣어 교체할 수가 있다.
종래의 기술들은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를 결속하여 이중바닥 구조물을 설치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그레이팅 패널이나 상판커버를 바로 사용하지 못하고 미리 설치된 결속부가 있어야만 설치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는 그레이팅 패널이나 상판커버를 교체할 때도 동일한 결속부가 필요하며, 또한 물리적으로 명확하게 맞는 체결구만이 설치되는 큰 제약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일반적인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를 결합한 그대로 바로 결속할 수 있는 간단하고도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526호(2011.03.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96696호(2014.08.0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47059호(2013.12.26)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를 결합한 그대로 바로 결속할 수 결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은 그레이팅 패널과 상기 그레이팅 패널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판커버를 결속하여 이중바닥 구조물을 형성하게 하는 결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패널의 가장 근접한 세로격벽 사이의 길이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그레이팅 패널의 가장 근접한 세로격벽 사이의 길이보다는 큰 높이를 갖는 원기둥 형태의 바닥지지대; 상기 원기둥 형태의 바닥지지대의 높이 방향 중앙에 마련된 바닥지지대나사홀과 결합하는 고정볼트로서, 상기 고정볼트는 고정볼트헤드와 그 하부에 상기 바닥지지대나사홀과 결합할 수 있는 고정볼트나사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볼트헤드는 상기 상판커버에 마련된 상판커버체결홀보다 직경이 크며,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바닥지지대와 결합하였을 때 전체적인 모양이 T 또는 십자형태를 이루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결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대나사홀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에 대칭으로 관통하는 홀 2개가 상기 바닥지지대에 마련되어 낚시줄과 같은 가는 실이 관통할 수 있는 바닥지지대실고정부; 상기 바닥지지대실고정부 각각을 관통하는 2개의 실을 포함하는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그레이팅 패널과 상기 그레이팅 패널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판커버를 상기 결속장치를 사용하여 결속한 이중바닥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은 일반적인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를 결합한 그대로 바로 결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체 또한 매우 용이하다.
또한 바닥지지대에 마련된 자석에 의해 결속 중 또는 결속이 해제된 후에도 결속 장치가 그레이팅 패널에 부착되어 낙하하지 않는다. 상기 그레이팅 패널은 매우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결속 장치가 낙하할 경우 큰 부상의 위험이 있다.
중간에 삽입된 고정하부볼트에 의해서 바닥지지대와 직접 결합된 볼트 부위가 파손되어 볼트가 빠지지 않을 경우라도 고정하부볼트에 의해서 쉽게 분리가 가능하다. 볼트의 파손에 의해서 결속 장치가 분리되지 않을 경우 이를 해체하는 작업은 매우 큰 규모의 공사가 되기 때문에 결속 장치는 결속은 물론 분해 또한 확실하게 담보되어야 하나 종래의 장치에는 이러한 점이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형 T-결속 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형 T-결속 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형 T-결속 장치의 제1실시예 중 바닥지지대본체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은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형 T-결속 장치의 제1실시예 중 바닥지지대본체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5은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형 T-결속 장치의 제1실시예 중 바닥지지대본체에 대한 하면도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형 T-결속 장치의 제1실시예 중 고정볼트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형 T-결속 장치의 제2실시예 중 고정볼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형 T-결속 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형 T-결속 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0는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형 T-결속 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형 T-결속 장치를 사용하여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를 결합하는 제1단계의 모식도이다.
도 12은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형 T-결속 장치를 사용하여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를 결합하는 제1단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형 T-결속 장치를 사용하여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를 결합하는 단계별 그림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한다. 본원 발명은 그레이팅 패널(500)과 상기 그레이팅 패널(5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판커버(400)를 결속하여 이중바닥 구조물을 형성하게 하는 결속 장치(100, 300)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패널(500)의 가장 근접한 세로격벽(510) 사이의 길이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그레이팅 패널(500)의 가장 근접한 세로격벽(510) 사이의 길이보다는 큰 높이를 갖는 원기둥 형태의 바닥지지대(120, 320); 상기 원기둥 형태의 바닥지지대(120, 320)의 높이 방향 중앙에 마련된 바닥지지대나사홀(132, 332)과 결합하는 고정볼트(110, 210, 310)로서, 상기 바닥지지대나사홀(132, 332)과 직접 나사 결합하는 고정볼트나사부(118, 218, 318)의 길이는 상기 그레이팅 패널(500)의 높이와 상기 상판커버(400)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길며, 상기 고정볼트헤드(112, 212, 312)는 상기 상판커버(400)에 마련된 상판커버체결홀(420)보다 직경이 크며, 상기 고정볼트(110, 210, 310)가 상기 바닥지지대(120, 320)와 결합하였을 때 전체적인 모양이 T 또는 십자형태를 이루는 고정볼트(110, 210, 310);를 포함하는 결속 장치(100, 300)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의 바닥지지대나사홀(132)은 관통된 형태이며, 도 8 및 도 9의 바닥지지대나사홀(332)는 관통되지 않는 형태이다. 상기 바닥지지대나사홀(132, 33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바닥지지대(120, 320) 원기둥 형태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원기둥의 측면에 마련된 턱 형태로서 상기 그레이팅 패널(500)과 상기 상판커버(400)가 결속되었을 경우, 상기 턱 형태는 상기 그레이팅 패널(500)의 세로격벽(510)의 단부에 고정되게 되는 바닥지지대자석안착부(128)가 부가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모두 동일하게 바닥지지대자석안착부(128)가 마련되어 있으나, 일부 도면에는 도면의 형태에 따라서 도면 번호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바닥지지대자석안착부(128)의 상면에는 자성을 띄는 바닥지지대자석(124, 324)이 부가되었다. 상기 바닥지지대자석(124, 324)에 의해서 본원 발명에 따른 결속 장치는 그레이팅 패널(500)에 부착되어 하방으로 낙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레이팅 패널(500)의 세로격벽(510)에 고정될 수 있는 위치를 쉽게 잡을 수 있다.
바닥지지대나사홀(132, 332)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에 대칭으로 쌍으로 마련되며, 낚시줄과 같은 가는 실이 관통할 수 있는 바닥지지대실고정부(130, 330)가 부가된다. 바닥지지대실고정부(130, 330)에는 낚시줄과 같은 가는 실이 고정되며 작업의 편리성을 위해서 실은 바닥지지대실고정부(130, 330) 근방에서 한번은 매듭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되는 실의 길이는 고정볼트(110, 210, 310)의 길이보다는 길어야 하며, 작업의 편리성을 위해서는 고정볼트(110, 210, 310) 길이의 1.5 내지 3배가 바람직하다.
상기 윈기둥 형태의 바닥지지대(120, 320)의 원기둥 한쪽 바닥면에만 자성을 갖는 금속물질인 바닥지지대측면자석(126, 326)이 부가된다. 도 2에 따르면 바닥지지대측면자석(126)은 바닥지지대(120)의 원기둥 형태와 동심원을 형성하기 위해서 바닥지지대측면자석고정부(127)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되나, 바닥지지대자석(124)의 자력에 의해서 쉽게 위치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접착제의 의해서 추가로 고정을 해야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따른 바닥지지대측면자석(126)은 최외각이 평면이나, 도 8 내지 도 10의 바닥지지대측면자석(326)은 최외각이 반구형태이다.
도 6에 따르면 고정볼트헤드(112) 하단에는 상기 상판커버체결홀(420)에 잘 걸리 수 있도록 상기 상판커버체결홀(420)의 직경보다 큰 고정볼트헤드마운트(114)가 부가될 수 있다. 이는 필요에 따른 구성으로서 도 10과 같이 고정볼트헤드(312)만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고정볼트헤드(112)와 상기 고정볼트나사부(118) 사이에는 테이퍼지며 경사면이 매끄러운 고정볼트헤드지지부(114)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헤드지지부(114) 도 18과 같이 결속을 위해서 방향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볼트나사부(218, 318)의 하단에는 일부 단면이 다각형 또는 원인 관형태로서 그 내부에 상기 고정볼트나사부(218, 318)가 결합되는 고정하부볼트몸체(217, 317)와 상기 고정하부볼트몸체(217, 317) 아래에는 상기 바닥지지대(120, 320)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부인 고정하부볼트나사부(219, 319)를 포함하는 고정하부볼트(215)가 부가될 수 있다.
고정하부볼트몸체(317)의 하단은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하부볼트나사부(219, 319)의 길이는 상기 바닥지지대나사홀(132, 332)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바닥지지대나사홀(132, 332)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이거나 관통하지 않는 길이일 수 있다.
바닥지지대(120, 320)의 바닥지지대나사홀(132, 332)은 임팩트 드릴과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고정과 분해를 반복할 경우 응력이 집중되어 쉽게 나사산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나사산이 파손되며 결속 장치의 분해가 매우 곤란하며 이 경우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그레이팅 패널을 들어올려야 하는 매우 힘든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바닥지지대나사홀(132, 332)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상기 고정하부볼트(217, 317)을 부가하였다. 만약에 바닥지지대나사홀(132, 332)이 파손되더라도 고정하부볼트(217, 317)와 고정볼트(110, 210, 310)이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결속 장치를 분해하여 파손된 부위만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응력의 집중을 막기 위해서는 바닥지지대나사홀(132, 332)이 관통되지 않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는 그레이팅 패널 하단부 바로 아래에 지나갈 수 있는 배관 등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이중바닥 구조물이 계단 등에 설치될 경우 아래로 관통된 고정볼트 등에 의해서 상해를 입힐 염려가 없다.
본원 발명은 또한 그레이팅 패널(500)과 상기 그레이팅 패널(5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판커버(400)를 본원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100, 300)를 사용하여 결속한 이중바닥 구조물을 제공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그레이팅 패널(500)은 자석에 붙을 수 있는 금속재질의 수직 또는 일정한 각도로 세워진 다수의 세로격벽(510)이 일정간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세로격벽(510)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격벽(도면 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통상적인 그레이팅 패널의 한 예는 상기 지지격벽 사이는 약 10㎝, 세로격벽 사이는 2 내지 3㎝, 높이는 2 내지 3㎝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판커버(400)는 상기 그레이팅 패널(500)의 가장 근접한 세로격벽(510) 사이의 길이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상판커버체결홀(420)이 다수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판커버체결홀(420)과 겹치지 않고 상판커버(400) 일부분이 상판커버 면방향과 수직하게 돌출된 상판커버엠보싱(410)이 다수 마련되어 있다. 상판커버엠보싱(410)의 높이는 고정볼트(112, 212, 312)의 높이보다 높아야 한다. 상판커버엠보싱(410)은 이중바닥 구조물이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이동을 할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결속 장치와는 걸리지 않도록 상판커버엠보싱(410)의 높이를 고정볼트헤드(112, 212, 312)의 높이보다 높인 것이다. 도 12에는 상판커버엠보싱(410)의 형태가 원형이지만, 고정볼트헤드(112, 212, 312)와 걸리지 않는 것이라면 다른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면 족하다. 통상적으로 상판커버엠보싱(410)의 간격을 성인의 발 크기를 생각할 때 높이는 5 내지 15㎜, 간격은 10 내지 20㎝가 바람직하다.
그레이팅 패널(500)과 상판커버(400) 사이에는 방염 재질의 완충재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상판커버와 상기 완충재는 방염 성질을 갖는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이 될 수 있다. 그레이팅 패널이 설치되는 장소는 발전설비, 화학설비로서, 회전체 및 고압에 의한 진동이 많이 발생하고 황산화물 및 질산화물에 의한 부식에 노출되기 쉽다. 따라서 상판커버(400)의 하단에 방염 재질의 내부식성 완충재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재는 유리섬유에 질소 코팅된 일명 불꽃방지포로서 상판커버(400) 완충재는 내열실리콘으로 접합할 수 있다. 상기 완충재는 시공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줄여줄 수 있고, 시공 이후 보행자의 걸음에 의해서 그레이팅 패널(500)과 상판커버(400) 직접 부딪치는 소음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걸음 및 주변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나사의 풀림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판커버(400)의 상면에는 방향 등을 지시하거나 안내문구가 부가될 수 있다. 방향 표시나 안내문구는 금속 재질로 별도로 제작되어 상판커버엠보싱(410)에 바로 결합될 수 있도록 엠보싱에도 나사가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판커버에 직접 페인트로 작업될 수 있으며, 야간의 식별력을 위해서 야광성분이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원 발명에 따른 결속 장치를 이용하여 이중바닥 구조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그레이팅 패널(500) 위에 상판커버(400)를 위치시킨다. 고정볼트(110, 210, 310)과 바닥지지재(120, 320)을 분리한 후 바닥지지재(120, 320)를 수직으로 세워 상판커버체결홀(420)을 통과시킨다(도 13). 상판커버체결홀(420)을 통과한 바닥지지재(120, 320)가 낙하하지 않도록 바닥지지대실고정부(130, 330)와 결합된 실은 작업자가 잡고 있어야 한다(도 14). 도 14에 따른 바닥지지대측면자석(126)에 의해서 바닥지지대(120)이 삽입되더라도 바닥지지대(120)가 쉽게 낙하하지 않고 상면에 위치한 상판커버(400)의 하면에 상기 쉽게 부착이 되어 다음 단계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실을 당겨서 바닥지지재(120, 320)가 상판커버(400)의 바로 아래에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하며 이때 고정볼트(110, 210, 310)와 실을 사용하여 바닥지지대나사홀(132, 332)이 상판커버체결홀(42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위치를 조정한다(도 15). 상기 위치 조정은 바닥지지대자석(124, 324)에 의해서 쉽게 자리가 유도된다. 위치를 조정한 바닥지지대나사홀(132, 332)에 고정볼트(110, 210, 310)를 가결합한다(도 16). 고정볼트(110, 210, 310) 하방으로 최대한 밀어낸 후 90도 회전시킨다(도 17). 회전한 바닥지지대(120, 320)는 바닥지지대자석(124, 324)에 의해서 그레이팅 패널(500)의 세로격벽(510)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게 쉽게 위치를 잡는다. 도 19와 같이 고정볼트(110, 210, 310)을 조여서 바닥지지대(120, 320)을 그레이팅 패널 세로격벽(510)의 단부에 고정함으로써 작업이 마무리된다. 도 19는 고정볼트(110)가 바닥지지대(120)를 관통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필요에 따라 관통하지 않은 형태의 고정볼트(310) 및 바닥지지대(320)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300 T-결속 장치
110, 210, 310 고정볼트
112, 212, 312 고정볼트헤드
114, 214 고정볼트헤드마운트
116 고정볼트헤드지지부
118, 218, 318 고정볼트나사부
120, 320 바닥지지대
122, 322 바닥지재대본체
124, 324 바닥지지대자석
126, 326 바닥지지대측면자석
127 바닥지지대측면자석고정부
128 바닥지지대자석안착부
130, 330 바닥지지대실고정부
132, 332 바닥지지대나사홀
215 고정하부볼트
217, 317 고정하부볼트몸체
219, 319 고정하부볼트나사부
400 상판커버
410 상판커버엠보싱
420 상판커버체결홀
500 그레이팅 패널
510 그레이팅 패널 세로격벽
600 완충재

Claims (15)

  1. 그레이팅 패널과 상기 그레이팅 패널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판커버를 결속하여 이중바닥 구조물을 형성하게 하는 결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패널의 가장 근접한 세로격벽 사이의 길이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그레이팅 패널의 가장 근접한 세로격벽 사이의 길이보다는 큰 높이를 갖는 원기둥 형태의 바닥지지대;
    상기 원기둥 형태의 바닥지지대의 높이 방향 중앙에 마련된 바닥지지대나사홀과 결합하는 고정볼트로서,
    상기 고정볼트는 고정볼트헤드와 그 하부에 상기 바닥지지대나사홀과 결합할 수 있는 고정볼트나사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볼트헤드는 상기 상판커버에 마련된 상판커버체결홀보다 직경이 크며,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바닥지지대와 결합하였을 때 전체적인 모양이 T 또는 십자형태를 이루는 고정볼트;
    를 포함하는 결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대나사홀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에 대칭으로 관통하는 홀 2개가 상기 바닥지지대에 마련되어 낚시줄과 같은 가는 실이 관통할 수 있는 바닥지지대실고정부;
    상기 바닥지지대실고정부 각각을 관통하는 2개의 실을 포함하는 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대나사홀은 관통되거나 관통되지 않는 형태이며,
    상기 바닥지지대나사홀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바닥지지대 원기둥 형태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원기둥의 측면에 마련된 턱 형태로서 상기 그레이팅 패널과 상기 상판커버가 결속되었을 경우, 상기 턱 형태는 상기 그레이팅 패널의 세로격벽의 단부에 고정되게 되는 바닥지지대자석안착부가 부가된 결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대자석안착부의 상면에는 자성을 띄는 바닥지지대자석이 부가된 결속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기둥 형태의 바닥지지대의 원기둥 한쪽 바닥면에만 자성을 갖는 금속물질인 바닥지지대측면자석이 부가된 결속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대측면자석은 상기 바닥지지대의 원기둥 형태와 동심원을 형성하며,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바닥지지대와 고정되는 결속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대측면자석의 최외각은 반구형태인 결속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헤드 하단에는 상기 상판커버체결홀에 잘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상판커버체결홀의 직경보다 큰 고정볼트헤드마운트가 부가되는 결속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헤드와 상기 고정볼트나사부 사이에는 테이퍼지며 경사면이 매끄러운 고정볼트헤드지지부가 부가되는 결속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나사부의 하단에는 단면이 다각형 또는 원인 관형태로서 그 내부에 상기 고정볼트나사부가 결합되는 고정하부볼트몸체와 상기 고정하부볼트몸체 아래에는 상기 바닥지지대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부인 고정하부볼트나사부를 포함하는 고정하부볼트가 부가되는 결속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하부볼트몸체의 하단은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하부볼트나사부의 길이는 상기 바닥지지대나사홀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바닥지지대나사홀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이거나 관통하지 않는 길이인 결속장치.
  12. 그레이팅 패널과 상기 그레이팅 패널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판커버를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결속장치를 사용하여 결속한 이중바닥 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패널은 자석에 붙을 수 있는 금속재질의 수직 또는 일정한 각도로 세워진 다수의 세로격벽이 일정간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세로격벽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격벽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커버는 상기 그레이팅 패널의 가장 근접한 세로격벽 사이의 길이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상판커버체결홀이 다수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판커버체결홀과 겹치지 않고 상판커버 일부분이 상판커버 면방향과 수직하게 돌출된 상판커버엠보싱이 다수 마련되어 있는 이중바닥 구조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패널과 상기 상판커버 사이에는 방염 재질의 완충재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상판커버와 상기 완충재는 방염 성질을 갖는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이 되는 이중바닥 구조물.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커버의 상면에는 방향을 지시하거나 안내문구가 부가되는 이중바닥 구조물.
KR1020180137645A 2018-11-09 2018-11-09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의 분리형 t-결속 장치 KR101969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645A KR101969859B1 (ko) 2018-11-09 2018-11-09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의 분리형 t-결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645A KR101969859B1 (ko) 2018-11-09 2018-11-09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의 분리형 t-결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859B1 true KR101969859B1 (ko) 2019-08-13

Family

ID=6762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645A KR101969859B1 (ko) 2018-11-09 2018-11-09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의 분리형 t-결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859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804A (ja) * 2000-04-06 2001-10-19 Retug Inc 側溝蓋の外れ防止具
JP2005282297A (ja) * 2004-03-31 2005-10-13 Yamashita Mitsuo グレーチングの敷設固定方法
US20080145150A1 (en) * 2006-12-18 2008-06-19 Shaw Mark D Drain sealing device
KR101023526B1 (ko) 2010-09-14 2011-03-21 (주)파워엔텍 이중바닥 내진 구조물
JP2012077588A (ja) * 2010-10-06 2012-04-19 Ihi Corp カバー材取付構造及びカバー材取付金具
KR101160616B1 (ko) * 2012-02-02 2012-06-2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그레이팅 결합 부재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208906B1 (ko) * 2012-06-22 2012-12-06 임규옥 빗물받이 집수정용 악취 오물 방지용 덮개 및 그의 제조방법과 설치방법
KR101347059B1 (ko) 2013-05-14 2014-01-06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스틸 그레이팅 패널 및 그 시공 방법
KR20140096696A (ko) 2013-01-29 2014-08-06 신해 그레이팅 구조체
KR101621258B1 (ko) * 2013-12-31 2016-05-16 김종철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180001421U (ko) * 2016-11-03 2018-05-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용 그레이팅 패널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804A (ja) * 2000-04-06 2001-10-19 Retug Inc 側溝蓋の外れ防止具
JP2005282297A (ja) * 2004-03-31 2005-10-13 Yamashita Mitsuo グレーチングの敷設固定方法
US20080145150A1 (en) * 2006-12-18 2008-06-19 Shaw Mark D Drain sealing device
KR101023526B1 (ko) 2010-09-14 2011-03-21 (주)파워엔텍 이중바닥 내진 구조물
JP2012077588A (ja) * 2010-10-06 2012-04-19 Ihi Corp カバー材取付構造及びカバー材取付金具
KR101160616B1 (ko) * 2012-02-02 2012-06-2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그레이팅 결합 부재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208906B1 (ko) * 2012-06-22 2012-12-06 임규옥 빗물받이 집수정용 악취 오물 방지용 덮개 및 그의 제조방법과 설치방법
KR20140096696A (ko) 2013-01-29 2014-08-06 신해 그레이팅 구조체
KR101347059B1 (ko) 2013-05-14 2014-01-06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스틸 그레이팅 패널 및 그 시공 방법
KR101621258B1 (ko) * 2013-12-31 2016-05-16 김종철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180001421U (ko) * 2016-11-03 2018-05-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용 그레이팅 패널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7290B2 (ja) 耐震補強装置
JP5292441B2 (ja) 足場/養生ユニットおよびその連結装置
JP6455815B2 (ja) 天吊り機器の減震構造
JP5777064B2 (ja) 吊り天井構造及び吊り天井構造の耐震改修方法
JP6361940B2 (ja) 吊り天井構造及び吊り天井構造の施工方法
JP7006958B2 (ja) 防護ネット張設構造
JP5732950B2 (ja) 吊り天井の耐震構造
KR101068077B1 (ko) 전기통신장비에 무정전 및 무이설 방식으로 설치되는 복합 내진 구조 시스템
JP6494401B2 (ja) 吊り天井補強構造
KR101969859B1 (ko)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의 분리형 t-결속 장치
JP2019078162A5 (ko)
JP2019011640A (ja) 吊り天井構造
KR101965106B1 (ko) 시설용 안전바닥구조물
JP2015025280A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6414662B2 (ja) 吊り天井構造
JP6218112B2 (ja) 天井材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6304523B2 (ja) 吊り天井構造
JP6152980B2 (ja) 吊り天井構造
JP6264599B2 (ja) 吊り天井構造
KR200430681Y1 (ko) 건축공사현장용 전선거치장치
JP6914023B2 (ja) 吊り天井補強構造及び吊り天井補強構造の施工方法
JP6226172B2 (ja) 吊り天井構造
JP6309327B2 (ja) 木造建築物の水平架構の補強部材および木造建築物の水平架構の補強工法
JP5981333B2 (ja) 膜天井構造および既存建物の膜天井構造への改修方法
JP2020012322A (ja) 補助パイプ取付け具及び建地立設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