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258B1 -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258B1
KR101621258B1 KR1020130168354A KR20130168354A KR101621258B1 KR 101621258 B1 KR101621258 B1 KR 101621258B1 KR 1020130168354 A KR1020130168354 A KR 1020130168354A KR 20130168354 A KR20130168354 A KR 20130168354A KR 101621258 B1 KR101621258 B1 KR 101621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ocket
pair
hole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8719A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김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철 filed Critical 김종철
Priority to KR1020130168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258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fixed with 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새로 신설되는 하수관이나 이미 설치된 하수관에 유입공을 천공하고 분기관을 연결하기 위한 소켓을 장착할 때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장착작업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된 와이어 및 부착장치를 용이하게 제거한 후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배관에 천공된 유입공을 통하여 장착되어 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이 상기 유입공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1 날개편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제1 숫나사부가 형성되며, 수직 이등분되어 하부의 힌지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유입공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고, 이등분된 측면에는 측면 실링부재가 장착되며, 이등분된 상면에는 반으로 잘린 링형상의 상면 실링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날개편과 상기 유입공에 인접한 내측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패킹이 장착되는 한 쌍의 내측 밀폐소켓과; 중앙에는 상기 내측 밀폐소켓의 상부가 관통 장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면이 상기 유입공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2 날개편이 형성되며, 상면에 대칭되는 양측에 내경면과 외경면을 연결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분기 지관 소켓과; 내경에 상기 제1 숫나사부에 상응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고정너트와; 하단 내주면은 상기 고정너트의 암나사부에 상응하는 제2 숫나사부를 구비하고 상부는 지관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관 연결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내측 밀폐소켓의 하단 중앙에는 입구는 좁고 내측은 넓은 더브테일홈이 하단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면은 상기 분기 지관 소켓의 상단 외경면에 밀착하고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절곡되며 상기 고정홈에 상응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과, 양 끝단은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각각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상면과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면 중앙에서 수직 관통하되 내경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플렌지부와, 상기 플렌지부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고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하단에는 수평 관통된 제1 와이어홀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원형막대와, 일측은 상기 더브테일홈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더브테일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은 수평 관통된 제2 와이어홀이 형성되어 와이어 고정블록과, 양단이 각각 제1 및 제2 와이어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로 구성되는 부착장치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The blind branch outlet fitting system}
본 발명은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새로 신설되는 하수관이나 이미 설치된 하수관에 유입공을 천공하고 분기관을 연결하기 위한 소켓을 장착할 때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장착작업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된 와이어 및 부착장치를 용이하게 제거한 후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관은 수많은 배관이 연결되고 또 분기되는 것으로 이음 부위마다 수밀성을 확보하면서 상,하수의 흐름이 원활해야 한다.
특히 상수도가 아닌 하수도와 같은 오수관의 경우 오수가 누출될 경우 인근 토양에 심각한 오염을 일으키게 되며 환경 파괴와 주변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악취와 각종 세균의 번식 및 파리나 모기 등의 해충 때문에 더욱 완벽한 수밀성이 요구된다.
또한 배관 이음이 불완전할 경우 역으로 지하수가 배관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지하수와 함께 주위 토사가 스며들어 배관 내부에서 퇴적되어 유체 흐름이 방해되며 주변의 지반을 함몰시킴으로써 다른 설치물에 피해를 주는 경우도 발생한다.
한편, 배관을 구성하는 파이프상에서 지관을 직접 분기하는 경우에는 파이프상에 지관 연결을 위해 관통공을 뚫고 이에 지관을 연결하는데 있어서 수밀성과 돌출부등에 의한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T자관이나 Y자관의 시공보다 연결 여건이 매우 열악하고 이음부의 수밀성이 불완전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41981-0000호 (2013년03월05일)에서는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이 상기 유입공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1 날개편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제1 숫나사부가 형성되며, 수직 이등분되어 하부의 힌지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유입공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고, 이등분된 측면에는 측면 실링부재가 장착되며, 이등분된 상면에는 반으로 잘린 링형상의 상면 실링부재가 장착되고, 내측 중앙에는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날개편과 상기 유입공에 인접한 내측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패킹이 장착되는 한 쌍의 내측 밀폐소켓과; 중앙에는 상기 내측 밀폐소켓의 상부가 관통 장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면이 상기 유입공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2 날개편이 형성되며,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링 장착홈을 구비하고, 상면에 대칭되는 양측에 내경면과 외경면을 연결하는 와이어 삽입홈이 형성되는 분기 지관 소켓과; 상기 회전링 장착홈에 삽입 장착되는 링 형상을 가지고, 대칭되는 양측은 법선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그 끝단에 상기 와이어의 타측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핸들을 포함하는 회전링과; 내경에 상기 제1 숫나사부에 상응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고정너트와; 하단 내주면은 상기 고정너트의 암나사부에 상응하는 제2 숫나사부를 구비하고 상부는 지관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관 연결소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를 제시하였다.
이때 상기 와이어를 외부에서 잡아당겨 밀착시키는 작업은 여전히 힘든 작업이며 분기 지관 소켓을 결합한 후 와이어의 처리가 곤란하여 와이어를 끊어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와이어 부식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분기 지관 소켓을 결합하는 부착장치를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의 연구도 필요한 실정이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8-0043423호 (2008년05월19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41981-0000호 (2013년03월0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와이어를 통하여 배관의 내측에 장착되는 내측 밀폐소켓을 배관의 내측면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와이어를 당기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와이어와 부착장치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사용되는 와이어 및 부착장치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하고 사용한 후 분리하여 다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 부착장치를 사용할 때 작업자가 보다 힘이 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관에 천공된 유입공을 통하여 장착되어 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이 상기 유입공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1 날개편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제1 숫나사부가 형성되며, 수직 이등분되어 하부의 힌지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유입공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고, 이등분된 측면에는 측면 실링부재가 장착되며, 이등분된 상면에는 반으로 잘린 링형상의 상면 실링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날개편과 상기 유입공에 인접한 내측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패킹이 장착되는 한 쌍의 내측 밀폐소켓과; 중앙에는 상기 내측 밀폐소켓의 상부가 관통 장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면이 상기 유입공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2 날개편이 형성되며, 상면에 대칭되는 양측에 내경면과 외경면을 연결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분기 지관 소켓과; 내경에 상기 제1 숫나사부에 상응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고정너트와; 하단 내주면은 상기 고정너트의 암나사부에 상응하는 제2 숫나사부를 구비하고 상부는 지관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관 연결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내측 밀폐소켓의 하단 중앙에는 입구는 좁고 내측은 넓은 더브테일홈이 하단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면은 상기 분기 지관 소켓의 상단 외경면에 밀착하고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절곡되며 상기 고정홈에 상응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과, 양 끝단은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각각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상면과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면 중앙에서 수직 관통하되 내경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플렌지부와, 상기 플렌지부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고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하단에는 수평 관통된 제1 와이어홀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원형막대와, 일측은 상기 더브테일홈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더브테일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은 수평 관통된 제2 와이어홀이 형성되어 와이어 고정블록과, 양단이 각각 제1 및 제2 와이어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로 구성되는 부착장치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플렌지부에는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어 형성되는 탄성밴드 안착부와, 상기 탄성밴드 안착부에서 내경 일부까지 수평 절개되어 동일한 형상으로 상하로 두 개 반대측에 두 개가 형성되는 걸림편 삽입홈과, 일측은 상기 걸림편 삽입홈에 삽입되어 플렌지부의 내경보다 더욱 내측으로 돌출되되 돌출되는 면은 하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밴드 안착부의 외경면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4 개의 걸림편과, 내경이 상기 탄성밴드 안착부의 외경에 상응하는 튜브 형상의 탄성복원력을 가진 탄성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막대에는 상호 반대면에 상기 수직으로 절개된 형상의 한 쌍의 수평면이 형성되고, 한 쌍의 수평면의 사이에는 수직으로 일정간격 다수가 배열되어 외경이 수평으로 절개되되 상기 걸림편의 하향경사진 경사면과 밀착하는 상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의 끝단을 와이어 고정블럭과 연결하고 내측 밀폐소켓에 형성되는 더브테일홈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부착장치에 의하여 와이어를 당겨 용이하게 내측 밀폐소켓을 고정하고 작업 완료 후 부착장치 및 와이어를 용이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와 내측 밀폐소켓의 연결을 와이어 고정블럭 내측 밀폐소켓에 형성되는 더브테일홈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와이어 및 부착장치를 용이하게 장착하고 분리하면서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손잡이를 당겨 원형막대를 상부로 들어올릴 때 걸림홈과 걸림편에 의하여 상승한 원형 막대가 하강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단계적으로 적은 힘을 들이고도 와이어를 당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 지관 소켓을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기 지관 소켓을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형막대의 회전에 따른 움직임을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 지관 소켓을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배관(1)에 천공된 유입공(11)을 통하여 장착되어 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이 상기 유입공(11)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1 날개편(21)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제1 숫나사부(22)가 형성되며, 수직 이등분되어 하부의 힌지(23)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유입공(11)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고, 이등분된 측면에는 측면 실링부재(24)가 장착되며, 이등분된 상면에는 반으로 잘린 링형상의 상면 실링부재(25)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날개편(21)과 상기 유입공(11)에 인접한 내측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패킹(26)이 장착되는 한 쌍의 내측 밀폐소켓(2)과; 중앙에는 상기 내측 밀폐소켓(2)의 상부가 관통 장착되는 관통홀(31)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면이 상기 유입공(11)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2 날개편(32)이 형성되며, 상면에 대칭되는 양측에 내경면과 외경면을 연결하는 고정홈(33)이 형성되는 분기 지관 소켓(3)과; 내경에 상기 제1 숫나사부(22)에 상응하는 암나사부(41)를 구비하는 고정너트(4)와; 하단 내주면은 상기 고정너트(4)의 암나사부(41)에 상응하는 제2 숫나사부(51)를 구비하고 상부는 지관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관 연결소켓(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내측 밀폐소켓(2)의 하단 중앙에는 입구는 좁고 내측은 넓은 더브테일홈(27)이 하단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면은 상기 분기 지관 소켓(3)의 상단 외경면에 밀착하고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절곡되며 상기 고정홈(33)에 상응하는 고정돌기(61)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62)과, 양 끝단은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각각 상기 가이드브라켓(62)의 상면과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브라켓(63)과, 상기 지지브라켓(63)의 상면 중앙에서 수직 관통하되 내경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플렌지부(64)와, 상기 플렌지부(64)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고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하단에는 수평 관통된 제1 와이어홀(65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손잡이(652)가 형성되는 원형막대(65)와, 일측은 상기 더브테일홈(27)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더브테일돌기(661)가 형성되고 타측은 수평 관통된 제2 와이어홀(662)이 형성되어 와이어 고정블록(66)과, 양단이 각각 제1 및 제2 와이어홀(651, 662)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67)로 구성되는 부착장치(6)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와이어(67)를 당겨서 내측밀폐소켓(3)을 분기 지관 소켓(3)의 관통홀(31)로 제1 숫나사부(22)를 끌어올리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부착장치(6)가 가이드브라켓(62)의 고정돌기(61)가 고정홈(33)에 삽입되어 조정되면 작업자는 손잡이(652)를 당겨 와이어(67)가 당겨지면서 내측 밀폐소켓(2)이 상승하게되는 원리이다.
이때 기존의 경우 와이어(67)가 내측 밀폐소켓(2)에 일체로 형성되는 와이어 연결구에 결속 연결되어 있어 작업이 끝난 후 와이어 혹은 와이어 연결구를 절단하여 제거해야했으나 본원의 경우 와이어 고정블록(66)을 간편하게 더브테일홈(27)에서 뺄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67)의 제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은 작업후 제거한 와이어(67)를 포함하는 부착장치(6)는 다른 분기 지관을 결속할 경우에도 재사용이 간편하게 와이어 고정블록(66)을 더브테일홈(27)에 끼움으로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원에 의한 장착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내측 밀폐소켓(2)을 힌지(23)에 의하여 절첩하면 유입공(11)을 통하여 내측으로 밀어넣게 되고 와이어(67)을 당기면 접혔던 한 쌍의 내측 밀폐소켓(2)이 펴지게 되는데 본원은 손잡이(652)를 당기면 와이어(67)가 상기 분기 지관 소켓(3)을 다시 상부로 올려주며 상기 내측 밀폐소켓(2)의 상단 제1 숫나사부(22)가 상부로 돌출될 때까지 당기고, 와이어(67)를 포함하는 부착장치(6)를 제거한 후 고정너트(4)와 지관 연결소켓(5)을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기 지관 소켓을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형막대의 회전에 따른 움직임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플렌지부(64)에는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어 형성되는 탄성밴드 안착부(641)와, 상기 탄성밴드 안착부(641)에서 내경 일부까지 수평 절개되어 동일한 형상으로 상하로 두 개 반대측에 두 개가 형성되는 걸림편 삽입홈(642)과, 일측은 상기 걸림편 삽입홈(642)에 삽입되어 플렌지부(64)의 내경보다 더욱 내측으로 돌출되되 돌출되는 면은 하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밴드 안착부(641)의 외경면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4 개의 걸림편(643)과, 내경이 상기 탄성밴드 안착부(641)의 외경에 상응하는 튜브 형상의 탄성복원력을 가진 탄성밴드(644)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막대(65)에는 상호 반대면에 상기 수직으로 절개된 형상의 한 쌍의 수평면(653)이 형성되고, 한 쌍의 수평면(653)의 사이에는 수직으로 일정간격 다수가 배열되어 외경이 수평으로 절개되되 상기 걸림편(643)의 하향경사진 경사면과 밀착하는 상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65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손잡이(652)에 의하여 원형막대(65)를 상부로 끌어올리더라도 당기는 힘이 사라지면 내측 밀폐소켓(2)의 자중에 의하여 다시 하강하게 되며 이는 작업 도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서 항상 손잡이(652)를 잡고 당기는 자세를 유지해야한다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원형막대(65)가 상승하면서 걸림편(64)은 걸림홈(654)의 경사면에 의하여 밀리면서 상승하고 걸림편(64)은 탄성밴드(644)에 의하여 다시 복귀되는 것을 반복하게 되며 반대로 하강할 경우에는 걸림편(64)에 의하여 하강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로 작업자는 좀더 편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며 하강이 필요한 경우에는 원형막대(65)를 90도 회전시키면 수평면(653)이 걸림편(64)에 닿게 되면서 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1 : 배관
11 : 유입공
2 : 내측 밀폐소켓
21 : 제1 날개편 22 : 제1 숫나사부
23 : 힌지 24 : 측면 실링부재
25 : 상면 실링부재 26 : 패킹
27 : 더브테일홈
3 : 분기지관 소켓
31 : 관통홀 32 : 제2 날개편
33 : 고정홈
4 : 고정너트
41 : 암나사부
5 : 지관 연결소켓
51 : 제2 숫나사부
6 : 부착장치
61 : 고정돌기
62 : 가이드브라켓
63 : 지지브라켓
64 : 플렌지부
641 : 탄성밴드 안착부 642 : 걸림편 삽입홈
643 : 걸림편 644 : 탄성밴드
65 : 원형막대
651 : 제1 와이어홀 652 : 손잡이
653 : 수평면 654 : 걸림홈
66 : 와이어 고정블록
661 : 더브테일돌기 662 : 제2 와이어홀
67 : 와이어

Claims (2)

  1. 배관(1)에 천공된 유입공(11)을 통하여 장착되어 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이 상기 유입공(11)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1 날개편(21)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제1 숫나사부(22)가 형성되며, 수직 이등분되어 하부의 힌지(23)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유입공(11)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고, 이등분된 측면에는 측면 실링부재(24)가 장착되며, 이등분된 상면에는 반으로 잘린 링형상의 상면 실링부재(25)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날개편(21)과 상기 유입공(11)에 인접한 내측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패킹(26)이 장착되는 한 쌍의 내측 밀폐소켓(2)과; 중앙에는 상기 내측 밀폐소켓(2)의 상부가 관통 장착되는 관통홀(31)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면이 상기 유입공(11)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2 날개편(32)이 형성되며, 상면에 대칭되는 양측에 내경면과 외경면을 연결하는 고정홈(33)이 형성되는 분기 지관 소켓(3)과; 내경에 상기 제1 숫나사부(22)에 상응하는 암나사부(41)를 구비하는 고정너트(4)와; 하단 내주면은 상기 고정너트(4)의 암나사부(41)에 상응하는 제2 숫나사부(51)를 구비하고 상부는 지관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관 연결소켓(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내측 밀폐소켓(2)의 하단 중앙에는 입구는 좁고 내측은 넓은 더브테일홈(27)이 하단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면은 상기 분기 지관 소켓(3)의 상단 외경면에 밀착하고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절곡되며 상기 고정홈(33)에 상응하는 고정돌기(61)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62)과, 양 끝단은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각각 상기 가이드브라켓(62)의 상면과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브라켓(63)과, 상기 지지브라켓(63)의 상면 중앙에서 수직 관통하되 내경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플렌지부(64)와, 상기 플렌지부(64)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고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하단에는 수평 관통된 제1 와이어홀(65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손잡이(652)가 형성되는 원형막대(65)와, 일측은 상기 더브테일홈(27)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더브테일돌기(661)가 형성되고 타측은 수평 관통된 제2 와이어홀(662)이 형성되어 와이어 고정블록(66)과, 양단이 각각 제1 및 제2 와이어홀(651, 662)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67)로 구성되는 부착장치(6)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부(64)에는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어 형성되는 탄성밴드 안착부(641)와, 상기 탄성밴드 안착부(641)에서 내경 일부까지 수평 절개되어 동일한 형상으로 상하로 두 개 반대측에 두 개가 형성되는 걸림편 삽입홈(642)과, 일측은 상기 걸림편 삽입홈(642)에 삽입되어 플렌지부(64)의 내경보다 더욱 내측으로 돌출되되 돌출되는 면은 하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밴드 안착부(641)의 외경면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4 개의 걸림편(643)과, 내경이 상기 탄성밴드 안착부(641)의 외경에 상응하는 튜브 형상의 탄성복원력을 가진 탄성밴드(644)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막대(65)에는 상호 반대면에 수직으로 절개된 형상의 한 쌍의 수평면(653)이 형성되고, 한 쌍의 수평면(653)의 사이에는 수직으로 일정간격 다수가 배열되어 외경이 수평으로 절개되되 상기 걸림편(643)의 하향경사진 경사면과 밀착하는 상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65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20130168354A 2013-12-31 2013-12-31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1621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354A KR101621258B1 (ko) 2013-12-31 2013-12-31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354A KR101621258B1 (ko) 2013-12-31 2013-12-31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719A KR20150078719A (ko) 2015-07-08
KR101621258B1 true KR101621258B1 (ko) 2016-05-16

Family

ID=5379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354A KR101621258B1 (ko) 2013-12-31 2013-12-31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2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859B1 (ko) * 2018-11-09 2019-08-13 (주)포위스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의 분리형 t-결속 장치
RU2820483C1 (ru) * 2022-12-22 2024-06-0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трансгаз Ухта" Способ защиты колодцев от попадания грунтов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579Y1 (ko) 2005-01-14 2005-04-14 신우산업주식회사 분기관 이음 소켓
KR101241981B1 (ko) 2011-03-16 2013-03-11 엔바이로텍 주식회사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579Y1 (ko) 2005-01-14 2005-04-14 신우산업주식회사 분기관 이음 소켓
KR101241981B1 (ko) 2011-03-16 2013-03-11 엔바이로텍 주식회사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859B1 (ko) * 2018-11-09 2019-08-13 (주)포위스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의 분리형 t-결속 장치
RU2820483C1 (ru) * 2022-12-22 2024-06-0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трансгаз Ухта" Способ защиты колодцев от попадания грунтов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719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9263B2 (en) Universal height absorbing toilet seal
US20150376887A1 (en) Universal height absorbing toilet seal
KR20150091594A (ko)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JP4564857B2 (ja) 排水管路構造、排水管路の施工方法および排水管路施工セット
KR101621258B1 (ko)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1241981B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US10745900B2 (en) Catch basin trap with flexible outlet pipe connector
KR20150017876A (ko) 씽크대용 악취차단장치
KR100707816B1 (ko) 디씨파이프 분기관 이음 소켓
KR102134970B1 (ko) 배수용 본관에 지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CN209443554U (zh) 防堵可拆卸地漏
JP4119182B2 (ja) 基礎貫通部材を用いた排水管の配管構造
KR100982713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JPH0913462A (ja) 排水口の防臭装置
KR102036008B1 (ko) 벽걸이형 소변기 조립체
JP2006016780A (ja) 床下配管の通気構造
JP7432491B2 (ja) サイホン排水システムの検査方法、治具
KR200399496Y1 (ko) 디씨파이프 분기관 이음 소켓
CN215406439U (zh) 一种地漏及室内排水系统
JPH0322373Y2 (ko)
PL71158Y1 (pl) Zlacze, zwlaszcza przewodów wentylacyjnych
KR100772578B1 (ko) 절단된 주관에 체결되는 분기구
JP2002256603A (ja) 地上型排水桝
US20190003167A1 (en) Non-return valve
KR200354138Y1 (ko) 주배관의 분기관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