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981B1 -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981B1
KR101241981B1 KR1020110023280A KR20110023280A KR101241981B1 KR 101241981 B1 KR101241981 B1 KR 101241981B1 KR 1020110023280 A KR1020110023280 A KR 1020110023280A KR 20110023280 A KR20110023280 A KR 20110023280A KR 101241981 B1 KR101241981 B1 KR 101241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socket
wire
ring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5687A (ko
Inventor
김중각
Original Assignee
엔바이로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바이로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바이로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981B1/ko
Publication of KR20120105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새로 신설되는 하수관이나 이미 설치된 하수관에 유입공을 천공하고 분기관을 연결하기 위한 소켓을 장착할 때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장착작업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배관에 천공된 유입공을 통하여 장착되어 지관을 연결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이 상기 유입공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1 날개편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제1 숫나사부가 형성되며, 수직 이등분되어 하부의 힌지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유입공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고, 이등분된 측면에는 측면 실링부재가 장착되며, 이등분된 상면에는 반으로 잘린 링형상의 상면 실링부재가 장착되고, 내측 중앙에는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날개편과 상기 유입공에 인접한 내측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패킹이 장착되는 한 쌍의 내측 밀폐소켓과;
중앙에는 상기 내측 밀폐소켓의 상부가 관통 장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면이 상기 유입공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2 날개편이 형성되며,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링 장착홈을 구비하고, 상면에 대칭되는 양측에 내경면과 외경면을 연결하는 와이어 삽입홈이 형성되는 분기지관 소켓과;
상기 회전링 장착홈에 삽입 장착되는 링 형상을 가지고, 대칭되는 양측은 법선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그 끝단에 상기 와이어의 타측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핸들을 포함하는 회전링과;
내경에 상기 제1 숫나사부에 상응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고정너트와;
하단 내주면은 상기 고정너트의 암나사부에 상응하는 제2 숫나사부를 구비하고 상부는 지관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관 연결소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The blind branch outlet fitting system}
본 발명은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새로 신설되는 하수관이나 이미 설치된 하수관에 유입공을 천공하고 분기관을 연결하기 위한 소켓을 장착할 때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장착작업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관은 수많은 배관의 이음으로 연결되며 이음 부위마다 수밀성과 상,하수의 흐름이 원활해야 하며 특히, 오수관의 경우 오수가 누수될 경우 토양 오염과 이로 인한 환경 파괴 때문에 더욱 완벽한 수밀성이 요구된다.
또한 배관 이음이 불완전할 경우 역으로 지하수가 배관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지하수와 함께 주위 토사가 스며들어 배관 내부에서 퇴적되어 유체 흐름이 방해되며 주변의 지반을 함몰시킴으로써 다른 설치물에 피해를 주는 경우도 발생한다.
한편, 배관을 구성하는 파이프상에서 지관을 직접 분기하는 경우에는 파이프상에 지관 연결을 위해 관통공을 뚫고 이에 지관을 연결하는데 있어서 수밀성과 돌출부등에 의한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T자관이나 Y자관의 시공보다 연결 여건이 매우 열악하고 이음부의 수밀성이 불완전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03-0066634호에서는 본 배관 측면 유입공에 유입공보다 큰 내측와샤(;본원에서는 내측 밀폐소켓)를 유입공에 들어가게 등분하여 양분된 내측와샤로 하고 양분된 내측와샤 날개편 상면과 양분된 내측와샤 단면에 패킹을 각각 부착하고, 분기 지관 소켓 돌출부 내면에 패킹을 부착하여, 배관 유입공 내면에 날개편이 걸쳐 있는 양분된 내측와샤와 배관 외면에 밀착한 분기 지관 소켓을 다수의 볼트로 내측와샤의 너트 또는 암나사부와 조임하면, 내측와샤 날개편 상면의 패킹이 배관 유입공 주연부 내면에 압박되고 양분된 내측와샤 단면 사이에는 패킹이 있고, 내측와샤의 수직관 돌출부 외면 또는 내면이 분기 지관 소켓 하면에 형성한 돌출부 내면 또는 돌출테 내면에 부착된 패킹과 밀착되어 패킹에 의해 수밀되게 한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를 제시하였다.
이때 상기 내측와샤를 유입공을 통해 삽입한 후 내벽면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일측이 고정된 와이어를 유입공 외부에서 잡아당겨 밀착시키고 있으나 와이어를 작업자가 당기고 분기 지관 소켓을 결합하는 작업이 한 명의 작업자가 수행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양분된 내측와샤의 단면에 형성되는 실링이 쉽게 이탈하거나 위치가 이동하여 수밀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이어를 통하여 배관의 내측에 장착되는 내측 밀폐소켓을 배관의 내측면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와이어를 당기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 한 사람의 작업자도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결합을 완료한 후 회전링을 포함하는 와이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양분된 내측 밀폐소켓이 상호 밀착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수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각종 실링부재가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 결합링을 회전 후 외력이 없어도 회전한 위치에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관에 천공된 유입공을 통하여 장착되어 지관을 연결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이 상기 유입공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1 날개편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제1 숫나사부가 형성되며, 수직 이등분되어 하부의 힌지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유입공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고, 이등분된 측면에는 측면 실링부재가 장착되며, 이등분된 상면에는 반으로 잘린 링형상의 상면 실링부재가 장착되고, 내측 중앙에는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날개편과 상기 유입공에 인접한 내측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패킹이 장착되는 한 쌍의 내측 밀폐소켓과;
중앙에는 상기 내측 밀폐소켓의 상부가 관통 장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면이 상기 유입공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2 날개편이 형성되며,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링 장착홈을 구비하고, 상면에 대칭되는 양측에 내경면과 외경면을 연결하는 와이어 삽입홈이 형성되는 분기지관 소켓과;
상기 회전링 장착홈에 삽입 장착되는 링 형상을 가지고, 대칭되는 양측은 법선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그 끝단에 상기 와이어의 타측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핸들을 포함하는 회전링과;
내경에 상기 제1 숫나사부에 상응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고정너트와;
하단 내주면은 상기 고정너트의 암나사부에 상응하는 제2 숫나사부를 구비하고 상부는 지관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관 연결소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링은 반원형으로 양분되고 양 끝단은 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절곡부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회전링과, 상기 밀착된 두 개의 삽입절곡부를 일측으로 삽입하고 중앙에는 수직 관통되어 와이어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홀을 구비하는 두 개의 핸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 실링부재와 상면 실링부재의 상기 내측 밀폐소켓과 밀착되는 면에는 대응하는 수 개의 돌기와 홈에 의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대응하여 상호 밀착하는 측면 실링부재의 밀착면에는 대응하는 제1 실링 결합돌기와 제1 실링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대응하여 상호 밀착하는 상면 실링부재의 밀착면에는 대응하는 제2 실링 결합돌기와 제2 실링 결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링 장착홈의 바닥면과, 회전링의 저면을 따라 대응하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가 다수 형성되어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를 통하여 배관의 내측에 장착되는 내측 밀폐소켓을 배관의 내측면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와이어를 당기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 한 사람의 작업자도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이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링이 제1 및 제2 회전링으로 양분되고 이를 핸들에 의하여 가 결합하도록 하여 사용후에 상기 핸들을 분리하기만 하면 용이하게 제거되어 와이어 및 회전링 분리작업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분된 내측 밀폐소켓이 상호 밀착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수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각종 실링부재가 각 부분이 돌기와 홈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결합 작업 중 이탈하거나 위치가 바뀌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결합링을 작업자가 회전하여 와이어를 당긴 후 별도로 지지하지 않아도 상기 내측 밀폐소켓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여 이후 다른 부품의 조립과정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지관 소켓과 회전링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측 밀폐소켓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h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지관 소켓과 회전링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측 밀폐소켓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배관(1)에 천공된 유입공(11)을 통하여 장착되어 지관을 연결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이 상기 유입공(11)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1 날개편(21)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제1 숫나사부(22)가 형성되며, 수직 이등분되어 하부의 힌지(23)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유입공(11)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고, 이등분된 측면에는 측면 실링부재(24)가 장착되며, 이등분된 상면에는 반으로 잘린 링형상의 상면 실링부재(25)가 장착되고, 내측 중앙에는 와이어(26)의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27)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날개편(21)과 상기 유입공(11)에 인접한 내측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패킹(28)이 장착되는 한 쌍의 내측 밀폐소켓(2)과;
중앙에는 상기 내측 밀폐소켓(2)의 상부가 관통 장착되는 관통홀(31)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면이 상기 유입공(11)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2 날개편(32)이 형성되며,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링 장착홈(33)을 구비하고, 상면에 대칭되는 양측에 내경면과 외경면을 연결하는 와이어 삽입홈(34)이 형성되는 분기지관 소켓(3)과;
상기 회전링 장착홈(33)에 삽입 장착되는 링 형상을 가지고, 대칭되는 양측은 법선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그 끝단에 상기 와이어(26)의 타측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핸들(41)을 포함하는 회전링(4)과;
내경에 상기 제1 숫나사부(22)에 상응하는 암나사부(51)를 구비하는 고정너트(5)와;
하단 내주면은 상기 고정너트(5)의 암나사부(51)에 상응하는 제2 숫나사부(61)를 구비하고 상부는 지관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관 연결소켓(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본원의 주요 구성은 회전링(4)과 와이어(26)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와이어(26)를 손으로 직접 당겨서 사기 내측 밀폐소켓(2)이 상기 배관(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였으나 본원은 회전링(4)에 의하여 간단하게 또는 한 손으로도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기 회전링(4)은 반원형으로 양분되고 양 끝단은 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절곡부(42)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회전링(43, 44)과, 상기 밀착된 두 개의 삽입절곡부(42)를 일측으로 삽입하고 중앙에는 수직 관통되어 와이어(25)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홀(45)을 구비하는 두 개의 핸들(41)로 구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결합과정 중에 와이어(26)와 회전링(4)을 제거하게 되는데 그 과정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한 실시 예이다.
또 추가적인 실시 예로는 상기 측면 실링부재(24)와 상면 실링부재(25)의 상기 내측 밀폐소켓(2)과 밀착되는 면에는 대응하는 수 개의 돌기(29a)와 홈(29b)에 의하여 결합되는 실시 예와;
상기 대응하여 상호 밀착하는 측면 실링부재(24)의 밀착면에는 대응하는 제1 실링 결합돌기(24a)와 제1 실링 결합홈(24b)이 형성되고; 상기 대응하여 상호 밀착하는 상면 실링부재(25)의 밀착면에는 대응하는 제2 실링 결합돌기(25a)와 제2 실링 결합홈(25b)이 형성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각 실링부재가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고 결합과정 중에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목적과, 실링부재 상호 간의 밀착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한 실시 예이다.
도 5a 내지 도 5h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본원에 의한 장착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내측 밀폐소켓(2)을 힌지(23)에 의하여 절첩하면 유입공(11)을 통하여 내측으로 밀어넣게 되고 와이어(26)을 당기면 접혔던 한 쌍의 내측 밀폐소켓(2)이 펴지게 되는데 본원은 회전링(4)을 돌리면 와이어(26)가 상기 분기지관 소켓(3)의 외주면에 감기면서 당겨지도록 하는 것에 그 주요 특징이 있다.
이렇게 회전링(4)을 상기 내측 밀폐소켓(2)의 상단 제1 숫나사부(22)가 상부로 돌출될 때까지 당기고, 회전링(4)과 와이어(26)를 제거한 후 고정너트(5)와 지관 연결소켓(6)을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회전링 장착홈(33)의 바닥면과, 회전링(4)의 저면을 따라 대응하는 제1 돌기(33a) 및 제2 돌기(46)가 다수 형성되어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상기 회전링(4)을 회전시키다가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내측 밀폐소켓(2)의 하중을 받는 와이어(26)에 의하여 가시 풀리게 될 우려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돌기(33a, 46)가 상호 맞물리게 되면 회전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보다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이때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33a, 46)에 방향성을 주어 일 방향 즉 와이어(26)가 감기는 방향으로는 회전이 용이하나 반대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배관
11 : 유입공
2 : 내측 밀폐소켓
21 : 제1 날개편 22 : 제1 숫나사부
23 : 힌지 24 : 측면 실링부재
24a : 제1 실링 결합돌기 24b : 제1 실링 결합홈
25 : 상면 실링부재 25a : 제2 실링 결합돌기
25b : 제2 실링 결합홈 26 : 와이어
27 : 와이어 고정부 28 : 패킹
29a : 돌기 29b : 홈
3 : 분기지관 소켓
31 : 관통홀 32 : 제2 날개편
33 : 회전링 장착홈 33a : 제1 돌기
34 : 와이어 삽입홈
4 : 회전링
41 : 핸들 42 : 삽입절곡부
43 : 제1 회전링 44 : 제2 회전링
45 : 와이어 고정홀 46 : 제2 돌기
5 : 고정너트
51 : 암나사부
6 : 지관 연결소켓
61 : 제2 숫나사부

Claims (5)

  1. 배관(1)에 천공된 유입공(11)을 통하여 장착되어 지관을 연결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이 상기 유입공(11)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1 날개편(21)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제1 숫나사부(22)가 형성되며, 수직 이등분되어 하부의 힌지(23)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유입공(11)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고, 이등분된 측면에는 측면 실링부재(24)가 장착되며, 이등분된 상면에는 반으로 잘린 링형상의 상면 실링부재(25)가 장착되고, 내측 중앙에는 와이어(26)의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27)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날개편(21)과 상기 유입공(11)에 인접한 내측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패킹(28)이 장착되는 한 쌍의 내측 밀폐소켓(2)과;
    중앙에는 상기 내측 밀폐소켓(2)의 상부가 관통 장착되는 관통홀(31)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면이 상기 유입공(11)에 인접한 테두리에 밀착되는 제2 날개편(32)이 형성되며,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링 장착홈(33)을 구비하고, 상면에 대칭되는 양측에 내경면과 외경면을 연결하는 와이어 삽입홈(34)이 형성되는 분기지관 소켓(3)과;
    상기 회전링 장착홈(33)에 삽입 장착되는 링 형상을 가지고, 대칭되는 양측은 법선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그 끝단에 상기 와이어(26)의 타측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핸들(41)을 포함하는 회전링(4)과;
    내경에 상기 제1 숫나사부(22)에 상응하는 암나사부(51)를 구비하는 고정너트(5)와;
    하단 내주면은 상기 고정너트(5)의 암나사부(51)에 상응하는 제2 숫나사부(61)를 구비하고 상부는 지관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관 연결소켓(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4)은 반원형으로 양분되고 양 끝단은 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절곡부(42)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회전링(43, 44)과, 상기 밀착된 두 개의 삽입절곡부(42)를 일측으로 삽입하고 중앙에는 수직 관통되어 와이어(25)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홀(45)을 구비하는 두 개의 핸들(4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실링부재(24)와 상면 실링부재(25)의 상기 내측 밀폐소켓(2)과 밀착되는 면에는 대응하는 수 개의 돌기(29a)와 홈(29b)에 의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여 상호 밀착하는 측면 실링부재(24)의 밀착면에는 대응하는 제1 실링 결합돌기(24a)와 제1 실링 결합홈(24b)이 형성되고;
    상기 대응하여 상호 밀착하는 상면 실링부재(25)의 밀착면에는 대응하는 제2 실링 결합돌기(25a)와 제2 실링 결합홈(25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 장착홈(33)의 바닥면과, 회전링(4)의 저면을 따라 대응하는 제1 돌기(33a) 및 제2 돌기(46)가 다수 형성되어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20110023280A 2011-03-16 2011-03-16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124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280A KR101241981B1 (ko) 2011-03-16 2011-03-16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280A KR101241981B1 (ko) 2011-03-16 2011-03-16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687A KR20120105687A (ko) 2012-09-26
KR101241981B1 true KR101241981B1 (ko) 2013-03-11

Family

ID=4711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280A KR101241981B1 (ko) 2011-03-16 2011-03-16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9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685B1 (ko) 2013-04-17 2014-06-13 노대식 분기관 연결용 조인트
KR101621258B1 (ko) 2013-12-31 2016-05-16 김종철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200055773A (ko) * 2017-09-20 2020-05-21 비일리 엔지니어링 비.브이. 플레이트 형상 구조물 요소의 관통 개구에 도관을 실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689Y1 (ko) 1997-07-09 1999-11-01 진인주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70013178A (ko) * 2005-07-25 2007-01-30 오정호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689Y1 (ko) 1997-07-09 1999-11-01 진인주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70013178A (ko) * 2005-07-25 2007-01-30 오정호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685B1 (ko) 2013-04-17 2014-06-13 노대식 분기관 연결용 조인트
KR101621258B1 (ko) 2013-12-31 2016-05-16 김종철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200055773A (ko) * 2017-09-20 2020-05-21 비일리 엔지니어링 비.브이. 플레이트 형상 구조물 요소의 관통 개구에 도관을 실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615299B1 (ko) 2017-09-20 2023-12-15 비일리 엔지니어링 비.브이. 플레이트 형상 구조물 요소의 관통 개구에 도관을 실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687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16762A (ja) 柔軟な排水トラップ
JP4002992B2 (ja) 拡張リングアセンブリ
JP6526144B2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KR101241981B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JP2008069831A (ja) 管接続部材を分岐部から取り外すための弁装置及びその取外方法
KR20150091594A (ko)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1051267B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140046616A (ko)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
KR100982715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 편수관 연결구조
KR100707816B1 (ko) 디씨파이프 분기관 이음 소켓
KR200464418Y1 (ko) 지중관로용 관로구 몸체
KR100765851B1 (ko) 합성수지관의 분기용 연결장치
KR200342277Y1 (ko) 맨홀의 관 접합장치
KR200391564Y1 (ko) 플랜지형 하수관 연결장치
KR10039878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101297592B1 (ko) 하수관 연결구
KR101192408B1 (ko)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구조체
KR200381665Y1 (ko) 플랜지형 하수관 연결장치
KR200399496Y1 (ko) 디씨파이프 분기관 이음 소켓
KR200486974Y1 (ko) 유동고정링을 구비한 파이프연결구조
KR101621258B1 (ko)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JP6422630B2 (ja) 弁装置を有する分岐管
JP2014129660A (ja) 排水管接続部材
KR200337231Y1 (ko) 수밀용 패킹을 이용한 분기관의 연결구조
KR20130001740U (ko)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