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6696A - 그레이팅 구조체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6696A
KR20140096696A KR1020130009587A KR20130009587A KR20140096696A KR 20140096696 A KR20140096696 A KR 20140096696A KR 1020130009587 A KR1020130009587 A KR 1020130009587A KR 20130009587 A KR20130009587 A KR 20130009587A KR 20140096696 A KR20140096696 A KR 20140096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ub
grating
frame
auxiliary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5030B1 (ko
Inventor
신해
Original Assignee
신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해 filed Critical 신해
Priority to KR102013000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0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10Steel gratings ; Gratings made of material other than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42Gratings; Grid-like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 F16S3/08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forming framework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Abstract

배수구에 설치되는 그레이팅 구조체에 있어서, 그레이팅 구조체는, 둘레 프레임, 및 상기 둘레 프레임의 내측에 보조바가 구비되는 보강부; 상기 보조바 상에 배치되는 그레이팅부; 및 상기 보조바를 지지하는 받침축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바는,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바, 및 상기 제1 보조바와 교차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바를 포함하고, 상기 그레이팅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수통로가 형성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타공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그레이팅 구조체{GRATING STRUCTURE}
본원은 그레이팅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스틸그레이팅은 도로에서 보행자와 차량 등을 보호하기 위한 배수구의 대표적인 뚜껑이다.
종래의 그레이팅은 배수구의 상측 유입부의 콘크리트 상에 배수통로가 구비된 그레이팅이 직접 얹혀지는 형태로 설치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그레이팅은 둘레만이 콘크리트 상에 지지되므로, 중심부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 및 손상이 쉽게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레이팅의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레이팅의 소재가 더 많이 들어가 비용이 높아지고 또 무거워져 관리가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부피가 큰 이물질을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여 배수구 내로 유입되는 경우 관로가 좁아지고 주변의 침수를 야기하며 자주 청소를 해야 하므로 막대한 유지관리비가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은 그레이팅의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하중으로 인한 그레이팅의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배수구 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최대한 방지하고 그레이팅을 통과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이를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는, 둘레 프레임, 및 상기 둘레 프레임의 내측에 보조바가 구비된 보강부; 상기 보조바 상에 배치되는 그레이팅부; 및 상기 보조바를 지지하는 받침축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바는,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바, 및 상기 제1 보조바와 교차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바를 포함하고, 상기 그레이팅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수통로가 형성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타공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타공부재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공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쓰레기 수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그레이팅부가 직접 콘크리트 상에 설치되지 않고 보조바 상에 안치되어 보강부 및 받침축에 의해 지지되므로, 그레이팅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발생하여 그레이팅의 손상을 막을 수 있으며 배수효율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타공부재와 쓰레기 수납부를 통해 부피가 큰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고, 쓰레기 수납부에 모인 이물질은 개구부를 통해 손쉽게 수거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에 포함된 그레이팅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에 포함된 보강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쓰레기 수납부가 포함된 그레이팅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차단유닛이 제2 거치대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차단유닛이 제2 거치대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타공부재의 연장부의 하부에 구비된 체결용 부재가 둘레 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둘레 프레임 돌기 및 잠금유닛에 의해 지지 프레임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이하 '본 그레이팅 구조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배수구는 지하에 매설된 배수관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지상에 형성된 홀로서, 그레이팅 구조체는 이러한 배수구의 상측 유입부에 설치되어 보행자 및 이동수단의 바퀴 등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체이다.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보강부(1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보강부(10)는 후술하는 그레이팅부(30)를 지지함으로써, 종래의 그레이팅의 중심부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 및 손상이 쉽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10)에 의해 그레이팅부(30)가 콘크리트 상에 직접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그레이팅 구조체의 배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배수구 상측 유입부의 콘크리트 상에 그레이팅 둘레가 직접 얹혀짐으로써 구비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약 400 mm의 폭을 가지는 그레이팅의 경우, 양쪽 둘레가 각각 약 50 mm씩 콘크리트 상에 얹혀지게 되므로, 그레이팅부의 약 25%가 배수기능을 잃는 공간이 되며 그 공간에 흙이 쌓여 배수구가 막히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부(10)를 포함함으로써 그레이팅부(30)가 콘크리트 상에 직접 설치되지 않으므로, 그레이팅부(30)에 구비된 배수통로가 100% 활용될 수 있어 배수효율을 종래에 비해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보강부(10)는 둘레 프레임(11)을 포함한다.
둘레 프레임(11)은 후술하는 지지 프레임(31)의 둘레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둘레 프레임(11)의 상측에 지지 프레임(31)이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31)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31)이 둘레 프레임(11)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보강부(10)는 둘레 프레임(11)의 내측에 보조바가 구비된다.
도 2, 도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보조바는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바(12)를 포함한다.
더 큰 하중으로부터의 지지 프레임(31)의 변형을 방지하고, 제2 보조바(1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조바(12)는 복수개임이 바람직하다.
도 2,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보조바는 제1 보조바(12)와 교차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바(13)를 포함한다.
더 큰 하중으로부터의 지지 프레임(3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조바(13)는 복수개임이 바람직하다.
그레이팅부(30)가 제1 보조바(12) 및 제2 보조바(13)를 통해 이중 지지되므로, 본 그레이팅 구조체의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조바(12)와 제2 보조바(13)는 동일 평면 상에서 교차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조바(13)는 제1 보조바(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부(10)는 한 쌍의 제1 거치대(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1 거치대(14) 각각에는 제1 보조바(12)의 양단부가 각각 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거치대(14)는 상단으로부터 함몰된 제1 거치홈(14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거치대(14)는 제1 보조바(12)의 양단부가 각각 제1 거치홈(141)에 거치되도록 둘레 프레임(1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보조바(12)는 제1 거치홈(141)에 끼워지거나 빠짐으로써, 제1 거치대(14)로부터의 분리 또는 체결이 자유롭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조바(12)가 하중을 받아 변형 또는 손상이 일어나는 경우 간단하게 교체될 수 있다.
이때, 제1 보조바(12)가 보다 안정적으로 제1 거치대(14)에 거치될 수 있도록, 제1 거치홈(141)은 제1 보조바(12)의 단부가 높이 방향으로 모두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강부(10)는 한 쌍의 제2 거치대(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2 거치대(15) 각각에는 제2 보조바(13)의 양단부가 각각 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거치대(15)는 상단으로부터 함몰된 제2 거치홈(15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거치대(15)는 제2 보조바(13)의 양단부가 각각 제2 거치홈(151)에 거치되도록 둘레 프레임(1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보조바(13)는 제2 거치홈(151)에 끼워지거나 빠짐으로써, 제2 거치대(15)로부터의 분리 또는 체결이 자유롭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보조바(13)가 하중을 받아 변형 또는 손상이 일어나는 경우 간단하게 교체될 수 있다.
이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보조바(13)가 보다 안정적으로 제2 거치대(15)에 거치될 수 있도록, 제2 거치홈(151)은 제2 보조바(13)의 단부가 높이 방향으로 모두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2 거치홈(151)은 제2 보조바(13)의 하면이 제1 보조바(12)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함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보조바(13)는 제1 보조바(12)가 제1 거치홈(1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조바(12)가 제1 거치홈(1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거치홈(151)의 함몰 깊이가 짧아 제2 보조바(13)가 제1 보조바(12)와 접촉될 수 없는 경우, 그레이팅부(30)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제2 보조바(13)만이 그레이팅부(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제1 보조바(12)는 그레이팅부(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보조바(12)가 제2 보조바(13)와 맞닿도록 하여 제1 보조바(12)와 제2 보조바(13)가 그레이팅부(30)를 이중으로 지지함으로써, 그레이팅 구조체의 구조적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보강부(10)는 제2 거치홈(151)으로부터 제2 보조바(13)의 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유닛(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보조바(13)는 제1 보조바(12)와 접촉됨으로써, 제1 보조바(12)가 제1 거치홈(1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 보조바(12)의 이탈 방지를 위한 별도의 부재는 필요하지 않다.
차단유닛(16)을 통해 제2 보조바(13)가 제2 거치홈(151)에 밀착 체결될 수 있어, 그레이팅 구조체 상으로 차 또는 사람이 지나가더라도 보조바의 흔들림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단유닛(16)이 제2 보조바(13)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보조바의 도난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보조바(13)의 단부에는 차단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단유닛(16)은 차단홈(131) 상으로 일부가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홈(131)은 제2 보조바(13)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함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함몰된 형상을 가지되 일측면이 개방된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차단유닛(16)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조바(13)의 단부가 이탈될 수 있는 통로인 제2 거치홈(151)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제2 거치대(15)와 체결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거치홈(151)의 상부에 끼워짐으로써, 제2 보조바(13)의 단부가 제2 거치홈(1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단유닛(16)의 일부(161)는 차단홈(131) 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2 거치대(15)에는 차단유닛(16)의 일부(1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유닛(16)의 일부(161)가 제2 거치대(15)의 홀에 삽입되도록 파지부(163)를 이동시킴으로써, 차단유닛(16)의 일부(161)가 제2 거치홈(15)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제2 거치홈(151) 상을 가로질러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유닛(16)은 제2 보조바(13)가 제2 거치홈(1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차단유닛(16)은 복수개의 제2 거치대(15)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차단유닛(16)은 복수개의 보조바(1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차단유닛(16)의 일부(161)는 차단홈(131)을 향해 삽입됨으로써 차단홈(131) 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를 참조하면 둘레 프레임(11)의 외측에서 파지부(163)를 제2 보조바(13)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유닛(16)이 제2 거치홈(151)의 상부에 끼워져 제2 보조바(1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차단유닛(16)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차단유닛(16)이 하나의 제2 보조바(1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차단유닛(16)의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차단유닛(16)이 복수개의 제2 보조바(13)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둘레 프레임(11)은 외면에 차단유닛(16)의 파지부(163)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블록(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둘레 프레임(11)의 외측에서 차단유닛(16)의 파지부(163)를 이동시킴으로써,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제2 보조바(13)의 탈부착이 가능하다.
도 1,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보강부(10)는 배수구의 내측 벽면을 지지하도록 둘레 프레임(11)의 외면에 형성된 지지부재(17)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그레이팅은, 배수구의 상측 유입부의 콘크리트 상에 배수통로가 형성된 그레이팅의 둘레가 직접 얹혀지는 형태로 설치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콘크리트 상에 얹혀지는 배수통로는 배수 유입부의 역할을 할 수 없으므로, 그레이팅의 배수 효율을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도 8을 참조하면,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지지부재(17)를 통해 배수구의 벽면에 둘레 프레임(11)을 설치하고, 둘레 프레임(11)의 내측 또는 상측에 그레이팅부(30)를 설치하여 그레이팅부(30)가 둘레 프레임(1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상에 얹혀지는 배수통로를 없애 그레이팅부(30)의 배수효율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그레이팅부(3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그레이팅부(30)는 이물질은 차단시키고 빗물만이 배수구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레이팅부(30)는 보조바 상에 배치된다.
그레이팅부(30)는 보조바 상에 배치되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 프레임(11)의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둘레 프레임(11)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레이팅부(30)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수통로(312)가 형성된 지지 프레임(31)이 구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31)은 복수개의 판이 배수통로(312)를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31)은 사각틀의 내측에 복수개의 판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지지 프레임(31)은 사각틀의 내측에 복수개의 판이 격자 무늬를 가지도록 서로 교차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레이팅부(30)에는 지지 프레임(31) 상에 타공부재(33)가 구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타공부재(33)는 지지 프레임(31)에 구비된 다수개의 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타공부재(33)에 형성된 홀(332)의 크기는 지지 프레임(31)에 형성된 배수통로(312)의 크기에 비해 작을 수 있다.
타공부재(33)는 상면에 다수의 홀(332)이 형성됨으로써, 빗물만이 배수구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낙엽이나 돌과 같은 부피가 큰 이물질이 배수구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타공부재(33)에 형성된 홀(332)의 크기는 약 20 mm 이하임이 바람직하고, 이를 테면 약 7 mm 내지 약 14 mm일 수 있다.
타공부재(33)에 형성된 홀(332)의 크기가 20 mm 이상인 경우, 도시의 가장 많은 쓰레기인 담배꽁초가 쉽게 빠져 쓰레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기능 자체가 상실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타공부재(33)의 상면에는 홀(332)과 홀(332) 사이를 따라 돌출라인(331)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라인(331)은 타공부재(33)의 상면에 흐르는 물이 쉽게 월류되지 못하도록 그 흐름을 제한하여 약화시키고, 이에 따라 돌출라인(331)의 사이에 자연히 수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물이 이를 따라 흐르게 유도함으로써, 물이 돌출라인(331) 사이에 형성된 홀(332)을 통해 배수구 내로 보다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돌출라인(331)은 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흐르는 물이 배수구 내로 보다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타공부재(33)는 제1 방향을 따라 돌출라인(331)이 형성된 제1 영역(3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공부재(33)는 제2 방향을 따라 돌출라인(331)이 형성된 제2 영역(33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이라 함은 돌출라인(331)을 다수개의 구간으로 분할했을 때, 각 구간의 라인이 일정하게 향하는 방향뿐만 아니라, 일정하지는 않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간의 라인이 대략적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돌출라인(331) 상에는 이물질의 부착이 방지되도록 간격을 두고 엠보싱(3313)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라인(331) 상에 이물질이 부착되면 물이 돌출라인(331)을 월류하여 다른 수로로 이동하는 것을 막게 되므로, 돌출라인(331) 사이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수로에 물이 몰리게 되는 경우, 배수가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라인(331) 상에 엠보싱(3313)을 형성시킴으로써, 엠보싱(3313) 상에 이물질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물질과 돌출라인(331) 사이에 물이 월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 돌출라인(331) 사이에 형성된 수로 중 어느 하나의 수로에 물이 몰리는 경우, 물이 돌출라인(331)을 월류함으로써 다른 수로를 따라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타공부재(33)에는 개구부(3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타공부재(33)의 하측에는 개구부(334)에 대응하는 위치에 쓰레기 수납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쓰레기 수납부(60)는 타공 또는 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334)는 타공부재(33)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쓰레기 수납부(60)는 개구부(334)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수납될 수 있어, 이물질이 배수구 내에 쌓여 배수로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334)를 통해 쓰레기 수납부(60)를 꺼낼 수 있어,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때, 개구부(334)는 지지 프레임(31) 상에 구비된 타공부재(33)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지지 프레임(31) 상의 일부에만 타공부재(33)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개구부(334)는 쓰레기, 낙엽 등의 이물질이 많이 모이는 곳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반 차량용 도로의 사이드에 설치되는 그레이팅 구조체인 경우, 이물질은 차량용 도로와 보도의 높이차로 인해 형성된 턱에 많이 쌓이게 되므로, 개구부(334)는 턱이 형성된 곳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쓰레기 수납부(60)는 보강부(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31)의 하부에는 보강부(10)와 체결되는 체결용 부재(319)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 프레임(31)은 보강부(10)에 고정될 수 있어, 그레이팅 구조체 상에 차 또는 사람이 지나가는 경우 지지 프레임(31)이 흔들려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31)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그레이팅 구조체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체결용 부재(319)는 둘레 프레임(11)의 내측면에 볼트 등을 통해 고정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체결용 부재(319)는 제2 보조바(13)와 체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체결용 부재(319)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른 예로서, 타공부재(33)는 지지 프레임(31)의 둘레를 감싸도록 지지 프레임(31)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37)를 포함할 수 있고, 연장부(337)의 하부에는 보강부(10)와 체결되는 체결용 부재(339)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타공부재(33)만이 보강부(10)와 체결됨으로써, 타공부재(33)의 하측에 위치한 지지 프레임(31)도 보강부(10)와 밀착 체결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체결용 부재(339)가 볼트(340)를 통해 둘레 프레임(11)의 내측면에 체결됨으로써, 타공부재(33)는 보강부(10)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체결용 부재(339)가 제2 보조바(13)와 체결됨으로써, 타공부재(33)는 보강부(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른 예로서, 도 7을 참조하면, 둘레 프레임(11)의 내측에서 보조바 상에 안치되는 지지 프레임(31)의 외면에는 제1 돌기(315) 및 제2 돌기(3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둘레 프레임(11)의 내면에는 지지 프레임(31)의 안치시 제1 돌기(315)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제1 돌기(315) 상에 둘레 프레임 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둘레 프레임(11)의 내측에 지지 프레임(31)이 장착되는 경우의 제1 돌기(315)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둘레 프레임 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둘레 프레임(11)의 내측에 지지 프레임(31)이 장착되는 경우, 제1 돌기(315)의 상면과 둘레 프레임 돌기(115)의 하면이 접촉됨으로써 제1 돌기(315)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10)는 제2 돌기(316)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 프레임(31)의 안치시 제2 돌기(316) 상으로 일부가 이동 가능한 잠금유닛(1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유닛(18)이 삽입되기 전에 둘레 프레임 돌기(115)의 하면과 제1 돌기(315)의 상면이 접촉되도록 지지 프레임(31)을 둘레 프레임(11)의 내측에 장착한다. 이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유닛(18)을 둘레 프레임(11)의 외측에서 제2 돌기(316) 상으로 삽입함으로써 잠금유닛(18)의 일부의 하면이 제2 돌기(316)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둘레 프레임(11)으로부터 지지 프레임(3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 프레임(31)의 도난 및 지지 프레임(31)의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이 방지될 수 있고,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315)와 제2 돌기(316)는 지지 프레임(31)의 외면 중 서로 대향하는 부재의 외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받침축(50)을 포함한다.
받침축(50)은 보조바를 지지한다.
이를 통해,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그레이팅부(30)는 보조바뿐만 아니라 받침축(50)을 통해서도 지지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받침축(50)의 상단은 제1 보조바(12)와 제2 보조바(13)의 교차 지점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보조바(12)와 제2 보조바(13)의 교차 지점에 가장 많은 하중이 걸리게 되므로, 이를 지지함으로써 그레이팅 구조체의 구조적 강도를 보다 확보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축(50)의 하단은 배수구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수구의 내측 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받침축(50)의 상단에는 제1 보조바(12)와 제2 보조바(13)가 교차 지점에 장착되는 고정유닛(5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유닛(51)은 속이 빈 십자가 형태일 수 있고, 십자가의 빈 속에 제1 보조바(12)와 제2 보조바(13)의 교차 지점이 끼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보조바(12)와 제2 보조바(13)를 고정시켜 그레이팅 구조체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종래의 그레이팅은 둘레만이 배수구의 상측 유입부의 콘크리트 상에 지지되므로 중심부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 및 손상이 쉽게 일어나고, 일부 배수통로가 콘크리트 상에 얹혀지게 되므로 배수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그레이팅부(30)가 직접 콘크리트 상에 설치되지 않고, 보조바(12, 13) 상에 배치되어 보강부(10) 및 받침축(50)에 의해 이중으로 지지되므로, 배수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레이팅의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타공부재(33)와 쓰레기 수납부(60)를 통해 부피가 큰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쓰레기 수납부(60)에 모인 이물질은 개구부(334)를 통해 간단하게 수거될 수 있다.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보조바(12, 13)가 각각 거치대(14, 15)로부터 자유롭게 탈착될 수 있으므로, 보조바(12, 13)의 손상시 교체가 편리하다.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타공부재(33) 또는 지지 프레임(31)이 각각 체결용 부재(339, 319)를 통해 보조바와 결합될 수 있으므로, 도난 방지 및 강도 확보가 가능하다.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타공부재(33)의 상면의 홀(332)과 홀(332) 사이를 따라 형성된 돌출라인(331)을 통해 수로를 형성하여 물이 홀(332)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돌출라인(331) 상에 형성된 엠보싱(3313)을 통해 물이 다른 수로로 월류될 수 있도록 하여, 배수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보강부 30: 그레이팅부
50; 받침축 60: 쓰레기 수납부
11: 둘레 프레임 12: 제1 보조바
13: 제2 보조바 14: 제1 거치대
15: 제2 거치대 16: 차단유닛
17: 지지부재 31: 지지 프레임
33: 타공부재 131: 차단홈
141: 제1 거치홈 151: 제2 거치홈
161: 차단유닛의 일부 163: 파지부
111: 수납블록 312: 배수통로
331: 돌출라인 332: 타공부재의 홀
333: 제1 영역 335: 제2 영역
3313: 엠보싱 337: 연장부
319, 339: 체결용 부재 315: 제1 돌기
316: 제2 돌기 115: 둘레 프레임 돌기
18: 잠금유닛

Claims (20)

  1. 배수구에 설치되는 그레이팅 구조체에 있어서,
    둘레 프레임, 및 상기 둘레 프레임의 내측에 보조바가 구비된 보강부;
    상기 보조바 상에 배치되는 그레이팅부; 및
    상기 보조바를 지지하는 받침축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바는,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바, 및 상기 제1 보조바와 교차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바를 포함하고,
    상기 그레이팅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수통로가 형성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타공부재가 구비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바는 상기 제1 보조바 상에 배치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단으로부터 함몰된 제1 거치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보조바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 거치홈에 거치되도록 상기 둘레 프레임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거치대; 및
    상단으로부터 함몰된 제2 거치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보조바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2 거치홈에 거치되도록 상기 둘레 프레임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치홈은,
    상기 제2 보조바의 하면이 상기 제1 보조바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함몰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2 거치홈으로부터 상기 제2 보조바의 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바의 단부에는 차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차단홈 상으로 일부가 이동 가능한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유닛의 일부는 상기 차단홈 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프레임은 외면에 상기 차단유닛의 파지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블록을 포함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축의 상단은 상기 제1 보조바와 상기 제2 보조바의 교차 지점을 지지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축의 상단에는 상기 제1 보조바와 상기 제2 보조바의 교차 지점에 장착되는 고정유닛이 구비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재의 상면에는 홀과 홀 사이를 따라 돌출라인이 형성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라인은 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타공부재는,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라인이 형성된 제1 영역, 및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라인이 형성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라인 상에는 이물질의 부착이 방지되도록 간격을 두고 엠보싱이 형성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보강부와 체결되는 체결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재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그레이팅 본체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는 상기 보강부와 체결되는 체결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재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공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쓰레기 수납부가 구비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납부는 상기 보강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배수구의 내측 벽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둘레 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재에 형성된 홀의 크기는 상기 배수통로의 크기에 비해 작은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둘레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보조바 상에 안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면에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둘레 프레임의 내면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안치시 상기 제1 돌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돌기 상에 둘레 프레임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2 돌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안치시 상기 제2 돌기 상으로 일부가 이동 가능한 잠금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KR1020130009587A 2013-01-29 2013-01-29 그레이팅 구조체 KR101475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587A KR101475030B1 (ko) 2013-01-29 2013-01-29 그레이팅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587A KR101475030B1 (ko) 2013-01-29 2013-01-29 그레이팅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696A true KR20140096696A (ko) 2014-08-06
KR101475030B1 KR101475030B1 (ko) 2014-12-24

Family

ID=5174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587A KR101475030B1 (ko) 2013-01-29 2013-01-29 그레이팅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0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206A (ko) * 2016-06-30 2018-01-09 강이국 그레이팅용 거름망
KR101969859B1 (ko) 2018-11-09 2019-08-13 (주)포위스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의 분리형 t-결속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148B1 (ko) 2018-05-17 2019-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 처짐 방지 장치
KR102083353B1 (ko) 2018-06-29 2020-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
KR102083342B1 (ko) 2018-06-29 2020-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211Y1 (ko) * 2005-02-28 2005-05-25 (주) 미도랜드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
KR100700019B1 (ko) * 2006-04-04 2007-03-26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안전그레이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206A (ko) * 2016-06-30 2018-01-09 강이국 그레이팅용 거름망
KR101969859B1 (ko) 2018-11-09 2019-08-13 (주)포위스 그레이팅 패널과 상판커버의 분리형 t-결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030B1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030B1 (ko) 그레이팅 구조체
US5403474A (en) Curb inlet gravel sediment filter
US20130186811A1 (en) Filter
US8652323B2 (en) Filter assembly for use in drainage system
JP5845132B2 (ja) 排水側溝
KR100976852B1 (ko) 집수정
KR101102576B1 (ko)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KR20120006734A (ko)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JP5537530B2 (ja) 道路集水桝用蓋板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20120040042A (ko)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6044390A (ja) 浸透システム
JP2017166204A (ja) 路上排水溝装置
KR101034556B1 (ko) 투수기능을 갖는 블럭 보호틀
KR200409448Y1 (ko) 집수정용 철 구조물
KR101217390B1 (ko) 맨홀용 정화장치
KR20210026717A (ko)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KR100989415B1 (ko) 우수 저류시설의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JP3182813U (ja) 溝蓋用受枠
JP2005120713A (ja) 道路用コンクリート溝
KR200489600Y1 (ko)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KR20180063520A (ko)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JP5201766B2 (ja) 透水性側溝におけるグレーチング蓋の蓋受け構造
JP7229524B2 (ja) 側溝用土砂の受籠
KR200372743Y1 (ko) 개폐가 용이한 대형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