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342B1 -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342B1
KR102083342B1 KR1020180075204A KR20180075204A KR102083342B1 KR 102083342 B1 KR102083342 B1 KR 102083342B1 KR 1020180075204 A KR1020180075204 A KR 1020180075204A KR 20180075204 A KR20180075204 A KR 20180075204A KR 102083342 B1 KR102083342 B1 KR 102083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marker
fastening
branch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094A (ko
Inventor
박인하
박정서
이정훈
이준성
최성인
최영수
황인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34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10Steel gratings ; Gratings made of material other than ste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6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clam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5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ables, pip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가 개시된다. 표식물 고정 구조는, 판 형상의 표식물; 및 상기 표식물의 하측면에 각각 쌍(Pair)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Mark fixing structure for grating}
본 발명은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레이팅(Grating)은 배수로 등에 설치되어 빗물 등이 배수로에 유입되도록 하고, 동시에 그레이팅의 상부에 사람이나 차량이 통행할 수 있게 하는 격자형 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사각형 테두리를 형성하는 엔드바(End bar)와, 엔드바의 내측에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 바(Bearing bar)들로 구성된다. 베어링 바들은 홈이 형성되어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되거나 용접 결합되어 그레이팅을 형성한다.
또한 조선소, 공사 현장 등에서는 작업의 편의를 위해 복수 개의 그레이팅을 연결하여 계단이나 통행로 등을 제작 설치하기도 한다.
조선소, 해양 플랜트 등에서는 작업자가 특정 구역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증강 현실 기법으로 상응하는 3D 모델 이미지, 설계 도면 등을 열람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해당 구역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마커(marker)가 표기된 판(板) 형상의 표식물을 설치하고 있다.
이때, 표식물은 주로 폐쇄된 바닥면이나 벽면에 설치되고 있으나, 일부의 표식물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150)에도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마커(110)나 안전 문구 등이 상부면에 표기된 표식물(100)을 그레이팅(150)에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등이 현재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표식물(100)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홀(120)을 각각 형성하고, 고정홀(120)과 그레이팅(150)의 베어링 바(155)를 케이블 타이(130)로 묶어 표식물(100)을 그레이팅에 고정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레이팅(150)을 통해 작업자들의 왕래가 빈번해지면 표식물(100)에 형성된 고정홀(120) 자체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고, 고정홀(120)이 파손되면 표식물(100)이 그레이팅(150)에 정상적으로 고정되지 못할 뿐 아니라, 표식물(100)의 움직임이 많아져 작업자들의 통행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75030호(그레이팅 구조체) 한국등록특허 제10-1450133호(증강현실기반 지하매설물의 단면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표식물의 고정이 가능하고, 작업자들이 빈번히 왕래하는 그레이팅인 경우에도 표식물의 고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판(板) 형상의 표식물; 및 상기 표식물의 하측면에 각각 쌍(Pair)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표식물이 그레이팅의 위에 고정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쌍을 이루도록 구비된 복수의 고정 수단은 그레이팅의 상응하는 통공에 각각 삽입되어 각각 대응되는 베어링 바의 측벽을 밀어 가압하도록 위치되는,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 수단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뻗어나온 가지가 몸체의 측면에 구비된 체결대; 및 상기 체결대의 상응하는 가지에 끼워져 대응되는 그레이팅의 측벽을 가압하도록 위치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지에 끼워지는 공동(空洞)이 형성된 본체; 및 대응되는 그레이팅의 측벽을 가압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 단부에 고정 부착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대의 가지의 둘레면과 상기 본체의 공동의 둘레면에는 각각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둘레면은 상기 가압부를 회전시키도록 미리 지정된 작업자 도구에 대응되는 체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압부는 쌍을 이루는 체결대 각각에 대해 서로 마주보는 가지에 끼워지거나,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된 가지에 끼워질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표식물의 고정이 가능하고, 작업자들이 빈번히 왕래하는 그레이팅인 경우에도 표식물의 고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그레이팅에 표식물이 고정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식물이 그레이팅에 고정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식물 고정 구조를 간략히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식물이 그레이팅에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식물이 그레이팅에 고정된 형상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은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다소 과장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첨부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로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식물이 그레이팅에 고정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식물 고정 구조를 간략히 예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식물이 그레이팅에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식물이 그레이팅에 고정된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마커(110) 등이 표기된 표식물(100)의 하부면 복수의 위치에 고정 수단(210)이 각각 구비된다.
표식물(100)이 그레이팅(15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할 때, 표식물(100)의 하부면에 장착된 고정 수단(210) 각각은 각각 대응되는 베어링 바(155)의 측벽을 가압하기 위해 베어링 바(155)의 교차 결합에 의해 형성된 그레이팅(150)의 통공(250)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된다.
도 2에는 고정 수단(210) 각각이 표식물(100)의 하부면의 모서리(corner) 부위에 구비된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그 구비 위치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다만, 표식물(100)의 하부면에는 한 쌍 이상의 고정 수단(210)이 구비될 수 있고, 구비된 복수의 고정 수단(210)은 도 2 내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쌍(pair)을 이루도록 이용된다.
각각의 고정 수단(210)은 예를 들어 표식물(100)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움 고정되거나, 표식물(100)의 하부면에 용접 고정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식물(1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고정 수단(210)은 체결대(310)와 가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대(31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뻗어 나온 가지가 몸체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도록 예를 들어 T자 또는 十자 형상 등으로 형성되며, 구비된 가지의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체결대(310)는 예를 들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뻗어나온 가지가 돌출 형성된 일체형 몸체로도 형성될 수도 있으나, 세로형 몸체와 가로형 몸체가 수직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가압부(320)는 체결대(310)의 상응하는 가지에 끼워지는 공동(空洞)이 형성된 본체(322)와, 본체의 일 단부에 고정 부착되는 접촉 부재(324)를 포함한다.
본체(322)에 형성된 공동의 둘레면에는 체결대(310)의 가지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산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체(322)는 작업자 도구에 의해 회전되어 체결대(310)의 가지와 공동의 나사산 결합 지점이 변동됨으로써 접촉 부재(324)의 위치(즉, 연장 거리(EL))를 변동시킨다. 이를 위해 본체(322)의 둘레면은 작업자 도구(예를 들어 육각 렌치)에 대응되는 체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부재(324)는 연장 거리가 조정되어 표식물(100)이 그레이팅(150)의 상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베어링 바(155)의 측벽을 접촉 가압할 때, 베어링 바(155)의 손상이 방지되고, 보다 효과적으로 표식물(100)이 고정되도록 예를 들어 고무 재질 등으로 빨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320)는 접촉 가압할 베어링 바(155)의 방향에 상응하도록 위치된 체결대(310)의 가지에 나사산 결합되도록 끼워진다.
이때, 쌍을 이루도록 지정된 2개의 고정 수단(210)인 경우, 가압부(320)는 도 3에 ① 또는 ②로 표기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거나(즉, ①의 위치) 서로 대면하는 방향(즉, ②의 위치)으로 체결대(310)의 상응하는 가지에 각각 끼워진다(도 4의 (c) 및 도 5 참조).
따라서, 표식물(100)의 하부에 쌍을 이루도록 지정된 2개의 고정 수단(210)은 고정 수단(210)들 사이에 각각 위치된 베어링 바(155)의 측벽을 각각 가압하도록 조정되거나(도 5 참조), 고정 수단(210)들의 바깥쪽에 각각 위치된 베어링 바(155)의 측벽을 각각 가압하도록 조정(도 4 참조)됨으로써 표식물(100)이 그레이팅(15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표식물(100)이 그레이팅(150)의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표식물(100)의 하부에 쌍을 이루도록 지정된 2개의 고정 수단(210)이 고정 수단(210)들의 바깥쪽에 각각 위치된 베어링 바(155)의 측벽을 각각 가압하여 표식물(100)을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320)는 체결대(310)의 바깥쪽 가지에 나사산 결합되도록 끼워진다. 이때, 각각의 고정 수단(210)이 그레이팅(150)에 형성된 통공(250)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가압부(320)의 본체(322)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대(310)의 중심축과 접촉 부재(324)의 단부 위치간의 거리인 연장 거리(EL)를 감축시킨다.
이어서, 각각의 고정 수단(210)이 각각 대응되는 통공(250)에 삽입되어 표식물(100)의 하부면이 그레이팅(150)의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위치시킨다(도 4의 (b) 참조).
이후, 각 고정 수단(210)의 연장 거리가 증대되어 접촉 부재(324)가 대응되는 베어링 바(155)의 측벽에 접촉되어 가압할 때까지 체결대(310)의 가지에 나사산 결합된 본체(322)를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표식물(100)의 하부에 쌍을 이루도록 지정된 고정 수단(210)의 접촉 부재(324) 각각이 대응되는 베어링 바(155)의 측벽에 접촉되어 가압됨으로써, 표식물(100)은 움직임이 억제된 상태에서 그레이팅(150)의 상부에 고정 위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표식물 110 : 마커
120 : 고정홀 130 : 케이블 타이
150 : 그레이팅 155 : 베어링 바
210 : 고정 수단 250 : 통공
310 : 체결대 320 : 가압부
322 : 본체 324 : 접촉 부재

Claims (6)

  1. 판(板) 형상의 표식물; 및
    상기 표식물의 하측면에 각각 쌍(Pair)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표식물이 그레이팅의 위에 고정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쌍을 이루도록 구비된 복수의 고정 수단은 그레이팅의 상응하는 통공에 각각 삽입되어 각각 대응되는 베어링 바의 측벽을 밀어 가압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뻗어나온 가지가 몸체의 측면에 구비된 체결대; 및 상기 체결대의 상응하는 가지에 끼워져 대응되는 그레이팅의 측벽을 가압하도록 위치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지에 끼워지는 공동(空洞)이 형성된 본체; 및
    대응되는 그레이팅의 측벽을 가압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 단부에 고정 부착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대의 가지의 둘레면과 상기 본체의 공동의 둘레면에는 각각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둘레면은 상기 가압부를 회전시키도록 미리 지정된 작업자 도구에 대응되는 체결 형상으로 형성되는,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압부는 쌍을 이루는 체결대 각각에 대해 서로 마주보는 가지에 끼워지거나,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된 가지에 끼워지는,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
KR1020180075204A 2018-06-29 2018-06-29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 KR102083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204A KR102083342B1 (ko) 2018-06-29 2018-06-29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204A KR102083342B1 (ko) 2018-06-29 2018-06-29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94A KR20200002094A (ko) 2020-01-08
KR102083342B1 true KR102083342B1 (ko) 2020-03-02

Family

ID=6915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204A KR102083342B1 (ko) 2018-06-29 2018-06-29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3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118B2 (ja) * 1998-11-18 2001-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源形成用基板、電子源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118U (ja) * 2007-06-06 2007-09-06 株式会社ダイクレ グレーチングの取付金具
KR101475030B1 (ko) 2013-01-29 2014-12-24 신해 그레이팅 구조체
KR101450133B1 (ko) 2013-09-05 2014-10-1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기반 지하매설물의 단면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118B2 (ja) * 1998-11-18 2001-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源形成用基板、電子源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94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7909B2 (ja) マット、可搬型建設用多孔マットシステム、工具および方法
US11377864B2 (en) Compression post with visual indication system
US20160009301A1 (en) Pit Cover
US11286681B2 (en) Compression post with retainer clip
KR102083342B1 (ko)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
KR102083353B1 (ko) 그레이팅에 대한 표식물 고정 구조
CN202925896U (zh) 建筑工程用孔洞预留装置
US3718018A (en) Pipe bending tool
CN205438722U (zh) 一种打孔夹板
KR20140132558A (ko) 비계용 안전발판의 제조방법
KR200481589Y1 (ko) 가스 배관라인 표시못장치
CN203022361U (zh) 一种柱角保护工具
JP2006097440A (ja) 杭柱建込装置
KR20090011891U (ko)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풀림방지장치
JP2016125520A (ja) ネジ式機械式継手による鋼管柱の接合の管理方法
KR20170000859U (ko) 파일용 마개
JP5114223B2 (ja) 杭芯位置の確認方法
KR101429146B1 (ko) 안전 테트라포드 거푸집 제작 장치 및 방법
JPH08144515A (ja) スリーブの位置決め固定装置
JP5959085B1 (ja) 単管足場用作業台
JP3221548U (ja) 擁壁ブロックの連結ピン及び擁壁ブロックの連結構造
JP6304696B2 (ja) 仮設構造物の床板固定用具
JP2008095382A (ja) ジョイント部材及び型枠間隔保持具
JP2016038023A (ja) ホースブリッジ
KR20130003988U (ko) 서포트 일체형 잭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