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650B1 - 양방향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650B1
KR101969650B1 KR1020170140452A KR20170140452A KR101969650B1 KR 101969650 B1 KR101969650 B1 KR 101969650B1 KR 1020170140452 A KR1020170140452 A KR 1020170140452A KR 20170140452 A KR20170140452 A KR 20170140452A KR 101969650 B1 KR101969650 B1 KR 101969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charge pipe
heating
safety plate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열
Original Assignee
유승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열 filed Critical 유승열
Priority to KR1020170140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2Reflectors for radiatio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 F24C7/06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with refl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71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 H05B3/0076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for cooking, e.g. in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고 내부로 공간을 형성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을 향해 열에너지를 방출하도록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원부; 음식물이 올려지거나 제1 조리용기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고 열원부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유리 재질로 구성되는 가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타측을 개폐하도록 본체부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열원부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가열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타측이 상부를 향해 놓여지면 가열부가 제1 조리용기를 덮는 뚜껑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본체부의 타측으로 제2 조리용기를 안착시켜 제1 조리용기와 제2 조리용기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조리기기{Duplex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양방향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조리기기로 사용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두 개의 조리용기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는 양방향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육류나 어패류 등을 익혀 취식하기 위해 음식물을 가열하거나 조리용기를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장치로, 가스, 연료 등의 에너지원을 통해 음식물 또는 조리용기에 화염을 노출시켜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화염 방식, 자기장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열에너지로 전환해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유도 가열 방식, 전자파 형태의 에너지가 방출되는 과정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적외선 가열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화염 방식의 경우,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가스, 연료(숯 등)의 연소 과정에서 유해가스가 발생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거나, 조리되는 음식물의 표면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점이 중대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또한, 유도 가열 방식의 경우, 전술한 화염 방식에 비해 유해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나, 가열온도가 미약하기 때문에 가열 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불편함과, 유도전류에 반응할 수 있는 금속 등의 전기전도체 성분이 함유된 조리용기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뒤따르게 된다.
한편, 적외선 가열 방식은 유해가스의 배출이 없고 음식물, 조리용기를 빠르게 가열할 수 있는 충분한 열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 및 조작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근래에는 적외선 가열 방식을 채용한 조리기기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 일례를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10-0655907(명칭: 원적외선 전기조리기)에는 전방 외주에 다수의 작동스위치(12)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14)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단에 삽입공간(16)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삽입공간(16)에 삽입되고,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며 체결수단에 의해 본체(10)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대(22)가 형성되며, 일측면에 통공(24)이 형성되는 단열커버(20), 상기 단열커버(20)의 상방에 안착되고, 통공(24)과 동일선상에 제 2 통공(34)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발열체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고리(32)가 구성되는 반사판(30), 상기 단열커버(20)와 반사판(30)의 통공(24) 및 제 2 통공(34)을 통해 일측이 외부와 연결되고 상기 반사판(30)의 고정고리(32)에 고정되어 발열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발열체(40), 상기 반사판(30)의 상부에 안착되는 가열유리판(50) 및 상기 단열커버(20)와 반사판(30) 및 가열유리판(50)의 외주를 커버하고, 하단에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62)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62)는 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며, 다수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고, 외주에 다수의 통풍구(64)이 형성되어 있는 발열커버(60)로 구성되는 조리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적외선 조리기는 적외선 램프가 조리용기를 가열하고, 이 조리용기가 고기의 하부만을 익혀주는 일방향 가열방식으로서, 한번에 한 개의 조리용기만을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진다. 만일, 대수 개의 조리용기를 가열하고자 할 경우, 다수의 조리기를 병렬로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조리기기를 휴대하기에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655907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음식물을 올려 직접 가열하는 구이기로 사용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조리기기를 뒤집어 사용할 경우 한 개의 조리용기에는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억제하는 가열 뚜껑으로 사용하고, 한 개의 조리용기에는 직접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동시에 두 개의 조리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고 내부로 공간을 형성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을 향해 열에너지를 방출하도록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원부; 음식물이 올려지거나 제1 조리용기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고 열원부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유리 재질로 구성되는 가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타측을 개폐하도록 본체부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열원부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가열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타측이 상부를 향해 놓여지면 가열부가 제1 조리용기를 덮는 뚜껑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본체부의 타측으로 제2 조리용기를 안착시켜 제1 조리용기와 제2 조리용기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열부에 올려진 음식물이 조리되면서 발생되는 분비물을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가열부가 제1 조리용기를 덮는 뚜껑으로 사용될 경우 제1 조리용기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본체부의 외부로 배기하도록 일단이 가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중공 형상의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배출부는, 일단에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ㄴ'자 형상의 장홈이 관통된 제1 배출관; 및 타단의 일부분이 상기 제1 배출관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장홈에 가이드되는 체결돌기가 돌설된 제2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일단에 제1 플랜지가 형성된 제1 배출관; 및 타단의 일부분이 상기 제1 배출관의 내부로 삽입되고 경로 상에 상기 제1 플랜지와 인접하는 제2 플랜지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가열부와 연결되되 제1 배출관과 동축 상에 위치하는 제2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플랜지에는 언더컷 형상으로 절취된 걸림홈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랜지에는 걸림홈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걸림편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부는 걸림홈과 걸림편의 체결 여부에 따라 제1 배출관과 제2 배출관의 분해, 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부가 관통되는 제1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1 안전판; 및 상기 제1 안전판에 평행한 상태로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1 안전판과 이격거리를 갖는 제2 안전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열원부가 상기 제1 안전판과 제2 안전판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 안전판은, 링 형상의 망사 철망; 및 상기 망사 철망의 내륜을 가로지르되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대의 교차점에 제1 배출관의 외주면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기기의 제1 포지션을 통해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는 구이기로 사용할 수 있고, 제2 포지션에서는 두 개의 조리용기를 동시에 가열하되, 제1 조리용기에 대해서는 확산 가열 작용을 가지는 가열 뚜껑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조리기기의 상, 하 방향으로 조리용기를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두 개의 조리용기를 동시에 가열하더라도 조리기기가 차지하는 점유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셋째, 열원부 측으로 이물질 등이 낙하 되더라도 제1 안전망과 제2 안전망에 의해 사전에 걸러질 수 있으므로 열원부와 가열부의 오염,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제1 플랜지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광하협의 원추형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가열부에 올려져 익혀지는 육류 등에서 발생한 기름이 가열부와 제2 배출관 사이에서 유출되어 제2 배출관의 외주면을 타고 흐르더라도 흐르는 기름을 제1 플랜지에 고이게 함으로써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부재들이 기름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섯째, 가열부를 회전시키는 작용만으로 가열부와 제2 배출관을 함께 본체부에서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으므로 가열부의 분해,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제2 포지션의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가열부가 본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조리기기를 180° 뒤집은 상태에서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가 제2 포지션에 놓인 상태에서 제1, 2 조리기기를 가열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조리기기를 180° 뒤집은 상태에서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특징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고 내부로 공간을 형성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과 타측을 향해 열에너지를 방출하도록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원부(300), 음식물이 올려지거나 제1 조리용기(P1)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고 열원부(300)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유리 재질로 구성되는 가열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개방된 타측을 개폐하도록 본체부(100)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열원부(300)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가열부(200)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511)이 형성된 커버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0)의 타측이 상부를 향해 놓여지면 가열부(200)가 제1 조리용기(P1)를 덮는 뚜껑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본체부(100)의 타측으로 제2 조리용기(P2)를 안착시켜 제1 조리용기(P1)와 제2 조리용기(P2)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가열부(200)에 올려진 음식물이 조리되면서 발생되는 분비물을 본체부(100)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가열부(200)가 제1 조리용기(P1)를 덮는 뚜껑으로 사용될 경우 제1 조리용기(P1)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본체부(100)의 외부로 배기하도록 일단이 가열부(200)와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중공 형상의 배출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일측이 상부를 향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제1 포지션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지션의 상태에서 180°뒤집혀 본체부(100)의 타측이 상부를 향해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하는 제2 포지션으로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0)의 내주면에는 열원부(300)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단열하기 위한 단열재(110)가 충진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제1 안전판(600) 및 제2 안전판(700)의 거치를 위한 거치수단(미도시)이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주면에는 조리기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1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타측면에는 이격돌기(140)가 돌설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돌기(140)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1 포지션에서는 받침다리의 작용을 담당하고 제2 포지션에서는 화구격자의 작용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개방된 타측 부분에는 커버부(500)를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안착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안착홈(130)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 본체부(100)에는 열원부(300)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레버(L)와 열원부(3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열부(20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내열 유리 재질(Heat resistant glass)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열 유리는, 급열/급랭에 잘 견디는 유리를 말하는 것으로, 열 팽창률이 낮고 온도의 급변에 견딜 수 있으며, 연화 온도가 보통 유리에 비해서 높은 유리를 말한다.
이러한 내열 유리의 주성분인 SiO2는 연화온도가 1730℃이고 내열성이 강하기 때문에 고온에서도 화학안전성이 탁월하다. 또한, 산 성분에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내, 부식성이 우수하며 일반적인 도자기의 30배, 스테인레스강의 150배 정도의 내, 부식성을 가진다. 이에 더하여, 내열 강화 유리는 열팽장계수가 낮고, 자외선, 적외선 등 모든 파장에 대하여 탁월한 광 투과율을 가진다. 특히, 적외선의 스펙트럼 영역은 투과욜이 98% 이상에 이른다.
한편, 가열부(200)를 미국의 코닝사에서 발표한 파이렉스(Pyrex) 내열 유리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200)를 대략 볼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판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배출관(420)을 적용할 필요가 없게 되며, 판상의 가열부(20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안착되거나, 억지 끼움될 수 있다.
한편, 가열부(200)의 중심에는 후술되는 배출부(400)가 삽입되는 중심홀(210)이 상, 하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부(200)는 별다른 고정수단 없이 후술되는 배출부(400)에 의해 본체부(10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열원부(300)는 유리관 내에 공지의 석영 탄소 섬유 발열체가 실장된 상태로 본체부(100)에 수납된다. 이때, 석영 탄소 섬유 발열체는 전기와 열 사이의 전환효율이 높고 니켈, 크롬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금속히터보다 에너지를 30% 이상 절약할 수 있어 열에너지의 절약효과가 높은 특징이 있다. 또한, 석영 탄소 섬유 발열체는 전기와 열 간의 전환과정 중 가시광선을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광학 오염이 적고, 발생하는 원적외선이 인체, 의류, 물 등에 쉽게 흡수됨과 아울러 신체에는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또한, 전원이 인가될 때 순간적인 펄스전류충격이 없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재 등을 보호할 수 있으며 연속 사용 수명은 대략 6000시간 이상이므로 부재들의 사용수명을 길게 가질 수 있다. 또, 석영 탄소 섬유 발열체는 적외선의 파장범위가 2 내지 15um정도이고 그 중의 80%의 방사강도가 3 내지 8um에 달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부(400)가 관통되는 제1 관통구(610)가 형성되는 제1 안전판(600) 및 상기 제1 안전판(600)에 평행한 상태로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1 안전판(600)과 이격거리를 갖는 제2 안전판(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안전판(600)과 제2 안전판(700)은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제1 안전판(600)과 제2 안전판(700) 사이에 열원부(300)가 개재되어 열원부(300)가 본체부(100)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안전판(600)과 제2 안전판(700)은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서 열원부(300)를 지지 고정하되, 열원부(300)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본체부(100)의 일측과 타측 양 방향으로 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재질의 철망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열원부(300) 측으로 이물질 등이 낙하 되더라도 1차적으로 제1 안전망과 제2 안전망에 의해 걸러질 수 있으므로 열원부(3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배출부(400)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이때,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400)는 일단에 제1 플랜지(411)가 형성되고 'ㄴ'자 형상의 장홈(412)이 관통된 제1 배출관(410) 및 타단의 일부분이 상기 제1 배출관(4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장홈(412)에 가이드되는 체결돌기(422)가 돌설된 제2 배출관(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 배출관(410)의 외주면은 제2 안전판(700)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제2 배출관(420)의 일단은 가열부(200)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2 배출관(420)의 일단에는 제2 배출관(420)의 직경보다 큰 헤드(421)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배출관(420)이 가열부(200)의 중심홀(210)을 향해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삽입되고 헤드(421)의 하면과 가열부(200)의 상면이 접해 제2 배출관(420)의 하방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가열부(200)에는 헤드(421)를 수용할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2 배출관(420)의 외주면으로 너트(N), 와셔(W) 등의 체결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가열부(200)와 제2 배출관(420)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배출관(4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열부(200)의 중심홀(210)을 향해 제2 배출관(420)을 삽입시키고 그 상태에서 제2 배출관(420)의 하방으로 와셔(W)와 너트(N)를 돌려 끼우면 제2 배출관(420)의 헤드(421)와 와셔(W) 사이에 가열부(200)가 개재된 상태로 고정작용이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플랜지(411)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광하협의 원추형 형상으로, 가열부(200)에 올려져 익혀지는 육류 등에서 발생한 기름이 가열부(200)와 제2 배출관(420) 사이에서 유출되어 제2 배출관(420)의 외주면을 타고 흐르더라도 흐르는 기름을 제1 플랜지(411)에 고이게 함으로써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된 부재들이 기름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배출관(410)과 제2 배출관(420)의 결합관계를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제1 배출관(410)과 제2 배출관(420)은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동축 상에 위치하며, 제1 배출관(410)과 제2 배출관(420)을 상호 조립할 경우 장홈(412)의 'ㄴ'자 형상을 따라 체결돌기(422)가 이동하도록 제2 배출관(420)을 제1 배출관(410)에 삽입, 회전시킨다.
이때, 제2 배출관(420)과 가열부(200)는 상호 연동되어 있고, 제1 배출관(410)과 제2 안전판(700)은 상호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열부(200)를 회전시키는 작용만으로 가열부(200)와 제2 배출관(420)을 함께 본체부(100)에서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열부(200)의 분해,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제2 포지션의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가열부(200)가 본체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배출부(4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400')는 일단에 제1 플랜지(411')가 형성된 제1 배출관(410') 및 타단의 일부분이 상기 제1 배출관(410')의 내부로 삽입되고 경로 상에 상기 제1 플랜지(411')와 인접하는 제2 플랜지(421')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가열부(200')와 연결되되 제1 배출관(410')과 동축 상에 위치하는 제2 배출관(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플랜지(411')에는 언더컷 형상으로 절취된 걸림홈(412')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랜지(421')에는 걸림홈(412')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걸림편(422')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부(400')는 걸림홈(412')과 걸림편(422')의 체결 여부에 따라 제1 배출관(410')과 제2 배출관(420')의 분해, 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배출관(420')을 제1 배출관(410')에 조립할 때 걸림편(422')을 걸림홈(41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2 배출관(420')을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편(422')이 걸림홈(412')의 언더컷에 삽입되어 제1 배출관(410')과 제2 배출관(420')이 상호 결속됨과 동시에 제1 플랜지(411')와 제2 플랜지(421')가 서로 맞닿아 제1 배출관(410')과 제2 배출관(420')의 내부 기밀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배출부(400)의 내부로 유동하는 유체가 장홈(412)으로 유출될 우려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배출부(400')는 제1 플랜지(411')와 제2 플랜지(421')가 서로 맞닿아 있고, 걸림홈(412')과 걸림편(42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배출관(410')과 제2 배출관(420')이 조립되므로 배출부(400')의 내부로 유동되는 기름, 증기 등의 유출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2 안전판(700)은 링 형상의 망사 철망(710) 및 상기 망사 철망(710)의 내륜을 가로지르되 십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지지대(72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대(720)의 교차점에 제1 배출관(410)의 외주면이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된다.
이때, 각각의 지지대(7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감겨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커버부(500)는 반사판(511)이 형성된 원판 몸체(510), 원판 몸체(510)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원판 몸체(51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된 제1 외향날개(520), 원판 몸체(510)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원판 몸체(51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1 외향날개(520)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된 제2 외향날개(530) 및 원판 몸체(510)의 타측면에 돌설되는 조작돌기(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원판 몸체(510)의 중심에는 배출부(400)의 타단을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홀(512)이 관통될 수 있고 반사판(511)은 원판 몸체(510)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1 포지션에서는 기본적으로 본체부(100)의 타측 개방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커버부(500)를 본체부(100)와 결합시키고, 제2 포지션에서는 커버부(500)를 제거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로 커버부(500)로 본체부(100)의 타측 개방부를 폐쇄하는 작동 예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회전안착홈(130)에 제1 외향날개(520)를 일치시켜 커버부(500)를 본체부(100)의 타측 개방부위에 삽입시키면 제2 외향날개(530)가 본체부(100)의 타측면에 접하게 되고 제1 외향날개(520)는 회전안착홈(130)을 완전히 관통하게 된다. 이때, 조작돌기(540)를 잡고 커버부(500)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안착홈(130), 제1 외향날개(520) 및 제2 외향날개(530)가 동일선상에 놓여지지 않도록 엇갈리게 되어 커버부(500)를 본체부(100)에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버부(500)로 본체부(100)의 타측 개방부를 개방하는 작용 또한 전술한 과정을 반대로 실시하면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의 적용 과정에서 커버부(500)를 보다 간편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작용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를 제1 포지션으로 사용할 경우 이격돌기(140)가 지면에 지지되고 가열부(200)에 직접 조리할 음식물을 올려 열원부(300)에서 방출되는 열기로 음식물을 익혀 취식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500)를 통해 본체부(100)의 타측 개방부가 폐쇄됨이 바람직하고, 반사판(511)에 의해 열원부(300)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가열부(200)에 집중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부(200)에 올려 익혀지는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분비물은 배출부(400)를 따라 본체부(100)의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이물질은 지면과 본체부(100) 사이에 기름받이(B)(도 4에 도시)를 배치시켜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를 제2 포지션으로 사용할 경우 동시에 두 개의 조리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조리용기를 제1 조리용기(P1)와 제2 조리용기(P2)로 특정하여 설명하면, 가열부(200)는 제1 조리용기(P1)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사용되고 본체부(100)의 타측으로 제2 조리용기(P2)가 올려질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500)는 본체부(100)에서 제거된 상태이고 열원부(300)에서 열에너지가 방출되면 본체부(100)의 일측과 타측을 향해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가열부(200)는 제1 조리용기(P1)의 개방부를 덮어 상측에서부터 열에너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제1 조리용기(P1)의 내부는 확산 가열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제1 조리용기(P1)를 이용해 국, 찌개, 전골 등의 국물요리시 액체가 끓어 넘치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본체부(100)의 타측에 올려진 제2 조리용기(P2)는 이격돌기(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열원부(300)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가열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본체부(100)의 개방된 타측 부분으로 소정의 경도를 가지는 이물질이 낙하될 경우 열원부(300)가 파손될 우려가 있고 심하게는 열원부(300)를 지나 가열부(200)에 직접 낙하될 경우 취성이 높은 내열 유리 재질로 구현된 가열부(200)가 쉽게 훼손될 우려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제1 안전판(600) 및 제2 안전판(700)을 구비함으로써 본체부(100)의 타측 개방부에서 이물질이 낙하하여도 열원부(300)와 가열부(200)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현하였다.
100: 본체부
110: 단열재
120: 손잡이
130: 회전안착홈
140: 이격돌기
200: 가열부
300: 열원부
400: 배출부
410, 410': 제1 배출관
420, 420': 제2 배출관
500: 커버부
600: 제1 안전판
700: 제2 안전판

Claims (7)

  1.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고 내부로 공간을 형성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을 향해 열에너지를 방출하도록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원부;
    음식물이 올려지거나 제1 조리용기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고 열원부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유리 재질로 구성되는 가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타측을 개폐하도록 본체부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열원부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가열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타측이 상부를 향해 놓여지면 가열부가 제1 조리용기를 덮는 뚜껑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본체부의 타측으로 제2 조리용기를 안착시켜 제1 조리용기와 제2 조리용기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으며,
    가열부에 올려진 음식물이 조리되면서 발생되는 분비물을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가열부가 제1 조리용기를 덮는 뚜껑으로 사용될 경우 제1 조리용기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본체부의 외부로 배기하도록 일단이 가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중공 형상의 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일단에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ㄴ'자 형상의 장홈이 관통된 제1 배출관; 및
    타단의 일부분이 상기 제1 배출관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장홈에 가이드되는 체결돌기가 돌설된 제2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부가 관통되는 제1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1 안전판; 및
    상기 제1 안전판에 평행한 상태로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1 안전판과 이격거리를 갖는 제2 안전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열원부가 상기 제1 안전판과 제2 안전판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조리기기.
  2.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고 내부로 공간을 형성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을 향해 열에너지를 방출하도록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원부;
    음식물이 올려지거나 제1 조리용기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고 열원부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유리 재질로 구성되는 가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타측을 개폐하도록 본체부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열원부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가열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타측이 상부를 향해 놓여지면 가열부가 제1 조리용기를 덮는 뚜껑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본체부의 타측으로 제2 조리용기를 안착시켜 제1 조리용기와 제2 조리용기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으며,
    가열부에 올려진 음식물이 조리되면서 발생되는 분비물을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가열부가 제1 조리용기를 덮는 뚜껑으로 사용될 경우 제1 조리용기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본체부의 외부로 배기하도록 일단이 가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중공 형상의 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일단에 제1 플랜지가 형성된 제1 배출관; 및
    타단의 일부분이 상기 제1 배출관의 내부로 삽입되고 경로 상에 상기 제1 플랜지와 인접하는 제2 플랜지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가열부와 연결되되 제1 배출관과 동축 상에 위치하는 제2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부가 관통되는 제1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1 안전판; 및
    상기 제1 안전판에 평행한 상태로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1 안전판과 이격거리를 갖는 제2 안전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열원부가 상기 제1 안전판과 제2 안전판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조리기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에는 언더컷 형상으로 절취된 걸림홈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랜지에는 걸림홈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걸림편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부는 걸림홈과 걸림편의 체결 여부에 따라 제1 배출관과 제2 배출관의 분해, 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조리기기.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전판은,
    링 형상의 망사 철망; 및
    상기 망사 철망의 내륜을 가로지르되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대의 교차점에 제1 배출관의 외주면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조리기기.
KR1020170140452A 2017-10-26 2017-10-26 양방향 조리기기 KR101969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452A KR101969650B1 (ko) 2017-10-26 2017-10-26 양방향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452A KR101969650B1 (ko) 2017-10-26 2017-10-26 양방향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650B1 true KR101969650B1 (ko) 2019-04-16

Family

ID=6628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452A KR101969650B1 (ko) 2017-10-26 2017-10-26 양방향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6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7657A (en) * 1975-06-17 1976-03-30 Ershler Samuel H Multipurpose foldable electric stove
JPH0622862A (ja) * 1992-07-06 1994-02-01 Hoshino:Kk グリル装置
KR100655907B1 (ko) 2006-01-20 2006-12-13 장봉열 원적외선 전기조리기
KR100909072B1 (ko) * 2008-11-28 2009-07-23 (주)제세인터내셔날 식탁용 조리기
JP2017514655A (ja) * 2014-05-03 2017-06-08 スン イ,イェ 多用途熱器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7657A (en) * 1975-06-17 1976-03-30 Ershler Samuel H Multipurpose foldable electric stove
JPH0622862A (ja) * 1992-07-06 1994-02-01 Hoshino:Kk グリル装置
KR100655907B1 (ko) 2006-01-20 2006-12-13 장봉열 원적외선 전기조리기
KR100909072B1 (ko) * 2008-11-28 2009-07-23 (주)제세인터내셔날 식탁용 조리기
JP2017514655A (ja) * 2014-05-03 2017-06-08 スン イ,イェ 多用途熱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03946A1 (en) Radiation grill
US11006782B2 (en) Radiation grill
FI77109B (fi) Upphettningsenhet.
WO2017097790A1 (en) Shield for air-based fryer apparatus
WO2016099081A1 (ko) 양방향 가열조리기
JP2007327676A (ja) 加熱調理器
KR101270181B1 (ko) 다목적 전기 구이기
KR200473899Y1 (ko) 로스터의 상부 전기 히터 조립체
CN103486630A (zh) 储能加热的光波炉、电陶炉及电磁炉与锅具
KR101969650B1 (ko) 양방향 조리기기
EP2111519B1 (en) Heater supporter for a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 heater supporter
KR20160064017A (ko) 가스 조리 기기, 특히, 가스 오븐
KR101467484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가열 조리기구
KR100618612B1 (ko) 휴대용 할로겐히터 조리기
KR101466932B1 (ko) 사이폰 원리를 이용한 커피 제조용 가열 장치
KR200478216Y1 (ko) 전선 고정 수단이 구비된 가열 조리기
KR200231763Y1 (ko) 램프 겸용 할로겐 히터가 장착된 가스 오븐레인지
KR101272322B1 (ko) 적외선 발생 발열체를 이용한 전자레인지형 오븐기
KR200236789Y1 (ko) 브로일러
CN218791828U (zh) 上盖组件及烹饪器具
KR102604562B1 (ko)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
JP3212861B2 (ja) 電気炊飯器
KR20110029540A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WO2021072810A1 (zh) 一种远红外加热装置及具有其的电烧烤炉
KR200264475Y1 (ko) 근적외선 방사열을 이용한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