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562B1 -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562B1
KR102604562B1 KR1020220010660A KR20220010660A KR102604562B1 KR 102604562 B1 KR102604562 B1 KR 102604562B1 KR 1020220010660 A KR1020220010660 A KR 1020220010660A KR 20220010660 A KR20220010660 A KR 20220010660A KR 102604562 B1 KR102604562 B1 KR 102604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gas
coil
cook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4471A (ko
Inventor
이동희
김종현
최순열
이용훈
Original Assignee
(주)세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고스 filed Critical (주)세고스
Priority to KR1020220010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562B1/ko
Publication of KR20230114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2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adapted for the use of two or more kinds of fuel or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에 조리용기의 안착을 위한 지지대가 마련되고, 가스용기의 수용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상방으로 개방되는 통로부가 형성되는 코일커버; 상기 코일커버의 통로부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용기에 대한 유도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덕션코일; 상기 코일커버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수평되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 내의 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상방으로 개방되는 노즐공을 통해서 분출되면서 연소되도록 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시키는 가스버너; 및 상기 인덕션코일과 상기 가스버너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덕션 기능과 가스 연소 기능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 효율 증대와 조리 제약을 해소할 수 있고, 인덕션코일과 가스버너와의 분리 구조 및 배치로 인하여 서로 간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휴대용 가스용기의 사용을 통해 사용장소에 대한 제약을 해소할 수 있고, 2종의 렌지가 효율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뛰어나며, 인덕션코일의 와전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인덕션 기능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Cooking device for both induction stove and gas stove}
본 발명은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덕션렌지와 가스렌지의 사용을 통한 이들의 장점을 모두 가짐으로써, 편리성과 활용도가 뛰어나고, 2종의 렌지가 효율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우수하며, 인덕션코일의 와전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인덕션 기능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렌지라 함은 대부분 인덕션렌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으나, 엄밀히 의미에서 크게, 핫플레이트 방식, 하이라이트 방식 및 인덕션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이들 각각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핫플레이트 방식은 열선 히터에 금속판을 덧붙여 용기와 발열체가 직접 접촉하여 가열하는 방식으로서, 제조 단가가 싸고, 구조가 간단한 반면, 효율과 화력이 낮아 전력소모가 높고, 상판에 직접 전기가 통하므로 취급 부주의 시, 화상 및 감전의 위험이 있어 현재 가정에서는 저가의 간이형 1구 기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하이라이트 방식은 기존 핫플레이트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여 효율이 월등한 세라믹 히터를 사용하고, 상판에 내열 세라믹 유리를 장착하여 히터에 직접 접촉하는 위험을 예방하고, 미관과 안전성, 열효율을 개선한 방식이다. 일단 고주파 전자기가 아닌 50~60Hz의 가정용 전력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인덕션에 비해 전자파 발생량이 월등히 낮고, 조리용기에 제한이 없어 기존 가스레인지에서 사용하던 대부분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인덕션 방식에 비하면 효율이나 화력이 낮다.
인덕션 방식은 열선이 간접적으로 용기에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 아닌, 내부에 장착된 코일에 25 kHz 고주파 전류를 흘려 전자기장으로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판을 가열하는 방식이 아니라 안전성이 높고, 눌어붙지 않아 청소도 간편하다. 반면 가스렌지와 달리 작동방식에 맞는 400번대 스테인레스나 강철 용기만 써야 하므로, 조리용기 선택에 제한이 생기며, 고주파에 의한 유도가열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타 방식에 비해 많은 양의 전자기파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가스 누출 염려나 유해한 연소가스 미발생 등으로 인한 안전성과 무해성 등을 고려하여, 인덕션렌지의 사용자가 점차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덕션렌지는 전도성을 가진 전용용기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전도성을 가진 용기이더라도 가벼운 용기이거나, 조리대상인 내용물의 중량이 적은 경우, 가열 시 마구 흔들리고 물이 사방으로 튀며, 가열이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전력 소모가 많은 편이며, 화력의 신속한 조절 및 미세한 조절이 어렵고, 오징어나 김 등을 직접 구울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덕션렌지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스렌지와 결합된 인덕션렌지를 필요로 하게 되었는데, 이와 같은 필요성으로 인해, 가스렌지와 전기렌지를 겸용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일본공개특허 제2006-221925호의 "가스버너 부착 전자유도 가열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플랫 플레이트 하부에 마련한 유도가열 코일과 상기 플랫 플레이트에 연 투공과, 상기 투공에 배치한 가스 연소용 버너를 구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유도 가열과 연소 버너의 동시 사용에 대해서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이 두 가지 조리방식의 혼용에 의한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인덕션코일과 가스 연소용 버너의 분리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이 제시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이들 간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한계로서 작용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인덕션코일과 가스 연소용 버너 사이의 틈만으로 연소가스의 배출을 수행함으로써, 연소에 필요한 산소 공급과 연소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가스 연소용 버너에 공급되는 가스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야 함으로써, 가스공급라인이 설치된 장소에서만 사용하게 됨으로써, 사용장소에 대한 제한으로 인해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인덕션코일과 이의 동작에 필요한 주변 구성부품이 가스 연소용 버너의 열에 노출됨으로써, 내구연한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덕션 기능과 가스 연소 기능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 효율 증대와 조리 제약을 해소하고, 인덕션코일과 가스버너와의 분리 구조 및 배치로 인하여 서로 간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휴대용 가스용기의 사용을 통해 사용장소에 대한 제약을 해소하고, 2종의 렌지가 효율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뛰어나며, 인덕션코일의 와전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인덕션 기능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목적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판에 조리용기의 안착을 위한 지지대가 마련되고, 가스용기의 수용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상방으로 개방되는 통로부가 형성되는 코일커버; 상기 코일커버의 통로부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용기에 대한 유도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덕션코일; 상기 코일커버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수평되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 내의 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상방으로 개방되는 노즐공을 통해서 분출되면서 연소되도록 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시키는 가스버너; 및 상기 인덕션코일과 상기 가스버너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코일커버는, 페라이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로부가 중심부로부터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인덕션코일의 저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커버는, 측면 하측에 상기 통로부에 연결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에 반경방향으로 상기 인덕션코일의 저면으로부터 갭을 가지도록 홈부가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홈부 각각에 연결되는 유로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내측의 바닥면에서 상기 코일커버의 주위로 고정포스트가 수직되도록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코일커버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고정편이 상기 고정포스트 각각에 안착되어 볼팅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스버너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코일커버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곡률을 가지고, 끝단이 자유단을 이루며, 상기 노즐공이 상단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에 의하면, 인덕션 기능과 가스 연소 기능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 효율 증대와 조리 제약을 해소할 수 있고, 인덕션코일과 가스버너와의 분리 구조 및 배치로 인하여 서로 간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휴대용 가스용기의 사용을 통해 사용장소에 대한 제약을 해소할 수 있고, 2종의 렌지가 효율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으며, 인덕션코일의 와전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인덕션 기능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100)는 본체(110), 코일커버(120), 인덕션코일(130), 가스버너(140) 및 조작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상판(111)에 조리용기의 안착을 위한 지지대(112)가 마련되고, 가스용기(1)의 수용부(113)가 마련된다. 상판(111)은 본체(110)의 상측을 개방시키도록 착탈 가능하게 끼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지지대(112)는 일명 삼발이로서 조리용기를 상판(11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용부(113)는 내측에 가스용기(1)가 접속되어 가스용기(1)로부터 가스의 공급을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접속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고, 상부에 개폐를 위한 커버(114)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용기접속부는 일례로 가스용기(1)의 노즐이 자력에 의해 접속된 상태로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다른 예로서 가스용기(1)가 접속되도록 장착되기 위한 장착프레임이 마련될 수 있고, 스프링에 의해 복귀가 가능한 착탈레버의 조작에 의해 장착프레임이 가스용기(1)를 접속시키도록 이동 고정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장착프레임은 착탈레버의 양방향 회전 운동을 왕복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가스용기(1)가 용기접속부에 접속되도록 하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이 밖에도 공지된 가스용기(1)의 다양한 장착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본체(110)는 내측의 바닥면에서 코일커버(120)의 주위로 고정포스트(115)가 수직되도록 다수로 마련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코일커버(120)의 고정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방열을 위하여, 측부에 측면통풍구(116)가 형성될 수 있고, 저면에 저면통풍구(117)가 형성될 수 있다.
코일커버(120)는 본체(110)에 상판(111)으로부터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상방으로 개방되는 통로부(122)가 형성된다. 코일커버(120)는 상판(11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개구(111a)를 통해서 상방으로 노출 내지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코일커버(120)는 페라이트(ferri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통로부(122)가 중심부로부터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통로부(122)의 내주면을 따라 인덕션코일(130)의 저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단(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통로부(122)의 상단에 인덕션코일(120)이 상면을 노출시키도록 안정되게 수용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전류 손실이 방지되도록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코일커버(120)는 측면 하측에 통로부(122)에 연결되기 위한 개구(121)가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개구(121)를 통한 통로부(122)에의 통풍이 원활하도록 하고, 이 뿐만 아니라, 지지단(123)에 반경방향으로 인덕션코일(130)의 저면으로부터 갭을 가지도록 홈부(124)가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홈부(124) 각각에 연결되는 유로(125)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덕션코일(130) 주변의 방열을 위한 공기 통로를 확보하도록 하는 공랭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인덕션코일(130)의 열이 불필요하게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과열로 인한 내구성 저하 및 위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코일커버(120)는 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고정편(126)이 고정포스트(115) 각각에 안착되어 볼팅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통로부(122)를 통한 통기성 확보와 함께 조립성이 뛰어나도록 하면서도 견고한 고정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인덕션코일(130)은 코일커버(120)의 통로부(122) 상단에 설치되고, 조리용기에 대한 유도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인덕션코일(130)은 인버터에 의해 입력되는 고주파 전원에 의해 유도 자기장을 방출하여 상측의 조리용기에 대한 유도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인버터는 본체(110) 내에 수용되는 기판(160)에 구현될 수 있는데, 기판(160)은 인버터의 구현 뿐만 아니라, 조작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인덕션 기능의 온(on)/오프(off) 및 출력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는 인덕션제어부가 구현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압기 및 파워서플라이 등이 구현될 수 있다. 인버터는 인덕션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인덕션코일(130)에 동작을 위한 고주파 전원을 변환 공급하도록 하고, 인덕션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스위치소자의 온(on)/오프(off) 스위칭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외부 전원을 이용한 직류 전원을 고주파 전원으로 변환하여 인덕션코일(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인덕션제어부는 조작부(150), 구체체적으로는 인덕션조절노브(152)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변경하여, 유도가열의 출력 레벨 증감을 수행하도록 인버터를 제어할 수 있고, 인덕션조절노브(152)에 의한 전원의 온(on) 신호 또는 오프(off) 신호에 따라, 인덕션코일(130)의 동작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스버너(140)는 코일커버(120)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수평되게 배치되고, 수용부(113) 내의 가스용기(1)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상방으로 개방되는 노즐공(141)을 통해서 분출되면서 연소되도록 하여, 조리용기를 가열시키도록 한다.
가스버너(140)는 상판(111)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출되어 코일커버(120)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곡률을 가지고, 끝단이 자유단을 이루며, 노즐공(141)이 상단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버너(140)는 상판(111)에 관통하도록 고정되는 하단이 공급라인(142)을 통해서 가스용기(1)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끝단의 자유단까지 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노즐공(141) 각각을 통해서 가스가 토출되어 점화에 의해 연소열을 제공함으로써 조리용기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조작부(150)는 인덕션코일(130)과 가스버너(140)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본체(110)에 마련된다. 조작부(150)는 가스버너(140)에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가스버너(140)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의 점화를 위한 점화기를 동작시키도록 조절할 수 있는 스토브조절노브(151)와, 인덕션코일(130)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인덕션조절노브(15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브조절노브(151)는 수용부(113)에 마련되는 용기접속부에 마련되는 밸브, 예컨대 거버너밸브에 의한 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회전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접속부에는 가스용기(1)의 배출구에 접속되기 위한 아답터가 마련될 수 있다. 인덕션조절노브(152)는 인덕션코일(130)의 온(on)/오프(off) 및 출력 조절에 필요한 조작신호를 기판(160) 측의 인덕션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스위치기판(152a)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에 의하면, 인덕션 기능과 가스 연소 기능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 효율 증대와 조리 제약을 해소할 수 있고, 인덕션코일과 가스버너와의 분리 구조 및 배치로 인하여 서로 간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가스용기의 사용을 통해 사용장소에 대한 제약을 해소할 수 있으며, 2종의 렌지가 효율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뛰어나고, 인덕션코일의 와전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인덕션 기능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 가스용기 110 : 본체
111 : 상판 111a : 개구
112 : 지지대 113 : 수용부
114 : 커버 115 : 고정포스트
116 : 측면통풍구 117 : 저면통풍구
120 : 코일커버 121 : 개구
122 : 통로부 123 : 지지단
124 : 홈부 125 : 유로
126 : 고정편 130 : 인덕션코일
140 : 가스버너 141 : 노즐공
142 : 공급라인 150 : 조작부
151 : 스토브조절노브 152 : 인덕션조절노브
152a : 스위치기판 160 : 기판

Claims (5)

  1. 상판에 조리용기의 안착을 위한 지지대가 마련되고, 가스용기의 수용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상방으로 개방되는 통로부가 형성되는 코일커버;
    상기 코일커버의 통로부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용기에 대한 유도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덕션코일;
    상기 코일커버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수평되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 내의 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상방으로 개방되는 노즐공을 통해서 분출되면서 연소되도록 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시키는 가스버너; 및
    상기 인덕션코일과 상기 가스버너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조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커버는,
    상기 통로부가 중심부로부터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인덕션코일의 저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단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커버는,
    측면 하측에 상기 통로부에 연결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에 반경방향으로 상기 인덕션코일의 저면으로부터 갭을 가지도록 홈부가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홈부 각각에 연결되는 유로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커버는,
    페라이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의 바닥면에서 상기 코일커버의 주위로 고정포스트가 수직되도록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코일커버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고정편이 상기 고정포스트 각각에 안착되어 볼팅에 의해 고정되는,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버너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코일커버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곡률을 가지고, 끝단이 자유단을 이루며, 상기 노즐공이 상단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는,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
KR1020220010660A 2022-01-25 2022-01-25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 KR102604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660A KR102604562B1 (ko) 2022-01-25 2022-01-25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660A KR102604562B1 (ko) 2022-01-25 2022-01-25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471A KR20230114471A (ko) 2023-08-01
KR102604562B1 true KR102604562B1 (ko) 2023-11-22

Family

ID=8756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660A KR102604562B1 (ko) 2022-01-25 2022-01-25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5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915B1 (ko) * 2011-09-05 2012-08-08 이신희 휴대용 가스레인지
CN106594806A (zh) * 2016-12-23 2017-04-2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燃气灶的气电组合燃烧器及用于该燃烧器的调节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915B1 (ko) * 2011-09-05 2012-08-08 이신희 휴대용 가스레인지
CN106594806A (zh) * 2016-12-23 2017-04-2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燃气灶的气电组合燃烧器及用于该燃烧器的调节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471A (ko)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1593B2 (en) Gas cooking appliance with removable burners and useable work area
EP1796434B1 (en) Electric cooker having a composite heat source
US20110000477A1 (en) Nozzle assembly and cooking appliance
JP4887085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604562B1 (ko) 인덕션렌지 및 가스렌지 겸용 조리장치
EP2241819B1 (en) Cooking device
JP2006221925A (ja) ガスコンロ付き電磁誘導加熱器
CN107923628B (zh) 组合式炊具
US9383112B2 (en) Cooking appliance
WO2011140003A1 (en) Cooking range burner arrangement
KR102425697B1 (ko) 가스렌지 및 인덕션렌지 겸용 조리장치
KR101197928B1 (ko) 폐열 회수가 가능한 삼발이 세트
CN209726277U (zh) 烹饪炉具
KR20030040017A (ko) 가스곤로
CN209876991U (zh) 一种灶具及其应用其的集成灶
US8991385B2 (en) Cooking appliance
CN110030590A (zh) 烹饪炉具
CN117553296B (zh) 燃烧器及灶具
KR101694156B1 (ko) 다기능 구이기
KR101969650B1 (ko) 양방향 조리기기
CN220648319U (zh) 家用生态灶
KR101690329B1 (ko) 조리기기
JP2022086713A (ja) 加熱調理器
KR20100000729A (ko) 가스전기 일체형 레인지
CN115751310A (zh) 燃烧器和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