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0017A - 가스곤로 - Google Patents

가스곤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0017A
KR20030040017A KR1020020043237A KR20020043237A KR20030040017A KR 20030040017 A KR20030040017 A KR 20030040017A KR 1020020043237 A KR1020020043237 A KR 1020020043237A KR 20020043237 A KR20020043237 A KR 20020043237A KR 20030040017 A KR20030040017 A KR 20030040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air
cooking
case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7692B1 (ko
Inventor
미즈타니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40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Gas Burn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과제) 가스버너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충분히 공급되어 가스버너의 연소효율이 극히 좋은 가스곤로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에 관한 가스곤로는, 복수의 불꽃구멍이 환형상으로 배열된 외측 불꽃구멍군(87a,…)과 그 내측에 형성된 내측 불꽃구멍군(84a,…)을 가지는 가스버너(12)와, 상기 가스버너(12)의 하측에 설치되며, 가스버너(12)의 하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내측 불꽃구멍군(84a,…)에서 분출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용 공간(97)과 곤로케이스(11) 내의 공간으로 분기시키는 공기 정류판(81)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가스곤로{GAS RANGE}
본 발명은 곤로케이스의 상면에 가스버너가 배치되어 있는 가스곤로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가스버너가 외측 불꽃구멍군과 내측 불꽃구멍군을 구비하며, 외측 불꽃구멍군의 연소와 내측 불꽃구멍군의 연소가 동시에 행해지는 가스곤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불꽃구멍'이란, 정확하게는 공기와 연소가스의 혼합가스가 분출되는 개구부를 말한다. 불꽃이 분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연소 중에는 불꽃이 분출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불꽃구멍이라 한다. 또, '구멍'이란, 공간을 의미하며, 좁은 의미의 구멍 뿐만 아니라 홈인 경우도 있다.
종래에는, 곤로케이스의 상면에 가스버너를 구비하며, 상기 가스버너는 환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불꽃구멍에 의해서 외측 불꽃구멍군과 내측 불꽃구멍군을 형성한 타입의 가스곤로가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가스곤로에서는 내측 불꽃구멍군의 연소만이 행해지는 경우와, 외측 불꽃구멍군의 연소와 내측 불꽃구멍군의 연소가 동시에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내측ㆍ외측 불꽃구멍군의 연소"란, 정확하게는 내측ㆍ외측 불꽃구멍군에서 분출되는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것을 말하며, 여기서는 간단히 내측ㆍ외측 불꽃구멍군의 연소라 한다}. 전자의 경우는 가스버너의 가열 열량이 작기 때문에 끓임요리 등의 조리에 적합하다. 후자의 경우는 가스버너의 가열 열량이 크기 때문에 큰 화력을 필요로 하는 조리를 할 수 있다. 또, 냄비의 바닥 온도를 균일화하는 데에도 유리하다.
상기한 가스버너는 외측 불꽃구멍군이 내측 불꽃구멍군을 에워싸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연소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가스버너의 상측에 있는 공기의 대부분이 외측 불꽃구멍군의 연소에 사용됨으로써 내측 불꽃구멍군의 연소용 2차 공기가 부족하게 된다. 특히, 가스버너로 냄비의 바닥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내측 불꽃구멍에서 분출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용 공간이 상측에 놓여지는 냄비의 바닥에 의해서 막히게 되고 또한 측방에서는 외측 불꽃구멍군의 불꽃에 의해서 격리되기 때문에, 내측 불꽃구멍에서 분출되는 혼합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공기량이 부족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가스버너에서는 내측 불꽃구멍군으로 연소용 2차 공기를 어떻게 공급할 것인지가 문제가 된다.
한편, 곤로케이스 내에는 가스버너에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혼합가스를 생성하는데 충분한 양의 공기(이것을 1차 공기라 한다)가 곤로케이스 내로 도입되어야 한다. 특히, 가열 열량이 큰 가스버너를 구비하는 가스곤로에서는 곤로케이스 내로 다량의 1차 공기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1차 공기가 부족하면, 혼합가스의 공기량과 연소가스량의 균형이 붕괴되어 가스버너의 연소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통상, 곤로케이스에는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흡기구를 통해서 1차 공기가 유입된다. 그러나, 흡기구가 형성되는 위치가 제한되기 때문에 그다지 큰 흡기구를 형성할 수 없다. 예를 들면, 큰 흡기구를 형성할 수 있어도, 곤로케이스의 외관을 손상시킬 정도로 큰 흡기구를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스버너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충분히 공급되어 가스버너의 연소효율이 극히 좋은 가스곤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도 1은 상부덮개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측면도
도 3은 취반케이스와 상부덮개와 이것들을 결합하기 위한 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가 조리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Ⅳ-Ⅳ선 종단면도
도 5는 취반냄비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취반냄비가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부덮개를 생략한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의 평면도
도 7은 가스버너가 위치하는 상판의 개구부 부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개구부에 공기 정류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가스버너의 확대 평면도
도 10은 도 1의 X-X선 개략 종단면도
도 11은 받침대가 형성된 상부덮개의 사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조리대5 - 취반냄비 수용공간
7 - 개구부10 -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
11 - 곤로케이스12 - 가스버너
13 - 삼발이15 - 상판
16 - 가스버너 조작부17 - 보디
18 - 상부덮개32 - 취반냄비
40 - 취반케이스42 - 차폐판
44 - 손잡이52 - 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
81 - 공기 정류판84 - 보조버너
84a - 불꽃구멍(내측 불꽃구멍군)87 - 메인버너
87a - 불꽃구멍(외측 불꽃구멍군)97 - 연소용 공간
101 - 통기경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스곤로가 창작되었다. 상기 가스곤로는 복수의 불꽃구멍이 환형상으로 배열된 외측 불꽃구멍군과 그 내측에 형성된 내측 불꽃구멍군을 가지는 가스버너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스버너의 하측에 설치되며, 가스버너의 하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내측 불꽃구멍군에서 분출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용 공간과 곤로케이스 내의 공간으로 분기시키는 공기 정류판을 구비한다.
상기 가스곤로에는 가스버너의 하측에 공기 정류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정류판은 가스버너의 하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내측 불꽃구멍군에서 분출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용 공간과 곤로케이스 내의 공간으로 분기시켜서 안내한다. 내측 불꽃구멍군에서의 연소용 2차 공기가 가스버너의 하측에서 공급됨과 아울러, 곤로케이스 내로는 보조적으로 1차 공기가 공급된다. 공기 정류판은 가스버너의 하측에 위치하여 공기 정류판과 가스버너가 동화되어 시인(視認)되기 때문에, 가스손로의 외관이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가스곤로는 가스버너에서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충분히 공급되기 때문에, 가스버너의 연소효율이 극히 좋다.
상기한 공기 정류판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공기 정류판은 내측 불꽃구멍군에서 분출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용 공간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면과 상기 안내면에 형성되는 통기구멍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통기구멍에서 곤로케이스 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스버너의 하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내측 불꽃구멍군에서 분출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용 공간과 곤로케이스 내의 공간으로 분기시켜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정류판에 있어서의 통기구멍의 크기나 통기구멍의 위치는 내측 불꽃구멍군에 있어서의 연소에 필요한 2차 공기의 양과 곤로케이스 내에서 필요한 1차 공기의 양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공기 정류판은 곤로케이스로부터 분리가능하고, 상기 공기 정류판이 곤로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하여도 된다.
공기 정류판이 곤로케이스로부터 분리가능하고, 곤로케이스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면, 곤로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의 부착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곤로케이스 내의 소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가스곤로는, 곤로케이스가 조리대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상측에서 삽입되어 고정되는 드롭 인 타입의 가스곤로이고, 상기 조리대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곤로케이스가 밀봉구조인 가스곤로에 적용할 수 있다.
드롭 인 타입의 가스곤로는, 조리대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곤로케이스가 밀봉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구의 크기나 흡기구가 형성되는 위치가 특히 제한된다. 본 발명에 관한 가스곤로는 공기 정류판에 의해서 곤로케이스 내로 보조적인 1차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드롭 인 타입의 가스곤로에 매우 적합하다.
공기 정류판의 통기구멍을 통해서 국물 등이 곤로케이스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가스곤로에 있어서, 통기구멍이 가스버너에 의해서 가려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구멍이 가스버너에 의해서 가려져 있기 때문에, 냄비 등에서 끓어 넘치는 국물 등이 직접 통기구멍을 통과하는 일이 없다.
또, 곤로케이스의 상면에 떨어진 국물 등이 이동하여 통기구멍을 통해서 곤로케이스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가스곤로에 있어서, 공기 정류판이 통기구멍을 에워싸는 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물 등이 통기구멍을 에워싸는 벽에 의해서 차단되기 때문에 곤로케이스 내로 침입하지 않는다.
또, 최근에는 각종 가스곤로가 개발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곤로의 품질 뿐만 아니라 외관의 좋고 나쁨이 수요에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상기한 가스곤로에 있어서, 공기 정류판은 거의 평평한 형상을 이루며, 공기 정류판이 곤로케이스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곤로케이스의 상면의 플랫(flat)감이 강조되어 가스곤로의 외관이 좋다.
(발명의 실시형태)
상기한 각 청구항에 기재된 가스곤로는 하기에 나타낸 형태로 매우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1 형태)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스곤로에 있어서, 공기 정류판의 외주연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이 곤로케이스의 상면의 개구부의 주연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하면, 오목부가 국물받이부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공기 정류판의 벽이 상기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공기 정류판이 수평방향으로 어긋나는것이 방지된다.
(제 2 형태) 상기 제 1 형태에 기재된 가스곤로에 있어서, 삼발이는 상기 오목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하면, 삼발이에 의해서 국물 등이 오목부에서 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오목부가 삼발이에 의해서 가려지기 때문에 가스곤로의 외관이 좋아진다.
(제 3 형태) 상기 제 2 형태에 기재된 가스곤로에 있어서, 공기 정류판이 곤로케이스의 상면보다 약간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정류판이 삼발이의 이동을 금지하기 때문에, 삼발이가 오목부에서 어긋나지 않게 된다.
(제 4 형태) 상기한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제 1 형태 내지 제 3 형태에 기재된 드롭 인 타입의 가스곤로가, 곤로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취반냄비를 가열하는 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를 가지는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이어도 된다.
상기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에서는, 곤로케이스 내에서 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에 의한 연소가 행해지기 때문에, 곤로케이스 내에 보다 많은 공기를 유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형성되는 흡기구에서의 흡기 뿐만 아니라 공기 정류판에 의해서 공기를 곤로케이스 내로 더 유도하는 본 발명이 매우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가스곤로를 취반기를 내장한 가스곤로(이하, 간단히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라 한다)로서 구현화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의 평면도이다.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10)는 그 주요부가 대략 상자형상으로 형성된 곤로케이스(11)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1에는 곤로케이스(11)의 상면을 구성하는 상판(15)이 도시되어 있다. 상판(15)의 전방부(15a)는 전방측을 향하여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판(15)의 후방부(15b)는 후방측을 향하여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도 2 참조). 상판(15)의 중앙에는 개구부(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7)에서 곤로케이스(11)의 내부에 걸쳐서 취반냄비 수용공간(5)이 형성되어 있다. 취반냄비 수용공간(5)의 주위에는 취반케이스(40)가 설치되어 있다. 취반케이스(40)는 취반냄비 수용공간(5)을 에워싸는 벽으로서 기능한다. 후술하는 취반냄비(32)는 개구부 (7)를 통해서 취반케이스(40)에 의해서 획정된 취반냄비 수용공간(5) 내를 출입한다. 또한, 도 1에는 취반냄비(32)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즉, 취반냄비(32)가 취반냄비 수용공간(5)에 수용되어 있지 않다). 취반케이스(40)의 상부에는 개구부(7)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상부덮개(18)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상부덮개(18)가 폐쇄위치에 있는 폐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부덮개(18)의 전방부에는 단열재로 구성되는 손잡이(18a)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덮개(18)의 후방부(18b)는 후방측을 향하여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상부덮개(18)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상판(15)에는 개구부(71)(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71)의 상측에는 1쌍의 가스버너(12,1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판(15)에는 가스버너(12,12)를 에워싸는 5개의 다리를 가진 삼발이 (13,13)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버너(12)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판(15)의 전방부(15a)에는 손잡이식 가스버너 조작부(16)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버너 조작부(16)는 가스버너(12)의 점화와 화력을 조절할 때에 조작된다. 가스버너 조작부(16)의 손잡이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스버너(12)로 혼합가스가 공급된다. 가스버너 조작부(16)의 손잡이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가스버너(12)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량이 많아지고,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공급되는 혼합가스량이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가스버너(12)에서는 손잡이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수록 큰 불꽃이 형성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수록 작은 불꽃이 형성된다. 또한, 가스버너 조작부(16)는 후술하는 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의 점화와 화력을 조절할 때에도 조작된다.
계속해서, 도 2에 나타낸 측면도를 참조하여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10)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도 2에서는 취반냄비(32)가 취반냄비 수용공간(5)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2의 좌측방향을 전방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곤로케이스(11)는 상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형상의 보디(17)와 상기한 상판(15)으로 구성된다. 곤로케이스(11)는 상판(15)이 보디(17)의 상면 개구부를 덮는 구조를 가진다. 보디(17)는 그 측면과 하측면이 완전히 밀봉된 구조를 가진다. 보디(17)의 상부에는 플랜지(17a)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7a)의 선단에는 완충부재(63,64)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곤로케이스(11)가 조리대(2)에 설치되는 형태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에서는 상판(15)과 보디(17)를 단면으로 나타내지 않고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곤로케이스(11)는 조리대(2)에 형성된 개구부(2a)에 상측에서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 관한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10)는 소위 드롭 인 타입(drop-in type)의 가스곤로이다. 곤로케이스(11)는 완충부재 (63,64)가 조리대(2)에 맞닿음으로써 지지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10)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상판(15)에는 후방부(15b)의 후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벽(15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벽(15c)은 대부분이 개구되어 있다. 벽(15c)에 형성된 개구부는 곤로케이스(11) 내로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구(60)로서 기능한다.
곤로케이스(11)의 하면보다 약간 상측에는 설치대(70)가 설치되어 있다. 설치대(70)를 지지하는 기구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설치대(70)에는 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52)가 고정되어 있다. 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52)는 연소부 (52a)와 점화장치(52b)와 서모커플(52c)로 구성된다. 연소부(52a)에서는 공급된 혼합가스가 연소된다. 점화장치(52b)는 점화전극에 의해서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서모커플(52c)은 금속이 조합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열기전력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한다.
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52)에는 가스공급관(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용) (56)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가스공급관(56)의 타단은 가스공급장치(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용)(58)에 접속되어 있다. 가스공급장치(58)는 혼합가스를 가스공급관(56)을 통해서 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52)로 공급한다. 가스공급장치(58)는 도시하지 않은 댐퍼부를 통해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와 가스를 혼합하여혼합가스를 생성한다. 가스공급장치(58)가 공급하는 혼합가스량은 가스버너 조작부 (16)의 회전량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가스공급장치{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58)용과 가스버너(12,12)용 쌍방을 포함한다}에서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를 1차 공기라 한다.
설치대(70)의 상측에는 취반냄비 수용공간(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취반냄비 수용공간(5)의 주위에는 취반케이스(40)가 고정되어 있다. 취반케이스(40)를 지지하는 기구에 대해서는 그 도시를 생략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취반케이스(40)와 취반케이스(40)에 부착되는 상부덮개(18)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취반케이스(40)와 상부덮개(18)와 이것들을 결합하는 부품의 분해사시도이다.
취반케이스(40)는 상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가 전방측(도 3의 죄측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즉, 취반케이스(40)는 돌출부(40b)를 가진다). 취반케이스(40)의 상부에는 플랜지(40a)가 형성되어 있다. 취반케이스(40)의 바닥면에는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26)의 중앙에는 개구부(28)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8)를 통해서 연소부(52a)가 노출되게 된다(도 2 참조). 오목부(26)에는 4개의 다리를 가진 삼발이(24)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취반케이스(40)의 돌출부(40b)에는 차폐판(42)이 고정되어 있다. 차폐판(42)은 그 횡단면이 ㄷ자 형상을 이루는 부재로서, PET(폴리에틸렌ㆍ테레프탈레이트)나 PBT(폴리부틸렌ㆍ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차폐판(42)은 200℃ 이상의 내열성능을 가진다. 차폐판(42)의 상단은 취반케이스(40)가곤로케이스(11)에 설치되었을 때에 상판(15)보다도 높게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취반케이스(40)의 후방부의 플랜지(40a)에는 L자 형상의 부재(22a,22b)가 고정되어 있다. 부재(22a,22b)는 아연 다이캐스트에 크롬을 도금한 것이다. 부재 (22a,22b)의 상부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덮개(18)는 그 후방부(18b)가 후방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높아지게 경사져 있으며, 이 경사부의 더 후방측에는 하측으로 굽혀진 벽(18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벽(18c)에는 L자 형상의 부재(20a,20b)가 고정되어 있다. 부재(20a,20b)는 각각 3개의 구멍을 가진다. 벽(18c)에는 좌우 2개씩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덮개(18)의 구멍과 부재(20a,20b)의 구멍에 리벳(85)을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부재(20a,20b)가 상부덮개(18)에 고정된다.
부재(20a)와 부재(22a)가 1조가 되고, 부재(20b)와 부재(22b)가 1조가 되어 각각 나사(83)에 의해서 체결됨으로써, 상부덮개(18)가 취반케이스(40)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취반케이스(40)는 취반냄비(32)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2 참조). 취반냄비(32)는 취반케이스(40)에 설치되는 삼발이(24)에 얹어놓여진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취반냄비(32)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취반냄비(32)의 분해사시도이다. 취반냄비(32)는 취반용기(35)와 손잡이(44)와 취반용기덮개(38)로 구성된다. 취반용기(35)는 상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형상을 이루며, 상부에는 플랜지(35c)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35c)에 의해서 취반용기덮개(38)의 놓임면(35a)이 형성된다. 취반용기(35)의 후방(도 5의 우측방향)에는 오목부(3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35b)에는 2개의 기둥(36)이 형성되어 있다. 취반용기(35)의 양 측면에는 나사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44)는 ㄷ자 형상을 이루는 부재로서, 양 선단부분에는 구멍(44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손잡이(44)에는 플랜지(44c)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44)의 구멍(44a)과 취반용기(35)의 나사구멍(34)에 나사(91)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손잡이(44)가 취반용기(35)에 회동가능하게(대략 직립(直立)위치와 도복(倒伏)위치와의 사이를 회동하도록) 부착된다. 취반냄비(32)를 운반할 때에는 손잡이(44)가 대략 직립위치에 놓여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구멍(34)을 취반냄비(32)의 중앙보다 약간 후방측에 형성하여 손잡이(44)의 부착위치를 후방측으로 함과 아울러, 대략 직립위치에서 손잡이(44)의 플랜지(44c)가 취반냄비(32)의 플랜지(35c)에 맞닿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취반냄비(32)가 2점 지지됨으로써 취반냄비(32)의 회전이 방지된다. 취반냄비(32)를 운반할 때에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수용되어 있는 밥 등을 쏟는 일이 없다. 취반냄비(32)가 취반케이스(40) 내에 수용될 때에는 손잡이(44)가 도복위치에 놓여진다. 또, 손잡이(44)의 중앙에는 차단부재(46)가 조립되어 있다.
취반용기덮개(38)는 하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형상을 이루며, 상면에는 오목부(3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38a)에는 취반용기덮개용 손잡이(39)가 부착되어 있다. 취반용기덮개(38)는 취반용기(35)의 놓임면(35a)에 얹어놓여진다. 취반용기덮개(38)가 취반용기(35)에 얹어놓여진 상태에서는 취반용기(35)의 후방부와취반용기덮개(38)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긴다. 이것은 취반용기(35)에 오목부(35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오목부(35b)에 기둥(3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취반용기덮개(38)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이 금지된다. 따라서, 취반용기(35)와 취반용기덮개(38)와의 사이의 틈새가 폐색되는 일이 없다. 이 틈새는 취반할 때(즉, 밥을 지을 때)에 발생하는 증기를 취반용기(35)에서 배출하기 위한 소위 증기배출부로서 기능한다.
계속해서, 도 2와 도 6을 참조하여, 취반냄비(32)가 취반케이스(40) 내{취반냄비 수용공간(5)}에 수용된 때의 취반냄비(32)와 취반케이스(40)와 상부덮개(18)의 위치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취반케이스(40) 내에 취반냄비(32)가 수용된 때의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10)의 평면도로서, 상부덮개(18)를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다. 취반냄비(32)가 취반케이스(40) 내에 수용된 때에는 손잡이(44)가 도복위치에 놓여진다. 손잡이(44)는 취반케이스(40)의 돌출부(40b)의 전면벽(40e)과 차폐판(42)과의 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 취반냄비(32)가 후방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손잡이(44)가 차폐판(42)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취반냄비(32)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이 금지된다. 또, 취반냄비(32)가 전방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손잡이(44)가 전면벽(40e)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취반냄비(32)의 전방측으로의 이동이 금지된다. 따라서, 취반냄비(32)가 취반케이스(40) 내에 수용되면, 취반냄비(32)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금지됨으로써, 취반냄비(32)와 취반케이스(40)의 상대위치가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취반냄비(32)가 취반케이스(40) 내에 수용되면, 취반냄비(32)의 배면(32a)과 취반케이스(40)의 배면(40c)의 간격이 취반냄비(32)의 전면(32b)과취반케이스(40)의 전면(40d)의 간격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폐쇄위치에 있는 상부덮개(18)는 차폐판(42)에 맞닿는다(도 2 참조). 폐쇄위치에 있는 상부덮개(18)는 손잡이(44)를 수용하는 공간(47)의 상면을 에워싸는 벽으로서 기능한다. 상부덮개(18)는 차폐판(42)에 맞닿음으로써 상판(15)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따라서 상부덮개(18)와 상판(15)과의 사이에는 틈새(90a,90b)가 형성된다. 전방측에 형성된 틈새(90b)는 작게, 본 실시예에서는 약 3㎜로 되어 있다. 상기 틈새(90b)는 손잡이(44)를 식히는 공기의 흡입구로서 기능한다. 또, 후방측에 형성된 틈새(90a)는 취반냄비(32)에서 발생하는 증기나 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 (52)의 연소배기가스의 배기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부덮개(18)는 상판(15)보다도 높게 위치하지만, 삼발이(13)의 상단보다는 낮게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취반케이스(40)에 취반냄비(32)가 역방향으로 수용된 때에는 도복위치에 있는 손잡이(44)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부덮개(18)에 맞닿게 됨으로써 상부덮개 (18)를 닫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취반냄비(32)를 역방향으로 잘못 수용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가스버너(1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의 X-X선 개략 종단면도이다. 또한, 상판(15)과 보디(17)와 점화장치(92)와 서모커플(93)은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지 않다. 또, 도 10에서는 조리대(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가스버너(12)는 메인버너(87)와 보조버너(84)와 혼합가스 안내부재(89)와 점화장치(92)와 서모커플(93)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관한 가스버너(12)는 소위 친자(親子)식 가스버너이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가스버너(12)와 관련되는 부재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7은 가스버너(12)가 위치하는 상판(15)의 개구부(71) 부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즉, 도 7에는 가스버너(12)와 관련된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가스버너(12)가 위치하는 상판(15)에는 원형의 개구부(7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71)의 하측, 즉 곤로케이스(11) 내에는 메인버너용 혼합가스 공급관(73)과 보조버너용 혼합가스 공급관(75)이 설치되어 있다. 혼합가스 공급관(73,75)은 개구부(71)의 중심부근에서 상측으로 굽혀져 있다. 이 굽혀진 부분에서는 혼합가스 공급관(75)이 혼합가스 공급관(73)의 내부에 포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2중관 구조로 되어 있다. 곤로케이스(11) 내에는 메인버너용과 보조버너용의 가스공급장치(도시생략)가 각각 독립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가스공급장치에는 대응하는 혼합가스 공급관(73,75)이 접속되어 있다. 즉, 메인버너용 가스공급장치에는 혼합가스 공급관(73)이 접속되어 있고, 보조버너용 가스공급장치에는 혼합가스 공급관(75)이 접속되어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15)의 개구부(71)의 주연부에는 오목부(15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15d)는 국물받이부로서 기능한다. 오목부(15d)에는 삼발이(13)가 얹어놓여진다. 또한, 점화장치(92)는 점화장치(52b)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고, 서모커플(93)은 서모커플(52c)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점화장치(92)와 서모커플(93)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공기 정류판(81)이 상판(15)에 부착된 상태, 즉 공기 정류판(81)이 상판(15)의 개구부(71)를 폐색한 상태를 나타낸다. 공기 정류판(81)은 거의 평평한형상을 가지는 원반형상이다. 공기 정류판(81)에는 3개의 통기구멍(81a)이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공기 정류판(81)에는 원형의 작은 구멍(81b)과 원형의 큰 구멍(81c)이 더 형성되어 있다. 작은 구멍(81b)에는 점화장치(92)가 노출되게 된다. 또, 큰 구멍(81c)의 중앙부에는 혼합가스 공급관(73,75)이 노출되게 되고, 큰 구멍(81c)에서 작은 구멍(81b)측으로 연장되는 구멍에는 서모커플(93)이 노출되게 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정류판(81)의 외주연부는 하측으로 굽혀져서 벽(98)을 형성하고 있다. 이 벽(98)이 오목부(15d)에 삽입됨으로써 공기 정류판(81)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금지된다. 또, 통기구멍(81a∼81c)의 내주연부는 상측으로 굽혀져서 벽(113)을 형성하고 있다. 이 벽(113)은 국물 등이 통기구멍(81a∼81c)을 통해서 곤로케이스(11)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공기 정류판(81)은 상판(15)과 거의 동일한 평면형상으로 설치되나, 상판(15)보다 약간 높게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공기 정류판(81)이 상판(15)과 거의 동일한 평면형상으로 설치됨으로써, 상판(15)의 플랫감이 강조되어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10)의 외관이 좋아진다. 또, 공기 정류판(81)을 상판(15)보다 약간 높게 위치시킴으로써, 오목부(15d)에 얹어놓여진 삼발이(13)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이나 국물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공기 정류판(81)의 상측에 부착되는 부재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9는 가스버너(12)에 관련되는 부재를 모두 부착하였을 때의 가스버너(12)의 평면도이다{도 1의 가스버너(12)의 확대도이다}.
공기 정류판(81)의 상측에는 혼합가스 안내부재(89)가 설치되어 있다. 혼합가스 안내부재(89)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단(上段;89a)과 하단(下段; 89b)이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상단(89a)과 하단(89b)의 외주연은 상측으로 굽혀져 있으며, 내주연은 하측으로 굽혀져 있다. 혼합가스 안내부재(89)는 상단(89a)의 내주연(12)이 혼합가스 공급관(75)에 삽입되고, 하단(89b)의 내주연(121)이 혼합가스 공급관(73)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되어 있다. 혼합가스 안내부재(89)의 중앙은 상하로 관통되어 보조버너용 가스경로(105)를 형성하고 있다. 보조버너용 가스경로 (105)는 혼합가스 공급관(75)과 연통되어 있다. 또, 혼합가스 안내부재(89)의 상단(89a)과 하단(89b)의 사이는 메인버너용의 가스경로(103)로서 기능한다. 메인버너용 가스경로(103)는 혼합가스 공급관(73)과 연통되어 있다.
혼합가스 안내부재(89)의 상단(89a)에는 보조버너(84)가 설치되어 있다. 또, 혼합가스 안내부재(89)의 상단(89a)과 하단(89b)의 사이에는 메인버너(87)가 설치되어 있다. 혼합가스 공급관(75)으로 안내된 혼합가스는 보조버너용 가스경로(105)를 따라서 상승하여 보조버너(84)에 도달한다. 또, 혼합가스 공급관(73)으로 안내된 혼합가스는 메인버너용 가스경로(103)를 통해서 메인버너(87)에 도달한다.
또, 혼합가스 안내부재(89)에는, 혼합가스 안내부재(89)의 하측 공간과 보조버너(84)의 연소용 공간(97)을 연통하는 통기경로(10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경로(101)는 120도 간격으로 3개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또, 혼합가스 안내부재(89)에 의해서 공기 정류판(81)의 통기구멍(81a)이 가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가스버너(12)의 상측에서는 통기구멍(81a)이 보이지 않는다(도 9 참조). 혼합가스 안내부재(89)의 하단(89b)과 공기 정류판(81)의 사이에는 틈새(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틈새(110)를 통해서 공기를 유입할 수 있다.
보조버너(84)는 하면이 개구된 중공의 대략 원추대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측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불꽃구멍(84a,…)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버너(87)는 중앙이 개구된 링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측면에는 복수의 불꽃구멍(87a,…)이 환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가스버너(12)에서는 복수의 불꽃구멍(87a,…)이 외측 불꽃구멍군이고, 복수의 불꽃구멍(84a,…)이 내측 불꽃구멍군이다. 보조버너 (84)에 도달한 혼합가스는 복수의 불꽃구멍(84a,…)을 통해서 분출되고, 메인버너 (87)에 도달한 혼합가스는 복수의 불꽃구멍(87a,…)을 통해서 분출된다. 복수의 불꽃구멍(84a,…)이나 복수의 불꽃구멍(87a,…)을 통해서 분출된 혼합가스는 점화장치(92)의 스파크가 인화되어 연소된다. 복수의 불꽃구멍(84a,…)의 연소와 복수의 불꽃구멍(87a,…)의 연소는 동시에 행해진다. 따라서, 큰 화력의 가스버너가 실현된다.
여기서, 도 10을 참조하여, 공기 정류판(81)과 혼합가스 안내부재(89)와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101)로 유입된 공기가 어떻게 안내되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틈새(110)로 유입된 공기의 대부분은 화살표 D6방향으로 안내된다. 화살표 D6방향으로 안내되는 공기는 혼합가스 안내부재(89)의 통기경로(101)를 통해서 보조버너(84)의 연소용 공간(97)으로 안내되는 공기이다. 즉, 이 공기는 보조버너 (84)에 형성된 복수의 불꽃구멍(84a,…)의 연소용 2차 공기로서 사용된다. 만일, 공기 정류판(81)이 없다면, 틈새(110)로 유입된 공기가 화살표 D6방향으로 안내되는 일이 거의 없으며, 공기의 대부분이 곤로케이스(11) 내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화살표 D6방향으로 공기가 안내됨으로써, 보조버너(84)의 주변이나 공기경로(101)의 주변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버너(84)나 혼합가스 안내부재(89)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 틈새(110)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통기구멍(81a)을 통해서 곤로케이스 (11) 내로 유입된다. 즉, 공기가 화살표 D7방향으로 안내된다. 화살표 D7방향으로 안내된 공기는 가스공급장치{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58)용과 가스버너(12,12)용의 쌍방을 포함한다)에서 흡인되어 1차 공기로서 사용된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여, 곤로케이스(11)에 있어서의 배기와 흡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취반냄비(32)에서 발생된 증기나 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52)의 연소배기가스가 어떻게 배기되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취반냄비(32)의 후방부에는 증기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따라서, 취반냄비(32)에서 발생된 증기는 화살표 D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취반냄비 (32)의 후방부에서 배출된다.
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52)의 연소배기가스는 취반케이스(4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취반냄비(32)의 측면을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취반냄비(32)의 측면 상부도 가열되게 된다. 즉, 취반케이스(40)가 설치됨으로써, 취반냄비(32)는 소위 찜구이 조리와 같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밥을 맛있게 지을 수 있다. 연소배기가스는 그 대부분이 화살표 D2방향으로 안내된다. 이것은, 취반냄비(32)가 취반케이스(40)에 수용되었을 때에, 취반냄비(32)의 배면(32a)과 취반케이스(40)의배면(40c)과의 간격이 취반냄비(32)의 전면(32b)과 취반케이스(40)의 전면(40d)과의 간격보다 크기 때문이다.
화살표 D1,D2방향으로 안내된 증기나 연소배기가스의 대부분은, 화살표 D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덮개(18)와 상판(15)과의 사이의 틈새(90a)를 통해서 배기된다. 또, 상부덮개(18)의 후방부(18b)가 상측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증기나 연소배기가스는 후방측으로 우선하여 안내되게 된다. 만일, 증기가 취반냄비(32)의 전방측에서 배출되거나 연소배기가스가 화살표 D5방향으로 흐른다 하더라도, 차폐판(42)과 상부덮개(18)가 맞닿아 있기 때문에, 증기나 연소배기가스가 차폐판(42)보다 전방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계속해서, 곤로케이스(11) 내로의 흡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곤로케이스(11) 내로의 흡기는 상판(15)의 흡기구(60)에서 행해진다. 즉, 화살표 D4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기구(60)가 조리대(2)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곤로케이스(11)의 측면에 확보되어 있다. 측면에 형성하는 것 대신에 상면에 형성하여도 되고, 상면과 측면 양측에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10)의 총 가열 열량 약 9000kcal/h에 대해서 흡기구(60)의 면적을 약 5000㎟정도 확보하고 있다.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10)에서는 흡기구(60) 뿐만 아니라 공기 정류판(81)의 통기구멍(81a)을 통해서도 흡기되기 때문에(도 10 참조), 곤로케이스(11) 내에는 충분한 공기량이 확보되어 있다. 가스공급장치{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58)용과 가스버너(12,12)용 쌍방을 포함한다)에 있어서의 1차 공기가 부족하게 되는 일이 없다.
또, 취반케이스(40)의 바닥면에는 개구부(28)가 형성되고, 취반케이스(40)의 하면은 곤로케이스(11)의 하면보다 높게 위치하여 있다. 이것은 취반케이스(40)의 하측에 통기경로를 형성하여 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52)의 연소용 2차 공기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 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52)를 높게 위치시킴으로써 보디(17)의 과열이 방지된다.
증기나 연소배기가스의 배기는 틈새(90a)를 통해서 행해지며, 곤로케이스 (11) 내로의 흡기는 흡기구(60)를 통해서 행해진다. 즉, 본 실시예에 관한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10)는 배기경로와 흡기경로가 분리된 구성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관한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10)는 상판(15)에 개구부(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취반냄비(32)의 손잡이(44)를 잡고서 뜨겁고 무거운 취반냄비(32)를 안전하게 또한 용이하게 취반냄비 수용공간(5)으로 출입시킬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쉽다. 상판(15)에 개구부(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곤로케이스(11)의 내부, 특히 취반케이스(40)를 간단히 소제할 수 있다. 또, 곤로케이스 (11)의 내부를 상측에서 들여다 볼 수 있기 때문에, 소제후에 깨끗하게 되었는지 아닌지의 확인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10)에는 취반케이스(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취반케이스(40)가 취반냄비 수용공간(5)을 에워싸는 벽으로서 기능한다. 취반케이스 (4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52)의 연소배기가스나 취반냄비(32)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곤로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예를 들면, 가스공급장치(58) 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 취반케이스(40)에 의해서 취반냄비(32)의 찜구이와 같은 조리가 효과적으로 행해진다.
또, 차폐판(42)이 설치됨으로써, 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52)의 연소배기가스나 취반냄비(32)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손잡이(44)를 수용하는 공간(손잡이 수용공간)(47)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손잡이(44)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스버너(12,12)의 하측에 공기 정류판(8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공기 정류판(81)은 가스버너(12,12)의 하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복수의 불꽃구멍 (84a,…)에서 분출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용 공간(97)과 곤로케이스(11) 내로 분기시켜서 안내한다. 복수의 불꽃구멍(84a,…)에서의 연소용 2차 공기가 가스버너(12, 12)의 하측에서 공급됨과 아울러, 곤로케이스(11) 내로는 보조적인 1차 공기가 공급된다. 공기 정류판(81)은 가스버너(12,12)의 하측에 위치하여 공기 정류판(81)과 가스버너(12)가 동화되어 시인되기 때문에,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10)의 외관이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10)는 가스버너(12,12)에서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충분히 공급되기 때문에, 가스버너(12,12)의 연소효율이 극히 좋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예시에 지나지 않을 뿐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상기한 구체적인 예를 각종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취반기 내장 가스곤로(10)를 드롭 인 타입으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테이블 타입의 가스곤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가열원은 가스곤로 이외에 전열곤로나 전자곤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취반냄비(32)는 주로 취반에 이용되는 것이나, 그 외의 조리에 이용되어도 된다. 또, 취반냄비 가열용 가스버너(52)는 주로 취반냄비(32)를 가열할 때에 이용되는 것이나, 그 외의 조리용기를 가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정류판(81)을 상판(15)에서 분리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상판(15)이 공기 정류판을 겸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 상판(15)을 공기 정류판 부분까지 연장되게 형성하고, 상판(15)에 통기구멍을 형성한다.
또, 폐쇄위치에 있는 상부덮개(18)의 상면에 냄비 등을 얹어놓을 수 있는 받침대를 형성하여도 된다. 도 11의 (a), (b)에 받침대(86)의 형상을 예시한다. 도 11의 (a)는 삼발이 형상의 받침대(86)를 나타내며, 상부덮개(18)와는 별도의 부재가 용접, 납땜 등에 의해서 부착된다. 도 11의 (b)에 나타낸 받침대(86)는 드로잉 가공 등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 기술요소는 단독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서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출원시의 청구항 기재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예시된 기술은 복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으로, 그 중의 어느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자체로 기술적 유용성을 가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버너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원활하게공급됨으로써 가스버너의 연소효율이 극히 좋은 가스곤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복수의 불꽃구멍이 환형상으로 배열된 외측 불꽃구멍군과 그 내측에 형성된 내측 불꽃구멍군을 가지는 가스버너와,
    상기 가스버너의 하측에 설치되며, 가스버너의 하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내측 불꽃구멍군에서 분출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용 공간과 곤로케이스 내의 공간으로 분기시키는 공기 정류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곤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류판은, 내측 불꽃구멍군에서 분출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용 공간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면과 상기 안내면에 형성되는 통기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통기구멍에서 곤로케이스 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곤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류판은 곤로케이스로부터 분리가능하고, 상기 공기 정류판이 곤로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곤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곤로케이스가 조리대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상측에서 삽입되어 고정되는 드롭 인 타입의 가스곤로이고, 상기 조리대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곤로케이스가 밀봉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곤로.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멍이 가스버너에 의해서 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곤로.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류판이 통기구멍을 에워싸는 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곤로.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류판은 거의 평평한 형상을 이루며, 공기 정류판이 곤로케이스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곤로.
KR10-2002-0043237A 2001-11-13 2002-07-23 가스곤로 KR100507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46981A JP2003148735A (ja) 2001-11-13 2001-11-13 ガスコンロ
JPJP-P-2001-00346981 2001-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017A true KR20030040017A (ko) 2003-05-22
KR100507692B1 KR100507692B1 (ko) 2005-08-11

Family

ID=1916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237A KR100507692B1 (ko) 2001-11-13 2002-07-23 가스곤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148735A (ko)
KR (1) KR100507692B1 (ko)
CN (1) CN1292193C (ko)
TW (1) TWI22514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363B1 (ko) * 2009-06-17 2011-05-16 (주)대산씨에스에이 초고층 엘리베이터 설치용 철골 구조물 선행 설치공법 및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64119C (zh) * 2006-12-22 2009-02-25 丹东太智厨房设备有限公司 鼓风预混式高效燃气燃烧器
CN100434799C (zh) * 2006-12-22 2008-11-19 丹东太智厨房设备有限公司 引射预混式高效燃气燃烧器
JP4458298B2 (ja) * 2007-09-03 2010-04-28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用バーナ
JP5350282B2 (ja) * 2010-01-22 2013-11-27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CA2946134C (en) * 2015-12-29 2017-10-17 Masanori Aoyama Barbecue grill and cooking method using barbecue grill
CN108758630A (zh) * 2018-07-16 2018-11-06 宁波风腾燃具有限公司 一种上进风燃烧器
KR102059061B1 (ko) 2018-08-23 2019-12-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기구의 상판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5601U (ja) * 1982-03-09 1983-09-12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ガスこんろ
JPS6032484Y2 (ja) * 1982-09-10 1985-09-28 リンナイ株式会社 調理器
JPH0627565B2 (ja) * 1990-10-16 1994-04-13 リンナイ株式会社 多孔板を用いた薄膜火炎式燃焼機器
JPH083841Y2 (ja) * 1991-05-27 1996-01-31 リンナイ株式会社 埋込型ガスこんろ装置
JP2554580B2 (ja) * 1992-07-23 1996-11-13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JP3734909B2 (ja) * 1997-01-17 2006-01-11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363B1 (ko) * 2009-06-17 2011-05-16 (주)대산씨에스에이 초고층 엘리베이터 설치용 철골 구조물 선행 설치공법 및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25140B (en) 2004-12-11
CN1419076A (zh) 2003-05-21
KR100507692B1 (ko) 2005-08-11
CN1292193C (zh) 2006-12-27
JP2003148735A (ja) 200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4703B2 (en)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US8932049B2 (en)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US8813739B2 (en) Burner assembly and cooking appliance
EP3030839B1 (en) Gas burner and burner cover
KR100507692B1 (ko) 가스곤로
JP4453907B2 (ja) ガスコンロ
US9410705B2 (en) Gas cooker
US20050142509A1 (en) Burner assembly for gas burners of radiant heating type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9649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17442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3105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98625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3782338B2 (ja) 炊飯器を内蔵するコンロ
JP3863004B2 (ja) 炊飯器を内蔵するコンロ
KR880004079Y1 (ko) 조리기의 점화 버어너 장치.
JP2003148737A (ja) 炊飯器を内蔵するコンロ
KR10153384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2005291583A (ja) ガスコンロ
JP2022165487A (ja) ガスコンロ
KR10153530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H07332685A (ja) ガス調理器
TW202028660A (zh) 瓦斯爐及其爐蓋
KR101665708B1 (ko) 가스 오븐레인지
TWM578771U (zh) 瓦斯爐及其爐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