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854B1 - 스로틀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스로틀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854B1
KR101968854B1 KR1020177035165A KR20177035165A KR101968854B1 KR 101968854 B1 KR101968854 B1 KR 101968854B1 KR 1020177035165 A KR1020177035165 A KR 1020177035165A KR 20177035165 A KR20177035165 A KR 20177035165A KR 101968854 B1 KR101968854 B1 KR 101968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line
gap
torsion spring
throttl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834A (ko
Inventor
아키라 히구치
도루 시미즈
다다시 고미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6/077606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057080A1/ja
Publication of KR2018000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25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65Mechanical control linkage between an actuator and the flap, e.g. including levers, gears, springs, clutches, limit stops of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7Manufacturing or mounting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06Wound springs with turns lying in cylindrical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42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stressing
    • F16F1/4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stressing loaded mainly in tor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64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in which movement is transmitted through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69Throttle closing springs; Acting of throttle closing springs on the throttl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6/00Mode of stressing of basic spring or damper elements or devices incorporating such elements
    • F16F2236/08Tor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4Springs torsi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6Springs wound- or coil-like
    • F16F2238/028Winding direc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내연 기관의 흡기로 또는 배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사용되는 비틀림 스프링(1)은, 비틀림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접속된 2개의 코일 스프링(33, 34)과, 2개의 코일 스프링 사이에 훅(35)을 갖는다. 2개의 코일 스프링 중, 축 방향 일방측에 배치되는 일방측 스프링(33)은, 밸브체(5)를 폐쇄측으로 가압하고, 축 방향 타방측에 배치되는 타방측 스프링(34)은, 밸브체를 개방측으로 가압한다. 2개의 코일 스프링 중 적어도 한쪽의 코일 스프링에서는, 이 한쪽의 코일 스프링과 훅의 접속 부위에 있어서의 선간 간극(42a, 43a)의 크기(fa, ga)가 상기 한쪽의 코일 스프링의 선간 간극의 평균값(fav, gav)보다 크다.

Description

스로틀 밸브 장치
본 출원은, 2015년 9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193764호와 2016년 8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163887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여기에 그것들의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밸브체를 폐쇄측, 개방측으로 각각 가압하도록 조립 장착되는 비틀림 스프링을 구비하고, 내연 기관의 흡기로 또는 배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이 개시하는 내연 기관의 흡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하는 스로틀 장치에서는, 내연 기관의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 흡기로를 약간 개방해 둔다. 즉, 흡기로의 개방도를 미소한 개방도로 유지한다. 이하, 내연 기관의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 유지되는 미소한 개방도를 디폴트 개방도라고 칭한다.
특허문헌 1의 스로틀 장치는, 밸브체, 전동식 액추에이터 및 비틀림식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다. 밸브체는, 흡기로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흡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한다. 액추에이터는, 전동 모터와 감속기를 갖고, 전동 모터가 발생하는 토크를 감속기에 의해 증폭하여 밸브체에 전달하여, 밸브체를, 개방, 폐쇄의 양측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은, 리턴 스프링 및 디폴트 스프링을 갖는다. 리턴 스프링은, 주로 내연 기관의 운전 중에 밸브체를 폐쇄측으로 가압하고, 디폴트 스프링은, 주로 내연 기관의 운전 정지 중에 밸브체를 개방측으로 가압한다.
디폴트 개방도를 갖는 스로틀 장치에서는, 부품 개수 삭감 등을 위해, 리턴 스프링과 디폴트 스프링을 하나의 비틀림 스프링으로서 일체화한 구성이 공지이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2의 비틀림 스프링에 의하면, 리턴 스프링, 디폴트 스프링 각각의 기능을 갖는 비틀림식의 2개의 코일 스프링이, 비틀림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코일 스프링 중, 축 방향 일방측에 배치되는 일방측 스프링이라고 칭하는 코일 스프링과, 축 방향 타방측에 배치되는 타방측 스프링이라고 칭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는, U자형의 훅인 중간 훅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 방향이라 함은, 비틀림 스프링의 축 방향이다.
일방측, 타방측 스프링을 각각 리턴 스프링, 디폴트 스프링으로서 기능시키는 경우, 일방측 스프링의 축 방향 일단부를, 예를 들어 하우징 등에 설치한 걸림부에 걸리게 하여 고정하고, 타방측 스프링의 축 방향 타단부를,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체에 걸리게 하여 회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중간 훅은, 밸브체의 회전각이 디폴트 개방도에 상당하는 회전각보다 개방측에 있는지 폐쇄측에 있는지에 따라서, 회전 가능해지거나, 고정되거나 한다.
밸브체의 회전각이 디폴트 개방도 상당의 회전각보다 개방측에 있는 경우, 중간 훅은, 회전체에 설치한 결합편에 의해 걸려 회전 가능해진다. 밸브체의 회전각이 디폴트 개방도 상당의 회전각보다 폐쇄측에 있는 경우, 중간 훅은, 하우징 등에 설치된 걸림부에 걸려 고정된다.
특허문헌 2의 코일 스프링에 의하면, 중간 훅은, 토크가 전환되는 토크 전환부로서 기능하지만, 중간 훅의 근방의 부분은, 비틀림 스프링을 스로틀 장치에 조립 장착할 때, 자세가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중간 훅의 근방에서는 선간 간극이 좁아져 버려, 축 방향에 인접하는 턴끼리의 접촉인 선간 접촉이 발생할 가능성이 발생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1058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58408호 공보
본 개시의 목적은, 내연 기관의 흡기로 또는 배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에 사용되고, 중간 훅 근방에 있어서의 선간 접촉을 억제하도록, 밸브체를 폐쇄측, 개방측으로 각각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원의 일 양태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 장치는, 비틀림식의 2개의 코일 스프링이, 비틀림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접속한 것이며, 2개의 코일 스프링 사이에 훅을 갖는 비틀림 스프링을 구비하고, 내연 기관의 흡기로 또는 배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한다. 또한, 스로틀 밸브 장치는, 흡기로 내 또는 배기로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흡기로 또는 배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하는 밸브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비틀림 스프링은 2개의 코일 스프링 중, 축 방향 일방측에 배치되는 일방측 스프링에 의해 밸브체를 폐쇄측으로 가압하도록, 또한 축 방향 타방측에 배치되는 타방측 스프링에 의해 밸브체를 개방측으로 가압하도록 조립 장착된다.
또한, 2개의 코일 스프링 중 적어도 한쪽의 코일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 단품의 자유 시의 상태 및 비틀림 스프링을 스로틀 밸브 장치에 조립 장착한 상태의 양쪽의 상태에서, 한쪽의 코일 스프링과 훅의 접속 부위에 있어서의 선간 간극의 크기가, 한쪽의 코일 스프링의 선간 간극의 평균값보다 크다.
이에 의해, 일방측, 타방측 스프링 각각에서 중간 훅에 가장 가까운 선간 간극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선간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로틀 밸브 장치에 사용되어 밸브체를 폐쇄측, 개방측으로 각각 가압하도록 조립 장착되는 비틀림 스프링에 있어서, 중간 훅 근방에 있어서의 선간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스로틀 밸브 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실시예 1).
도 2는 스로틀 밸브 장치의 내부를, 기어 커버를 떼어내고 도시하는 내부 구성도이다(실시예 1).
도 3은 비틀림 스프링의 주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실시예 1).
도 4의 (a)는 비틀림 스프링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b)는 비틀림 스프링의 평면도이다(실시예 1).
도 5는 비틀림 스프링을 일방측, 타방측 부시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실시예 1).
도 6의 (a)는 일방측 스프링의 선간 간극의 분포를 도시하는 특성도이고, (b)는 타방측 스프링의 선간 간극의 분포를 도시하는 특성도이다(실시예 1).
도 7의 (a)는 비틀림 스프링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b)는 비틀림 스프링의 평면도이다(실시예 2).
도 8은 비틀림 스프링을 일방측, 타방측 부시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실시예 2).
도 9는 비틀림 스프링을 일방측, 타방측 부시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실시예 3).
도 10의 (a)는 비틀림 스프링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b)는 비틀림 스프링의 평면도이다(실시예 4).
도 11은 비틀림 스프링을 일방측, 타방측 부시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실시예 4).
도 12의 (a)는 비틀림 스프링을 일방측, 타방측 부시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b)는 비틀림 스프링의 평면도이다(실시예 5).
도 13의 (a)는 비틀림 스프링을 일방측, 타방측 부시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b)는 비틀림 스프링의 평면도이다(실시예 6).
도 14는 비틀림 스프링을 일방측, 타방측 부시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변형예).
도 15의 (a)는 비틀림 스프링에 있어서 하나의 턴이 다른 턴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현상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b)는 영역 XVB의 확대도이다(참고예).
도 16은 중간 훅의 부분 확대도이다(변형예).
〔실시예 1〕
실시예 1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비틀림 스프링(1)이 사용되는 스로틀 밸브 장치(2)에 대해 설명한다.
스로틀 밸브 장치(2)는, 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 룸에 탑재되어 내연 기관(도시하지 않음)의 흡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한다. 스로틀 밸브 장치(2)는, 내연 기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 이하, ECU라고 칭함)에 의해 동작 제어된다. ECU는, 주로, 차량의 액셀러레이터 조작량에 기초하여 흡기로의 개방도의 지령값을 구함과 함께, 후기하는 회전각 센서(3)로부터 얻어지는 회전각의 검출값이 지령값 상당의 수치에 일치하도록, 스로틀 밸브 장치(2)를 동작 제어한다.
스로틀 밸브 장치(2)는, 비틀림 스프링(1) 이외에, 이하에 설명하는 보디(4), 밸브체(5), 전동식 액추에이터(6) 등을 구비한다.
보디(4)는, 원통형의 보어(8)를 갖고 있고, 보어(8)는 흡기로의 일부를 이룬다. 보디(4)는, 내연 기관의 인테이크 매니폴드(도시하지 않음)에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체결된다.
밸브체(5)는, 원판상의 버터플라이형이며, 샤프트(9)에 고정된 상태에서 보어(8)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흡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한다. 샤프트(9)는, 보어(8)를 직경 방향(α)으로 가로지르도록 조립 장착되어 있고, 이른바 양측 지지 구조에 의해, 보디(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샤프트(9)는, 직경 방향(α)의 일방측에서 드라이 베어링(10)에 의해 지지되고, 타방측에서 볼 베어링(1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액추에이터(6)는, 전동 모터(13)와 감속기(14)를 갖고, 전동 모터(13)가 발생하는 토크를 감속기(14)에 의해 증폭하여 밸브체(5)에 전달하여, 밸브체(5)를 주로 개방측으로 회전 구동한다.
보디(4)에는, 보어(8)의 직경 방향(α)의 타방측(즉, 도 1에 있어서 보어(8)의 우측)에, 주로, 감속기(14)를 수용하는 기어 케이스(15)가 설치되고, 기어 케이스(15)의 개구는, 기어 커버(16)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보디(4)에는, 전동 모터(13)를 수용하는 모터 수납부(17)가 설치되고, 모터 수납부(17)는, 수용한 전동 모터(13)의 축이 샤프트(9)의 축과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기어 케이스(15)에 개구되어 있다.
전동 모터(13)는, 통전 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써 출력축(19)이 정전, 역전 중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고, ECU에 의해 동작 제어된다.
감속기(14)는, 샤프트(9)에 동축에 조립 장착된 밸브 기어(20), 출력축(19)에 조립 장착된 피니언 기어(21), 밸브 기어(20) 및 피니언 기어(21)의 양쪽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중간 기어(22)는, 기어 케이스(15)와 기어 커버(16) 사이에 가설된 지지 축(2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중간 기어(22)는, 피니언 기어(21)에 맞물리는 대직경 기어부(22a) 및 대직경 기어부(22a)와 동축에 설치되어 밸브 기어(20)에 맞물리는 소직경 기어부(22b)를 갖는다. 또한, 밸브 기어(20)는 부채형 기어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외주에 소직경 기어부(22b)와 맞물리는 기어부를 갖는다.
밸브 기어(20)에는, 샤프트(9)와 함께 회전하는 분할형 영구 자석(25)이 조립 장착되어 있다. 영구 자석(25)은, 기어 커버(16)에 조립 장착된 홀 소자(26)와 함께, 밸브체(5)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회전각 센서(3)를 구성한다. 회전각 센서(3)가 발생하는 신호는 ECU에 출력되고, ECU는, 회전각 센서(3)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13)를 통전 제어하여 스로틀 밸브 장치(2)를 동작 제어한다.
밸브 기어(20)는, 밸브체(5)의 완전 폐쇄, 완전 개방 각각의 회전각을 기계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완전 폐쇄 시, 완전 개방 시 걸림부(28, 29)를 갖는다. 완전 폐쇄 시, 완전 개방 시 걸림부(28, 29)는, 각각, 밸브체(5)가 완전 폐쇄, 완전 개방의 회전각까지 회전하였을 때, 완전 폐쇄, 완전 개방 스토퍼(30, 31)에 맞닿아 걸린다. 또한, 완전 폐쇄, 완전 개방 스토퍼(30, 31)는, 예를 들어 양쪽 모두 기어 케이스(15)에 설치된다. 완전 폐쇄 스토퍼(30)는, 예를 들어 기어 케이스(15)의 내벽에 나사 결합된 어저스트 스크루이다. 완전 개방 스토퍼(31)는, 예를 들어 기어 케이스(15)의 내벽에 설치한 단차부이다.
비틀림 스프링(1)은, 비틀림식의 2개의 코일 스프링(33, 34)이, 비틀림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접속한 것이며 2개의 코일 스프링(33, 34) 사이에 중간 훅(35)을 갖는다. 그리고, 스로틀 밸브 장치(2)에 비틀림 스프링(1)을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 2개의 코일 스프링(33, 34)은 다음과 같이 밸브체(5)를 가압한다.
코일 스프링(33, 34) 중, 축 방향 일방측에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33)(이하, 일방측 스프링(33)이라고 칭함)은 밸브체(5)를 폐쇄측으로 가압하고, 축 방향 타방측에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34)(이하, 타방측 스프링(34)이라고 칭함)은 밸브체(5)를 개방측으로 가압한다.
또한, 도 1, 도 3 등에 있어서, 비틀림 스프링(1)에 관한 축 방향은, 보어(8)의 직경 방향(α)과 일치하고 있고, 또한 비틀림 스프링(1)에 관한 축 방향 일방측, 타방측은, 각각 직경 방향(α)의 일방측, 타방측에 일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틀림 스프링(1)에 관한 축 방향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비틀림 스프링(1)은, 1개의 소선으로 이루어지고, 중간 훅(35)은, 소선을 U자형으로 구부림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중간 훅(35)은, 소선의 굴곡에 의해 축 방향으로 간극(이하, 훅 간극(A)이라고 칭함)을 형성한다(도 4 및 도 5 참조). 중간 훅(35)의 축 방향 일단부는 일방측 스프링(33)의 축 방향 타단부에 접속됨과 함께, 중간 훅(35)의 축 방향 타단부는 타방측 스프링(34)의 축 방향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일방측 스프링(33)의 축 방향 일단부에도 훅(33a)이 설치되고, 훅(33a)은, 예를 들어 기어 케이스(15)에 설치된 걸림부(33b)에 걸려 고정된다. 또한, 타방측 스프링(34)의 축 방향 타단부에도 훅(34a)이 설치되고, 훅(34a)은, 밸브 기어(20)에 설치된 결합편(36)에 걸려, 밸브 기어(20)와 함께 회전 가능해진다.
또한, 중간 훅(35)은, 밸브체(5)의 회전각이 디폴트 개방도에 상당하는 회전각보다 개방측에 있는지 폐쇄측에 있는지에 따라서, 회전 가능해지거나, 고정되거나 한다. 즉, 밸브체(5)의 회전각이 디폴트 개방도 상당의 회전각보다 개방측에 있는 경우, 중간 훅(35)은 결합편(36)에 의해 걸려 회전 가능해진다. 또한, 밸브체(5)의 회전각이 디폴트 개방도 상당의 회전각보다 폐쇄측에 있는 경우, 중간 훅(35)은 하우징 등에 설치된 걸림부(37)에 걸려 고정된다.
또한, 결합편(36)에는, 중간 훅(35)의 횡방향 어긋남을 방지하는 가이드(36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37)는, 예를 들어 기어 케이스(15)의 벽부의 소정 위치에 조립 장착된 조정 나사 기능을 갖는 어저스트 스크루로 이루어진다. 또한, 중간 훅(35)은, 일방측, 타방측 스프링(33, 34)의 외주측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조립 장착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일방측 스프링(33)은, 주로 내연 기관의 운전 중에 밸브체(5)를 폐쇄측으로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으로서 기능하고, 액추에이터(6)는, 일방측 스프링(3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밸브체(5)를 개방측으로 회전 구동한다. 또한, 타방측 스프링(34)은, 주로 내연 기관의 운전 정지 중에 밸브체(5)를 개방측으로 가압하는 디폴트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일방측, 타방측 스프링(33, 34)의 내주에는 각각, 일방측, 타방측 스프링(33, 34)의 내주의 맞닿음을 자신의 외주면에서 받는 일방측, 타방측 부시(39, 40)가 배치되어 있다.
일방측 부시(39)는, 보디(4)의 일부이며 원통형으로 설치되고, 기어 케이스(15)에 있어서 축 방향 타방측으로 융기한다. 또한, 일방측 부시(39)의 내주는, 볼 베어링(11)을 수용하는 공간을 이룬다. 또한, 타방측 부시(40)는, 밸브 기어(20)와 일체, 또한 동축이며 원통 형상으로 설치되고, 기어 케이스(15)에 있어서 축 방향 일방측으로 융기하고, 일방측 부시(39)와의 사이에 축 방향의 간극(이하, 부시간 간극(B)이라고 칭함)을 형성한다(도 5 참조).
실시예 1의 특징 및 효과를 도 4 및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중간 훅(35)은, 외주측으로 구부러지기 전의 상태로 그려져 있다.
일방측, 타방측 스프링(33, 34)은 각각, 선간 간극(42, 43)을 형성한다. 그리고, 일방측 스프링(33)의 선간 간극(42) 중에서, 일방측 스프링(33)과 중간 훅(35)의 접속 부위에 있어서의 선간 간극(42a)의 크기는, 비틀림 스프링(1)을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조립 장착하기 전후, 어느 상태라도, 선간 간극(42)의 평균값보다 크다.
여기서, 일방측 스프링(33)과 중간 훅(35)의 접속 부위라 함은, 중간 훅(35)을 외주측으로 구부린 상태(도 3 참조)에서는, 중간 훅(35)의 기동의 근원이다.
또한, 중간 훅(35)을 외주측으로 구부리기 전의 상태(도 4 참조)에서는, 예를 들어 일방측 스프링(33)에 의해 형성되는 원으로부터 중간 훅(35)이 접선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신장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훅(35)의 기동의 근원, 즉, 일방측 스프링(33)과 중간 훅(35)의 접속 부위는, 중간 훅(35)을 외주측으로 구부리기 전의 상태에서는, 일방측 스프링(33)에 의해 형성되는 원과, 중간 훅(35)에 의해 형성되는 직선의 접점이다.
또한, 선간 간극(42)의 크기는, 주위 방향으로 회전각 θ를 정의하면,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각 θ에 대해 연속 분포로 된다. 그리고, 선간 간극(42)의 크기를, 회전각 θ를 변수로 하여 f(θ)로 나타내고, 선간 간극(42)의 평균값을 fav로 나타내면, 평균값 fav는, 중간 훅(35)의 근원 회전각 θ1 및 훅(33a)의 근원의 회전각 θ2를 사용하면,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선간 간극(42a)의 크기를 fa로 나타낸다.
Figure 112017121470074-pct00001
마찬가지로, 타방측 스프링(34)의 선간 간극(43) 중에서, 타방측 스프링(34)과 중간 훅(35)의 접속 부위에 있어서의 선간 간극(43a)의 크기는, 비틀림 스프링(1)을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조립하기 전후, 어느 상태라도, 선간 간극(43)의 평균값보다 크다.
여기서, 타방측 스프링(34)과 중간 훅(35)의 접속 부위는, 일방측 스프링(33)과 중간 훅(35)의 접속 부위와 마찬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선간 간극(43)의 크기는, 주위 방향으로 회전각 φ를 정의하면,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각 φ에 관하여 연속 분포가 된다. 그리고, 선간 간극(43)의 크기를, 회전각 φ를 변수로 하여 g(φ)로 나타내고, 선간 간극(43)의 평균값을 gav로 나타내면, 평균값 gav는, 중간 훅(35)의 근원의 회전각 φ1 및 훅(34a)의 근원의 회전각 φ2를 사용하면,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선간 간극(43a)의 크기를 ga로 나타낸다.
Figure 112017121470074-pct00002
이에 의해, 일방측, 타방측 스프링(33, 34) 각각에서 중간 훅(35)에 가장 가까운 선간 간극(42a, 43a)에 있어서, 선간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1)에 있어서, 중간 훅(35) 근방에 있어서의 선간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턴수는, 일방측 스프링(33)의 쪽이 타방측 스프링(34)보다 많다. 또한, 훅 간극(A)은 일정하다. 즉, 중간 훅(35)을 따라, 선단으로부터 일방측 스프링(33)의 축 방향 타단부 및 타방측 스프링(34)의 축 방향 일단부로 이동해도, 훅 간극(A)은 일정하다.
또한, 선간 간극(42a)의 크기 fa를 평균값 fav보다 크게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양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훅(35)의 근원에 있어서 f(θ)가 최댓값으로 되도록(즉, fa가 f(θ)의 최댓값으로 되도록), f(θ)를 설정해도 된다. 또한, 일방측 스프링(33)을 구성하는 복수의 턴(45) 중, 가장 축 방향 타방측에 위치하는 1바퀴째의 턴(45)을 턴(451), 2바퀴째의 턴(45)을 턴(452)으로 하면, 일방측 스프링(33)에 있어서 턴(451)을 따라 턴(452)을 향해 주회해 가는 도중까지 f(θ)를 크게 하고, 이후에는 f(θ)를 작게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선간 간극(43a)의 크기 ga를 선간 간극(43)의 평균값 gav보다 크게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양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훅(35)의 근원에 있어서 g(φ)가 최댓값으로 되도록(즉, ga가 g(φ)의 최댓값으로 되도록), g(φ)를 설정해도 된다. 또한, 타방측 스프링(34)을 구성하는 복수의 턴(46) 중, 가장 축 방향 일방측에 위치하는 1바퀴째의 턴(46)을 턴(461), 2바퀴째의 턴(46)을 턴(462)으로 하면, 타방측 스프링(34)에 있어서 턴(461)을 따라 턴(462)을 향해 주회해 가는 도중까지 g(φ)를 크게 하고, 이후에는 g(φ)를 작게 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 1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타방측 스프링(34)에 있어서, 선간 간극(43a)의 크기 ga가 선간 간극(43)의 평균값 gav보다 크게 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개방측 가압의 타방측 스프링(34)의 쪽이, 폐쇄측 가압의 일방측 스프링(33)보다 선간 접촉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일반적인 탑재 제약으로부터, 개방측 가압의 타방측 스프링(34)의 턴수는, 폐쇄측 가압의 일방측 스프링(33)의 턴수보다 적다. 따라서, 개방측 가압, 또한 턴수가 적은 타방측 스프링(34)에 있어서, 선간 간극(43a)을 평균값 gav보다 크게 함으로써, 선간 접촉의 억제 효과를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특징을, 도 7 및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의 중간 훅(35)은 외주측으로 구부러지기 전의 상태로 그려져 있다.
먼저, 실시예 2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실시예 1의 비틀림 스프링(1)과 마찬가지로, 선간 간극(42a, 43a)은, 비틀림 스프링(1)을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조립 장착하기 전후, 어느 상태라도, 각각, 선간 간극(42, 43)의 평균값 fav, gav보다 크다.
다음으로, 실시예 2의 비틀림 스프링(1)을 설명하기 위해, 이하의 스프링간 간극(C)을 정의한다. 스프링간 간극(C)이라 함은, 비틀림 스프링(1)을 일방측 부시(39) 및 타방측 부시(40)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일방측 스프링(33)의 턴(451)과, 타방측 스프링(34)의 턴(461) 사이에 형성되는 축 방향의 간극이다.
스프링간 간극(C)은, 일방측 스프링(33)에 있어서 턴(451)을 따라 턴(452)을 향해 주회해 가면, 회전각 θ가 소정의 크기 θc에 도달할 때까지는 부시간 간극(B)보다 작고, θc를 넘으면 부시간 간극(B)보다 커진다(도 8 참조). 여기서, 훅 간극(A)은, 선단으로부터 일방측 스프링(33)의 축 방향 타단부 및 타방측 스프링(34)의 축 방향 일단부에 근접해 가는 것에 수반하여, 서서히 증가해 간다. 그리고, 일방측 스프링(33)의 축 방향 타단부 및 타방측 스프링(34)의 축 방향 일단부에 있어서, 훅 간극(A)은, 스프링간 간극(C)의 최솟값과 동등해지고, 스프링간 간극(C)은, 턴(451)을 따라 턴(452)을 향해 주회해 가는 것에 수반하여, 서서히 증가해 가서, θc를 넘으면 부시간 간극(B)보다 커진다.
실시예 2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스프링간 간극(C)은, 일방측 스프링(33)에 있어서 턴(451)을 따라 턴(452)을 향해 주회해 가는 도중에 부시간 간극(B)보다 커진다.
이에 의해, 부시간 간극(B)에 턴(451, 461)이 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특징을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9의 중간 훅(35)은 외주측으로 구부러지기 전의 상태로 그려져 있다.
실시예 3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실시예 1의 비틀림 스프링(1)과 마찬가지로, 선간 간극(42a, 43a)은, 비틀림 스프링(1)을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조립하기 전후, 어느 상태라도, 각각, 선간 간극(42, 43)의 평균값 fav, gav보다 크다. 또한, 스프링간 간극(C)은, 실시예 2의 비틀림 스프링(1)과 마찬가지로, 회전각 θ가 θc에 도달할 때까지는 부시간 간극(B)보다 작고, θc를 넘으면 부시간 간극(B)보다 커진다.
실시예 3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일방측 스프링(33)의 직경이 타방측 스프링(34)의 직경보다 크다.
이에 의해, 선간 접촉이 발생하기 쉬운 타방측 스프링(34)에 있어서, 타방측 부시(40)와의 직경 방향의 클리어런스를 축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1)의 조립 장착 시에 있어서의 자세의 악화를 타방측 부시(40)에 의해 내주측으로부터 억제할 수 있으므로, 선간 접촉의 억제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특징을, 도 10 및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의 중간 훅(35)은 외주측으로 구부러지기 전의 상태로 그려져 있다.
실시예 4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실시예 1의 비틀림 스프링(1)과 마찬가지로, 선간 간극(42a, 43a)은, 비틀림 스프링(1)을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조립 장착하기 전후, 어느 상태라도, 각각 선간 간극(42, 43)의 평균값 fav, gav보다 크다.
또한, 실시예 4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스프링간 간극(C)은,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인 θc로 계단 형상으로 확대된다(도 11 참조). 여기서, 훅 간극(A)은 일정하고, 선단으로부터 일방측 스프링(33)의 축 방향 타단부까지의 사이에서 변함없다. 또한, 스프링간 간극(C)은, θc까지 일정하며 훅 간극(A)과 동등하고, 부시간 간극(B)보다 작다. 그리고, 스프링간 간극(C)은, θc에 있어서 단계 형상으로 확대되어 부시간 간극(B)보다 커진다.
이에 의해, 비틀림 스프링(1)을 일방측, 타방측 부시(39, 40)에 조립 장착할 때에, 턴(451, 461)의 내주가 각각 일방측, 타방측 부시(39, 40)의 에지에 접촉하지 않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실시예 5〕
실시예 5의 특징을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실시예 5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실시예 1의 비틀림 스프링(1)과 마찬가지로, 선간 간극(42a, 43a)은, 비틀림 스프링(1)을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조립 장착하기 전후, 어느 상태라도, 각각 선간 간극(42, 43)의 평균값 fav, gav보다 크다.
또한, 실시예 5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스프링간 간극(C)은, 실시예 2의 비틀림 스프링(1)과 마찬가지인 θc로 부시간 간극(B)보다 커진다.
다음으로, 실시예 5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중간 훅(35)은 일방측, 타방측 스프링(33, 34)의 내주측으로 구부러져 부시간 간극(B)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일방측 스프링(33)에 있어서 턴(451)을 따라 턴(452)을 향해 주회해 가는 도중에 스프링간 간극(C)을 부시간 간극(B)보다 크게 함으로써, 중간 훅(35)을 내주측으로 절곡하여 부시간 간극(B)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1)의 직경 방향의 체격을 축소할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6의 특징을 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실시예 6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실시예 1의 비틀림 스프링(1)과 마찬가지로, 선간 간극(42a, 43a)은, 비틀림 스프링(1)을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조립 장착하기 전후, 어느 상태라도, 각각 선간 간극(42, 43)의 평균값 fav, gav보다 크다.
또한, 실시예 6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실시예 3의 비틀림 스프링(1)과 마찬가지로, 스프링간 간극(C)은 계단 형상으로 확대되어 부시간 간극(B)보다 커진다. 또한, 스프링간 간극(C)이 계단 형상으로 확대되는 위치는, 중간 훅(35)과 일방측, 타방측 스프링(33, 34)의 경계, 즉, 일방측 스프링(33)의 축 방향 타단부 및 타방측 스프링(34)의 축 방향 일단부이다. 또한, 훅 간극(A)은 모두 부시간 간극(B)보다 작고, 스프링간 간극(C)은 전체 둘레에서 부시간 간극(B)보다 크다.
다음으로, 실시예 6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중간 훅(35)은 일방측, 타방측 스프링(33, 34)의 내주측으로 구부러져 부시간 간극(B)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중간 훅(35)과 일방측, 타방측 스프링(33, 34)의 접속 부위에서 계단 형상으로 스프링간 간극(C)을 확대함으로써, 중간 훅(35)을 내주측으로 구부려 부시간 간극(B)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1)의 직경 방향의 체격을 축소할 수 있다.
〔변형예〕
본 개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예를 추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선간 간극(42a, 43a)은, 비틀림 스프링(1)을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조립 장착하기 전후, 어느 상태라도, 각각 선간 간극(42, 43)의 평균값 fav, gav보다 크지만, 선간 간극(42, 43)은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1)을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조립 장착한 후의 상태에서는, 선간 간극(42a, 43a)이 각각 선간 간극(42, 43)의 평균값 fav, gav와 동등해지도록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 3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일방측 스프링(33)의 직경이 타방측 스프링(34)의 직경보다 크고, 또한 일방측 부시(39)의 직경이 타방측 부시(40)의 직경보다 크지만, 타방측 스프링(34)의 직경을 일방측 스프링(33)의 직경보다 크게 해도 된다(도 14 참조).
이 경우, 선간 접촉이 발생하기 쉬운 타방측 스프링(34)에 있어서, 타방측 부시(40)와의 직경 방향의 클리어런스를 확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1)의 자세가 조립 장착 시에 악화되어도, 하나의 턴(46)이 다른 턴(46)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현상(도 15 참조)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선간 접촉의 억제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 선간 접촉이 발생하고 있는 개소를 부호 X로 표기하였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5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스프링간 간극(C)은, θc로 부시간 간극(B)보다 커지고, 훅 간극(A)은, 부시간 간극(B)보다 작지만 훅 간극(A), 부시간 간극(B) 및 스프링간 간극(C)은,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훅 간극(A)을, 중간 훅(35)의 선단으로부터 일방측 스프링(33)의 축 방향 타단부에 근접해 가는 도중의 소정의 위치까지는 부시간 간극(B)보다 작고, 소정의 위치를 넘으면 부시간 간극(B)보다 커지도록, 또한 스프링간 간극(C)을 턴(451)의 전체 둘레에서 부시간 간극(B)보다 커지도록 설정해도 된다. 이때, 훅 간극(A)을 소정의 위치에서 계단 형상으로 확대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일방측, 타방측 스프링(33, 34)의 턴수는, 일방측 스프링(33)의 쪽이 타방측 스프링(34)보다 많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었지만, 턴수의 대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타방측 스프링(34)의 쪽이 일방측 스프링(33)보다 많아지도록 설정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중간 훅(35)은, 외주측 또는 내주측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조립 장착되어 있었지만, 중간 훅(35)을 외주측 또는 내주측으로 구부리지 않고, 비틀림 스프링(1)을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조립 장착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 1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훅 간극(A)은 일정하고, 실시예 2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훅 간극(A)은, 선단으로부터 일방측 스프링(33)의 축 방향 타단부 및 타방측 스프링(34)의 축 방향 일단부에 근접해 가는 것에 수반하여 서서히 증가하고 있었지만, 훅 간극(A)의 양태는, 이들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 간극(A)을, 선단으로부터 일방측 스프링(33)의 축 방향 타단부 및 타방측 스프링(34)의 축 방향 일단부에 근접해 가는 것에 수반하여 서서히 감소시켜도 된다.
또한, 실시예 1의 비틀림 스프링(1)에 의하면, 일방측 스프링(33)의 선간 간극(42) 중에서 선간 간극(42a)의 크기가 선간 간극(42)의 평균값보다 크고, 또한 타방측 스프링(34)의 선간 간극(43) 중에서 선간 간극(43a)의 크기가 선간 간극(43)의 평균값보다 크게 되어 있었지만, 비틀림 스프링(1)의 양태는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방측 스프링(33)의 복수의 선간 간극(42) 중에서, 가장 축 방향 타방측에 존재하는 선간 간극(42)을 다른 선간 간극(42)보다 크게 해도 되고, 타방측 스프링(34)의 복수의 선간 간극(43) 중에서, 가장 축 방향 일방측에 존재하는 선간 간극(43)을 다른 선간 간극(43)보다 크게 해도 된다. 또한, 일방측 스프링(33)의 복수의 선간 간극(42) 중에서, 가장 축 방향 타방측에 존재하는 선간 간극(42)을 다른 선간 간극(42)보다 크게 하고, 또한 타방측 스프링(34)의 복수의 선간 간극(43) 중에서, 가장 축 방향 일방측에 존재하는 선간 간극(43)을 다른 선간 간극(43)보다 크게 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의 비틀림 스프링(1)은, 내연 기관의 흡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사용되고 있었지만, 비틀림 스프링(1)을 내연 기관의 배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배기로 내에는, 배기 가스를 흡기로로 환류하기 위한 환류로도 포함되어 있다.

Claims (13)

  1. 비틀림식의 2개의 코일 스프링(33, 34)이, 비틀림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접속한 것이며 상기 2개의 코일 스프링 사이에 훅(35)을 갖는 비틀림 스프링(1)을 구비하고, 내연 기관의 흡기로 또는 배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있어서,
    상기 흡기로 내 또는 상기 배기로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흡기로 또는 상기 배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하는 밸브체(5)를 구비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2개의 코일 스프링 중, 축 방향 일방측에 배치되는 일방측 스프링(33)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폐쇄측으로 가압하도록, 또한 축 방향 타방측에 배치되는 타방측 스프링(34)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개방측으로 가압하도록 조립 장착되며,
    상기 2개의 코일 스프링 중 적어도 한쪽의 코일 스프링은,
    상기 비틀림 스프링 단품의 자유 시의 상태 및 상기 비틀림 스프링을 상기 스로틀 밸브 장치에 조립 장착한 상태의 양쪽의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코일 스프링과 상기 훅의 접속 부위에 있어서의 선간 간극(42a, 43a)의 크기(fa, ga)가, 상기 한쪽의 코일 스프링의 선간 간극의 평균값(fav, gav)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코일 스프링은, 다른 쪽의 코일 스프링보다 권취 수가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코일 스프링은, 다른 쪽의 코일 스프링보다 내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코일 스프링은, 다른 쪽의 코일 스프링보다 내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코일 스프링은, 양쪽 모두,
    상기 비틀림 스프링 단품의 자유 시의 상태 및 상기 비틀림 스프링을 상기 스로틀 밸브 장치에 조립 장착한 상태의 양쪽의 상태에서, 각각의 코일 스프링과 상기 훅의 접속 부위에 있어서의 선간 간극의 크기가, 각각의 코일 스프링의 선간 간극의 평균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스프링의 내주에 배치되어 상기 일방측 스프링의 내주의 맞닿음을 외주면에서 받는 일방측 부시(39)와,
    상기 타방측 스프링의 내주에 배치되어 상기 타방측 스프링의 내주의 맞닿음을 외주면에서 받고, 상기 일방측 부시와의 사이에 축 방향의 간극을 형성하는 타방측 부시(40)를 구비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을 상기 스로틀 밸브 장치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스프링을 구성하는 복수의 턴(45) 중, 가장 축 방향 타방측에 위치하는 1바퀴째의 턴(451)과, 상기 타방측 스프링을 구성하는 복수의 턴(46) 중, 가장 축 방향 일방측에 위치하는 1바퀴째의 턴(461) 사이에 형성되는 축 방향의 간극을 스프링간 간극(C)이라고 정의하고,
    또한, 상기 일방측 부시와 상기 타방측 부시 사이에 형성되는 축 방향의 간극을 부시간 간극(B)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스프링간 간극은, 상기 비틀림 스프링을 상기 스로틀 밸브 장치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일방측 스프링에 있어서 1바퀴째의 턴을 따라 2바퀴째의 턴(452)을 향해 주회해 가면, 소정의 주회 위치(θc)까지는 상기 부시간 간극보다 작고, 상기 소정의 주회 위치를 넘으면 상기 부시간 간극보다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간 간극은, 상기 소정의 주회 위치에서 계단 형상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훅은, 내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훅은, 소선의 굴곡에 의해 축 방향으로 훅 간극(A)을 형성하고, 상기 훅의 축 방향 일단부는 상기 일방측 스프링의 축 방향 타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상기 훅의 축 방향 타단부는 상기 타방측 스프링의 축 방향 일단부에 접속하고,
    상기 스로틀 밸브 장치는,
    상기 일방측 스프링의 내주에 배치되어 상기 일방측 스프링의 내주의 맞닿음을 외주면에서 받는 일방측 부시와,
    상기 타방측 스프링의 내주에 배치되어 상기 타방측 스프링의 내주의 맞닿음을 외주면에서 받고, 상기 일방측 부시와의 사이에 축 방향의 간극을 형성하는 타방측 부시를 구비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을 상기 스로틀 밸브 장치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스프링을 구성하는 복수의 턴 중, 가장 축 방향 타방측에 위치하는 1바퀴째의 턴과, 상기 타방측 스프링을 구성하는 복수의 턴 중, 가장 축 방향 일방측에 위치하는 1바퀴째의 턴 사이에 형성되는 축 방향의 간극을 스프링간 간극(C)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일방측 부시와 상기 타방측 부시 사이에 형성되는 축 방향의 간극을 부시간 간극(B)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훅 간극은, 상기 비틀림 스프링을 상기 스로틀 밸브 장치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 선단으로부터 상기 일방측 스프링의 축 방향 타단부에 근접해 가면, 소정의 위치까지는 상기 부시간 간극보다 작고, 상기 소정의 위치를 넘으면 상기 부시간 간극보다 커지고,
    상기 스프링간 간극은 상기 비틀림 스프링을 상기 스로틀 밸브 장치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부시간 간극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훅 간극은,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계단 형상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
  11. 비틀림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접속된 비틀림식의 2개의 코일 스프링(33, 34)과 상기 2개의 코일 스프링 사이에 설치된 훅(35)을 갖는 비틀림 스프링을 구비하고, 내연 기관의 흡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있어서,
    상기 흡기로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흡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하는 밸브체(5)를 구비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2개의 코일 스프링 중, 축 방향 일방측에 배치되는 일방측 스프링(33)이 상기 밸브체를 폐쇄측으로 가압하고, 또한 축 방향 타방측에 배치되는 타방측 스프링(34)이 상기 밸브체를 개방측으로 가압하도록 조립 장착되고,
    상기 일방측 스프링은, 복수의 선간 간극(42)을 갖고,
    상기 타방측 스프링은, 복수의 선간 간극(43)을 갖고,
    상기 일방측 스프링의 복수의 선간 간극 중에서, 가장 축 방향 타방측에 존재하는 선간 간극(42a)은, 상기 비틀림 스프링 단품의 자유 시의 상태 및 상기 비틀림 스프링을 상기 스로틀 밸브 장치에 조립 장착한 상태의 양쪽의 상태에서, 다른 선간 간극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
  12. 비틀림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접속된 비틀림식의 2개의 코일 스프링(33, 34)과, 상기 2개의 코일 스프링 사이에 설치된 훅(35)을 갖는 비틀림 스프링을 구비하고, 내연 기관의 흡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2)에 있어서,
    상기 흡기로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흡기로의 개방도를 증감하는 밸브체(5)를 구비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2개의 코일 스프링 중, 축 방향 일방측에 배치되는 일방측 스프링(33)이 상기 밸브체를 폐쇄측으로 가압하고, 또한 축 방향 타방측에 배치되는 타방측 스프링(34)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개방측으로 가압하도록 조립 설치되고,
    상기 일방측 스프링은, 복수의 선간 간극(42)을 갖고,
    상기 타방측 스프링은, 복수의 선간 간극(43)을 갖고,
    상기 타방측 스프링의 복수의 선간 간극 중에서, 가장 축 방향 일방측에 존재하는 선간 간극(43a)은, 상기 비틀림 스프링 단품의 자유 시의 상태 및 상기 비틀림 스프링을 상기 스로틀 밸브 장치에 조립 장착한 상태의 양쪽의 상태에서, 다른 선간 간극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방측 스프링의 복수의 선간 간극 중에서, 가장 축 방향 일방측에 존재하는 선간 간극(43a)은, 상기 비틀림 스프링 단품의 자유 시의 상태 및 상기 비틀림 스프링을 상기 스로틀 밸브 장치에 조립 장착한 상태의 양쪽의 상태에서, 다른 선간 간극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
KR1020177035165A 2015-09-30 2016-09-19 스로틀 밸브 장치 KR101968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3764 2015-09-30
JP2015193764 2015-09-30
JP2016163887A JP2017067067A (ja) 2015-09-30 2016-08-24 捩りばね
JPJP-P-2016-163887 2016-08-24
PCT/JP2016/077606 WO2017057080A1 (ja) 2015-09-30 2016-09-19 捩りば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34A KR20180002834A (ko) 2018-01-08
KR101968854B1 true KR101968854B1 (ko) 2019-04-12

Family

ID=5849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165A KR101968854B1 (ko) 2015-09-30 2016-09-19 스로틀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28889B2 (ko)
JP (1) JP2017067067A (ko)
KR (1) KR101968854B1 (ko)
CN (1) CN107849984B (ko)
DE (1) DE112016004506B9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20930B2 (ja) * 2017-07-07 2020-07-08 株式会社デンソー 絞り弁装置
JP2019015249A (ja) * 2017-07-07 2019-01-31 株式会社デンソー 絞り弁装置
CN109058343B (zh) * 2018-09-07 2023-08-22 重庆江源工程勘察设计有限公司 一种非线性扭簧组结构及其使用方法
JP7004638B2 (ja) * 2018-12-18 2022-01-21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ロットル装置、及び、スロットル装置の製造方法
CN111254947B (zh) * 2020-01-18 2021-03-19 西南交通大学 一种用于边坡柔性防护系统的簧式屈服型耗能器及设计方法
JP7381904B2 (ja) * 2021-06-11 2023-11-16 株式会社デンソーダイシン 絞り弁装置
CN113494559B (zh) * 2021-07-27 2022-09-16 常州大学 一种阻尼力正比于振动位移的金属隔振器
JP7428925B2 (ja) * 2022-06-10 2024-02-07 株式会社デンソーダイシン 絞り弁装置及び絞り弁装置の製造方法
JP2024022108A (ja) * 2022-08-05 2024-02-16 愛三工業株式会社 スロットル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896B1 (ko) 1993-04-12 2002-06-20 이누이 도모지 내연기관에사용되는스로틀밸브작동장치
JP2002256894A (ja) 2000-12-27 2002-09-11 Denso Corp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JP2006291912A (ja) 2005-04-14 2006-10-26 Hitachi Ltd 内燃機関のモータ駆動式絞り弁制御装置
JP2009264113A (ja) 2008-04-22 2009-11-12 Hitachi Ltd 内燃機関の電子制御スロットル装置
JP2010156347A (ja) 2010-04-02 2010-07-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ンジン用吸気量制御装置
JP2011058408A (ja) 2009-09-09 2011-03-24 Aisan Industry Co Ltd 電子制御式スロットル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4975A1 (de) * 1988-02-18 1989-08-31 Bosch Gmbh Robert Feder fuer eine stellvorrichtung
CN2042131U (zh) * 1988-09-28 1989-08-02 薛荣生 多层扭转弹簧
US5492097A (en) * 1994-09-30 1996-02-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Throttle body default actuation
JP3511577B2 (ja) 1998-10-06 2004-03-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装置
KR20010103146A (ko) * 1999-05-10 2001-11-23 가나이 쓰토무 내연 기관의 드로틀 장치
ITBO20030033A1 (it) * 2003-01-24 2004-07-25 Magneti Marelli Powertrain Spa Valvola a farfalla servoassistita per un motore a
EP1598538B1 (en) * 2003-03-07 2008-08-20 Denso Corporation Electronically controlled throttle control apparatus
ITBO20030532A1 (it) 2003-09-15 2005-03-16 Magneti Marelli Powertrain Spa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valvola a farfalla a
JP4575049B2 (ja) 2004-07-02 2010-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用吸気量制御装置
JP2006022660A (ja) * 2004-07-06 2006-01-26 Denso Corp 内燃機関用吸気制御装置
JP4651588B2 (ja) * 2006-07-14 2011-03-16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開閉制御装置
DE102006036426A1 (de) * 2006-08-04 2008-02-0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Betätigung einer Leistungssteuerungseinrich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AU2009308070B2 (en) 2008-10-22 2015-08-20 Graco Minnesota Inc. Portable airless sprayer
CN103671624A (zh) * 2012-09-03 2014-03-26 拓基轴承株式会社 反向输入阻断机构
CN103016587B (zh) * 2012-12-12 2015-04-01 上海交通大学 采用圆锥螺旋弹簧制成的半主动式变刚度动力吸振器
JP6228883B2 (ja) 2014-03-31 2017-11-0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押出発泡用ポリ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896B1 (ko) 1993-04-12 2002-06-20 이누이 도모지 내연기관에사용되는스로틀밸브작동장치
JP2002256894A (ja) 2000-12-27 2002-09-11 Denso Corp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JP2006291912A (ja) 2005-04-14 2006-10-26 Hitachi Ltd 内燃機関のモータ駆動式絞り弁制御装置
JP2009264113A (ja) 2008-04-22 2009-11-12 Hitachi Ltd 内燃機関の電子制御スロットル装置
JP2011058408A (ja) 2009-09-09 2011-03-24 Aisan Industry Co Ltd 電子制御式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2010156347A (ja) 2010-04-02 2010-07-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ンジン用吸気量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49984B (zh) 2020-10-27
CN107849984A (zh) 2018-03-27
DE112016004506T5 (de) 2018-06-14
KR20180002834A (ko) 2018-01-08
DE112016004506B9 (de) 2022-12-29
US10428889B2 (en) 2019-10-01
JP2017067067A (ja) 2017-04-06
US20180238409A1 (en) 2018-08-23
DE112016004506B4 (de)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854B1 (ko) 스로틀 밸브 장치
JP4220504B2 (ja) 吸気制御システム
JP4767183B2 (ja) エンジンの排気デバイス
US8448627B2 (en) Throttle valve control device
US8746210B2 (en) Throttle return spring with eccentric locator coils
CN110872987B (zh) 节气装置
CN107763228B (zh) 电动阀
US6918374B1 (en) Intake air amount control apparatus for an engine
JP2011252482A (ja) スロットル装置
CN111164287B (zh) 促动器
US11401872B2 (en) Throttl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rottle device
JPH0456139B2 (ko)
WO2017057080A1 (ja) 捩りばね
EP3346114B1 (en) Throttle valve control device
JP2012041887A (ja) 電子スロットル
JP2009264111A (ja) 内燃機関の吸気絞り弁制御装置
EP2345806B1 (en) Electric actuator for a valve of an internal combustion thermal engine
JP5729218B2 (ja) 電子スロットル
JP4831085B2 (ja) 内燃機関用の電子式スロットル装置
JP6203044B2 (ja) 吸気制御弁の組付構造及び組付方法
JP7388897B2 (ja) スロットル装置
JP2014173438A (ja) スロットルボディ
EP3401534B1 (en) Valve having a throttle flap arranged in a throttle flap connector
WO2021038641A1 (ja) エンジンの電子制御スロットル装置
JP6443310B2 (ja) 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