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905B1 -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905B1
KR101959905B1 KR1020170117660A KR20170117660A KR101959905B1 KR 101959905 B1 KR101959905 B1 KR 101959905B1 KR 1020170117660 A KR1020170117660 A KR 1020170117660A KR 20170117660 A KR20170117660 A KR 20170117660A KR 101959905 B1 KR101959905 B1 KR 101959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teoarthritis
extract
composition
mia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선
이윤미
손은정
김지연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17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905B1/ko
Priority to JP2020515896A priority patent/JP2020533012A/ja
Priority to PCT/KR2018/010706 priority patent/WO2019054758A1/ko
Priority to US16/646,387 priority patent/US20200268827A1/en
Priority to CN201880058695.5A priority patent/CN111093398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2Alpinia, e.g. red ginger or galang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heu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익지인 추출물은 염증인자인 IL-1β, IL-6, TNF-α 및 COX-2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연골 퇴행 유발인자인 MMP-9의 발현 또한 감소시키며, 연골손상을 회복시킴으로써,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골관절염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osteoarthritis comprising Alpiniae Oxyphyllae Fructus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절염은 관절에 염증 및 통증이 발생되어 생기는 질환으로서, 골관절염(osteoarthristis),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통풍, 건성 관절염이 있으며, 관절염 환자의 95%가 골관절염을 앓고 있다. 골관절염은 관절 연골이 닳아 없어지면서 국소적인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질환으로서, 퇴행성 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이라고도 한다. 골관절염은 노령화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으로, 전 인구의 10~15% 정도가 앓고 있으며, 특히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중 60~80% 정도가 골관절염을 앓고 있다.
골관절염의 원인은 노화 현상이나 과다한 체중과 관계가 깊으며, 나이가 많아질수록 여성에게서 더 많이, 그리고 더 심하게 나타난다. 초기 증상으로 한 개 또는 두 개의 관절에서 강직과 함께 쑤시는듯한 동반통증이 나타나며, 장기화되면 관절 주변에 골의 과잉형성 및 관절의 변형 등을 초래하게 된다. 골관절염이 유발되는 기전은 TNF-α, IL-1β, IL-6와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의 생성이 증가하고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 스트로멜라이신(stromelysin) 등과 같은 MMPs의 분비가 증가되어 관절 연골의 손상을 유발하는 것이다.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골관절염의 치료로는, 진통제, 스테로이드제,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등과 같은 약물 치료제나 히알루론산,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등의 연골보호제를 이용하거나, 관절경 수술, 경골 근위부 절골술, 관절부분 치환술, 슬관절 전치환술 등의 외과적 치료에 의한다. 그러나 약물치료제의 경우는 통증이나 염증반응 자체를 비특이적으로 완화시키는 효과만을 가지고 있고, 연골 보호제는 단지 연골세포에 영양을 공급해 주거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관절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할 뿐이다. 또한, 스테로이드성 제제를 장기간 복용할 시, 칼슘의 손실로 골다공증, 고혈압, 당뇨병 등을 초래할 수 있는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약물치료는 대부분 통증을 감소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고, 영구적인 인공관절 치환술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근본적인 치료효과를 주는 약물이나 수술법은 현재까지 없는 실정이다.
한편, 익지인(Alpiniae Oxyphyllae Fructus)은 생강과(Zingiberaceae)인 익지(Alpinia oxyphylla Miq.)의 열매로, 중국 광동성과 해남도에서 자생한다. 익지인의 성상은 양끝이 약간 뾰족한 구형 또는 타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길이는 1~2cm, 지름은 7~10mm이다. 바깥면은 갈색 내지 어두운 갈색으로 다수의 세로로 연결된 작은 혹 모양의 두드러진 줄이 있다. 과피의 두께는 0.3~0.5mm이고 씨의 덩어리와 밀착되어 있어 벗기기 힘들다. 안쪽은 엷은 막으로 세로로 3방으로 나눠지고, 각 방에는 가종피에 의하여 서로 붙어 있는 5~8개의 씨가 있다. 씨는 갈색~어두운 갈색을 띠고 고르지 않은 다면체로 지름은 약 3.5mm이고 질은 단단하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쓰다. 익지인의 알려진 성분으로는 누트카톤(nootkatone), 에피누트카톨(epinootkatol), 베타-누트카톨(β-nootkatol), 베타-피넨(β-pinene), 파라-시멘(p-cymene), 테르피넨-4-올(terpinen-4-ol), 디아릴헵타노이드(diarylheptanoid) 화합물인 야쿠킨온(yakuchinone) A와 B를 함유하며,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텍토크리신(tectochrysin), 크리신(chrysin), 이잘피닌(izalpinin), 3,5-디하이드록시-7,4'-디메톡시플라본(3,5-dihydroxy-7,4'-dimethoxyflav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누트카톤(nootkatone)에는 항 위궤양 작용이 있고, 상기 야쿠킨온(yakuchinone) A와 B에는 항염증작용이 있으며, 피부암의 생성을 억제하고, COX-2와 iNOS의 발현과 NFκB의 활성을 떨어뜨린다. 그 밖에도 야쿠킨온(yakuchinone) A, 누트카톤(nootkatone) 및 에피누트카톨(epinootkatol)에는 살충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고, 뇌세포 보호작용, 항알러지 작용, 미백작용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익지인의 정유성분은 약물의 피부 침투력을 증가시키고, 칼슘이온의 세포 내 유입을 경쟁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평활근 이완작용과 심근억제 작용을 나타내며, 항이뇨작용, 항궤양작용, 항치매작용, 학습능력개선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2-0109140호에는 익지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235238호에는 퇴행성 관절염에 대한 치료효과가 우수한 백작약 (白芍藥) 추출물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익지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익지인 추출물이 동물모델에서 염증인자 및 관절 연골손상을 유발하는 MMP-9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연골손상을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익지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익지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익지인 추출물은 천연물 유래 물질로 안전하고, 원료공급이 용이하며, 염증인자인 IL-1β, IL-6, TNF-α 및 COX-2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연골 퇴행 유발인자인 MMP-9의 발현 또한 감소시키며, 연골손상을 회복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치료제의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SD 랫트의 뒷다리 체중부하율(%)을 나타낸 결과이다. Con은 음성대조군이고, MIA(monosodium iodoacetate)는 골관절염 유발군이고, MIA+Indomethacin은 양성대조군이고, MIA+익지인 300㎎/㎏은 MIA 및 익지인 추출물 300㎎/㎏을 병행처리한 군이며, MIA+익지인 150㎎/㎏은 MIA 및 익지인 추출물 150㎎/㎏을 병행처리한 군이다. #, ###, ####은 MIA에 의해 골관절염이 유발된 군의 체중부하율이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5이고, ###은 p<0.001이고, ####은 p<0.0001임을 의미하고, ***은 MIA와 인도메타신을 병행처리한 양성대조군의 체중부하율이 MIA 처리에 의한 골관절염 유발군에 비해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01이다.
도 2는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익지인 추출물에 의한 염증유발인자(IL-1β, IL-6, TNF-α 및 COX-2) 및 연골 퇴행 유발인자(MMP-9)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con은 음성대조군이고, MIA는 MIA 처리에 의한 골관절염 유발군이고, IM은 MIA 및 Indomethacin을 병행처리한 양성대조군이고, 300은 MIA 및 익지인 추출물 300㎎/㎏을 병행처리한 군이며, 150은 MIA 및 익지인 추출물 150㎎/㎏을 병행처리한 군이다. #, ##은 음성대조군인 con에 비해 MIA 처리시 염증유발인자 및 연골 퇴행 유발인자의 발현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5이고, ##은 p<0.01을 의미하며, *, **은 MIA에 의해 증가된 염증유발인자 및 연골 퇴행 유발인자의 발현이 인도메타신 또는 익지인 추출물 처리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5, **은 p<0.01을 의미한다.
도 3은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익지인 추출물에 의한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H&E 염색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SD rat: Normal은 음성대조군이고, Control은 MIA 처리에 의한 골관절염 유발군이고, 익지인 300㎎/㎏은 MIA와 익지인 추출물 300㎎/㎏을 병행처리한 군이고, 익지인 150㎎/㎏은 MIA와 익지인 추출물 150㎎/㎏을 병행처리한 군이며, Indomethacin은 MIA와 인도메타신을 병행처리한 양성대조군이다.
도 4는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익지인 추출물에 의한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사프라닌 O 염색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붉게 염색된 부분은 연골의 주요 성분인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층이다. SD rat: Normal은 음성대조군이고, Control은 MIA 처리에 의한 골관절염 유발군이고, 익지인 300㎎/㎏은 MIA와 익지인 추출물 300㎎/㎏을 병행처리한 군이고, 익지인 150㎎/㎏은 MIA와 익지인 추출물 150㎎/㎏을 병행처리한 군이며, Indomethacin은 MIA와 인도메타신을 병행처리한 양성대조군이다.
본 발명은 익지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익지인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또는 음료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익지인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체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 음료로 사용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텍스트린, 사이클로텐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g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중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100 중량부 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익지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염증인자인 IL-1β, IL-6, TNF-α 및 COX-2의 발현과 연골 퇴행 유발인자인 MMP-9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부외용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량의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익지인 추출물의 제조
1kg의 익지인에 대하여, 15ℓ의 70%(v/v) 에탄올을 가하고, 85℃에서 3시간 동안 환류추출한 후, 여과한 액을 50℃에서 감압 농축, 건조하여 11.7g의 익지인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2. MIA ( monosodium iodoacetate )에 의해 유도된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익지인 추출물이 체중부하에 미치는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익지인 추출물이 MIA로 유도한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의 체중부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골관절염 유발물질인 MIA(0.9% saline으로 60㎎/㎖의 농도로 희석)를 7주령 SD 랫트의 오른쪽 뒷다리 관절강 내에 50㎕씩 투여하여 골관절염을 유도한 후, 익지인 추출물(150 및 300㎎/㎏)을 1일 1회 총 21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으며, 7일 간격으로 체중부하율을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인도메타신(indomethacin, 1㎎/㎏)을 사용하였다.
뒷다리 체중부하는 발 무게 측정기(Incapacitance tester, Linton instrument Co., UK, Ser No. 01/45/2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테스터의 홀더 안에서 골관절염이 유발된 랫트는 통증으로 인해 MIA를 투여하지 않은 정상적인 발에 의지하여 서게 되므로, 양쪽 발의 무게가 균형을 잃어 정상적인 발의 무게 대비 MIA를 투여한 발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볍게 측정되었다. 발의 무게 측정 시 SD 랫트의 배가 기기의 센서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 양쪽 발의 무게(g)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상기 측정된 발의 무게를 이용하여, 체중부하율(%)을 하기 식 1의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상기 체중부하는 발로 지탱하여 누르는 힘으로, 정상적인 경우 양쪽 발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어 한쪽 발의 체중부하율은 50%로 나타나지만, 골관절염 유발에 의해 통증이 심해질수록 골관절염 유발 뒷다리의 체중부하율(%)이 낮아진다.
[식 1]
체중부하율(%)=[골관절염 유발 뒷다리의 무게/(양발 뒷다리의 무게)]×100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 SD 랫트군에 비해 MIA를 투여하여 골관절염을 유발한 군의 체중부하율(%)이 기간이 경과하면서 대조군에 비해 절반가량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MIA와 익지인 추출물을 병행투여한 군은 감소되었던 MIA 투여군의 체중부하율(%)이 증가되었으며, 익지인 추출물 투여 21일째에는 익지인 추출물 150㎎/㎏과 300㎎/㎏ 투여군의 농도에 따른 차이 없이 MIA 투여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실시예 3. MIA ( monosodium iodoacetate )에 의해 유도된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익지인 추출물이 염증유발인자 및 연골 퇴행 유발인자에 미치는 효과 확인
골관절염이 유발된 관절에서 mRNA를 추출하여 염증유발인자(IL-1β, IL-6, TNF-α 및 COX-2) 및 연골 퇴행 유발인자(MMP-9)의 발현을 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MIA에 의해 골관절염이 유발된 샘플에서는 염증유발인자 및 연골 퇴행 유발인자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반면, 익지인 추출물 병행처리시 증가한 인자들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익지인 추출물이 골관절염에 의해 유발된 염증 및 관절 연골 손상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MIA ( monosodium iodoacetate )에 의해 유도된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익지인 추출물에 의한 조직병리학적 변화 확인
골관절염이 유발된 랫트의 무릎 부위를 절단하여, 10% EDTA가 포함된 10% 포르말린 용액에 넣어 관절 조직을 탈칼슘화 시켰다. 그 후 파라핀 왁스에 관절 조직을 넣고 고정한 다음 관상면 절단(coronal section)을 실시하여 파라핀으로 고정한 조직을 7㎛의 크기로 자른 뒤, H&E(hematoxylin and eosin) 염색 및 사프라닌 O(Safranin-O) 염색을 실시하여 조직 상태를 확인하였다. 염증 반응 발생 유무 및 활막 세포의 증식, 염증세포의 조직 침윤 여부는 H&E 염색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연골의 주요 성분인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층을 염색하는 사프라닌 O 염색을 통해 연골 조직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H&E 염색에서는 정상군(SD rat: Normal)의 관절 활막 조직이 정상적으로 위치한 반면, MIA에 의해 골관절염이 유도된 군(Control(MIA))은 관절 주변에 활막 세포의 과다침투로 인해 연골과 뼈의 침윤으로 활막 조직의 손실이 나타났으며, 익지인 추출물 투여시 이러한 연골 및 뼈의 침윤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프라닌 O 염색 결과, 골관절염 유발군(Control(MIA))은 붉게 염색된 정상 연골 조직이 MIA에 의해 파괴되어 프로테오글리칸 조직이 사라진 반면, 익지인 추출물을 병행처리한 경우 붉게 염색된 프로테오글리칸 조직이 활막 주변에 많이 분포하였다. 이를 통해 익지인 추출물이 MIA에 의해 유도되는 골관절염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익지인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익지인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염증인자인 IL-1β, IL-6, TNF-α 및 COX-2의 발현과 연골 퇴행 유발인자인 MMP-9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및 환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70117660A 2017-09-14 2017-09-14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5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660A KR101959905B1 (ko) 2017-09-14 2017-09-14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0515896A JP2020533012A (ja) 2017-09-14 2018-09-12 益智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骨関節炎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PCT/KR2018/010706 WO2019054758A1 (ko) 2017-09-14 2018-09-12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6/646,387 US20200268827A1 (en) 2017-09-14 2018-09-12 Composition for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osteoarthritis comprising alpinia oxyphylla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CN201880058695.5A CN111093398A (zh) 2017-09-14 2018-09-12 含有益智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改善或治疗骨关节炎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660A KR101959905B1 (ko) 2017-09-14 2017-09-14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905B1 true KR101959905B1 (ko) 2019-03-19

Family

ID=6572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660A KR101959905B1 (ko) 2017-09-14 2017-09-14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268827A1 (ko)
JP (1) JP2020533012A (ko)
KR (1) KR101959905B1 (ko)
CN (1) CN111093398A (ko)
WO (1) WO201905475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317A (ko) * 2018-06-01 2019-12-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줄의관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515614A (zh) * 2020-02-06 2022-12-23 尤尼根公司 用于改进关节健康和治疗关节炎的包含山姜属和其它植物提取物的组合物
KR102632034B1 (ko) * 2022-12-09 2024-02-0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익지, 작약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604B1 (ko) * 2016-04-08 2018-06-0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21216474B2 (en) * 2020-02-06 2024-03-28 Unigen, Inc.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s of Aplinia and other plants for improving joint health and treating arthriti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0791A (ko) * 2005-05-23 2006-11-28 학교법인 인제학원 익지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과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20092277A (ko) * 2011-02-11 2012-08-21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익지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20150088414A (ko) * 2014-01-24 2015-08-03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238B1 (ko) * 2007-06-22 2013-02-20 경기도 퇴행성 관절염에 대한 치료효과가 우수한 백작약 (白芍藥)추출물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120109140A (ko) * 2011-03-28 2012-10-08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익지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CN105770835A (zh) * 2016-04-29 2016-07-20 张玉绣 一种治疗风湿骨病益肾壮阳的药酒及其制备方法
CN105853868A (zh) * 2016-05-17 2016-08-17 范信 一种延年益寿的药物
CN106362066A (zh) * 2016-10-28 2017-02-01 刘江 一种治疗风湿类风湿性疾病的药酒及其制备方法
CN106913711A (zh) * 2017-04-28 2017-07-04 桑志成 治疗膝骨关节炎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088222A (zh) * 2017-06-09 2017-08-25 上海市同济医院 一种主治膝关节骨性关节炎的草本方剂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0791A (ko) * 2005-05-23 2006-11-28 학교법인 인제학원 익지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과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20092277A (ko) * 2011-02-11 2012-08-21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익지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20150088414A (ko) * 2014-01-24 2015-08-03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 Acupuncture, Vol. 34, No. 2, pp 83-91, May 2017. 1부.*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317A (ko) * 2018-06-01 2019-12-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줄의관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3081B1 (ko) 2018-06-01 2020-08-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줄의관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515614A (zh) * 2020-02-06 2022-12-23 尤尼根公司 用于改进关节健康和治疗关节炎的包含山姜属和其它植物提取物的组合物
KR102632034B1 (ko) * 2022-12-09 2024-02-0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익지, 작약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93398A (zh) 2020-05-01
US20200268827A1 (en) 2020-08-27
JP2020533012A (ja) 2020-11-19
WO2019054758A1 (ko)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905B1 (ko)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52813B1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21532A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US10610555B2 (en) Method for alleviating osteoarthritis by using composite (HL-Joint 100) of achyranthes bidentata, eucommin ulmoides oliver and pomegranate extracts, which has antiinflammatory effect caused by COX2 and PGE2 inhibition, cartilage protective effect caused by MMP-2 and -9 inhibition and cartilage regeneration effect caused by increase in type II collagen synthesis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2210158B1 (ko) 엉겅퀴 및 우슬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2348A (ko)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 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0013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08944B1 (ko) 생강 추출물의 비극성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통 및 조기분만진통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136512A (ko) 마키베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시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37185A (ko) 백지 포함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959205B1 (ko) 나한과 잔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5268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20210003999A (ko) Agkistrodon piscivorous piscivorous로부터 유래된 뱀독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2034B1 (ko) 익지, 작약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7819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102496864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541649B1 (ko) 엉겅퀴, 우슬, 칡, 아로니아, 석류, 하수오 및 생강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00108869A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61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10140348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102185006B1 (ko) 엉겅퀴, 도라지 및 더덕이 포함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천식 및 혈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0270A (ko) 벼룩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3603B1 (ko) 석류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52816B1 (ko) 여로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