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414A -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414A
KR20150088414A KR1020140008692A KR20140008692A KR20150088414A KR 20150088414 A KR20150088414 A KR 20150088414A KR 1020140008692 A KR1020140008692 A KR 1020140008692A KR 20140008692 A KR20140008692 A KR 20140008692A KR 20150088414 A KR20150088414 A KR 20150088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extract
steam distillation
herbal medicine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원
남연정
황유경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서미자
최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서미자, 최상원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8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8414A/ko
Publication of KR2015008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4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7Notopteryg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2Alpinia, e.g. red ginger or galang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비발효 한약재 및 발효 한약재의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한약재 추출물의 수율을 측정한 후 COX-2 저해활성, 5-LOX 저해활성, NO 생성 억제능 측정하여 염증 예방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염증 예방에 효과가 뛰어나고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ion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 evapourate}
본 발명은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반응(inflammation)은 생체 또는 조직에 물리적 작용, 화학적 물질, 세균감염 등의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손상부위를 수복 재생하려는 기전이다. 감염이나 조직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은 손상부위가 빠르게 회복 되기 위한 정상적인 반응이나,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염증반응은 손상부위에 대한 회복을 지연시키고 주위 세포에 대한 상해를 동반한다(Yamamoto K. et al., Suppressive effects of a selective cyclooxygenase-2 inhibitor, etodolac, on 4-nitroquinoline 1-oxide-induced rat tongue carcinogenesis, 2004, 56, 145-151).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항염증제는 스테로이드계의 약물이나, 스테로이드계의 약물은 인체의 저항성을 약화시키거나 염증 부위의 조직재생을 지연시키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어 대체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염증 반응의 주된 대사과정인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AA) 캐스캐이드(cascade)에서 염증의 강력한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e; PGs), 트롬복산(thromboxanes; TXs) 및 루코트리엔(leukotrienes; LTs)을 각각 생성하는 효소가 바로 COX와 LOX이다. COX는 COX-1과 COX-2의 두 가지 isozyme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COX-1은 대부분의 조직에서 지속적으로 발현하여 House keeping activity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PG를 생산한다. 즉, 위 점막 보호작용을 지닌 PG의 생성이나 신장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혈관을 확장시키는 PG의 생성 및 혈소판에서 항혈전 트롬복산의 생성 등에 관여한다. 반면, COX-2는 대부분의 정상 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고 염증성 자극에 의해 단시간에 유도되며, 특히 조염증(pro- inflammation)을 일으키는 사이토카인이나 그람음성균세포의 세포벽구성성분인 lipopoly- saccharide(LPS), phorbol ester 및 cAMP elevating agent 등에 의해 광범위하게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COX-1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COX-2를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치료제는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로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 COX-2 선택적 억제제로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약물로서 셀레콕시브(Celecoxib) 및 비옥스(Vioox) 등이 있다.
염증반응에서 아라키돈산이 화학전달물질로 대사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또 다른 효소는 LOX(lipoxygenase)으로 LOX에는 5-, 12- 및 15-LOX의 3종류가 있으며, 이들 중 5-LOX는 아라키돈산을 5-hydroperoxyeicosatetraenoic acid(5-HPETE)를 경유하여 류코트리엔(leukotriene; LT) A4, B4, C4, D4 및 E4 등으로 합성하는 과정에 관여한다(Leval XD, et al., Current Med Chem 9: 941-962, 2002; Julemont F, et al., Mini-Reviews Med Chem., 4: 633-638, 2004; Claria J, Romano M. Current Pharmaceut. Design 11: 3431-3447, 2005). LTs중에서 LTB4는 염증반응 제 2기에 활동하는 백혈구 중, 주로 다형핵 백혈구(polymophonuclear leukocyte, PMNL)에서 생합성되어 백혈구 응집, 침윤, 주화성 및 라이소솜 효소의 유리 등의 작용을 나타내며, LTC4 및 LTD4는 강력한 기관지 평활근 수축작용이 있어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 염증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5-LOX 저해제는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 염증치료제로서 개발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ETYA와 BW755C 등이 일부 약물로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민경락 등 약학회지, 33: 319-323, 1989).
현재 합성첨가물을 사용한 인스턴트 및 편의식품의 다량 섭취와 생활환경 오염에 의한 암을 비롯한 염증, 고혈압, 당뇨병 및 치매 등 여러 만성질환이 크게 증가하여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천연물로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항염증제는 스테로이드계의 약물이나, 스테로이드계의 약물은 인체의 저항성을 약화시키거나 염증 부위의 조직재생을 지연시키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어 대체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식품 및 약학 조성물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7389호에 개시된 바 있고,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쑥정유 제조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08236호에 개시된 바 있다. 또 모발 보호용 항산화능 한방 증류 조성물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0464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발효처리에 의해 인체 흡수가 높고 염증개선 활성이 높은 발효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는 상기문헌 어디에도 암시되거나 교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30가지 한약재의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30가지 한약재를 발효하여 수득한 발효 한약재의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얻은 비발효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 및 발효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의 추출 수율을 측정하는 단계와 ; COX-2 저해활성을 측정하는 단계와; 5-LOX 저해활성을 측정하는 단계와; NO 생성 억제능을 측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염증 예방에 효과가 뛰어나고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 30가지 한약재의 원료는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통상의 생약 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생약의 전초, 가지, 껍질, 입, 순, 뿌리, 내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이를 분말화하거나, 추출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원료를 맥아, 현미, 질금이나 설탕물에 발효 및 숙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30가지 한방수증기증류추출액 또는 핵산 및 에테르로 향기성분을 연속식수증기증류추출(SSDE)장치에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출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추출물은 추출물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상기 추출물을 건조하여 수득되는 분말 또는 조정제물 및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30가지 한약재의 발효 및 비발효 수증기 증류 추출물은 COX-2, 5-LOX 및 NO 억제 효과를 지니고 있어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및 여드름 등을 포함하는 염증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 한약재는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진피 추출물을 그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무독성,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보조제, 희석액 또는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부형제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피부 외용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오일 또는 수성매질에서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가 되거나 사용하기 전에 무균, 발열물질이 제거된 물로 녹여 사용하는 건조분말의 형태가 되어 피부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화액의 형태로 되어 화장액 및 크림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보조제, 응고제, 희석액 또는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시킬 수 있고 분말제, 정제, 캡슐 등 다양하게 제형화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본 발명 한약재의 수증기 증류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30가지 한약재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수증기 증류 추출물은 연속식 수증기 증류 추출장치(Simultaneously Steamed Distilled Extraction, SSDE)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건조 한약재 50 g에 증류수 500 mL를 가하고, 또 다른 수기에 에테르 250 mL를 넣어 수증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얻어진 에테르를 감압농축 및 질소 퍼징하여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 30가지 한약재
번호 한약재 학 명 번호 한약재 학 명
1 강 활 Ostericum Koreanum L. 16 익지인 Alpinia oxyphylla Miquel
2 건 강 Zingiber officinale Roscoe 17 인진호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3 곽 향 Agastache rugosa Kuntze 18 자소엽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4 국 화 Chrysanthemum morifolium 19 전 호 Anthriscus sylvestris
5 당 귀 Angelica gigas Nakai 20 지 실 Poncirus trifoliata
6 독 할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21 진 피 Citrus unshiu Markovich
7 만형자 Vitex rotundifolia L. 22 천 궁 Cnidium officinale Makino
8 목 형 Saussurea lappa Clarke 23 초두구 Alpinia katsumadai Hayata
9 박 하 Mentha arvensis L 24 치자 Gerdenia jasminoides Ellis
10 백 지 Angelica dahurica Benth. et Hook 25 형 개 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
11 백 출 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26 황 금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12 석창포 Acorus gramineus Solander 27 황 련 Coptis chinensis Makino
13 세 신 Asiasarum sieboldi F. Maekawa 28 황 백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14 오수유 Evodia officinalis Dode 29 회 향 Foeniculum vulgare Miller
15 육 계 Cinnamomum cassia Blume 30 후 박 Magnolia officinalis Rehder et Wilson
<실시예 2> 본 발명 발효 한약재의 수증기 증류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표 1]의 30가지 한약재를 흐르는 물로 수세하고 하룻동안 실온에서 자연 탈수시켰다. 상기 세척한 한약재를 살균처리한 살뜨물 500 mL가 담긴 항아리에 100 g을 넣고 밀폐하고 30 ~ 35℃ 항온기에서 7일간 발효 및 숙성처리한 후 액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상기 발효시킨 한약재를 탈수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연속식 수증기 증류 장치에 넣어 발효 한약재의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 한약재의 수증기 증류 추출물의 수율 측정
실시예1과 실시예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수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물을 동결건조하고 무게를 칭량하여 [계산식 1]에 따라 %로 계산하여 수율을 측정하였다.
[계산식 1]
[건조후 무게(g)/건조전 무게(g)]×100 = 수율(%)
실험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30가지 한약재의 수증기 증류 추출물과 발효시킨 한약재의 수증기 증류 추출물의 수율을 측정한 결과,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의 수율은 0.12~3.92%로서 초두구의 수율이 3.92%로 가장 높은 반면, 인진호의 수율이 0.12%로 가장 낮았다. 30가지 발효 한약재의 수증기 증류 추출물의 수율은 0.1~3.1%로서 비발효 한약재보다 대체로 수율이 감소하였다.
본 발명 30가지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의 수율
한약재 한약재
수증기증류
추출액 수율(%)
발효한약재
수증기증류
추출액 수율(%)
한약재 한약재
수증기증류
추출액수율(%)
발효한약재
수증기증류추출액 수율(%)
강 활 0.39 0.21 오수유 1.93 1.83
건 강 0.25 0.18 육 계 1.83 1.92
곽 향 0.27 0.12 익지인 0.82 0.72
국 화 1.30 0.92 인진호 0.12 0.13
당 귀 0.30 0.17 자소엽 0.47 0.36
독 할 1.30 1.28 전 호 0.39 0.28
만형자 0.16 0.10 지 각 0.27 0.25
목 형 0.38 0.11 지 실 0.42 0.40
박 하 0.89 0.54 진 피 0.48 0.34
백 지 0.48 0.38 천 궁 1.43 1.02
백 출 1.62 1.28 초두구 3.92 2.26
사 인 1.53 1.42 치 자 0.42 0.43
석창포 0.28 0.10 형 개 1.78 1.63
세 신 2.43 1.82 회 향 3.29 3.10
오미자 2.83 2.38 후 박 0.92 0.82
<실험예 2> 본 발명 한약재의 수증기 증류 추출물의 COX-2 저해활성
COX-2 저해활성은 COX inhibitor screening assay kit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본 발명 한약재 추출물 20 μL에 hemo 10 μL, 효소 5 μL, buffer 950 μL를 넣고 37℃에서 반응 후 10 μL의 아라키돈산을 첨가하여 37℃에서 2분간 반응시켜 COX-2를 활성화시킨 후 이를 50 μL를 취하여 200 μL의 색원체를 넣은 후 25℃에서 9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autoreader를 사용하여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중의 하나인 indomethacin을 사용하였으며, [계산식 2]에 따라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계산식 2]
저해율(%) = [(대조군의 흡광도-실험군의 흡광도)/ 대조군의 흡광도]×100
실험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발효 한약재 중 당귀, 세신, 인진호, 진피, 황련 수증기증류추출액의 COX-2 저해율이 각각 76.4, 73.9, 81.2, 80.5, 78.2, 74.5%로서 인진호가 가장 높았다. 반면, 발효 한약재의 목향, 육계, 자소엽, 천궁, 후박 수증기증류추출액의 COX-2 저해율은 각각 75.9, 79.5, 75.3, 75.8, 86.5%로서 특히 후박의 수증기증류추출액의 COX-2 저해효과가 가장 높았다.
본 발명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의 COX-2 저해활성
한약재 COX-2 저해율(%) 한약재 COX-2 저해율(%)
한약재
수증기증류
추출액
발효한약재
수증기증류
추출액
한약재
수증기증류
추출액
발효한약재
수증기증류
추출액
강 활 45.7±1.1 64.3±2.1 익지인 30.4±3.0 67.5±3.9
건 강 42.5±2.2 69.3±3.1 인진호 81.2±3.2 58.0±1.5
곽 향 42.6±4.5 70.5±2.9 자소엽 60.5±2.9 75.3±2.9
국 화 64.0±3.8 45.9±2.8 전 호 69.0±1.9 43.0±1.4
당 귀 76.4±0.2 45.6±0.5 지 실 59.8±1.6 67.4±3.8
독 할 39.2±0.3 50.7±2.9 진 피 78.2±1.3 65.9±3.1
만형자 54.5±0.4 32.0±2.0 천 궁 28.4±1.0 75.8±1.4
목 향 42.3±0.3 75.9±0.8 초두구 20.9±1.3 60.3±2.3
박 하 23.2±0.4 56.4±2.7 치 자 60.6±2.4 57.2±2.7
백 지 23.2±0.4 29.4±2.1 형 개 57.4±0.5 37.9±3.0
백 출 69.0±0.8 54.0±3.1 황 금 27.9±2.0 30.8±1.8
석창포 68.2±0.6 35.0±0.5 황 련 74.5±2.3 55.2±1.9
세 신 73.9±0.8 29.8±2.1 황 백 67.6±1.8 57.3±1.7
오수유 14.3±3.2 60.8±2.4 회 향 49.3±3.5 52.0±1.8
육 계 12.2±0.7 79.5±2.0 후 박 50.0±1.5 86.5±2.9
Indomethacin 95.91.4
[주] 측정치는 3회 반복하여 측정한 후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측정한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액의 농도는 25 μg/mL이며, 이때 인도메타신 1 μg/mL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3> 본 발명 한약재의 수증기 증류 추출물의 5-LOX 저해활성
5-LOX 저해효능 측정은 lipoxygenase inhibitor screening assay kit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본 발명 한약재 추출물 10 μL에 5-LO(220 units/mL) 90 μL와 1 mM 아라키돈산 10 μL를 첨가하여 5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색원체(chromogen) 100 μL를 가하여 상온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키고 ELISA autoreader를 사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nordihydroguaiaretic acid (NDGA)을 사용하였으며, [계산식 3]에 따라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계산식 3]
저해율(%) = [(대조군의 흡광도-실험군의 흡광도)/ 대조군의 흡광도]×100
실험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발효 한약재 중 국화, 인진호, 자소엽, 전호, 황백 수증기증류추출액의 5-LOX 저해율이 각각 81.3, 87.3, 79.5, 75.9, 73.0%로서 인진호가 가장 높았다. 반면, 발효한약재의 강활, 오수유, 육계, 지실, 진피, 후박 수증기증류추출액의 5-LOX 저해율은 각각 79.1, 75.8, 72.4, 76.9, 71.9, 81.0%로서 특히 후박의 수증기증류추출액의 5-LOX 저해효과가 가장 높았다.
본 발명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의 5-LOX 저해활성
한약재 5-LO 저해율(%) 한약재 5-LO 저해율(%)
한약재
수증기증류
추출액
발효한약재
수증기증류
추출액
한약재
수증기증류
추출액
발효한약재
수증기증류
추출액
강 활 47.1±1.4 79.1±1.4 익지인 34.9±2.1 67.1±1.4
건 강 43.0±1.2 45.1±1.8 인진호 87.3±3.0 64.9±2.8
곽 향 43.2±1.7 30.5±3.1 자소엽 79.5±2.9 39.4±2.4
국 화 81.3±3.7 60.3±5.6 전 호 75.9±1.6 67.9±2.3
당 귀 37.0±1.6 64.9±1.8 지 실 59.3±2.4 76.9±2.8
독 할 35.0±1.6 60.6±1.8 진 피 60.3±2.9 71.9±1.3
만형자 37.1±1.3 39.4±2.0 천 궁 58.2±1.9 52.0±1.0
목 향 53.9±2.2 45.3±2.8 초두구 53.9±1.4 55.0±1.3
박 하 62.5±2.1 62.5±3.9 치 자 58.0±2.3 28.9±0.4
백 지 61.0±2.2 49.2±2.4 형 개 19.4±0.4 48.4±2.1
백 출 52.5±1.7 30.3±1.5 황 금 20.5±2.8 38.0±1.5
석창포 47.2±1.2 34.9±2.3 황 련 22.9±0.5 54.2±3.0
세 신 39.9±1.3 30.8±2.7 황 백 73.0±2.5 32.0±1.8
오수유 48.6±2.4 75.8±1.4 회 향 62.4±3.2 28.9±2.8
육 계 66.9±1.3 72.4±1.5 후 박 64.3±3.1 81.0±2.5
NDGA 90.12.9
[주] 측정치는 3회 반복하여 측정한 후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측정한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액의 농도는 25 μg/mL이며, 이때 NDGA(nordihydroguairetic acid) 1 μg/mL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4> 본 발명 한약재의 수증기 증류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1) 세포배양
본 발명에 따라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세포를 Korean Cell Line Bank (KLCB)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10% fetal bovine serum(FBS)과 1% antibiotics(penicillin/ streptomycin)를 첨가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배지를 이용하여 5% CO2가 존재하는 37℃ incubator에서 2 ~ 3일에 한번씩 계대배양을 시행하였다. 세포는 96 well plate (1 × 105 cells/well)에 주입하여 부착시키고, 시료와 lipopolysaccharide(LPS) 100 ng/mL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시킨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2) Nitric oxide(NO) 생성 억제활성
본 발명에 따라 배양된 RAW 264.7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1 × 105 cells/mL 농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한 후, 시험물질과 LPS (100 ng/mL)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배양 상등액 100 μL와 Griess시약(1% sulfanilamide + 0.1% naphthylethylendiamine/2.5% phosphoric acid) 100 μL를 혼합하여 96 well plate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계산식 4]에 따라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계산식 4]
저해율(%) = [(대조군의 흡광도-실험군의 흡광도)/ 대조군의 흡광도]×100
실험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발효 한약재 중 국화, 인진호, 자소엽, 전호, 황백 수증기증류추출액의 NO 생성 저해율이 각각 72.2, 92.5, 82.5, 78.5, 62.4%로서 인진호가 가장 높았다. 반면, 발효한약재의 강활, 오수유, 육계, 지실, 진피, 후박 수증기증류추출액의 NO 생성 억제율은 각각 78.4, 68.6, 75.9, 78.6, 76.8, 88.9%로서 특히 후박의 수증기증류추출액의 NO 생성 저해효과가 가장 높았다.
본 발명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활성
한약재 NO 저해율(%) 한약재 NO 저해율(%)
한약재
수증기증류추출액
발효한약재
수증기
증류추출액
한약재
수증기증류추출액
발효한약재
수증기
증류추출액
강 활 47.1±1.4 78.4±3.2 익지인 62.5±1.8 53.5±1.5
건 강 43.0±1.3 46.9±1.3 인진호 92.5±3.8 79.5±2.8
곽 향 43.2±1.3 35.2±1.5 자소엽 82.5±2.5 50.5±1.5
국 화 72.2±2.5 63.2±1.5 전 호 78.5±2.2 55.5±2.3
당 귀 37.0±1.3 47.5±1.4 지 실 45.0±1.9 78.6±3.4
독 할 35.0±1.1 45.0±2.4 진 피 45.0±2.1 76.8±1.7
만형자 37.1±0.9 23.1±1.1 천 궁 35.1±1.4 44.1±1.5
목 향 53.9±1.2 48.9±1.8 초두구 50.9±1.5 46.9±1.2
박 하 62.5±2.3 56.5±1.9 치 자 52.6±1.8 54.6±1.3
백 지 61.0±2.2 51.5±2.4 형 개 41.0±1.2 36.0±1.3
백 출 62.2±3.7 53.2±1.7 황 금 66.2±2.7 56.2±1.7
석창포 47.2±1.3 45.2±1.4 황 련 57.6±1.5 50.3±1.4
세 신 39.9±1.1 43.9±2.1 황 백 62.4±1.6 66.4±1.7
오수유 38.6±1.4 68.6±1.6 회 향 45.6±1.5 39.6±1.3
육 계 46.9±1.3 75.9±2.3 후 박 56.6±1.7 88.9±2.3
[주] 측정치는 3회 반복하여 측정한 후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측정한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액의 농도는 25 μg/mL이며, 이때 LPS 1 μg/mL로 처리하여 NO를 발생시켰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염증 예방에 효과가 뛰어나 의약품, 화장품 또는 건강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생물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건조 한약재 강활, 익지인, 건강, 인진호, 곽향, 자소엽, 국화, 전호, 당귀, 지실, 독할, 진피, 만형자, 천궁, 목형, 초두구, 박하, 치자, 백지, 형개, 백출, 황금, 석창포, 황련, 세신, 황백, 오수유, 회향, 육계, 후박에 10배의 물을 가하고 수증기 증류 장치 또다른 수기에 5배의 에테르를 넣고 4시간 추출한 후 얻어진 에테르를 감압농축 및 질소농축한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
  2. 수세한 한약재 강활, 익지인, 건강, 인진호, 곽향, 자소엽, 국화, 전호, 당귀, 지실, 독할, 진피, 만형자, 천궁, 목형, 초두구, 박하, 치자, 백지, 형개, 백출, 황금, 석창포, 황련, 세신, 황백, 오수유, 회향, 육계, 후박을 쌀든물에 넣고 30 ~ 35 항온기에서 발효 및 숙성처리한 후 건조하여 10배의 물을 가하고 수증기 증류 장치 또다른 수기에 5배의 에테르를 넣고 4시간 추출한 후 얻어진 에테르를 감압농축 및 질소농축한 발효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
  3. 제 1항 또는 2항 기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여드름을 포함한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40008692A 2014-01-24 2014-01-24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8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692A KR20150088414A (ko) 2014-01-24 2014-01-24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692A KR20150088414A (ko) 2014-01-24 2014-01-24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414A true KR20150088414A (ko) 2015-08-03

Family

ID=5387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692A KR20150088414A (ko) 2014-01-24 2014-01-24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841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0601A (en) * 2016-11-29 2018-09-19 Zhejiang Strong Pharmaceutical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eczema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KR20180116626A (ko) * 2017-04-17 2018-10-25 이충식 소화 흡수 촉진으로 아토피에 유효한 식품 첨가제, 그 제조방법과 이를 첨가한 식품
KR101959905B1 (ko) * 2017-09-14 2019-03-1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31987A (ko) * 2017-09-19 2019-03-27 학교법인혜화학원 산조인 복합오일을 포함하는 항아토피성 약학 조성물
WO2019225995A1 (ko) * 2018-05-23 2019-11-28 한국식품연구원 바늘꽃 추출물 등을 이용한 천식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20017564A (ko) * 2020-08-04 2022-02-14 박선민 형개와 익지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0601A (en) * 2016-11-29 2018-09-19 Zhejiang Strong Pharmaceutical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eczema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US10413582B2 (en) 2016-11-29 2019-09-17 Zhejiang Strong Pharmaceutical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eczema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KR20180116626A (ko) * 2017-04-17 2018-10-25 이충식 소화 흡수 촉진으로 아토피에 유효한 식품 첨가제, 그 제조방법과 이를 첨가한 식품
KR101959905B1 (ko) * 2017-09-14 2019-03-1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54758A1 (ko) * 2017-09-14 2019-03-2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093398A (zh) * 2017-09-14 2020-05-01 韩国韩医学研究院 含有益智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改善或治疗骨关节炎的组合物
KR20190031987A (ko) * 2017-09-19 2019-03-27 학교법인혜화학원 산조인 복합오일을 포함하는 항아토피성 약학 조성물
WO2019225995A1 (ko) * 2018-05-23 2019-11-28 한국식품연구원 바늘꽃 추출물 등을 이용한 천식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20017564A (ko) * 2020-08-04 2022-02-14 박선민 형개와 익지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so et al. In-vivo and in-vitro anti-inflammatory effect of Echinacea purpurea and Hypericum perforatum
KR20150088414A (ko) 한약재 수증기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9416B1 (ko) 금불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KR20190060511A (ko) 갈색거저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N110585383A (zh) 抗真菌复方提取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20140040610A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377411B1 (ko)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KR20120031625A (ko) 혼합 식물 추출물
Niu et al. Study on antibacterial effect of medlar and hawthorn compound extract in vitro
KR101029534B1 (ko) 프로폴리스용 수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질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877478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210117470A (ko) 당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8053B1 (ko) 우슬, 마가목 및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 통증 완화용 식품 조성물
KR101491493B1 (ko) 감귤 과피 및 구아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약학 조성물
KR101865142B1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113327A (ko) 울릉국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21800B1 (ko) 고염 미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060797A (ko) 시호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Fino et al. Medicinal plants of Jordan: Scoping review
KR101851153B1 (ko) 발효 지황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지황
KR102512376B1 (ko) 생약 혼합물로부터 저온 숙성 공정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8280B1 (ko) 카르피너스 푸베센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Woo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and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complex fermented extracts on LPS-stimulated RAW264. 7 macroph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