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520B1 - 필름의 연신 방법 및 용액 제막 방법 - Google Patents

필름의 연신 방법 및 용액 제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520B1
KR101957520B1 KR1020120092881A KR20120092881A KR101957520B1 KR 101957520 B1 KR101957520 B1 KR 101957520B1 KR 1020120092881 A KR1020120092881 A KR 1020120092881A KR 20120092881 A KR20120092881 A KR 20120092881A KR 101957520 B1 KR101957520 B1 KR 101957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lamper
side edge
edge portion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0201A (ko
Inventor
도시로우 에사키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0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20Edge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텐터 장치 (2) 는, 클립 (5) 과, 필름 반송로의 양측에 배치된 쌍의 레일과, 쌍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체인과, 체인에 클립 (5) 을 장착하는 클립 장착 기구를 구비한다. 클립 (5) 은, 클램퍼 (31) 와, 대략 ㄷ자형상의 프레임 (35) 과, 부세 부재인 판 스프링 (37) 을 구비한다. 클램퍼 (31) 는, 파지부 (31B) 가 폴리머 필름 (3) 의 측가장자리부에 당접하는 당접 위치, 및 파지부 (31B, 32B) 가 폴리머 필름 (3) 의 측가장자리부로부터 떨어진 이격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해진다. 판 스프링 (37) 은, 당접 위치를 향하여 각 클램퍼 (31) 를 부세한다.

Description

필름의 연신 방법 및 용액 제막 방법{METHOD FOR STRETCHING FILM AND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본 발명은, 필름의 연신 방법 및 용액 제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디스플레이 등의 급속한 발전·보급에 따라, 이들 액정디스플레이의 보호 필름 등에 사용되는 폴리머 필름, 특히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이 수요의 증대에 따라 생산성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 (이하, 필름) 을 제조하기 위한 용액 제막 방법은, 막형성 공정과, 막건조 공정과, 박리 공정과, 필름 건조 공정과, 연신 공정을 가진다. 막형성 공정은, 폴리머 및 용제를 포함한 도프를 지지체에 유연하고, 도프로 이루어지는 유연막을 지지체 상에 형성한다. 막건조 공정은, 유연막의 막 면에 건조풍을 쐬어 유연막으로부터 용제를 증발시킨다. 박리 공정은, 유연막을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습윤 필름으로 한다. 필름 건조 공정은, 습윤 필름으로부터 용제를 증발시켜 필름으로 한다. 연신 공정은,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하여, 필름의 광학 특성의 조정을 행한다. 이와 같은 용액 제막 방법에 의하면, 용융 압출에 의한 제막 방법에 비하여, 이물이 없고 광학 특성이 뛰어난 필름이 얻어진다.
필름 건조 공정이나 연신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 2011-042186 호와 같이, 텐터 장치가 이용된다. 텐터 장치는, 필름 반송로의 양측에 배치된 레일과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클립을 구비한다. 필름 건조 공정에서는, 클립에 의하여 양 측가장자리부가 파지된 습윤 필름의 양 표면에 대하여 건조풍을 쏘일 수 있기 때문에, 지지체 상의 유연막에 대하여 행해지는 막건조 공정에 비하여, 용제의 증발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연신 공정에서는, 필름의 일방의 측가장자리부를 파지한 클립과 타방의 측가장자리부를 파지한 클립과의 간격이 커지도록 각 클립을 주행시킴으로써,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할 수 있다. 이 연신조건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필름의 광학 특성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 일본 특허출원 2011-042186 호에는, 하나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클립의 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광학 축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는 텐터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일본 특허출원 2011-042186 호의 텐터 장치를 사용하여도, 폴리머 필름에는 광학 축의 편차가 남아 있어, 개선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광학 축의 편차를 억제하는 필름의 연신 방법 및 용액 제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름의 연신 방법은, 필름의 연신 방법은, 파지 스텝과, 연신 스텝과, 개방 스텝을 구비하고, 폴리머 및 용제를 포함하는 띠 형상의 필름을 연신한다. 파지 스텝은, 클립 텐터에 의하여 필름을 파지한다. 클립 텐터는, 베이스와, 회동 축과, 부세 부재와,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클램퍼를 구비한다. 베이스는, 필름의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회동 축은, 베이스의 상방에서 가로지르도록 지지된다. 클램퍼는, 당접 위치와 이격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회동 축에 장착된다. 클램퍼는, 베이스에 의하여 필름의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선단에 구비한다. 당접 위치는, 파지부가 필름의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에 당접하는 위치이다. 이격 위치는, 파지부가 필름의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이다. 부세 부재는, 클램퍼 및 회동 축의 여유분에 기인하는 파지부의 부상을 억제하도록, 클램퍼를 당접 위치로 부세한다. 인접하는 상기 클램퍼의 간격은 1mm 이상 4.5mm 이하이다. 연신 스텝은,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가 파지되어 있는 필름을 클립 텐터에 의하여 폭 방향으로 연신한다. 개방 스텝은, 클램퍼를 당접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필름의 파지를 개방한다.
베이스와 클램퍼에 의하여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가 파지되는 필름의 용제함유율은 1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액 제막 방법은, 막형성 스텝과, 막건조 스텝과, 박리 스텝과, 파지 스텝과, 연신 스텝과, 개방 스텝을 구비한다. 막형성 스텝은, 도프로 이루어지는 유연막을 지지체 상에 연속하여 형성한다. 도프는, 폴리머 및 용제를 포함한다. 막건조 스텝은, 유연막으로부터 용제를 증발시킨다. 박리 스텝은, 지지체로부터 유연막을 박리하여 띠 형상의 필름으로 한다. 파지 스텝은, 클립 텐터에 의하여 필름을 파지한다. 클립 텐터는, 베이스와, 회동 축과, 부세 부재와,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클램퍼를 구비한다. 베이스는, 필름의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회동 축은, 베이스의 상방에서 가로지르도록 지지된다. 클램퍼는, 당접 위치와 이격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회동 축에 장착된다. 클램퍼는, 베이스에 의하여 필름의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선단에 구비한다. 당접 위치는, 파지부가 필름의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에 당접하는 위치이다. 이격 위치는, 파지부가 필름의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이다. 부세 부재는, 클램퍼 및 회동 축의 여유분에 기인하는 파지부의 부상을 억제하도록, 클램퍼를 당접 위치에 부세한다. 인접하는 상기 클램퍼의 간격은 1mm 이상 4.5mm 이하이다. 연신 스텝은,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가 파지되어 있는 필름을 클립 텐터에 의하여 폭 방향으로 연신한다. 개방 스텝은, 클램퍼를 당접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필름의 파지를 개방한다.
베이스와 클램퍼에 의하여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가 파지되는 필름의 용제함유율은 1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축의 편차를 극히 낮은 레벨까지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목적, 이점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텐터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텐터 입구에 있어서의 텐터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파지 상태의 클립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개방 상태의 클립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폴리머 필름의 측가장자리부를 파지하는 텐터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1 용액 제막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8 은, 제 2 용액 제막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9 는, 제 1 직선부와 경사부와의 교차 각도 (θ1) 의 설명도이다.
도 10 은, 필름 반송로 (7) 로부터 보았을 때의 클립 (5) 의 측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텐터 장치 (2) 는, 폴리머 필름 (3) 의 양 측가장자리부를 클립 (5) 으로 파지하여 필름 반송 방향 (A) 으로 반송하면서 필름 폭 방향 (B) 으로 연신함과 함께, 폴리머 필름 (3) 을 건조시키는 것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텐터 장치 (2) 는, 클립 (5) 과, 제 1 레일 (11) 및 제 2 레일 (12) 과, 제 1, 제 2 체인 (엔드리스 체인)(13, 14) 과, 클립 장착 기구 (16) 를 구비한다. 제 1 레일 (11) 및 제 2 레일 (12) 은, 필름 반송로 (7) 의 양측에 배치된다. 제 1, 제 2 체인 (엔드리스 체인)(13, 14) 은, 제 1 레일 (11), 제 2 레일 (12) 을 따라 주행한다. 클립 장착 기구 (16) 는, 제 1, 제 2 체인 (13, 14) 에 클립 (5) 을 장착한다. 클립 장착 기구 (16) 에 의하여, 제 1, 제 2 체인 (13, 14) 에는, 클립 (5) 이 일정한 피치로 다수 장착되어 있다 (도 1 참조).
각 레일 (11, 12) 은, 제 1 직선부 (11A, 12A) 와, 제 1 굴곡부 (11B, 12B) 와, 경사부 (11C, 12C) 와, 제 2 굴곡부 (11D, 12D) 와, 제 2 직선부 (11E, 12E) 를 구비한다. 제 1 직선부 (11A, 12A) 는, 필름 반송 방향 (A) 으로 뻗는다. 제 1 굴곡부 (11B, 12B) 는, 필름 폭 방향 (B) 의 외측으로 굴곡된다. 경사부 (11C, 12C) 는, 제 1 굴곡부 (11B, 12B) 에 의하여 굴곡된 경사 각도로 직선 형상으로 뻗는다. 제 2 굴곡부 (11D, 12D) 는, 필름 폭 방향 (B) 의 내측으로 굴곡된다. 제 2 직선부 (11E, 12E) 는, 필름 반송 방향 (A) 으로 뻗는다. 레일 (11, 12) 의 형상은, 필름 반송로 (7) 에 대하여 대략 대칭이다.
텐터 장치 (2) 는, 도시하지 않은 건조실 내에 배치되어 있다. 건조실은, 필름 반송 방향 (A) 에서, 예열존 (2A), 연신존 (2B), 연신 완화존 (2C) 으로 구획되어 있다. 각 레일 (11, 12) 의 제 1 직선부 (11A, 12A) 의 범위가 되는 예열존 (2A) 에서는, 폴리머 필름 (3) 은, 예를 들면 80℃ 이상 200℃ 이하로 예열된다. 이 예열존 (2A) 에서는, 한 쌍의 클립간 거리는 일정하다.
각 레일 (11, 12) 의 경사부 (11C, 12C) 의 범위가 되는 연신존 (2B) 에서는, 폴리머 필름 (3) 은, 예를 들면 80℃ 이상 200℃ 이하로 가열된다. 이 연신존 (2B) 에서는, 클립 (5) 이 경사부 (11C, 12C) 를 이동함으로써, 한 쌍의 클립간 거리가 점증되고, 폴리머 필름 (3) 은, 클립 (5) 에 의하여 필름 폭 방향 (B) 으로 연신된다. 제 2 직선부 (11E, 12E) 의 범위가 되는 연신 완화존 (2C) 에서는, 한 쌍의 클립간 거리는 일정하고, 연신에 의하여 발생된 변형을 완화하는 연신 완화가 행해진다. 또한, 연신 배율은 원하는 광학 특성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되는 것이다.
각 레일 (11, 12) 의 하류단부, 즉 텐터 출구 (2E) 측에는 원동 스프로킷 (21, 22) 이 설치된다. 원동 스프로킷 (21, 22) 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또, 각 레일 (11, 12) 의 상류 단부, 즉 텐터 입구 (2I) 측에는 종동 스프로킷 (23, 24) 이 각각 설치된다.
제 1 체인 (13) 은, 원동 스프로킷 (21) 및 종동 스프로킷 (23) 의 사이에 걸쳐진다. 원동 스프로킷 (21) 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제 1 체인 (13) 은, 제 1 레일 (11) 을 따라 주행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체인 (14) 은, 원동 스프로킷 (22) 및 종동 스프로킷 (24) 의 사이에 걸쳐져, 원동 스프로킷 (22) 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제 2 레일 (12) 을 따라 주행한다. 각 체인 (13, 14) 의 주행에 의하여, 클립 (5) 은, 각 레일 (11, 12) 을 따라 주행한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 (5) 은, 클램퍼 (31) 와, 대략 ㄷ자 형상의 프레임 (35) 과, 부세 부재인 판 스프링 (37) 을 구비한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퍼 (31) 는, 축부 (31A) 와, 파지부 (31B) 와, 헤드부 (31C) 를 구비한다. 축부 (31A) 는, 프레임 (35) 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파지부 (31B) 는, 축부 (31A) 로부터 베이스 (35B) 를 향하여 연설되고, 베이스 (35B) 에 의하여 폴리머 필름 (3) 의 측가장자리부를 파지한다. 헤드부 (31C) 는, 축부 (31A) 로부터 파지부 (31B) 와 역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다. 축부 (31A) 에는, 프레임 (35) 의 장착 축 (35AX)(후술한다) 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 통과 구멍 (31AO) 이 형성된다. 삽입 통과 구멍 (31AO) 의 직경은, 장착 축의 직경에 여유분량을 더한 것으로, 장착 축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프레임 (35) 은, 베이스 (35B) 와, 암 (35A) 과, 장착 축 (35AX) 을 구비한다. 베이스 (35B) 는, 폴리머 필름 (3) 의 측가장자리부를 하면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암 (35A) 은, 베이스 (35B) 로부터 기립하도록 설치된다. 장착 축 (35AX) 은, 암 (35A) 의 선단에 설치된다.
삽입 통과 구멍 (31AO) 에 장착 축 (35A) 을 통과시킴으로써, 클램퍼 (31) 는 프레임 (35) 에 장착된다. 이로써, 클램퍼 (31) 는, 파지부 (31B) 가 폴리머 필름 (3) 의 측가장자리부에 당접하는 당접 위치 (도 4 참조) 와, 파지부 (31B) 가 폴리머 필름 (3) 의 측가장자리부로부터 떨어진 이격 위치 (도 5 참조) 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해진다. 이렇게 하여, 클립 (5) 은, 베이스 (35B) 에 의하여 폴리머 필름 (3) 을 파지하는 파지 상태 (도 6 참조) 와, 파지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 (도 2 참조) 와의 사이에서 변이 가능해진다.
판 스프링 (37) 은, 당접 위치를 향하여 클램퍼 (31) 를 부세하기 위한 것이다. 판 스프링 (37) 의 일단은 클램퍼 (31) 의 파지부 (31B) 에 장착되고, 타단은 암 (35A) 에 장착된다.
도 2 로 되돌아와, 클립 장착 기구 (16) 는, 장착 프레임 (16F) 과, 롤러 (16RA, 16RB, 16RC) 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 프레임 (16F) 에는, 제 1 체인 (13) 또는 제 2 체인 (14) 이 장착된다. 롤러 (16RA ~ 16RC) 는, 원동 스프로킷 (21, 22) 의 각 지지면에 접촉하거나, 제 1 레일 (11) 또는 제 2 레일 (12) 의 지지면에 접촉하거나 하여, 회전한다. 클립 장착 기구 (16) 에 의하여, 각 스프로킷 (21 ~ 24) 이나 각 레일 (11, 12) 로부터 탈락하는 일 없이, 각 레일 (11, 12) 을 따라 클립 (5) 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 로 되돌아와, 텐터 입구 (2I) 의 제 1, 제 2 체인 (13, 14) 의 주행로 상에는 파지 개시 위치 (PA) 가 설정된다. 텐터 출구 (2E) 의 제 1, 제 2 체인 (13, 14) 의 주행로 상에는 파지 개방 위치 (PB) 가 설정된다.
클립 오프너 (40) 는, 클립 (5) 을 개방 상태로 하기 위한 것이고, 텐터 입구 (2I) 및 텐터 출구 (2E) 에 설치된다. 텐터 입구 (2I) 에 설치된 클립 오프너 (40) 는, 클립 (5) 의 주행로 상에 있어서, 파지 개시 위치 (PA) 로부터 클립 (5) 의 주행 방향 상류측을 향하여 연설된다. 텐터 출구 (2E) 에 설치된 클립 오프너 (40) 는, 클립 (5) 의 주행로 상에 있어서, 파지 개방 위치 (PB) 로부터 클립 (5) 의 주행 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연설된다.
파지 개시 위치 (PA) 보다 상류측에 있어서, 헤드부 (31C) 가 클립 오프너 (40) 에 접촉하면, 클립 (5) 은 개방 상태가 된다 (도 2 참조). 이로써, 클립 (5) 은, 폴리머 필름 (3) 의 측가장자리부의 수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후, 클립 (5) 이 파지 개시 위치 (PA) 에 도달하기까지, 폴리머 필름 (3) 의 측가장자리부가 베이스 (35B) 에 지지된다. 그리고, 클립 (5) 이 파지 개시 위치 (PA) 를 통과하는 경우에 헤드부 (31C) 가 클립 오프너 (40) 로부터 멀어진다. 이로 인하여, 자체 중량 및 판 스프링 (37) 에 의하여, 클립 (5) 은 개방 상태로부터 파지 상태로 세트되어, 폴리머 필름 (3) 의 측가장자리부가 파지된다 (도 6 참조). 마찬가지로 하여, 원동 스프로킷 (21, 22) 의 파지 개방 위치 (PB) 에서는, 헤드부 (31C) 가 클립 오프너 (40) 에 접촉하기 때문에, 클립 (5) 이 개방 상태가 된다. 이로써, 폴리머 필름 (3) 의 측가장자리부의 파지가 개방된다.
텐터 장치 (2) 에서는, 연신 개시 위치 (PC) 에서 폴리머 필름 (3) 의 연신이 개시되고, 연신 종료 위치 (PD) 에서 폴리머 필름 (3) 의 연신이 종료된다. 파지 개시 위치 (PA) 부터 연신 개시 위치 (PC) 까지의 예열존 (2A) 에서는, 폴리머 필름 (3) 은 연신되지 않고 반송된다. 또한, 연신 종료 위치 (PD) 부터 파지 개방 위치 (PB) 까지의 연신 완화존 (2C) 에서도, 폴리머 필름 (3) 은 연신되지 않고 반송된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 (31A) 와 장착 축 (35AX) 에는 일정량의 여유분 (Z1) 가 있다. 이로 인하여, 클램퍼 (31) 의 자체중량에 의해서만 클립 (5) 을 개방 상태로부터 파지 상태로 세트한 경우에는, 파지부 (31B) 의 일부가 폴리머 필름 (3) 의 측가장자리부로부터 부상되어, 이 결과, 파지부 (31B) 전체가 폴리머 필름 (3) 의 측가장자리부의 파지에 기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폴리머 필름 (3) 을 폭 방향 (B) 으로 연신하면, 폴리머 필름 (3) 에 있어서 광학 축의 편차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자체 중량 및 판 스프링 (37) 을 이용하여, 클립 (5) 을 개방 상태로부터 파지 상태로 세트한다. 이로 인하여, 파지부 (31B) 의 일부가 폴리머 필름 (3) 의 측가장자리부로부터 부상되는 것이 억제되어, 파지부 (31B) 전체가 폴리머 필름 (3) 의 측가장자리부의 파지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폴리머 필름 (3) 에 있어서 광학 축의 편차가 억제된다.
판 스프링 (37) 의 부세력은, 파지부 (31B) 전체가 폴리머 필름 (3) 의 측가장자리부에 당접할수 있을 정도의 것이면 된다. 부세 부재로서는, 판 스프링 외에, 스프링 등 공지의 것을 이용하여도 된다. 또, 부세 부재로서는, 당접 위치 근방의 클램퍼 (31) 에 대하여 당접 위치로 향하여 클램퍼 (31) 를 부세하고, 또한 이격 위치 근방의 클램퍼 (31) 에 대하여 이격 위치로 향하여 클램퍼 (31) 를 부세하는, 이른바 토글 스프링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폴리머 필름 (3) 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서술하는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는, 본 발명의 한 예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액 제막 설비 (50) 는, 도프 (51) 와 유연실 (52) 과 2 개의 텐터 장치 (2) 와 건조실 (54) 과 냉각실 (55) 과 권취실 (56) 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개의 텐터 장치 (2) 중, 최초로 필름 연신을 행하는 것 (도 7 에 있어서의 좌측, 즉 상류측) 을 제 1 텐터 장치 (2) 로 칭하고, 나중에 필름 연신을 행하는 것 (도 7 에 있어서의 우측, 즉 하류측) 을 제 2 텐터 장치 (2) 로 칭한다.
도프 (51) 는, 폴리머 필름 (3) 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고, 폴리머 필름의 원료가 되는 폴리머와 용제를 포함한다. 도프 (51) 는, 유연 다이 (60) 로 보내진다.
유연실 (52) 에는, 유연 다이 (60), 2 개의 회전 드럼 (61), 유연 밴드 (62), 건조 장치 (63), 박리 롤러 (64), 감압 챔버 (65) 가 설치되어 있다. 유연 밴드 (62) 는, 2 개의 회전 드럼 (61) 에 걸쳐져 이동한다. 회전 드럼 (61) 은 구동 장치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하여 회전한다. 회전 드럼 (61) 의 회전에 의하여 유연 밴드 (62) 가 이동한다. 유연 다이 (60) 는, 이동하는 유연 밴드 (62) 를 향하여, 유연 다이 (60) 로부터 도프 (51) 를 연속적으로 유출한다. 이렇게 하여, 도프 (51) 로 이루어지는 유연막 (66) 이 유연 밴드 (62) 상에 형성되는 막형성 공정이 행해진다.
건조 장치 (63) 는 유연막 (66) 에 대하여 건조풍을 쐬어, 유연막 (66) 으로부터 용제를 증발시킨다. 이렇게 하여, 유연막 (66) 으로부터 용제를 증발시키는 막건조 공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용제의 증발에 의하여 자기지지성을 가지는 것이 된 유연막은, 박리 롤러 (64) 에 의하여, 유연 밴드 (62) 로부터 박리되어, 습윤 필름 (68) 이 된다.
감압 챔버 (65) 는, 유연 다이 (60) 에 대하여, 유연 밴드 (62) 의 주행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감압 챔버 (65) 내를 부압으로 유지하고 있다. 이로써, 유연비드의 배면 (나중에, 유연 밴드 (62) 에 접하는 면) 측을 원하는 압력으로 감압하고, 유연 밴드 (62) 가 고속으로 주행함으로써 발생하는 동반풍의 영향을 적게 하고 있다.
유연실 (52) 의 하류에는, 이동부 (71), 제 1 텐터 장치 (2), 제 2 텐터 장치 (2) 가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이동부 (71) 의 반송 롤러 (72) 는, 박리된 습윤 필름 (68) 을 제 1 텐터 장치 (2) ·제 2 텐터 장치 (2) 로 순서대로 도입한다. 제 1 텐터 장치 (2) 에 있어서, 습윤 필름 (68) 은 연신됨과 함께 건조되어, 폴리머 필름 (3) 이 되는 필름 건조 공정이 행해진다. 제 2 텐터 장치 (2) 에 있어서 폴리머 필름 (3) 은 연신됨과 함께 건조되어, 폴리머 필름 (3) 에는 원하는 광학 특성이 부여되는 연신 공정이 행해진다.
제 1 텐터 장치 (2) 에 도입되는 습윤 필름 (68) 의 용제 함유량은, 예를 들면, 2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텐터 장치 (2) 에 도입되는 습윤 필름 (68) 의 용제 함유량은, 예를 들면, 1질량% 이하이다.
여기서, 용제 함유량은, 유연막이나 각 필름 중에 포함되는 용제의 양을 건량기준으로 나타낸 것이고, 대상의 필름으로부터 샘플을 채취하여, 이 샘플의 질량을 x, 샘플을 건조한 후의 질량을 y로 할 때,{(x-y)/y}×100으로 표시된다.
제 1 텐터 장치 (2) 에 있어서의 필름 건조 공정은, 습윤 필름 (68) 의 건조, 및 이 건조에 의한 습윤 필름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행해진다. 또, 제 2 텐터 장치 (2) 에 있어서의 연신 공정은, 폴리머 필름의 광학 특성의 조정을 위하여 행해진다.
제 1, 제 2 텐터 장치 (2) 의 하류에는 각각 에지 절단 장치 (73) 가 설치되어 있다. 에지 절단 장치 (73) 는 필름 양 단부의 에지를 재단한다. 이 재단한 에지는 송풍에 의하여 크래셔 (74) 로 보내지고, 여기서 분쇄되어, 도프 등의 원료로서 재이용된다.
건조실 (54) 에는, 복수의 롤러 (77) 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에 폴리머 필름 (3) 이 권취되어 반송됨으로써 건조가 행해진다. 건조실 (54) 에는 흡착 회수 장치 (78) 가 접속되어 있고, 폴리머 필름 (3) 으로부터 증발된 용매가 흡착회수된다.
건조실 (54) 의 출구측에는 냉각실 (55) 이 설치되어 있고, 이 냉각실 (55) 에서 폴리머 필름 (3) 이 실온이 될 때까지 냉각된다. 냉각실 (55) 의 하류에는 강제 제전 장치 (제전바)(79) 가 설치되어 있고, 폴리머 필름 (3) 이 제전된다. 또한, 강제 제전 장치 (79) 의 하류측에는, 널링 부여 롤러 (80) 가 설치되어 있고, 폴리머 필름 (3) 의 양 측가장자리부에 널링이 부여된다. 권취실 (56) 에는, 프레스 롤러 (82) 를 가지는 권취기 (81) 가 설치되어 있고, 폴리머 필름 (3) 이 권취심에 롤 형상으로 권취된다.
또한,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텐터 장치 (2) 를 생략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 1 텐터 장치 (2) 에 있어서, 필름 건조 공정을 행하여도 되고, 필름 건조 공정 및 연신 공정을 순차 행하여도 된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용액 제막 설비 (50) 에 있어서, 제 1 텐터 장치 (2) 를 생략하여도 된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굴곡부 (11B, 12B) 에 있어서의 굴곡 각도, 즉 제 1 직선부 (11A, 12A) 와 경사부 (11C, 12C) 와의 교차 각도 (θ1) 는, 예를 들면, 0.01˚ 이상 10˚ 이하이다. 제 2 굴곡부 (11D, 12D) 에 있어서의 굴곡 각도, 즉 경사부 (11C, 12C) 와 제 2 직선부 (11E, 12E) 와의 교차 각도 (θ2) 는, 예를 들면, 0.01˚ 이상 10˚ 이하이다. 여기서, 교차 각도 (θ1) 는, 제 1 직선부 (11A, 12A) 의 연장선부터 경사부 (11C, 12C) 까지의 각도이다. 교차 각도 (θ1) 는, 제 1 직선부 (11A, 12A) 의 연장선부터 폭 방향 (B) 의 외측을 향하여 180˚까지의 경우에 양의 값을 취한다. 교차 각도 (θ1) 는, 제 1 직선부 (11A, 12A) 의 연장선부터 폭 방향 (B) 의 내측을 향하여 180˚까지의 경우에 음의 값을 취한다. 마찬가지로, 교차 각도 (θ2) 는, 경사부 (11C, 12C) 의 연장선부터 제 2 직선부 (11E, 12E) 까지의 각도이다. 교차 각도 (θ2) 는, 경사부 (11C, 12C) 의 연장선부터 폭 방향 (B) 의 외측을 향하여 180˚까지의 경우에 양의 값을 취한다. 교차 각도 (θ2) 는, 경사부 (11C, 12C) 의 연장선부터 폭 방향 (B) 의 내측을 향하여 180˚까지의 경우에 음의 값을 취한다. 제 1 굴곡부 (11B, 12B) 및 제 2 굴곡부 (11D, 12D) 에 있어서의 굽힘 반경 (곡률 반경) 은, 예를 들면, 1000mm 이상 10000mm 이하이다.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퍼 간격 (L1) 은, 1mm 이상 4.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mm 이상 3.5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클립 간격 (L2) 은, 0.5mm 이상 4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mm 이상 3.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클램퍼 간격 (L1) 은, 인접하는 클램퍼 (31) 끼리의 간극이고, 클립 간격 (L2) 은, 인접하는 클립 (5) 끼리의 간격이다.
(폴리머)
폴리머 필름의 원료가 되는 폴리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나 환형 폴리올레핀 등이 있다.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에 이용되는 아실기는 1 종류만이어도 되고, 혹은 2 종류 이상의 아실기가 사용되고 있어도 된다. 2 종류 이상의 아실기를 사용할 때는, 그 1 개가 아세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의 수산기가 카르복시산으로 에스테르화되어 있는 비율, 즉, 아실기의 치환도가 하기 식 (I) ~ (III) 의 전부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의 식 (I) ~ (III) 에 있어서, A 및 B 는, 아실기의 치환도를 나타내고, A 는 아세틸기의 치환도, 또 B 는 탄소원자수 3 ~ 22 의 아실기의 치환도이다. 또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의 90질량% 이상이 0.1mm ~ 4mm 의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I) 2.0≤A+B≤3.0
(II) 1.0≤A≤3.0
(III) 0≤B≤2.0
아실기의 전체 치환도 A+B 는, 2.20 이상 2.9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40 이상 2.88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탄소원자수 3 ~ 22 의 아실기의 치환도 B 는, 0.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의 원료인 셀룰로오스는, 린터, 펄프의 어느 쪽으로부터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의 탄소수 2 이상의 아실기로서는, 지방족기여도 아릴기여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들은,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의 알킬카르보닐에스테르, 알케닐카르보닐에스테르 혹은 방향족카르보닐에스테르, 방향족알킬카르보닐에스테르 등이고, 각각 더욱 치환된 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들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프로피오닐, 부타노일, 펜타노일, 헥사노일, 옥타노일, 데카노일, 도데카노일, 트리데카노일, 테트라데카노일, 헥사데카노일, 옥타데카노일, iso-부타노일, t-부타노일, 시클로헥산카르보닐, 올레오일, 벤조일, 나프틸카르보닐, 신나모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프로피오닐, 부타노일, 도데카노일, 옥타데카노일, t-부타노일, 올레오일, 벤조일, 나프틸카르보닐, 신나모일 등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프로피오닐, 부타노일이다.
(용제)
도프를 조제하는 용제로서는, 방향족탄화수소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등), 할로겐화탄화수소 (예를 들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벤젠 등),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n-부탄올, 디에틸렌글리콜 등), 케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에스테르 (예를 들면,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등) 및 에테르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틸셀로솔브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도프란 폴리머를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하여 얻어지는 폴리머용액, 분산액을 의미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도 탄소원자수 1 ~ 7 의 할로겐화탄화수소가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디클로로메탄이 가장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폴리머의 용해성, 유연막의 지지체로부터의 박리성, 필름의 기계적 강도 등 및 필름의 광학 특성 등의 물성의 관점에서, 디클로로메탄 외에 탄소원자수 1 ~ 5 의 알코올을 1 종 내지 수종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의 함유량은, 용제 전체에 대하여 2질량% ~ 25질량% 가 바람직하고, 5질량% ~ 20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알코올의 구체예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등을 들 수 있지만, 메탄올, 에탄올, n-부탄올 혹은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그런데, 최근,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용제조성에 대해서도 검토가 진행되고, 이 목적에 대해서는, 탄소원자수가 4 ~ 12 인 에테르, 탄소원자수가 3 ~ 12 인 케톤, 탄소원자수가 3 ~ 12 의 에스테르, 탄소원자수 1 ~ 12 의 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들을 적절히 혼합하여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아세트산메틸, 아세톤, 에탄올, n-부탄올의 혼합용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에테르, 케톤, 에스테르 및 알코올은, 환형구조를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 에테르, 케톤, 에스테르 및 알코올의 관능기 (즉, -O-, -CO-, -COO- 및 -OH) 중 어느 것을 2 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도, 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의 상세에 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04148 호의[0140]단락부터[0195]단락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의 기재도 본 발명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 용제 및 가소제, 열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UV제), 광학이방성 컨트롤제, 리타데이션 제어제, 염료, 매트제, 박리제, 박리촉진제 등의 첨가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04148 호의[0196]단락부터[0516]단락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험 1 ~ 6 을 행하였다.
(실험 1)
도 7 에 나타내는 용액 제막 설비 (50) 에 있어서, 유연 밴드 (62) 의 표면 상에,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및 용제를 포함한 도프 (51) 를 유연하여 유연막 (66) 을 형성하였다. 자기지지성을 가지는 유연막 (66) 을 박리 롤러 (64) 로 지지하면서 박리하여, 습윤 필름 (68) 을 얻었다.
그 후, 용제 함유량이 40질량%인 습윤 필름 (68) 을 제 1 텐터 장치 (2) 에 도입하였다. 제 1 텐터 장치 (2) 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제 1 굴곡부 (11B, 12B) 에 있어서의 굴곡 각도 (θ1)(도 9 참조) 는, 2˚였다. 제 2 굴곡부 (11D, 12D) 에 있어서의 굴곡 각도 (θ2) 는, -2˚였다. 제 1 굴곡부 (11B, 12B) 에 있어서의 굽힘 반경은 7000mm였다. 제 2 굴곡부 (11D, 12D) 에 있어서의 굽힘 반경은 제 1 굴곡부 (11B, 12B) 와 동일하였다. 제 1 텐터 장치 (2) 의 클램퍼 간격 (L1) 및 클립 간격 (L2)(도 10 참조) 은,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제 1 텐터 제 2 텐터 평가결과



입구에서의
용제
함유량



(질량%)



출구에서의
용제
함유량



(질량%)







L1


(mm)







L2


(mm)













입구에서의
용제
함유량



(질량%)



출구에서의
용제
함유량



(질량%)







L1


(mm)







L2


(mm)




















(˚)

Re








(mm)

Rth








(mm)
실험1 40 1 1.8 1.6 1 이하 1 이하 1.8 1.6 0.8 2.5 3.5
실험2 40 1 1.8 1.6 1 이하 1 이하 1.8 1.6 0.45 1.1 2.1
실험3 40 1 4.5 3.5 1 이하 1 이하 4.5 3.5 0.6 1.4 2.4
실험4 40 1 1.8 1.6 - - - - - 0.75 2.3 3.3
실험5 40 1 1.8 1.6 - - - - - 0.4 1.0 2.0
실험6 40 1 4.5 3.5 - - - - - 0.55 1.3 2.3
제 1 텐터 장치 (2) 에서는, 건조 온도가 140℃의 예열존 (2A), 연신존 (2B), 연신 완화존 (2C) 에 습윤 필름 (68) 을 보내고, 습윤 필름 (68) 에 대하여 예열, 연신, 연신 완화를 행하여, 폴리머 필름 (3) 으로 하였다. 연신 전의 습윤 필름 (68) 의 폭을 100%로 하였을 때에, 제 1 텐터 장치 (2) 의 연신존 (2B) 에 있어서의 연신율은 105% 였다. 제 1 텐터 장치 (2) 로부터 나온 폴리머 필름 (3) 은, 용제 함유량이 1질량% 였다.
그 후, 용제 함유량이 1질량% 이하인 폴리머 필름 (3) 을, 제 1 텐터 장치 (2) 와 동일한 구조의 제 2 텐터 장치 (2) 로 도입하였다. 제 2 텐터 장치 (2) 에서는, 건조 온도가 140℃ 인 예열존 (2A), 연신존 (2B), 연신 완화존 (2C) 에 폴리머 필름 (3) 을 보내고, 폴리머 필름 (3) 에 대하여 예열, 연신, 연신 완화를 행하였다. 제 2 텐터 장치 (2) 의 도입 전의 폴리머 필름 (3) 의 폭을 100% 로 하였을 때에, 제 2 텐터 장치 (2) 의 연신존 (2B) 에 있어서의 연신율은 105% 였다. 제 2 텐터 장치 (2) 로부터 나온 폴리머 필름 (3) 은, 용제 함유량이 1질량% 였다.
제 2 텐터 장치 (2) 의 하류에 설치한 에지 절단 장치 (73) 로 폴리머 필름 (3) 의 양측 단부를 절단한 후, 건조실 (54) 에 있어서 복수의 롤러 (77) 에 권취하여 반송하는 동안에, 폴리머 필름 (3) 의 건조를 충분히 촉진시켰다. 냉각실 (55) 에 있어서 폴리머 필름 (3) 을 대략 실온이 될 때까지 냉각한 후, 권취실 (56) 에 보내고, 프레스 롤러 (82) 로 가압하면서 권취심에 권취하여 롤형상의 폴리머 필름 (3) 을 얻었다. 또한, 권취 전에, 강제 제전 장치 (79) 에 의하여 대전압을 조정하고, 또, 널링 부여 롤러 (80) 에 의하여, 널링을 부여하였다.
(실험 2 ~ 6)
실험 2 ~ 6 에서는, 표 1 에 나타내는 것 이외에는, 실험 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머 필름 (3) 을 만들었다. 또, 실험 4 ~ 6 에서는, 제 2 텐터 장치 (2) 와, 제 2 텐터 장치 (2) 의 하류의 에지 절단 장치 (73) 를 생략한 것, 및 표 1 에 나타내는 것 이외에는, 실험 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머 필름 (3) 을 만들었다.
(평가)
얻어진 폴리머 필름 (3) 에 대하여, 다음의 평가를 행하였다.
(면내 리타데이션 (Re) 의 변동량)
롤형상의 폴리머 필름 (3) 으로부터 샘플 필름 (길이 10mm) 을 잘랐다. 자동복굴절률계를 이용하여, 샘플 필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면내 리타데이션 (Re) 를 측정하였다. 면 내 리타데이션 (Re) 의 측정치의 변동량을 표 1 에 나타낸다.
(면내 리타데이션 (Re) 의 측정 방법)
샘플 필름을 온도 25℃, 습도 60%RH 로 2 시간 습도조절하고, 자동복굴절률계 (KOBRA21ADH 오지계측(주)) 로 589.3nm 에 있어서의 수직방향에서 측정한 리타데이션 값의 외삽치로부터, Re 를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Re=|nX-nY|×d
nX 는, 지상축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 nY 는 진상축방향의 굴절률, d 는 필름의 두께 (막두께) 를 나타낸다.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 의 변동량)
샘플 필름을 잘라, 자동복굴절률계를 사용하여, 샘플 필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 을 측정하였다.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 의 측정치의 변동량을 표 1 에 나타낸다.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 의 측정 방법)
샘플 필름을 온도 25℃, 습도 60%RH 로 2 시간 습도조절하고, 자동복굴절률계 (KOBRA21ADH 오지계측(주)) 로 589.3nm 에 있어서의 수직방향에서 측정한 값과, 필름면을 경사하면서 동일하게 측정한 리타데이션 값의 외삽치로부터 하기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Rth={(nX+nY) /2-nZ}×d
nZ 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광학 축의 변동량)
자동복굴절률계에 의하여,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광학 축의 변동량을 구하였다. 얻어진 광학 축의 변동량을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의 각 측정치의 변동량은, 최대의 측정치로부터, 최소의 측정치를 뺀 것이다.

Claims (4)

  1. 폴리머 및 용제를 포함하는 띠 형상의 필름을 연신하는 필름의 연신 방법에 있어서,
    베이스와 회동 축과 부세 부재와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클램퍼를 구비하는 클립 텐터에 의하여 상기 필름을 파지하는 스텝;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가 파지되어 있는 상기 필름을 상기 클립 텐터에 의하여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스텝;및,
    상기 클램퍼를 당접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필름의 파지를 개방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필름의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며, 상기 회동 축은 상기 베이스의 상방에서 가로지르도록 지지되고, 상기 클램퍼는 당접 위치와 이격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회동 축에 장착되며, 상기 클램퍼는 상기 베이스에 의하여 상기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선단에 구비하고, 상기 당접 위치는 상기 파지부가 상기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에 당접하는 위치이며, 상기 이격 위치는 상기 파지부가 상기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이고, 상기 부세 부재는 상기 클램퍼 및 상기 회동 축의 여유분에 기인하는 상기 파지부의 부상을 억제하도록 상기 클램퍼를 상기 당접 위치로 부세하고, 상기 부세 부재는 프레임의 암에 장착되어 상기 클램퍼를 지지하며, 인접하는 상기 클램퍼의 간격은 1mm 이상 4.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연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클램퍼에 의하여 상기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가 파지되는 상기 필름의 용제함유율은 1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연신 방법.
  3. 도프로 이루어지는 유연막을 지지체 상에 연속하여 형성하는 스텝;
    상기 유연막으로부터 용제를 증발시키는 스텝;
    상기 지지체로부터 상기 유연막을 박리하여 띠 형상의 필름으로 하는 스텝;
    베이스와 회동 축과 부세 부재와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클램퍼를 구비하는 클립 텐터에 의하여 상기 필름을 파지하는 스텝;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가 파지되어 있는 상기 필름을 상기 클립 텐터에 의하여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스텝;및
    상기 클램퍼를 당접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필름의 파지를 개방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도프는 폴리머 및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필름의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며, 상기 회동 축은 상기 베이스의 상방에서 가로지르도록 지지되고, 상기 클램퍼는 당접 위치와 이격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회동 축에 장착되며, 상기 클램퍼는 상기 베이스에 의하여 상기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선단에 구비하고, 상기 당접 위치는 상기 파지부가 상기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에 당접하는 위치이며, 상기 이격 위치는 상기 파지부가 상기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이고, 상기 부세 부재는 상기 클램퍼 및 상기 회동 축의 여유분에 기인하는 상기 파지부의 부상을 억제하도록 상기 클램퍼를 상기 당접 위치에 부세하고, 상기 부세 부재는 프레임의 암에 장착되어 상기 클램퍼를 지지하며, 인접하는 상기 클램퍼의 간격은 1mm 이상 4.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막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클램퍼에 의하여 상기 폭 방향 측가장자리부가 파지되는 상기 필름의 용제함유율은 1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막 방법.
KR1020120092881A 2011-09-16 2012-08-24 필름의 연신 방법 및 용액 제막 방법 KR101957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03233A JP5345191B2 (ja) 2011-09-16 2011-09-16 フィルムの延伸方法及び溶液製膜方法
JPJP-P-2011-203233 2011-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201A KR20130030201A (ko) 2013-03-26
KR101957520B1 true KR101957520B1 (ko) 2019-03-12

Family

ID=4792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881A KR101957520B1 (ko) 2011-09-16 2012-08-24 필름의 연신 방법 및 용액 제막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45191B2 (ko)
KR (1) KR101957520B1 (ko)
CN (1) CN102990915B (ko)
TW (1) TWI5736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7414A (zh) * 2016-08-31 2018-03-09 江苏华强印染机械有限公司 一种摆动灵活的进膜弧形轨道
CN108145957A (zh) * 2017-11-29 2018-06-12 北京创昱科技有限公司 一种薄膜的拉伸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173A (ja) 2000-07-24 2002-11-27 Fuji Photo Film Co Ltd 溶液製膜用流延ダイ、溶液製膜方法及び偏光板等
WO2005001006A2 (en) 2003-06-19 2005-01-06 Chevron U.S.A. Inc. Fuels and lubricants using layered bed catalysts in hydrotreating waxy feeds, including fischer-tropsch wax
JP2005262680A (ja) * 2004-03-18 2005-09-29 Fuji Photo Film Co Ltd テンタ用クリ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延伸方法
JP2006272959A (ja) * 2005-03-02 2006-10-12 Fuji Photo Film Co Ltd 溶液製膜装置及び方法、ポリマーフイ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49119A1 (de) * 1977-11-03 1979-05-10 Dornier Gmbh Lindauer Fuehrungseinrichtung fuer zu einer endlosen kette zusammengefasste gleitend gefuehrte spannkluppen in spannrahmen
JPS57208214A (en) * 1981-06-19 1982-12-21 Mitsubishi Heavy Ind Ltd Attaching and detaching device of film etc. by tenter clip
JPS5983624A (ja) * 1982-11-06 1984-05-15 Mitsubishi Heavy Ind Ltd テンタ−クリツプによるフイルム等の把持装置
DE4014227A1 (de) * 1990-05-03 1991-11-07 Brueckner Maschbau Kluppe
US6265045B1 (en) * 1998-07-29 2001-07-24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in-hole prevention in zone laminates
JP2000326404A (ja) * 1999-05-18 2000-11-28 Japan Steel Works Ltd:The フィルム着脱装置
JP2001187421A (ja) * 2000-01-05 2001-07-10 Toray Ind Inc テンタークリップ及び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287972C (zh) * 2002-01-16 2006-12-06 富士胶片株式会社 拉幅机装置
JP3973596B2 (ja) * 2003-04-22 2007-09-12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シート状物の延伸機
CN1478645A (zh) * 2003-07-01 2004-03-03 甘国工 管膜法制造双向拉伸聚丙烯珠光合成纸的方法及装置
JP4379306B2 (ja) * 2003-12-16 2009-12-09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シート状物の延伸機
US8187681B2 (en) * 2004-03-25 2012-05-29 Fujifilm Corporation Transparent film and optical compensatory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employing it
KR20070048181A (ko) * 2004-08-04 2007-05-0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막 및 그 제조방법
US7749411B2 (en) * 2004-12-01 2010-07-06 Konica Minolta Opto, Inc. Optical film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JP2006349728A (ja) * 2005-06-13 2006-12-28 Konica Minolta Opto Inc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4975504B2 (ja) * 2006-04-13 2012-07-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透明熱可塑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8090797A1 (ja) * 2007-01-23 2008-07-31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クリップ式シート・フィルム延伸装置
JP5646995B2 (ja) * 2007-12-28 2014-12-24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テンタークリップの開閉装置、及び欠陥のあるテンタークリップ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JP4897731B2 (ja) * 2008-03-27 2012-03-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マーフィルムの延伸方法及び装置並びに溶液製膜方法
CN201439250U (zh) * 2009-06-25 2010-04-21 苏州达信科技电子有限公司 延伸制膜用的延伸机
JP5304530B2 (ja) * 2009-08-19 2013-10-02 マツダ株式会社 内燃機関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内燃機関システム
JP5602661B2 (ja) * 2010-03-19 2014-10-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延伸装置及び方法
JP5279861B2 (ja) * 2011-03-29 2013-09-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ナーリング形成方法及び装置、並びに溶液製膜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173A (ja) 2000-07-24 2002-11-27 Fuji Photo Film Co Ltd 溶液製膜用流延ダイ、溶液製膜方法及び偏光板等
WO2005001006A2 (en) 2003-06-19 2005-01-06 Chevron U.S.A. Inc. Fuels and lubricants using layered bed catalysts in hydrotreating waxy feeds, including fischer-tropsch wax
JP2005262680A (ja) * 2004-03-18 2005-09-29 Fuji Photo Film Co Ltd テンタ用クリ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延伸方法
JP2006272959A (ja) * 2005-03-02 2006-10-12 Fuji Photo Film Co Ltd 溶液製膜装置及び方法、ポリマーフイ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63569A (ja) 2013-04-11
CN102990915B (zh) 2016-09-14
TWI573684B (zh) 2017-03-11
TW201313449A (zh) 2013-04-01
KR20130030201A (ko) 2013-03-26
JP5345191B2 (ja) 2013-11-20
CN102990915A (zh)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80072A1 (en) Cellulose ester fil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5592670B2 (ja) 溶液製膜設備及び方法
JP5279861B2 (ja) ナーリング形成方法及び装置、並びに溶液製膜方法
JP5591010B2 (ja) 乾燥装置及び溶液製膜方法
JP5513192B2 (ja) 溶液製膜方法
KR101957520B1 (ko) 필름의 연신 방법 및 용액 제막 방법
US20090085236A1 (en) Film stretching method and solution casting method
KR20090032017A (ko) 핀 텐터 및 용액 캐스팅 방법
JP4804882B2 (ja) ポリマーフイルムの製造方法
KR101679355B1 (ko) 폴리머 필름의 성상 조정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JP5292339B2 (ja) 熱可塑性フィルムの延伸方法及び装置、並びに溶液製膜方法
JP2011201089A (ja) テンタ装置
JP2010082992A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790345B1 (ko) 필름 연신 장치 및 방법
JP2009227447A (ja) ガイドローラ、溶液製膜設備及び溶液製膜方法
JP4897731B2 (ja) ポリマーフィルムの延伸方法及び装置並びに溶液製膜方法
JP5657261B2 (ja) 溶液製膜方法
KR101985543B1 (ko) 환형 밴드의 이동 방향 제어 장치, 유연 설비, 및 용액 제막 방법
JP2010158787A (ja) ポリマーフィルムの性状調整方法及び装置、並びに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0082987A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792297B2 (ja) ポリマーフイルムの製造方法
US20100078852A1 (en) Retardation film producing method
JP2011194798A (ja) テンタ用クリップ及びテンタ装置
US20090108489A1 (en) Film stretching and relaxing method and solution casting method
JP5153356B2 (ja) 溶液製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