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448B1 -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448B1
KR101953448B1 KR1020167014424A KR20167014424A KR101953448B1 KR 101953448 B1 KR101953448 B1 KR 101953448B1 KR 1020167014424 A KR1020167014424 A KR 1020167014424A KR 20167014424 A KR20167014424 A KR 20167014424A KR 101953448 B1 KR101953448 B1 KR 101953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case
vehicle
atmospheric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3007A (ko
Inventor
다케시 호시노야
시게루 나카야마
히로토미 네모토
마사히코 아키야마
유지 미노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3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7/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ubricating systems or devices
    • B60R17/02Systems, e.g. central lubr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comprising more than one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43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 B60K17/046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with planetary gearing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6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gearings
    • B60K6/365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gearings with the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driveline clutches
    • B60K6/383One-way clutches or freewhee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6Serie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50Architecture of the driveline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r kind of transmission units
    • B60K6/52Driving a plurality of drive axles, e.g. four-wheel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pumps for special use, e.g. for extremely high pressures
    • F04C13/007Venting; Gas and vapour separation during pu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57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or pumps
    • F04C15/008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2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the two members rotating simultaneously around their respective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7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venting gearboxes, e.g. air breat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76Electric machines and gearing, i.e. joint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1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ne motor mounted on a propulsion axle for rotating right and left wheels of this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driveline clutches
    • B60K2006/381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driveline clutches characterized by driveline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2007/0046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moving together with the vehicle body, i.e. moving independently from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2007/0092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axle being coaxial to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3Lubr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5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 B60Y2400/427One-way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04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ev
    • Y10S903/909Gearing
    • Y10S903/91Orbital, e.g. planetary ge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04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ev
    • Y10S903/912Drive line clutch
    • Y10S903/913One w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04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ev
    • Y10S903/915Specific drive or transmission adapted for hev
    • Y10S903/916Specific drive or transmission adapted for hev with plurality of drive ax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전동 오일 펌프(70)는, 전동기(90)를 수용하는 전동기부(85)와, 전동기(90)에 의해 구동되는 트로코이드 펌프(86)를 수용하는 압송부(87)를 갖는다. 또한, 후륜 구동 장치(1)는, 전동 오일 펌프(70)와 이격되어 전동 오일 펌프(7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소정의 용적 공간(VS)을 갖는 브리더 박스(breeder box; 140)를 더욱 구비하고, 브리더 박스(140)의 용적 공간(VS)은, 전동 오일 펌프(70)의 전동기부(85)의 내부에 연통하며, 대기 연통한다.

Description

차량{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리더 기구(breeder mechanism)를 갖는 액상 매체 공급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펌프 장치에서는, 모터부의 내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브리더 구조로서, 펌프부에, 모터부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또한, 방수성을 높이기 위해 개구부를 커버(cover)로 씌우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 공개 소62-6487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펌프 장치의 브리더 구조에서는, 차량에 있어서의 펌프 장치의 탑재 위치가 낮은 경우, 브리더의 대기 개구 위치도 낮아져, 개구부가 수몰되어 펌프 장치 내에 물이 침입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액상 매체 공급 장치를 차량의 하부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브리더 기구에 대한 물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양태는,
차량의 동력원[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과, 차량의 차륜[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좌후륜(LWr), 우후륜(RWr)]과 동력원의 동력 전달 경로 상에 배치되는 동력 전달 기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 및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수용하는 케이스[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동력원의 피냉각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피냉각부(A1, B1)] 혹은 피윤활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피윤활부(A2, B2)], 또는 상기 동력 전달 기구의 피냉각부 혹은 피윤활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피윤활부(A3, B3)]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피냉윤부에 액상 매체를 공급하기 위해, 전동기[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전동기(90)]에 의해 구동되는 액상 매체 공급 장치[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전동 오일 펌프(70)]
를 구비하는 차량[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차량(3)]으로서,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는, 상기 전동기를 수용하는 전동기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전동기부(85)]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압송 기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트로코이드 펌프(86)]를 수용하는 압송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압송부(87)]를 갖고,
상기 차량은,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와 이격되어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소정의 용적 공간[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용적 공간(VS)]을 갖는 용적 부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브리더 박스(140)]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용적 부재의 상기 용적 공간은,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의 상기 전동기부의 내부에 연통함과 함께, 대기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양태는,
차량의 차륜[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좌후륜(LWr), 우후륜(RWr)]과 동력원[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의 동력 전달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 전달 경로를 차단 상태와 접속 상태로 전환하는 액압 구동식의 단접 수단[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유압 브레이크(60)]과,
상기 단접 수단을 수용하는 케이스[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단접 수단의 액압실[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작동실(S)]에 액상 매체를 공급하기 위해, 전동기[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전동기(90)]에 의해 구동되는 액상 매체 공급 장치[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전동 오일 펌프(70)]를 구비하는 차량[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차량(3)]으로서,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는, 상기 전동기를 수용하는 전동기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전동기부(85)]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압송 기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트로코이드 펌프(86)]를 수용하는 압송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압송부(87)]를 갖고,
상기 차량은,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와 이격되어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소정의 용적 공간[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용적 공간(VS)]을 갖는 용적 부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브리더 박스(140)]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용적 부재의 상기 용적 공간은,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의 상기 전동기부의 내부에 연통함과 함께, 대기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양태는, 제1 양태 또는 2 양태에 기재된 구성에 덧붙여,
상기 용적 부재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양태는, 제3 양태에 기재된 구성에 덧붙여,
상기 케이스는, 상기 동력원 또는 상기 동력 전달 기구의 회전 축선을 통과하는 가상 수평면[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가상 수평면(H)]보다 하측에 상기 액상 매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스트레이너 수용실(105)]를 갖고,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는, 상기 가상 수평면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용적 부재는, 상기 가상 수평면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 양태는, 제1 양태∼4 양태에 기재된 구성에 덧붙여,
상기 전동기부, 상기 용적 부재, 및 상기 전동기부와 상기 용적 부재를 연통시키는 연통 부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호스(151)]로 구성되는 대기 연통로[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기 연통 기구(98), 대기 연통 기구(150)]에는, 기체의 통과를 허용함과 함께 액체 및 고체의 통과를 억제하는 기공막 부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기공막 부재(143)]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6 양태는, 제5 양태에 기재된 구성에 덧붙여,
상기 기공막 부재는, 상기 대기 연통로 중 상기 용적 부재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7 양태는, 제6 양태에 기재된 구성에 덧붙여,
상기 용적 부재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용적 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 부재(141)] 및 제2 부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덮개 부재(142)]를 갖고,
상기 기공막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협지되고, 상기 용적 공간을 전동기부측과 대기측으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8 양태는, 제1 양태∼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성에 덧붙여,
상기 전동기부는, 상기 전동기의 본체가 수용되는 본체 수용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본체 수용부(85a)]와, 상기 전동기의 제어 부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제어 부재(88)]를 수용하는 제어부 수용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제어부 수용부(85b)]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 수용부는, 연통 구멍[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연통 구멍(89)]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연통 구멍에는, 상기 전동기의 본체와 상기 제어 부재를 접속시키는 전선[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전선(9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9 양태는, 제1 양태∼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성에 덧붙여,
상기 케이스는, 상기 차량의 플로어 패널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0 양태는,
차량의 동력원[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과, 상기 차량의 차륜[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좌후륜(LWr), 우후륜(RWr)]과 동력원의 동력 전달 경로 상에 배치되는 동력 전달 기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 및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수용하는 케이스[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동력원의 피냉각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피냉각부(A1, B1)] 혹은 피윤활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피윤활부(A2, B2)], 또는 상기 동력 전달 기구의 피냉각부 혹은 피윤활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피윤활부(A3, B3)]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피냉윤부에 액상 매체를 공급하기 위해, 전동기[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전동기(90)]에 의해 구동되는 액상 매체 공급 장치[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전동 오일 펌프(70)]를 구비하는 차량[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차량(3)]으로서,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는, 상기 전동기를 수용하는 전동기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전동기부(85)]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압송 기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트로코이드 펌프(86)]를 수용하는 압송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압송부(87)]를 갖고,
상기 차량은,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의 상기 전동기부의 내부와 대기를 연통시키는 제1 대기 연통 기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대기 연통 기구(150)]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대기를 연통시키는 제2 대기 연통 기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대기 연통 기구(160)]를, 별개로 독립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1 양태는, 제10 양태에 기재된 구성에 덧붙여,
상기 케이스는, 상기 차량의 골격 부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13)]에 대하여, 지지 장치[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마운트 부재(13a, 13b)]를 통해 지지되고,
상기 제1 대기 연통 기구는,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의 상기 전동기부의 내부와 이격되어 상기 전동기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소정의 용적 공간[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용적 공간(VS)]을 갖는 용적 부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브리더 박스(140)]를 갖고,
상기 용적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2 양태는, 제10 양태 또는 11 양태에 기재된 구성에 덧붙여,
상기 제1 대기 연통 기구와 상기 제2 대기 연통 기구 중, 상기 제1 대기 연통 기구에만 기체의 통과를 허용함과 함께 액체 및 고체의 통과를 억제하는 기공막 부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기공막 부재(143)]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양태에 의하면, 액상 매체 공급 장치의 브리더로서의 용적 공간을,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와 별개 부재로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용적 부재에 의해 구성하기 때문에, 액상 매체 공급 장치에 대한 물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함과 함께, 상기 용적 공간을 보다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2 양태에 의하면, 액상 매체 공급 장치의 브리더로서의 용적 공간을,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와 별개 부재로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용적 부재에 의해 구성하기 때문에, 액상 매체 공급 장치에 대한 물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함과 함께, 상기 용적 공간을 보다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3 양태에 의하면, 용적 부재를 케이스에 고정함으로써, 케이스, 액상 매체 공급 장치, 및 용적 부재를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제4 양태에 의하면, 저류부를 하측에 배치함으로써 보다 많은 액상 매체를 회수·저류 가능하고, 상기 저류부에 근접하게 액상 매체 공급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공급 효율이 좋아진다. 또한, 액상 매체 공급 장치와 용적 부재 사이에 고저차가 더욱 부여되기 때문에 브리더로서의 기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양태에 의하면, 용적 부재 단체(單體)에 의한 액체의 침입 억제에 더하여, 기공막 부재에 의한 액체 및 고체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제6 양태에 의하면, 기공막 부재는, 용적 부재 내에 배치됨으로써, 대기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 가능하고, 기공막 부재보다 상류측으로의 액체 및 고체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제7 양태에 의하면, 액상 매체 공급 장치와 별개 부재인 용적 부재 내에, 그리고 또한, 상기 용적 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기공막 부재를 배치하기 때문에, 기공막 부재의 조립, 교환이 용이해진다.
제8 양태에 의하면, 통기 구멍을, 브리더로서의 내부의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과, 전선의 배선을 위한 공간으로서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제9 양태에 의하면, 케이스를 플로어 패널 하측에 배치함으로써, 플로어 패널 상측의 탑승자 공간·적재 공간을 확대할 수 있다.
제10 양태에 의하면, 액상 매체 공급 장치는 케이스에 고정되어 일체화되어 있지만, 케이스와 액상 매체 공급 장치에서는 대기 연통 기구에 요구하는 기능·성능이 상이하기 때문에, 제1 대기 연통 기구 및 제2 대기 연통 기구를 별개로 독립적으로 함으로써, 각각을 필요충분한 기능·성능으로 할 수 있다.
제11 양태에 의하면, 제1 대기 연통 기구는, 케이스와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즉, 케이스를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할 때에는, 지지 장치의 착탈 작업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2 대기 연통 기구를 케이스와 일체로 하는 것의 장점이 작지만, 액상 매체 공급 장치는, 케이스와 일체적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제1 대기 연통 기구는, 케이스와 일체적으로 취급하는 것의 장점이 크다.
제12 양태에 의하면, 기공막 부재는 제1 대기 연통 기구에만 개재되기 때문에, 기공막 부재에 의해 액체 및 고체의 침입이 억제될 수 있고, 또한, 제1 대기 연통 기구와 제2 대기 연통 기구를 병렬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기공막 부재도 최소한으로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의 일 실시형태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의 후륜 구동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후륜 구동 장치의 상부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구동 장치가 프레임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전동 오일 펌프가 제거된 후륜 구동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a는, 전동 오일 펌프가 부착된 덮개 부재를 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b는, 전동 오일 펌프가 부착된 덮개 부재를 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a의 VII-VII 선을 따른 전동 오일 펌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전동 오일 펌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대기 연통 기구 및 제2 대기 연통 기구를 포함하는 후륜 구동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제1 대기 연통 기구 및 제2 대기 연통 기구를 포함하는 후륜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1 대기 연통 기구 및 제2 대기 연통 기구를 포함하는 후륜 구동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브리더 박스(breeder box)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브리더 박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구동 장치는, 전동기를 차륜 구동용의 구동원으로 하는 것으로,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동 시스템의 차량에 이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량용 구동 장치를 후륜 구동용으로서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지만, 전륜 구동용에 이용해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차량(3)은, 내연 기관(4)과 전동기(5)가 직렬로 접속된 구동 장치(6)(이하, 전륜 구동 장치라고 함)를 차량 전방부에 갖는 하이브리드 차량이고, 이 전륜 구동 장치(6)의 동력이 트랜스미션(7)을 통해 전륜(Wf)에 전달되는 한편, 이 전륜 구동 장치(6)와 별도로 차량 후방부에 설치된 구동 장치(1)(이하, 후륜 구동 장치라고 함)의 동력이 후륜(Wr)(RWr, LWr)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전륜 구동 장치(6)의 전동기(5)와 후륜 구동 장치(1)의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는, 배터리(9)에 접속되고, 배터리(9)로부터의 전력 공급과, 배터리(9)에 대한 에너지 회생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서 부호 8은 차량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이다.
우선, 본 발명에 관련된 일 실시형태의 차량용 구동 장치에 관해서, 도 2∼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후륜 구동 장치(1)의 전체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상부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1은, 후륜 구동 장치(1)의 케이스이고, 케이스(11)는, 차폭 방향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앙 케이스(11M)와, 중앙 케이스(11M)를 사이에 두도록 중앙 케이스(11M)의 좌우에 배치되는 측방 케이스(11A, 11B)로 구성되고, 전체가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케이스(11)의 내부에는, 후륜(Wr)용의 차축(10A, 10B)과, 동력원으로서 차축 구동용의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와, 후륜(LWr, RWr)과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의 동력 전달 경로 상에 배치되어, 이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의 구동 회전을 감속하는 동력 전달 기구로서의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 및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제1 변속 및 제2 변속)가, 동일 축선 상에 각각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상기 차축(10A), 제1 전동기(2A) 및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는 좌후륜(LWr)을 구동 제어하고, 차축(10B), 제2 전동기(2B) 및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는 우후륜(RWr)을 구동 제어한다. 차축(10A), 제1 전동기(2A) 및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 그리고 차축(10B), 제2 전동기(2B) 및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는, 케이스(11) 내에서 차폭 방향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좌후륜(LWr)은, 제1 전동기(2A)에 대하여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우후륜(RWr)도, 제2 전동기(2B)에 대하여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와 반대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전동기(2A)와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는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배치되며, 또한, 제2 전동기(2B)와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는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배치됨으로써,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 및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는, 제1 전동기(2A)와 제2 전동기(2B) 사이에 배치된다.
측방 케이스(11A, 11B)의 중앙 케이스(11M)측에는, 각각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격벽(18A, 18B)이 설치되고, 측방 케이스(11A, 11B)와 격벽(18A, 18B) 사이에는, 각각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가 배치된다. 또한, 중앙 케이스(11M)와 격벽(18A, 18B)에 둘러싸인 공간에는,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 및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좌측방 케이스(11A)와 중앙 케이스(11M)는, 제1 전동기(2A) 및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11L)를 구성하고, 또한, 우측방 케이스(11B)와 중앙 케이스(11M)는, 제2 전동기(2B) 및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11R)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케이스(11L)는, 제1 전동기(2A)와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의 적어도 한쪽의 윤활 및/또는 냉각에 제공되는 액상 유체로서의 오일을 저류시키는 좌저류부(RL)를 갖고, 제2 케이스(11R)는, 제2 전동기(2B)와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의 적어도 한쪽의 윤활 및/또는 냉각에 제공되는 오일을 저류시키는 우저류부(RR)를 갖는다. 그리고, 케이스(1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지지 장치인 마운트 부재(13a, 13b)에 의해 차량 골격 부재인 서브 프레임(13)에 지지되고, 서브 프레임(13)을 통해 차량의 플로어 패널(floor panel; 도시하지 않음)의 하측에 고정된다. 또한, 후륜 구동 장치(1)는, 마운트 부재(13a, 13b)를, 케이스(11)[측방 케이스(11A, 11B)]의 전방 측면(11f)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보스부(11a)(도 5 참조)에 고정함으로써, 차량(3)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2∼도 11의 화살표는, 후륜 구동 장치(1)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후륜 구동 장치(1)에는, 케이스(1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브리더 장치(40)가 설치되어, 내부의 공기가 과도하게 고온·고압이 되지 않도록 브리더실(41)을 통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도록 구성된다. 브리더실(41)은, 케이스(11)의 연직 방향 상부에 배치되고, 중앙 케이스(11M)의 외벽과, 중앙 케이스(11M) 내에 좌측방 케이스(11A)측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 설치된 제1 원통벽(43)과, 우측방 케이스(11B)측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 설치된 제2 원통벽(44)과, 제1 원통벽(43) 및 제2 원통벽(44)의 내측 단부끼리를 잇는 좌우 분할벽(45)과, 제1 원통벽(43)의 좌측방 케이스(11A)측 선단부에 접촉하도록 부착된 배플 플레이트(47A)와, 제2 원통벽(44)의 우측방 케이스(11B)측 선단부에 접촉하도록 부착된 배플 플레이트(47B)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의해 구성된다.
브리더실(41)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1 원통벽(43) 및 제2 원통벽(44)과 좌우 분할벽(45)은, 제1 원통벽(43)이 제2 원통벽(44)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좌우 분할벽(45)은, 제2 원통벽(44)의 내측 단부로부터 직경 축소하면서 굴곡하여 제1 원통벽(43)의 내측 단부까지 연장 설치되고, 또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대략 수평으로 연장 설치된 제3 원통벽(46)에 도달한다. 제3 원통벽(46)은, 제1 원통벽(43)과 제2 원통벽(44) 양자의 외측 단부보다 내측에 또한 그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중앙 케이스(11M)에는, 배플 플레이트(47A, 47B)가, 제1 원통벽(43)과 중앙 케이스(11M)의 외벽 사이의 공간 또는 제2 원통벽(44)과 중앙 케이스(11M)의 외벽 사이의 공간을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 또는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로부터 각각 구획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케이스(11M)에는, 브리더실(41)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외부 연통 파이프(49)가 브리더실(41)의 연직 방향 상면에 끼워진다. 외부 연통 파이프(49)의 브리더실측 단부(49a)는, 연직 방향 하측을 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오일이 외부 연통 파이프(4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이 외부 연통 파이프(49)는, 호스(161)와 접속되어 있고, 호스(161)와 함께, 케이스(11)의 내부와 대기를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 기구(이하, 「대기 연통 기구」는, 대기 연통로, 브리더라고도 함)(160)를 구성하고 있다. 호스(161)의 선단(161a)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서브 프레임(13)의 폐단면을 갖는 중공부에 삽입 고정되고, 서브 프레임(13) 내에서 대기 연통하고 있다.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는, 스테이터(14A, 14B)가 각각 측방 케이스(11A, 11B)에 고정되고, 이 스테이터(14A, 14B)의 내주측에 환형의 로터(15A, 15B)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로터(15A, 15B)의 내주부에는 차축(10A, 10B)의 외주를 위요하는 원통축(16A, 16B)이 결합되고, 이 원통축(16A, 16B)이 차축(10A, 10B)과 동축 상에 상대 회전 가능해지도록 측방 케이스(11A, 11B)의 단부벽(17A, 17B)과 격벽(18A, 18B)에 베어링(19A, 19B)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원통축(16A, 16B)의 일단측의 외주로서 단부벽(17A, 17B)에는, 로터(15A, 15B)의 회전 위치 정보를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의 제어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 피드백하기 위한 리졸버(20A, 20B)가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터(14A, 14B), 및 로터(15A, 15B)를 포함하는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는, 동일 직경이 되고,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의 회전 축선은 동일 선(X) 상에 배치되고[이하, 부호 X를 회전 축선(X)에 부여함], 또한,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는 서로 경면 대칭으로 배치된다. 또한, 차축(10A) 및 원통축(16A)은, 제1 전동기(2A) 내를 관통하여, 제1 전동기(2A)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차축(10B) 및 원통축(16B)도, 제2 전동기(2B) 내를 관통하여, 제2 전동기(2B)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또한, 좌후륜(LWr)과 제1 전동기(2A)의 동력 전달 경로 상에 배치된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 및 우후륜(RWr)과 제2 전동기(2B)의 동력 전달 경로 상에 배치된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는, 선 기어(21A, 21B)와, 선 기어(21A, 21B)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링 기어(24A, 24B)와, 선 기어(21A, 21B) 및 링 기어(24A, 24B)에 맞물리는 복수의 플래니터리 기어(22A, 22B)와, 이들 플래니터리 기어(22A, 22B)를 지지하는 플래니터리 캐리어(23A, 23B)를 구비하고, 선 기어(21A, 21B)로부터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의 구동력이 입력되고, 감속된 구동력이 플래니터리 캐리어(23A, 23B)를 통하여 차축(10A, 10B)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선 기어(21A, 21B)는 원통축(16A, 16B)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래니터리 기어(22A, 22B)는, 선 기어(21A, 21B)에 직접 맞물리는 대직경의 제1 피니언(26A, 26B)과, 이 제1 피니언(26A, 26B)보다 소직경의 제2 피니언(27A, 27B)을 갖는 2련 피니언이고, 이들 제1 피니언(26A, 26B)과 제2 피니언(27A, 27B)이 동축으로 또한 축 방향으로 오프셋한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래니터리 기어(22A, 22B)는 니들 베어링(31A, 31B)을 통해 플래니터리 캐리어(23A, 23B)의 피니언 샤프트(32A, 32B)에 지지되고, 플래니터리 캐리어(23A, 23B)는, 축 방향 내측 단부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신장되어 차축(10A, 10B)에 스플라인 감합되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베어링(33A, 33B)을 통해 격벽(18A, 18B)에 지지되어 있다.
링 기어(24A, 24B)는, 그 내주면이 소직경의 제2 피니언(27A, 27B)에 맞물리는 기어부(28A, 28B)와, 기어부(28A, 28B)보다 소직경이며 케이스(11)의 중간 위치에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소직경부(29A, 29B)와, 기어부(28A, 28B)의 축 방향 내측 단부와 소직경부(29A, 29B)의 축 방향 외측 단부를 직경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0A, 30B)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어부(28A, 28B)는, 중앙 케이스(11M)의 좌우 분할벽(45)의 내경측 단부에 형성된 제3 원통벽(46)을 사이에 두고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소직경부(29A, 29B)는, 그 외주면이 각각 후술하는 일방향 클러치(50)의 이너 레이스(51)와 스플라인 감합하고, 링 기어(24A, 24B)는 일방향 클러치(50)의 이너 레이스(51)와 일체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측으로서, 케이스(11)를 구성하는 중앙 케이스(11M)의 제2 원통벽(44)과 링 기어(24B)의 기어부(28B) 사이에는, 링 기어(24B)에 접속되어 제동 수단을 구성하는 유압 브레이크(60)가 제1 피니언(26B)과 직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제2 피니언(27B)과 축 방향에서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압 브레이크(60)는, 제2 원통벽(44)의 내주면에 스플라인 감합된 복수의 고정 플레이트(35)와, 링 기어(24B)의 기어부(28B)의 외주면에 스플라인 감합된 복수의 회전 플레이트(36)가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이들 플레이트(35, 36)가 환형의 피스톤(37)에 의해 체결 및 해방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피스톤(37)은, 중앙 케이스(11M)의 좌우 분할벽(45)과 제3 원통벽(46) 사이에 형성된 환형의 실린더실에 진퇴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또한 제3 원통벽(46)의 외주면에 설치된 받이 시트(38)에 지지되는 탄성 부재(39)에 의해, 항상, 고정 플레이트(35)와 회전 플레이트(36)를 해방시키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또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 분할벽(45)과 피스톤(37) 사이는, 오일이 직접 도입되는 작동실(S)이 되고, 작동실(S)에 도입되는 오일의 압력이 탄성 부재(39)의 압박력을 이기면, 피스톤(37)이 전진(우측 이동)하여, 고정 플레이트(35)와 회전 플레이트(36)가 서로 가압되어 체결되게 된다. 또한, 탄성 부재(39)의 압박력이 작동실(S)에 도입되는 오일의 압력을 이기면, 피스톤(37)이 후진(좌측 이동)하여, 고정 플레이트(35)와 회전 플레이트(36)가 이격되게 함으로써 해방되게 된다. 또한, 유압 브레이크(60)는 액상 유체 공급 장치로서의 전동 오일 펌프(70)(도 4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이 유압 브레이크(60)의 경우, 고정 플레이트(35)는 케이스(11)를 구성하는 중앙 케이스(11M)의 좌우 분할벽(45)으로부터 신장되는 제2 원통벽(44)에 지지되는 한편, 회전 플레이트(36)는 링 기어(24B)의 기어부(28B)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양 플레이트(35, 36)가 피스톤(37)에 의해 가압되면, 양 플레이트(35, 36) 사이의 마찰 체결에 의해 링 기어(24B)에 제동력이 작용하여 고정된다. 그 상태로부터 피스톤(37)에 의한 체결이 해방되면, 링 기어(24B)의 자유로운 회전이 허용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링 기어(24A, 24B)는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압 브레이크(60)가 체결됨으로써 링 기어(24A)에도 제동력이 작용하여 고정되고, 유압 브레이크(60)가 해방됨으로써 링 기어(24A)도 자유로운 회전이 허용된다.
또한, 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링 기어(24A, 24B)의 연결부(30A, 30B) 사이에도 공간부가 확보되고, 그 공간부 내에, 링 기어(24A, 24B)에 대하여 한 방향의 동력만을 전달하고 다른 방향의 동력을 차단하는 일방향 클러치(50)가 배치되어 있다. 일방향 클러치(50)는, 이너 레이스(51)와 아우터 레이스(52) 사이에 다수의 스프래그(53)를 개재시킨 것으로서, 그 이너 레이스(51)가 스플라인 감합에 의해 링 기어(24A, 24B)의 소직경부(29A, 29B)와 일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아우터 레이스(52)는, 제3 원통벽(46)에 의해 위치 결정됨과 함께, 회전 방지되어 있다.
일방향 클러치(50)는, 차량(3)이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의 동력으로 전진할 때에 걸어 맞춤에 의해 링 기어(24A, 24B)의 회전을 잠그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방향 클러치(50)는,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측의 순방향[차량(3)을 전진시킬 때의 회전 방향]의 회전 동력이 후륜(Wr)측에 입력될 때에 걸어맞춤 상태가 되는 것과 함께,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측의 역방향의 회전 동력이 후륜(Wr)측에 입력될 때에 비-걸어맞춤 상태가 되고, 후륜(Wr)측의 순방향의 회전 동력이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측에 입력될 때에 비-걸어맞춤 상태가 되는 것과 함께, 후륜(Wr)측의 역방향의 회전 동력이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측에 입력될 때에 걸어맞춤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후륜 구동 장치(1)에서는,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와 후륜(Wr)의 동력 전달 경로 상에 일방향 클러치(50)와 유압 브레이크(60)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압 브레이크(60)는, 차량의 주행 상태나 일방향 클러치(50)의 걸어맞춤·비-걸어맞춤 상태에 따라, 전동 오일 펌프(70)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해방 상태, 약체결 상태, 체결 상태로 제어된다. 예컨대, 차량(3)이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의 역행 구동에 의해 전진할 때(저차속 시, 중차속 시)는, 일방향 클러치(50)가 체결되기 때문에 동력 전달 가능한 상태가 되지만 유압 브레이크(60)가 약체결 상태로 제어됨으로써,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측으로부터의 순방향의 회전 동력의 입력이 일시적으로 저하되어 일방향 클러치(50)가 비-걸어맞춤 상태가 된 경우에도,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측과 후륜(Wr)측에서 동력 전달 불능이 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차량(3)이 내연 기관(4) 및/또는 전동기(5)의 역행 구동에 의해 전진할 때(고차속 시)는, 일방향 클러치(50)가 비-걸어맞춤이 되고 또한 유압 브레이크가 해방 상태로 제어됨으로써,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의 과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차량(3)의 후진 시나 회생 시에는, 일방향 클러치(50)가 비-걸어맞춤이 되기 때문에 유압 브레이크(60)가 체결 상태로 제어됨으로써,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측으로부터의 역방향의 회전 동력이 후륜(Wr)측에 출력되거나, 또는 후륜(Wr)측의 순방향의 회전 동력이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측에 입력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케이스(11M)의 제1 원통벽(43) 및 제2 원통벽(44)과 좌우 분할벽(45)의 외주면은, 브리더실(41)을 형성하는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제1 원통벽(43) 및 제2 원통벽(44)과 좌우 분할벽(45)의 외주면에는, 그 축 방향 양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101, 10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원통벽(43) 및 제2 원통벽(44)과 좌우 분할벽(45)의 주위에서, 경사 전방 또한 하방에는, 한쌍의 돌출부(101, 102)와, 저벽(103)과, 상벽(104)에 의해 대략 사각통 형상으로 구획되고, 후술하는 스트레이너(71)를 수용하고, 오일을 저류시키는 저류부로서의 스트레이너 수용실(105)이 형성되어 있다. 스트레이너 수용실(105)을 형성하는 한쌍의 돌출부(101, 102)에는, 좌저류부(RL)와 스트레이너 수용실(105)을 연통시키는 관통 구멍(107a, 107b)과, 우저류부(RR)와 스트레이너 수용실(105)을 연통시키는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저류부(RL)과 우저류부(RR)는, 스트레이너 수용실(105)을 통해 연통한다.
이러한 스트레이너 수용실(105)을 구성하는, 한쌍의 돌출부(101, 102), 저벽(103), 및 상벽(104)의 선단면은, 덮개 부재 고정부(105b)를 이루고,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전방 개구부(105a)의 외연을 형성한다. 스트레이너 수용실(105)의 전방 개구부(105a)는, 전동 오일 펌프(70)가 부착되는 덮개 부재(72)에 의해 막혀 있다. 덮개 부재(72)에는, 케이스(11)의 덮개 부재 고정부(105b)와 대향하는 위치에, 대략 사각 형상의 단부면을 갖는 케이스 고정부(72a)가 형성된다.
도 5,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오일 펌프(70)는, 덮개 부재(72)에 형성된 케이스 고정부(72a)와, 스트레이너 수용실(105)의 전방 개구부(105a)에 형성된 덮개 부재 고정부(105b)를 복수의 볼트(106)에 의해 체결 고정함으로써, 스트레이너 수용실(105)의 전방 개구부(105a)에 부착된다. 따라서, 전동 오일 펌프(70)는, 덮개 부재(72)가 케이스(11)에 장착되어 전방 개구부(105a)를 폐색한 폐색 상태에서, 덮개 부재(72)보다 케이스(11)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덮개 부재(72)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폐색 상태에서, 덮개 부재(72)보다 케이스의 내측에는, 유로(流路) 형성 부재로서의 유로(油路) 형성 커버(96)가 덮개 부재(7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볼트(69)에 의해 덮개 부재(72)에 고정되어 있다. 유로 형성 커버(96)는, 덮개 부재(72)와 함께, 유압 회로의 유로(油路)의 일부를 구획한다. 덮개 부재(72)와 유로 형성 커버(96) 사이에는, 아래로부터 순서대로, 후술하는 저압 유로 전환 밸브(73), 브레이크 유로 전환 밸브(74), 릴리프 밸브(8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72)의 유로 형성 커버(96)와 반대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어 있고, 통전에 의해, 저압 유로 전환 밸브(73)와 브레이크 유로 전환 밸브(74) 사이에 설치된 파일럿 유로의 연통·차단을 행한다.
또한, 스트레이너(71)는, 그 배출구(71a)가 덮개 부재(72)에 삽입되고, 유로 형성 커버(96)를 덮개 부재(72)에 체결하는 볼트(69)로 함께 체결됨으로써, 덮개 부재(72)에만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스트레이너(71)는, 그 하면에 형성된 흡입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흡입된 오일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오일은, 전동 오일 펌프(70)로 보내진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전동 오일 펌프(70) 및 덮개 부재(72)와 함께 오일 흡입로(94)를 구성하는 스트레이너(71)는, 덮개 부재(72)의 케이스 고정부(72a)보다 케이스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스트레이너(71)의 흡입구는, 덮개 부재(72)가 케이스(11)에 고정된 부착 상태에 있어서, 스트레이너 수용실(105)의 저류부 내에 위치한다.
또한, 전동 오일 펌프(70) 및 덮개 부재(72)는 오일 토출로(95)를 구성하고 있고, 후술하는 전동 오일 펌프(70)의 압송부(87)로부터 압송된 오일을 덮개 부재(72)와 유로 형성 커버(96) 사이에 형성된 유압 회로로 보낸다.
유로 형성 커버(96)에는, 스트레이너 수용실(105) 내에서, 중앙 케이스(11M)의 외주면에 형성된, 후술하는 브레이크 유로의 작동실용 포트(108a)와, 피냉윤부를 윤활하기 위한, 유로의 냉각/윤활용 포트(108b)에 각각 접속되는, 2개의 출구 파이프(97a, 97b)가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11)에는, 작동실용 포트(108a)로부터 유압 브레이크(60)의 작동실(S)까지 연통하는 브레이크 유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전동 오일 펌프(70)로부터 토출된 오일이 공급된다. 또한, 케이스(11)에는, 냉각/윤활용 포트(108b)로부터 중앙 케이스(11M)의 전방부에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연직 유로(109)와, 전방 연직 유로(109)로부터 분기되는 좌측 케이스 유로(110A) 및 우측 케이스 유로(110B)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케이스 유로(110A)는, 이 좌측 케이스 유로(110A)를 통과하는 오일이, 제1 전동기(2A)의 피냉각부(A1)[예컨대, 제1 전동기(2A)의 스테이터(14A)의 코일]를 냉각시키고, 또한, 제1 전동기(2A)의 피윤활부(A2)[예컨대, 제1 전동기(2A)의 베어링(19A)]를 윤활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차축(10A)에 형성된 좌측 차축 유로(111A)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좌측 차축 유로(111A)를 통과하는 오일은,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의 피윤활부(A3)[예컨대,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의 니들 베어링(31A)이나 각 기어(21A, 22A, 23A, 24A)의 맞물림 부분 등]를 윤활시킨다.
또한, 우측 케이스 유로(110B)도, 이 우측 케이스 유로(110B)를 통과한 오일이, 제2 전동기(2B)의 피냉각부(B1)[예컨대, 제2 전동기(2B)의 스테이터(14B)의 코일]를 냉각시키고, 또한, 제2 전동기(2B)의 피윤활부(B2)[예컨대, 제2 전동기(2B)의 베어링(19B)]를 윤활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차축(10B)에 형성된 우측 차축 유로(111B)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우측 차축 유로(111B)를 통과하는 오일은,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의 피윤활부(B3)[예컨대,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의 니들 베어링(31B)이나 각 기어(21B, 22B, 24B)의 맞물림 부분 등]를 윤활시킨다.
따라서, 케이스(11) 내에 형성되는 전방 연직 유로(109), 좌측 케이스 유로(110A), 좌측 차축 유로(111A)는, 제1 전동기(2A)의 피냉각부(A1)와 피윤활부(A2), 및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의 피윤활부(A3)를 냉각시키는 제1 냉윤 유로(流路)(130A)를 구성하고, 케이스(11) 내에 형성되는 전방 연직 유로(109), 우측 케이스 유로(110B), 우측 차축 유로(111B)는, 제2 전동기(2B)의 피냉각부(B1)와 피윤활부(B2), 및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의 피윤활부(B3)를 냉각시키는 제2 냉윤 유로(流路)(130B)를 구성한다.
또한, 도 6a∼도 8로 되돌아와, 전동 오일 펌프(70)는, 포지션센서리스·브러시리스 직류 모터로 이루어지는 전동기(90)를 수용하는 전동기부(85)와, 전동기(90)에 의해 구동되는 트로코이드 펌프(86)를 수용하는 압송부(87)를 갖는다. 이 전동 오일 펌프(70)는, 고압 모드와 저압 모드의 적어도 2개의 모드로 운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PID 제어로 제어되게 된다. 압송부(87)는 오일 흡입로(94) 및 오일 토출로(95)의 하측에 설치되고, 전동기(90)의 회전축(90a)에 연결된 이너 로터(86a)와, 아우터 로터(86b)를 회전시킴으로써 토출량을 조정하면서, 스트레이너(71)로부터 오일 흡입로(94)에 유입된 오일을 오일 토출로(95)에 토출한다.
전동기부(85)는, 전동기(90)가 수용되는 본체 수용부(85a)와, 본체 수용부(85a)보다 상측에서, 전동기(90)의 제어 부재(88)를 수용하는 제어부 수용부(85b)를 갖는다. 본체 수용부(85a)와 제어부 수용부(85b)는, 칸막이 부재(99)에 형성된 연통 구멍(89)에 의해 연통되어 있고, 이 연통 구멍(89)에는, 전동기(90)와 제어 부재(88)를 접속시키는 전선(91)이 배치되어 있다.
전동 오일 펌프(70)에는, 그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 기구(98)가 설치되고, 내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본체 수용부(85a)의 내부의 공기를 연통 구멍(89) 및 제어부 수용부(85b)를 통해 외부로 빼내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 수용부(85b)의 상부에는, 외부 연통 파이프(92)가 끼워져 있고, 외부 연통 파이프(92)에는,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스(151)가 접속되고, 호스(151)의 타단측에는, 브리더 박스(140)가 부착되어 있다. 즉, 외부 연통 파이프(92), 호스(151), 및 브리더 박스(140)는, 전동기부(85)의 내부와 대기를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 기구(150)를 구성하고, 대기 연통 기구(150)는, 전술한 대기 연통 기구(160)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브리더 박스(140)는, 전동 오일 펌프(70)와 이격되어 전동 오일 펌프(7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케이스(11)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즉, 도 5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 수용실(105)은, 보다 많은 오일을 회수·저류하도록,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나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 및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의 회전 축선(X)을 통과하는 가상 수평면(H)보다 하측에 오일을 저류하고, 또한, 전동 오일 펌프(70)는, 스트레이너 수용실(105)에 근접하여 오일의 공급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가상 수평면(H)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한편, 브리더 박스(140)는, 가상 수평면(H)보다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전동 오일 펌프(70)와 브리더 박스(140) 사이에 고저차가 더욱 부여되어, 브리더로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브리더 박스(140)는, 케이스(11)에만 고정되기 때문에, 후륜 구동 장치(1)를 서브 프레임(13)에 대하여 착탈할 때에, 후륜 구동 장치(1)와 브리더 박스(140)를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브리더 박스(140)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리더 박스(140)를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141) 및 덮개 부재(142)를 갖고, 서로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소정의 용적 공간(VS)을 형성한다. 이 용적 공간(VS)은, 용적 공간(VS) 내의 통로의 일단부가 되는 케이스 부재(141)의 제1 관부(141a)에 호스(151)를 접속함으로써, 전동 오일 펌프(70)의 전동기부(85)의 내부에 연통함과 함께, 용적 공간(VS) 내의 통로의 타단부가 되는 케이스 부재(141)의 제2 관부(141b)를 대기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 전동 오일 펌프(70)와 별개 부재로 더욱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브리더 박스(140)에 의해 전동 오일 펌프(70)의 브리더 용적실을 구성하기 때문에, 대기 연통 기구(98)에 대한 물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함과 함께, 브리더 용적실을 보다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용적 공간(VS) 내의 통로 도중에는, 케이스 부재(141)와 덮개 부재(142)에 의해 협지되는 기공막 부재(143)가 배치되어 있다. 기공막 부재(143)는, 기체의 통과를 허용함과 함께 액체 및 고체의 통과를 억제하는 부재로, 용적 공간(VS)을 전동기부측과 대기측으로 구획한다. 또한, 기공막 부재(143)는, 대기 연통 기구(98, 150) 중, 브리더 박스(140) 내에 배치됨으로써, 대기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기공막 부재(143)보다 상류측으로의 액체 및 고체의 침입을 억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후륜 구동 장치(1)에 의하면, 전동 오일 펌프(70)와 이격되어 전동 오일 펌프(7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소정의 용적 공간(VS)을 갖는 브리더 박스(140)를 더욱 구비하고, 브리더 박스(140)의 용적 공간(VS)은, 전동 오일 펌프(70)의 전동기부(85)의 내부에 연통함과 함께, 대기 연통한다. 이에 따라, 전동 오일 펌프(70)와 별개 부재로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브리더 박스(140)에 의해 전동 오일 펌프(70)의 브리더로서의 용적 공간(VS)을 구성하기 때문에, 대기 연통 기구(98)에 대한 물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함과 함께, 용적 공간(VS)을 보다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브리더 박스(140)는, 케이스(11)에 고정되기 때문에, 케이스(11), 전동 오일 펌프(70), 및 브리더 박스(140)를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는,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 또는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 및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의 회전 축선(X)을 통과하는 가상 수평면(H)보다 하측에 오일을 저류하는 스트레이너 수용실(105)을 갖고, 전동 오일 펌프(70)는, 가상 수평면(H)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브리더 박스(140)는, 가상 수평면(H)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스트레이너 수용실(105)을 하측에 배치함으로써 보다 많은 오일을 회수·저류 가능하게 되고, 스트레이너 수용실(105)에 근접하게 전동 오일 펌프(70)를 배치함으로써 공급 효율이 좋아진다. 또한, 전동 오일 펌프(70)와 브리더 박스(140) 사이에 고저차가 더욱 부여되기 때문에 브리더로서의 기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동기부(85), 브리더 박스(140), 및 전동기부(85)와 브리더 박스(140)를 연통하는 호스(151)로 구성되는 대기 연통로(98, 150)에는, 기체의 통과를 허용함과 함께 액체 및 고체의 통과를 억제하는 기공막 부재(143)가 개재된다. 이에 따라, 브리더 박스(140) 단체(單體)에 의한 액체의 침입 억제에 더하여, 기공막 부재(143)에 의해 액체 및 고체의 침입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기공막 부재(143)는, 대기 연통로 내에서 브리더 박스(140)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기공막 부재(143)는, 대기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 가능하고, 기공막 부재(143)보다 상류측으로의 액체 및 고체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브리더 박스(140)는, 서로 결합되어 브리더 박스(140)를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141) 및 덮개 부재(142)를 갖고, 기공막 부재(143)는, 케이스 부재(141)와 덮개 부재(142)에 의해 협지되며, 용적 공간(VS)을 전동기부측과 대기측으로 구획한다. 이에 따라, 전동 오일 펌프(70)와 별개 부재인 브리더 박스(140) 내에, 그리고 또한, 브리더 박스(140)를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141) 및 덮개 부재(142) 사이에 기공막 부재(143)를 배치하기 때문에, 기공막 부재(143)의 조립, 교환이 용이해진다.
또한, 전동기부(85)는, 전동기(90)가 수용되는 본체 수용부(85a)와, 전동기(90)의 제어 부재(88)를 수용하는 제어부 수용부(85b)를 포함하고, 본체 수용부(85a)와 제어부 수용부(85b)는, 연통 구멍(89)에 의해 연통되고, 연통 구멍(89)에는, 전동기(90)와 제어 부재(88)를 접속시키는 전선(91)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연통 구멍(89)은, 대기 연통 기구(98)의 내부의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과, 전선(91)의 배선을 위한 공간으로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는, 차량의 플로어 패널보다 하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플로어 패널 상측의 탑승자 공간·적재 공간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후륜 구동 장치(1)는, 전동 오일 펌프(70)의 전동기부(85)의 내부와 대기를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 기구(150)와, 케이스(11)의 내부와 대기를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 기구(160)를, 별개로 독립적으로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전동 오일 펌프(70)는 케이스(11)에 고정되어 후륜 구동 장치(1)와 일체화되어 있지만, 후륜 구동 장치(1)와 전동 오일 펌프(70)에서는 브리더 기구에 요구하는 기능·성능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 대기 연통 기구(150, 160)를 별개로 독립적으로 함으로써, 각각의 대기 연통 기구(150, 160)가 필요·충분한 기능·성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13)에 대하여, 마운트 부재(13a, 13b)를 통해 지지된다. 대기 연통 기구(150)는, 전동 오일 펌프(70)의 전동기부(85)의 내부와 이격되어 상기 전동기부(85)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소정의 용적 공간(VS)을 갖는 브리더 박스(140)를 갖고, 브리더 박스(140)는, 케이스(11)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대기 연통 기구(150)는, 후륜 구동 장치(1)와 일체적으로 취급될 수 있다. 즉, 후륜 구동 장치(1)의 브리더 장치(40)는, 처음에 후륜 구동 장치 본체를 서브 프레임(13)에 대하여 착탈할 때에는, 마운트 부재(13a, 13b)의 착탈 작업이 발생하기 때문에, 대기 연통 기구(160)는 후륜 구동 장치(1)와 일체로 하는 것의 장점은 작지만, 전동 오일 펌프(70)는, 후륜 구동 장치(1)와 일체적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대기 연통 기구(150)는, 후륜 구동 장치(1)와 일체적으로 취급하는 것의 장점이 크다.
또한, 대기 연통 기구(150)와 대기 연통 기구(160) 중, 대기 연통 기구(150)에만 기체의 통과를 허용함과 함께 액체 및 고체의 통과를 억제하는 기공막 부재(143)가 개재된다. 이에 따라, 기공막 부재(143)에 의해 액체 및 고체의 침입이 억제될 수 있고, 또한, 대기 연통 기구(150)와 대기 연통 기구(160)를 병렬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기공막 부재(143)를 최소한으로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기공막 부재(143)는 브리더 박스(140) 내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동기부(85), 브리더 박스(140), 및 전동기부(85)와 브리더 박스(140)를 연통시키는 호스(151)로 구성되는 대기 연통로 중 어느 것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액상 매체 공급 장치가, 각 매체 유로(流路)를 통해, 액압 구동식의 단접 수단의 액압실과, 동력원의 피냉각부 혹은 피윤활부 또는 동력 전달 기구의 피냉각부 혹은 피윤활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피냉윤부의 양쪽에, 액상 매체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액상 매체 공급 장치가, 상기 액압실과 상기 피냉윤부 중 어느 것에 액상 매체를 공급하는 구성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전륜 구동 장치(6)는 내연 기관(4)을 이용하지 않고 전동기(5)를 유일한 구동원으로 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좌측방 케이스(11A)와 중앙 케이스(11M)로 제1 케이스(11L)를 구성하고, 또한, 우측방 케이스(11B)와 중앙 케이스(11M)로 제2 케이스(11R)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케이스(11L)는, 제1 전동기(2A) 및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12A)를 수용하고, 좌저류부(RL)를 갖는 것이면,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리고 또한, 제2 케이스(11R)는, 제2 전동기(2B) 및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12B)를 수용하고, 우저류부(RR)를 갖는 것이면,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좌차륜과 제1 전동기(2A)의 동력 전달 경로 상에 제1 변속기가 배치되고, 우차륜과 제2 전동기(2B)의 동력 전달 경로 상에 제2 변속기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제1 변속기 및 제2 변속기를 갖지 않고, 제1 전동기(2A) 및 제2 전동기(2B)를 갖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 윤활에 제공되는 액상 유체로서 오일을 이용했지만, 다른 액체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본 출원은, 2013년 12월 2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13-249618)에 기초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1: 후륜 구동 장치(차량용 구동 장치), 2A: 제1 전동기(동력원), 2B: 제2 전동기(동력원), 3: 차량, 11: 케이스, 12A: 제1 유성 기어식 감속기(동력 전달 기구), 12B: 제2 유성 기어식 감속기(동력 전달 기구), 70: 전동 오일 펌프(액상 유체 공급 장치), 85: 전동기부, 85a: 본체 수용부, 85b: 제어부 수용부, 86: 트로코이드 펌프(압송 기구), 87: 압송부, 88: 제어 부재, 89: 연통 구멍, 90: 전동기, 91: 전선, 98: 대기 연통 기구, 105: 스트레이너 수용실(저류부), 140: 브리더 박스(용적 부재), 141: 케이스 부재(제1 부재), 142: 덮개 부재(제2 부재), 143: 기공막 부재, 150: 대기 연통 기구(제1 대기 연통 기구), 151: 호스(연통 부재), 160: 대기 연통 기구(제2 대기 연통 기구), H: 가상 수평면, LWr: 좌후륜(차륜), RWr: 우후륜(차륜)

Claims (12)

  1. 차량의 동력원과, 차량의 차륜과 차량의 동력원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 상에 배치되는 동력 전달 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동력원의 피냉각부 혹은 피윤활부, 또는 상기 동력 전달 기구의 피냉각부 혹은 피윤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피냉각부 혹은 피윤활부에 액상 매체를 공급하기 위해,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액상 매체 공급 장치
    를 구비하는 차량으로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차량의 골격 부재(framework member) 상에, 지지 장치를 통해 지지되며,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는, 상기 전동기를 수용하는 전동기부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압송 기구를 수용하는 압송부를 갖고,
    상기 차량은,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의 전동기부의 내부와 대기를 연통시키는 제1 대기 연통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대기 연통 기구는,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사전에 정해진 용적 공간을 갖는 용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적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대기 연통 기구는 상기 용적 부재를 통해 대기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제1 대기 연통 기구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대기를 연통시키는 제2 대기 연통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대기 연통 기구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부재를 구비하며, 이 부재의 케이스에 대향하는 단부는 폐단면을 갖는 골격 부재의 중공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대기 연통 기구는 상기 중공부를 통해 대기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기 연통 기구와 상기 제2 대기 연통 기구 중, 상기 제1 대기 연통 기구에만 기공막 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기공막 부재는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반면 액체 및 고체의 통과를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동력원 또는 상기 동력 전달 기구의 회전 축선을 통과하는 가상 수평면보다 하측에 상기 액상 매체를 저류하는 저류부를 갖고,
    상기 액상 매체 공급 장치는 상기 가상 수평면보다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용적 부재는 상기 가상 수평면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막 부재는, 상기 대기 연통 기구에서 상기 용적 부재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적 부재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용적 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갖고,
    상기 기공막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협지되고, 상기 용적 공간을 전동기부측과 대기측으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부는, 상기 전동기의 본체가 수용되는 본체 수용부와, 상기 전동기의 제어 부재를 수용하는 제어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 수용부는, 연통 구멍에 의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연통 구멍에는, 상기 전동기의 본체와 상기 제어 부재를 접속시키는 전선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차량의 플로어 패널(floor panel)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7014424A 2013-12-02 2014-12-02 차량 KR101953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49618 2013-12-02
JP2013249618 2013-12-02
PCT/JP2014/081868 WO2015083700A1 (ja) 2013-12-02 2014-12-02 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007A KR20160093007A (ko) 2016-08-05
KR101953448B1 true KR101953448B1 (ko) 2019-02-28

Family

ID=5327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424A KR101953448B1 (ko) 2013-12-02 2014-12-02 차량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09186B2 (ko)
EP (1) EP3078534B1 (ko)
JP (1) JP5933856B2 (ko)
KR (1) KR101953448B1 (ko)
CN (1) CN105829157B (ko)
CA (1) CA2931868A1 (ko)
MY (1) MY188847A (ko)
WO (1) WO20150837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69629B1 (en) * 2013-03-15 2020-08-19 Linamar Corporation Hybrid ax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9561713B2 (en) * 2014-12-28 2017-02-07 Skylar Netherland Systems and methods for a mounting device for vehicles
CN104943633B (zh) * 2015-06-25 2017-09-0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零部件用通气结构
US10207751B2 (en) 2016-05-09 2019-02-19 Nikola Motor Company Llc Motor gearbox assembly
JP6250081B2 (ja) * 2016-02-25 2017-12-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ブリーザ装置
WO2018008141A1 (ja) 2016-07-08 2018-01-11 Gkn ドライブライン ジャパン株式会社 動力伝達装置
DE102016218774A1 (de) 2016-09-28 2018-03-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m Kraftfahrzeuggetriebegehäuse mit Entlüftung
DE102016220414A1 (de) * 2016-10-18 2018-04-19 Audi Ag Fahrzeugachse für ein Kraftfahrzeug
US11338660B2 (en) * 2017-11-10 2022-05-24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Modular head assembly for an electric axle
US10895320B2 (en) 2017-11-17 2021-01-19 Aisin Aw Co., Ltd. Vehicle drive device
DE102017223491A1 (de) 2017-12-21 2019-06-27 Audi Ag Elektromaschinenanordnung
DE102018215934A1 (de) * 2018-09-19 2020-03-19 ZF Drivetech (Suzhou) Co.Ltd. Achsantrieb
DE102019126269A1 (de) * 2019-09-30 2021-04-01 Audi Ag Druckausgleichsanordnung
EP4086480A4 (en) * 2019-12-30 2023-09-13 Jatco Ltd POWER TRANSMISSION DEVICE
JP7463775B2 (ja) 2020-03-13 2024-04-09 ニデックパワートレイ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ポンプ
DE102021111907A1 (de) * 2021-05-07 2022-11-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ruckausgleichsanordnung sowie elektrische Maschine
JP2023071548A (ja) * 2021-11-11 2023-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潤滑構造
KR20240040877A (ko) 2022-09-22 2024-03-2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캐빈형 농작업차
JP7414105B1 (ja) 2022-09-27 2024-01-16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の組付方法
US11787551B1 (en) 2022-10-06 2023-10-17 Archer Aviation, In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electric engine configuration
CN116455119B (zh) * 2023-04-19 2023-10-31 扬州市华天电机有限公司 一种防护型直流电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3537A (ja) 2003-05-28 2004-12-16 Aisin Seiki Co Ltd 電動ポンプ
JP2012257347A (ja) 2011-06-07 2012-12-2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駆動装置
JP2013108514A (ja) 2011-11-17 2013-06-06 Honda Motor Co Ltd ブリー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463U (ja) * 1981-12-14 1984-03-03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 モ−タの呼吸装置
JPS626487U (ko) * 1985-06-26 1987-01-16
JPS626487A (ja) 1985-07-01 1987-01-13 Nec Corp 複数デ−タビツト構成のメモリic
JPH0412646A (ja) * 1990-04-27 1992-01-17 Taiyo Ltd 液浸型電動機
JPH0515656U (ja) * 1991-08-02 1993-02-26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の呼吸装置
JP2589333Y2 (ja) * 1992-08-07 1999-01-27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2603328Y2 (ja) * 1993-10-29 2000-03-06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ブリーザ
JP3600320B2 (ja) * 1995-08-10 2004-12-15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パワートレーンのエアブリーザー構造
US7036892B2 (en) * 2003-05-28 2006-05-02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Electric powered pump
US7462963B2 (en) * 2004-11-30 2008-12-09 Nissan Motor Co., Ltd. Motor cooling device and cooling method
US20080099258A1 (en) * 2006-10-26 2008-05-01 Berhan Michael T Vented sealed housing assembly for vehicle powertrain
AU2008283583B2 (en) * 2007-07-30 2011-03-03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Running driver of working vehicle
JP5032515B2 (ja) * 2009-01-28 2012-09-26 日立建機株式会社 走行減速機用潤滑油の冷却装置
JP5414636B2 (ja) * 2010-08-24 2014-0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US8727052B2 (en) * 2011-02-24 2014-05-20 Deere & Company Dry axle center section
US8485289B2 (en) * 2011-02-24 2013-07-16 Deere & Company Air pressure regulated axle sump
WO2012169542A1 (ja) * 2011-06-07 2012-1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JP5638050B2 (ja) * 2012-10-05 2014-12-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3537A (ja) 2003-05-28 2004-12-16 Aisin Seiki Co Ltd 電動ポンプ
JP2012257347A (ja) 2011-06-07 2012-12-2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駆動装置
JP2013108514A (ja) 2011-11-17 2013-06-06 Honda Motor Co Ltd ブリー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083700A1 (ja) 2017-03-16
EP3078534A1 (en) 2016-10-12
US20160297385A1 (en) 2016-10-13
EP3078534A4 (en) 2017-07-26
EP3078534B1 (en) 2019-08-28
US9809186B2 (en) 2017-11-07
KR20160093007A (ko) 2016-08-05
CN105829157B (zh) 2019-05-10
CN105829157A (zh) 2016-08-03
MY188847A (en) 2022-01-09
JP5933856B2 (ja) 2016-06-15
CA2931868A1 (en) 2015-06-11
WO2015083700A1 (ja)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448B1 (ko) 차량
KR101520215B1 (ko) 차량용 구동 장치
JP5487317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5638050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5509289B2 (ja) 車両用駆動装置
CN103167967A (zh) 电动车辆驱动系统
JP5398788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5647946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5750501B2 (ja) 電動機
JP5449279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5771663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6228841B2 (ja) 動力装置
JP5581362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5732305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6232268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6200790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6163423B2 (ja) 動力装置
JP6813957B2 (ja) 電動機ユニット
JP2017169409A (ja) 車両用駆動装置
JP5509288B2 (ja) 車両用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