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703B1 -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703B1
KR101952703B1 KR1020190004141A KR20190004141A KR101952703B1 KR 101952703 B1 KR101952703 B1 KR 101952703B1 KR 1020190004141 A KR1020190004141 A KR 1020190004141A KR 20190004141 A KR20190004141 A KR 20190004141A KR 101952703 B1 KR101952703 B1 KR 101952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iquid
coupling plate
pipe
primary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식
김정화
Original Assignee
이영식
김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식, 김정화 filed Critical 이영식
Priority to KR1020190004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703B1/ko
Priority to CN201911092078.XA priority patent/CN111434388B/zh
Priority to TW108146009A priority patent/TWI721714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3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veral spray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 내 걸러진 이물질에 의해 도포액이 갈라져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글래스에 도포액이 불균일하게 도포되어 발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품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에 관한 것으로, 이물질에 의해 2차관로에 부분적인 막힘이 발생하더라도 3차관로를 통과한 도포액이 버퍼부에 일시적으로 모였다가 토출구를 통해 갈라짐 없이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도포액이 글래스의 표면에 고르고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품질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 {In-shower Knife for Display Glass Surface Spread}
본 발명은 인샤워 나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로 내 걸러진 이물질에 의해 도포액이 갈라져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글래스에 도포액이 불균일하게 도포되어 발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품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사이사이에 세정공정을 진행하거나, 약품의 도포 공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글래스 표면에 물이나 약품의 도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물이나 약품을 도포하는 공정은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세정, 에처, 스트립, 현상공정 등을 거치면서 여러번 반복되며, 글래스 표면에 도포할 때 전체 면적에 걸쳐서 고르고 균일하게 도포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물이나 약품의 도포는 제조 공정상 배치된 인샤워 나이프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물질에 의해 내부 관로가 막히게 되면 물이나 약품의 토출 시 도포액이 글래스에 균일하게 펼쳐지지 못하고 산발적으로 갈라짐이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글래스의 표면에 도포액이 제대로 묻고, 안묻고의 차이에 따라 글래스 표면의 명암 차이에 따른 얼룩이 발생하여 생산된 디스플레이 품질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도포액이 공급되는 인렛을 2개 형성하고, 내부에 2개의 빈 공간인 버퍼를 두어 버퍼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인샤워 나이프가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설치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포액이 이동하는 관로와 토출구의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이물질이 관로에 걸리는 경우 막힘이 발생하고, 막힘이 발생한 부분으로 인하여 토출구에서 도포액이 갈라져서 나오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이물질로 인해 도포액을 글래스 표면에 고르고 균일하게 도포할 수 없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품질 불량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KR 10-1703212 B1 KR 10-2010-0055787 A KR 10-2013-0038124 A
본 발명의 목적은 도포액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공급되더라도, 관로에서 이물질을 걸러주고, 도포액이 버퍼를 통과하면서 토출구를 통해 균일하게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글래스 표면상에 도포액을 고르고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므로, 도포액의 불규칙한 도포로 인한 디스플레이의 품질 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결합판(100)과, 상기 제1결합판(100)과 밀착 결합되는 제2결합판(200)과, 상기 제1결합판(100)과 상기 제2결합판(200)이 밀착된 경계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도포액(20)에 포함된 이물질(40)을 걸러주고, 상기 도포액(20)을 글래스(30)의 표면을 향해 토출해주는 도포부(300)와, 상기 제1결합판(100) 또는 상기 제2결합판(200)에 설치되어 상기 도포부(300)의 내부로 상기 도포액(20)을 공급해주는 인렛(400)이 포함된 인샤워 나이프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300)는, 상기 인렛(400)과 연결되어 상기 도포액(20)이 인입되는 1차관로(310)와; 상기 1차관로(310)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도포액(20)이 복수의 통로로 나뉘어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통과하는 2차관로(320)와; 상기 2차관로(320)의 하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도포액(20)이 하나의 통로로 합쳐져서 통과하는 3차관로(330)와; 상기 3차관로(330)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파여진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포액(20)이 일시적으로 모이는 버퍼역할을 하는 버퍼부(340)와; 상기 버퍼부(340)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단이 개방되어 상기 도포액(20)이 상기 글래스(30)의 표면을 향해 토출되는 토출구(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1차관로(310)의 간격(d1)은 상기 2차관로(320)의 복수의 통로 중 어느 하나의 간격(d2)보다 크고, 상기 2차관로(320)의 복수의 통로 간격(d2)의 총합보다 작게 형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2차관로(320)는 상부 중앙이 상기 1차관로(310)의 하단과 연결되되, 단면 형상이 원형링, 삼각링, 사각링 또는 다각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버퍼부(340)는 단면 형상이 원형, 삼각, 사각 또는 다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2차관로(320)는, 상부 중앙이 상기 1차관로(310)와 연결되며, 단면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2차관로(320)의 내측에는 중앙을 가로지르는 관로플레이트(500)가 설치되되, 상기 관로플레이트(500)는 단면이 상기 2차관로(3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둘레 간격이 내측으로 오프셋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포액(20)이 복수의 통로 나뉘어 유입되면서 상기 이물질(40)을 걸러준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3차관로(330)와 토출구(350)의 간격은, 상기 1차관로(310)의 간격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이물질(40)에 의해 2차관로(320)에 부분적인 막힘이 발생하더라도 3차관로(330)를 통과한 도포액(20)이 버퍼부(340)에 일시적으로 모였다가 토출구(350)를 통해 갈라짐 없이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도포액(20)이 글래스(30)의 표면에 고르고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품질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1차관로(310)의 간격(d1)이 복수의 통로로 형성된 각 2차관로(320)의 간격(d2)보다 크게 형성되며, 복수의 통로로 형성된 2차관로(320)의 간격(d2)의 총합보다 작게 형성되어 2차관로(320)의 간격(d2)보다 큰 크기의 이물질(40)을 걸러주어 이물질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잡아주면서 도포액(20)을 버퍼부(340)에 일시적으로 모이도록 하며, 버퍼부(340)에 모인 도포액(20)이 내부 압력에 의해 손쉽게 토출구(350)를 통해 토출되어 글래스(30)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의 이등각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에서 이물질(40)이 걸러지는 것을 나타낸 삼등각 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의 이등각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의 정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서 인렛(40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제1결합판(100)은 피고정물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가 길고 얇은 직사각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피고정물은 제조 공정에 배치된 지지대나 고정대를 의미한다. 제1결합판(100)은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글래스에 물 또는 약품 등의 도포액(20)의 필요한 공정에 배치된다. 이때 제1결합판(100)의 횡 방향 길이는 적용되는 글래스의 횡 방향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결합판(100)의 상부와 하부에는 일렬횡대로 이격된 복수의 제1나사홈(110)이 형성된다. 제1나사홈(110)에는 고정나사(10)가 나사 결합된다. 고정나사(10)의 결합을 통해 후술할 제2결합판(200)의 좌측면이 제1결합판(100)의 우측면에 기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제1결합판(100)의 전후 양단에는 덮개 역할을 하는 제1마감판(120)이 형성된다. 제1마감판(120)은 후술할 도포부(3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후술할 관로플레이트(500)를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1마감판(120)에서 관로플레이트(500)가 설치되는 위치에는 제1고정홈(122)이 형성된다. 제1고정홈(122)에는 관로플레이트(500)의 고정돌기(510)가 끼움 결합된다. 이때 고정돌기(510)의 절반이 제1고정홈(122)에 끼움 결합된다.
제2결합판(200)은 제1결합판(100)에 고정나사(10)로 결합되는 것으로, 제1결합판(100)과 동일하게 길이가 길고 얇은 직사각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결합판(200)의 좌측면은 제1결합판(100)의 우측면과 맞닿게 고정나사(10)로 기밀하게 고정된다.
제2결합판(200)의 상부와 하부에도 일렬횡대로 이격된 복수의 제2나사홈(210)이 형성된다. 각각의 제2나사홈(210)은 제1나사홈(110)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제2나사홈(210)에도 고정나사(10)가 나사 결합된다. 고정나사(10)는 제2나사홈(210)과 제1나사홈(110)에 차례로 나사 결합된다. 고정나사(10)를 통해 제2결합판(200)은 제1결합판(100)에 기밀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2결합판(200)의 전후 양단에도 덮개 역할을 하는 제2마감판(220)이 형성된다. 제2마감판(220)은 후술할 도포부(3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후술할 관로플레이트(500)를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2마감판(220)에서 관로플레이트(500)가 설치되는 위치에는 제2고정홈(222)이 형성된다. 제2고정홈(222)에는 관로플레이트(500)의 고정돌기(510)가 끼움 결합된다. 이때 고정돌기(510)의 나머지 절반이 제2고정홈(222)에 끼움 결합된다.
도포부(300)는 제1결합판(100)과 제2결합판(200)이 밀착된 경계에 형성된다. 도포부(30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도포액(20)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며, 글래스의 표면을 향해 도포액(20)을 토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포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판(100)의 우측면에 절반과 제2결합판(200)의 좌측면에 절반이 형성된다. 도포부(300)는 제1결합판(100)의 우측면과 제2결합판(200)의 좌측면에 절반씩 전후 길이 방향 전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아울러 도포부(300)는 도 3과 같이 제1결합판(100)의 우측면과 제2결합판(200)의 좌측면이 밀착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경계의 상부측에 1차관로(310)가 형성되고, 1차관로(310)의 하부에 2차관로(320)가 형성되며, 2차관로(320)의 하부에 3차관로(330)가 형성되고, 3차관로(330)의 하부에 버퍼부(340)가 형성되며, 버퍼부(340)의 하부에서 하단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토출구(350)가 형성된다.
1차관로(310)는 전술한 경계의 상부측에서 시작되어 하방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1차관로(310)는 단면이 얇은 막대 형상으로 파이도록 형성된다. 1차관로(310)는 후술할 인렛(400)과 연결되어 도포액(20)이 인입된다. 1차관로(310)로 인입된 도포액(20)은 후술할 2차관로(320)로 이동하게 된다.
2차관로(320)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1차관로(310)의 하단과 이어지도록 연결된다. 2차관로(320)는 단면이 링 형상으로 파이도록 형성된다. 이때 2차관로(320)의 단면은 원형링, 삼각링, 사각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고 2차관로(320)는 상부 중앙이 1차관로(310)의 하단과 이어져서 도포액(20)이 인입된다.
이때 2차관로(320)은 단면 형상에 따라 복수의 통로로 나뉘어 도포액(20)이 통과한다. 예를 들어 2차관로(320)가 도면과 같이 사각링 형상이라고 했을 때, 2차관로(320)의 중앙이 1차관로(310)의 하단과 이어지기 때문에 1차관로(310)로 인입된 도포액(20)은 2차관로(320)에서 두 갈래로 나눠지게 된다. 즉 2차관로(320)는 2개의 통로가 되고, 도포액(20)은 두 개의 통로를 따라 통과하게 된다. 이때 2차관로(320)는 단면 형상에 의해 2개의 통로 또는 3개 이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통로가 될 수 있다. 도포액(20)은 2차관로(320)에서 통로 개수에 따라 균등하게 분배된 상태로 통과하여 후술할 3차관로(330)로 이동하게 된다. 도포액(20)이 복수의 통로로 나뉘어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걸러진다.
한편, 2차관로(320)는 관로플레이트(500)를 통해 형성된다. 즉 2차관로(320)는 단면을 링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중앙에 후술할 관로플레이트(500)가 설치된다. 이때 2차관로(320)는 관로플레이트(500)의 설치 없이 제1결합판(100)과 제2결합판(200)에 절반씩 형성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3차관로(330)는 2차관로(320)의 하부 중앙과 이어지도록 연결된다. 3차관로(330)는 단면이 얇은 막대 형상으로 파이도록 형성된다. 3차관로(330)는 1차관로(310)와 수직 일직선을 이룬다. 3차관로(330)는 2차관로(320)에서 여러 개의 통로로 나눠진 도포액(20)이 다시 하나의 통로로 모아주면서 통과한다. 3차관로(330)를 통과한 도포액(20)은 후술할 버퍼부(340)로 이동하게 된다.
버퍼부(340)는 상부 중앙이 3차관로(330)의 하부와 이어지도록 연결된다. 버퍼부(340)는 빈 공간으로 파이도록 형성된다. 버퍼부(340)는 3차관로(330)를 통과하여 인입된 도포액(20)이 일시적으로 모이도록 하는 공간 역할을 한다. 이때 버퍼부(340)의 단면 형상은 도포액(20)이 모일 수 있다면 원형, 삼각, 사각 또는 다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예시로써 단면이 사각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다.
토출구(350)는 버퍼부(340)의 하부 중앙과 이어지도록 연결된다. 토출구(350)는 단면이 얇은 막대 형상으로 파이도록 형성된다. 토출구(350)는 3차관로(330)와 수직 일직선을 이룬다. 토출구(350)는 하단이 개방된 형태이다. 토출구(350)는 버퍼부(340)에 모인 도포액(20)을 글래스의 표면을 향해 토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토출구(350)는 도포액(20)을 글래스의 포면을 향해 넓고 고르게 토출해준다.
인렛(400)은 도포액(20) 저장된 탱크와 연결관을 통해 기밀하게 연결되어 1차관로(310)의 내부로 도포액(20)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인렛(400)은 제2결합판(200)의 우측면 상부측에 복수가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인렛(400)은 제2결합판(200)을 관통하여 1차관로(310)와 연결된다. 그래서 인렛(400)을 통해 유입된 도포액(20)은 1차관로(310)로 이동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인렛(400)을 제2결합판(200)의 우측면에 형성되도록 나타내었지만, 제1결합판(100)의 좌측면 상부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결합판(100)과 제2결합판(200)이 결합된 경계의 상단면에도 인렛(400)이 형성될 수 있다.
관로플레이트(500)는 2차관로(320)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도포액(20)이 지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해주는 역할을 한다. 관로플레이트(500)는 2차관로(32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측 둘레가 2차관로(320)의 내측 둘레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관로플레이트(500)의 둘레 간격이 내측으로 오프셋되어 2차관로(320)보다 내측 둘레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때 관로플레이트(500)의 단면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2차관로(320)는 단면이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예시로 관로플레이트(500)를 사각 막대 형상으로 나타내었으며, 그에 따라 2차관로(320)를 사각링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그에 따라 1차관로(310)를 통과한 도포액(20)은 2차관로(320)에서 단면 형상에 의해 2개의 통로 또는 3개 이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통로로 나눠져 3차관로(330)로 이동한다.
한편, 관로플레이트(500)의 전후 양단에는 고정돌기(510)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돌기(510)는 절반씩 전술한 제1고정홈(122)과 제2고정홈(222)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래서 제1결합판(100)과 제2결합판(200)과 고정나사(10)로 나사 결합 된 상태에서 관로플레이트(500)는 견고한 고정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결합판(100)과 제2결합판(200)은 도 2와 같이 분리하여, 2차관로(320)에 걸러진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다. 아울러 도포액(20)의 토출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제1결합판(100)과 제2결합판(200)를 분리하여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1차관로(310)로 유입된 도포액(20)은 2차관로(320)에서 복수의 통로로 나눠져서 다시 3차관로(330)를 통해 하나의 통로로 합쳐진 후, 버퍼부(340)에서 일시적으로 모이고, 토출구(35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1차관로(310)의 간격(d1)은 2차관로(320)의 복수의 통로 중 어느 하나의 간격(d2)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2차관로(320)의 복수의 통로 간격(d2)의 총합보다는 1차관로(310)의 간격(d1)이 작게 형성된다. 2차관로(320)는 복수의 통로로 나뉘어지므로 1차관로(310)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유량의 도포액(20)을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관로(310)의 간격(d1)은 0.3mm, 2차관로(320)의 간격(d2)는 0.2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0.2mm 이상 두께를 가지는 이물질은 2차관로(320)에서 걸러지고, 3차관로(330)까지 진입하지 못하게 되어. 도포액(20)이 최종 토출되는 토출구(350)까지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3차관로(330)의 간격(d3)는 다시 2차관로(320)의 복수의 통로 중 어느 하나의 간격(d2)보다 크게 형성되며, 2차관로(320)의 복수의 통로 간격(d2)의 총합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3차관로(330)의 간격(d3)는 0.3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2차관로(320)의 하단에는 3차관로(330)가 위치하고, 복수의 통로로 나뉜 2차관로(320)의 간격(d2) 총합보다 3차관로(330)의 간격(d3)이 작으므로, 3차관로(330)에 다다른 도포액(20)의 압력이 올라가게 된다. 그래서 도포액(20)은 빠른 속도와 압력으로 버퍼부(340)를 향해 분사되게 된다. 즉 3차관로(330)의 끝단에서 도포액(20)이 스프레이식으로 분사됨으로써, 곧바로 토출구(350)로 이동하지 못하고, 버퍼부(340)에 일시적으로 모이게 된다.
버퍼부(340)에 모인 도포액(20)은 버퍼부(340) 내부의 압력에 의해 토출구(350)를 통해 외부로 토출이 이루어진다.
한편, 토출구(350)의 간격(d4)도 2차관로(320)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토출구(350)의 간격(d4)는 0.3mm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차관로(330)와 토출구(350)의 간격은 1차관로(310)의 간격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인렛으로 주입되는 도포액(20)이 1차관로(310)와 토출구(350)에서 빠져나가는 이동속도가 동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에서 이물질(40)이 걸러지는 것을 나타낸 삼등각 투시도이다. 도 6에서 인렛(40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인렛(400)을 통해 1차관로(310)로 유입되는 도포액(20) 내부에 이물질(40)이 포함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2차관로(320)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이 경우 이물질(40)은 도 6과 같이 2차관로(320)의 통로 상에 잔존하게 된다. 그래서 이물질(40)이 잔존하는 부분은 도포액(20)이 2차관로(320)에서 3차관로(330)로 원활히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즉 도 6의 확대도와 같이 2차관로(320)에서 3차관로(330)로 이동 시 이물질(40)이 존재하는 부분은 도포액(20)이 원활히 흐를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도포부(300)는 제1결합판(100)과 제2결합판(200)의 전후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차관로(320)의 특정 부분에서 이물질(40)에 의한 막힘이 발생하더라도, 도포액(20)이 3차관로(330)를 지나 버퍼부(340)에서 모였다가 토출구(350)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토출구(350)의 하단에서 글래스(30)를 향해 토출되는 도포액(20)은 갈라짐 없이 도포부(300)의 전후 길이만큼 넓게 고르게 토출되고, 도포액(20)은 글래스(30)에 균일하게 도포가 이루어지게 된다.
10 : 고정나사 20 : 도포액 30 : 글래스 40 : 이물질
100 : 제1결합판
110 : 제1나사홈 120 : 제1마감판 122 : 제1고정홈
200 : 제2결합판
210 : 제2나사홈 220 : 제2마감판 222 : 제2고정홈
300 : 도포부
310 : 1차관로 320 : 2차관로 330 : 3차관로
340 : 버퍼부 350 : 토출구
400 : 인렛
500 : 관로플레이트
510 : 고정돌기

Claims (6)

  1. 제1결합판(100)과, 상기 제1결합판(100)과 밀착 결합되는 제2결합판(200)과, 상기 제1결합판(100)과 상기 제2결합판(200)이 밀착된 경계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도포액(20)에 포함된 이물질(40)을 걸러주고, 상기 도포액(20)을 글래스(30)의 표면을 향해 토출해주는 도포부(300)와, 상기 제1결합판(100) 또는 상기 제2결합판(200)에 설치되어 상기 도포부(300)의 내부로 상기 도포액(20)을 공급해주는 인렛(400)이 포함된 인샤워 나이프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300)는,
    상기 인렛(400)과 연결되어 상기 도포액(20)이 인입되는 1차관로(310)와;
    상기 1차관로(310)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도포액(20)이 복수의 통로로 나뉘어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통과하는 2차관로(320)와;
    상기 2차관로(320)의 하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도포액(20)이 하나의 통로로 합쳐져서 통과하는 3차관로(330)와;
    상기 3차관로(330)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파여진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포액(20)이 일시적으로 모이는 버퍼역할을 하는 버퍼부(340)와;
    상기 버퍼부(340)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단이 개방되어 상기 도포액(20)이 상기 글래스(30)의 표면을 향해 토출되는 토출구(35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관로(310)의 간격(d1)은 상기 2차관로(320)의 복수의 통로 중 어느 하나의 간격(d2)보다 크고, 상기 2차관로(320)의 복수의 통로 간격(d2)의 총합보다 작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관로(320)는 상부 중앙이 상기 1차관로(310)의 하단과 연결되되,
    단면 형상이 원형링, 삼각링, 사각링 또는 다각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340)는 단면 형상이 원형, 삼각, 사각 또는 다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관로(320)는,
    상부 중앙이 상기 1차관로(310)와 연결되며,
    상기 2차관로(320)의 내측에는 중앙을 가로지르는 관로플레이트(500)가 설치되되,
    상기 관로플레이트(500)는 단면이 상기 2차관로(3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둘레 간격이 내측으로 오프셋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포액(20)이 복수의 통로 나뉘어 유입되면서 상기 이물질(40)을 걸러주는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차관로(330)와 토출구(350)의 간격은,
    상기 1차관로(310)의 간격과 동일한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
KR1020190004141A 2019-01-11 2019-01-11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 KR101952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141A KR101952703B1 (ko) 2019-01-11 2019-01-11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
CN201911092078.XA CN111434388B (zh) 2019-01-11 2019-11-11 一种用于在显示屏表面涂布的喷淋刀
TW108146009A TWI721714B (zh) 2019-01-11 2019-12-16 一種用於在顯示屏表面塗布的噴淋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141A KR101952703B1 (ko) 2019-01-11 2019-01-11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703B1 true KR101952703B1 (ko) 2019-02-27

Family

ID=6556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141A KR101952703B1 (ko) 2019-01-11 2019-01-11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52703B1 (ko)
CN (1) CN111434388B (ko)
TW (1) TWI72171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296A (ko) 2020-01-06 2021-07-14 세메스 주식회사 인샤워 나이프 검사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2231B (zh) * 2021-03-11 2023-03-10 苏州晶洲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液刀及液体喷射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620A (ja) * 2001-09-04 2003-05-30 Kasen Nozuru Seisakusho:Kk 紡糸口金パック及び該紡糸口金パックを用いた紡糸方法
KR100892682B1 (ko) * 2008-07-01 2009-04-15 주식회사 풍성 노즐 조립체
KR20100055787A (ko) 2008-11-18 2010-05-27 세메스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제조용 코팅 물질 도포 장치
KR20130038124A (ko) 2011-10-07 2013-04-17 주식회사 케이씨텍 약액 도포 장치에 사용되는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약액 도포 방법
KR101267464B1 (ko) * 2011-10-13 2013-05-31 세메스 주식회사 유체 분사 장치
JP2016175065A (ja) * 2015-02-18 2016-10-06 ラム・リサーチ・アーゲーLam Research Ag スリットノズル
KR101703212B1 (ko) 2011-06-20 2017-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로트 유리 세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24931A1 (de) * 1976-06-21 1977-12-29 Lonza Ag Vorrichtung zum verspruehen von dispersen systemen
KR100417357B1 (ko) * 1995-02-02 2004-05-03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유체 박막 코팅방법 및 그 장치
KR100858889B1 (ko) * 2003-03-03 2008-09-17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슬릿 다이, 및 도막을 갖는 기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DE10337768A1 (de) * 2003-08-14 2005-03-17 Nordson Corporation, Westlake Düsen- und Filteranordnung sowie System zum Auftragen von Fluid mit festen Partikeln auf ein Substrat
CN105274498B (zh) * 2012-05-11 2017-10-27 中微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气体喷淋头、其制造方法及薄膜生长反应器
JP6068271B2 (ja) * 2013-06-10 2017-01-25 東レ株式会社 塗布器、及び塗布装置
CN103353691B (zh) * 2013-06-20 2016-02-2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显示器框体成型的封框胶注射器
CN203750778U (zh) * 2014-03-19 2014-08-06 无锡联威科技有限公司 真空箱涂布装置
JP6420604B2 (ja) * 2014-09-22 2018-11-07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塗布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620A (ja) * 2001-09-04 2003-05-30 Kasen Nozuru Seisakusho:Kk 紡糸口金パック及び該紡糸口金パックを用いた紡糸方法
KR100892682B1 (ko) * 2008-07-01 2009-04-15 주식회사 풍성 노즐 조립체
KR20100055787A (ko) 2008-11-18 2010-05-27 세메스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제조용 코팅 물질 도포 장치
KR101703212B1 (ko) 2011-06-20 2017-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로트 유리 세정 시스템
KR20130038124A (ko) 2011-10-07 2013-04-17 주식회사 케이씨텍 약액 도포 장치에 사용되는 슬릿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약액 도포 방법
KR101267464B1 (ko) * 2011-10-13 2013-05-31 세메스 주식회사 유체 분사 장치
JP2016175065A (ja) * 2015-02-18 2016-10-06 ラム・リサーチ・アーゲーLam Research Ag スリットノズ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296A (ko) 2020-01-06 2021-07-14 세메스 주식회사 인샤워 나이프 검사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27863A (zh) 2020-08-01
CN111434388A (zh) 2020-07-21
TWI721714B (zh) 2021-03-11
CN111434388B (zh)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703B1 (ko) 디스플레이 글래스 표면 도포용 인샤워 나이프
EP2771292B1 (en) Water filter
US3471024A (en) Filtering apparatus
US6569327B2 (en) Apparatus for directing fluids through a filter system
JP2010064068A (ja) 気液分離装置及びこれを含む基板処理装置
US20160032603A1 (en) Filter apparatus with filter cleaning arrangement
KR20150111843A (ko) 기판 처리 장치, 노즐 및 기판 처리 방법
KR960004227B1 (ko) 직교류 냉각 시스템
EP0618487B1 (en) Coating hopper inserts
KR100756522B1 (ko) 기판 건조용 에어나이프 장치
US5693150A (en) Automatic paint gun cleaner
KR101435017B1 (ko) 역세척 유체의 균등 방사를 위한 오리피스 구조를 갖는 하부집수장치
US7459061B2 (en) Steam distribution apparatus with removable cover for internal access
CN110449431B (zh) 一种液晶模组显示屏在加工过程中的除尘装置
JP3987093B1 (ja) 分配器
KR100881955B1 (ko) 에어 공급 포트가 구비된 아쿠아나이프
US6196301B1 (en) Device for injecting pressurized fluids into a multiplate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cleaning such an injection device
KR20080101466A (ko) 보조 챔버가 구비된 아쿠아나이프
KR200435285Y1 (ko) 박막증착장치용 샤워헤드
RU2805688C1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ое покрытие дренажной системы для фильтров водоподготовки и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JPH04300315A (ja) 紡糸口金被覆装置及び方法
CN218130504U (zh) 一种水样过滤装置
CN220904414U (zh) 一种印刷机的油墨循环装置
JP2005296722A (ja) 洗浄用ノズル
KR100885239B1 (ko) 기판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