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996B1 -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 및 장치, 통합 택배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 및 장치, 통합 택배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996B1
KR101950996B1 KR1020170059241A KR20170059241A KR101950996B1 KR 101950996 B1 KR101950996 B1 KR 101950996B1 KR 1020170059241 A KR1020170059241 A KR 1020170059241A KR 20170059241 A KR20170059241 A KR 20170059241A KR 101950996 B1 KR101950996 B1 KR 101950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ier
warehouse
information
server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526A (ko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카페24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페24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페24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9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99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쇼핑몰 웹사이트로부터 물품 구매와 관련된 구매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지역물류창고의 재고정보를 상기 구매정보와 매칭하여 배송지와의 근접성을 기반으로 물품 출하를 위한 제 1 지역물류창고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택배사들의 배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로의 도착가능시간에 근거하여 제 1 택배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서버에 상기 구매정보와 관련된 물품의 출하를 요청하는 제 1 출하오더(order)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택배사의 서버에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에서 상기 구매정보와 관련된 물품의 배송을 위한 배송오더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 및 장치, 통합 택배 서비스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arcel Delivery Service, Combination System for Parcel Delivery Service}
본 발명은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구매하는 구매자들에게 택배 물품을 신속하게 배송하기 위한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쇼핑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쇼핑몰 웹사이트를 표시하고, 소비자가 물품을 열람한 후 웹사이트에서 원하는 물품을 선택하여 결제하면, 결제된 물품을 택배 업체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한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은 소비자가 직접 매장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집안에서 간단히 원하는 물품을 구입할 수 있고, 물품의 운송 또한 택배를 통하여 배송지까지 배달되는 편의성이 있어, 온라인 쇼핑 시장은 오프라인 시장에 필적할 정도의 규모로 확대되었다.
통상, 온라인 쇼핑몰의 평판은 온라인 쇼핑몰의 성패에 큰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데, 온라인 쇼핑몰의 평판은 가격, 상품 디스플레이, 쇼핑의 편의성, 서비스 만족도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소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양질의 물품을 최저가로 구매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 그런데 소비자가 특정한 온라인 쇼핑몰에서 원하는 양질의 물품을 최저가로 구매했다고 하더라도, 배송 과정에서 불만이 발생한다면 소비자는 결코 좋은 쇼핑을 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즉 물품의 배송 과정을 담당하는 택배 서비스는 쇼핑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
대한 상공회의소가 발간한 2013년도 "택배서비스 이용실태"에 의하면 택배 서비스 만족도를 좌우하는 요인으로 "배송 속도 및 정확도(42.9%)", "배송 상태(16.6%), "파손 및 분실 발생 시 처리 태도(13.8%), "택배 기사의 친절도(11.4%) 등을 꼽았다.
여기서, "배송 속도 및 정확도"는 쇼핑몰의 시스템 및 택배 서비스 회사가 구축한 물류 시스템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종래의 택배 서비스의 배송은 구매자가 구매한 특정 상품과 관련하여 미리 정해진 택배회사에서 수행되며, 택배회사는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지역물류창고가 미리 정해져 있어, 물품의 배송이 구매자에게 도달할 수 있는 더 빠른 길이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택배사의 정해진 루트에 의해 폐쇄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류의 재고 관리와 관련하여서도, 종래의 서비스는 물품이 구매자의 구매에 의해 물품보관창고에서 출하되는 부분에 대한 피드백이 신속하지 못하고, 피드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매자로부터의 물품 보충이 지연되어 결과적으로 택배 서비스의 배송 속도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 및 지능적 택배 솔루션을 통해 배송지와의 근접성을 활용한 지역물류창고의 활용 및 지역물류창고까지의 배차정보에 기반한 택배사의 선택을 활용하여 신속한 택배 서비스를 위한 지능형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 및 장치, 통합 택배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은 쇼핑몰 웹사이트로부터 물품 구매와 관련된 구매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지역물류창고의 재고정보를 상기 구매정보와 매칭하여 배송지와의 근접성을 기반으로 물품 출하를 위한 제 1 지역물류창고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택배사들의 배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로의 도착가능시간에 근거하여 제 1 택배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서버에 상기 구매정보와 관련된 물품의 출하를 요청하는 제 1 출하오더(order)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택배사의 서버에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에서 상기 구매정보와 관련된 물품의 배송을 위한 배송오더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은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에서 상기 제 1 출하오더에 의해 출하된 물품을 보충하기 위해, 상기 제 1 출하오더 및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재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에 물품 보충이 가능한 물품보관창고의 서버로 제 2 출하오더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출하오더는 상기 제 1 출하오더의 물품과 수량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미리 설정된 재고량을 만족하는 물품의 종류 및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품보관창고의 서버는 물품 제공자의 서버에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로 출하된 물품에 대응하는 물품에 대한 물품보충오더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물품보관창고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지역물류창고로 출하되는 물품보충을 위한 복수의 출하오더에 기반하여 지역물류창고의 특정 물품에 대한 재고량 또는 지역물류창고로의 주기적인 출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지역물류창고로 출하되는 물품보충을 위한 복수의 출하오더의 주기성 및 보충물품의 수량의 일관성에 근거하여 상기 재고량 및 출하량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택배사들의 배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제 1 지역물류창고로의 도착가능시간에 근거하여 제 1 택배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택배사와 연관된 복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 - 택배기사의 정보는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까지의 택배기사의 배차시간 정보를 포함함 - 를 구매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택배기사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 1 택배사의 서버 및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서버로 상기 선택된 택배기사가 물품을 배송하도록 상기 제 1 배송오더 및 상기 제 1 출하오더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택배사들의 배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제 1 지역물류창고로의 도착가능시간에 근거하여 제 1 택배사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 - 택배기사의 정보는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까지의 택배기사의 배차시간 정보를 포함함 - 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택배 기사들과 연계되는 복수의 택배사 서버들로 상기 배송지의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택배기사들의 정보를 질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택배사 서버들로부터 상기 배송지의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택배기사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복수의 택배기사들의 정보를 구매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은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로부터 특정 택배기사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택배기사가 포함된 제 1 택배사의 서버로 상기 선택된 택배기사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 1 배송오더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택배기사들의 정보는 택배기사에 대한 평가정보 및 택배기사에 대응하는 택배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택배기사에 대한 평가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송오더를 수신한 제 1 택배사의 서버는 상기 제 1 택배사에 저장된 상기 택배기사의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택배기사의 단말로 상기 제 1 배송오더를 재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를 결정하는 단계는 구매물품에 대한 재고가 있는 지역물류창고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 재고가 있는 지역물류창고와 배송지와의 근접성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근접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택배사들의 배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제 1 지역물류창고로의 도착가능시간에 근거하여 제 1 택배사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택배사들의 배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배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까지의 도착가능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도착가능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택배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와 배송지와의 근접성 또는 상기 제 1 택배사의 상기 지역물류창고까지의 도착가능시간은 교통상황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교통상황을 반영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와 상기 배송지까지의 근접성에 대한 가중치와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와 상기 제 1 택배사의 도착가능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서로 다르게 고려하여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 및 상기 제 1 택배사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와 상기 배송지까지의 근접성에 기반한 제 1 시간 및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와 상기 제 1 택배사의 도착가능시간에 기반한 제 2 시간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 및 상기 제 1 택배사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택배 서비스 운영 장치는 쇼핑몰 웹사이트로부터 물품 구매와 관련된 구매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복수의 지역물류창고의 재고정보를 상기 구매정보와 매칭하여 배송지와의 근접성을 기반으로 물품 출하를 위한 제 1 지역물류창고를 결정하는 지역물류창고 결정부, 복수의 택배사들의 배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로의 도착가능시간에 근거하여 제 1 택배사를 결정하는 택배사 결정부 및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서버에 상기 구매정보와 관련된 물품의 출하를 요청하는 제 1 출하오더(order)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택배사의 서버에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에서 상기 구매정보와 관련된 물품의 배송을 위한 배송오더를 전송하는 오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택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은 쇼핑몰 웹사이트로부터 물품 구매와 관련된 구매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지역물류창고의 재고정보를 상기 구매정보와 매칭하여 배송지와의 근접성을 기반으로 물품 출하를 위한 제 1 지역물류창고를 결정하며, 복수의 택배사들의 배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로의 도착가능시간에 근거하여 제 1 택배사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서버에 상기 구매정보와 관련된 물품의 출하를 요청하는 제 1 출하오더(order)를 전송하며, 상기 제 1 택배사의 서버에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에서 상기 구매정보와 관련된 물품의 배송을 위한 배송오더를 전송하는 택배서비스 운영 서버, 상기 택배서비스 운영 서버로 재고물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복수의 지역물류창고 서버 및 상기 택배서비스 운영 서버로 배차정보를 전송하는 상기 복수의 택배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택배서비스 운영 시스템은 상기 제 1 출하오더 및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재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에서 상기 제 1 출하오더에 의해 출하된 물품을 보충을 위한 제 2 출하오더를 수신하는 물품보관창고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 및 장치, 통합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배송지와의 근접성 및 재고수량에 기반하여 최적의 지역물류창고를 선택하고, 선택된 지역물류창고까지의 도착시간에 근거하여 택배사를 결정함으로써 신속한 택배 서비스를 가능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역물류창고에서 출하된 물품에 대한 보충도 지능적으로 이루어져 재고관리의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서비스 운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지역물류창고 및 택배사 선택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복수의 택배사가 보유한 택배기사의 도착가능시간을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물품 구매 중에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택배 기사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평가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의 흐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의 흐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흐름도,
도 8은 재고조정을 위한 물류보관창고의 출하량 리스트 활용의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재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a 내지 도 10e는 쇼핑몰 운영자가 스마트재고 시스템을 사용할 때의 각 행위 유형별 흐름을 나타낸 상세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 쇼핑몰 웹사이트(120),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130), 택배사 서버(140), 지역물류창고 서버(150), 물품보관창고(160) 및 공급자 서버(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130)는 통신망을 통하여 복수 개의 쇼핑몰 웹사이트(120), 복수 개의 택배사 서버들(140), 복수 개의 지역물류창고 서버(150), 적어도 하나의 물품보관창고 서버(160) 및 적어도 하나의 물품 제공사 서버(170)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130), 쇼핑몰 웹사이트(120), 택배사 서버(140), 지역물류창고 서버(150), 적어도 하나의 물품보관창고 서버(160) 및 적어도 하나의 물품 제공사 서버(170) 등은 각각 하드웨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서버 급 네트워크 컴퓨터 단말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컴퓨터 단말기는 디지털 데이터, 예컨대 프로그램, 명령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통신 프로세서, 정보 입출력부, 데이터 저장용 스토리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매자(또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온라인으로 쇼핑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쇼핑몰 웹사이트(120)는 온라인으로 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쇼핑몰을 웹 상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쇼핑몰 웹사이트(120)는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110)에 쇼핑몰에서 취급하는 물품들을 표시하고 원하는 물품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PC, 노트패드, 스마트폰 등과 같이 유선 또는 무선을 기반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택배사 서버들(140)은 물품의 배송을 위한 다수의 배송 업체의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각각의 택배사 서버(140)는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즉, 택배기사들의 현 위치, 현재 배송 중인 물품 및 배송 완료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택배 기사들에게 오더를 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택배사 서버(140)는 택배 물품 배송 정보 및 택배 기사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 배송 요청을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13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물품 배송 정보에 따라 배송이 수행되도록 택배 기사들에게 오더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배사 서버는 물품 배송 정보를 기반으로 쇼핑몰로부터 해당 택배사의 물류 터미널을 거쳐 물품이 배송될 배송지에 대응하는 지역물류창고로 물품을 1차적으로 전달하도록 임의의 택배 기사들에게 오더를 내리고, 적절한 택배 기사에게는 상기 지역물류창고로부터 배송지로 물품을 배송하도록 오더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배사 서버(140)는 "로젠택배", "현대 택배", "CJ 택배"와 같은 택배 업체의 서버일 수 있으며, 택배사 서버(140)로 전달된 물품은 각각 "로젠 택배 물류 터미널", "현대 택배 물류 터미널", "CJ 택배 물류 터미널"로 전달된 후, 물품배송요청에서 지정된 배송지의 지역물류창고로 전달되고, 선택된 택배기사에 의하여 배송지로 배송되는 것이다.
상기 지역물류창고 서버(150)는 지역물류창고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130)와 계약체결하고 상호 연동할 수 있다. 지역물류창고는 일정한 지역별로 마련되어 다수 개의 택배사들의 물품을 통합적으로 집하하는 기지일 수 있다. 해당 지역의 배송을 담당하는 택배사의 택배기사들 각각은 자사의 물류 기지로 갈 필요 없이 지역물류창고를 방문하여 임시 보관되어 있는 물품을 찾아 배송지로 배송하면 된다. 지역물류창고는 물품보관창고보다는 적은 물품량을 임시로 가지고 있고, 배송의 종류 중 신속배송을 선택할 때 활용되는 창고일 수 있다.
이러한 지역물류창고 서버(150)은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130)로부터 출하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출하 요청을 기반으로 하여,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물품들이 택배사로부터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전달된 물품을 택배 기사들이 배송지로 배송하기 위하여 픽업하는 것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130)의 서비스 운영자는 이러한 지역물류창고 서버(150)를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지역물류창고 서버(150)는 구매자의 구매로 인해 출하됨 품목에 대해 물품보관창고의 서버(160)로 출하목록을 정리하여 발송함으로써 물품을 보충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적정량의 재고를 항상성있게 유지할 숭 있다.
물품보관창고 서버(160)는 물품 제공사로부터 직접 물품을 집하하여 물품을 대량으로 확보하고 있는 창고로써, 지역별로 임시로 물품을 보관하고 있는 지역물품창고로 적정 재고량에 맞도록 물품의 배송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물품보관창고는 지역물품창고보다 많은 물품 재고량을 보유하는 큰 창고로써, 보다 적은 재고량의 물품을 임시로 보유하고 있는 지역물류창고와 계층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품보관창고 서버(160)는 물품 제공자의 서버(170)에 특정 지역물류창고로 출하된 물품에 대응하는 물품을 보충하기 위해 물품보충오더를 전송할 수 있다.
물품 제공사 서버(170)는 실제 물품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물품 제공사가 물품의 판매 및 출하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이다. 물품 제공사 서버(170)는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130) 및/또는 물품보관창고 서버(160)의 빅데이터 분석에 의한 물품보충오더를 기반으로 적절한 수량의 물품을 물품보관창고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130)는 쇼핑몰 웹사이트(120), 복수의 택배사 서버들(140) 및 지역물류창고 서버(150), 물품보관창고 서버(160) 및 물품 제공사 서버(170)와 운송 및 물품 구매 계약을 체결하고, 쇼핑몰 웹사이트(120)와 다수의 택배사 사이, 지역물류 창고와 물품보관창고의 사이, 및 물품 제공사와 물품보관창고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택배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다. 상기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130)는 물품을 구매한 사용자의 배송지 정보 및 물품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지와의 근접성 및 재고 확보 여부를 기반으로 적절한 지역물류창고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지역물류창고에 들렀다가 배송지로의 배송을 적절히 수행할 택배사를 배차정보를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택배사에서 실제 물품을 배달할 택배 기사를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선택된 택배 기사에 대응하는 택배사 서버로 물품 배송 요청을 전달함으로써, 해당 택배 기사가 사용자에게 물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택배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지역물류창고의 서버(150) 및 택배사의 서버(140)를 통해 배송지로의 물품 전송과 더불어, 지역물류창고에서 빠진 물품을 보충하여 재고량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물품보관창고의 서버(160)와 물품제공자의 서버(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130)에 의하여 운영되는 택배 서비스 운영 과정과,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130)의 구성 및 이들에 의하여 실현되는 택배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서비스 운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서비스 운영 장치는 정보 획득부(210), 지역물류창고 결정부(220), 택배사 결정부(230), 재고 조정부(240), 물품보관창고 관리부(250), 물품 제공자 관리부(260), 오더 전송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택배서비스 운영장치(200)는 내부에 데이터베이스(290)를 포함하거나 외부의 데이터베이스(290)와 연동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획득부(210)는 쇼핑몰 웹 사이트로부터 구매자의 물품구매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 물품구매와 관련된 정보는 물품의 종류, 구매물품의 수량, 배송지 정보를 포함한 구매자의 개인정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역물류창고 서버 및 택배사 서버, 물품보관창고 서버 및 물품 제공자 서버와 통신하며, 지역물류창고의 재고 정보 및 출하 정보, 택배사의 기본 정보 및 택배기사 관련 정보, 물품보관창고의 재고 정보 및 출하 정보 등을 요청하고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외부서버로부터 실시간 교통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지역물류 창고 결정부(220)는 지역물류창고의 재고정보를 기반으로 적절한 지역물류창고를 1차적으로 선택한다. 예컨대, 구매자가 "A 화장품" 2개를 구매한 경우, 연계되어 있는 지역물류창고의 재고량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물품이 전부 확보가능한지 판단하고, 가능한 지역물류창고를 추출한다.
지역물류창고 결정부(220)는 근접성 산출부(222)를 포함하는데, 근접성 산출부(222)는 물품확보가 가능한 지역물류창고와 배송지까지의 근접성을 산출한다. 즉, 재고량 정보를 기반으로 재고를 보유한 복수 개의 지역물류창고 후보지로부터 실제 물품이 배달되어야 할 배송지까지의 거리 및 실제 도로 교통상황 등을 고려하여 배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는, 산출된 시간을 기반으로 가장 적은 소요시간 또는 배송거리를 갖는 지역물류창고를 배송을 위한 최종 지역물류창고로 결정할 수 있다. 최종 지역물류창고가 결정되면, 구매 정보와 연관하여 해당 지역물류창고에서 구매자가 구매한 물품이 배송지로 배송될 수 있도록 출하오더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역물류창고에 재고물량이 없는 경우, 직접 물품보관창고가 배송을 위한 출하장소로 결정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재고물량이 2개인데, 복수의 지역물류창고에 1개의 재고물량만이 확보되어 있는 경우, 조합하여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복수의 지역물류창고가 배송을 위한 지역물류창고로 활용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택배사 결정부(230)는 택배사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직접 데이터베이스(290)에 보유하고 있는 택배사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에 활용할 택배사를 결정한다. 택배사 관련 정보는 택배사의 택배 비용, 택배사의 평판, 현재까지의 거래내역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택배사 결정부(230)는 택배기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각 택배사에 소속된 택배기사들의 목록, 택배기사들의 위치, 현재 상황 및 배차가능한 시간 정보 등을 확보한다. 그리고는, 택배사 결정부(230)에 포함된 도착시간 산출부(232)는 택배사들이 지역물류창고 결정부(220)에서 결정된 지역물류창고까지 도착가능한 최소시간을 산출한다. 도착시간 산출부(232)는 택배기사들의 배차가능한 시간 및 출발위치를 기반으로 지역물류창고까지의 교통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현재 배송 중이 아닌 택배기사들은 현재 시점이 배차가능시간이 되고, 현재 위치가 출발위치가 되어 도착가능시간이 산출되지만, 현재 타물품을 배송중인 택배기사는 배송이 완료된 시점이 배차가능시간이 되고, 배송 완료 장소가 출발위치가 된다. 따라서, 택배기사들의 현재 위치와 관련없이, 도착가능시간에 대한 결과는 다르게 나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착시간 산출부(232)는 택배기사의 지역물류창고까지의 도착시간에 앞서 지역물류창고 결정부(220)에서 배송지까지의 근접성 계산에서 계산한 배송지까지의 배송시간을 합산하여 전체 배송완료시간까지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는, 산출된 전체 배송시간을 근거로 택배사를 결정할 수 있다.
택배사 결정부(230)는 도착시간 산출부(232)에서 산출한 도착시간(또는 배송완료시간)에 기반하여 택배사, 더 나아가서는 특정 택배기사까지도 결정할 수 있다. 택배사 결정부(230)는 이렇게 결정된 내용에 기반하여 결정된 지역물류창고에 가서 해당 물품을 받아 배송지로 배송하도록 하는 배송오더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지역물류창고 결정부(220)와 택배사 결정부(230)가 서로 정보를 교환하면서, 복수의 택배기사가 복수의 지역물류창고에 도착하는 시간들을 여러 경우의 수를 통해 각각 고려하여 계산한 후, 계산결과를 종합하여 지역물류창고와 택배사를 일괄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는 도 3a 및 3b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착가능시간 이외에, 운영자의 설정에 따라 택배사의 택배비용, 배송에 소용되는 비용(도로 비용 등)도 택배사 결정의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고, 복수의 기준에 가중치를 적절하게 부여하여 택배사가 결정될 수도 있다. 즉, 도착가능시간에 0.5를, 택배비용 관련 점수에 0.2를, 택배기사의 평점에 0.2를, 배송 소요 비용에 0.1를 주어, 택배사뿐만 아니라 특정 택배사에 속한 택배기사까지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는 운영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고, 머신러닝을 통해 반복적인 데이터를 학습하면서 사용자가 택배기사 선택에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팩터를 분석하여 동적으로 변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택배기사 선택기능 제공부(234)는 사용자에게 택배기사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송지의 정보를 획득하고 나면, 택배사 결정부(230)는 획득한 배송지의 정보에 대응하는 다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택배사 결정부(230)는 배송지의 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배송을 담당하고 있는 각각의 택배사의 택배기사들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된 배송지가 "서울 특별시 강남구 역삼 1동 1111번지"라면, 택배사 결정부(230)는 "역삼 1동 1111번지"의 배송을 담당하는 제 1 택배 업체인 로젠 택배의 기사의 정보, 제 2 택배 업체인 현대 택배의 택배 기사의 정보, 제 3 택배 업체인 CJ 택배의 택배 기사의 정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다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은 다수의 택배사 서버들로 실시간 질의하거나,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290)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290)는 다수의 택배사 서버들과 연동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다수의 배송지의 정보에 대응하는 다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택배 기사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사전에 구축해 놓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물류창고 서버 및 물류보관창고 서버와 연동하여 각 창고의 시간에 따른 재고량 및 출하량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택배기사들의 정보를 추출한 택배 서비스 운영 장치(200)는 택배기사 선택기능 제공부(234)를 통해 추출된 다수의 택배기사들의 정보를 쇼핑몰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택배기사 선택기능 제공부(234)는 다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를 쇼핑몰 웹사이트로 전송하고, 쇼핑몰 웹사이트에 요청하여 상기 다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도록 한다. 쇼핑몰 웹사이트와 통신하며, 쇼핑몰 웹사이트로 정보 및 제어를 위한 커맨드(command)를 전송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쇼핑몰 웹사이트에 특정 웹페이지를 삽입하거나 또는 특정 웹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배기사 선택기능 제공부(234)는, 상기 물품의 구매를 위한 구매 프로세스 중에, 상기 다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택배 기사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도록 온라인 쇼핑몰 웹사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
재고 조정부(240)는 지역물류창고 결정부(220)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출하오더에 의해 지역물류창고에서 출하된 물품에 대응하여 지역물류창고가 해당 물품에 대해 재차 적절한 재고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재고량을 조정한다. 이때, 기본적으로 빠져나가 물품의 수량에 대응되는 물품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과거 특정 지역물류창고에서 출하와 관련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재고량이 연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재고량을 적절하게 늘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품보관창고도 지역물류창고로 물품을 전달하고 나면 물품의 수량이 달리게 되는데, 물품보관창고도 적절한 재고량을 가지고 있을 수 있도록 물품제공자의 서버로 재고보충 오더를 전달할 수 있다. 재고 조정부(240)는 일정하게 들어오는 물품의 전달 메카니즘을 과거 데이터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있다가, 지역물류창고에서 배송지로, 또는 물류보관창고에서 지역물류창고로 기존 메카니즘과 다르게 물품의 전달과 관련된 흐름이 변화한다면, 이를 물류 전달의 데이터 분석 및 임게치와의 비교를 통해 물품 전달 일자, 전달 물품의 종류 및 전달 물품의 수량 등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이는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물품보관창고 관리부(250)는 재고 조정부(240)에서 계산된 재고량에 맞게 각 지역물류창고로 물품이 적절히 제공되도록 물품보관창고를 관리한다. 즉, 현재 물품보관창고의 재고량 등을 물품보관창고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지역물품보관 창고로 전달되어야 할 물품의 전달량 및 전달시점을 산출한다. 그리고는, 산출된 결과값을 고려하여 지역물류창고에 적절한 재고량이 보관되도록 물품보관창고를 관리한다. 물품보관창고의 관리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재고보충오더를 생성한다.
물품제공자 관리부(260)는 물품보관창고로 물품을 제공하는 물품제공자를 관리한다. 물품제공자 관리부(260)도 재고 조정부(240)를 통해 조정된 재고량을 만족할 수 있도록 각 물품제공자가 물류보관창고로 전달하는 물품 납품일자, 납품수량, 납품되는 물품의 종류 등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는, 물품보충을 위한 오더를 생성할 수 있다.
오더 전송부(270)는 지역물류창고 서버로의 출하오더, 택배사 서버로의 배송오더뿐만 아니라, 물품보관창고 서버 및 물품 제공자 서버로의 재고보충오더를 무선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적절한 수신자에게 전송한다.
도 3a 및 3b는 지역물류창고 및 택배사 선택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배송지(310)를 중심으로 배송가능한 지역물류창고(330-1, 330-2, 330-3)가 3개 존재하고, 배송가능한 택배사의 택배기사들(320-1, 320-2)이 2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도착시간은 배송가능한 택배기사들(320-1, 320-2)이 배송가능한 지역물류창고(330-1, 330-2, 330-3)를 들렀다가 배송지로 가는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한다.
즉, 시간(T1)은 택배사 1이 배송가능한 지역물류창고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나타내고, 시간(T2)는 각 지역물류창고에서 배송지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나타내며, 시간(T3)는 택배사 2가 배송가능한 지역물류창고가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T2)를 통해 먼저 지역물류창고를 확정하고, 해당 지역물류창고까지 가장 신속하게 도착가능한 택배사를 후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간(T2)가 가장 짧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물류창고 1(330-1)이 먼저 배송을 위한 지역물류창고로 결정되고, 이에 보다 빠르게 도착가능한 택배사 2(320-2)가 선택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택배사들(320-1, 320-2)의 지역물류창고 도착시간과 지역물류창고(330-1, 330-2, 330-3)에서 배송지로의 도착시간의 합산된 값을 동시에 고려하여 하나의 쌍으로 택배사와 지역물류창고를 결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시간(T1)과 시간(T2)의 합과 시간(T3)과 시간(T2)의 합, 전체적으로 6개의 경우의 수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합산 도착시간을 모두 산출한 후, 가장 최소시간이 걸리는 조합을 지역물류창고와 택배사로 선택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는 산출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지만, 택배의 신속성에 있어서는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도 3b의 실시예에서, 지역물류창고를 조합하여 선택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즉, 배송지로의 전체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하나의 지역물류창고를 활용하는 방안과 복수 개의 지역물류창고를 활용하는 방안이 공존하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물류창고 1(360-1)에는 전체물량이 모두 확보되어 있고, 지역물류창고 2(360-2) 및 지역물류창고 3(360-3)의 재고량을 합산하여야만 전체물량 확보가 가능한 경우, 택배사 1(350)을 기준으로 지역물류창고 1(360-1)를 들렀다가 배송을 하는 경우의 시간(T1+T2)이 지역물류창고 2(360-2)와 지역물류창고 3(360-3)을 들렀다가 배송하는 경우의 시간(T3+T4+T5)보다 느릴 수 있다. 이 경우, 두 지역물류창고(360-2, 360-3)를 들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즉, 택배사 결정부와 지역물류창고 결정부는 이러한 연산과정까지 모두 수행한 후, 가장 적은 도착시간이 야기되는 택배사/지역물류창고 조합을 찾아 해당 택배사와 지역물류창고의 서버로 오더를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복수의 택배사가 보유한 택배기사의 도착가능시간을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택배사는 택배기사를 다수 보유하고 있을 수 있고, 구매자가 특정 물품을 구매한 시점에 각 택배기사는 서로 다른 상황에 처해있을 수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풀어나가기 위해, 택배 서비스 운영 장치는 각 택배사로 배차시간 정보를 요구할 수 있고, 여기에는 택배기사들의 현재 상황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각 택배사에 소속된 택배기사들의 현재위치와 배차가능시간은 현재 배송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택배기사 A는 현재 서울 내의 특정 지역으로 배송중이고, 배송이 완료되고 배차가능한 시간은 13시 02분인 반면, 택배기사 B는 현재 서울의 한 위치에서 바로 배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택배서비스 운영 장치는 택배사에 소속된 택배기사들의 배차 가능시간과 출발 가능한 위치를 이러한 정보를 추출하여 파악하고, 배차 가능시간과 출발위치를 모두 고려하여 특정 지역물류창고에 도착가능한 시간을 산출해야 정확하게 배송지로의 배송이 완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택배서비스 운영 장치는 쇼핑몰 웹 사이트로부터 발생된 제품 배송에 대응하여 택배사 및 택배기사들의 배차가능시간 및 출발위치 관련 내용을 리스트로써 저장 관리할 수 있고, 이는 주기적으로 또는 구매자의 구매시점에 맞춰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물품 구매 중에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택배 기사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평가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택배 기사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택배 기사들이 표시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택배 기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 마련된다. 이러한 택배 기사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각각의 택배 기사의 식별 정보, 각각의 택배 기사의 평가 정보, 그 밖의 상세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택배 기사의 식별 정보는 예컨대 택배 기사의 이름, 택배 기사의 사진 등일 수 있다. 상기 택배 기사의 평가 정보는 이전에 물품을 수령한 사용자들이 택배 기사를 평가한 평가 정보 및 이전에 상기 사용자 자신이 해당 택배 기사를 평가했던 평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평가 정보는 예컨대 점수, 그래프, 별 평점 등과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상세 정보는 택배 기사가 속한 택배사의 정보, 택배사의 평가 정보, 택배 기사가 현재 물품을 구매하는 사용자에게 이전에 물품을 배송한 이력, 택배 기사의 성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된 다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에서 사용자 단말이 원하는 어느 하나의 택배 기사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쇼핑몰 웹사이트는 결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제가 완료되면, 쇼핑몰 웹사이트는 선택된 택배 기사의 정보 및 물품 배송에 필요한 물품 배송 정보를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물품 배송 정보는 물품 정보, 배송지의 정보, 사용자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품 배송 정보를 수신한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는 선택된 택배 기사의 정보에 대응하는 택배 업체를 판단하고, 그 택배 업체의 택배사 서버로 물품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는 선택된 택배 기사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제 1 택배 업체인 로젠 택배에 속한 택배 기사의 정보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하면, 제 1 택배사 서버인 로젠 택배의 택배사 서버로 물품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물품 배송 요청은 상기 선택된 택배 기사의 정보, 배송되는 물품과 관련되는 물품 정보, 배송지의 정보, 상기 선택된 택배 기사에 대응하는 택배사의 정보, 상기 배송지에 대응하는 지역물류창고의 정보, 사용자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택배 업체의 판단 및 물품 배송 요청의 생성은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의 택배사 결정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는 배송지에 대응하는 지역 물류 창고 서버로 물품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는 선택된 택배 기사가 속한 택배사 서버, 예컨대 제 1 택배사 서버로 물품 배송 요청을 배송함과 함께, 물품을 배송할 배송지에 대응하는 지역물류창고 서버로 물품 배송 요청을 전송한다. 지역 물류 창고 서버는 일정한 범위(예컨대, 동, 면, 거리 등)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배송되는 물품들을 다수의 택배사들이 통합적으로 집하하는 통합 공용 물류 기지인 지역 물류창고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상기 물품 배송 요청이 제 1 택배사 서버 및 특정 지역물류창고 서버로 전달되면, 물품 배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쇼핑몰 웹사이트는 택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의 요청에 의하여 평가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몰 웹사이트는 물품의 구매 결정 단계의 상품 만족도 평가 입력창에 택배 기사에 대한 평가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 또는 입력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택배 기사에 대한 평가는, 다수의 항목, 예컨대, 배송된 물품의 상태, 원하는 배송지에 정확하게 전달되었는지의 여부, 택배 기사의 친절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들을 통해 택배기사의 평점, 후기 등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의 흐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610)은 쇼핑몰 웹 사이트(620)에 접속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선택한다(S610). 그리고는, 구매물품의 수량 및 배송지 정보를 입력한다(S612). 쇼핑몰 웹 사이트(620)를 관리하는 서버는 물품 관련 정보와 배송지 정보를 택배서비스 운영 서버(630)로 전송한다(S614). 그리고는, 복수의 지역물류창고 서버(650)로의 요청에 의해 복수의 지역물류창고로부터 물품 재고 정보를 수신한다(S616). 이때, 지역물류창고 재고 정보로,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정보나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는, 구매자가 입력한 물품의 수량에 해당하는 재고가 어느 지역물류창고에 있는지 검색한다(S618). 그리고는, 배송지와 지역물류창고간의 근접성을 산출한다(S620). 근접성은 배송지와의 거리 또는 배송지까지의 배송시간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교통현황 정보가 반영될 수 있다. 그리고는, 배송지와의 거리가 최소화되는 지역물류창고를 최적의 지역물류창고로 결정한다(S622).
그리고는, 택새기사 선택을 위한 과정이 진행되는데, 택배 서비스 운영서버(630)는 결정된 복수의 택배사 서버(64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중 택배기사 관련 상세정보를 추출한다(S624). 그리고는, 현재 택배기사의 배송가능시간과 택배기사의 평점 및 배송이력 등을 포함하는 택배기사 정보를 쇼핑몰 웹사이트(620)로 전송한다(S626). 그리고는, 쇼핑몰 웹 사이트(620)는 이를 사용자 단말에 표시한다(S628). 이때, 택배기사의 정보는 각 택배기사가 지역물류창고를 들렀다 배송지까지 도착가능한 시간순으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택배기사의 상세정보를 보고 싶으면, 더블클릭 등의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면 되고, 상세정보에는 택배기사에 대한 평점, 후기, 배송이력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정렬되는 기준은 반드시 도착시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택배기사 평점, 후기, 배송이력 등으로 변경가능하고, 이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을 통해 바꿀 수 있다. 즉, 택배기사를 최소의 도착시간을 갖는 기사로 택배서비스 운영서버(630)가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택배기사 선택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직접 제공함으로써, 도착시간 이외의 다른 팩터에 의해서도 택배기사를 선택하도록 하여 선택의 폭을 넓혀줄 수 있는 것이다. 즉, 도착시간이 약 10분 정도 늦더라도 택배기사의 평점이 5점 이상 차이가 난다면, 사용자는 평점이 높은 택배기사를 선택할 수 있다. 이렇듯, 사용자는 자신이 중시하는 배송관련 팩터에 기반하여 택배기사를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택배기사를 선택하면(S630), 선택된 택배기사에 대한 정보를 택배서비스 운영서버(630)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택배기사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
그러고 나면, 택배서비스 운영 서버(630)는 결정된 택배기사가 소속된 택배사 서버(640)로 배송오더를 전송한다(S634). 배송오더에는 배송지 정보, 들러야할 지역물류창고 정보, 사용자 정보, 물품 정보, 수량 정보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는, 결정된 지역물류창고 서버(650)로 출하오더를 전송한다(S636). 출하오더에는 배송에 관여하는 택배사 및 택배기사에 대한 정보, 출하 물품, 출하 수량, 배송지 정보 등이 포함된다.
위 과정을 통해 결정된 택배기사에 의해 택배가 완료되고 나면, 사용자는 택배기사 평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택배기사를 평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S638), 이 정보는 쇼핑몰 웹사이트(620)를 통해 택배 서비스 운영서버(630)로 전송된다(S640). 택배서비스 운영서버(630)는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택배기사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642). 또는, 택배사 서버(640)로 전송하여 택배사 서버(640)에서 관리하는 택배기사 관련 정보가 업데이트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의 흐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S710) 내지 단계(S722)까지의 과정은 단계(S610) 내지 단계(S622)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택배서비스 운영 서버(730)는 택배사 서버(740)로부터 해당 택배사의 배차가능시간 정보를 수신하여(S724), 수신된 택배사의 배차가능시간 정보를 가지고, 택배 업체를 직접 선택한다(S726). 택배사의 배차가능시간 정보는 택배기사들의 배차가능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택배서비스 운영서버(730)는 결정된 지역물류창고로 최적의 배차가능시간을 갖는 택배사를 1차적으로 선택하고, 해당 택배사에 포함된 택배기사를 사용자의 선호에 맞도록 택배기사 선택 과정을 수행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S728~S736: 단계(S624~S632)와 동일). 택배기사의 선택이 완료되면, 배송오더와 출하오더의 전송 및 택배기사의 평가과정이 도 6의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S738~S746).
도 8은 재고조정을 위한 물류보관창고의 출하량 리스트 활용의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물류보관창고의 출하량과 관련된 데이터를 택배 서비스 운영서버는 수신하여 지역물류창고의 재고량도 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물류보관창고의 출하량도 조정할 수 있다.
택배 서비스 운영서버는 과거의 특정 지역물류창고로 제공되는 물품의 수량 및 출하일의 주기성을 근거로 출하 스케쥴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이는 빅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 기능을 통해 수행가능하다. 예컨대,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매달 3일에 지역물류창고로 A 물품이 25개씩 출하되고 있고, 이러한 주기적인 출하가 일정기간 지속된다면, 이를 기반으로 기존 지역물류창고 1의 A 물품에 대한 재고량을 25개 이상으로 늘리고, 매달 3일 또는 그 이전에 25개의 A 물품이상이 배치되도록 물류보관창고로부터 지역물류창고 1로의 출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지역물류창고로 주기적으로 동일 물품이 일정수량으로 늘어나고 있다면(5개에서 10개, 15개, 20개...), 그 증가분을 고려하여 지역물류창고의 재고량 및 물류보관창고의 출하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출하의 주기성은 출하되는 물품의 동일 여부, 출하되는 지역물류창고의 동일여부, 출하일을 기반으로 산출된다. 또한, 출하량의 정규성은 출하되는 물품의 동일여부, 출하되는 지역물류창고의 동일 여부와, 매주기 출하되는 물품의 수량을 기반으로 산출된다. 즉, 임계주기 이상(예컨대, 3회 이상) 동일물품에 대해 동일 지역물류창고로 출하가 되었다면, 택배 서비스 운영서버는 이를 규칙적인 출하로 규정하고, 규칙적인 출하를 만족할 수 있도록 동일하거나 보다 이른 출하일에 동일하거나 보다 많은 출하량이 해당 지역물류창고에서 확보가능하도록 출하량과 재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는, 동일물품에 대해 동일 지역물류창고로 특정 수량과 동일 또는 유사한 증가분을 가지고 물품이 출하되고 있다면, 동일한 수량 또는 해당 증가분에 대응되는 수량의 물품을 확보가능하도록 출하량과 재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는 이러한 물류보관창고로부터 지역물류창고로의 출하량과 재고량에 대응하여, 물품제공자에게 적절하게 출하량을 맞춰줄 수 있도록 적절한 수의 물품에 대한 재고보충오더를 생성하여 물품제공자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재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택배서비스 운영 서버는 쇼핑몰 운영자의 단말에 스마트 재고 시스템이라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직접 배포하여, 쇼핑몰 운영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을 용이하게 활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재고 시스템(소프트웨어)은 창고 관리와 관련된 부분으로 상품 입고, 상품 출고, 및 재고조사와 관련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와 연동되는 모듈들이다.
여기서, 상품 입고와 관련하여, 운영자는 발주상품에 대한 것, 샘플 상품에 대한 것, 반품 및 기타 행위를 오프라인으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품 입고와 관련된 처리 행위로써, 특정 물품보관센터 및/또는 특정 지역물류창고로의 특정 물품에 대한 입고시작과 완료를 확인하는 부분과 입력(등록)하는 부분을 온라인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 실제 상품에 대한 검수, 포장 및 창고배치는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입력된 데이터는 그 수량에 맞춰 스마트재고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상품 출고도 입고와 마찬가지로, 출고시작/종료를 확인하는 부분과 출고 관련 데이터를 입력하는 부분이 존재하고, 이를 통해 특정 물품보관센터 및/또는 지역물류창고로부터 특정 물품의 재고를 삭감할 수 있다.
재고조사 행위와 관련하여, 조사시작 및 종료를 확인하는 부분, 재고의 수를 조회하는 부분, 재고 수량을 등록하는 부분 및 재고를 조정하는 부분을 온라인으로 수행할 수 있게 허용할 수 있다. 즉, 창고상품에 대한 재고조사를 수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고, 특정 물품의 재고량을 등록 및 조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온라인으로 입력된 내용은 스마트 재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가 확인할 수 있다. 택배서비스 운영 서버는 해당 재고량을 연관된 물류창고에서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 서버로 명령을 전송한다.
스마트 재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의 발주와 관련하여, 미배송상품, 미입고상품 및 재고부족상품을 데이터베이스의 수량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상품의 입고가 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쇼핑몰 운영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상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품 공통정보, 판매상태, 판매가격, 진열상태 및 재고수량과 더불어 해당 상품의 공급사 및 배송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재고 시스템은 쇼핑몰(해외몰 포함)을 운영하기 위한 (전자상거래) 서버와 연동할 수 있다. EC 서버는 웹 관리 부분이 있고, 스마트재고와 연동을 위한 라이브러리를 포함한다. 또한, 관리자 연동, 공급사 연동, 배송사 연동, 상품 연동 및 주문 연동을 위한 AP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EC 서버 역시 가입된 회원 관리를 위한 회원 데이터베이스,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데이터베이스, 주문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기타 정보 저장을 위한 기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다. EC 서버는 데이터허브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이는 라우터, 관리자 연동 모듈, 공급사 연동 모듈, 배송사 연동 모듈, 상품 연동 모듈 및 주문 연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허브는 외부마켓과 연동가능하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쇼핑몰 운영자가 스마트재고 시스템을 사용할 때의 각 행위 유형별 흐름을 나타낸 상세흐름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쇼핑몰 운영자는 스마트 재고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계정을 생성하여 로그인을 할 필요가 있다. 택배 서비스 운영서버는 로그인을 위해 계정관리를 해야 하고, 생성된 계정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만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계정정보 외 기본정보로써, 쇼핑몰 운영자의 단말로의 알림관리, 환경 설정 및 작업로그를 확인하는 부분에 대한 부분을 포함한다.
창고 등록과 관련하여, 특정 물품의 재고를 배치할 창고를 등록할 수 있다. 창고 등록에는 지역물류창고의 목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거래처 등록과 관련하여서는 공급사(물품 제공사) 관리, 판매사 관리 및 배송사 관리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품 등록 및 재고실사 부분을 기본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상품 등록 부분은 쇼핑몰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EC(전자상거래) 서버)와 연동하여 입력된 부분과 실시간으로 동기화된다. 또한, 재고실사 부분도 재고조사 등록됨과 연동하여 EC 서버의 현재재고 부분(실재고)과 연동될 수 있다.
이러한 기본설정 부분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면, 메인 및 전체 메뉴를 오픈하여 쇼핑몰 운영자가 스마트 재고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스마트 재고 시스템을 통한 상품의 입고와 관련하여, 발주 입고를 수행할 수 있다. 발주를 등록하고, 현재의 입고현황을 관리한다(작업 체크). 그리고는, 입고 등록을 수행한다. 입고 등록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코드 및 엑셀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샘플입고 부분은 상품의 발주 입고와 유사한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재고 시스템은 상품에 대한 반응 또는 스마트 재고 시스템의 운영의 적절성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가상입고를 수행할 수 있다. 가상입고는 입고현황 관리 및 입고 등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고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상품을 입고시킬 수 있다.
발주입고, 샘플입고, 가상입고 및 사용자입고를 통한 상품 입고가 각각 완료되면 입고 완료처리하고 추후 입고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발주입고 및 사용자입고의 경우, 입고등록시 EC 서버와 재고량 등이 동기화될 수 있다.
도 10c 및 10d를 참조하면, 쇼핑몰 운영자가 단말을 통해 출고하기 메뉴를 클릭하면, 주물출고, 반품출고, 샘플출고 및 사용자출고 관련 메뉴를 확인할 수 있다. 주문출고의 경우, 출고 현황을 관리하고, 주문내역 목록 확인을 클릭할 수 있다. 이때, EC 서버의 주문내역과 연동되어 입금완료 내역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주문내역 확인을 하는 경우, 주문상태가 EC 서버와 실시간 연동되어 출고 후의 교환/반품, 출고전의 취소/교환 부분에 대한 내역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는, 주문을 확인 및/또는 입력한다. 그리고는, 다수 주문을 묶음 처리하여 재고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구매자가 요구하는 특정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배송주소를 확인한다. 그리고는, 출고가능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주문내역 목록을 재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는, 송장을 등록한다. 이는 개별적으로 엑셀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는 출고처리를 수행한다. 이는 수기로 바코드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출고처리된 내용은 EC 서버로 전달되어 EC 서버에 주문내역과 연동되고 송장이 등록된다.
반품출고, 샘플 출고 및 사용자 출고의 경우, 출고 현황 관리 및 출고 등록의 과정으로 수행된다. 출고등록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바코드 및/또는 엑셀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출고등록 후, 출고 완료를 표시하고, 출고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e를 참조하면, 쇼핑몰 운영자의 재고확인에 응답하여, 재고조정/확인 메뉴를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클릭하면, 재고현황이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기 재고조사에 응답하여, 재고조사 메뉴가 표시되고, 재고조사 현황을 수행한다. 그리고는, 재고조사 내용을 등록한다. 이는 개별적으로 바코드 및/또는 엑셀을 통해 등록될 수 있다. 재고조사 등록 후, 재고조사 완료를 표시하고, 재고조사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에 있어서,
    쇼핑몰 웹사이트로부터 물품 구매와 관련된 구매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지역물류창고의 재고정보를 상기 구매정보와 매칭하여 배송지와의 근접성을 기반으로 물품 출하를 위한 제 1 지역물류창고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택배사들의 배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로의 도착가능시간에 근거하여 제 1 택배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서버에 상기 구매정보와 관련된 물품의 출하를 요청하는 제 1 출하오더(order)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택배사의 서버에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에서 상기 구매정보와 관련된 물품의 배송을 위한 제 1 배송오더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에서 상기 제 1 출하오더에 의해 출하된 물품을 보충하기 위해, 상기 제 1 출하오더 및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재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에 물품 보충이 가능한 물품보관창고의 서버로 제 2 출하오더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택배사들의 배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제 1 지역물류창고로의 도착가능시간에 근거하여 제 1 택배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택배사와 연관된 복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를 구매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택배기사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 1 택배사의 서버 및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서버로 상기 선택된 택배기사가 물품을 배송하도록 상기 제 1 배송오더 및 상기 제 1 출하오더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에 제공되는 복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복수의 택배기사들에 포함되는 각 택배기사에 대한 평점 정보, 후기 정보, 배송이력 정보 및 제 1 지역물류창고를 경유하여 배송지까지 도착가능한 시간 정보 중 상기 구매자로부터 선택된 팩터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택배기사 선택 인터페이스가 상기 쇼핑몰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며,
    상기 택배기사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팩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통해 학습하면서, 적어도 둘 이상의 택배기사 선택을 위한 팩터들에 대한 가중치를 동적으로 변화하여 고려함으로써 택배기사가 선택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 2 출하오더는 상기 제 1 출하오더의 물품과 수량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미리 설정된 재고량을 만족하는 물품의 종류 및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보관창고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지역물류창고로 출하되는 물품보충을 위한 복수의 출하오더에 기반하여 지역물류창고의 특정 물품에 대한 재고량 또는 지역물류창고로의 주기적인 출하량을 조정하되,
    상기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들을 운영하는 EC(Electronic Commerce) 서버 - EC 서버는 상기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와의 연동을 위한 라이브러리를 포함함 - 와 연동함에 의해, 제 1 쇼핑몰 운영자 단말로부터의 EC 서버에 대한 제 1 상품의 등록에 대응하여 제 1 지역물류창고 및 상기 물품보관창고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등록된 제 1 상품에 대한 현재재고 부분을 상기 EC 서버와 실시간으로 동기화하며,
    제 2 상품에 대한 반응 또는 상기 EC 서버와의 연동에 따른 시스템 운영의 적절성을 시험하기 위해 상기 제 2 상품에 대한 가상입고를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보관창고의 서버는 물품 제공자의 서버에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로 출하된 물품에 대응하는 물품에 대한 물품보충오더를 전송하는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지역물류창고로 출하되는 물품보충을 위한 복수의 출하오더의 주기성 및 보충물품의 수량의 일관성에 근거하여 상기 재고량 및 출하량을 조정하는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택배사들의 배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제 1 지역물류창고로의 도착가능시간에 근거하여 제 1 택배사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 - 택배기사의 정보는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까지의 택배기사의 배차시간 정보를 포함함 - 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택배 기사들과 연계되는 복수의 택배사 서버들로 상기 배송지의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택배기사들의 정보를 질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택배사 서버들로부터 상기 배송지의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택배기사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복수의 택배기사들의 정보를 구매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로부터 특정 택배기사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택배기사가 포함된 제 1 택배사의 서버로 상기 선택된 택배기사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 1 배송오더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택배기사들의 정보는 택배기사에 대한 평가정보 및 택배기사에 대응하는 택배사 정보를 포함하는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기사에 대한 평가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송오더를 수신한 제 1 택배사의 서버는 상기 제 1 택배사에 저장된 상기 택배기사의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택배기사의 단말로 상기 제 1 배송오더를 재전송하는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를 결정하는 단계는
    구매물품에 대한 재고가 있는 지역물류창고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 재고가 있는 지역물류창고와 배송지와의 근접성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근접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택배사들의 배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제 1 지역물류창고로의 도착가능시간에 근거하여 제 1 택배사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택배사들의 배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배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까지의 도착가능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도착가능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택배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와 배송지와의 근접성 또는 상기 제 1 택배사의 상기 지역물류창고까지의 도착가능시간은 교통상황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교통상황을 반영하여 산출되는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와 상기 배송지까지의 근접성에 대한 가중치와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와 상기 제 1 택배사의 도착가능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서로 다르게 고려하여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 및 상기 제 1 택배사를 결정하는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와 상기 배송지까지의 근접성에 기반한 제 1 시간 및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와 상기 제 1 택배사의 도착가능시간에 기반한 제 2 시간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 및 상기 제 1 택배사를 결정하는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18. 택배 서비스 운영 장치에 있어서,
    쇼핑몰 웹사이트로부터 물품 구매와 관련된 구매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복수의 지역물류창고의 재고정보를 상기 구매정보와 매칭하여 배송지와의 근접성을 기반으로 물품 출하를 위한 제 1 지역물류창고를 결정하는 지역물류창고 결정부;
    복수의 택배사들의 배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로의 도착가능시간에 근거하여 제 1 택배사를 결정하는 택배사 결정부;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서버에 상기 구매정보와 관련된 물품의 출하를 요청하는 제 1 출하오더(order)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택배사의 서버에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에서 상기 구매정보와 관련된 물품의 배송을 위한 제 1 배송오더,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에서 상기 제 1 출하오더에 의해 출하된 물품을 보충하기 위해, 상기 제 1 출하오더 및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재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에 물품 보충이 가능한 물품보관창고의 서버로 제 2 출하오더를 전송하는 오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택배사 결정부는 상기 제 1 택배사와 연관된 복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를 구매자의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택배기사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 1 택배사의 서버 및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서버로 상기 선택된 택배기사가 물품을 배송하도록 상기 제 1 배송오더 및 상기 제 1 출하오더를 각각 전송하며,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에 제공되는 복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복수의 택배기사들에 포함되는 각 택배기사에 대한 평점 정보, 후기 정보, 배송이력 정보 및 제 1 지역물류창고를 경유하여 배송지까지 도착가능한 시간 정보 중 상기 구매자로부터 선택된 팩터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택배기사 선택 인터페이스가 상기 쇼핑몰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며,
    상기 택배기사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팩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통해 학습하면서, 적어도 둘 이상의 택배기사 선택을 위한 팩터들에 대한 가중치를 동적으로 변화하여 고려함으로써 택배기사가 선택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 2 출하오더는 상기 제 1 출하오더의 물품과 수량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미리 설정된 재고량을 만족하는 물품의 종류 및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보관창고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지역물류창고로 출하되는 물품보충을 위한 복수의 출하오더에 기반하여 지역물류창고의 특정 물품에 대한 재고량 또는 지역물류창고로의 주기적인 출하량을 조정하되,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들을 운영하는 EC(Electronic Commerce) 서버 - EC 서버는 상기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와의 연동을 위한 라이브러리를 포함함 - 와 연동함에 의해, 제 1 쇼핑몰 운영자 단말로부터의 EC 서버에 대한 제 1 상품의 등록에 대응하여 제 1 지역물류창고 및 상기 물품보관창고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등록된 제 1 상품에 대한 현재재고 부분을 상기 EC 서버와 실시간으로 동기화하며,
    제 2 상품에 대한 반응 또는 상기 EC 서버와의 연동에 따른 시스템 운영의 적절성을 시험하기 위해 상기 제 2 상품에 대한 가상입고를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택배 서비스 운영 장치.
  19. 택배 서비스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쇼핑몰 웹사이트로부터 물품 구매와 관련된 구매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지역물류창고의 재고정보를 상기 구매정보와 매칭하여 배송지와의 근접성을 기반으로 물품 출하를 위한 제 1 지역물류창고를 결정하며, 복수의 택배사들의 배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로의 도착가능시간에 근거하여 제 1 택배사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서버에 상기 구매정보와 관련된 물품의 출하를 요청하는 제 1 출하오더(order)를 전송하며, 상기 제 1 택배사의 서버에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에서 상기 구매정보와 관련된 물품의 배송을 위한 제 1 배송오더,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에서 상기 제 1 출하오더에 의해 출하된 물품을 보충하기 위해, 상기 제 1 출하오더 및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재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에 물품 보충이 가능한 물품보관창고의 서버로 제 2 출하오더를 전송하는 택배서비스 운영 서버;
    상기 택배서비스 운영 서버로 재고물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복수의 지역물류창고 서버; 및
    상기 택배서비스 운영 서버로 배차정보를 전송하는 상기 복수의 택배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택배서비스 운영 서버는 상기 제 1 택배사와 연관된 복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를 구매자의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택배기사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 1 택배사의 서버 및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서버로 상기 선택된 택배기사가 물품을 배송하도록 상기 제 1 배송오더 및 상기 제 1 출하오더를 각각 전송하며,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에 제공되는 복수의 택배 기사들의 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복수의 택배기사들에 포함되는 각 택배기사에 대한 평점 정보, 후기 정보, 배송이력 정보 및 제 1 지역물류창고를 경유하여 배송지까지 도착가능한 시간 정보 중 상기 구매자로부터 선택된 팩터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택배기사 선택 인터페이스가 상기 쇼핑몰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며,
    상기 택배기사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팩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통해 학습하면서, 적어도 둘 이상의 택배기사 선택을 위한 팩터들에 대한 가중치를 동적으로 변화하여 고려함으로써 택배기사가 선택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 2 출하오더는 상기 제 1 출하오더의 물품과 수량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지역물류창고의 미리 설정된 재고량을 만족하는 물품의 종류 및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보관창고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지역물류창고로 출하되는 물품보충을 위한 복수의 출하오더에 기반하여 지역물류창고의 특정 물품에 대한 재고량 또는 지역물류창고로의 주기적인 출하량을 조정하되,
    상기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들을 운영하는 EC(Electronic Commerce) 서버 - EC 서버는 상기 택배 서비스 운영 서버와의 연동을 위한 라이브러리를 포함함 - 와 연동함에 의해, 제 1 쇼핑몰 운영자 단말로부터의 EC 서버에 대한 제 1 상품의 등록에 대응하여 제 1 지역물류창고 및 상기 물품보관창고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등록된 제 1 상품에 대한 현재재고 부분을 상기 EC 서버와 실시간으로 동기화하며,
    제 2 상품에 대한 반응 또는 상기 EC 서버와의 연동에 따른 시스템 운영의 적절성을 시험하기 위해 상기 제 2 상품에 대한 가상입고를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택배 서비스 운영 시스템.

  20. 삭제
KR1020170059241A 2017-05-12 2017-05-12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 및 장치, 통합 택배 서비스 시스템 KR101950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241A KR101950996B1 (ko) 2017-05-12 2017-05-12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 및 장치, 통합 택배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241A KR101950996B1 (ko) 2017-05-12 2017-05-12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 및 장치, 통합 택배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526A KR20180124526A (ko) 2018-11-21
KR101950996B1 true KR101950996B1 (ko) 2019-02-22

Family

ID=6460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241A KR101950996B1 (ko) 2017-05-12 2017-05-12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 및 장치, 통합 택배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9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1149A (ko) 2020-09-03 2022-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물건 배송 시스템 및 배송방법
WO2022055089A1 (ko) * 2020-09-11 2022-03-17 카페24 주식회사 택배 서비스 후기 평가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44028A (ko) 2020-09-29 2022-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배송 방법
WO2022255556A1 (ko) * 2021-06-04 2022-12-08 쿠팡 주식회사 음식 배달을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429B1 (ko) * 2019-02-26 2020-12-16 주식회사 스페이스리버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발주 및 입출고 관리 시스템
US10565543B1 (en) 2019-03-01 2020-02-18 Coupang, Corp.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of efficient route planning for e-commerce fulfillment
CN112446652A (zh) * 2019-08-29 2021-03-05 北京京东振世信息技术有限公司 处理任务集的方法和装置
CN112541716A (zh) * 2019-09-20 2021-03-23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选择待配送任务节点的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3256042B (zh) * 2020-02-12 2023-11-07 北京京东振世信息技术有限公司 辅助配送方进行配送的方法和装置
CN111754179A (zh) * 2020-07-03 2020-10-09 湖州佳东物流设备有限公司 一种结合区块链的物流保障系统和方法
WO2022004960A1 (ko) * 2020-07-03 2022-01-06 주식회사 콜로세움코퍼레이션 풀필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50745B1 (ko) * 2020-07-03 2021-05-11 쿠팡 주식회사 배달원의 배정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250380B2 (en) 2020-07-17 2022-02-15 Coupang Corp.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ation of a product inventory by intelligent distribution of inbound products using product assignment validation
CN111915219A (zh) * 2020-08-17 2020-11-10 江苏华泽微福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自建商城配送订单处理系统及方法
CN112396295B (zh) * 2020-10-30 2023-04-07 广东塑料交易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物流运输的快速派件系统及其工作方法
KR102326916B1 (ko) * 2021-04-05 2021-11-17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납품을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347210B1 (ko) * 2021-05-07 2022-01-05 박형석 It 분류 서버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KR102551754B1 (ko) * 2023-03-21 2023-07-05 주식회사 물류대장 소비자 오더 기반으로 상호 다른 3pl 물류네트워크의 빅테이터 연산과 실시간 재고 및 설치기사를 매칭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배송설치가 가능한 홈인 풀필먼트 서비스 플랫폼의 운영방법
KR102631558B1 (ko) * 2023-03-27 2024-02-01 쿠팡 주식회사 배송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439A (ja) * 2001-09-26 2003-04-03 Toshiba Eng Co Ltd 薬品の物流システム
JP2004118577A (ja) * 2002-09-26 2004-04-15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配送計画システム及び配送計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958A (ko) * 2001-01-31 2002-08-07 엘지전자주식회사 물품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140023013A (ko) * 2012-08-16 2014-02-26 길민주 택배서비스 운용방법 및 택배시스템
KR101573349B1 (ko) * 2014-03-14 2015-12-01 에스케이 주식회사 현재 도로 상황과 과거 이동 정보에 기반한 배송 계획 수립 방법 및 시스템
KR101662048B1 (ko) * 2015-03-04 2016-10-10 박상완 맞춤형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439A (ja) * 2001-09-26 2003-04-03 Toshiba Eng Co Ltd 薬品の物流システム
JP2004118577A (ja) * 2002-09-26 2004-04-15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配送計画システム及び配送計画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1149A (ko) 2020-09-03 2022-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물건 배송 시스템 및 배송방법
WO2022055089A1 (ko) * 2020-09-11 2022-03-17 카페24 주식회사 택배 서비스 후기 평가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44028A (ko) 2020-09-29 2022-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배송 방법
US11887042B2 (en) 2020-09-29 2024-01-30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service using drone
WO2022255556A1 (ko) * 2021-06-04 2022-12-08 쿠팡 주식회사 음식 배달을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64263A (ko) * 2021-06-04 2022-12-13 쿠팡 주식회사 음식 배달을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78515B1 (ko) * 2021-06-04 2022-12-19 쿠팡 주식회사 음식 배달을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526A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996B1 (ko) 택배서비스 운영 방법 및 장치, 통합 택배 서비스 시스템
US9195959B1 (en) Fulfillment of orders from multiple sources
US7904975B2 (en) Real-time display of available products over the internet
KR102244568B1 (ko) 수요 공급 예측을 통한 물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7725366B1 (en) Supply-chain management system
US8001017B1 (en) Supply-chain management system
JP2023018105A (ja) インバウンド購入注文のインテリジェントな調整による製品在庫の最適化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055346B1 (ko) 통합 유통 관리 시스템
US20210224740A1 (en) Merchandise delivery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US200802351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on of shipping from multiple merchandise vendors
JP7209017B2 (ja) 在庫切れアイテムのインテリジェントな予測および先を見越した再注文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実施方法
JP2022095864A (ja) インバウンド購入注文のインテリジェントな調整による製品在庫の最適化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9505238A (ja) 最適化されたデータベース調整および供給チェーン効率
JP7223779B2 (ja) インバウンド製品のインテリジェントな分配による製品在庫の最適化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によって実装され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2245366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物流システム
JP2019200753A (ja) 決定装置、決定方法および決定プログラム
WO2020066765A1 (ja) 商品配送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00024149A (ko) 인터넷 상거래 시스템
KR20010093942A (ko) 통합 공급 경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48968A (ko) 가상 번들의 동적 밸런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2230340A (ja) 販売業者管理システムおよび販売業者管理方法
JP7258058B2 (ja) 保証配送時間の選択を表示および決定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化された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0067990A (ja) 買い物代行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98170B1 (ko) 사입대행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39605A (ko) 커스텀 풀필먼트 센터를 위한 최상위 아이템을 결정하는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