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753B1 - 필름 시일 기구 - Google Patents

필름 시일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753B1
KR101950753B1 KR1020167002310A KR20167002310A KR101950753B1 KR 101950753 B1 KR101950753 B1 KR 101950753B1 KR 1020167002310 A KR1020167002310 A KR 1020167002310A KR 20167002310 A KR20167002310 A KR 20167002310A KR 101950753 B1 KR101950753 B1 KR 101950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eater
wing
guid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0179A (ko
Inventor
아키오 시마누키
요시카즈 오니시
Original Assignee
니혼 세이프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세이프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세이프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26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with continuous tubular film for receiving fa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2Closing bottle neck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66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sacks from a supply
    • B65B67/1277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sacks from a supply for dispensing flexible tubular material gathered up in the shape of a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내용물이 수용되어 이송 수단에 의해 필름 통과구로부터 하방으로 이송되도록 배치된 튜브상 필름을, 이송 수단의 위치와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되고, 필름의 외면을 끼울 수 있도록 배치되는 히터 및 히터 받이를 구비한 필름 시일 기구에 있어서, 히터와 히터를 상하로부터 끼우는 평행한 2개의 필름 가이드를 가지는 고정 브래킷과, 히터 받이와 이 히터 받이 자체의 전면에 형성한 필름 가이드, 또는 히터 받이를 상하로부터 끼우도록 배치한 평행한 필름 가이드를 가지는 이동 브래킷을 대향 배치하여 구비하고, 고정 브래킷의 필름 가이드는 튜브상 필름의 평면에서 본 대략 좌우의 양측면에 비스듬하게 맞닿는 외측 가장자리를 이동 브래킷측을 향하여 확개한 형상의 제1 날개형상부를 가지고, 이동 브래킷의 필름 가이드는 튜브상 필름의 평면에서 본 대략 좌우의 양측면에 비스듬하게 맞닿는 외측 가장자리를 고정 브래킷측을 향하여 확개한 형상의 제2 날개형상부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필름 시일 기구{FILM SEALING MECHANISM}
본 발명은 배설물이나 오물 등의 내용물이 수용된 튜브상 필름, 특히 개구 직경이 큰 튜브상 필름을 그 이송 기구로부터 편심한 위치에서 히트 시일하도록 한 필름 시일 기구에 있어서, 그 필름의 히트 시일에 적합한 폭 좁힘 기능을 구비한 필름 시일 기구에 관한 것이다.
내용물을 수용한 튜브상 필름의 개구부를 봉지하여 필름 팩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열용착하거나 열용착한 다음 열용단까지 하는 히트 시일 기구는 일본 특개 평4-317905호 공보를 비롯한 특허문헌 1~3 등에 의해 대부분의 것이 공지이다.
필름 팩을 형성하는 공지의 히트 시일 기구에서는 히트 시일해야 할 튜브상 필름의 개구 직경이 큰 경우, 히트 시일시에 그 튜브상 필름의 개구부를 강제적으로 폭 좁힘(개구부의 정면 폭=좌우 폭)을 줄이고, 당해 폭 좁힘된 부분을 봉상 내지 선상의 히터와 이 히터에 대면한 히터 받이에 의해 협지하고, 당해 필름 개구부의 열용착을 행하고 있다.
덧붙여서, 폭 좁힘을 강제적으로 행하지 않으면, 튜브상 필름의 시일해야 할 부위의 좌우 폭이 필름 시일 기구의 필름 통과구의 좌우 폭보다 큰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필름의 시일해야 할 부위의 좌우 폭이 히터의 좌우 폭보다 커져 필름의 좌우 양단부를 히트 시일할 수 없다.
그러나, 예를 들면 휴대형의 토일렛 장치와 같이 배설물이 들어 있는 튜브상 필름을 좁은 상하 공간 중에 설치된 필름 시일 기구로 히트 시일 등의 처리를 하도록 한 토일렛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이송 롤러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히트 시일을 위한 폭 좁힘을 행하고, 또한 폭 좁힘된 필름의 폭(길이)이나 폭방향에서의 필름의 두께를 대략 균일하게 하는 수단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공지 히트 시일 기구에서는 제안되어 있지 않다.
튜브상 필름을 히트 시일함에 있어서 폭 좁힘하는 이유는 히트 시일하는 필름 개구부의 길이가 크면 사용하는 히터도 그 길이에 걸맞는 긴 히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히터가 길면 소비 전력도 커지기 때문에 상용전원 이외의 자동차 배터리 등의 이차전지나 적층전지, 건전지 등의 일차전지에 의한 반송 가능한 비교적 소형이며 소출력의 전원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지 등의 소형 전원을 사용할 수 없으면, 히트 시일해야 할 튜브상 필름을 실장한 장치가 휴대형이나 가반형의 토일렛 장치인 경우, 그 토일렛 장치는 상용전원이 있는 곳에서 밖에 사용할 수 없다는 별도의 문제가 파생한다.
따라서, 소형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소비 전력이 적은 짧은 히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튜브상 필름의 큰 개구부에 대하여 히트 시일해야 할 부분의 길이(튜브상 필름을 정면에서 본 가로 폭=좌우 폭)을 짧게 정형할 필요가 있다. 또, 단순히 좌우 폭을 작게 폭 좁힘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폭 좁힘한 필름의 두께가 좌우 폭방향에 있어서 가능한 한 균등하지 않으면 균질한 히트 시일을 할 수 없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구 직경이 큰 튜브상 필름의 개구부를 히트 시일 전단계에서 짧은 길이로 정리하기 위한 처리, 즉 「필름의 폭 좁힘」을 행하여, 짧은 히터에 의해 히트 시일할 수 있도록 한 기술도 제안되어 있기는 하다.
종래 제안되어 있는 폭 좁힘 기구에는 통상 필름을 평면에서 본 개구부에 대하여 예를 들면 개구부의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의 양방향으로부터 크로스하여 필름의 개구 직경을 좁히도록 한 복잡한 구조의 폭 좁힘 기구가 있지만, 이러한 복잡한 기구는 상하 폭이 작은 공간에는 들어가지 않는다는 문제 외에 폭 좁힘 후의 시일부의 길이가 균일하게 되기 어렵거나 폭 좁힘한 부분의 필름의 두께도 균일하게 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휴대형 또는 가반형의 토일렛 장치에 있어서는, 변기에 세트된 절첩(折疊)된 튜브상 필름을 변좌 하방의 필름 통과구로부터 그 통과구의 하방에 배열설치된 이송 롤러로 이끌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필름 통과구는 변좌의 개구 형상과 마찬가지로 대략 원형 내지 타원형상이지만, 이송 롤러의 상부에 형성된 필름 통과구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이며, 게다가 이 사각형의 필름 통과구에 연속된 가이드벽이 플랫상으로 직립한 벽면이기 때문에, 이들 사각형상의 통과구와 이 통과구에 이어진 플랫상으로 직립한 가이드 벽면이 서로 작용하여, 이송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통과구에 끌어들여지는 튜브상 필름이 사각형의 통과구의 양 모서리부에 근접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것이 상기 필름 개구부의 폭 좁힘을 필름 통과구의 폭보다 작거나 또는 좌우 롤러의 폭보다 작게 할 수 없는 원인의 하나였다.
일본 특개 평4-317905호 공보 일본 특개 평4-317903호 공보 일본 특개 2006-69579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개구 직경이 큰 튜브상 필름의 개구부를 간단한 구조로 필름의 좌우 폭 및 두께에 있어서 대략 균일하게 폭 좁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반복하여 폭 좁힘 동작해도 항상 필름 개구부의 폭을 필름 시일 기구의 필름 통과구의 폭보다 작거나, 또는 좌우 롤러의 간격의 폭보다 작게 좁힐 수 있고, 또한 좁힌 필름의 폭방향에서의 두께를 대략 균일하게 정리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짧은 히터에 의해 히트 시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게다가, 필름 통과구 하단과 히터 사이의 폭이 좁은 공간에서도 상기 성능을 발휘하는 폭 좁힘 기능을 구비한 히트 시일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 필름 시일 기구의 구성은 내용물이 수용되어 이송 롤러와 같은 이송 수단에 의해 폭방향의 양측부가 지지되어 하방으로 이송되도록 배치된 튜브상 필름에 대하여, 상기 이송 수단의 위치와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필름의 외면을 끼울 수 있도록 배치되는 가늘고 긴 히터 및 이 히터가 맞닿는(當接) 히터 받이를 구비한 필름 시일 기구에 있어서, 상기 히터와 이 히터를 상하로부터 끼우는 평행한 2개의 필름 가이드를 가지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히터 받이와 이 히터 받이의 전면을 필름 가이드로 하거나 또는 상기 히터 받이를 상하로부터 끼우는 평행한 2개의 필름 가이드를 가지는 이동 브래킷을 대향 배치하여 구비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의 필름 가이드는 상기 튜브상 필름을 평면에서 본 대략 좌우 양측면에 비스듬하게 맞닿는 외측 가장자리(外緣)를 이동 브래킷측을 향하여 확개(擴開)한 형상의 제1 날개형상부(翼狀部)를 가지고, 상기 이동 브래킷의 필름 가이드는 상기 튜브상 필름을 평면에서 본 대략 좌우 양측면에 비스듬하게 맞닿는 외측 가장자리를 상기 고정 브래킷측을 향하여 확개한 형상의 제2 날개형상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필름 시일 기구에 있어서, 고정 브래킷과 이동 브래킷은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 직선상의 필름 가이드와, 각 가이드의 좌우측에 형성한 날개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튜브상 필름을 평면에서 본 개구부에 대하여, 양 브래킷의 중간부에 위치한 상하의 직선상 필름 가이드와 각 가이드의 좌우측부에 설치한 날개형상부가 당해 필름의 개구부를 그 전후와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동시에 좁힐 수 있으므로, 튜브상 필름의 개구부는 그 대략 전체 둘레에 있어서 적합한 폭 좁힘 형태(조임 형태)가 실현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하 폭이 어느 한 쌍의 필름 가이드와 한 쌍의 제1과 제2 날개형상부에 의한 폭 좁힘 작용에 의해 개구 직경이 큰 튜브상 필름이라도 그 개구부를 대략 전체 둘레용으로부터 상기 가이드와 날개형상부의 상하 폭으로써 협착하는 것 같은 태양으로 폭 좁힘하므로, 이송되어 온 튜브상 필름을 히터와 히터 받이의 좌우 폭 내(정면 길이 내)에 들어가는 크기로 대략 균등하게 축소 정형을 할 수 있다.
또,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고정 브래킷의 중간부에는 히터를 상하로부터 끼우는 태양으로 상하의 필름 가이드가 2층으로 설치되어 있고, 게다가, 진출해 오는 이동 브래킷의 제2 날개형상부의 선단측을 느슨하게 유지하고, 또한 진출해 온 당해 제2 날개형상부의 진입을 안내하는 단면 대략 コ상의 안내부가 상기 가이드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에 설치한 필름 가이드와 날개형상부에 의한 폭 좁힘 기구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폭 좁힘 동작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 이송 롤러로의 튜브상 필름 송입을 원활하게 하여 상기한 폭 좁힘 효과를 얻기 위해서, 토일렛 장치의 변좌 하방에 위치한 필름의 통과구를 평면시 대략 타원형상 내지 원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당해 통과구에 이어지는 가이드 벽면을 이 통과구에 연속된 평면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이 가이드 벽면을 도중에 경사각이 바뀌는 단차 부착(段付) 가이드 벽면으로 형성했다.
상기 필름 시일 기구에 있어서는, 이송 롤러의 필름 협지 부분을 통과하는 수직면과, 히터와 히터 받이가 가장 접근한 히트 시일 라인(히터와 히터 받이의 맞닿음 라인을 통과하는 수직면)이 오프셋된 위치 관계가 되도록, 이송 롤러의 필름 협지부와, 히터와 히터 받이의 맞닿음 라인(히트 시일 라인)과의 위치 관계를 설정하고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폭 좁힘 작용에 의해 필름의 시일 폭이 작게(협폭)되어도, 그 필름이 이송 롤러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덧붙여서, 이송 롤러의 바로 아래(동일 위상)에서 필름 폭을 폭 좁힘(축소)하면, 필름이 이송 롤러의 협지면으로부터 벗어나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 히트 시일 기구에서는 대향한 이동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이 각각에 구비한 중간 부위의 직선상을 이루는 필름 가이드와 당해 가이드의 좌우측에 위치하여 필름 개구부에 대하여 비스듬한 외측 가장자리를 가지는 2세트의 날개형상부에 의한 폭 좁힘 작용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한 폭 좁힘 작용부인 필름 가이드와 상기한 각 날개형상부의 근원측의 좌우 폭을 필름 통과구의 횡폭 또는 좌우의 이송 롤러의 간격보다 작은 히터(또는 히터 받이)의 길이에 걸맞는 크기로 했으므로, 대향한 상하의 필름 가이드와 상하의 각 필름 가이드가 구비한 날개형상부에 의한 폭 좁힘 작용으로, 필름의 개구부는 폭 좁힘 작용을 받는 상하 폭의 범위에 있어서 폭 좁힘되는 필름이 편재하지 않고 상기 히터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그 보다 작은 개구부가 되도록 축소 정형된다. 개구부가 이와 같은 폭 좁힘 태양으로 축소된 필름은 폭 좁힘된 필름이 히터의 길이 방향에서 대략 균등한 두께로 존재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와 히터 받이 사이에 협지되므로, 이 협지 상태에서 상기 히터의 열에 의해 필름이 용융되어, 축소 정형된 개구부가 그대로 히트 시일(열용착)되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필름이 히터의 길이 방향에서 편재하지 않는 폭 좁힘의 실현에 기여하는 구성으로서, 토일렛 장치의 변좌 하방측의 이송 롤러에 필름을 도입하는 필름 통과구를 평면시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당해 통과구에 연속하여 하방으로 형성하는 가이드 벽면을 이송 롤러에 공급되는 튜브상 필름이 그 이송 롤러에 대하여 대략 균등한 분포량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 가이드 벽면의 도중에 경사각이 바뀌는 단차 부착 가이드 벽면으로 형성했으므로 상기한 정연하고 또한 확실한 히트 시일을 위한 폭 좁힘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름이 히트 시일되는 부위인 고정 브래킷의 하방에 이동 브래킷측에 하향 구배가 되는 절첩식의 슈터를 설치했으므로, 내용물이 들어 있는 상태에서 개구부가 봉지되지 않은 튜브상 필름이 당해 슈터에 맞닿아 미끄러져 떨어짐으로써, 이 필름 내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되고, 이것에 의해 형성되는 필름 팩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필름 시일 기구의 일례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필름 시일 기구의 저면도.
도 3은 도 1, 도 2의 필름 시일 기구의 종단 측면도.
도 4는 도 3의 필름 시일 기구의 종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필름 시일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필름 시일 기구의 분해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도 1~도 6의 필름 시일 기구의 동작 전(스탠바이 상태)의 저면도.
도 8은 도 7의 기구의 사시도.
도 9는 도 1~6의 기구의 동작 도중의 저면도.
도 10은 도 9의 기구의 사시도.
도 11은 도 1~도 6의 기구의 동작 종단의 저면도.
도 12는 도 11의 기구의 사시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12에 있어서, 1과 2는 본 발명 필름 시일 기구에 있어서의 좌우측(도 1의 좌우측)에 배치(도시하지 않는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음)된 2세트의 이송 롤러이며, 각 세트의 이송 롤러(1, 2)는 동일 직경의 고무 롤러(1a, 1b, 동일 2a, 2b)가 전후 방향으로 직렬된 맞닿음 상태로 배치되어, 배설물 등의 내용물이 수용된 튜브상 필름(CF)의 좌우측(변좌의 전후에 대하여 좌우측)을 협지하여 하방으로 반송하는 튜브상 필름(CF)의 이송 수단이다. 도 7~도 12는 본 발명 필름 시일 기구를 저면측에서 본 모습이므로, 도 7~도 12에서는 상기 필름(CF)은 도면의 지면의 앞측으로 송출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송 롤러(1, 2)의 전후 방향은 도 7, 도 9, 도 1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도 3~도 6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이다.
도 1은 본 발명 필름 시일 기구를 구비한 토일렛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토일렛 장치의 필름 시일 기구를 좌우 방향에서 반전한 모습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 필름 시일 기구의 개요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분해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 1~도 6에 있어서, 5는 고정 브래킷, 6은 이동 브래킷, 7은 고정 브래킷(5)측에 설치한 히터, 8은 이동 브래킷(6)에 설치한 히터 받이이다.
또, 도 1~도 6에 있어서, Sp는 전체를 도시하고 있지 않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토일렛 장치에 있어서 토일렛 장치의 상반측(변좌측)과, 필름 이송 기구, 히트 시일 기구 등의 기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하반측(기구부측)을 구획하기 위한 세퍼레이터이며, 이 세퍼레이터(Sp)의 중앙부에 상기한 튜브상 필름(CF)을 통과시키기 위한 대략 타원형 내지 원형의 구멍(Hs)이 필름 통과구로서 형성되어 있다.
세퍼레이터(Sp)의 상방에는 튜브상 필름(CF)을 외측에 세트하는 대략 타원형 통상의 필름 세트부(Fs)가 재치되어 있다. 필름 세트부(Fs)는 도시하지 않는 변좌의 개구부에 대응한 형상의 통상 개구(Hf)를 가지고, 상단이 외측 플랜지상을 이루는 필름 턴부(Ft)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턴부(Ft)는 절첩 상태로 세트부(Fs)에 장착된 필름(CF)을 신장, 개시하면서, 이 턴부(Ft)에서 필름 이송 기구(원통상의 필름 세트부(Fs)의 내부측)로 방향을 바꾸어 필름(CF)의 양측부가 이송 롤러(1, 2)에 협지되어 토일렛 장치에 세트되어 있다.
필름 통과구의 상기 구멍(Hs)의 대략 바로 아래에는 좌우의 이송 롤러(1, 2)가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송 롤러(1(2))의 하방에는 후술하는 고정 브래킷(5)과 이동 브래킷(6) 및 양 브래킷(5, 6)에 부대된 부재(히터(7)나 히터 받이(8), 히터 받이(8)에 대향하여 히터측의 필름 가이드(52)에 설치한 봉상의 필름 협지체(8a), 필름 가이드(51, 52), 제1, 제2 날개형상부(51a, 51b, 52a, 52b, 61a, 61b) 등)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7~도 12에서는 도 3~도 6에 있어서의 상하 관계가 반전된 형태(상하가 반대의 관계)로 표현되어 있다.
또, 필름 통과구의 상기 구멍(Hs)의 대략 바로 아래에 있어서, 그 구멍(Hs)을 따른 평면 형태로 튜브상 필름(CF)을 이송 롤러(1, 2)측으로 안내하는 2개의 가이드 벽면(Gw1과 Gw2)이 이송 롤러(1, 2)에 관하여 전후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가이드 벽면(Gw1과 Gw2)은 평면에서 보아 반원호상 만곡면을 이루고 있다. 2개의 가이드 벽면(Gw1과 Gw2) 중 일방의 벽면(Gw2)은 벽면이 수직 방향으로 수하된 형태이지만, 타방의 벽면(Gw1)은 도중에 경사각을 변화시킨 형태의 가이드 벽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튜브상 필름(CF)의 세트 위치는 변좌(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한 크기로 또한 변좌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지만, 통상 사용시의 배설물은 변좌의 중심보다 후방에 가깝게(필름 세트부(Fs)의 통상 개구부(Hf)의 중간보다 후방에 가깝게) 낙하하기 때문에, 이송 롤러(1, 2)의 위치나 세퍼레이터(Sp)의 구멍(Hs)의 위치도 후방에 가깝게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오프셋에 대응하여 가이드 벽면(Gw1)은 도중에 경사각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필름 세트부로부터 신장·전개되어 구멍(Hs)에 들어가는 필름(CF)은 도 3에 가상선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벽면(Gw1)의 경사각을 변화시킨 부위에 의해, 필름 이송시에 시일부의 폭방향에서의 필름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작용을 받는다.
도 1~도 6 및 도 7~도 12에 있어서, 3, 4는 좌우의 이송 롤러(1, 2)의 하방에 있어서 전후에 늘어선 좌측의 롤러(1a, 1b)와, 우측의 롤러(2a, 2b)가 늘어선 방향과 동일 방향을 따라 본 발명 필름 시일 기구에 있어서의 좌우의 외측에 배치한 로드상의 지지체이다. 이 로드상 지지체(3, 4)에는 후술하는 필름 가이드(51, 52)가 히터(7)를 상하로부터 끼우는 태양으로 형성된 고정 브래킷(5)과, 필름 가이드를 겸한 히터 받이(8)가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배열설치된 이동 브래킷(6)이 마운트되어 있다.
좌우의 지지체(3, 4)에 마운트된 고정 브래킷(5)은 좌우의 이송 롤러(1과 2)에 면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 4) 상의 소정 위치에 히터(7)의 측(전면)을 향하는 스프링력이 상시 작용한 형태로 위치 결정되어 걸쳐져 있다. 따라서, 고정 브래킷(5)은 히터(7)의 측(전면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밀리면, 소요의 짧은 거리를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후퇴하도록 되어 있다. 고정 브래킷(5)에는 히터(7)를 상, 하로부터 끼우는 태양으로 평면에서 보아 전단측이 직선상을 이루는 2장의 필름 가이드(51, 52)가 2층 구조로 설치되어 있고, 상하의 필름 가이드(51과 52)(도 7~도 12에서는 반전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가 반대로 보임)의 좌우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상단의 제1 날개형상부(51a, 51b)와 하단의 제1 날개형상부(52a, 52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필름 가이드(52)의 전면에는 진출해 오는 히터 받이(8)와 협동하여 이송되어 온 필름을 협지하는 필름 협지체(8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단의 제1 날개형상부(51a, 51b)에는 후술하는 제2 날개형상부(61a, 61b)를 삽입하여 안내하기 위한 단면 대략 コ상의 안내부(53a, 53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5)에 있어서의 상, 하 2단이 된 필름 가이드(51, 52)의 양단부에는 상기 필름(CF)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그 전후면과 좌우측면과의 경계부 근방에 비스듬하게 맞닿는 상, 하에서 2단이 된 제1 날개형상부(51a, 51b와 동일 52a, 52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고정 브래킷(5)에 있어서의 상, 하의 필름 가이드(51, 52) 사이에 있어서, 당해 가이드(51, 52)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조금 후퇴한 부위에는 띠상(내지 선상)의 히터(7)가 부착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로드상 지지체(3, 4)에 고정된 태양으로 배열설치되어 있다(도 3, 도 5, 도 6 참조). 히터(7)의 히터 선은 정면에서 보아 직선상 뿐만아니라 지그재그상인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름 가이드(51)와 필름 협지체(8a)를 구비한 필름 가이드(52)는 단락 003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단부에 후방(도 3, 도 5, 도 6의 오른쪽)을 향하는 소정의 누름력이 이동 브래킷(6)의 진출에 의해 부여되면, 당해 가이드(51, 52)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히터(7)의 전면보다 조금 후방까지 후퇴하고, 상기 누름력이 없어지면 자기복귀하도록 스프링을 통하여 지지체(3, 4)에 마운트되어 있다. 이 가이드(51, 52)의 후퇴시에 이송되어 오는 필름은 진출해 오는 히터 받이(8)와 이 히터 받이(8)에 대면하여 맞닿는 필름 협지체(8a)에 협지된다.
한편, 이동 브래킷(6)은 로드상의 지지체(3, 4) 상에서, 상기 고정 브래킷(5)에 대하여 모터 등의 동력(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진퇴 가능하도록 당해 지지체(3, 4)에 마운트되어 있다. 이 이동 브래킷(6)에는 그 전면측이며 상기 히터(7)와 대면하는 높이의 위치에 상기 히터(7)의 길이에 걸맞는 좌우 길이를 가지는 히터 받이(8)가 당해 브래킷(6)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히터 받이(8)는 고정 브래킷(5)의 상하의 필름 가이드(51, 52)에 대응하는 상하의 필름 가이드도 겸용하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진출하는 히터 받이(8)는 그 전면이 히터(7)에 맞닿기 전에 필름 가이드(52)의 필름 협지체(8a)에 맞닿아 이송되어 온 필름을 협지한다. 또한, 이동 브래킷(6)의 상하의 필름 가이드를 히터 받이(8)에 겸용시킬지 또는 히터 받이(8)와 별체로 설치할지는 임의이다.
또, 전면에 히터 받이(8)가 설치된 이동 브래킷(6)의 이동 방향에 관하여 좌우 양단부에는 히터 받이(8)를 상하에서 끼우고, 또한 상기 고정 브래킷(5)의 상하의 제1 날개형상부(51a, 51b, 동일 52a, 52b)에 대응하도록 제2 날개형상부(61a, 61b와 62a, 62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상단의 제2 날개형상부(61a, 61b)는 고정 브래킷(5)에 설치한 단면 대략 コ상의 안내부(53a, 53b)에 삽입하여 안내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토일렛 장치에 세트된 튜브상 필름(CF)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그 필름(CF)이 이송 롤러(1, 2)의 작용으로 하방(도 3~도 6에서는 도면의 하방으로, 도 7~도 12에서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상방으로)으로 소정 길이 이송되어, 본 발명 필름 시일 기구가 당해 필름(CF)의 개구부에 대한 히트 시일 모드가 되면(도 3 참조), 도 3, 도 7, 도 8에 나타내는 스타트 위치에 있는 이동 브래킷(6)은 도시하지 않는 모터나 실린더 등의 구동력에 의해 고정 브래킷(5)을 향하여 진출된다. 즉, 도 7, 도 8의 위치에 있던 이동 브래킷(6)은 구동력으로 이송되어 도 9, 도 10의 중간 위치를 거쳐, 도 11, 도 12의 이동 동작의 종단까지 이동된다.
이동 브래킷(6)이 도 7, 도 8의 위치로부터 도 11, 도 12의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 사이에, 고정 브래킷(5)의 필름 가이드(51, 52)의 전면 직선부와 이동 브래킷(6)의 필름 가이드를 겸한 히터 받이(8)의 직선변이 서로 간격을 좁히는 작용, 및 이 좁히는 작용과 동시에 고정 브래킷(5)과 이동 브래킷(6)에 있어서의 좌우에서 상하 2단이 된 제1 날개형상부(51a, 51b, 52a, 52b)와, 동일하게 상하 2단의 제2 날개형상부(61a, 61b, 62a, 62b)가 형성하는 경사변이 서로 접근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튜브상 필름(CF)의 개구부의 구경은 마치 사람의 양손의 손바닥에 의해 좁혀지는 것 같은 태양으로 축소 정형되고, 이 축소 상태에 있어서 우선 히터 받이(8)와 필름 협지체(8a)에 협지되고, 그 직후에 히터(7)와 히터 받이(8) 사이에 협지된다. 이 때, 축소된 필름(CF)의 좌우 폭은 상기 필름 가이드(51, 52)와 제1, 제2 날개형상부(51a~61b)의 작용으로 히터(7)의 좌우 폭의 내측에 들어가는 크기가 된다.
이와 같이 고정 브래킷(5)의 필름 가이드(51, 52)와 이동 브래킷(6)의 필름 가이드를 겸용한 히터 받이(8) 사이와, 상하의 제1, 제2 날개형상부(51a~52b, 61a~62b) 사이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로 협착된(폭 좁힘된) 개구부 형태가 된 튜브상 필름(CF)은 그 폭 좁힘 상태가 유지되면서, 이동 브래킷(6)이 또한 히터(7)의 측으로 진행하여, 이 이동 브래킷(6)의 히터 받이(8)의 전단면이 고정 브래킷(5)의 필름 가이드(51, 52)의 전면의 일부에 맞닿는다. 이 때, 필름은 히터 받이(8)와 필름 협지체(8a)에 협지된 채 이동 브래킷(6)이 더욱 조금 진행하면, 고정 브래킷(5)(필름 가이드(51, 52))은 이동 브래킷(6)과 일체가 되어 미소 거리 밀려들어가고(고정 브래킷(5)의 후퇴), 이것에 의해 압착되는 상기 히터(7)와 히터 받이(8) 사이에 상기 필름(CF)이 협지되고, 이 상태에서 히터(7)의 열에 의해 이 필름(CF)의 축소된 개구부 전체가 용융되어 용착된다.
또한, 실제의 장치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진출한 이동 브래킷(6)의 전단부(이 예에서는 히터 받이(8)의 전면)가 고정 브래킷(5)의 필름 가이드(51, 52)(필름 협지체(8a)) 전면에 맞닿아도 히터(7)와 히터 받이(8)는 아직 직접 맞닿지 않고, 양자(7, 8) 사이에 간극상의 스페이스가 남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간극상 스페이스는 축소 정형(폭 좁힘)되어 두께가 증가된 개구부의 필름을 깔끔하게 정리하기 위한 스페이스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은 스페이스의 크기를 어느 정도로 설정할지는 스페이스를 설치할지 여부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필름의 두께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개구부가 축소 정형되어 히터(7)와 히터 받이(8)의 압착 협지 작용과 가열 작용으로 용착된 상기 필름(CF)은 상기 개구부가 히트 시일(장착)되어 필름 팩으로 형성되고, 그 용착부에 있어서 절단되어 하방으로 자연 낙하한다.
본 발명에서는 히터(7)에 의해 히트 시일되어 절단되어 하방으로 낙하하는 필름 팩의 낙하의 보조 등을 하기 위해서, 고정 브래킷(5)의 하방에 도 3~도 6에 예시한 절첩식의 슈터(9)를 설치하고 있다. 이 슈터(9)는 히터(7)에 의해 히트 시일, 절단되는 부위가 고정 브래킷(5)의 위치이기 때문에, 절단된 필름 팩을 장치의 중심측(이송 롤(1, 2)의 대략 바로 아래측)을 향하여 낙하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슈터(9)는 내용물이 들어 있는 상태의 개구부가 시일 전의 튜브상 필름(CF)의 개구부가 폭 좁힘 작용을 받고 있을 때, 그 필름(CF)을 밑에서부터 지지함으로써, 당해 필름 내의 공기를 시일 전의 개구부로부터 배출시키는 작용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내용물이 들어 있는 튜브상 필름(CF)의 개구부의 폭 좁힘과 폭 좁힘한 개구부의 히트 시일과 커트를 위해서 진출 이동하고 있던 필름 가이드 겸용의 히터 받이(8)를 구비한 이동 브래킷(6)은 도 11, 도 12의 위치로부터 도 7, 도 8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다음 동작의 스탠바이 상태가 된다.
본 발명 필름 시일 기구는 이상과 같으며, 튜브상 필름의 롤러 등에 의한 이송 라인으로부터 편재한 부위에서 히트 시일하도록 한 필름 시일 기구에 있어서, 상하가 좁은 공간 내에서 상기 필름을 이송 수단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폭 좁힘함과 아울러, 그 폭 좁힘을 그 길이 및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필름의 집합 두께에 있어서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개구 직경이 큰 튜브상 필름이어도 짧은 히터에 의해 히트 시일하기 쉬운 형태로 폭 좁힘 정형할 수 있다.
또, 상기 필름의 개구부에 시행되는 폭 좁힘 형태에 의해, 짧은 히터에서 축소 정형된 개구부를 히트 시일할 수 있는 것에 의해, 히터에 상용전원 외에 자동차 배터리나 적층전지 또는 건전지 등 소형 전원을 전원으로 하는 히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실용성이 높다.
1, 2…이송 롤러
3, 4…바상 또는 로드상 지지부
5…고정 브래킷
51, 52…필름 가이드
6…이동 브래킷
51a, 51b…상단의 제1 날개형상부
52a, 52b…하단의 제1 날개형상부
53a, 53b…상단의 제2 날개형상부(61a, 61b)의 안내부
61a, 61b…상단의 제2 날개형상부
62a, 62b…하단의 제2 날개형상부
7…히터
8…필름 가이드를 겸한 히터 받이
8a…필름 가이드(52)에 설치한 필름 협지체
9…절첩식 슈터

Claims (6)

  1. 내용물이 수용되어 이송 롤러와 같은 이송 수단에 의해 폭방향의 좌우 양측부가 지지되어 필름 통과구로부터 하방으로 이송되도록 배치된 튜브상 필름에 대하여, 상기 이송 수단의 위치와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필름의 외면을 끼울 수 있도록 배치되는 가늘고 긴 히터 및 이 히터에 맞닿는 히터 받이를 구비한 필름 시일 기구에 있어서,
    상기 히터와 이 히터를 상하로부터 끼우는 평행한 2개의 필름 가이드를 가지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히터 받이와 이 히터 받이 자체의 전면에 형성한 필름 가이드, 또는 상기 히터 받이를 상하로부터 끼우도록 배치한 평행한 필름 가이드를 가지는 이동 브래킷을 대향 배치하여 구비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의 필름 가이드는 상기 튜브상 필름의 평면에서 본 대략 좌우의 양측면에 비스듬하게 맞닿는 외측 가장자리를 이동 브래킷측을 향하여 확개한 형상의 상하 2단의 제1 날개형상부를 가지고,
    상기 이동 브래킷의 필름 가이드는 상기 튜브상 필름의 평면에서 본 대략 좌우의 양측면에 비스듬하게 맞닿는 외측 가장자리를 상기 고정 브래킷 측을 향하여 확개한 형상의 상하 2단의 제2 날개형상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고정 브래킷의 필름 가이드에는 이동 브래킷의 상하 2단의 제2 날개형상부의 쌍방의 선단측을 유지함과 아울러 이동해 온 상기 상하 2단의 제2 날개 형상부를 받아들여 안내하는 단면이 대략 コ형상인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시일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 가이드와 날개형상부에 의해 히트 시일의 폭을 필름 통과구의 폭, 또는 좌우의 이송 수단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시일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 브래킷의 히터 받이는 당해 이동 브래킷의 전면측에 그 브래킷의 전면보다 히터 받이의 전면을 돌출시켜 상하의 필름 가이드를 겸용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시일 기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토일렛 장치의 변좌 하방으로서 필름 이송 기구 상방의 필름 통과구를 평면시 대략 타원형상 내지 원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당해 필름 통과구에 이어져 하방으로 향하는 가이드 벽면 중 변좌 후방측의 가이드 벽면을 도중에 경사각이 변화된 단차 부착 가이드 벽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시일 기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히터측의 고정 브래킷의 하방에는 이동 브래킷측을 향하여 하향 구배의 슈터를 절첩이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시일 기구.
  6. 삭제
KR1020167002310A 2013-08-06 2013-08-06 필름 시일 기구 KR101950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04760 WO2015019383A1 (ja) 2013-08-06 2013-08-06 フィルムシール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179A KR20160040179A (ko) 2016-04-12
KR101950753B1 true KR101950753B1 (ko) 2019-02-21

Family

ID=5246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310A KR101950753B1 (ko) 2013-08-06 2013-08-06 필름 시일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98194B2 (ko)
JP (1) JP6307081B2 (ko)
KR (1) KR101950753B1 (ko)
CN (1) CN105451622A (ko)
SG (1) SG11201600503QA (ko)
WO (1) WO20150193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1383B2 (ja) * 2016-02-03 2020-04-28 日本セイフティー株式会社 トイレ装置及びフィルムシール装置
CN106275952B (zh) * 2016-08-30 2019-07-16 宁波厨聚厨房科技有限公司 智能垃圾桶及使用方法
CN106564717B (zh) * 2016-10-31 2019-12-31 广州大学 一种垃圾桶自动热封垃圾袋装置及其方法
EP3587306B1 (en) * 2018-06-16 2021-06-09 Shanghai Townew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Bagging mechanism for trash bags and smart trash receptacle
BE1026604A9 (nl) * 2018-09-12 2020-09-24 Diaper Care Holding Nv Inrichting voor het verwerken van gebruikte luiers
CN109533488B (zh) * 2019-01-18 2023-12-01 广东三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打包装置、污物包装方法及应用打包装置的无水马桶
DE102020110106A1 (de) * 2019-04-12 2020-10-15 Closac Ag Schweißeinheit
CN110367866A (zh) * 2019-08-20 2019-10-25 任昱霖 一种自动收集坐便椅
US11918155B2 (en) * 2019-09-20 2024-03-05 Harry Welfare Waterless toilet
US11974703B2 (en) 2020-01-04 2024-05-07 Kohler Co. Liner toilet
KR20220146626A (ko) * 2020-06-09 2022-11-01 드리미 테크놀로지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지능형 쓰레기통
WO2022232023A1 (en) * 2021-04-30 2022-11-03 Momentum Product Solutions, Llc Odorless diaper b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376B2 (ja) * 1997-07-19 2001-04-25 コクヨ株式会社 観覧席
JP3173148B2 (ja) * 1992-06-18 2001-06-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自動車のカウル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1409A (en) * 1966-04-08 1968-09-17 Hans G. Ekrut Waste disposal unit
US3452368A (en) * 1966-10-07 1969-07-01 Fts Corp Portable waste disposer
SE381172B (sv) * 1973-01-03 1975-12-01 Pactosan Ab Anordning for paketering av avfall i en slang
JPH03161376A (ja) * 1989-11-20 1991-07-11 Brother Ind Ltd シリアルプリンタ
JPH04286501A (ja) * 1991-03-15 1992-10-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ゴミパック装置用袋ホルダー
JPH04317905A (ja) 1991-04-15 1992-1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ヒートシール装置
JPH04317903A (ja) 1991-04-15 1992-1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ヒートシール装置
US5960487A (en) * 1994-03-16 1999-10-05 Hawkins; Robert D. Dry toilet
US6131371A (en) * 1995-07-21 2000-10-17 Peter Tils Waste collection and disposal process
WO1997018992A1 (fr) * 1995-11-17 1997-05-29 Captiva Holding Dispositif pour collecter et confiner les dechets hospitaliers et menagers
US6212701B1 (en) * 1996-04-24 2001-04-10 Englong He Completely automatic waterless closet
US5803299A (en) * 1996-08-05 1998-09-08 Sealy, Jr.; Scott P. Container for multiple trash bags
US6101641A (en) * 1996-10-02 2000-08-15 Hawkins; Robert D. Waste removal method for dry toilets
JPH1176101A (ja) * 1997-09-03 1999-03-23 Yokohama Rubber Co Ltd:The ヒートシール式トイレ設備
US6341386B1 (en) * 1999-04-16 2002-01-29 William A. Phillips Portable potty apparatus
US7350663B2 (en) * 2001-04-10 2008-04-01 Playtex Products, Inc. Waste storage device
FR2841229B1 (fr) * 2002-06-19 2006-05-26 Aa Man Dispositif de collecte de dechets
US6941733B2 (en) * 2003-04-03 2005-09-13 Playtex Products, Inc. Waste disposal apparatus
AU2004282068B2 (en) * 2003-10-16 2010-12-02 Kyoritsu Seiyaku Corporation Packaging device and trash can
CN100459919C (zh) * 2004-08-20 2009-02-11 谈世德 车用便携便器
JP4349524B2 (ja) 2004-08-31 2009-10-21 富士インパルス株式会社 フィルムシール装置
US20070045324A1 (en) * 2005-08-31 2007-03-01 Joseph Mitchell Disposal bag and system for disposing of sanitary products
US20080000204A1 (en) * 2006-06-28 2008-01-03 S.C. Johnson Home Storage, Inc. Vacuum sealer apparatus and a film cartridge for a vacuum sealer and a means of operating the vacuum sealer and the film cartridge
US7849527B2 (en) * 2008-01-02 2010-12-14 Nihon Safety Co., Ltd. Toilet apparatus with processing material
US20090255045A1 (en) * 2008-04-15 2009-10-15 Nihon Safety Co., Ltd. Excretion packaging type portable tollet apparatus
CA3000171A1 (en) * 2008-05-30 2009-12-23 Stryker Corporation Portable cart for containing medical waste that includes a bag tensioner
WO2011011895A1 (en) * 2009-07-31 2011-02-03 International Refills Company Ltd. Waste disposal device
KR20110027557A (ko) * 2009-09-10 2011-03-16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오물 처리 장치용 필름 수납 카세트
JP3161376U (ja) * 2010-05-17 2010-07-29 日本セイフティー株式会社 ポータブルトイレ
GB2480499B (en) * 2010-05-21 2012-09-12 Loowatt Ltd A toilet
NL1038459C2 (nl) * 2010-12-17 2012-06-19 Lencon Products B V Werkwijze voor het zich ontdoen van afval en inrichting daarvoor.
WO2013028679A1 (en) * 2011-08-23 2013-02-28 Dry Flush Llc Bagging toilet
US20130067857A1 (en) * 2011-09-19 2013-03-21 Scandinavian Child Llc Heat-sealed waste disposal
JP3173148U (ja) * 2011-11-08 2012-01-26 日本セイフティー株式会社 フィルムシール機構
US9033176B2 (en) * 2013-03-15 2015-05-19 Moderntake Product Solutions, Llc Waste disposal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3148B2 (ja) * 1992-06-18 2001-06-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自動車のカウル構造
JP3161376B2 (ja) * 1997-07-19 2001-04-25 コクヨ株式会社 観覧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07081B2 (ja) 2018-04-04
WO2015019383A1 (ja) 2015-02-12
US20160347491A1 (en) 2016-12-01
CN105451622A (zh) 2016-03-30
SG11201600503QA (en) 2016-02-26
US9598194B2 (en) 2017-03-21
JPWO2015019383A1 (ja) 2017-03-02
KR20160040179A (ko) 201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753B1 (ko) 필름 시일 기구
US6305146B1 (en) Process for the final folding and subsequent storage of a piece of linen and final folding means
US20230249861A1 (en) Bag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0116519A1 (ja) 無菌充填包装機および無菌充填包装方法
US92840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paration of piping bags for prefilling
CN111788067B (zh) 制袋机以及塑料袋的制造方法
WO2011048653A1 (ja) 包装装置
US20100323868A1 (en) Bag-making and packaging apparatus
CN114013745B (zh) 床垫包装设备及包装方法
JP6166652B2 (ja) 二重包装装置
JP2002019737A (ja) ヒートシール装置
JP5832790B2 (ja) ガゼット状シート開口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袋敷設装置
JP2020055559A (ja) 包装装置
JP3173148U (ja) フィルムシール機構
JP2002104310A (ja) 充填包装機
JP3040927B2 (ja) 印刷物等の自動連続包装装置
JP6914621B2 (ja) 充填包装機および充填包装方法
EP1252011B1 (en) Container liners
JP5635542B2 (ja) 製袋充填機における袋開封部形成装置
JP2007238170A (ja) 上包み包装機の折込み装置
ITMO20120197A1 (it) Apparato di taglio
JP2010269810A (ja) 縦形製袋充填包装機
JP6378488B2 (ja) ピロー包装装置
JP5538598B1 (ja) 合成樹脂製ガゼット袋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499468B2 (ja) 製袋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