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677B1 -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677B1
KR101946677B1 KR1020147035482A KR20147035482A KR101946677B1 KR 101946677 B1 KR101946677 B1 KR 101946677B1 KR 1020147035482 A KR1020147035482 A KR 1020147035482A KR 20147035482 A KR20147035482 A KR 20147035482A KR 101946677 B1 KR101946677 B1 KR 101946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former
wire
wind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0208A (ko
Inventor
키하치로 니시다
Original Assignee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0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7/00Manufacture of rings from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2030/487Forming devices for manufacturing the b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권취장치는, 1줄의 와이어(W)를 원형의 포머(13)의 외주에서 열 방향 및 단 방향으로 정렬한 상태로 권취함으로써 비드링(B)을 형성한다. 장치프레임(11)에는, 포머(13)의 외주상의 와이어(W)를 압압하기 위한 롤러(16)가 와이어(W)의 열 방향 및 단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포머(13)의 회전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캠축(18) 상에는, 캠면(22a)을 가지는 원형의 캠(20)이 지지된다. 캠(20)의 캠면(22a)에는 롤러(16)와 일체로 와이어(W)의 열 방향 및 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캠팔로워(17)가 계합하고, 이로써, 캠면(22a)의 작용에 의해 롤러(16)가 와이어(W)의 열 방향으로 이동된다.

Description

권취장치{Wi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1줄의 와이어를 원형 포머의 외주에서 열 방향 및 단 방향으로 정렬한 상태로 권취함으로써 비드링을 형성하는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권취장치에서는, 포머의 외주와 대응하는 위치에 와이어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롤러가 포머의 축 방향 및 반경방향, 즉, 와이어의 열(row) 방향 및 단(column)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 롤러는, 포머가 1회전하여 포머의 외주에 와이어가 1바퀴 분 권취됨으로써, 액츄에이터에 의해 와이어의 열 방향으로 1피치씩 이동되도록 되어있다.
일본특허공개 2009-12326 호 공보
상기한 종래의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와이어를 압압하기 위한 롤러가 액츄에이터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의 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있다. 이 때문에, 액츄에이터를 포머의 회전에 동기시켜 회전제어하기 위한 복잡한 제어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액츄에이터가 펄스모터나 서보모터일 경우, 순간적인 정전으로 폭주할 경우 등 상기 모터가 동기상태를 잃거나 하면, 그 후의 회전제어가 곤란하게 되고, 비드링의 권취에 지장이 오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은, 포머의 외주 상의 와이어를 압압하기 위한 롤러를 간단한 기계적 구성에 의해 포머의 회전에 동기시켜 와이어의 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와이어의 권취운동을 지장없이 실행할 수 있는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중의 와이어를 원형의 포머 외주에 열 방향 및 단 방향으로 정렬한 상태에서 권취함으로써 비드링을 형성하는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 방향 및 단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에 장치프레임에 설치되는 상기 포머의 외주 상의 와이어를 압압하기 위한 롤러, 상기 포머의 회전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캠축 상에 지지되는 복수의 캠면을 가지는 원형의 캠, 상기 캠의 캠면에 계합하고, 상기 롤러와 일체로 상기 와이어의 열 방향 및 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캠팔로워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캠면의 작용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포머가 1회전하여 포머의 외주에 와이어가 1바퀴 분 권취됨으로써, 포머의 회전에 동기하여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캠 상의 캠면의 작용에 의해, 와이어를 압압하기 위한 롤러가 캠팔로워를 사이에 두고 와이어의 열 방향에 1피치씩 이동된다. 따라서, 캠 및 캠팔로워라는 간단한 기계적 구성에 의해, 포머의 회전에 동기하여 롤러를 와이어의 열 방향으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의 이동이 캠 및 캠팔로워로 이루어지는 기계적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정전에 의한 권취장치의 운전이 정지할 경우, 캠팔로워가 정지 시의 위치에서 캠의 캠면 상에 접촉한 상태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정전이 복구될 때에 와이어의 열 방향으로 롤러의 이동을 캠면의 작용으로 계속하여 행할 수 있어, 권취장치의 운전을 지장없이 재개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캠이 1회전하는 사이에 하나의 비드링이 형성되도록, 상기 캠면의 수는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권취장치는, 상기 포머의 회전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캠은 캠축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다. 또한, 상기 캠은, 캠면이 형성된 원반 형상의 본체와, 그 본체의 측면에 고정되는 피동기어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피동기어에 대하여 이격 가능하게 치합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권취장치는, 상기 와이어의 권취 종료 시에, 캠팔로워를 캠면 상의 권취 종료 위치로부터 권취 개시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캠면이 포머의 축 방향을 향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포머의 외주 상에 와이어를 압압하기 위한 롤러를, 간단한 기계적 구성에 의해 포머의 회전에 동기하여 와이어의 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부적절한 사태를 회피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권취장치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2는 도 1의 2-2 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3-3 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4-4 선의 단면에서 캠면을 전개상태로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권취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비드링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비드링에 있어서 와이어의 권취 종료단부를 모식화하여 도시한 부분 평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화한 권취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 1~7 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취장치의 장치프레임(11)에는 모터(12)가 배치된다. 모터(12)에 있어서 모터축(12a)의 일단에는 나사부(12b)가 설치된다. 나사부(12b)에는 포머(13)가 너트(14)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포머(13)의 외주에는 홈부(13a)가 형성된다. 권취장치는, 모터(12)에 의해 포머(13)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포머(13)의 홈부(13a) 내에서 1줄의 와이어(W)를 열 방향 및 단 방향으로 정렬한 상태로 권취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낸 단면형상을 가지는 비드링(B)을 형성한다.
포머(13)의 홈부(13a)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장치프레임(11)에는 지지부재(15)가 지지된다. 지지부재(15)는, 포머(13)의 축 방향 및 반경방향, 즉 와이어(W)의 열(row) 방향 및 단(column)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지지부재(15)의 일단부에는, 와이어(W)를 포머(13)의 홈부(13a) 내를 향하여 압압하기 위한 롤러(16)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부재(15)이 타단부에는, 후술할 캠(20)의 캠면(22a)에 계합 가능한 롤러에 의해 이루어진 캠팔로워(1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팔로워(17)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장치프레임(11)에는 캠축(18)이 베어링(19)을 사이에 두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캠축(18)의 선단에는 나사부(18a)가 설치된다. 나사부(18a)에는, 측면 원형 형상의 캠(20)이 너트(21)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캠(20)은 원반 형상의 본체(22)를 가진다. 본체(22)의 둘레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부분을 가지는 벽부가 꺽여 구부러져 형성되고, 이 벽부의 피크면이 캠팔로워(17)와 계합 가능한 캠면(22a)을 구성한다. 캠면(22a)은, 포머(13)의 축 방향, 즉, 모터축(12a)의 연장방향을 향한다. 본체(22)의 캠면(22a)과 반대측의 측면에는 피동기어(23)가 고정된다.
장치프레임(11)과 지지부재(15)와의 사이에는, 지지부재(15)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24)이 설치된다. 이 스프링(24)의 힘에 의해 캠팔로워(17)가 캠(20)의 캠면(22a)에 계합되고, 캠(20)의 회전에 따라 캠면(22a)의 작용에 의해, 롤러(16)가 와이어(W)의 열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비드링(B)은, 포머(13)를 24회전시켜서 와이어(W)를 포머(13)의 주위에 24회 권취함으로써 형성된다. 캠(20)은, 포머(13)가 24회전하는 사이에 1회전 한다. 즉, 포머(13)가 1회전 하는 사이에 캠(20)은 15도 만큼 회전한다. 캠면(22a)은 15도 마다 본체(22)로부터의 거리가 변화한다. 환언하면, 캠면(22a)은, 이웃하는 부분과는 각각 본체(22)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24개의 부분을 가진다. 따라서, 캠(20)이 1회전 하는 사이에 하나의 비드링(B)이 형성되도록, 캠면(22a)의 같은 부분의 수가 와이어(W)의 권취 수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캠면(22a)의 각 부분은, 본체(22)로부터의 거리에 대응하며, 캠팔로워(17)를 사이에 두고 지지부재(15)를 포머(13)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면(22a) 중에 권취개시부분(22a-1, 22a-2)은, 캠면(22a)의 권취종료부분(22a-23, 22a-24)에 연속하여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20)의 피동기어(23)와 모터(12)와의 사이에 있어서, 장치프레임(11)에는 전달축(25)이 베어링(26)을 사이에 두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전달축(25) 상에는, 제 2 전달기어(28), 및 이 제 2 전달기어(28)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 3 전달기어(29)가 고정된다. 포머(13)가 설치된 단부와는 반대측의 모터축(12a)의 타단부에는 제 1 전달기어(27)가 설치되고, 제 2 전달기어(28)는 제 1 전달기어(27)에 치합한다. 전달축(25)의 선단에는, 전달축(25)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레버(30)가 지지된다. 레버(30)의 자유단에는 지지축(31)이 지지된다. 지지축(31)의 기단에는, 제 3 전달기어(29)에 항상 치합되며 캠(20)의 피동기어(23)에 대하여 이격 가능하게 치합하는 구동기어(3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구동기어(32)가 피동기어(23)에 치합한 상태에서, 모터(12)에 의해 포머(13)가 회전하면, 상기 각 기어(17, 28, 29, 32, 23)를 사이에 두고, 캠(20)이 포머(13)와 동기하여 회전된다. 이들 기어의 기어비 설정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경우, 포머가 1회전 하는 사이에 캠(20)이 15도 만큼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31)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장치프레임(11)에는 규제판(33)이 설치된다. 규제판(33)에는 지지축(31)의 선단부를 삽통하기 위한 원호 형상의 가이드홈(3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축(31)의 선단부가 규제판(33)의 가이드홈(33a)에 삽통된 상태로, 레버(30)가 전달축(25)를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구동기어(23)로부터 이격한 이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한다. 지지축(31)의 선단에는 나사부(31a)가 설치되고, 이 나사부(31a)에 너트(34)를 나사결합시켜 규제판(33)에 대하여 조임으로써, 레버(30)를 회동불능하게 하는 것, 즉, 구동기어(32)를 치합위치 또는 이격위치에 지지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롤러(16) 및 캠팔로워(17)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5)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장치프레임(11) 상에는 구동부재로서의 실리더(35)가 배치된다. 캠(20)이 1회전 하여 비드링(B)의 형성이 종료한 시점, 즉, 와이어(W)의 권취가 종료한 시점에서, 이 실린더(35)를 돌출동작시킴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면(22a)의 권취종료부분(22a-24) 상에 있는 캠팔로워(17)를 권취종료위치(P1)로부터 권취개시위치(P2)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면(22a)의 권취종료부분(22a-24)에는, 단차부(36)가 형성된다. 비드링(B)의 형성이 종료한 때, 캠팔로워(17)은 이 단차면(36)의 작용에 의해 가장 낮은 권취종료위치(P1)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W)의 권취단부(Wa)는 비드링(B)의 외주연으로부터 외측으로 조금 꺾여 구부러지도록 되어 있다. 권취종료부분(22a-24)과 인접하는 캠면(22a)의 권취개시부분(22a-1)에는, 권취종료위치(P1)로부터 권취개시위치(P2)로 이동되는 캠팔로워(17)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경사면(37)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권취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기어(32)가 캠(20)의 피동기어(23)에 치합하는 위치에 레버(30)가 배치된다. 이 상태로, 모터(12)가 회전하면, 포머(13)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와이어(W)가 롤러(16)에 의해 압압되며 포머(13) 외주의 홈부(13a) 내에 권취된다. 또한, 모터(12)의 회전에 의해, 기어(27, 28, 29, 32, 23)를 사이에 두고 캠(20)이 포머(13)와 동기하여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캠팔로워(17)가 캠(20)의 캠면(22a) 상에 접촉계합한 상태로, 지지부재(15) 및 롤러(16)가 포머(13)의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포머(13)가 1회전하여 포머(13) 외주의 홈부(13a)에 와이어(W)가 1바퀴 분 권취되고, 캠면(22a)의 작용에 의해, 롤러(16)가 와이어(W)의 열 방향으로 1피치씩 이동된다. 이리하여 포머(13) 상에 권취된 와이어(W)의 열 수가 소정의 수에 도달하면, 도시하지 않은 이동수단에 의해 지지부재(15)를 사이에 두고, 롤러(16)가 와이어(W)의 단 방향으로 1피치씩 이동된다. 이것이 반복됨으로써, 도 5에 화살표로 나타낸 순번으로 와이어(W)가 포머(13)의 홈부(13a) 내에서 열 방향 및 단 방향으로 정렬되고, 그 결과, 비드링(B)이 형성된다.
그리고, 비드링(B)의 형성이 종료한 때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면(22a)의 권취종료부분(22a-24)에 설치된 단차부(36)에 계합함으로써 캠팔로워(17)가 권취종료위치(P1)에 배치된다. 이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W)의 권취종료부(Wa)는 비드링(B)의 외측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조금 꺾여 구부러진다.
그 후, 실린더(35)를 돌출동작시킴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면(22a)의 권취종료부분(22a-24) 상에 잇는 캠팔로워(17)를 권취종료위치(P1)로부터 권취개시위치(P2)까디 캠면(22a)의 작용에 의하지 않고 이동시킨다. 이로써, 다음 비드링(B)의 형성을 준비한다.
또한, 캠(20)의 주면에는, 회전위치의 원점을 나타내는 도시하지 않은 마크가 위치한다. 캠팔로워(17)가 캠면(22a)이 권취종료부분(22a-24)의 종단까지 도달한 때,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상기 마크가 검출됨으로써, 캠(20) 및 포머(13)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그리고, 포머(13) 상에 형성된 비드링(B)은 그 정지 중에 권취장치로부터 반출된다.
한편, 비드링(B)의 형성 도중에 있어서, 정전에 의해 모터(12)가 정지한 경우에는, 포머(13) 및 캠(20)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때, 캠팔로워(17)는, 정지시의 위치에서 캠(20)의 캠면(22a) 상에 접촉계합된 상태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정전이 복구된 때에는, 캠(20)이 다시 회전함으로써, 그 후의 캠면(22a)의 작용에 의해 와이어(W)이 열 방향으로의 롤러(16)의 이동이 계속하여 지장없이 이루어진다.
포머(13) 상에 형성하는 비드링(B)의 권취직경이나 단면형상 등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모터(12)의 모터축(12a) 상의 포머(13)를, 홈부(13a)의 직경치수나 단면형상이 다른 별개의 포머(13)와 교환한다. 추가로, 지지축(31)의 선단의 나사부(31a)에 나사결합한 너트(34)를 풀고, 도 2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기어(32)가 캠(20)의 피동기어(23)로부터 이격하는 위치까지 레버(30)를 이동시킨다. 이로써, 캠축(18) 상의 캠(20)을, 캠면(22a)의 형상이나 피동기어(23)의 기어비가 다른 별개의 캠(20)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새로운 캠(20)을 캠축(18)에 설치한 후, 구동기어(32)가 새로운 캠(20)의 피동기어(23)와 치합할 때까지 레버(30)를 이동시키고, 너트(34)를 규제판(33)에 대하여 조인다. 이상과 같이, 형성하는 비드링(B)에 대응하는 캠(20)으로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본 권취장치는, 1줄의 와이어(W)를 원형의 포머(13) 외주에서 열 방향 및 단 방향으로 정렬한 상태로 권취함으로써 비드링(B)을 형성한다. 장치프레임(11)에는, 포머(13)의 외주 상에 와이어(W)를 압압하기 위한 롤러(16)가 와이어(W)의 열 방향 및 단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포머(13)의 회전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캠축(18) 상에는, 캠면(22a)을 가지는 원형의 캠(20)이 지지된다. 캠(20)의 캠면(22a)에는 롤러(16)와 일체로 상기 열 방향 및 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캠팔로워(17)가 계합하고, 이로써, 캠면(22a)의 작용에 의해 롤러(16)가 와이어(W)의 열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본 권취장치에서는, 포머(13)가 1회전 하여 포머(13)의 외주에 와이어(W)가 1바퀴 분 권취되고, 포머(13)의 회전에 동기하여 소정 각도 만큼 회전하는 캠(20) 상의 캠면(22a)의 작용에 의해, 롤러(16)가 캠팔로워(17)를 사이에 두고 와이어(W)의 열 방향으로 1피치씩 이동된다. 따라서, 캠(20) 및 캠팔로워(17)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기계적 구성에 의해, 포머(13)의 회전에 동기하여 롤러(16)를 와이어(W)의 열 방향으로 정확히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16)의 이동이 캠(20) 및 캠팔로워(17)로 이루어지는 기계적 구성에 의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정전에 의해 권취장치의 운전이 정지한 경우, 캠팔로워(17)가 정지 시의 위치에서 캠(20)의 캠면(22a) 상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된다. 따라서, 정전이 복구된 때에 와이어(W)의 열 방향으로의 롤러(16)의 이동을 캠면(22a)의 작용으로써 계속하여 행할 수 있어, 권취장치의 운전을 지장없이 재개할 수 있다.
(2) 본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캠(20)이 1회전 하는 사이에 하나의 비드링(B)이 형성되도록, 캠면(22a)의 수가 설정된다. 이 때문에, 캠(20)이 1회전 하고, 이 캠(20) 상의 캠면(22a)의 작용에 의해, 롤러(16)를 와이어(W)의 열 방향으로 1피치씩 순서대로 이동시켜, 1줄의 비드링(B)을 형성을 행할 수 있다.
(3) 본 권취장치는, 포머(13)의 회전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32)를 구비한다. 캠(20)은 캠축(18)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다. 또한, 캠(20)은, 캠면(22a)이 형성된 원반 형상의 본체(22)와, 이 본체(22)의 측면에 고정된 피동기어(23)에 의해 구성된다. 구동기어(32)는, 피동기어(23)에 대하여 이격가능하게 치합한다. 이 때문에, 포머(12) 상에 형성하는 비드링(B)의 권취 직경이나 단면형상 등을 변경할 경우 등 캠(20)을 교환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구동기어(32)를 캠(20)의 피동기어(23)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캠(20)의 캠축(18)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4) 본 권취장치는, 와이어(W)의 권취종료시에, 캠팔로워(17)를 캠면(22a) 상의 권취종료위치(P1)로부터 권취개시위치(P2)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재로서 실린더(35)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와이어(W)의 권취 종료시에, 실린더(35)에 의해 캠팔로워(17)를 권취종료위치(P1)로부터 권취개시위치(P2)까지 캠면(22a)의 작용에 의하지 않고 신속하게 이동시켜, 다음 비드링(B)의 형성을 준비할 수 있다.
(5) 본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캠면(22a)이 포머(13)의 축 방향을 향한다. 이로써, 캠면(22a)에 의한 롤러(16)의 이동이 비드링(B)의 열 방향에 일치하기 때문에, 캠면(22a)과 롤러(16)과의 사이에 운동변환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변경예)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구체화할 수도 있다.
ㆍ 캠(20)의 본체(22)의 형상이나 캠면(22a)의 형성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캠면(22a)을 포머(13)의 축 방향을 향하도록 캠(20)에 형성하였으나, 캠(20)의 외주면에 캠면(22a)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캠(20)의 캠축(18)은 도 1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ㆍ 모터(12)를,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가능한 기어모터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어모터의 모터축 양단을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시켜, 그 모터축의 일단에 포머(13)를 지지시키고, 타단에 캠(20)을 지지시킨다.
11: 장치프레임
12: 모터
13: 포머
15: 지지부재
16: 롤러
17: 캠팔로워
18: 캠축
20: 캠
22: 본체
22a: 캠면
23: 피동기어
27, 28, 29: 전달기어
30: 레버
32: 구동기어
35: 구동부재로서의 실린더
W: 와이어
B: 비드링
P1: 권취종료위치
P2: 권취개시위치

Claims (5)

1줄의 와이어를 원형의 포머 외주에서 열(row) 방향 및 단(column) 방향으로 정렬한 상태로 권취함으로써 비드링을 형성하는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 방향 및 단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치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포머의 외주 상의 와이어를 압압하기 위한 롤러,
상기 포머의 회전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캠축 상에 지지되는 복수의 캠면을 가지는 원형의 캠,
상기 캠의 캠면에 계합하며, 상기 롤러와 일체로 상기 열 방향 및 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캠팔로워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캠면의 작용에 의해 상기 열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캠은 캠축에 대하여 탈착가능하고,
상기 캠은, 캠면이 형성된 원반 형상의 본체와, 이 본체의 측면에 고정되는 피동기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피동기어에 대하여 이격가능하게 치합하여 상기 포머의 회전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이 1회전 하는 사이에 하나의 비드링이 형성되도록, 상기 캠면의 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삭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권취 종료시에, 캠팔로워를 캠면 상의 권취종료위치로부터 권취개시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이 포머의 축 방향을 항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KR1020147035482A 2012-06-12 2012-06-12 권취장치 KR101946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65043 WO2013186860A1 (ja) 2012-06-12 2012-06-12 巻取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208A KR20150030208A (ko) 2015-03-19
KR101946677B1 true KR101946677B1 (ko) 2019-02-11

Family

ID=4975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482A KR101946677B1 (ko) 2012-06-12 2012-06-12 권취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566753B2 (ko)
JP (1) JPWO2013186860A1 (ko)
KR (1) KR101946677B1 (ko)
CN (1) CN104379273B (ko)
DE (1) DE112012006505B4 (ko)
IN (1) IN2014MN02519A (ko)
PH (1) PH12014502758B1 (ko)
RU (1) RU2606686C2 (ko)
WO (1) WO20131868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3589A (zh) * 2019-12-26 2020-04-14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圆柱凸轮式排线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0082A (en) * 1958-07-22 1963-03-06 Dunlop Rubber Co Improvements i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bead wires for pneumatic tyres
JP2009012326A (ja) 2007-07-05 2009-01-22 Bridgestone Corp ビードフォーマ及びビードの製造方法
JP2009079703A (ja) * 2007-09-26 2009-04-16 Thk Co Ltd クラッチ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電動アクチュエ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59127A (en) * 1924-11-10 1925-10-27 Hood Rubber Co Inc Bead-core-buffing machine
ZA713346B (en) 1970-06-01 1972-01-26 Nat Standard Co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nular beads
SU503738A1 (ru) 1974-04-17 1976-02-25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Шин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бортовых колец покрышек пневматических шин
US4196036A (en) * 1978-08-21 1980-04-01 The B. F. Goodrich Company Tire bead ring assembly machine
SU1381002A1 (ru) 1986-01-07 1988-03-15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По Оборудованию Для Шин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Агрегат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бортовых колец
JP2905568B2 (ja) 1990-06-13 1999-06-14 中田造機株式会社 ビードコア形成用の帯体の巻付装置
JP3207605B2 (ja) * 1993-04-01 2001-09-10 中田エンヂ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ビードコア形成装置
CN1072040C (zh) * 1996-01-15 2001-10-03 河北理工学院 全连续冷轧钢筋成套设备
ATE241459T1 (de) 1997-11-28 2003-06-15 Pirelli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uftreifen für fahrzeugräder
US6457667B1 (en) * 1998-02-04 2002-10-01 The Goodyear Tire And Rubbe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ension of wire being pulled from a wire spool on a bead wire letoff stand
JP2003154581A (ja) * 2001-11-22 2003-05-27 Bridgestone Corp タイヤ用ビードコア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20050145320A1 (en) * 2002-08-20 2005-07-07 Niwa Syoukou Co.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stranded bead wire
JPWO2010140521A1 (ja) 2009-06-05 2012-11-15 不二商事株式会社 タイヤ用ビードワ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1455143U (zh) 2009-07-09 2010-05-12 梁增敏 一种钢丝矫直剪断机
JP5548209B2 (ja) 2009-09-10 2014-07-16 不二精工株式会社 ビード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961250B2 (ja) * 2012-03-28 2016-08-02 不二精工株式会社 ビードリング巻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0082A (en) * 1958-07-22 1963-03-06 Dunlop Rubber Co Improvements i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bead wires for pneumatic tyres
JP2009012326A (ja) 2007-07-05 2009-01-22 Bridgestone Corp ビードフォーマ及びビードの製造方法
JP2009079703A (ja) * 2007-09-26 2009-04-16 Thk Co Ltd クラッチ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電動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79273B (zh) 2016-09-07
DE112012006505B4 (de) 2021-11-04
RU2014152049A (ru) 2016-07-27
RU2606686C2 (ru) 2017-01-10
US9566753B2 (en) 2017-02-14
WO2013186860A1 (ja) 2013-12-19
PH12014502758A1 (en) 2015-02-09
CN104379273A (zh) 2015-02-25
US20150151502A1 (en) 2015-06-04
KR20150030208A (ko) 2015-03-19
PH12014502758B1 (en) 2015-02-09
DE112012006505T5 (de) 2015-04-02
IN2014MN02519A (ko) 2015-07-17
JPWO2013186860A1 (ja)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0566B2 (ja) コイル装着方法及びコイル装着治具
WO2011111761A1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6375113B1 (en) Wire winder and wire winding method
CN209906068U (zh) 一种电缆的收卷装置
CN105052021A (zh) 用于生产电机的铁心的方法和装置
CN103447872A (zh) 电机内轴能伸缩的自适应攻牙机
KR20170093896A (ko) 변속 기구
KR101946677B1 (ko) 권취장치
US9370818B2 (en) Bead ring winding device
CN201522935U (zh) 线圈盘绕线装置
JP6182095B2 (ja) 無段変速機構
JP6067665B2 (ja) 変速機構
JP3613680B2 (ja) 巻線機
JP2017013148A (ja) パイプ切断装置
JP2016109260A (ja) 変速機構
JP2000324771A (ja) 巻線機
WO2015111339A1 (ja) 無段変速機構
JP6190800B2 (ja) 変速機構
WO2017033721A1 (ja) 撚り合せ電線の製造装置及び撚り合せ電線の製造方法
WO2015125189A1 (ja) トーションレース機を用いたバイアス織物の織成装置
JP6175046B2 (ja) 変速機構
CN104009599A (zh) 一种线圈包带机
RU2445184C1 (ru) Станок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емента арматурного каркаса заданного профиля
JP2006057794A (ja) 遊星ローラネジ装置
WO2017033735A1 (ja) 撚り合せ電線の製造装置及び撚り合せ電線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