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804B1 - 커넥터 및 케이블 하니스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케이블 하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804B1
KR101945804B1 KR1020170051414A KR20170051414A KR101945804B1 KR 101945804 B1 KR101945804 B1 KR 101945804B1 KR 1020170051414 A KR1020170051414 A KR 1020170051414A KR 20170051414 A KR20170051414 A KR 20170051414A KR 101945804 B1 KR101945804 B1 KR 101945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vertical direction
connection
cable
interp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283A (ko
Inventor
게이스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0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커넥터 및 그 커넥터와 케이블을 구비한 케이블 하니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커넥터(100)는, 제1접속대상물(600)에 대하여 부착 가능함과 아울러 제2접속대상물(700)과 접속 가능하다. 커넥터(100)는, 복수의 단자(400)와, 홀딩부재(200)를 구비하고 있다. 홀딩부재(200)는, 홀딩부(210)와, 개재부(240)를 갖고 있다. 단자(400)는, 결선부(410)와, 접점부(420)를 갖고 있다. 결선부(410)는, 커넥터(100)가 제1접속대상물(600)에 부착될 때에, 제1접속대상물(600)의 제1접속부(610)에 각각 접속된다. 접점부(420)의 중심과 결선부(410)의 중심은, 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개재부(240)와 결선부(410)는, 상하방향을 따라 커넥터(100)를 보았을 경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케이블 하니스{CONNECTOR AND CABLE HARNESS}
본 발명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판모양 또는 시트모양의 대상물과 접속하는 커넥터(connector)와 그것을 구비하는 케이블 하니스(cable harness)에 관한 것이다.
도31 및 도32를 참조하면, 특허문헌1에는, Z방향에 있어서 회로기판(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대하여 부착 가능함과 아울러 X방향을 따라 ―X측을 향하여 삽입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flexible print 配線板)(950)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900)가 개시되어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950)은 접속부(960)를 갖고 있다. 커넥터(900)는, 홀딩부재(holding部材)(910)와, 리시빙부(receiving部)(915)와, 복수의 단자(端子)(920)를 구비하고 있다. 리시빙부(915)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950)이 커넥터(900)에 삽입되었을 때에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950)의 일부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단자(920)는, 하악부(下顎部)(922)와, 상악부(上顎部)(924)와, 중간부(926)와, 피고정부(被固定部)(928)를 갖고 있다. 상악부(924)는 접점부(925)를 갖고 있다. 접점부(925)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950)이 커넥터(900)에 삽입되었을 때에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950)의 접속부(960)에 접속된다. 중간부(926)는 하악부(922)와 상악부(924)를 서로 연결시키고 있다. 피고정부(928)는, 커넥터(900)가 회로기판(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탑재될 때에 회로기판(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의 배선패턴(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납땜되는 것이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188000호 공보
특허문헌1의 커넥터(900)는, 딱딱한 회로기판에 탑재되는 것이다. 한편 커넥터를 케이블이나 FPC(Flexible Printed Circuit), FFC(Flexible Flat Cable) 등 유연성이 있는 기재(基材)에 부착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케이블의 도선이나 FPC 등에 대하여 커넥터의 단자를 부착할 때에, 케이블 등의 도선(導線) 등을 커넥터의 각 단자마다 납땜하는 조립공정이 번잡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공정을 간략화 하기 위하여, 펄스 히트법(pulse heat法)에 의한 각 단자의 일괄(一括)된 납땜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 커넥터가 기대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케이블 등 유연성이 있는 기재에 탑재될 수 있는 커넥터로서 펄스 히트법에 의하여 케이블 등과 일괄하여 접속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커넥터와 케이블을 구비한 케이블 하니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로서,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접속대상물에 대하여 부착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을 따라 후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시트모양 또는 판모양의 제2접속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제1접속대상물은, 복수의 제1접속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2접속대상물은, 복수의 제2접속부를 갖고 있고,
상기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와, 홀딩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홀딩부재는, 홀딩부와, 개재부를 갖고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홀딩부재의 상기 홀딩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상하방향 및 상기 전후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피치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단자의 각각은, 결선부와, 접점부를 갖고 있고,
상기 단자의 상기 결선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1접속대상물에 부착될 때에, 상기 제1접속부에 각각 접속되는 것이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접점부는, 상기 커넥터에 상기 제2접속대상물이 삽입될 때에, 상기 제2접속부에 각각 접속되는 것이고,
상기 결선부는, 상기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판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접점부의 중심과 상기 결선부의 중심은,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개재부와 상기 결선부는,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터를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 있고,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측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터를 보았을 경우에, 상기 개재부 및 상기 결선부의 일방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고,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하측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터를 보았을 경우에, 상기 개재부 및 상기 결선부의 나머지 일방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커넥터로서, 제1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는, 상벽부와, 하벽부를 더 갖고 있고,
상기 상벽부와 상기 하벽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벽부와 상기 하벽부의 사이에는, 리시빙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시빙부는, 상기 제2접속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제2접속대상물의 일부를 수용하는 것이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벽부를 넘어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개재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결선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커넥터로서, 제1커넥터 또는 제2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결선부는, 상기 접점부보다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벽부의 전단은, 상기 하벽부의 전단보다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개재부는, 상기 하벽부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하측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터를 보았을 경우에, 상기 개재부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커넥터로서, 제3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적어도 소정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하벽부로부터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갖지 않고,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하벽부의 상기 전단으로부터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개재부의 소정 장소까지의 영역이고,
상기 개재부의 상기 소정 장소는,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기 결선부의 후단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5커넥터로서, 제4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상벽부의 상기 전단보다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6커넥터로서, 제3커넥터 내지 제5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로서,
상기 홀딩부재의 하부에는, 수용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오목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오목함과 아울러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빠져 있고,
상기 수용오목부는, 상기 커넥터를 상기 제1접속대상물인 케이블에 대하여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케이블의 일부를 수용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커넥터로서, 제1커넥터 내지 제6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로서,
상기 개재부는, 상기 홀딩부와는 별체인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8커넥터로서, 제1커넥터 내지 제7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로서,
상기 단자는, 하악부와, 상악부와, 중간부와, 연결부를 더 갖고 있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하악부로부터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하악부와 상기 상악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하악부와 상기 상악부를 서로 접속시키고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악부의 하측 가장자리와 상기 결선부를 연결시키고 있고,
상기 하악부의 하측 가장자리와 상기 결선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9커넥터로서, 제8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에는, 대향부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향부는, 상기 하악부 및 상기 연결부의 각각과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대향부보다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 오목하게 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0커넥터로서, 제9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전방 및 상방의 쌍방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커넥터 내지 제10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와, 케이블을 구비하는 케이블 하니스로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접속대상물로서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 하니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단자의 결선부를 연결부로부터 피치방향으로 절곡(折曲)하여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접점부의 중심과 결선부의 중심은, 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개재부와 결선부는, 상하방향을 따라 커넥터를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 등(제1접속대상물)의 도선 등(제1접속부)을 결선부에 납땜할 때에, 케이블 등(제1접속대상물)의 도선 등(제1접속부)을 결선부에 가압하더라도, 이 가압력은 개재부에 의하여 받을 수 있는 때문에, 단자 자체가 변형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결선부는, 상하방향으로 교차하는 판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고, 상측방향을 따라 커넥터를 보았을 경우에는 개재부 및 결선부의 일방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하측방향을 따라 커넥터를 보았을 경우에는 개재부 및 결선부의 나머지 일방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결선부에 대하여 케이블 등(제1접속대상물)의 도선 등(제1접속부)을 접속할 때에, 복수의 케이블 등(제1접속대상물)의 도선 등(제1접속부)과 복수의 결선부를, 개재부를 통하여 가열툴과 받침대에 의하여 일괄하여 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결선부에 대하여 복수의 케이블 등(제1접속대상물)의 도선 등(제1접속부)을 일괄하여 접속시킬 수 있어, 케이블 하니스의 제조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와 케이블을 구비하는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케이블 하니스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2는, 도1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케이블 하니스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3은, 도1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는, 도1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케이블 하니스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7은, 도6의 케이블 하니스를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도6의 케이블 하니스를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도1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0은, 도1의 케이블 하니스에 포함되는 커넥터와 케이블을 접속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커넥터의 개재부 및 케이블의 도선은, 가열툴 및 받침대에 의하여 끼워져 있다.
도11은, 도10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0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3은, 도10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14는, 도10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5는, 도14의 케이블 하니스를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6은, 도14의 케이블 하니스를 D-D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7은, 변형예에 의한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7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19는, 도17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0은, 도17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케이블 하니스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21은, 도20의 케이블 하니스를 E-E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2는, 도20의 케이블 하니스를 F-F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와 케이블을 구비하는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4는, 도23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25는, 도23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26은, 도23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7은, 도23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28은, 도23의 케이블 하니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케이블 하니스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29는, 도28의 케이블 하니스를 G-G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0은, 도28의 케이블 하니스를 H-H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1은, 특허문헌1의 커넥터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2는, 도3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실시형태)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 하니스(cable harness)(10)는, 커넥터(connector)(100)와 케이블(cable)(60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케이블(600)은 제1접속대상물(第1接續對象物)(600)로서 커넥터(100)에 접속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케이블(600) 등의 제1접속대상물(600)에 대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을 따라 후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 등의 제2접속대상물(700)과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방향은 Z방향이다. 상방은 +Z방향이고, 하방은 ―Z방향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후방향은 X방향이다. 전방은 +X방향이고, 후방은 ―X방향이다.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접속대상물(600)은, 복수의 케이블(600)로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도선(導線)(제1접속부)(610)을 갖고 있다. 또한 제2접속대상물(700)은, 시트모양 또는 판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또 복수의 제2접속부(710)를 갖고 있다.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는, 홀딩부재(holding部材)(200)와, 복수의 단자(端子)(400)를 구비하고 있다.
도6,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딩부재(200)는, 홀딩부(holding部)(210)과, 상벽부(上壁部)(220)와, 하벽부(下壁部)(230)와, 단자홀딩부(端子holding部)(245)와, 가동부재(可動部材)(250)와, 가동부재 수용부(可動部材 收容部)(260)와, 가동부재 지지부(可動部材 支持部)(265)와, 수용오목부(280)와, 수용홈(290)을 갖고 있다.
도4,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벽부(220)는, 홀딩부재(200)의 상단(上端)에 위치하고 있고,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대략 평판형상을 갖고 있다. 또 하벽부(23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벽부(220)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대략 평판형상을 갖고 있다. 상벽부(220)와 하벽부(23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또 상벽부(220)의 전단(前端)은, 하벽부(230)의 전단보다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하벽부(230)는 개재부(介在部)(240)를 갖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개재부(240)는 하벽부(230)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1,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재부(240)는 홀딩부재(200)의 전단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홀딩부(210)는 개재부(240)의 후방으로부터 연속하여 홀딩부재(200)의 후단까지 도달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개재부(240)는 홀딩부(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재부(240)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상면 및 하면을 갖고 있다.
도1 및 도6부터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벽부(220)와 하벽부(230)의 사이에는, 리시빙부(receiving部)(270)가 형성되어 있다. 즉 리시빙부(270)는 전단에 개구(開口)를 갖고 있다. 이 리시빙부(270)는, 제2접속대상물(700)이 커넥터(100)에 접속되었을 때에 제2접속대상물(700)의 일부를 수용하는 것이다.
도3,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홀딩부(245)는, 홀딩부재(200)의 후단으로부터 리시빙부(270)까지를 전후방향에 있어서 연결시키는 구멍이다.
도1, 도3,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250)는, 상벽부(220)의 후방이고 하벽부(23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피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캠부(cam部)(255)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치방향은 Y방향이다. 캠부(255)는, 피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대략 타원형의 단면을 갖고 있다. 가동부재 수용부(260)는, 홀딩부재(200)의 후단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홀딩부재(200)의 후방 및 상방의 쌍방에 있어서 개방된 오목부이다. 가동부재 지지부(265)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이고, 가동부재 수용부(260)의 하면이기도 하다.
도7 및 도8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250)는, 그 선단을 전후방향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캠부(255)를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할 수 있으며, 가동부재(250)의 선단을 후방으로 쓰러뜨리면, 가동부재(250)는 가동부재 수용부(260)에 수용된다. 여기에서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250)가 전방으로 쓰러져서 상벽부(220)의 후단(後端)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캠부(255)는 대략 타원형의 단면의 단축방향(短軸方向)을 대체적으로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가동부재(250)를 후방으로 쓰러뜨려서 가동부재 수용부(260)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는, 캠부(255)는 대략 타원형의 단면의 장축방향(長軸方向)을 대체적으로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있다.
도2, 도5 및 도7부터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딩부재(200)의 하부에는, 수용오목부(280)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오목부(28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오목함과 아울러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빠져 있다. 수용오목부(280)는, 커넥터(100)를 케이블(제1접속대상물)(600)에 대하여 부착하는 경우에 케이블(600)의 일부를 수용하는 것이다.
도3, 도6 및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홈(290)은, 홀딩부재(200)를 전후방향에 있어서 관통하고 있다. 또한 수용홈(290)에는 대향부(對向部)(292)와 오목부(295)가 형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수용홈(290)의 하단 부근에는, 피치방향으로 대향하는 내벽(內壁)으로서 대향부(29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대향부(292)의 상방에는 오목부(29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95)는, 대향부(292)보다 피치방향에 있어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오목부(295)는, 전방 및 상방의 쌍방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도4를 참조하면, 커넥터(100)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오목부(295)는 육안(肉眼)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 도6을 참조하면, 커넥터(100)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에도 오목부(295)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295)를 성형할 때에 홀딩부재(200)로부터 금형을 뽑아내기 쉽게 되어 있고, 또 오목부(295)의 사이즈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도6, 도7 및 도8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400)의 각각은, 홀딩부재(200)의 홀딩부(210)에 지지되어 있다. 또 단자(400)는 피치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400)의 각각은, 결선부(結線部)(410)와, 하악부(下顎部)(430)와, 접점부(420)와, 상악부(上顎部)(440)와, 중간부(450)와, 연결부(460)와, 캠부 지지부(465)와, 피홀딩부(470)를 갖고 있다.
도2 및 도5부터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선부(410)는, 커넥터(100)가 케이블(제1접속대상물)(600)에 부착될 때에 케이블(600)의 도선(610)에 각각 접속되는 것이다. 결선부(410)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단자(400)의 전단 및 하단에 위치하고 있고,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판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결선부(410)의 전단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홀딩부재(200)의 개재부(240)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측방향을 따라 커넥터(100)를 보았을 경우에 결선부(410)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라면, 결선부(410)의 전단이 홀딩부재(200)의 개재부(240)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좋다.
도1, 도4, 도5, 도7 및 도8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홀딩부재(200)의 개재부(240)와 단자(400)의 결선부(410)는, 상하방향을 따라 커넥터(100)를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개재부(24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결선부(41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측방향을 따라 커넥터(100)를 보았을 경우에 결선부(410)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하측방향을 따라 커넥터(100)를 보았을 경우에 개재부(240) 및 결선부(410)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측방향을 따라 커넥터를 보았을 경우에 개재부 및 결선부의 일방(一方)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하측방향을 따라 커넥터를 보았을 경우에 개재부 및 결선부의 나머지 일방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좋다.
도1, 도4, 도7 및 도8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400)는, 적어도 소정 영역(R)에 있어서는, 하벽부(230)로부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다. 여기에서 소정 영역(R)은, 하벽부(230)의 전단으로부터 전후방향을 따라 개재부(240)의 소정 장소(P)까지의 영역이고, 개재부(240)의 소정 장소(P)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결선부(410)의 후단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악부(430)는, 대체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악부(430)의 하측 가장자리는 연결부(460)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다. 하악부(430)의 하측 가장자리와 결선부(41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하악부(430)는, 하악부(430)의 전후방향에 있어서 중앙 부근으로부터 전방 또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접점부 지지부(425)를 갖고 있다. 접점부 지지부(425)는, 외팔보 형상을 갖고 있고, 후단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2, 도7 및 도8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점부(420)는, 커넥터(100)에 제2접속대상물(700)이 삽입될 때에 제2접속부(710)에 각각 접속되는 것이다.
도6,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부(42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벽부(230)를 넘어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접점부(420)의 상단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벽부(230)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접점부(420)는, 하악부(430)로부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접점부(420)는 접점부 지지부(425)의 전단 부근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점부 지지부(425)는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접점부(42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접점부(420)는 상벽부(220)의 전단보다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부(420)의 중심과 결선부(410)의 중심은, 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선부(410)의 상방에는 개재부(240)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600)의 도선(610)을 결선부(410)에 납땜할 때에 케이블(600)의 도선(610)을 결선부(410)에 가압하더라도, 이 가압력은 개재부(240)의 하면에 의하여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단자(400) 자체가 변형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결선부(410)는, 접점부(420)보다 전후방향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악부(44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된 가압부(445)를 갖고 있다. 가압부(445)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악부(440)의 전단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악부(430)와 상악부(44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접점부(420)와 가압부(445)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대향하고 있다.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부(45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악부(430)와 상악부(440)를 서로 접속시키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중간부(45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악부(430)의 전후방향의 중앙 부근과, 상악부(440)의 전후방향의 중앙 부근을 서로 연결시키고 있다. 즉 상악부(440)는 중간부(450)의 상단에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악부(440)는 중간부(450)의 상단을 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seesaw 運動)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46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악부(430)의 하측 가장자리와 결선부(410)의 상단을 연결시키고 있다.
도1, 도6 및 도7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홀딩부재(200)의 수용홈(290)은, 단자(400)를 각각 수용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홀딩부재(200)의 수용홈(290)의 대향부(292) 및 오목부(295)의 각각은, 하악부(430) 및 연결부(460)의 각각과 피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즉 하악부(430) 및 연결부(460)의 피치방향 양측에는, 대향부(292)와 오목부(295)가 위치하고 있다.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부 지지부(465)는, 하악부(430)의 일부이고, 전후방향에 있어서 중간부(450)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캠부 지지부(465)의 상측 가장자리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가동부재(250)의 캠부(255)와 접촉되어 있다.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홀딩부(470)는, 단자(400)의 하악부(430)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홀딩부재(200)의 단자홀딩부(245)에 압입(壓入)되어 있다.
도10부터 도16을 참조하면, 커넥터(100)의 단자(400)의 결선부(410)와, 케이블(제1접속대상물)(600)의 도선(제1접속부)(610)의 결선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실시된다.
우선 땜납을 올려놓은 결선부(410)와 케이블(600)의 도선(610)을 상하방향에 있어서 각각 접촉시킨 후에, 커넥터(100)의 홀딩부재(200)의 개재부(240)의 상면에 받침대(800)를 접촉시키고, 또한 케이블(600)의 도선(610)의 하단에 가열툴(加熱tool)(850)을 접촉시킨다. 이 때에 개재부(240)와 단자(400)의 결선부(410)와 케이블(600)의 도선(610)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받침대(800)와 가열툴(850)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또 이 때에 받침대(800)는, 받침대(800)의 하면이 개재부(240)의 소정 영역(R)을 포함하도록 개재부(240)의 상면과 접촉되어 있다.
다음에 가열툴(850)에 의하여 케이블(600)의 도선(610)을 상방으로 가압하면서 가열한다. 이 때에 가열툴(850)에 의한 상방으로의 가압력은 개재부(240)를 통하여 받침대(800)에 의하여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도선(610)은 결선부(410)에 대하여 충분히 가압되게 된다. 이에 따라 결선부(410)에 올려놓은 땜납이 용해되어, 복수 케이블(600)의 도선(610)과 복수의 단자(400)의 결선부(410)가 일괄하여 납땜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자(400)가 수용되어 있는 수용홈(290)의 피치방향 양측에는 오목부(29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자(400)의 결선부(410)에 대하여 케이블(600)의 도선(610)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납땜하였을 때에,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대향부(292)에서 구획된 수용홈(290)을 용해된 잉여의 땜납이 상승되더라도, 대향부(292)의 상부에 위치하는 오목부(295)에서, 상승되어 온 잉여의 땜납이 포착되기 때문에, 하벽부(230)의 상면에까지 잉여의 땜납이 올라가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목부(295)의 사이즈를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승되어 온 잉여의 땜납을 충분히 포착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자(400)가 적어도 소정 영역(R)에 있어서 하벽부(230)로부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받침대(800)로서 홈가공 등을 실시하지 않는 평탄한 것을 사용할 수 있어, 받침대(800)가 염가로 되는 이점을 갖는다.
도2,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커넥터(100)와 FPC 등의 제2접속대상물(700)의 접속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실시된다.
우선 커넥터(100)의 가동부재(250)를 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FPC 등의 제2접속대상물(700)을 커넥터(100)의 리시빙부(270)를 향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제2접속대상물(700)의 후단측의 일부는 커넥터(100)의 리시빙부(270)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에 제2접속대상물(700)의 하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접속부(710)는, 커넥터(100)의 단자(400)의 접점부(42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가동부재(250)를 가동부재 수용부(260)에 수용되도록 후방으로 쓰러뜨리면, 가동부재(250)의 캠부(255)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략 타원형의 단면의 장축방향을 대체적으로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된다. 이에 따라, 캠부(255)는 상악부(440)의 후단 부근의 하측 가장자리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기 때문에, 상악부(440)는 중간부(450)의 상단을 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하여, 상악부(440)의 전단 부근에 위치하는 가압부(445)는 하방으로 밀어내려진다. 따라서 제2접속대상물(700)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가압부(445)와 접점부(420)에 끼워지게 되고, 커넥터(100)의 단자(400)의 접점부(420)는 제2접속대상물(700)의 제2접속부(710)와 각각 확실하게 접속되게 된다.
커넥터(100)에 접속된 제2접속대상물(700)의 제거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접속동작과 반대의 순서에 의하여 실현된다. 즉 가동부재(250)를 전방으로 쓰러뜨려서 상벽부(220)의 후단과 접촉시키면, 캠부(255)는 대략 타원형의 단면의 단축방향을 대체적으로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되기 때문에, 상악부(440)의 후단 부근의 하측 가장자리에 가압되어 있었던 상방을 향하는 힘은 해제된다. 이에 따라 상악부(440)는 중간부(450)의 상단을 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하여, 상악부(440)의 가압부(445)도 상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가압부(445)와 접점부(420)에 의한 제2접속대상물(700)의 협지(挾持)도 해제되어 제2접속대상물(700)은 전방으로 뽑힐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 있어서 제2접속대상물(700)을 전방으로 뽑아냄으로써 커넥터(100)와 제2접속대상물(700)의 접속은 해제된다.
케이블 하니스(10)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도17 및 도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케이블 하니스(10A)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 하니스(10)(도1을 참조)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도17부터 도22에 나타내는 구성요소 중에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17 및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에 의한 케이블 하니스(10A)는, 커넥터(100A)와 케이블(60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중에서 케이블(600)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케이블 하니스(10)의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7 및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A)는, 홀딩부재(200A)와, 복수의 단자(40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단자(400)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00)의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단자(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7부터 도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딩부재(200A)는, 홀딩부(210A)와, 개재부(240A)와, 상벽부(220A)와, 하벽부(230A)와, 단자홀딩부(245A)와, 가동부재(250A)와, 가동부재 수용부(260A)와, 가동부재 지지부(265A)와, 수용오목부(280A)와, 수용홈(290A)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홀딩부재(200A)는, 홀딩부(210A), 개재부(240A) 및 하벽부(230A)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00)의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홀딩부(210A), 개재부(240A) 및 하벽부(230A)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20부터 도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홀딩부(210A)는,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전면(前面)(212A)을 갖고 있다. 홀딩부(210A)의 전면(212A)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벽부(220A)의 전단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20부터 도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개재부(240A)는, 피치방향으로 연장되는 4각막대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개재부(240A)는,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전면 및 후면을 갖고 있고,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상면 및 하면을 갖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개재부(240A)는 홀딩부(210A)와 별체(別體)로 되어 있고, 홀딩부(210A)의 전면(212A)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개재부(240A)의 후면과 접촉되어 있다. 개재부(240A)에는 복수의 연결부 수용홈(242A)이 형성되어 있다.
도20부터 도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 수용홈(242A)은, 개재부(240A)의 전면 및 하면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고, 개재부(240A)의 전면 및 하면의 각각과 개재부(240A)의 상면을 연결시키고 있다. 연결부 수용홈(242A)에는, 단자(400)의 연결부(460) 및 하악부(430)의 전단 부근의 일부가 수용되어 있다.
도17부터 도22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A)는, 개재부(240A)를 홀딩부(210A)와 별체로 함으로써, 커넥터(100A)의 홀딩부재(200A)의 홀딩부(210A)에 대하여 단자(400)를 집어넣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단자(400)를 홀딩부재(200A)의 홀딩부(210A)에 대하여 집어넣은 후에 별체의 개재부(240A)를 단자(400)에 끼울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100A) 자체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100A)의 단자(400)의 결선부(410)와, 케이블(600)의 도선(610)과의 결선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00)의 경우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넥터(100A)와 FPC 등의 제2접속대상물(700)과의 접속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00)의 경우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형태)
도23 및 도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케이블 하니스(10B)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 하니스(10)(도1을 참조)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도23부터 도30에 나타내는 구성요소 중에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23 및 도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 하니스(10B)는, 커넥터(100B)와 케이블(600)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600)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케이블 하니스(10)의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 도2, 도23 및 도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0B)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케이블(600) 등의 제1접속대상물(600)에 대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B)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을 따라 후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FPC나 FFC 등의 제2접속대상물(700)과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방향은 Z방향이다. 상방은 +Z방향이고, 하방은 ―Z방향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후방향은 X방향이다. 전방은 +X방향이고, 후방은 ―X방향이다.
도23부터 도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B)는, 홀딩부재(200B)와, 복수의 단자(400B)를 구비하고 있다.
도23부터 도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딩부재(200B)는, 개재부(240B)와, 홀딩부(210B)와, 상벽부(220B)와, 하벽부(230B)와, 가동부재(250B)와, 가동부재 수용부(260B)와, 가동부재 지지부(265B)와, 수용홈(290B)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홀딩부(210B)와 개재부(240B)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00)의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29 및 도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재부(240B)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홀딩부재(200B)의 후단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상면 및 하면을 갖고 있다.
도29 및 도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딩부(210B)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개재부(240B)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개재부(240B)는 홀딩부(210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29 및 도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400B)는, 결선부(410B)와, 접점부(420B)와, 하악부(430B)와, 상악부(440B)와, 중간부(450B)와, 연결부(460B)와, 캠부 지지부(465B)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상악부(440B), 중간부(450B) 및 캠부 지지부(465B)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00)의 단자(400)의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28부터 도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선부(410B)는, 커넥터(100B)가 케이블(600)에 부착될 때에, 케이블(600)의 도선(610)에 각각 접속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결선부(410B)는, 접점부(420B)보다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결선부(410B)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단자(400B)의 후단 및 하단에 위치하고 있고,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판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26, 도27, 도29 및 도30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홀딩부재(200B)의 개재부(240B)와 단자(400B)의 결선부(410B)는, 상하방향을 따라 커넥터(100B)를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개재부(240B)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결선부(410B)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측방향을 따라 커넥터(100B)를 보았을 경우에, 결선부(410B)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하측방향을 따라 커넥터(100B)를 보았을 경우에, 개재부(240B)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측방향을 따라 커넥터를 보았을 경우에, 개재부 및 결선부의 일방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하측방향을 따라 커넥터를 보았을 경우에, 개재부 및 결선부의 나머지 일방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좋다.
도29 및 도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악부(430B)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홀딩부재(200B)의 후단에 도달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하악부(430B)는, 전단을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하악부(430B)는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악부(430B)와 상악부(440B)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도29 및 도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악부(430B)의 하측 가장자리는, 연결부(460B)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다. 또 하악부(430B)의 하측 가장자리와 결선부(410B)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도2, 도29 및 도30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점부(420B)는, 커넥터(100B)에 제2접속대상물(700)이 삽입될 때에 제2접속부(710)에 각각 접속되는 것이다.
도29 및 도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부(420B)는, 하악부(430B)의 전단 부근으로부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접점부(420B)의 상단은, 하벽부(230B)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악부(430B)는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접점부(420B)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접점부(420B)는, 상벽부(220B)의 전단 및 하벽부(230B)의 전단보다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28부터 도30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점부(420B)의 중심과 결선부(410B)의 중심은, 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치방향은 Y방향이다. 이에 따라 케이블(600)의 도선(610)을 결선부(410B)에 납땜할 때에, 케이블(600)의 도선(610)을 결선부(410B)에 가압하더라도, 이 가압력은 개재부(240B)의 하면에 의하여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단자(400B) 자체가 변형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도29 및 도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결부(460B)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단자(400B)의 후단에 위치하고 있고, 하악부(430B)의 후단에 위치하는 하측 가장자리와 결선부(410B)의 상단을 연결시키고 있다.
커넥터(100B)의 단자(400B)의 결선부(410B)와, 케이블(제1접속대상물)(600)의 도선(제1접속부)(610)과의 결선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00)의 경우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넥터(100B)와 FPC 등의 제2접속대상물(700)과의 접속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00)의 경우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복수의 실시형태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커넥터(100, 100A, 100B)는, 모두 가동부재(250, 250A, 250B)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는 가동부재(250, 250A, 250B)를 갖지 않으며, 그 때문에 제2접속대상물(700)을 커넥터에 삽입할 때에 삽입력을 필요로 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 100A, 100B)는, 제2접속대상물(700)이 커넥터(100, 100A, 100B)에 삽입될 때에는, 접점부(420, 420B)만이 제2접속대상물(700)의 제2접속부(710)와 접속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부(445, 445B)가, 제2접속대상물(700)의 상면에 형성된 접속부와 접속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10, 10A, 10B : 케이블 하니스
100, 100A, 100B : 커넥터
200, 200A, 200B : 홀딩부재
210, 210A, 210B : 홀딩부
212A : 전면
220, 220A, 220B : 상벽부
230, 230A, 230B : 하벽부
240, 240A, 240B : 개재부
242A : 연결부 수용홈
245, 245A : 단자홀딩부
250, 250A, 250B : 가동부재
255, 255A, 255B : 캠부
260, 260A, 260B : 가동부재 수용부
265, 265A, 265B : 가동부재 지지부
270, 270A, 270B: 리시빙부
280, 280A : 수용오목부
290, 290A, 290B : 수용홈
292 : 대향부
295 : 오목부
400, 400B : 단자
410, 410B : 결선부
420, 420B : 접점부
425 : 접점부 지지부
430, 430B : 하악부
440, 440B : 상악부
445, 445B : 가압부
450, 450B : 중간부
460, 460B : 연결부
465, 465B : 캠부 지지부
470 : 피홀딩부
600 : 제1접속대상물(케이블)
610 : 제1접속부(도선)
700 : 제2접속대상물
710 : 제2접속부
800 : 받침대
850 : 가열툴
P : 소정 장소
R : 소정 영역

Claims (11)

  1.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접속대상물(第1接續對象物)에 대하여 부착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을 따라 후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시트모양 또는 판모양의 제2접속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connector)로서,
    상기 제1접속대상물은, 복수의 제1접속부(第1接續部)를 갖고 있고,
    상기 제2접속대상물은, 복수의 제2접속부를 갖고 있고,
    상기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端子)와, 홀딩부재(holding部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홀딩부재는, 홀딩부(holding部)와, 개재부(介在部)를 갖고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홀딩부재의 상기 홀딩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상하방향 및 상기 전후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피치방향(pitch方向)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단자의 각각은, 결선부(結線部)와, 접점부(接點部)를 갖고 있고,
    상기 단자의 상기 결선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1접속대상물에 부착될 때에, 상기 제1접속부에 각각 접속되는 것이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접점부는, 상기 커넥터에 상기 제2접속대상물이 삽입될 때에, 상기 제2접속부에 각각 접속되는 것이고,
    상기 결선부는, 상기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판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접점부의 중심과 상기 결선부의 중심은,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개재부와 상기 결선부는,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터를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 있고,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측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터를 보았을 경우에, 상기 개재부 및 상기 결선부의 일방(一方)이 육안(肉眼)으로 확인 가능하고,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하측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터를 보았을 경우에, 상기 개재부 및 상기 결선부의 나머지 일방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는, 상벽부(上壁部)와, 하벽부(下壁部)를 더 갖고 있고,
    상기 상벽부와 상기 하벽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벽부와 상기 하벽부의 사이에는, 리시빙부(receiving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시빙부는, 상기 제2접속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제2접속대상물의 일부를 수용하는 것이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벽부를 넘어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개재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결선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선부는, 상기 접점부보다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벽부의 전단(前端)은, 상기 하벽부의 전단보다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개재부는, 상기 하벽부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하측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터를 보았을 경우에, 상기 개재부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적어도 소정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하벽부로부터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갖지 않고,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하벽부의 상기 전단으로부터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개재부의 소정 장소까지의 영역이고,
    상기 개재부의 상기 소정 장소는,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기 결선부의 후단(後端)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상벽부의 상기 전단보다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의 하부에는, 수용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오목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오목함과 아울러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빠져 있고,
    상기 수용오목부는, 상기 커넥터를 상기 제1접속대상물인 케이블에 대하여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케이블의 일부를 수용하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부는, 상기 홀딩부와는 별체(別體)인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하악부(下顎部)와, 상악부(上顎部)와, 중간부와, 연결부를 더 갖고 있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하악부로부터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하악부와 상기 상악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하악부와 상기 상악부를 서로 접속시키고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악부의 하측 가장자리와 상기 결선부를 연결시키고 있고,
    상기 하악부의 하측 가장자리와 상기 결선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에는, 대향부(對向部)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향부는, 상기 하악부 및 상기 연결부의 각각과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대향부보다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 오목하게 되어 있는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전방 및 상방의 쌍방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는 커넥터.
  11. 제1항의 상기 커넥터와, 케이블을 구비하는 케이블 하니스(cable harness)로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접속대상물로서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 하니스.
KR1020170051414A 2016-06-22 2017-04-21 커넥터 및 케이블 하니스 KR101945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23892 2016-06-22
JP2016123892A JP6634348B2 (ja) 2016-06-22 2016-06-22 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ハーネ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83A KR20180000283A (ko) 2018-01-02
KR101945804B1 true KR101945804B1 (ko) 2019-02-08

Family

ID=5941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414A KR101945804B1 (ko) 2016-06-22 2017-04-21 커넥터 및 케이블 하니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28877B1 (ko)
JP (1) JP6634348B2 (ko)
KR (1) KR101945804B1 (ko)
CN (1) CN107528141B (ko)
TW (1) TWI638488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97941Y (zh) 2008-11-11 2010-0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0066A (en) * 1968-09-19 1970-12-22 Amp Inc Connector for multiple conductor cable
BE795295A (fr) * 1972-08-19 1973-05-29 Leifheit International Balai mecanique
US5213534A (en) 1992-07-31 1993-05-25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flat flexible cable
JP2775229B2 (ja) * 1994-01-24 1998-07-16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構造
JP2004288648A (ja) 1997-01-23 2004-10-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ト状導電路用コネクタ
JP2002158055A (ja) * 2000-11-21 2002-05-3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上面接続型fpc用zifコネクタ
CN2682625Y (zh) * 2003-12-03 2005-03-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9176426A (ja) * 2008-01-21 2009-08-06 Tyco Electronics Amp Kk 面実装部品及び電気コネクタ
JP4995861B2 (ja) * 2009-03-31 2012-08-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WO2012101849A1 (ja) * 2011-01-27 2012-08-02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980438B2 (ja) * 2010-02-26 2012-07-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212499B2 (ja) 2010-09-08 2013-06-1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51021A (ja) * 2011-01-20 2012-08-09 D D K Ltd コネクタ
JP4945006B1 (ja) * 2011-09-26 2012-06-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3149413A (ja) * 2012-01-18 2013-08-0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8851918B2 (en) * 2012-08-27 2014-10-07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automatic lock member
KR101496719B1 (ko) * 2013-11-05 2015-02-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랫 케이블 전원용 커넥터
JP6057229B2 (ja) 2015-07-28 2017-0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09586B1 (ja) * 2015-08-31 2016-04-2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97941Y (zh) 2008-11-11 2010-0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38488B (zh) 2018-10-11
JP6634348B2 (ja) 2020-01-22
TW201801402A (zh) 2018-01-01
CN107528141B (zh) 2019-07-02
JP2017228431A (ja) 2017-12-28
US9728877B1 (en) 2017-08-08
CN107528141A (zh) 2017-12-29
KR20180000283A (ko)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329213U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US6039611A (en) Connector
US10707598B2 (en) Conductive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US20030114029A1 (en) Contact for ball grid array connector
KR101504696B1 (ko) 회로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접촉 소자, 접착 소자를 회로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기판
US10069229B2 (en) Electric connector
CN1139154C (zh) 用于插脚栅格阵列组件的可检查的电连接器
TWI437763B (zh) 電纜連接用連接器
CN105024191B (zh) 两个电子板之间的电连接单元
KR101945804B1 (ko) 커넥터 및 케이블 하니스
CN111555058B (zh) 电连接器
JP2006528828A (ja) プリント回路基板用導体接続モジュール
KR20150048230A (ko) 헤더 커넥터
KR20140051068A (ko) 커넥터
JP5023728B2 (ja) ケーブル半田付け型コネクタ
JP2006260953A (ja) フローティング式コネクタ装置
JP2002015821A (ja) 電気コネクタ
CN110277674B (zh) 电连接器
JP2019200872A (ja) コネクタ
CN113381208A (zh) 一种具有接线功能的ic集成电路芯片
CN108418011B (zh) 连接器
CN109560399B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CN200969459Y (zh) 电连接器
EP3561959B1 (en) Connector
CN213224678U (zh) 一种用于pcb板快速装夹焊接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