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078B1 - 스위블 락킹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블 락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078B1
KR101944078B1 KR1020170181894A KR20170181894A KR101944078B1 KR 101944078 B1 KR101944078 B1 KR 101944078B1 KR 1020170181894 A KR1020170181894 A KR 1020170181894A KR 20170181894 A KR20170181894 A KR 20170181894A KR 101944078 B1 KR101944078 B1 KR 101944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ed
upper plate
lever
midd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철
전훈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KR1020170181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078B1/ko
Priority to PCT/KR2018/016915 priority patent/WO201913261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14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단순한 조작에 따라 시트의 회전이 가능하거나 견고하게 시트를 고정시키는 스위블 락킹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블 락킹 장치는 차량의 시트와 결합되는 상원판, 상기 차량의 레일에 결합되고, 상부에 결합된 볼베어링들을 통해 상하부로 형성된 축을 기준으로 상기 상원판의 저면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원판, 상기 중원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원판과 결합되는 하원판, 일단은 상기 상원판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중원판 및 볼베어링을 탄성 가압하는 락킹부 및 상기 상원판에 결합되어 레버의 구동에 따라 상기 락킹부의 가압을 해제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의 타단은 상기 볼베어링 및 중원판과 밀착되며 상기 상원판 및 중원판을 고정시킨다.

Description

스위블 락킹 장치{SWIVEL LOCKING DEVIC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스위블 락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순 조작을 통해 편리하게 시트를 회전 또는 고정시키는 스위블 락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들 중에는 내부에 설치되는 시트들에 회전 기능을 추가하여, 후방에 탑승하는 탑승자들 간의 대화나 미팅을 가능하게 하여 차량 내부에서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이동하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점에서 탑승자의 시트 회전을 위한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안전성을 위해 시트의 차량 레일과의 결합력이 확실하게 보장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7639호는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시트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1012호는 자동차 시트 회전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용이성이 낮고, 시트의 고정력이 낮은 단점이 있다.
단순한 조작에 따라 시트의 회전이 가능하거나 견고하게 시트를 고정시키는 스위블 락킹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블 락킹 장치는 차량의 시트와 결합되는 상원판, 상기 차량의 레일에 결합되고, 상부에 결합된 볼베어링들을 통해 상하부로 형성된 축을 기준으로 상기 상원판의 저면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원판, 상기 중원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원판과 결합되는 하원판, 일단은 상기 상원판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중원판 및 볼베어링을 탄성 가압하는 락킹부 및 상기 상원판에 결합되어 레버의 구동에 따라 상기 락킹부의 가압을 해제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의 타단은 상기 볼베어링 및 중원판과 밀착되며 상기 상원판 및 중원판을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락킹부는 일단은 와이어를 통해 상기 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레버의 구동으로 상기 와이어가 일단을 당기면 타단은 상기 중원판 및 볼베어링에 대한 가압을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부는 일단은 상기 상원판 상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원판을 관통하며 상기 중원판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중원판 및 볼베어링을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유닛은 타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상원판을 관통하고, 상기 상원판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돌출부들 및상기 중원판을 관통하도록 제1 돌출부들의 연장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상기 상원판의 회전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2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상원판 및 중원판 사이에서 상기 제1 돌출부들 각각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부는 일단은 상기 상원판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유닛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가압유닛의 연장 방향과 수평하도록 가이드하는 함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블 락킹 장치는 단순한 조작을 통해 시트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여 시트의 회전이 용이하고, 조작을 중지한 상태에서는 견고하게 하부에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위블 락킹 장치는 스프링을 통해 탄성 가압하며 볼베어링을 둘러싸고 일부분이 삽입되는 일체형의 가압유닛의 구조를 통해 견고하게 시트의 회전을 제한하고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스위블 락킹 장치는 가압유닛에 형성되는 스프링들의 탄성력 변화에 상관없이 하부에 형성될 돌출부들과 중원판의 삽입구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안정적으로 시트의 회전을 제한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락킹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위블 락킹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락킹부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스위블 락킹 장치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락킹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6은 도 1의 락킹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락킹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락킹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스위블 락킹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락킹부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스위블 락킹 장치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블 락킹 장치(100)는 상원판(200), 베어링부(300), 중원판(400), 락킹부(600) 및 레버부(800)를 포함한다.
스위블 락킹 장치(100)는 주로 자동차의 시트(10)의 하부에 일부분이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자동차 하부의 레일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트(10)와 결합된 부분이 상하부를 따라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고정된다.
상원판(20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며, 시트(10)와 결합된다.
베어링부(300)는 볼베어링(320) 및 연결와이어(340)를 포함한다.
베어링부(300)는 상원판(200) 및 중원판(400) 사이에 배치되고, 상원판(200)은 베어링부(300)를 통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중원판(40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볼베어링(320)들 각각은 상원판(200) 가장자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연결와이어(340)는 볼베어링(320)들 각각을 연결하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명세서에 개시된 스위블 락킹 장치(100)의 상부 또는 하부 방향은 시트(10)의 상하부 방향과 상관없이 스위블 락킹 장치(100)가 시트(10)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원판(200)이 상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된다.
볼베어링(320)들 각각의 하부는 중원판(400)에 삽입되고, 상부는 상원판(200)의 저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상원판(200)의 저면은 볼베어링(320)과 밀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볼베어링(320)은 중원판(4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원판(200)의 회전구동에 따라 회전한다.
중원판(400)은 스위블 락킹 장치(100)가 시트(10)와 분리되고 상원판(200)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원판(200)의 하부에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원판(200)의 저면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하원판(500)은 제1 플레이트(520) 및 제2 플레이트(540)를 포함한다.
하원판(50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공이 형성되며, 중원판(400)의 중공에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원판(2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520)는 가장자리가 볼베어링(320)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형성되는 중공을 둘러싸는 중앙부는 절곡되어 중원판(400)의 중공을 관통하여 상원판(200)의 중공을 둘러싸는 상원판(200)의 중앙부와 결합된다.
제2 플레이트(540)는 가장자리가 볼베어링(320)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고, 가장자리의 절곡된 오목한 부분이 제1 플레이트(520)의 가장자리 저면과 밀착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제2 플레이트(540)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을 둘러싸는 부분은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제2 플레이트(540)의 중앙부의 저면과 결합되고, 상원판(200)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플레이트(520, 540)들은 함께 회전한다.
제1 플레이트(520)는 시트(10)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중량에 의해 제1 플레이트(520)가 중원판(400)을 압박한 상태에서 상원판(200)과 함께 회전하므로, 마찰력이 낮은 고분자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락킹부(600)는 가압유닛(620), 지지대(640) 및 제1 함체(660)를 포함한다.
락킹부(600)는 상원판(200)의 가장자리 일부분에 결합되고, 레버부(800)의 구동에 따라 작동하여 베어링부(300) 및 중원판(400)을 가압하는 압력을 해제하므로 사용자는 시트(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유닛(620)은 제1 돌출부(622)들, 제2 돌출부(624)들 및 스프링(626)들을 포함한다.
가압유닛(620)은 일단은 상원판(20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타단은 상원판(200)을 관통하여 중원판(400)을 향해 하강 연장되어 볼베어링(320) 및 중원판(400)과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가압유닛(620)의 저면 중앙에는 볼베어링(32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볼베어링(320) 상부의 반구 형태의 부피와 동일한 홀이 형성되고, 가압유닛(620)이 중원판(400)을 향해 하강한 상태에서는 중원판(400) 및 볼베어링(320)과 밀착된다.
제1 돌출부(622)들 각각은 가압유닛(620)의 타단에서 상부에 위치한 상원판(200)의 저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원판(200)을 관통하며 상원판(2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2 돌출부(624)들 각각은 가압유닛(620)이 볼베어링(320) 및 중원판(400)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가압유닛(620)의 타단 저면에서 중원판(40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중원판(4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626)들 각각은 상원판(200) 및 중원판(400) 사이에서 제1 돌출부(622)들 각각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가압유닛(620)이 소정의 거리만큼 상부를 향해 이동하면, 스프링(626)들 각각이 가압유닛(620)의 타단을 중원판(400)을 향해 가압하는 압력이 증가한다.
지지대(640)는 일단이 상원판(20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단은 가압유닛(620)의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가압유닛(620)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된다.
제1 함체(66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대(640)의 타단에 결합되고, 레버부(800)에서 연장되는 후술될 와이어(880)를 고정시켜 가압유닛(620)을 향해 가이드한다.
제1 함체(660)는 가압유닛(620)과 결합되는 와이어(880)가 가압유닛(620)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직선 형태로 유지시키고, 가압유닛(62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와이어(880)에 의한 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압유닛(620)의 원활한 제어가 가능하다.
레버부(800)는 고정판(820), 레버(840), 스프링(860) 및 와이어(880)를 포함한다.
레버부(800)는 상원판(200)의 상부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락킹부(600)를 제어하여 베어링부(300) 및 중원판(400)을 가압하는 락킹부(600)의 가압력을 해제시킨다.
구체적으로, 고정판(820)의 일단은 상원판(20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결합되고, 타단은 상원판(200)의 상부 표면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상원판(200)의 상부에 밀착 결합된다.
고정판(820)의 타단에서 락킹부(600)와 인접한 일부분은 상원판(200)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후술될 제2 함체(890)와 결합된다.
레버(840)는 일단은 상원판(200)의 가장자리 외측에 형성되고, 상원판(200)의 중앙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중앙부를 형성하며, 상기 중앙부는 고정판(82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레버(840)의 타단은 상기 중앙부에서 상원판(200)의 중앙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레버(840)의 일단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면, 레버(840)의 타단은 상원판(200)의 가장자리 외측을 향해 이동한다.
스프링(860)은 일단은 레버(840)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레버(840)의 중앙부의 회전축을 둘러싸며 일단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원판(200)과 결합된다.
레버(840)의 일단을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키고, 레버(840)의 일단에 가하는 압력을 해제하면, 레버(840)의 타단은 스프링(860)의 탄성력에 의해 상원판(200)의 중앙을 향해 이동하며 원위치로 복귀한다.
와이어(880)는 일단이 레버(840)의 타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함체(660)를 향해 연장되어, 제1 함체(660)를 지나 가압유닛(620)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함체(890)는 레버(840)의 타단이 이동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와이어(880)의 일단을 둘러싸고, 레버(840)의 타단이 이동에 의해 와이어(880)가 상원판(200)의 외측을 향해 당겨지면, 와이어(880)가 원활히 당겨지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레버(840)의 일단을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키면, 와이어(880)의 타단은 가압유닛(620)을 상부를 향해 당기며, 제2 둘출부(626)들 각각은 중원판(400)과 분리된다.
또한, 사용자가 레버(840)를 구동시켜 제2 돌출부(626)들 각각이 중원판(400)과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방향을 향해 시트(10)를 회전시킬 수 있고, 레버(840)의 구동을 정지시켜 시트(10)의 회전을 편리하게 제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락킹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락킹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5 및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80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볼베어링(320)은 중원판(400)의 상부에 반구형태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가압유닛(620)은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여 볼베어링(320)의 상부 및 중원판(400)을 가압한다.
또한, 레버부(80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2 돌출부(624)들 각각은 중원판(400)에 삽입되어 중원판(400)의 저면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고, 볼베어링(320)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제2 돌출부(624)들이 삽입되도록 중원판(400)에 형성되는 홀들은 상원판(200)의 회전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중원판(400)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상기 홀들의 갯수는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유닛(620)이 하강한 상태에서 중원판(200)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624)들 및 가압유닛(620)의 타단 중앙에 삽입되는 반구형태의 볼베어링(320)을 통해 상원판(200)의 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제1 돌출부(622)들 각각은 타단이 상원판(200)을 지나 상원판(200)의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레버부(800)의 구동이 없는 상태에서 상원판(200)의 회전 구동을 1차적으로 차단하며, 제1 돌출부(622)들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가압유닛(620)이 상원판(200)의 회전을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돌출부(624)들 각각은 상원판(200)의 회전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가압유닛(620)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므로, 스프링(626)들 중 어느 하나의 탄성력이 저하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도 중원판(400)에 삽입되어 상원판(200)의 회전을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626)들 중 어느 하나의 탄성력이 저하되거나 파손되는 경우, 가압유닛(620)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탄성력이 저하된 스프링(626)이 둘러싸는 제1 돌출부(622)들 중 어느 하나는 레버부(800)의 구동이 없는 경우에도 중원판(400)을 향해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정상적인 스프링(626)이 결합된 제1 돌출부(622)가 위치한 가압유닛(620)의 타단 일부는 하부를 향해 편향되게 기울어지지만, 제2 돌출부(624)들 각각은 동일한 수평선상을 유지하므로, 제2 돌출부(624)들 각각은 스프링(626)들 중 어느 하나의 구동만으로도 중원판(400)에 삽입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2 돌출부(624)들 각각이 제1 돌출부(622)들 각각의 직하방에 형성된다면, 스프링(626)들 중 어느 하나의 고장으로 인해 제2 돌출부(624)들 중 어느 하나는 중원판(400)에 삽입되지 않아 상원판(200)의 회전을 견고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2 돌출부(624)들 각각의 위치는 레버부(800)를 작동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시트(10)에 착석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스위블 락킹 장치(100)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는 레버(840)의 조작을 통해 레버부(800)가 구동하면, 가압유닛(620)의 일단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 형태의 타단이 제1 함체(660)를 향해 레버(840)의 타단이 이동한 거리만큼 중원판(400)과 이격된다.
와이어(680)의 이동으로 가압유닛(620)의 타단은 볼베어링(320) 및 중원판(400)과 분리되고, 제2 돌출부(624)들 각각은 중원판(200)과 분리되며, 사용자가 레버(840)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해 시트(10)의 회전각도 조절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위블 락킹 장치 200: 상원판
400: 중원판 500: 하원판
600: 락킹부 800: 레버부

Claims (6)

  1. 차량의 시트와 결합되는 상원판;
    상기 차량의 레일에 결합되고, 상부에 결합된 볼베어링들을 통해 상하부로 형성된 축을 기준으로 상기 상원판의 저면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원판;
    상기 중원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원판과 결합되는 하원판;
    일단은 상기 상원판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중원판 및 볼베어링을 탄성 가압하는 락킹부; 및
    상기 상원판에 결합되어 레버의 구동에 따라 상기 락킹부의 가압을 해제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의 타단은 상기 볼베어링 및 중원판과 밀착되며 상기 상원판 및 중원판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락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일단은 와이어를 통해 상기 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레버의 구동으로 상기 와이어가 일단을 당기면 타단은 상기 중원판 및 볼베어링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락킹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일단은 상기 상원판 상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원판을 관통하며 상기 중원판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중원판 및 볼베어링을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락킹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타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상원판을 관통하고, 상기 상원판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돌출부들; 및
    상기 중원판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1 돌출부들의 연장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상원판의 회전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2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락킹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상원판 및 중원판 사이에서 상기 제1 돌출부들 각각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스프링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락킹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일단은 상기 상원판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유닛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가압유닛의 연장 방향과 수평하도록 가이드하는 함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락킹 장치.












KR1020170181894A 2017-12-28 2017-12-28 스위블 락킹 장치 KR101944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894A KR101944078B1 (ko) 2017-12-28 2017-12-28 스위블 락킹 장치
PCT/KR2018/016915 WO2019132616A1 (ko) 2017-12-28 2018-12-28 스위블 락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894A KR101944078B1 (ko) 2017-12-28 2017-12-28 스위블 락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078B1 true KR101944078B1 (ko) 2019-02-01

Family

ID=6536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894A KR101944078B1 (ko) 2017-12-28 2017-12-28 스위블 락킹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4078B1 (ko)
WO (1) WO2019132616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8979A (zh) * 2021-02-19 2021-05-28 上海东尚机械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座椅手动转动系统
KR20210067585A (ko)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다스 스위블 시트의 록킹 장치
KR102333703B1 (ko) 2020-06-30 2021-12-02 주식회사 다스 스위블 시트의 록킹 장치
KR20220001766A (ko)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다스 스위블 시트의 댐핑 장치
KR102351262B1 (ko) 2020-08-13 2022-01-14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KR20220069495A (ko)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다스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KR20220069492A (ko)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다스 스위블 시트의 파워 구동장치
KR102435303B1 (ko) * 2021-03-18 2022-08-24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스위블 장치
KR102446466B1 (ko) 2021-06-23 2022-09-23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KR20230046741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다스 스위블 시트의 파워 구동장치
DE102022213465A1 (de) 2021-12-21 2023-06-22 Das Co., Ltd Bremsvorrichtung für elektrischen drehsitz
KR20230119903A (ko) 2022-02-08 2023-08-16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블 시트 제어장치
KR20240041057A (ko) 2022-09-22 2024-03-29 대원정밀공업(주) 백래쉬가 저감된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343U (ja) * 1991-08-26 1993-03-09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回転機構
KR960033881A (ko) * 1996-07-15 1996-10-22
KR19990042830A (ko) * 1997-11-28 1999-06-15 정몽규 자동차의 시트 스위블링 장치
KR20070068858A (ko) * 2005-12-27 2007-07-0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 회전장치
KR20120038073A (ko) * 2010-10-13 2012-04-23 한일내장(주) 차량용 회전시트 및 그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343U (ja) * 1991-08-26 1993-03-09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回転機構
KR960033881A (ko) * 1996-07-15 1996-10-22
KR19990042830A (ko) * 1997-11-28 1999-06-15 정몽규 자동차의 시트 스위블링 장치
KR20070068858A (ko) * 2005-12-27 2007-07-0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 회전장치
KR20120038073A (ko) * 2010-10-13 2012-04-23 한일내장(주) 차량용 회전시트 및 그의 구동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585A (ko)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다스 스위블 시트의 록킹 장치
KR102333703B1 (ko) 2020-06-30 2021-12-02 주식회사 다스 스위블 시트의 록킹 장치
KR20220001766A (ko)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다스 스위블 시트의 댐핑 장치
KR102351262B1 (ko) 2020-08-13 2022-01-14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KR20220069492A (ko)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다스 스위블 시트의 파워 구동장치
KR20220069495A (ko)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다스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CN112848979A (zh) * 2021-02-19 2021-05-28 上海东尚机械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座椅手动转动系统
KR102435303B1 (ko) * 2021-03-18 2022-08-24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스위블 장치
KR102446466B1 (ko) 2021-06-23 2022-09-23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KR20230046741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다스 스위블 시트의 파워 구동장치
DE102022213465A1 (de) 2021-12-21 2023-06-22 Das Co., Ltd Bremsvorrichtung für elektrischen drehsitz
KR20230094397A (ko)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다스 파워 스위블 시트의 브레이크 장치
KR20230119903A (ko) 2022-02-08 2023-08-16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블 시트 제어장치
KR20240041057A (ko) 2022-09-22 2024-03-29 대원정밀공업(주) 백래쉬가 저감된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2616A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078B1 (ko) 스위블 락킹 장치
KR102576172B1 (ko)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JP4680908B2 (ja) スライドドアー用ガイド機構
EP2135773A1 (en) Headrest and vehicle seat with the headrest
EP2138347A1 (en) Headrest and vehicle seat with the headrest
EP2803520A1 (en) Accelerator pedal, particularly for a motor-vehicle
CA2489641A1 (en) A device for sending down seat backrests in vehicles
JP6033188B2 (ja) ゲーム機用蝶番
US7278672B2 (en) Motor vehicle with direction-lockable seat assembly
WO2006011391A1 (ja)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123421B1 (ko) 스위치장치
JP2005013337A (ja) 車両シートのサイドサポート装置
KR101679934B1 (ko) 차량용 시트 암레스트 스위치의 오작동 방지장치
KR200400108Y1 (ko) 시트조절용 스위치
JP2002036930A (ja) 座席用テーブル
KR101338066B1 (ko)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CN221079878U (en) Switch mechanism
JPH08175224A (ja) コンバイナ装置
CN215552703U (zh) 一种安全座椅提篮底座角度调整结构
KR101410654B1 (ko) 악셀페달의 오조작 방지 구조
KR20050122869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회전구조
KR100197229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컵홀더장치
JP4446044B2 (ja) 乗物用シートの背面テーブル固定機構
KR101356147B1 (ko)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KR20230157152A (ko) 암레스트 틸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