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303B1 - 스위블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303B1
KR102435303B1 KR1020210035100A KR20210035100A KR102435303B1 KR 102435303 B1 KR102435303 B1 KR 102435303B1 KR 1020210035100 A KR1020210035100 A KR 1020210035100A KR 20210035100 A KR20210035100 A KR 20210035100A KR 102435303 B1 KR102435303 B1 KR 102435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ed
bracket
ring gear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길
윤달승
Original Assignee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0232
    • B60N2002/02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상부판의 하부에 돌출된 리브플랜지와 베어링부의 결합구조를 통해 안정적인 스위블 구동이 가능한 스위블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블 장치는 중공부의 외측 하부에 리브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링기어가 결합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중공이 형성된 중간판, 상기 중간판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중간판과 일부 교차된 상태로 상기 중공에서 상기 상부판과 결합되는 하부판,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 및 중간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리브플랜지가 삽입되는 리브홈이 형성되는 제1 베어링부, 상기 중간판 및 하부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베어링부 및 상기 중간판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에 결합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링기어와 맞물리는 구동축을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위블 장치{SWIVEL APPARATU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스위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순 조작을 통해 편리하게 시트를 회전 또는 고정시키는 스위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자율주행기술의 관심에 따라 내부에 설치되는 시트들에 회전 기능이 추가되고, 후방에 탑승하는 탑승자들 간의 대화나 미팅을 가능하게 하여 차량 내부에서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하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점에서 탑승자의 시트 회전을 위한 별도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안전성을 위해 시트의 차량 레일과의 결합력이 확실하게 보장되고, 스위블 구동 과정에서 오작동이 방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스위블 장치에 내장된 베어링의 경우 차량의 운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상하 요동에 의해 리테이너가 상부판과 중간판 사이에서 폴딩되거나 이탈되어 스위블 구동의 안정성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7639호는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시트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1012호는 자동차 시트 회전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상하요동을 방지하면서 스위블 구동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은 개시되지 않고 있다.
상부판의 하부에 돌출된 리브플랜지와 베어링부의 결합구조를 통해 안정적인 스위블 구동이 가능한 스위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블 장치는 중공부의 외측 하부에 리브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링기어가 결합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중공이 형성된 중간판, 상기 중간판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중간판과 일부 교차된 상태로 상기 중공에서 상기 상부판과 결합되는 하부판,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 및 중간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리브플랜지가 삽입되는 리브홈이 형성되는 제1 베어링부, 상기 중간판 및 하부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베어링부 및 상기 중간판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에 결합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링기어와 맞물리는 구동축을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은 상기 구동축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링기어의 일부와 교차되어 상기 링기어의 상부이동을 차단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일단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서브브라켓 및 상기 서브브라켓의 타단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링기어의 내측면에서 상기 관통홀을 향해 돌출된 이(Teeth)들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부에 면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구동축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완충부재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플랜지는 상기 상부판의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베어링부는 볼 들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리테이너 및 상기 제1 리테이너에서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리브홈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블 장치는 구동부에 형성된 모터의 구동축을 중간판에 고정시키는 브라켓들을 통해 상부판의 안정적인 회동이 가능하고, 브라켓 및 로킹부의 배치를 통해 무게 중심이 중앙에 위치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위블 장치는 상부판에 형성된 리브플랜지들이 베어링부에 삽입되어 상부판, 중간판 및 하부판의 상하 회동으로 발생되는 상부판, 중간판 및 하부판들 사이의 공간에서 베어링부가 폴딩되거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위블 장치는 상부판에 결합된 링기어의 상부에 완충부재를 배치시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상부판 및 하부판의 상하 요동이 방지되고, 베어링부들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베어링부들은 하부판 또는 중간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하부판 또는 중간판 상부에 형성된 굴곡진 표면에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조립편의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장치의 사시도들.
도 2 및 3들은 도 1의 스위블 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들.
도 4는 도 1의 스위블 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구동부를 확대한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블 장치(100)는 상부판(200), 중간판(300), 하부판(400), 제1 베어링부(500), 제2 베어링부(550) 및 구동부(600)를 포함한다.
스위블 장치(100)는 주로 자동차의 시트 하부에 일부분이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자동차 프레임 또는 레일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트와 결합된 부분이 중앙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거나 고정된다.
상부판(200)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을 상하부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공부(205)가 중앙에 형성되며, 중공부(205)의 주변에 해당되는 원형의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하부판(400)의 일부분과 결합된다.
상부판(200)은 결합부재(210), 제1 경사부재(220), 지지부재(230), 고정부재(240), 제1 서포트브라켓(270), 링기어(280) 및 제1 후크(290)를 포함한다.
결합부재(210)는 중공부(205)의 주변을 원형으로 둘러싸는 와셔 모양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판(400) 안쪽의 일부분과 면접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를 통해 하부판(400)과 결합된다.
제1 경사부재(220)는 결합부재(210)의 외측 상부에서 결합부재(21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경사면의 단면구조를 가지고, 결합부재(210)의 외측을 원형으로 둘러싸면서 내측 부분이 결합부재(210)와 연결된다.
지지부재(230)는 제1 경사부재(220)의 외측을 둘러싸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면은 제1 경사부재(220)의 외측 테두리와 연결되며, 저면은 제1 베어링부(500)의 일부분과 밀착된다.
고정부재(240)는 지지부재(230)의 외측을 둘러싸는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면은 지지부재(230)의 외측 테두리와 연결되며, 외측 테두리의 일부는 하부를 향해 절곡된다.
고정부재(240)의 저면에는 고정부재(240)의 상부면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지지부재(23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리브플랜지(241)들이 형성된다.
리브플랜지(241)들 각각은 후술 될 제1 베어링부(500)에 삽입되어 제1 베어링부(500)가 구동되는 상황에서 제1 베어링부(500)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위블 장치(100)의 안정적인 구동을 가능케 한다.
상부판(200)의 측면에 인접한 리브플랜지(241)들은 상부판(200)의 측면에서 중공부(205)를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리브플랜지(241)들과 연결되는 리브플랜지(242)가 형성된다.
상부판(200)의 테두리 중앙에 인접한 리브플랜지(241)들의 길이는 상부판(200)의 코너쪽에 형성되는 리브플랜지(241)들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제1 베어링부(500)는 리브플랜지(242)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 서포트브라켓(270)은 중앙에 제1 베어링부(500)를 둘러싸는 홀이 형성되는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면이 고정부재(240)의 저면에 면결합되어 고정부재(240)의 내구성을 개선시킨다.
링기어(280)는 상하부로 연장된 직사각형의 단면구조를 가지고, 링 형태로 중공부(205)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내측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원형의 내측면 일부분은 중공부(205)의 하부에 해당되는 수평선상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구동부(600)의 구동축(630)과 맞물리는 이(Teeth)들이 형성된다.
제1 후크(290)의 일단부는 제1 서포트브라켓(270)을 관통하여 고정부재(240)의 저면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일단부의 외측 모서리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수직판 형태로 연장되며, 타단부는 중앙부의 하부 모서리 일부분이 중공부(205)의 직하방에 해당되는 공간을 향해 후크 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1 후크(290)들 각각은 상부판(200)의 4개의 코너들 각각의 하부에 해당되는 고정부재(240)의 저면에 결합되고, 후술 될 중간판(300)과 결합되는 제2 후크(38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링기어(280)의 상부면은 결합부재(210)의 안쪽에 해당되는 일부분의 저면에 면접되어 결합부재(210)와 결합되고, 안쪽에 형성된 이(Teeth)들은 후술 될 구동부(600)와 기어 연결되어 구동부(60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된다.
하부판(400)은 결합부재(410), 제2 경사부재(420), 제3 경사부재(430) 및 절곡부재(440)를 포함한다.
하부판(40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공부(205)보다 외경이 큰 제1 중공(405)이 중앙에 형성되며, 제1 중공(405)의 주변에 해당되는 내측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로 상부판(200)의 저면 일부분과 결합된다.
결합부재(410)는 제1 중공(405)을 둘러싸는 원형의 평와셔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결합부재(210)의 저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상부판(200)과 결합된다.
제2 경사부재(420)는 결합부재(410)의 외측에서 외측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의 단면구조를 가지고, 결합부재(410)의 외측을 원형으로 둘러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테두리는 결합부재(410)의 외측 테두리와 연결된다.
제3 경사부재(430)는 제2 경사부재(420)의 외측에서 외측 및 결합부재(410)보다 높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경사면의 단면구조를 가지고, 제2 경사부재(420)를 원형으로 둘러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테두리가 제2 경사부재(420)의 외측 테두리에 연결되어 제1 경사부재(220)의 직하방에서 중간판(3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절곡부재(440)는 제3 경사부재(430)의 외측 테두리 주위에서 상부로 돌출된 반원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지고, 제3 경사부재(430)를 원형으로 둘러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테두리가 제3 경사부재(430)의 외측 테두리에 연결되어 지지부재(23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된다.
중간판(300)은 제4 경사부재(310), 제5 경사부재(320), 지지부재(330), 수직부재(340) 및 제2 서포트브라켓(370)들을 포함한다.
중간판(300)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제1 중공(405)보다 외경이 큰 제2 중공(305)이 형성되며, 안쪽 일부분은 링 형태로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부판(200) 및 하부판(400)의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4 경사부재(310)는 외측 상부에서 제1 중공(405)의 하부까지 포물선 연장되는 포물선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고, 상부판(200) 및 하부판(400) 사이에서 제2 경사부재(420)의 외측을 원형으로 둘러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제1 및 제3 경사부재(220, 430)들 사이에 배치된다.
제5 경사부재(320)는 제4 경사부재(310)의 외측 테두리 주위에서 외측 및 상부를 향해 포물선 연장되는 아치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지고, 제4 경사부재(310)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테두리가 제4 경사부재(310)의 외측 테두리에 연결되어 지지부재(230) 및 제3 경사부재(430)의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부재(330)는 제5 경사부재(320)의 외측에서 외측을 향해 직선으로 연장되는 스틱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지고, 제5 경사부재(320)의 외측을 둘러싸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테두리가 제5 경사부재(320)의 외측 테두리에 연결된다.
수직부재(340)는 지지부재(330)의 외측에서 지지부재(330)의 하부 공간을 둘러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테두리가 지지부재(330)의 외측과 연결되며, 제2 베어링부(550)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외측부재(350)는 수직부재(340)의 외측에서 수직부재(34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형태의 중공이 형성된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 테두리는 수직부재(340)의 외측 테두리와 연결되며, 외측 테두리의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절곡된다.
제2 서포트브라켓(370)은 중앙에 수직부재(34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중공이 형성된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부재(35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차량에 연결되는 중간판(300)의 내구성을 개선시킨다.
제2 후크(380)의 일단부는 제2 서포트브라켓(370)을 관통하여 외측부재(350)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일단부의 외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수직판 형태로 연장되며, 타단부는 중앙부의 상부 모서리 일부분이 외측을 향해 후크 형태로 연장되어 제1 후크(290)의 타단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로 결합된다.
제1 베어링부(500)는 제1 볼(510)들, 제1 리테이너(520), 제1 스토퍼(525), 고정프레임(530) 및 고정핀(540)들을 포함한다.
제1 베어링부(500)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5 경사부재(320)의 안쪽에 해당되는 원형공간을 둘러싸며, 상부판(200) 및 중간판(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판(200) 및 중간판(300) 사이의 회동을 지지한다.
제1 볼(510)은 구 형태의 금속 또는 고분자 소재로 제작되고, 지지부재(230) 및 제5 경사부재(320)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면은 제1 경사부재(220) 및 지지부재(230) 사이의 절곡된 부분에 밀착되고, 저면은 제5 경사부재(320)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제1 볼(510)들은 제5 경사부재(320)의 상부면을 따라 원형으로 서로 동일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지지부재(230)의 저면 및 제5 경사부재(320)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제1 리테이너(520)는 제5 경사부재(320) 및 지지부재(230) 사이에서 제5 경사부재(320)의 상부 경사면 일부분을 커버하는 와셔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볼(510)들과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 테두리는 고정프레임(530)에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525)는 제1 볼(510)들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리테이너(520)의 홀들 각각의 외측 방향쪽 내측면 일부분이 제1 볼(510)들 각각의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제1 볼(510)들이 제1 리테이너(520)의 상부를 향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제1 스토퍼(525)들은 제1 볼(510)들의 하부에 해당되는 제1 리테이너(520)의 내측 방향쪽 내측면 일부분이 제1 볼(510)들 각각의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제1 볼(510)의들 상부에 돌출되는 제1 스토퍼(525)와 함께 제1 볼(510)들이 제1 리테이너(5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프레임(530)은 고정부재(240) 및 지지부재(330)의 사이에서 지지부재(330)의 상부면 일부를 커버하는 와셔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고정부재(240)의 저면에 밀착되며, 저면에는 중심은 같고 외경의 크기가 다른 동심원 형태로 하부를 향해 돌출된 하부링들이 저면의 내측 및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하부링들은 상부판(200) 및 제1 베어링부(500)가 링기어(280)의 회동에 의해 회동되는 상태에서 차량의 프레임과 결합되는 중간판(300)의 지지부재(330)와 밀착되는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상부판(200)의 회동을 원활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고정핀(540)들 각각은 고정부재(240)의 상부에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부재(240), 고정프레임(530) 및 지지부재(330)를 관통하여 고정부재(240), 고정프레임(530) 및 지지부재(330)들을 서로 고정시킨다.
제2 베어링부(550)는 제2 볼(551)들, 제2 리테이너(552) 및 제2 스토퍼(553)들을 포함한다.
제2 베어링부(550)는 중간판(300) 및 하부판(400)의 사이에서 제5 경사부재(320)를 둘러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리테이너(520)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시트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제2 볼(551)들 각각은 구 형태의 금속 또는 고분자소재로 제작되고, 제5 경사부재(320) 및 제3 경사부재(4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5 경사부재(320) 및 제3 경사부재(430)들 각각의 저면 및 상부면과 밀착된다.
제2 리테이너(552)는 제5 경사부재(320) 및 제3 경사부재(430)의 사이에서 제3 경사부재(430)의 상부 경사면 일부분을 커버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볼(551)들과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스토퍼(553)들 각각은 제2 볼(551)들이 삽입된 제2 리테이너(552)의 홀 안쪽에서 외측 방향에 해당되는 내측면 일부분이 제2 볼(551)들 각각의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2 볼(551)들이 제2 리테이너(552)의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제2 스토퍼(553)들 각각은 제2 볼(551)이 삽입된 제2 리테이너(552)의 홀 하부에서 내측 방행에 해당되는 내측면 일부분이 제2 볼(551)의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제2 볼(551)이 제2 리테이너(552)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동부(600)는 제1 브라켓(610), 모터(620), 구동축(630), 제2 브라켓(640) 및 완충부재(650)를 포함한다.
구동부(600)는 하부판(400)의 하부에서 제1 브라켓(610)을 통해 중간판(300)의 중앙 하부에 결합되고, 구동부(600)에 형성된 모터의 구동축은 링기어(280)의 나사산과 기어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링기어(280), 상부판(200) 및 하부판(400)이 회동된다.
제1 브라켓(610)의 중앙부는 하부판(4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중공(405)의 하부를 커버하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의 4개의 테두리 중 3개의 테두리에 해당되는 일부분은 중간판(300)의 각각의 외측 및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중간판(300)의 저면과 결합된다.
모터(620)는 일단부에서 중앙부를 지나 타단부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브라켓(610)의 하부에서 제1 브라켓(610)의 하부에 결합되며, 모터(620)의 구동축(630)은 제1 브라켓(61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부를 향해 돌출된다.
구동축(630)의 일단은 모터(620)의 중앙부 및 타단부 사이에서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어 형태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링기어(280)의 내측에 형성된 이(Teeth)들과 치합된다.
구동축(630)의 타단은 일단의 안쪽 원형의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제2 브라켓(640) 및 완충부재(650)와 구동축(630)의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브라켓(640)의 일단부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링기어(280)의 안쪽에서 제1 브라켓(610)의 상부면과 면접되고, 모터(620)의 중앙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연결부재들은 제1 브라켓(610)의 하부에서 제1 브라켓(610) 및 제2 브라켓(640)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다.
제2 브라켓(640)의 일단부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연결부재들은 너트들 각각과 결합되어 제2 브라켓(640)의 일단부 및 모터(620)를 제1 브라켓(610)에 결합시킨다.
제2 브라켓(640)의 중앙부는 일단부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상부를 향해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수직하게 절곡 및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브라켓(640)의 타단부는 중앙부의 상부 모서리의 일부분이 일측을 향해 구동축(630)의 타단까지 플레이트 형태로 절곡 및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 브라켓(640)의 타단부는 구동축(630)의 타단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를 통해 모터(620)와 별도로 흔들림이 발생되는 구동축(630)의 위치를 고정시켜 상부판(200) 및 시트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제2 브라켓(640)의 일단 및 중앙부 사이에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제2 브라켓(640)의 내구성이 개선되고, 효과적으로 구동축(63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완충부재(650)는 서브브라켓(651) 및 링(652)을 포함한다.
완충부재(650)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브라켓(640)의 일단부 상부에서 구동축(630)의 상부에 구동축(630)의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동축(630)의 상부에 결합된다.
완충부재(650)의 타단은 일단에서 확장되며 제2 브라켓(640)의 타단부 직상방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링기어(280)의 이(Teeth)들 상부에 밀착되어 링기어(280) 및 상부판(200)이 차량 또는 탑승자의 시트 착석에 의해 상부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서브브라켓(651)의 일단은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구동축(63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링기어(280)의 안쪽에서 확장되면서 연장되어 상기 이(Teeth)들의 상부에 배치된다.
링(652)들 각각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환 형태로 형성되고, 서브브라켓(651)의 타단 양측 하부에 볼트 결합되며, 저면은 상기 이(Teeth)들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링(652)들 각각은 링기어(280)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흡수도가 높고, 링기어(280)와의 충돌에 의한 소음 발생량이 낮은 탄성 고분자 또는 천연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완충부재(650)는 차량의 흔들림에 의해 링기어(280) 및 상부판(200)이 상부를 향해 이동되고, 상부판(200)의 상부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상부판(200) 및 중간판(300) 사이의 유격에 의해 제1 베어링부(500)가 접철되거나 제자리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위블 장치 200: 상부판
300: 중간판 400: 하부판
500: 제1 베어링부 550: 제2 베어링부
600: 구동부

Claims (6)

  1. 중공부의 외측 하부에 리브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링기어가 결합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중공이 형성된 중간판;
    상기 중간판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중간판과 일부 교차된 상태로 상기 중공에서 상기 상부판과 결합되는 하부판;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 및 중간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리브플랜지가 삽입되는 리브홈이 형성되는 제1 베어링부;
    상기 중간판 및 하부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베어링부; 및
    상기 중간판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에 결합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링기어와 맞물리는 구동축을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은 상기 구동축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링기어의 일부와 교차되어 상기 링기어의 상부이동을 차단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일단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서브브라켓 및 상기 서브브라켓의 타단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링기어의 내측면에서 상기 관통홀을 향해 돌출된 이(Teeth)들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부에 면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구동축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완충부재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플랜지는,
    상기 상부판의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부는,
    볼 들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리테이너 및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리브홈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장치.

















KR1020210035100A 2021-03-18 2021-03-18 스위블 장치 KR102435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100A KR102435303B1 (ko) 2021-03-18 2021-03-18 스위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100A KR102435303B1 (ko) 2021-03-18 2021-03-18 스위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303B1 true KR102435303B1 (ko) 2022-08-24

Family

ID=8311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100A KR102435303B1 (ko) 2021-03-18 2021-03-18 스위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3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160U (ja) * 1993-03-10 1994-09-20 アラコ株式会社 車両用回転シート
KR101944078B1 (ko) * 2017-12-28 2019-02-01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스위블 락킹 장치
KR20190048405A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파워 스위블 장치
KR20200025321A (ko) *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 스위블 장치
KR20200078903A (ko) * 2018-12-24 2020-07-0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160U (ja) * 1993-03-10 1994-09-20 アラコ株式会社 車両用回転シート
KR20190048405A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파워 스위블 장치
KR101944078B1 (ko) * 2017-12-28 2019-02-01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스위블 락킹 장치
KR20200025321A (ko) *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 스위블 장치
KR20200078903A (ko) * 2018-12-24 2020-07-0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6344B2 (ja) シートアジャスタ用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デバイス
JP5903430B2 (ja) 車両内装部品用ヒンジアセンブリとその製造方法
US4969685A (en) Powdered rotating seat
KR102400927B1 (ko) 자동차 시트의 파워 스위블 장치
JP6809154B2 (ja) パワーシートモータ、及びパワーシートシステム
CN105905000B (zh) 一种座椅转盘及装有该座椅转盘的汽车座椅
WO2014077389A1 (ja) 操作レバー、シート装置及び操作部構造
KR102435303B1 (ko) 스위블 장치
CN111623085B (zh) 齿轮组件
CN114228586A (zh) 肘托组件以及中央扶手箱
JPH01218936A (ja)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CN110303964A (zh) 一种汽车顶棚扶手装置
KR20220023629A (ko) 스위블 장치
KR20220118166A (ko) 스위블 장치
JP3584992B2 (ja) ヒンジ構造
CN216046548U (zh) 升降旋转机构、显示装置及车辆
CN106005173B (zh) 采用双轮关联平衡系统的三轮车
CN110481430A (zh) 车辆用显示系统
CN212243055U (zh) 一种儿童安全座椅底座旋转结构
CN216805202U (zh) 一种安全座椅360度电动旋转机构
KR102444747B1 (ko) 시트 트랙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
US11772530B2 (en) Vehicle seat for mounting child seat
CN217945067U (zh) 一种显示屏安装结构及车辆
KR102446466B1 (ko)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KR100513749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자동 승하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