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08Y1 - 시트조절용 스위치 - Google Patents

시트조절용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08Y1
KR200400108Y1 KR20-2005-0017541U KR20050017541U KR200400108Y1 KR 200400108 Y1 KR200400108 Y1 KR 200400108Y1 KR 20050017541 U KR20050017541 U KR 20050017541U KR 200400108 Y1 KR200400108 Y1 KR 200400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seat
housing
switch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덕
Original Assignee
덕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7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6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원하는 시간만큼만 접점이 이루어지는 시트조절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시트조절용 스위치에 적용되어 시트의 이동폭을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보다 안락한 시트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시트조절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시트조절용 스위치는 차량의 시트조절용 스위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을 갖는 사각몸체의 내부에서 양측으로 구획된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면이 노출되고 종단(132)이 측면에 노출되도록 바닥면에 매설되는 다수의 접속편(130)을 형성한 하우징(110);과, 중앙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굴곡부(122)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공간부(112)에 삽입되는 회동편(120);과, 저부에 내입공(142)이 형성되고 상단에 돌출된 가동돌기(144)를 형성하며, 내입공(142)으로 삽입되는 탄성부재(150)와, 탄성부재(150)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지지되어 회동편의 굴곡부(122)에 접촉되는 볼체(160)를 형성한 가동편(140);및, 판면에 상기 가동돌기(144)가 안내되는 장공(172)을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캡(170)을 포함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시트조절용 스위치{Control switch for seat of vehicle}
본 고안은 원하는 시간만큼만 접점이 이루어지는 시트조절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시트조절용 스위치에 적용되어 시트의 이동폭을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보다 안락한 시트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시트조절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에 마련되는 시트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여 공간을 넓히거나 시트의 전후각도를 조절하여 보다 안락한 자세로 착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보편적으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의 신호를 인가받아 제어부재(2)에서 신호를 제어하여 모터(3)를 구동함으로써 모터(3)의 구동축에 장착된 기어(4)와 대응하여 시트(5)의 저면에 장착된 렉기어(6)를 이동시키므로써 시트(5)을 전후로 이동을 시키거나 전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시트의 조절에 있어서,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석을 이용한 자력에 따른 스위치편(7)의 접점에 의해 신호를 인가하여 시트의 이동을 조절하는 구조의 스위치를 채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상기와 같은 전자석을 이용한 스위치는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스위치편의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는 자력의 잔존으로 인해 전원을 차단하여도 스위치편의 접점이 원하는 시간 만큼 이루어지지 않고 보다 길게 접점이 이루어져 원활한 시트의 이동폭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가동부재의 상단이 무리한 접촉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원하는 시간만큼만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량의 시트조절용 스위치에 적용시 시트의 이동폭을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보다 안락한 시트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시트조절용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는 접속편에 중앙이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회동하는 회동편이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트조절용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는 회동편과 접속부의 접점부위가 스파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트조절용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는 하우징과 상부캡이 견고하고 간편하게 상호 체결되는 시트조절용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는 차량의 시트조절용 스위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을 갖는 사각몸체의 내부에서 양측으로 구획된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면이 노출되고 종단이 측면에 노출되도록 바닥면에 매설되는 다수의 접속편을 형성한 하우징;과, 중앙양측이 상측으로 돌출된 굴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회동편;과, 저부에 내입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돌출된 가동돌기를 형성하며, 내입공으로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지지되어 회동편의 굴곡부에 접촉되는 볼체를 형성한 가동편; 및, 판면에 상기 가동돌기가 안내되는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캡을 포함하는 시트조절용 스위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의 상기 접속편은 회동편의 중앙이 지지되도록 상단양측에 고정편을 형성한 회동축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편은 양측에 상기 고정편이 삽입되는 요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의 상기 접속편과 회동편은 접촉부위에 접촉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의 상기 하우징은 외측면에 경사편을 다수 돌출형성하고, 상기 상부캡은 경사편에 삽착되는 걸림편을 다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 3은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는 크게 하우징(110)과, 회동편(120)과, 가동편(140) 및 상부캡(17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을 갖는 사각몸체의 내부에 양측으로 구획된 두개의 공간부(112)를 형성하고, 외측면에 경사편(114)을 다수 돌출형성하며, 상면이 노출되고 종단(132)이 측면에 노출되도록 바닥면에 매설되는 다수의 접속편(130)을 형성한다. 이 접속편(130)은 회동편(120)의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통전되어 외부로 노출된 종단(132)으로 접속신호가 입출력되며, 다수의 접속편(130)중 회동편(120)이 고정되는 접속편(130)에는 상단양측에 고정편(134a)이 형성된 회동축(134)이 수직입설되고, 회동편(120)과의 접점부위에는 접촉부(136)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편(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공간부(112)에 삽입되어 접속편의 회동축상에서 양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안착되는 것으로 직사각형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판면의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굴곡부(122)를 형성하고, 중앙 양측으로 요홈(124)을 형성하며, 접속편(130)과의 접점부위에 접촉부(126)를 형성한다.
삭제
상기 가동편(140)은 사각판체의 저부에 내입공(142)이 형성되고 상면에 가동돌기(144)를 돌출형성하며, 내입공(142)으로 삽입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150)와, 탄성부재(150)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회동편(120)의 굴곡부(122)에 접촉되는 구형의 볼체(160)를 형성한다.
삭제
삭제
상기 상부캡(170)은 상기 하우징(110)의 공간부(112)로 회동편(120) 및 가동편(140)이 삽입된 상태에서 각 부재들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사각판체로 구성되며, 상면에 상기 가동편(140)의 가동돌기(144)가 관통/안내되는 장공(172)을 형성하고, 연부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경사편(114)이 삽착되는 다수의 걸림편(174)을 하방으로 연장 형성한다.
이하,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 5는 본 고안 스위치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스위치의 일부 절취 평면 예시도이며, 도 7a, 7b는 본 고안 스위치의 작용단면도이다.
먼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공간부(112) 저면에 형성된 접속편(130)중 회동축(134)을 형성한 접속편(130)에 회동편(120)의 중앙이 지지되어 공간부(112) 내에서 양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삽입되고, 가동편(140)의 저면의 내입공(142)으로 탄성부재(150)가 삽입되고 탄성부재(150)에 의해 하방으로 탄지되는 볼체(160)를 형성한 가동편(140)이 회동편(120)의 상측으로 배치되어 가동편(140)의 볼체(160)가 회동편(120)의 굴곡부(122) 상부면에 접촉되어 회동편(120)을 가압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상측으로는 가동편(1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장공(172)이 형성된 상부캡(170)이 조립되어 회동편(120)과 가동편(14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우징(110)의 상부 개구측을 밀폐시키며,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편(114)에 상부캡(170)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편(174)이 삽착되면서 하우징(110)의 상부에 상부캡(170)이 고정된다.여기서, 상기 회동편(120)의 일측 선단과 이 회동편(120)의 선단이 접촉되는 접속편(130)에 각각 형성된 접촉부(126,136)에 의해 금속부재간의 접촉시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해 훼손되는 것이 방지된다.한편, 가동편(140)에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하우징(110)의 양측 공간부(112)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설치된 회동편(120)의 굴곡부(122)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볼체(160)가 서로 반대방향의 경사면에 접촉되므로 균형을 이루어 양측 회동편(120) 양단이 접속편(130)에 접촉되지 않는 무접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동편(140)의 가동돌기(144)를 이동시키는 경우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편(120)은 접속편(130)의 회동축(134) 상단양측에 형성된 고정편(134a) 사이에 회동축(134)의 중앙양측 요홈(124)이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하므로 이탈이 방지되며, 가동편(미도시)의 하부에서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지지되는 볼체(160)가 회동편(120)의 굴곡부(122)사이를 탄압하면서 슬라이딩하여 한쌍의 회동편(120)을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회동시킨다.이때, 이동방향측의 회동편(120) 선단 접속부(126)가 접속편(130)의 접속부(136)에 접촉되어 접속신호를 발생시키면 대향측의 다른 회동편(120)은 후단부가 접속편(130)에 접속되면서 접지되며, 이러한 접속신호와 접지신호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접속편(130)의 종단(132)으로 입출력된다.
이러한 작용을 살펴보면, 도 5와 같이 한쌍의 회동편(120)이 무접점상태로 균형을 이루는 상태로부터 도 7a와 같이 사용자가 가동편(140)의 가동돌기(144)를 화살표방향으로 가압하면 가동편(140)이 상부캡(170)의 장공(172)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가동편(140)의 내입공(142)에 삽입된 탄성부재(150)에 의해 가동편(140)으로부터 하방으로 탄성지지되는 볼체(160)가 회동편(120)의 굴곡부(122) 사이를 가압하는 힘이 회동축(134)에 의해 중앙이 지지된 회동편(120)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서 회동편(120)이 가동편(140)의 이동방향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이에따라 회동편(120)의 중앙이 지지된 접속편(130)과 회동편(120)이 접촉된 접속부가 통전되면서 접속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이때, 회동편(120)의 선단에 형성된 접촉부(126)가 접속편(130)의 접촉부(136)에 접촉되면서 통전되므로 회동편(120)과 접속편(130)간의 접촉시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해 훼손되거나 들러붙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도 7b와 같이 사용자가 가동편(140)의 가동돌기(144)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가동편(140)이 상부캡(170)의 장공(172)을 따라 이동하며, 가동편(140)의 내입공(142)에 삽입된 탄성부재(150)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지지되는 볼체(160)가 회동편(120)의 굴곡부(122) 사이공간을 가압하는 힘이 회동편(120)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나면서 회동편(120)이 이동방향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회동축(134)에 의해 접속편(130)에 중앙이 접속된 회동편(120)과 회동편(120)의 후단측이 접속된 접속편(130)이 서로 접촉되어 접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용은 하우징(110)의 양측 공간부(112)내에서 반대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회동편(120)에 의해 어느 하나의 회동편(120)이 접속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대향측의 회동편(120)은 접지되며, 반대방향으로 설치된 회동편(120)의 굴곡부(122) 사이공간을 탄압하고 있는 한쌍의 볼체(160)에 의해 사용자가 가동편(140)을 가압하지 않는 경우 서로 균형을 이루면서 무접점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의 스위치가 차량용 시트조절스위치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경우 가동편을 가압하는 경우에만 접점/접지신호를 발생시키고, 가압력을 해제하는 경우 무접점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시트를 조절하는 구동모터의 회전량을 원하는 만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는 원하는 시간만큼만 접점이 이루어지는 시트조절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시트조절용 스위치에 적용되어 시트의 이동폭을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보다 안락한 시트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속편에 중앙이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회동하는 회동편에 요홈을 형성하고 이 요홈에 접속편의 회전축 상단 양측에 형성된 고정편이 삽입되게 함으로써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는 회동편과 접속부의 접점부위에 접촉부를 형성하여 스파크에 의해 접촉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는 하우징과 상부캡에 상호체결되는 경사편과 걸림편을 다수 형성하여 각 부재가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시트의 구조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시트 스위치를 보인 일부 절취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의 일부 절취 평면 예시도,
도 7a, 7b는 본 고안 시트조절용 스위치의 작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하우징 112:공간부 114:경사편 120:회동편
122:굴곡부 124:요홈 126:접촉부 130:접속편
132:종단 134:회동축 134a:고정편 136:접촉부
140:가동편 142:내입공 144:가동돌기 150:탄성부재
160:볼체 170:상부캡 172:장공 174:걸림편

Claims (4)

  1. 차량의 시트조절용 스위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을 갖는 사각몸체의 내부에서 양측으로 구획된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면이 노출되고 종단(132)이 측면에 노출되도록 바닥면에 매설되는 다수의 접속편(130)을 형성한 하우징(110);
    중앙양측이 상측으로 돌출된 굴곡부(122)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공간부(112)에 삽입되는 회동편(120);
    저부에 내입공(142)이 형성되고 상단에 가동돌기(144)를 돌출형성하며, 내입공(142)으로 삽입되는 탄성부재(150)와, 탄성부재(150)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지지되어 회동편(120)의 굴곡부(122)에 접촉되는 볼체(160)를 형성한 가동편(140); 및,
    판면에 상기 가동돌기(144)가 안내되는 장공(172)을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캡(170)을 포함하는 시트조절용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편(130)은 회동편(120)의 중앙이 지지되도록 상단양측에 고정편(134a)을 형성한 회동축(134)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편(120)은 양측에 상기 고정편(134a)이 삽입되는 요홈(12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용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편(130)과 회동편(120)은 접점부위에 접촉부(126,136)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용 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외측면에 경사편(114)을 다수 돌출형성하고, 상기 상부캡(170)은 경사편(114)에 삽착되는 걸림편(174)을 다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용 스위치.
KR20-2005-0017541U 2005-06-17 2005-06-17 시트조절용 스위치 KR200400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541U KR200400108Y1 (ko) 2005-06-17 2005-06-17 시트조절용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541U KR200400108Y1 (ko) 2005-06-17 2005-06-17 시트조절용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8Y1 true KR200400108Y1 (ko) 2005-11-02

Family

ID=4370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541U KR200400108Y1 (ko) 2005-06-17 2005-06-17 시트조절용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478B1 (ko) 2008-08-21 2009-11-19 덕일산업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위치의 자동화 조립기 및 그 방법
KR102120486B1 (ko) 2019-11-12 2020-06-16 덕일산업 주식회사 클래드 타입 마이크로 스위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478B1 (ko) 2008-08-21 2009-11-19 덕일산업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위치의 자동화 조립기 및 그 방법
KR102120486B1 (ko) 2019-11-12 2020-06-16 덕일산업 주식회사 클래드 타입 마이크로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1642B2 (en) Switch assembly for an automotive power window
KR200400108Y1 (ko) 시트조절용 스위치
JP3673339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496161Y1 (ko) 차량용 에어벤트 노브
KR100361785B1 (ko) 스위치 장치
US6333475B1 (en) Lever switch, compound switch having the lever switch, and vehicle using the lever switch
US5642806A (en) Rocker actuated switch assembly
KR100324787B1 (ko) 푸시스위치장치
JP2001084873A (ja) スイッチ装置
JPS581495B2 (ja) デンジカイヘイキ
KR200324057Y1 (ko) 시트 스위치
JPH11317132A (ja) 安全スイッチ用駆動子
KR100888366B1 (ko) 차량용 시트스위치
JP3647117B2 (ja) 引戸用ストッパー
CN113178361B (zh) 双静触头继电器
JPH0321630Y2 (ko)
KR200496162Y1 (ko) 차량용 에어벤트 노브
CN214542074U (zh) 动触头组件
JP2502685Y2 (ja) スイッチ装置
TWI726751B (zh) 扳機開關
JP2009259483A (ja) スイッチ装置
JPH0528436Y2 (ko)
JP2542376Y2 (ja) スイッチ装置
JP2731408B2 (ja) シーソスイッチ
JPH0737220Y2 (ja) 操作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