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785B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785B1
KR100361785B1 KR1020000048481A KR20000048481A KR100361785B1 KR 100361785 B1 KR100361785 B1 KR 100361785B1 KR 1020000048481 A KR1020000048481 A KR 1020000048481A KR 20000048481 A KR20000048481 A KR 20000048481A KR 100361785 B1 KR100361785 B1 KR 100361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ovable member
operation panel
plat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835A (ko
Inventor
이시바시이꾸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10039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판의 조작에 기초하여 1개의 스위치 수단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구성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조작판의 조작 가능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작판(28)을 압박 또는 당김 조작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가동 부재(37, 42)가 회전되고, 이 중 제1 가동 부재(37)의 스위치 조작부(40)에 의해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조작자(27a)에 대한 압박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조작자(27a)가 돌출하고, 누름 버튼 스위치(27)는 온 상태로 된다. 이 경우, 누름 버튼 스위치를 조작판으로 직접 조작하는 것과는 달리,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조작에는 조작판(29)을 조작하는 위치는 직접 관계가 없다. 따라서, 조작판(29)의 조작 가능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DEVICE}
본 발명은 비교적 넓은 조작면을 갖는 조작판의 조작에 기초하여 1개의 스위치 수단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스위치 장치의 종래의 일예를 도10 및 도11에 도시한다. 조작판(1)은 도면중 상면이 조작면(1a)으로 된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베이스(2)에 대하여 스프링(3)을 거쳐서 압박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2)에는 조작판(1)의 이면의 대략 중앙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시켜 1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판(1)의 비조작 상태에서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버튼 스위치(4)의 조작자(4a)는 압박되어 있지는 않고, 누름 버튼 스위치(4)는 예를 들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판(1)을 압박 조작하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판(1)의 이면으로 조작자(4a)가 압박되고, 이에 의거하여 누름 버튼 스위치(4)는 온 상태로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구성의 것에서는 조작판(1)의 이면으로 누름 버튼 스위치(4)의 조작자(4a)를 직접 압박 조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조작판(1)의 중심부를 압박 조작한 경우와,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단부를 압박 조작한 경우에서는 조작자(4a)를 압박 조작하는 스트로크가 크게 달라지게 된다. 이로 인해, 조작판(1)의 단부를 압박 조작하는 경우에는 누름 버튼 스위치(4)의 동작이 불확실해지기 쉬운 것이며, 조작판(1)의 조작 가능 범위가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작판의 조작에 기초하여 1개의 스위치 수단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구성의 것에 있어서, 조작판의 조작 가능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2는 보조 베이스와 조작판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조작판과, 제1 및 제2 가동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4는 조작판의 일단부를 압박 조작한 상태의 종단 측면도.
도5는 조작판의 중앙부를 압박 조작한 상태의 도4 상당도.
도6은 조작판을 당김 조작했을 때의 도중 상태의 도4 상당도.
도7은 조작판을 완전히 잡아당긴 상태의 도4 상당도.
도8은 조작 패널, 및 스위치 장치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9는 냉장고의 상부 부분의 사시도.
도10은 종래예를 도시한 도1 상당도.
도11은 조작판의 일단부를 압박 조작한 상태의 종단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냉장고
14 : 도어
17 : 솔레노이드
20 : 조작 패널
21 : 스위치 장치
23 : 유닛 베이스(베이스)
27 : 누름 버튼 스위치(스위치 수단)
27a : 조작자
29 : 조작판
30 : 손잡이부
37 : 제1 가동 부재
38 : 축
40 : 스위치 조작부
41 : 받침부
42 : 제2 가동 부재
43 : 축(조작판 축)
44 : 제어부
46 : 비틀림 코일 스프링
47 : 조작판 축
48 : 보조 베이스(베이스)
52 : 제1 조작부
53 : 제2 조작부
54, 55 : 스톱퍼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베이스에 대하여 근접하는 압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판과, 이 조작판의 이면측에 위치시켜 축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위치 조작부를 갖는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조작판의 이면측에 위치시켜 상기 제1 가동 부재의 축으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그 축과 평행한 축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가동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제2 가동 부재와, 상기 조작판의 이면측에 위치시켜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 조작부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는 1개의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판을 압박 조작하는 데에 기인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동 부재의 회전을 수반하여 상기 스위치 조작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 수단의 상태가 변화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것에서는 조작판을 압박 조작하는 데에 기인하여 제1 및 제2 가동 부재가 회전되고, 이 중 제1 가동 부재의 스위치 조작부에 의해 스위치 수단의 상태가 변화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스위치 수단을 조작판으로 직접 조작하는 것과는 달리, 스위치 수단의 조작에는 조작판을 조작하는 위치는 직접 관계가 없다. 따라서, 조작판의 조작에 기초하여 1개의 스위치 수단의 상태를 변화시키는구성의 것에 있어서, 조작판의 조작 가능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판은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도 가능하게 하고, 이 조작판을 당김 조작했을 때도 제1 및 제2 가동 부재의 회전을 수반하여 스위치 조작부에 의해 스위치 수단의 상태가 변화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2의 발명).
제1 가동 부재의 축으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조작판의 조작에 기초하여 제1 가동 부재를 회전 조작시키는 제1 조작부를 배치하는 동시에, 제2 가동 부재의 축으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조작판의 조작에 기초하여 제2 가동 부재를 회전 조작시키는 제2 조작부를 배치하고, 이들 제1 및 제2 조작부는 각각 조작판의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3의 발명). 이에 따르면, 조작판의 폭방향의 단부를 조작한 경우라도, 제1 및 제2 가동 부재를 확실하게 회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더 나아가서는 스위치 수단의 상태를 확실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판의 비조작 상태에서,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제1 조작부 사이, 및 제2 가동 부재와 제2 조작부 사이는 각각 이격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4의 발명).
스위치 수단은 압박 조작되는 조작자를 갖는 누름 버튼 스위치로 하고, 조작판의 비조작 상태에서, 그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자가 스위치 조작부에 의해 압박 조작된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5의 발명). 이에 따르면, 조작판을 조작한 경우에는 스위치 조작부가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자에 대한 압박을 해제하게 된다. 이로 인해, 조작판의 조작시에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자에 그 조작의 충격이나 강한 조작력이 직접 작용하지 않는다.
조작판에는 이것의 회전 지지점이 되는 조작판 축을 제1 및 제2 가동 부재의 각 축과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6의 발명). 또한, 조작판에는 일단부에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조작판 축을 복수 설치하고, 조작판의 당김 조작 도중에, 유효한 조작판 축이 상기 손잡이부에 대하여 먼 쪽의 것으로부터 가까운 쪽의 것으로 옮겨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7의 발명).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1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9에는 냉장고(11)의 상부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이 냉장고(11)에 있어서의 냉장고 본체(12)의 상부에는 저장실로서의 냉장실(1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전방면에는 해당 냉장실(13)의 전방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4)가 일단부의 힌지(15)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어(14)의 내면측의 주위 모서리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마그네트를 지닌 가스켓(16)이 설치되어 있고, 도어(14)의 폐쇄 상태에서 그 가스켓(16)이 냉장실(13)의 전방면 개구부의 주위 모서리부에 흡착되게 되어 있다.
냉장고 본체(12)의 상면부에 있어서, 상기 힌지(15)와는 반대측(도9에 있어서 좌측)의 단부측 부위에는 상기 도어(14)를 개방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로서 솔레노이드식의 도어 개방용 유닛(1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 개방용 유닛(17)은 통전 상태에서 압박용의 압출봉(18)이 전방을 향해 돌출하고, 그 압출봉(18)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도어(14)에 설치된 피압박부(19)가 압박됨으로써 도어(14)가 개방되게 되어 있다.
도어(14)의 전방면의 좌측에는 조작 패널(20)과, 도어(14)의 핸들 장치를 겸하는 스위치 장치(21)가 유닛화된 상태로 상하에 설치되어 있다. 도어(14)의 전방면에 있어서, 조작 패널(20) 및 스위치 장치(21)를 설치하는 부분에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부(22)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부착부(22)에 유닛 베이스(23)가 부착되어 있다. 이 유닛 베이스(23)에는 프린트 기판(24)이 부착되어 있다. 이 프린트 기판(24)에 있어서, 조작 패널(20)에 대응하는 상부 부분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복수개의 스위치와 발광 다이오드 등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스위치 장치(21)에 대응하는 하부 부분에는 스위치 수단을 구성하는 1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27) 등이 배치되어 있다.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조작자(27a)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편의되어 있다. 유닛 베이스(23)에 있어서, 하부(도8에 있어서 우측 부분)의 좌우 양측에는 축 안내부(28)가 대향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각 축 안내부(28)의 전방부(도8의 상부)에는 차양 형태의 규제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스위치 장치(21)의 조작부에 관계하는 부분에 대하여 주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위치 장치(21)의 조작판(29)은 상기 부착부(22)의 하부를 전방으로부터 피복하는 듯한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하부에 손잡이부(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판(29)의 이면측의 상부(도2 및 도3에 있어서 우측 부분)에는 좌우 한 쌍의 축 지지부(31)와 좌우 한 쌍의 결합부(32)가 형성되고,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역 L자형을 이루는 좌우 한 쌍의 걸림 고정부(33)가 형성되고, 이 걸림 고정부(33)의 하방에는 좌우 한 쌍의 축 지지부(34)가 형성되고, 이 축 지지부(34)의 하방에도 좌우 한 쌍의 축 지지부(35)가 형성되며, 또한 좌우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리브(3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측의 한 쌍의 축 지지부(31)에는 제1 가동 부재(37)의 일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축(38)이 삽입되어 있고, 제1 가동 부재(37)는 그 축(38)을 거쳐서 조작판(29)의 이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제1 가동 부재(37)에는 상하 방향 중앙부의 좌우 양측에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가 형성되고, 또한 축(38)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평탄한 스위치 조작부(40)가 형성되며, 이 스위치 조작부(40)의 한 쪽 측부에 L자형의 받침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부측의 한 쌍의 축 지지부(34)에는 제2 가동 부재(42)의 일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축(43)(한 쪽만 도시)이 삽입되어 있고, 제2 가동 부재(42)는 그 축(43)을 거쳐서 조작판(29)의 이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축(43)은 조작판 축을 겸하고 있다. 이 제2 가동 부재(42)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41)에 대응하는 부위에 제1 가동 부재(37)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제어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어부(44)가 받침부(41)에 걸려 있다. 또한, 제2 가동 부재(42)의 좌우 양측에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5)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양 돌출부(45)가 상기 걸림 고정부(33)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가동 부재(42)에는 편의 수단을 구성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46)이 부착되어 있다.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46)은 일단부(46a)가 해당 제2 가동 부재(42)에 걸리고, 타단부(46b)가 조작판(29)의 이면에 접촉하고 있으며, 제2 가동 부재(42)를 도1 및 도2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 편의하고 있다. 상기한 하부측의 축 지지부(35)에는 조작판 축(47)이 삽입 관통 지지되어 있다.
조작판(29)의 이면측에는 보조 베이스(48)가 배치되어 있다. 이 보조 베이스(48)와 상기 유닛 베이스(23)는 스위치 장치(21)의 베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보조 베이스(48)에는 상부의 좌우 양측에 조작판(29)의 상기 결합부(32)에 전방부로부터(도1에서는 상부) 결합하는 피결합부(49)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2 가동 부재(42)의 한 쌍의 축(43)에 대응하는 부위에 이들 축(43)에 전방부로부터(도1에서는 상부) 결합하는 축 안내부(50)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 베이스(48)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조작판(29)의 이면측에 부착되어 있다. 이 축 안내부(50)의 단부에도 차양 형태의 규제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조 베이스(48)는 복수의 결합 갈고리(51)를 유닛 베이스(23)에 결합시킴으로써 해당 유닛 베이스(23)에 빠짐 방지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보조 베이스(48)에는 피결합부(49)의 근처에 위치시켜 상기 제1 가동 부재(37)의 돌출부(39)에 후방부로부터(도1에서는 하부) 접촉 가능한 제1 조작부(52)가 폭방향의 좌우 양측에 위치시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2 가동 부재(42)의 돌출부(45)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시켜 그 돌출부(45)에 후방부로부터(도1에서는 하부) 접촉 가능한 제2 조작부(53)가 폭방향의 좌우 양측에 위치시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보조 베이스(48)에는 하부[손잡이부(30)측] 및 좌우 양측부에 조작판(29)의 압박 방향으로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부(54 및 55)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판(29)의 상부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부의 내면에 스톱퍼부(55)에 접촉 가능한 볼록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베이스(48)를 유닛 베이스(23)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판 축(47)의 양단부가 상기 축 안내부(28)에 전후 방향(도1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어(14)의 폐쇄 상태이면서 또한 조작판(29)을 조작하고 있지 않은 비조작 상태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동 부재(42)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46)의 편의력에 의해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 편의되어 있고, 그 제2 가동 부재(42)의 제어부(44)에 의해 제1 가동 부재(37)의 받침부(41)가 후방(도1에서는 하방)으로 압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동 부재(37)는 도1 중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 편의되어 있고, 스위치 조작부(40)에 의해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조작자(27a)를 압박하고 있다. 이 경우, 누름 버튼 스위치(27)는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조작부(52)와 제1 가동 부재(37)의 돌출부(39) 사이, 및 제2 조작부(53)와 제2 가동 부재(42)의 돌출부(45) 사이는 이격되어 있다. 또한, 제2 가동 부재(42)의 축(43)은 축 안내부(50)의 규제부(50a)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조작판 축(47)의 양단부와 축 안내부(28)의 규제부(28a) 사이는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판(29)은 보조 베이스(48)의 스톱퍼부(54, 5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한 도1의 상태에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판(29)의 하부(도4에서는 우측 단부)가 화살표(C) 방향으로 압박 조작된 경우에는, 조작판(29)은 결합부(32)와 피결합부(49)의 결합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동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되고, 스톱퍼부(54)에 접촉함으로써 그 이상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 조작판(29)의 화살표(C)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2 가동 부재(42)의 돌출부(45)가 제2 조작부(53)에 접촉하고, 제2 가동 부재(42)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46)의 편의력에 대항하여 축(43)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A)와는 반대의 화살표(D)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제어부(44)가 제1 가동 부재(37)의 받침부(41)로부터 이격되고, 제1 가동 부재(37)는 자유 상태로 된다. 그 결과,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조작자(27a) 자신이 돌출하는 돌출력에 의해 스위치 조작부(40)가 밀어올려지고, 제1 가동 부재(37)는 화살표(B)와는 반대의 화살표(E) 방향으로 회전되며, 또한 누름 버튼 스위치(27)는 온 상태로 절환된다.
누름 버튼 스위치(27)가 온 상태로 되면, 도어 개방용 유닛(17)이 통전되고, 그 압출봉(18)이 전방으로 돌출함으로써 도어(14)의 좌측 단부가 압박되며, 이에 따라 가스켓(16)의 흡착력에 대항하여 도어(14)가 개방 방향을 향해서 회전되어 해당 도어(14)가 개방된다.
또한, 도1의 상태로부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판(29)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도5에서는 좌우 방향의 중앙부)가 화살표(C) 방향으로 압박 조작된 경우에는, 조작판(29)은 전체가 보조 베이스(48)측으로 평행 이동하고, 스톱퍼부(54, 55)에 접촉함으로써 그 이상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조작판(29)이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가동 부재(37)는 돌출부(39)가 제1 조작부(52)에 접촉하고, 축(38)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E) 방향으로 회전되며, 또한 제2 가동 부재(42)는 돌출부(45)가 제2 조작부(53)에 접촉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46)의 편의력에 대항하여 축(43)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D)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 때, 제1 가동 부재(37)가 화살표(E)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조작자(27a)가 돌출하고, 누름 버튼 스위치(27)는 온 상태로 절환된다.
한편, 도1의 상태로부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판(29)의 하부의 손잡이부(30)에 손가락을 걸어 조작판(29)이 화살표(F) 방향으로 당김 조작된 경우에는, 우선 조작판 축을 겸하는 축(43)이 축 안내부(50)의 규제부(50a)에 접촉하고, 조작판(29)은 그 축(43)을 중심으로 하여 동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판 축(47)이 축 안내부(28)의 규제부(28a)에 접촉하게 되면, 조작판(29)은 그 조작판 축(47)을 중심으로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조작판(29)의 상부의 볼록부(56)가 상부측의 스톱퍼부(54)에 접촉함으로써 그 이상의 회전이 규제되게 된다.
여기서, 이와 같이 조작판(29)을 당김 조작한 경우에는 조작판(29)의 회전 지지점이 되는 축은 조작판 축을 겸하는 축(43)과 조작판 축(47)의 두 군데에 있으며, 조작판(29)의 당김 조작 도중에, 유효한 조작판 축이 손잡이부(30)에 대하여 먼 쪽의 축(43)으로부터 가까운 쪽의 조작판 축(47)으로 옮겨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 조작판(29)의 화살표(F)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서 제1 가동부재(37)의 돌출부(39)가 제1 조작부(52)에 접촉하여 해당 제1 가동 부재(37)가 화살표(E)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수반하여 누름 버튼 스위치(27)는 온 상태로 절환된다.
또, 조작판(29)의 상부측(도1에서 좌측 단부측)을 압박 조작한 경우도, 상기 당김 조작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조작판(29)을 압박 조작하는 데에 기인하여 제1 및 제2 가동 부재(37 및 42)가 회전되고, 이 중 제1 가동 부재(37)의 스위치 조작부(40)에 의해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상태가 변화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자를 조작판으로 직접 조작하는 것과는 달리,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조작에는 조작판(29)을 조작하는 위치는 직접 관계가 없다. 따라서, 조작판(29)의 조작에 기초하여 1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구성의 것에 있어서, 조작판(29)의 조작 가능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판(29)을 당김 조작했을 때도, 제1 및 제2 가동 부재(37 및 42)의 회전을 수반하여 스위치 조작부(40)에 의해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상태가 변화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조작판(29)을 당김 조작한 손의 위치나 동작을 변화시키지 않고 도어(14)를 개방 동작시킬 수 있으며, 조작성을 한층 더 좋게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동 부재(37 및 42)를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 조작부(52 및 53)를 각각 조작판(29)의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으므로, 조작판(29)의 폭방향의 단부를 조작한 경우라도, 제1 및 제2 가동 부재(37 및 42)를 확실하게 회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더 나아가서는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상태를 확실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판(29)의 비조작 상태에서, 제1 가동 부재(37)와 제1 조작부(52) 사이 및 제2 가동 부재(42)와 제2 조작부(53) 사이는 각각 이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부품의 치수가 설계 치수에 대하여 약간 편차가 있었던 경우라도, 조작판(29)의 비조작 상태에서 제1 조작부(52)가 제1 가동 부재(37)를 뛰어 오른다거나, 제2 조작부(53)가 제2 가동 부재(42)를 뛰어 오른다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조작부(40)와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조작자(27a)의 위치 관계를 최대한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스위치 수단으로서 누름 버튼 스위치(27)를 이용하고, 조작판(29)의 비조작 상태에서 그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조작자(27a)가 제1 가동 부재(37)의 스위치 조작부(40)에 의해 압박 조작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조작판(29)을 조작한 경우에는 스위치 조작부(40)가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조작자(27a)에 대한 압박을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작판(29)의 조작시에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조작자(27a)에 그 조작의 충격이나 강한 조작력이 직접 작용하지 않는다. 또, 조작판(29)에 대한 조작을 해제한 경우에, 스위치 조작부(40)가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조작자(27a)를 압박하게 되는데, 이 경우의 조작력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46)의 스프링력이므로, 그 조작자(27a)를 압박할 때의 충격이나 응력의 편차는 작다.
이를테면, 조작판을 조작한 경우에,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자를 조작판으로 직접 압박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그 누름 버튼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이 조작하는 인간에게 의존한다. 인간의 조작 강도나 속도에는 편차가 있고, 이로 인해 그 누름 버튼 스위치에 강한 충격이나 응력이 작용하여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다. 이 점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누름 버튼 스위치(27)의 조작자(27a)에 대한 조작력의 편차가 적어, 누름 버튼 스위치(27)에 강한 충격이나 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조작판(29)에는 이것의 회전 지지점이 되는 축은 조작판 축을 겸하는 축(43)과 조작판 축(47)의 두 군데에 있으며, 조작판(29)의 당김 조작 도중에, 유효한 조작판 축이 손잡이부(30)에 대하여 먼 쪽의 축(43)으로부터 가까운 쪽의 조작판 축(47)으로 옮겨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작판(29)의 당김 초기는 조작판(29)의 회전 지지점은 축(43)이고, 그 축(43)과 조작판(29)을 당김 조작하는 손잡이부(30)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크며, 조작판(29)을 회전시키는 모멘트를 부여하기 위한 조작력으로서는 비교적 작아도 좋다. 반대로, 조작판(29)을 완전히 잡아당긴 경우에는 조작판(29)의 회전 지지점은 조작판 축(47)이고, 그 조작판 축(47)과 손잡이부(30)의 거리는 작아진다. 이로 인해, 손잡이부(30)를 잡아당기는 힘을 동일하게 한 경우에는 축(43)을 마지막까지 회전 지지점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조작판 축(47) 및 이를 받치는 축 안내부(50)의 규제부(50a)에 작용하는 힘은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이 변형 또는확장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부(52 및 53)는 각각 좌우로 구분하여 배치하는 것 대신에, 이들 사이를 연결시키도록 해도 좋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46) 대신에,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스위치 수단은 누름 버튼 스위치(27)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자동 단속기(auto interrupter)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보조 베이스(48)와 유닛 베이스(23)를 일체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조작면을 넓게 한 조작판을 갖는 스위치 장치이면, 도어(14)에 설치되는 스위치 장치(21) 이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조작판을 압박 조작하는 데에 기인하여 제1 및 제2 가동 부재가 회전되고, 이 중 제1 가동 부재의 스위치 조작부에 의해 스위치 수단의 상태가 변화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조작판의 조작 가능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조작판을 당김 조작했을 때도, 제1 및 제2 가동 부재의 회전을 수반하여 스위치 조작부에 의해 스위치의 상태가 변화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조작성을 한층 더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가동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조작부를 각각 조작판의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으므로, 조작판의 폭방향의 단부를 조작한 경우라도, 제1 및 제2 가동 부재를 확실하게 회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더 나아가서는 스위치 수단의 상태를 확실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조작판의 비조작 상태에서, 제1 가동 부재와 제1 조작부 사이 및 제2 가동 부재와 제2 조작부 사이는 각각 이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부품의 치수가 설계 치수에 대하여 약간 편차가 있었던 경우라도, 조작판의 비조작 상태에서, 제1 조작부가 제1 가동 부재를 회전시키거나 제2 조작부가 제2 가동 부재를 회전시키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조작부와 스위치 수단의 위치 관계를 최대한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 수단으로서 누름 버튼 스위치를 이용하고, 조작판의 비조작 상태에서, 그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자가 제1 가동 부재의 스위치 조작부에 의해 압박 조작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조작판을 조작한 경우에는 스위치 조작부가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자에 대한 압박을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작판의 조작시에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자에 그 조작의 충격이나 강한 조작력이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조작판에는 이것의 회전 지지점이 되는 조작판 축이 복수 있으며, 조작판의 당김 조작 도중에, 유효한 조작판 축이 손잡이부에 대하여 먼 쪽의 것으로부터 가까운 쪽의 것으로 옮겨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조작판의 당김 초기는 유효한 조작판 축과 손잡이부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크고, 조작판을 회전시키는 모멘트를 부여하기 위한 조작력으로서는 비교적 작아도 좋다. 반대로, 조작판을 완전히 잡아당긴 경우에는 유효한 조작판 축이 손잡이부에 근접해져서 그 조작판 축과 손잡이부의 거리는 작아지므로, 조작판 축 및 이를 받치는 베어링부에 작용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베이스에 대하여 근접하는 압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판과,
    이 조작판의 이면측에 위치시켜 축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위치 조작부를 갖는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조작판의 이면측에 위치시켜 상기 제1 가동 부재의 축으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그 축과 평행한 축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가동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제2 가동 부재와,
    상기 조작판의 이면측에 위치시켜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 조작부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는 1개의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판을 압박 조작하는 데에 기인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동 부재의 회전을 수반하여 상기 스위치 조작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 수단의 상태가 변화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조작판은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도 가능하고, 이 조작판을 당김 조작했을 때도 제1 및 제2 가동 부재의 회전을 수반하여 스위치 조작부에 의해 스위치 수단의 상태가 변화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가동 부재의 축으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조작판의 조작에 의거하여 제1 가동 부재를 회전 조작시키는 제1 조작부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2 가동 부재의 축으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조작판의 조작에 의거하여 제2 가동 부재를 회전 조작시키는 제2 조작부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제1 및 제2 조작부는 각각 조작판의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가동 부재의 축으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조작판의 조작에 기초하여 제1 가동 부재를 회전 조작시키는 제1 조작부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2 가동 부재의 축으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조작판의 조작에 기초하여 제2 가동 부재를 회전 조작시키는 제2 조작부가 배치되어 있고, 조작판의 비조작 상태에서, 이들 제1 가동 부재와 제1 조작부 사이 및 제2 가동 부재와 제2 조작부 사이는 각각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위치 수단은 압박 조작되는 조작자를 갖는 누름 버튼 스위치이고, 조작판의 비조작 상태에서,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자가 스위치 조작부에 의해 압박 조작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조작판에는 이것의 회전 지지점이 되는 조작판 축이 제1 및제2 가동 부재의 각 축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조작판에는 일단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조작판 축이 복수 설치되어 있고, 조작판의 당김 조작 도중에, 유효한 조작판 축이 상기 손잡이부에 대하여 먼 쪽의 것으로부터 가까운 쪽의 것으로 옮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000048481A 1999-08-23 2000-08-22 스위치 장치 KR100361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541799A JP3655135B2 (ja) 1999-08-23 1999-08-23 スイッチ装置
JP99-235417 1999-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835A KR20010039835A (ko) 2001-05-15
KR100361785B1 true KR100361785B1 (ko) 2002-11-23

Family

ID=1698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481A KR100361785B1 (ko) 1999-08-23 2000-08-22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76786B1 (ko)
EP (1) EP1079402B1 (ko)
JP (1) JP3655135B2 (ko)
KR (1) KR100361785B1 (ko)
CN (1) CN1133185C (ko)
DE (1) DE60031814T2 (ko)
TW (1) TW4482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0579B2 (en) * 2005-09-21 2007-07-31 Micro Pneumatic Logic, Inc. Large actuation area switching device
US7446273B2 (en) * 2007-01-03 2008-11-04 Jokab Safety North America, Inc Safety lockout system for interrupting unintentional flow of electrical current controlled by a safety switch
US7921729B2 (en) * 2008-03-10 2011-04-12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Disconnect sensor
US8516898B2 (en) * 2010-03-24 2013-08-27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Aircraft slat disconnect sensor
JP5492013B2 (ja) * 2010-08-18 2014-05-14 株式会社東芝 スイッチ装置
WO2012068296A2 (en) * 2010-11-17 2012-05-24 Colin Johnstone Seismic actuator
BR112015000988A2 (pt) 2012-07-17 2017-06-27 Straitmark Holding Ag método para a síntese de ácido n-fosfonometiliminodiacético ou derivados do mesmo
IN2015DN01081A (ko) 2012-07-17 2015-06-26 Straitmark Holding Ag
PL2875037T3 (pl) 2012-07-17 2017-06-30 Straitmark Holding Ag Sposób syntezy N-(fosfonometylo)glicyny
DE102013103451B4 (de) * 2012-11-13 2016-07-28 Stego-Holding Gmbh Türkontaktschalter, insbesondere für Schaltschränke
US9890991B2 (en) * 2013-03-14 2018-02-13 Whirlpool Corporation Domestic appliance including piezoelectric components
JP6872846B2 (ja) * 2015-07-29 2021-05-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3053A (en) * 1971-10-18 1973-01-23 Deltrol Corp Reset timer
US3796452A (en) * 1972-05-22 1974-03-12 Von Duprin Inc Switch assembly for electric strike
US3967077A (en) * 1974-08-02 1976-06-29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Appliance timer switch assembly
US4663505A (en) * 1986-05-22 1987-05-05 Litton Systems, Inc. Interlock switch base plate assembly
US4745250A (en) * 1987-04-27 1988-05-17 Litton Systems, Inc. Interlock switch baseplate assembly
DE3837459A1 (de) * 1988-11-04 1990-05-10 Daimler Benz Ag Betaetigungsvorrichtung fuer einen elektrischen schalter
US5278372A (en) * 1991-11-19 1994-01-1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Keyboard having connecting parts with downward open rec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55135B2 (ja) 2005-06-02
EP1079402B1 (en) 2006-11-15
CN1133185C (zh) 2003-12-31
JP2001060421A (ja) 2001-03-06
EP1079402A3 (en) 2002-09-18
US6376786B1 (en) 2002-04-23
DE60031814D1 (de) 2006-12-28
TW448281B (en) 2001-08-01
KR20010039835A (ko) 2001-05-15
DE60031814T2 (de) 2007-09-20
EP1079402A2 (en) 2001-02-28
CN1285600A (zh) 200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1785B1 (ko) 스위치 장치
US6914202B2 (en) Two-step switch device
KR102229437B1 (ko) 스위치의 접점 구조,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US20070164611A1 (en) Actuator for an electric push-button switch, particularly in vehicles
JP2011515011A (ja) 電気スイッチアセンブリ
US5669487A (en) Key top mounting structure for a vehicular switch
KR100242773B1 (ko)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CN219286314U (zh) 操控附件和开关设备
US5877939A (en) Snap door for a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JPH0741924U (ja) スイッチ装置
JP4463500B2 (ja) 操作スイッチユニット
KR200492832Y1 (ko) 중장비 조작 레버용 스위치
CN218447688U (zh) 面板开关
JP2003041812A (ja) 引戸のハンドル装置
CN211670119U (zh) 自复位开关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KR100254606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레치 구동장치
KR20230141528A (ko) 차량용 커버를 활성화하는 활성화 기구
KR910003460Y1 (ko) 콘트롤 스위치보드의 도아(door)개폐장치
KR930007291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인터록 장치
KR100331646B1 (ko) 자동변속기 셀렉터 레버유닛용 디턴트 플레이트
JPH0548144U (ja) スイッチ装置
JP2516066Y2 (ja) スイッチ装置
KR20220103500A (ko) 락킹 스위치 유니트
JP4366020B2 (ja) プッシュプル錠のラッチ制御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