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528A - 차량용 커버를 활성화하는 활성화 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커버를 활성화하는 활성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528A
KR20230141528A KR1020230038469A KR20230038469A KR20230141528A KR 20230141528 A KR20230141528 A KR 20230141528A KR 1020230038469 A KR1020230038469 A KR 1020230038469A KR 20230038469 A KR20230038469 A KR 20230038469A KR 20230141528 A KR20230141528 A KR 20230141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ing
activation
activating means
area
hom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졸트 빌케
안드레아스 루돌프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41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5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를 활성화, 특히 개방하는 활성화 기구(100)로서, 활성화 기구(100)는 피봇축(116)을 갖는 하우징(101); 및 홈 위치에서 전기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활성화 위치로 그리고 차량 도어의 수동 잠금 해제를 위한 비상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한 활성화 수단(104)을 포함하고, 활성화 수단은, 피봇축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곡선형 영역(112)을 포함하며, 곡선형 영역은 활성화 수단(104)의 홈 위치에서 하우징(101) 내에 배치되고, 활성화 수단(104)의 비상 해제 위치에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인 활성화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커버를 활성화하는 활성화 기구{ACTUATING MECHANISM FOR ACTUATING COVER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도어를 활성화하는, 특히 차량 도어를 개방하는 활성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 도어를 활성화하는 활성화 기구를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자동차 업계에서, 도어 및 플랩은 점점 더 이상 수동으로만, 즉 기계식으로만 개방되거나 폐쇄되지 않는다. 오히려,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은 점점 빈번히 자동으로, 특히 전기식으로 수행된다. 예컨대, 여기에서는, 원하는 경우에 도어와 플랩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기구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가 사용된다. 상기한 전기 구동부 또는 관련 제어 디바이스를 위한 개방 또는 폐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활성화에 의해 원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스위치는, 사용자가 누르면 전술한 신호를 생성하는 푸시버튼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전기 구동부에 의한 도어의 개폐에 의존하지 않기 위해서, 기계식(수동) 비상 해제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도어나 플랩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한다. 종래의 내부 또는 외부 도어 손잡이와 같은 상기한 기계식 액추에이터는 종종 신호 송신기로서 구성되는 푸시버튼과 개별적으로 마련된다. 이것은 기계식 변형을 위한 추가의 설계 공간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최신 전기 푸시버튼이 종래의 기계식 레버에 연결되는 불균일한 전체적인 이미지를 초래한다.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진 도어 손잡이, 특히 외측 도어 손잡이가 WO2017070307로부터 알려져 있다. 도어 손잡이는 도 3a 내지 도 3d에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다시피 하나의 플러시(flush) 위치와 2개의 연장 위치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봇 아암이 파지 영역에 연결되어, 파지 영역을 차량 외부 스킨 반대측으로 이동시킨다. 제시한 솔루션은, 외부 스킨을 통한 추가의 피봇이 방지되기 때문에, 단지 손잡이의 소량의 피봇 이동만 가능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전술한 이유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과제는, 전기식, 뿐만 아니라 기계식 활성화 기능을 가능하게 하고 가능한 최소 공간에도 배치 가능한, 차량 도어 활성화를 위한 활성화 기구를 특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과제는 또한, 수동 활성화 기능을 직접 볼 수 없는 활성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과제는 작은 공간에서도 긴 활성화 경로를 가능하게 하는 활성화 기구를 특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독립 청구항 1의 보호 대상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되며, 독립 청구항 1의 유익한 다른 양태는 종속 청구항에 특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 도어를 활성화, 특히 개방하는 활성화 기구로서,
- 피봇축을 갖는 하우징; 및
- 홈 위치에서 전기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활성화 위치로 그리고 차량 도어의 수동 잠금 해제를 위한 비상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한 활성화 수단
을 포함하고, 활성화 수단은, 피봇축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곡선형 영역을 포함하며, 곡선형 영역은 활성화 수단의 홈 위치에서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활성화 수단의 비상 해제 위치에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인 활성화 기구에 관한 것이다.
활성화 수단의 곡선형 영역에 의해, 활성화 수단이 피봇 동작을 통해 거의 전체적으로 하우징 내외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특히 콤팩트한 구성이 한편으로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곡선형 영역은 이에 따라 비상 해제 위치에서만 볼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활성화 위치뿐만 아니라 홈 위치에서도, 곡선형 영역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곡선형 영역은 활성화 위치로 이동되기 위해서 하우징 내로 피봇 가능하다. 따라서, 곡선형 영역의 피봇은 한편으로는 활성화 수단을 비상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활성화 수단을 활성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곡선형 영역에 의해 실현되는 피봇식 운동은 따라서 특히 간단하고 강건하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곡선형 영역은 비상 해제 위치로 이동되기 위해서 하우징 밖으로 피봇 가능하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수단은 거의 트럼펫형 단면을 갖는다. 이에 의해, 하우징 내의 활성화 수단의 특히 콤팩트한 구성이 달성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수단은 홈 위치에서 활성화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1 방향으로 피봇 가능하고, 홈 위치에서 비상 해제 위치로 이동되도록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피봇 가능하다. 이것은, 활성화 수단을 활성화할 때에 사용자가 실수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특히, 이것은 활성화 수단이 수동으로 상시 작동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누르기에 의해 전기식 활성화가 달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 복잡한 운동을 제공할 필요 없이 보덴 케이블(Bowden cable)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당기기가 동시에 가능하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수단은 홈 위치와 비상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80° 내지 100°, 특히 약 90°로 피봇 가능하다. 홈 위치에서 비상 해제 위치로 피봇할 때, 곡선형 영역은 하우징 내부 밖으로 크게 피봇된다. 곡선형 영역은 차량 내부까지 도달하지 않고 적어도 80°로 피봇될 수 있다. 하우징 내부에 풀 레버로서 구성되는 비상 해제 요소를 강력하게 피봇시키고 이에 따라 보덴 케이블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활성화 수단을 90°로 피봇시키는 것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곡선형 영역은 제1 반경을 갖는 제1 부분과, 더 작은 제2 반경을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곡선형 영역은, 활성화 수단이 피봇될 때에 압력 스위치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거의 캠 디스크형으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는 전기 구동부를 위한 개방 신호를 생성하는 매우 간단한 변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수단은 파지 영역을 포함하며, 파지 영역은 곡선형 영역의 제1 단부에 배치되고, 홈 위치 및/또는 활성화 위치에서 곡선형 영역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파지 영역은 활성화 수단을 수동으로 피봇시키도록 기능할 뿐만 아니라, 곡선형 영역에 연결된 활성화 수단의 운동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한다. 이와 동시에, 파지 영역은 시각적 보호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적어도 홈 위치에서 활성 수단의 운동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지 영역은 활성화 수단을 활성화 위치로 이동시키는 푸시버튼으로서 구성되는 외측부와, 활성화 수단을 비상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풀핸들로서 구성되는 후방부를 포함한다. 파지 영역은 이에 따라 활성화 수단을 활성화 위치 및 비상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기구는, 활성화 수단의 홈 위치에서 파지 영역의 후방부를 파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파지 영역 주위에서 연장되는 트로프 본체를 포함한다. 트로프 본체는 사용자가 파지 영역을 파지할 수 있도록 특히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변형예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트로프 본체의 자유 영역에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맞물리게 하여 파지 영역을 그 후방부를 통해 하우징 밖으로 당길 수 있다. 파지 영역을 당기는 것에 의해, 활성화 수단의 다른 영역뿐만 아니라 곡선형 영역도 또한 피봇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전술한 활성화 기구들 중 어느 하나를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 기구를 갖는 내부 도어의 개략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 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a는 활성화 수단의 홈 위치에서의 도 2에 따른 활성화 기구를 관통하는 단면도.
도 3b는 활성화 수단의 홈 위치에서의 도 2에 따른 활성화 기구를 관통하는 단면도.
도 3c는 활성화 수단의 홈 위치에서의 도 2에 따른 활성화 기구를 관통하는 단면도.
도 4a는 활성화 수단의 제1 활성화 위치에서의 도 2에 따른 활성화 기구를 관통하는 단면도.
도 4b는 활성화 수단의 제1 활성화 위치에서의 도 2에 따른 활성화 기구를 관통하는 단면도.
도 5a는 비상 해제의 활성화 시에 도 2에 따른 활성화 기구를 관통하는 단면도.
도 5b는 비상 해제의 활성화 시에 도 2에 따른 활성화 기구를 관통하는 단면도.
도 5c는 비상 해제의 활성화 시에 도 2에 따른 활성화 기구를 관통하는 단면도.
도 1은 차량 도어의 활성화, 특히 개방을 위한 활성화 기구를 지닌 내부 차량 도어(102)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특히, 여기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활성화 기구는, 2개의 개방 기능을 이행하기 위해 마련되며, 다른 한편으로 활성화 기구는 차량 도어가 전기식으로 개방되게 한다. 이를 위해, 활성화 기구는, 예컨대 전기 구동부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차량 도어를 향해 누를 수 있는 활성화 수단(104)을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로, 활성화 기구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다시피 수동으로, 즉 기계식으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전기 구동부 또는 관련 신호 생성기가 고장난 경우에 특히 필수적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 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제공한다. 활성화 기구(100)는 도 1에 이미 도시한 활성화 수단(104)을 포함한다. 활성화 수단은 푸시버튼으로서 외측부에 구성된 파지 영역(110)을 포함한다. 활성화 수단(104)은 트로프 본체(106)에 수용되며, 트로프 본체는 이 트로프 본체(106)의 형상에 대응하는 차량 내부 도어의 내부 스킨에 있는 개구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트로프 본체(106)는 거의 타원 형상이다. 그러나, 트로프 본체(106)는 도면에 도시한 타원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트로프 본체는 파지 영역(110)의 후방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트로프 본체는 그에 상응하여 도 2에 도시한 파지 영역(110)의 외측부(113)보다 큰 표면을 갖는다. 이에 따라, 트로프 본체는, 활성화 수단(104)의 홈 위치에서 파지 영역(11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트로프 본체(106)와 사용자의 맞물림을 허용하는 자유 맞물림 영역(107)을 갖는다. 물론, 상기한 자유 맞물림 영역은 또한, 도어측에서 파지 영역(110)보다 큰 표면 영역을 갖기만 하면 임의의 형상(예컨대, 직사각형, 원형, 삼각형 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활성화 기구(100)는, 설치 상태에서 차량 도어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101)을 포함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성화 수단(104)과 트로프 본체(106)의 일부만이 차량 도어의 내부 스킨에서 볼 수 있다. 활성화 수단뿐만 아니라 트로프 본체(106)도 하우징(101)에 연결된다.
활성화 기구(100)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하다시피 기계식 잠금 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보덴 케이블(103)을 통해 도어 래치에 연결된다. 보덴 케이블(103)은 하우징(101) 내부로 연장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활성화 수단(104)의 홈 위치에서의 도 2에 따른 활성화 기구를 관통하는 상이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홈 위치는 또한 도 2에 도시한 위치에 대응한다. 이 홈 위치에서, 활성화 수단(104)의 파지 영역(110)은 특히 트로프 본체(106)의 외측부와 동일 평면이다. 여기에 도시한 홈 위치에서는, 활성화 기구에 의해 잠금 해제를 위한 전기 신호도, 또한 수동 잠금 해제도 활성화되지 않는다. 활성화 수단(104)는 특히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홈 위치로 편향된다.
도 3a는 활성화 기구(100)를 관통하는 제1 단면도를 보여준다. 활성화 수단(104)은 파지 영역(110)을 포함하며, 파지 영역의 외측부(113)는 사용자를 위한 푸시버튼으로서 기능한다. 파지 영역(110)의 내측부(111)는 사용자를 위한 풀핸들로서 작용한다. 파지 영역(110)은 트로프 본체(106)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이를 위해, 활성화 수단(104)은 피봇축(116)에 연결된다. 피봇축(116)은 활성화 기구(100)의 하우징(101)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활성화 수단(104)은 파지 영역(110)과 피봇축(116) 사이에 배치된 곡선형 영역(112)을 갖는다. 파지 영역은 곡선형 영역(112)을 커버하고, 곡선형 영역(112)에 거의 수직하게 배향된다. 파지 영역(110)은 곡선형 영역(112)의 에지를 넘어 돌출하고, 이에 따라 그 밑면(111)에 맞물림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비상 해제를 위해 활성화 수단(104)을 하우징(101) 밖으로 잡아당길 수 있게 한다. 활성화 수단(104)의 홈 위치에서, 곡선형 영역(112)은 파지 영역(110)으로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 즉, 활성화 수단(104)을 위한 홈 위치에서는, 파지 영역(110)의 외측부(113)만이 사용자에게 보인다. 활성화 수단(104)의 모든 다른 부분/영역은 홈 위치에서 하우징(101) 내부에 배치된다.
곡선형 영역(112)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반경을 갖는다. 특히, 곡선형 영역(112)은 피봇축(116)에 연결된 제2 서브영역에서보다 파지 영역(110)에 연결된 제1 서브영역에서 더 큰 반경을 갖는다. 곡선형 영역(112)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램프(114)가 마련된다. 램프(114)는 전술한 상이한 변경들 사이의 천이부이다.
활성화 기구(100)는 신호 송신기를 포함하며, 신호 송신기는 여기에서 마이크로스위치(118)로서 도시되어 있다. 마이크로스위치(118)는 활성화 수단(104)의 곡선형 영역(112) 표면과 접촉하는 버튼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활성화 수단(104)의 홈 위치에서, 버튼은 특히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곡선형 영역(112)의 제2 서브영역에 연결된다. 활성화 기구(100)는, 마이크로스위치(118)가 이 위치에서는 활성화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버튼은 활성화 수단(104)의 홈 위치에서 곡선형 영역(112)에 의해 활성화되지 않는다.
도 3b는 도 2에 따른 활성화 기구(100)를 관통하는 다른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3a와 비교하면, 도 3b의 단면은 도 3a의 도면 평면으로부터 더 밖으로 돌출하는 평면에서 연장된다. 즉, 도 3a의 마이크로스위치(118)는 도 3b에 예시한 평면 뒤에 위치한다.
도 3b에 예시한 단면 평면에는, 활성화 기구(100)의 토션 스프링(120)이 더 도시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120)은 피봇축(116) 상에서 지지된다. 토션 스프링(120)의 제1 단부(122)는 하우징(101)의 정지면(130)에서 지지된다. 토션 스프링(120)의 제2 단부(124)는 활성 수단(104)의 정지 영역(132)에서 지지된다. 토션 스프링(120)은 특히 활성 수단(104)을 그 비상 해제 위치에서 홈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활성 수단(104)은 여기에서 후크로서 도시된 비상 해제 요소(128)를 포함하며, 비상 해제 요소는 비상 해제를 위해 보덴 케이블(103)의 당김 헤드(도 5a 참조)를 붙잡도록 구성된다.
도 3c는 도 2에 따른 활성화 기구(100)를 관통하는 다른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3c를 따른 단면 평면은 도 3a 및 도 3b의 단면 평면 전방에 놓인다. 즉, 도 3a 및 도 3b의 단면 평면은 도 3c에 따른 단면 평면 뒤에 위치한다.
도 3c에 따른 단면 평면은 또한 활성 수단(104)의 곡선형 영역(112)과 램프(114)를 보여준다. 곡선형 영역(112)은 제2 단부에서 활성화 수단(104)의 파지 영역에 연결된다. 곡선형 영역(112)의 반대되는 제2 단부에서, 활성화 수단(104)은 활성화 영역(134)을 포함한다. 활성화 영역(134)은 특히 피봇 가능하게 피봇축(116)에 연결된다. 활성화 영역(134)은 곡선형 영역(112)과 함께 곡선형 레그 및 거의 직선형 레그를 지닌 U자 형상을 형성한다. 전체적으로, 활성 수단(104)은 거의 트럼펫형 단면을 포함한다.
활성화 기구(100)는 제1 판 스프링(138) 및 제2 판 스프링(146)을 포함한다. 2개의 판 스프링(138, 146)은 활성화 수단(104)을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그 홈 위치로 편향시킨다.
활성화 수단(104)의 홈 위치에서, 활성화 영역(134)은 제1 판 스프링(138)에 접한다. 특히, 활성화 영역(134)은 활성화 수단(104)의 홈 위치에서는 제1 판 스프링(138)을 변형시키지 않는다. 활성화 영역(134)은 활성화 영역(134)으로부터 제1 판 스프링(138)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돌출부(136)를 갖는다. 따라서, 특히 제1 활성화 영역(134)의 제1 돌출부(136)는 활성화 수단(104)의 홈 위치에서 제1 판 스프링(138)에 접한다.
활성화 기구(100)는 피봇축(116)에 연결되는 피봇 아암(142)을 포함한다. 제1 판 스프링(138)은 제1 피봇 아암(142)에 부착된다. 즉, 피봇 아암(142)은 제1 판 스프링(138)을 위한 피봇식 지지 조립체이다. 제1 피봇 아암(142)은 활성화 수단(104)뿐만 아니라 하우징(101)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특히, 피봇 아암(142)은 피봇축(116)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다.
도 3c에 도시한 홈 위치에서, 제1 피봇 아암(142)은 제2 판 스프링(146) 상에 놓인다. 특히, 피봇 아암(142)은 제2 판 스프링(146)을 변형시키기 않고 제2 판 스프링(146)과 접하는 제2 돌출부(144)를 갖는다.
제2 판 스프링(146)은 하우징(101) 상에 직접 배치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01)은 도 3c에 도시한 체결 영역(148)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판 스프링은 상이한 복원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2 판 스프링(146)은 제1 판 스프링(138)보다 강한 스프링이다. 예컨대, 제2 판 스프링(146)은 제1 판 스프링(138)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일 구성 변형예에 따르면, 제2 판 스프링(146)은, 예컨대 서로 동일 평면으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판 스프링(138, 146)이 상이한 복원력을 가질 것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2개의 판 스프링이 시간에 있어서 상이한 시점에서 변형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특히 제2 판 스프링(146)이 변형되기 전에 제1 판 스프링(138)이 먼저 변형된다. 2개의 판 스프링(138, 146)이 상이한 시기에 변형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단지 특히 제1 판 스프링(138)이 제2 판 스프링(146)보다 적은 힘 입력으로 미리 변형되는 것만을 보장해야 한다. 이를 위해, 또한 상이한 복원력에 대한 변형예로서, 활성 영역(134)의 레버 길이가 피봇축(142)의 레버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변형예(도시하지 않음)에서, 활성화 기구는 단지 판 스프링만을 포함한다. 판 스프링은 이때 하우징의 강성 체결 영역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예컨대 제1 판 스프링과 피봇 아암은 요구되지 않는다. 즉, 활성화 기구는 단지 판 스프링만을 가질 수 있고, 판 스프링은 도 3c에 따른 제2 판 스프링(146)과 거의 유사하게 구성된다.
도 4a 및 도 4b는 활성화 수단(104)의 활성화 위치에서의 활성화 기구(100)를 보여준다. 여기에서, 도 4a의 단면축은 도 3a의 단면축에 대응한다. 도 4b의 단면축은 도 3c의 단면축에 대응한다.
활성화 수단(104)의 활성화 위치에서, 활성화 수단은 내측방향으로[즉, 하우징(101)이나 차량 도어 각각을 향해] 피봇된다. 도 4a는 따라서, 파지 영역(110)이 더 이상 트로프 본체(106)의 상단부와 동일 평면에 배치되지 않고, 트로프 본체(106) 내로 들어간 것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파지 영역(110)의 외측부(113)를 누른다. 사용자가 파지 영역(110)을 누름으로써, 특히 마이크로스위치(118) 반대측의 피봇축(116)을 중심으로 한 활성화 수단(104)의 피봇이 일어난다.
활성화 위치에서, 활성화 수단(104)은 마이크로스위치(118)에 대해 피봇되어, 램프(114)가 마이크로스위치(118)의 버튼 위에서 구동되고, 이에 따라 곡선형 영역(112)의 보다 큰 반경으로 인해 마이크로스위치가 압박된다. 이에 따라, 활성 수단(104)의 활성화 위치에서 마이크로스위치(118)는 전기 구동부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스위칭된다. 즉, 활성화 기구(100)는 활성화 위치에서 전기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4b는, 제1 판 스프링(136)이 활성화 수단(104)의 제1 활성화 위치에서 변형된 것을 보여준다. 즉, 활성화 수단(104)의 활성화 영역(134)은 제1 판 스프링(138)의 복원력과 반대로 피봇 아암(142) 반대측으로 이동되었다. 이것은 제1 돌출부(136)에 의한 제1 판 스프링(136)의 변형을 초래한다. 제2 판 스프링(146)은 활성화 위치에서 변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이것은 특히 제1 판 스프링(138)보다 강한, 즉 높은 스프링 상수를 갖는 제2 판 스프링(146)에 의해 달성된다.
제1 판 스프링(138)과 제2 판 스프링(146)은 스냅 스프링[스냅 프로그(frog)로서도 알려짐]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판 스프링(138, 146)의 변형은 사용자에게 음향 피드백뿐만 아니라 촉각 피드백을 제공한다. 도 4a 및 도 4b에 따른 활성화 위치에서, 사용자는 스냅 스프링으로서 구성된 제1 판 스프링(138)의 청각 및 촉각 피드백으로부터, 제1 활성화 위치에 도달한 것과 마이크로스위치(118)에 의해 신호가 생성된 것을 인지하게 된다.
제1 스프링 요소(138)의 변형은 활성화 영역(134)의 정지부(140)에 의해 제한된다. 정지부(140)는 활성화 수단(104)의 활성화 위치에서 피봇 아암(142)에 접한다. 이에 따라, 활성화 수단(104)과 피봇 아암(142)의 상대 이동이 제한된다. 활성화 위치로부터 판 스프링(138, 146)을 향한 활성화 수단(104)의 추가의 피봇은 피봇 아암(102)에 직접 그리고 이에 따라 제2 판 스프링(146)으로 전달된다. 즉, 제1 판 스프링(138)에 의한 스냅핑 후에도 사용자(104)가 계속해서 활성화 수단(104)을 누르면 피봇 아암(142)이 활성화 수단(104)과 함께 피봇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제1 활성화 위치에 도달할 시에 제1 판 스프링(138)이 스냅백하고 활성화 수단이 그 홈 위치로 다시 돌아가도록 파지 영역(110)을 해제할 것이다. 이에 따라, 활성화 수단(104)을 시계방향으로 그 홈 위치로 다시 피봇시키기 위해 제1 판 스프링(138)의 편향력이 사용된다.
제2 판 스프링(146)은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활성화 수단을 활성화 위치를 넘어 하우징 내로 누르는 경우에만 변형된다. 제2 판 스프링(146)은 특히 제2 청각 및/또는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제2 판 스프링은 선택적이며 마이크로스위치(118)를 사용하는 전기 해제 또는 도 5a 내지 도 5c에 묘사한 바와 같은 수동 해제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5a 내지 도 5c는 활성화 수단(104)의 비상 해제 위치를 보여준다. 이를 위해, 활성화 수단(104)은 파지 영역(110)과 곡선형 영역(112)이 하우징(101) 밖으로 돌출하도록 특히 시계방향으로 피봇되었다. 활성화 수단(104)을 홈 위치로부터 멀어져 도 5a 내지 도 5c에 따른 비상 해제 위치로 피봇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홈 위치에서 자유 맞물림 영역(107)(도 2 및 도 3a)에 맞물리고, 풀핸들인 파지 영역(110)의 내측부(111)를 사용할 수 있다. 트로프 본체(106)의 깊이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파지 영역(110) 후방에서 맞물리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파지 영역(110)을 당김으로써 활성화 수단이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활성화 수단(104)은 이에 의해, 비상 해제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홈 위치에 대해 대략 80° 내지 100°, 특히 대략 90°로 피봇될 수 있다. 비상 해제 위치에서는, 활성 수단(104)의 파지 영역(110)과 곡선형 영역 모두를 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당김을 통한) 활성화 수단(104)의 홈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의 피봇은 또한 비상 해제 요소(128)가 피봇하여 보덴 케이블(103)의 당김 헤드(150)와 작동적으로 맞물리게 한다. 활성화 수단(104)을 그 비상 해제 위치로 피봇시키는 것에 의해, 당김력이 보덴 케이블(103)에 인가된다. 그 결과, 차량 도어의 기계식 잠금 해제가 일어날 수 있다.
도 5b로부터, 활성화 수단(104)이 비상 해제 위치로 이동될 때에 2개의 판 스프링(138, 146)은 그 초기 위치에 유지되는 것(즉, 변형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봇 아암(142)은, 비상 해제가 활성화될 때에 그 초기 위치에 남아 있는다.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 해제는 토션 스프링(120)의 편향과 반대방향으로 수행된다. 특히, 활성화 수단(104)의 시계방향으로의 피봇은 토션 스프링(120)의 제2 단부(124)가 제1 단부(122)에 대해 트위스팅하게 한다. 제1 단부(122)는 그 초기 위치에 남아 있는다. 토션 스프링(120)의 인장이 발생하는데, 이는 비상 해제 위치를 향한 활성화 수단(104)의 피봇의 반대방향이다. 이에 따라, 토션 스프링(120)은 활성화 수단(104)을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그 홈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모든 피쳐들의 개요이다.

Claims (10)

  1. 차량 도어를 활성화, 특히 개방하는 활성화 기구(100)로서, 활성화 기구(100)는
    - 피봇축(116)을 갖는 하우징(101); 및
    - 홈 위치에서 전기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활성화 위치로 그리고 차량 도어의 수동 잠금 해제를 위한 비상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한 활성화 수단(104)
    을 포함하고, 활성화 수단은, 피봇축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곡선형 영역(112)을 포함하며, 곡선형 영역은 활성화 수단(104)의 홈 위치에서 하우징(101) 내에 배치되고, 활성화 수단(104)의 비상 해제 위치에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인 활성화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곡선형 영역(112)은 활성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우징(101) 내로 피봇 가능하고, 및/또는 곡선형 영역(112)은 비상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우징(101) 밖으로 피봇 가능한 것인 활성화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활성화 수단(104)은 홈 위치에서 활성화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1 방향으로 피봇 가능하고, 홈 위치에서 비상 해제 위치로 이동되도록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피봇 가능한 것인 활성화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화 수단(104)은 거의 트럼펫형 단면을 포함하는 것인 활성화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화 수단은 홈 위치와 비상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80° 내지 100°, 특히 약 90°로 피봇 가능한 것인 활성화 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곡선형 영역(112)은 제1 반경을 갖는 제1 부분과, 더 작은 제2 반경을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활성화 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화 수단은 손잡이 영역(110)을 포함하며, 손잡이 영역은 곡선형 영역의 제1 단부에 배치되고, 홈 위치 및/또는 활성화 위치에서 곡선형 영역(112)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활성화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손잡이 영역(110)은 활성화 수단(104)을 활성화 위치로 이동시키는 푸시버튼으로서 구성되는 외측부(113)와, 활성화 수단(104)을 비상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풀핸들로서 구성되는 후방부(111)를 포함하는 것인 활성화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활성화 기구(100)는, 활성화 수단(104)의 홈 위치에서 손잡이 영역(110)의 후방부(111)를 파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손잡이 영역(110) 주위에서 연장되는 트로프 본체(106)를 포함하는 것인 활성화 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활성화 기구(100)를 갖는 차량.
KR1020230038469A 2022-03-30 2023-03-24 차량용 커버를 활성화하는 활성화 기구 KR202301415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2107582.6A DE102022107582A1 (de) 2022-03-30 2022-03-30 Betätigungsmechanismus zum betätigen von abdeckungen für fahrzeuge
DE102022107582.6 2022-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528A true KR20230141528A (ko) 2023-10-10

Family

ID=8801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469A KR20230141528A (ko) 2022-03-30 2023-03-24 차량용 커버를 활성화하는 활성화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13571A1 (ko)
KR (1) KR20230141528A (ko)
CN (1) CN116892325A (ko)
DE (1) DE102022107582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2706A1 (de) 2013-11-18 2015-05-21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us einem Türgriff und einer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den Türgriff
CN111236770B (zh) 2015-10-21 2021-10-26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车辆的门把手
DE102020209655A1 (de) 2020-07-30 2022-02-03 Magna Mirrors Holding Gmbh Türgriffeinheit für eine Fahrzeugt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107582A1 (de) 2023-10-05
CN116892325A (zh) 2023-10-17
US20230313571A1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0476B (zh) 用于车辆中的应用的具有使用改善运动学的推按致动的按钮装置
JP5732795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8342583B2 (en) Vehicle panel control system
US8528949B2 (en) Door handle stroke change structure
KR101287004B1 (ko) 모터 차량용 외부 도어 핸들
CN112204217B (zh) 门扇把手装置,特别是用于机动车辆的
EP3725987A1 (en) Low-profile handle assembly
JP6660781B2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WO2016077069A1 (en) Push button device with adjustment function for application in a vehicle
JP3655135B2 (ja) スイッチ装置
US20200332575A1 (en) Door handle assembly of a motor vehicle
JP2001288935A (ja) 車両ドア用ハンドル
KR20230141528A (ko) 차량용 커버를 활성화하는 활성화 기구
KR101371985B1 (ko) 누름타입 도어내측핸들
JP2001279960A (ja) 車両ドア用ハンドル
US20230313584A1 (en) Actuating Mechanism for Actuating Vehicle Doors
CN210563872U (zh) 闩锁装置
WO2019038233A1 (en) MULTIFUNCTIONAL LOCK FOR MOTOR VEHICLE COVER
JP5420949B2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US20230420200A1 (en) Module for Generating Opening Signals
KR20240001054A (ko) 개방 신호 생성용 모듈
JP3640590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3955800B2 (ja) スイッチ装置
JP372500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3725002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