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054A - 개방 신호 생성용 모듈 - Google Patents

개방 신호 생성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054A
KR20240001054A KR1020230079564A KR20230079564A KR20240001054A KR 20240001054 A KR20240001054 A KR 20240001054A KR 1020230079564 A KR1020230079564 A KR 1020230079564A KR 20230079564 A KR20230079564 A KR 20230079564A KR 20240001054 A KR20240001054 A KR 20240001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ion
flap
module
switc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아힘 오베어스트
졸트 빌케
에릭 딜예
안드레아스 루돌프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0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0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w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50Powered actuators with automatic return to the neutral position by non-powered means, e.g.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13/183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for actuation by moving a closing member, e.g. door, c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13/186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wherein the pushbutton is rectilinearly actuated by a lever pivoting on the housing of the switch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 특히 차량 도어 또는 플랩을 개방하는 신호 생성용 모듈(100)로서, 스위치 영역(104)을 갖는 하우징(102); 하우징(102)의 스위치 영역에 결합, 구체적으로는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치(108), 특히 마이크로스위치; 및 하우징(102)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활성화 플랩(120)으로서, 작동 요소, 특히 도어 레버의 동작에 의해 제1 위치와, 활성화 플랩(120)에 의해 스위치(108)가 활성화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피봇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 플랩을 포함하는 신호 생성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방 신호 생성용 모듈{MODULE FOR GENERATING OPENING SIGNALS}
본 발명은 신호, 특히 차량 도어 또는 플랩을 개방하는 신호 생성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을 구비한 활성화 기구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신호 발생기는 차량 도어의 자동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드라이브, 특히 전기 드라이브를 제어할 것을 필요로 한다. 신호 발생기는, 예컨대 마이크로스위치로서 구성되며, 통상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를 위해, 신호 발생용 스위치는 손잡이(knob) 또는 레버와 같은 다양한 활성화 기구에 연결될 수 있다. 차량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활성화 기구, 예컨대 도어 레버는 사용자에 의해 개방 위치로 이동되어, 스위치를 폐쇄하고 이에 따라 전기 구동 회로를 폐쇄한다.
예컨대, 차량 도어는 슬라이딩 도어 또는 스윙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자동차 도어의 협소한 내부로 인해, 스위치의 컨택트와 전기 드라이브 간의 신뢰성 있는 접속을 달성하는 것이 통상 매우 복잡하고 어렵다. 또한, 스위치의 조기 마모가 매우 빨리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 발생기의 설치를 단순화하거나 유지 시간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호, 특히 차량 도어를 개방하는 신호 생성용 모듈로서,
- 스위치 영역을 갖는 하우징;
- 하우징의 스위치 영역에 결합, 구체적으로는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치, 특히 마이크로스위치; 및
-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활성화 플랩으로서, 작동 요소, 특히 도어 레버의 동작에 의해 제1 위치와, 활성화 플랩에 의해 스위치가 활성화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피봇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 플랩을 포함하는 신호 생성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도어 레버로서 구성된 작동 요소와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피봇 가능한 활성화 플랩은 스위치에 상당한 전단력을 가하지 않고 스위치에 힘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스위치의 마모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또한, 활성화 플랩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작동 요소(예컨대, 도어 레버)의 리프트가 감소될 수 있다. 작동 요소는 이에 따라 5° 이하로 피봇되는 경우에 이미 활성화 플랩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활성화 요소, 특히 푸셔(latchkey)를 포함하며, 활성화 플랩은 피봇축과 반대로 피봇 가능하며, 피봇축은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활성화 플랩에 의해 활성화 요소에 인가되는 작동력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활성화 요소에 도입된다. 이것은 활성화 요소의 활성화를 간단하게 하고, 또한 마모를 감소시킨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플랩은 만곡된 커버 영역을 포함하고, 이 커버 영역은 스위치의 활성화 요소, 구체적으로 푸셔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만곡된 영역에 의해, 활성화 플랩은 스위치의 활성화 요소로서 작동하도록 기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보호하는 기능도 한다. 작동 요소는 이때, 활성화 플랩의 2개의 위치 모두에서 파편에 대해 보호되며, 예컨대 먼지나 물의 진입이 방지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활성화 플랩을 제1 위치로 편향시키는 제1 리셋 요소를 포함한다. 휴지 위치에서, 활성화 플랩은 스위치를 활성화시키지 않는다. 그 결과, 도어 레버가 더 이상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지 않는 즉시, 도어 개방기를 위해 스위치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신호가 차단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리셋 요소는 활성화 플랩이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촉각 및/또는 청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리셋 요소는 이중 기능을 갖는다. 한편으로, 리셋 요소는 활성화 플랩을 그 제1 위치로 편향시키는 기능을 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1 리셋 요소는 이에 따라, 스위치가 활성화되는 즉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리셋 요소는 플랫 스프링, 특히 스냅 프로그(snap frog)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랫 스프링은, 활성화 플랩이 제2 위치에 도달하는 즉시, 스냅 체결되도록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스냅 체결은 리셋력에 갑작스러운 변화를 초래하고, 이는 사용자가 촉각 피드백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스냅 체결은 사용자에게 클릭킹 음향을 동반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에게 청각 피드백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제2 리셋 요소, 특히 리셋 스프링을 포함하며, 제2 리셋 요소는, 활성화 플랩이 제2 위치로 이동된 후에 작동 요소의 추가의 동작에 대하여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모듈의 제2 리셋 요소는 작동 요소의 동작을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리셋 스프링으로서 구성된 제2 리셋 요소는 한편으로는 마이크로스위치의 활성화 후에 작동 요소의 추가의 동작에 대한 저항을 생성한다. 다른 한편으로, 리셋 스프링은 마이크로스위치를 활성화하기 위한 작동 요소의 개방 위치를 넘어서는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예컨대 전기 드라이브가 고장난 경우에 작동 요소의 비상 해제 위치를 달성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2 리셋 요소는, 마이크로스위치가 활성화된 후에 작동 요소의 추가의 동작에 대한 저항을 달성한다. 이러한 저항은 초기에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 요소의 중지로 인식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작동 요소를 저항에 반하여 보다 강력하게 이동시키려고 하면, 제2 리셋 요소는 변형되어, 작동 요소가 비상 해제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예컨대, 작동 요소는 도어 레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개방 위치를 달성한 이후에 레버를 추가로 당김으로써 보덴 케이블(Bowden cable)이 활성화되어, 기계식 비상 해제에 커플링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플랩을 돌출부를 포함하며, 이 돌출부는 스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활성화 플랩의 표면 위로 돌출하고, 작동 요소, 특히 도어 레버의 실질적인 병진 이동 동작을 활성화 플랩의 피봇팅 동작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돌출부는 이에 의해 작동 요소에 마련된 램프에서 벗어날 수 있고, 이에 의해 활성화 플랩이 스위치를 향해 압박된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는 램프 영역과 견부 영역을 포함하며, 램프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의 기울기를 갖는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 도어를 개방하는 활성화 기구로서,
- 내부에 도어 레버가 이동 가능하게, 바람직하게는 피봇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되는 도어 레버 하우징; 및
- 전술한 모듈을 포함하고, 모듈은, 활성화 플랩이 도어 레버와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도록 도어 레버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활성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한 활성화 기구를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모듈의 개략적인 저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모듈의 실시예를 관통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활성화 플랩의 제1 위치에 있어서, 도 1에 따른 모듈의 개략적인 측부 사시도이다.
도 5는 활성화 플랩의 제2 위치에 있어서, 도 4에 따른 모듈의 개략적인 측부 사시도이다.
도 6은 하우징에 수용되는 구성요소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 사시도이다.
도 8는 활성화 플랩의 제1 위치에 있어서, 도 7에 따른 모듈의 개략적인 측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모듈을 관통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활성화 플랩의 제2 위치에 있어서, 도 7에 따른 모듈의 개략적인 측부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생성용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보여준다. 모듈(100)은 플러그 영역(106)과 스위치 영역(104)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여기에 도시한 하우징(102)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하우징은, 예컨대 사출 성형 프로세스로 제작된 플라스틱 본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2)은 상향 개방 반부 쉘로서 구성된다. 반부 쉘은 작동 요소 하우징,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도어 레버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02)은 복수 개의 램프형 돌출부(13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돌출부는 모듈을 작동 요소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 구체적으로는 클립 체결하는 기능을 한다. 모듈의 하우징(102)은 또한 대안으로서 수납함, 후방 플랩, 중앙 팔걸이 등과 같은 많은 기타 가동식 차량 구성요소에 결합되어, 차량 구성요소의 활성화 시에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스위치, 구체적으로 마이크로스위치(108)가 하우징(102)의 스위치 영역(10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02)은 하나 이상의 수용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수용 개구는 하우징(102)에 대해 스위치를 배향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도 1은, 스냅 후크로서 형성되고 스위치(108)를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스냅 커넥터(130)를 보여준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스위치(108)는 특히 버튼으로서 구성되지만; 임의의 다른 기계식 또는 전기식 스위치 변형예도 또한 고려 가능하다.
모듈(100)은 제1 및 제2 전기 컨택트(110, 112)를 포함한다. 전기 컨택트(110, 112)는 각각 제1 단부(113, 114)와 대향하는 제2 단부(116, 118)를 포함한다. 제1 단부(113, 114)에서, 전기 컨택트는 스위치(104)의 대응하는 컨택트에 접속된다. 제1 전기 컨택트(110)는 제1 단부(113)에서 특히 스위치(108)의 제1 컨택트(126)에 접속된다. 제2 전기 컨택트(112)는 제1 단부(114)를 통해 스위치(108)의 제2 전기 컨택트(128)에 접속된다.
전기 컨택트(110, 112)의 제2 단부(116, 118)는 하우징(102)의 플러그 영역(106) 내로 연장된다. 플러그 영역(106)은 전압을 특히 전기 드라이브에 공급하거나 임의의 다른 소비기에 공급하기 위한 대응하는 플러그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상기한 플러그는 플러그 영역(106)에 삽입되어, 전기 컨택트(110, 112)의 제2 단부(116, 118)로 압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단부(116, 118)의 형상은 각각의 플러그에 맞춰진다. 즉, 전기 컨택트(110, 112)는 스위치(108)의 단자와 플러그 사이의 어댑터로서 기능한다. 모듈은 이에 의해, 예컨대 대안의 형상을 갖는 제2 단부(도시하지 않음)를 제2 전기 컨택트(110, 112)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상이한 플러그에 매우 용이하게 맞춰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108)를 교체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예컨대, 전기 컨택트(110, 112)의 제2 단부(116, 118)는 플러그 영역(106)의 후방벽(107)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후방벽(107)은 특히 2개의 리세스를 갖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리세스는 2개의 전기 컨택트(110, 112) 중 어느 하나를 위한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전기 컨택트(110, 112)는 제1 단부(113, 114)와 제2 단부(116, 118) 사이에서 거의 수직하게, 즉 약 90°의 각도로 연장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플러그 영역(106)은 반부 쉘로서 형성된다. 여기에 도시한 제1(예컨대, “하부”) 반부 쉘은 작동 요소 하우징의 일부인 대응하는 제2(예컨대, “상부”) 반부 쉘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2개의 반부 쉘은 전기 드라이브의 대응하는 플러그를 수용하는 완전한 소켓을 형성한다. 따라서, 작동 요소 하우징의 제2 반부 쉘이 제1 반부 쉘에 결합되기만 하면, 이에 따라 전기 컨택트가 플러그 영역(106)의 후방벽(107)에 고정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도 2 및 도 6으로부터 2개의 전기 컨택트(110, 112)가 각각 앵커링 요소(138, 140)에 장착된다는 점이 자명하다. 앵커링 요소(138, 140)는 전기 컨택트를 하우징(102)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앵커링 요소(138, 140)는 하우징(102)의 대응하는 개구 내로 삽입된다.
전기 컨택트(110, 112)의 제1 단부(113, 114)는 탄성적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1 단부는 또한 구체적으로는, 앵커링 요소(138, 140)가 하우징(102) 내로 삽입될 때에 스위치(108)의 제1 컨택트(126) 및 제2 컨택트(128)에 대하여 편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단부(113, 114)의 탄성 변형은 바람직하게는 앵커링 요소가 하우징(102) 내로 삽입되기만 하면 일어난다. 이는, 전기 컨택트가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제1 단부(113, 114)와 스위치의 컨택트(126, 128)가 서로 중첩하도록 배열되기 때문이다.
전기 컨택트(110, 112)의 제1 단부(113, 114)는, 예컨대 도 3에서 볼 수 있다시피 흰색 원호 형상, 구체적으로는 U자형 영역(150, 152)를 갖는다. 전기 컨택트(110, 112)의 원호 형상 영역(150, 152)은 설치 시, 컨택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즉, 원호 형상 영역(150, 152)은 전기 컨택트의 나머지 영역의 평면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기 컨택트가 하우징(102) 내로 삽입될 때에 만곡 영역(150, 152)만이 스위치(108)의 전기 컨택트(128, 126)에 대해 압박되고 변형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전기 컨택트(110, 112)는 또한 하우징(102)에 결합될 때에 작동 요소 하우징에 의해 스위치(108)의 전기 컨택트(126, 128)에 대해 추가로 압박될 수도 있다.
원호 형상 영역(150, 152)은 전기 컨택트(110, 112)와 스위치(108)의 단자(컨택트) 간의 선형 접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단면도에서는, U자형 영역(150, 152)의 하단부와 컨택트(126, 128)의 상부면 간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선형 접촉부는 도 2의 도면 평면 안쪽으로 연장된다. 원호 형상 영역(150, 152) 대신, 스위치(108)의 단자/컨택트(126, 128)와의 선형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형상이 선택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단부에는 V자형 영역도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컨택트(110, 112)의 제1 단부는 플레어링(156, 158)을 갖는다. 플레어링(156, 158)은 특히 스위치(108)의 컨택트(126, 128)에 대향하는 제1 단부의 더 큰 접촉 표면적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스위치(108)는 마이크로스위치로서 구성된 버튼으로, 스위치를 활성화하는 푸시 버튼(124)을 포함한다. 예컨대, 푸시 버튼(124)은 도 1에 도시한 위치에서 편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셋 요소(도시하지 않음), 예컨대 플랫 스프링이 마이크로스위치(108) 내에 마련된다. 전기 도어 드라이브의 개방 신호를 위한 종래의 신호 발생기에서, 대응하는 버튼은 활성화 기구를 통해 직접 제어된다. 활성화 기구는, 예컨대 도어 레버 또는 도어 손잡이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모듈(100)은 활성화 플랩(120)을 포함한다. 모듈(100)의 설치 상태에서, 활성화 플랩은 활성화 기구와 마이크로스위치(108)의 푸시 버튼(124) 사이에 배치된다. 활성화 플랩은 푸시 버튼(124)을 마모 및 인열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활성화 플랩(120)은 푸시 버튼(124)에 대한 전단 이동을 최소로 감소시킨다.
활성화 플랩(120)은 피봇 가능한 방식으로 모듈 하우징(102)에 힌지 결합된다. 이를 위해, 활성화 플랩(120)은 하나 이상의 피봇 핀(154, 도 4)을 포함하며, 피봇 핀은 하우징(102)의 대응하는 피봇 소켓에 앵커링된다. 활성화 플랩(120)은 도 6에 도시한 피봇축(A2)에 대해 피봇 가능하다. 피봇축(A2)은 푸시 버튼(124)의 종축(A1)에 거의 수직하게 배향된다.
도 3에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다시피, 활성화 플랩(120)은 만곡된 내면(142)을 포함하며, 이 내면은 바람직하게는 푸시 버튼(124)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활성화 플랩(120)이 피봇되면, 푸시 버튼(124)이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화 플랩(120)을 피봇시키기 위해, 활성화 플랩은 돌출부(122)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 3에서는 이 돌출부(122)가 램프형 영역과 견부 영역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돌출부(122)는 활성화 기구(예컨대, 도어 레버)의 실질적인 동작을 마이크로스위치(108) 반대측에 있는 활성화 플랩(120)의 피봇 동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에서, 제1 리셋 요소는 와이어 스프링(148)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와이어 스프링(148)은 한편에서는 하우징(102)에 결합되고, 다른 한편에서는 활성화 플랩(120)의 레버 영역(146)에 결합된다. 와이어 스프링(148)으로서 형성된 제1 리셋 요소는 활성화 플랩(120)을 도 3에 도시한 제1 위치로 편향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3에 도시한 제1 위치에서, 활성화 플랩(120)은 특히, 푸시 버튼(124)의 만곡된 내면(142)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푸시 버튼(124)을 향한 활성화 플랩(120)의 피봇은 와이어 스프링(148)의 리셋력에 반하여 달성된다.
도 4 및 도 5는, 활성화 플랩(120)의 제1 및 제2 위치에서의 모듈을 비교한 것을 보여준다. 상시 상태에서, 즉 스위치(108)가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 활성화 플랩(120)은 도 4에 도시한 제1 위치에 위치한다. 이 제1 위치에서는, 예컨대 활성화 플랩이 푸시 버튼(124)의 선단에 접한다. 그러나, 이 위치에서, 푸시 버튼(124)에 의한 스위치(108)의 활성화는 아직 일어나지 않는다.
활성화 기구의 표면(160)이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램프형 표면(160)은 모듈의 반대측에, 그리고 이에 따라 활성화 플랩(120)의 반대측에 배향되어, 활성화 기구가 이동될 때(예컨대, 도어 레버를 피봇시킬 때), 돌출부(122)를 넘어 이동하여, 활성화 플랩(120)을 푸시 버튼(124)을 향해 피봇시킨다.
활성화 플랩(120)의 제2 위치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활성화 플랩(120)은 램프형 표면(160)을 돌출부(122)와 접촉시킴으로써, 즉 푸시 버튼(124)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시계반향으로 피봇되었다. 이것은 푸시 버튼(124)에 상당한 종축력을 부여하지 않고 마이크로스위치(108)를 활성화한다. 오히려, 램프형 표면(160)과 돌출부(122)의 상호 작용은 활성화 기구의 실질적인 병진 이동을 활성화 플랩(120)의 피봇팅 이동으로 변환하여, 푸시 버튼(124)의 종방향으로 스위치에 작용한다. 이것은 푸시 버튼(124)의 마모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모듈(100)은 리셋 스프링으로서 여기에 도시한 제2 리셋 요소(132)를 더 포함한다. 제2 리셋 요소(13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성화 플랩(12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리셋 요소(132)는, 램프형 요소(160)가 우선 돌출부(122)에 접촉하고, 활성화 기구(예컨대, 도어 레버)가 제2 리셋 요소(132)에 접촉하기 전에 활성화 플랩(122)을 그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활성화 기구를 제2 리셋 요소(132)와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추가의 촉각 피드백이 제공된다. 특히, 제2 리셋 요소(132)는 가동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이것은, 활성화 기구가 제2 리셋 요소(132)와 접촉할 시에 사용자가 초기에 활성화 기구의 추가의 이동에 반하여 작용하는 저항을 경험하고, 정상적인 활성화 중에 한계 정지를 느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제2 리셋 요소(132)는, 특히 활성화 기구가 높은 힘으로 계속될 때에 그 리셋력에 대항하여 여전히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예를 들어, 보덴 케이블을 통한) 기계적 비상 해제를 위한 활성화 기구를 인지된 한계 정지가 있는 경우보다 더 멀리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외적인 경우에만 필요하므로, 제2 리셋 요소(132)의 리셋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200)의 제2 실시예를 도 7 내지 도 10에서 볼 수 있다. 여기에서,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200)의 개략적인 평면 사시도를 보여준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200)은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하우징(202)을 더 포함한다. 하우징(202)은 플러그 영역(206)에 결합된느 스위치 영역(204)을 갖는다. 스위치, 구체적으로 마이크로스위치(208)가 하우징(202)의 스위치 영역(20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및 제2 전기 컨택트(210, 212)가 스위치(208)의 컨택트에 접속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202)의 플러그 영역(206) 내로 연장된다. 활성화 플랩(220)은 하우징(202) 상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된다. 활성화 플랩(220)은 스위치(208)의 푸시 버튼(224)을 활성화하는 기능을 한다. 제2 리셋 요소(232)는 활성화 플랩(22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개방 위치에 있는 활성화 기구를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스위치(208), 전기 컨택트(210, 212) 및 제2 리셋 요소(232)는 제1 모듈(100)의 대응하는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모듈(200)은 특히 도 9에 도시한 활성화 플랩(220)과 제1 리셋 요소(248)의 구성에 의해 모듈(100)과 상이하다.
모듈(100)의 활성화 플랩(120)과 비교하여, 모듈(200)의 활성화 플랩(220)은 역전되어 배치된 돌출부(222)를 갖는다. 즉, 돌출부(222)는 견부 영역이 상방으로 배향된 돌출부를 갖는다. 이와 달리, 램프 영역은 하방으로 배향된다.
도 9로부터 활성화 플랩(220)이 제1 위치로 편향된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활성화 플랩은 제1 리셋 요소에 의해 제1 위치로 편향된다. 제1 리셋 요소(248)는 모듈(200)의 하우징(202)에 결합되는 플랫 스프링으로서 구성된다. 플랫 스프링은 도 9에 따른 예시에서는 활성화 프랩(220)의 저부, 즉 레버 영역(246)에 배치된다. 플랫 스프링(248)은 활성화 플랩(220)을 도 9의 반시계방향으로 압박하여, 제1 위치로 편향한다. 활성화 기구가 활성화되지 않는 한, 활성화 플랩(220)은 도 9에 도시한 제1 위치로 편향된다.
도 10은 제2 위치에 있는 모듈(200)을 보여준다. 플랫 스프링(248)은 제2 위치에서 변형되지 않는다(도시하지 않음). 활성화 플랩(220)이 제2 위치로 이동되면, 플랫 스프링이 스냅 체결되며, 플랫 스프링은 특히 크랙커로서 구성된다. 이는 활성화 플랩의 활성화 그리고 이에 따라 스위치(208)의 활성화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에게 신호하는 청각 신호/피드백을 생성한다.
예컨대, 스위치(208)가 작동될 때, 회로는 소비 장치, 예컨대 도어 개방/잠금 해제를 위한 전기 드라이브에 전원 공급을 제공하기 위해 폐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는 스위치가 작동 요소 및 활성화 플랩(220)에 의해 활성화될 때, 스위치의 아이들 상태에서 폐쇄되어 회로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한 스위치의 기능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작동 요소(예컨대, 도어 레버)와 스위치(108) 사이에 배치된 활성화 플랩(220)에 의한 스위치의 활성화와 본질적으로 관련된다.
다른 양태는 스위치(108)의 단자가 전기 컨택트(110, 112)에 의해 플러그 영역(106)에 접속되는 데에 있다.
사용자가 활성화 기구를 해제하기만 하면, 활성화 플랩(220)은 플랫 스프링(248)에 의해 제1 위치로 전환된다. 도 9에 도시한 플랫 스프링(248)은 활성화 플랩(220)을 제1 위치로 편향시키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스위치(208)의 활성화 시에 추가적인 청각 및/또는 촉각 피드백을 허용한다.
대안으로서, 활성화 플랩(220)은 또한 그 휴지 위치에서 스위치에 대하여 편향될 수 있는데, 즉 활성화 플랩(220)은 그 휴지 위치에서 스위치를 압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요소(예컨대, 도어 레버)를 통한 활성화 플랩의 이동, 구체적으로 피봇팅이 스위치의 해제 또는 개방을 초래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로 제한된다기 보다는, 여기에 개시된 모든 피쳐들을 함께 고려할 때의 결과이다. 특히, 예컨대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와이어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랫 스프링에도 동일한 내용이 적용되며, 제1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활성화 플랩에 있는 돌출부의 배향도 또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에는 하나의 스위치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하우징에 2개 이상의 스위치가 수용되고, 전기 컨택트는 모든 스위치와 동시에 소통하는 것도 고려 가능하다.

Claims (10)

  1. 신호, 특히 차량 도어 또는 플랩을 개방하는 신호 생성용 모듈(100)로서,
    - 스위치 영역(104)을 갖는 하우징(102);
    - 하우징(102)의 스위치 영역에 결합, 구체적으로는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치(108), 특히 마이크로스위치; 및
    - 하우징(102)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활성화 플랩(120)으로서, 작동 요소, 특히 도어 레버의 동작에 의해 제1 위치와, 활성화 플랩(120)에 의해 스위치(108)가 활성화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피봇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 플랩
    을 포함하는 신호 생성용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108)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활성화 요소(124), 즉 푸셔(pusher)를 포함하고, 활성화 플랩(120)은 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며, 피봇축은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인 신호 생성용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활성화 플랩(120)은 만곡된 커버 영역을 포함하고, 이 커버 영역은 스위치(108)의 활성화 요소, 구체적으로 푸셔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호 생성용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호 생성용 모듈(100)은 활성화 플랩(120)을 제1 위치로 편향시키는 제1 리셋 요소(148, 248)를 포함하는 것인 신호 생성용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제1 리셋 요소(248)는 활성화 플랩(120)이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촉각 및/또는 청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호 생성용 모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호 생성용 모듈(100)은 제2 리셋 요소(132), 특히 리셋 스프링을 포함하며, 제2 리셋 요소는, 활성화 플랩(120)이 제2 위치로 이동된 후에 작동 요소의 추가의 동작에 대하여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호 생성용 모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화 플랩(120)은 돌출부(122)를 포함하고, 이 돌출부는 스위치(10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활성화 플랩의 표면 위로 돌출하고, 작동 요소, 특히 도어 레버의 실질적인 병진 이동 동작을 활성화 플랩(120)의 피봇팅 동작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호 생성용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돌출부(122)는 램프 영역과 견부 영역을 포함하며, 램프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의 기울기를 갖는 것인 신호 생성용 모듈.
  9. 차량 도어를 개방하는 활성화 기구로서,
    - 내부에 작동 요소, 특히 도어 레버가 이동 가능하게, 바람직하게는 피봇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되는 작동 요소 하우징; 및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호 생성용 모듈(100)
    을 포함하고, 신호 생성용 모듈(100)은, 활성화 플랩(120)이 작동 요소와 스위치(108) 사이에 배치되도록 작동 요소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인 활성화 기구.
  10. 제9항에 따른 활성화 기구(100)를 갖는 차량.
KR1020230079564A 2022-06-24 2023-06-21 개방 신호 생성용 모듈 KR202400010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2115843.8A DE102022115843B3 (de) 2022-06-24 2022-06-24 Modul zum erzeugen von öffnungssignalen, betätigungsmechanismus mit einem solchen modul, sowie ein fahrzeug mit einem solchen betätigungsmechanismus
DE102022115843.8 2022-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054A true KR20240001054A (ko) 2024-01-03

Family

ID=8809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9564A KR20240001054A (ko) 2022-06-24 2023-06-21 개방 신호 생성용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417087A1 (ko)
KR (1) KR20240001054A (ko)
CN (1) CN117287097A (ko)
DE (1) DE102022115843B3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22250A1 (it) 2002-10-23 2004-04-24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per portiere, sportelli o simili, in particolare
DE102005034763B3 (de) 2005-07-26 2006-09-07 Egon Feldema Schaltmodul, insbesondere Entriegelungsmodul, für Bedienteile
JP7052619B2 (ja) 2018-07-30 2022-04-12 豊田合成株式会社 バックドアハンド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17087A1 (en) 2023-12-28
DE102022115843B3 (de) 2023-10-12
CN117287097A (zh)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7546B2 (ja) スイッチ
US7227090B2 (en) Switching apparatus
US3403237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a one-piece actuator and spring arm structure
US5207317A (en) Snap-action switch actuator
US7214894B1 (en) Switching apparatus
US6420669B1 (en) Toggle mechanism for toggle switches
US4574285A (en) Remote control device having a pivoting case cover
US8895881B2 (en) Power window switch
US7521642B2 (en) Switch assembly for an automotive power window
US7442892B2 (en) Latch release operating apparatus
US6548776B1 (en) Safety device for on/off switch of an electric tool
US5510583A (en) Assembly for sequential switching
JP4217531B2 (ja) スイッチ装置
US7518072B2 (en) Latch releasing device
KR20240001054A (ko) 개방 신호 생성용 모듈
KR200450668Y1 (ko) 차량용 썬루프 작동 스위치
KR20240001056A (ko) 개방 신호 생성용 모듈
KR20240001052A (ko) 개방 신호 생성용 모듈
CN105333404B (zh) 照明装置的端盖和照明装置
KR200400110Y1 (ko) 시트조절용 컨트롤러
US5941371A (en) Electrical switch with latching manual/automatic reset
WO1995015000A1 (en) Multiple position manual switch
KR20230141528A (ko) 차량용 커버를 활성화하는 활성화 기구
KR20230141584A (ko) 차량 도어를 작동하는 작동 기구
GB1604432A (en) Electrical switch comb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