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428B1 - 화장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 Google Patents

화장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428B1
KR101939428B1 KR1020147004900A KR20147004900A KR101939428B1 KR 101939428 B1 KR101939428 B1 KR 101939428B1 KR 1020147004900 A KR1020147004900 A KR 1020147004900A KR 20147004900 A KR20147004900 A KR 20147004900A KR 101939428 B1 KR101939428 B1 KR 101939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nent
fatty acid
ascorbic acid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029A (ko
Inventor
마코토 마츠자와
아즈사 타카나시
츠네키 타카하시
아키 고토우
Original Assignee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7/266Esters or carbo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분 (A): 탄소수 6 ~ 30의 지방산과 평균중합도가 3 이상 100 미만인 폴리글리세린을 에스테르화시켜 얻어지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성분 (B): 물, 및 성분 (C):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트레할로오스, 수크로오스, 시트르산 및 시트르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그리고 상기 화장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COSMETIC COMPOSITION AND COSMETIC}
본 발명은 탄소수 6 ~ 30의 지방산과 평균중합도가 3 이상 100 미만인 폴리글리세린을 에스테르화시켜 얻어지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물을 함유하는 한편,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취기(臭氣))발생이 억제된 화장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1년 9월 29일에 일본에서 출원된 특원2011-214366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으르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그 우수한 안정성과 기능때문에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유화제, 가용화제 등의 계면활성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사용감이 우수하며 경일 안정성이 양호한 저점도의 유액상 W/O형 유화 화장료로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1종 또는 2종 이상과 글리세린, 유기제 및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O형 유화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고형유를 함유하면서 피부의 탄력효과가 우수하고, 경시 안정성, 특히 저온에서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품질을 제공하는 O/W형 유화 화장료로서,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융점 60℃ 이상의 유지, 왁스, 탄화수소로부터 선택되는 고형유를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형 유화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게다가, 특허문헌 3에는 메이크업 얼룩에 쉽게 친숙해져 얼룩 제거가 빠르며, 피부가 젖어있어도 클렌징력이 우수하고, 게다가 헹굼성이 양호하여 수세 후에 유성감이 남지 않아 사용감이 좋고, 투명성이 높으며, 수분산성이 우수한 화장료용 조성물로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으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유사하게 화장료에 범용되고 있는 고분자 화합물로서,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유기폴리실록산이 있다.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유기폴리실록산을 배합함으로써, 각 화장료의 원료성분의 상용성을 향상시켜 광택성 및 매끄러움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습윤성, 기포성(起泡性), 정포성(整泡性), 유화성, 세정성, 대전방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유기폴리실록산 내의 폴리옥시알킬렌 사슬은 산화열화에 의해 취기의 원인이 되는 알데히드류를 생성한다. 이 때문에,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유기폴리실록산을 화장료에 배합한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취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4에는,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유기폴리실록산과 산화방지제를 함유하는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유기폴리실록산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특개평6-128135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2009-234971호 공보
특허문헌 3: 특개2006-45197호 공보
특허문헌 4: 특개2006-176655호 공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화장료용 조성물에서도,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유기폴리실록산과 유사하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취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물을 포함하는 한편, 시간이 지남에 따른 취기 발생이 억제된 화장료용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검토를 거듭한 결과,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조성물에 아스코르브산을 시작으로 하는 특정 화합물을 더 첨가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른 취기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태양을 가진다.
(1) 하기 성분 (A) ~ (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성분 (A): 탄소수 6 ~ 30의 지방산과 평균중합도가 3 이상 100 미만인 폴리글리세린과 에스테르화시켜 얻어지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성분 (B): 물,
성분 (C):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의 염,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염, 트레할로오스, 수크로오스, 시트르산 및 시트르산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2) 성분 (D)로서 유성 성분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화장료용 조성물.
(3) 성분 (E)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다만, 성분 (A)를 제외)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화장료용 조성물.
(4) 성분 (E)로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탄소수 6 ~ 22의 지방산과 수산기를 2 ~ 4개 가지는 다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시켜 얻어지고, 모노에스테르의 질량과 디에스테르의 질량의 합계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의 전 질량의 50% 이상인 한편,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질량비율이 (모노에스테르의 질량)/(디에스테르의 질량)으로 표시하여 12 이하인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된 화장료용 조성물.
(5) 상기 수산기를 2 ~ 4개 가지는 다가 알코올이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소르비탄 및 펜타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다가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된 화장료용 조성물.
(6) 화장료용 조성물 내의 상기 성분 (B)의 배합량이 화장료용 조성물의 전 질량에 대하여 0.001 ~ 5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용 조성물.
(7) 상기 화장료용 조성물이 클렌징 화장료용 조성물 또는 목욕용 화장료용 조성물인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용 조성물.
(8)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9) 하기 성분 (A) ~ (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성분 (A): 탄소수 6 ~ 30의 지방산과 평균중합도가 3 이상 100 미만인 폴리글리세린을 에스테르화시켜 얻어지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성분 (B): 물,
성분 (C):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의 염,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염, 트레할로오스, 수크로오스, 시트르산 및 시트르산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10) 하기 성분 (A) 및 성분 (B)를 포함하는 함수 화장료에 하기 성분 (C)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수 화장료의 방취방법;
성분 (A): 탄소수 6 ~ 30의 지방산과 평균중합도가 3 이상 100 미만인 폴리글리세린을 에스테르화시켜 얻어지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성분 (B): 물,
성분 (C):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의 염,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염, 트레할로오스, 수크로오스, 시트르산 및 시트르산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을 함유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른 취기 발생이 억제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하기 성분 (A) ~ (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성분 (A): 탄소수 6 ~ 30의 지방산과 평균중합도가 3 이상 100 미만인 폴리글리세린을 에스테르화시켜 얻어지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성분 (B): 물,
성분 (C):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의 염,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염, 트레할로오스, 수크로오스, 시트르산 및 시트르산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성분 (A)로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 6 ~ 30의 지방산과 평균중합도가 3 이상 100 미만인 폴리글리세린을 에스테르화시켜 얻어지는 화합물이다.
성분 (A)의 원료가 되는 탄소수 6 ~ 30의 지방산은 직쇄상일 수도 있고, 분기상일 수도 있다. 또한, 포화지방산일 수도 있고, 불포화지방산일 수도 있다.
탄소수 5 이하의 지방산으로부터 얻어진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피부자극 등의 안정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탄소수 31 이상의 지방산으로부터 얻어진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물에의 용해성이 매우 낮다. 탄소수 6 ~ 30의 지방산으로는 구체적으로 헥산산, 옥탄산(카프릴산), 노난산, 데칸산(카프린산), 도데칸산(라우린산), 테트라데칸산(미리스틴산), 펜타데칸산, 헥사데칸산(팔미틴산), 옥타데칸산(스테아린산), 이코산산, 도코산산(베헨산) 등의 직쇄포화지방산; 2-에틸헥산산, 3,5-트리메틸헥산산, 이소트리데칸산, 2-헥실데칸산, 2-헥실도데칸산, 2-옥틸데칸산, 이소스테아린산, 2-옥틸도데칸산 등의 분기쇄포화지방산; 10-운데센산(운데실렌산), 9-테트라데센산(미리스틴올레인산), 2-헥사데센산, 9-헥사데센산, 9-옥타데센산(올레인산), 13-도코센산, 9,12-옥타데칸디엔산(리놀산), 6,9,12-옥타데칸트리엔산(리놀렌산), 톨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DHA) 등의 불포화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A)의 원료가 되는 탄소수 6 ~ 30의 지방산으로는 반응성인 점으로부터 탄소수 6 ~ 24의 지방산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8 ~ 22의 지방산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16 ~ 22의 지방산이 더욱 바람직하고, 탄소수 16 ~ 20의 지방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A)의 원료가 되는 폴리글리세린은 평균중합도가 3 이상 100 미만이다. 성분 (A)의 원료로는,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3 ~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 ~ 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글리세린은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폴리글리세린 중의 환상체의 함유량은 폴리글리세린의 전 질량에 대하여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환상체의 함유량은 LC/MS 등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성분 (A)로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 6 ~ 30의 지방산과 평균중합도가 3 이상 100 미만인 폴리글리세린을 에스테르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성분 (A)로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어떤 합성방법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과의 에스테르화 반응, 폴리글리세린과 지방산 에스테르류와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폴리글리세린과 유지류와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성분 (A)로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1 분자의 폴리글리세린에 1종류의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된 것일 수도 있고, 1 분자의 폴리글리세린에 2종류 이상의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된 것일 수도 있다. 성분 (A)로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수산기가는 300 ~ 7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 ~ 6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 ~ 6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산기가가 300 ~ 700인 경우, 성분 (B)의 물이 고배합될 수 있어 다룸성이 우수한 화장료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특히, 클렌징 화장료에 배합할 때 물의 가용화능이 높고 더러워진 손에도 클렌징능이 높은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수산기가는 기준 유지분석시험법에 기초하여 1g의 시료에 포함되는 유리 수산기를 아세틸화시키는데 필요한 아세트산을 중화하는데 요구되는 수산화칼륨의 mg 수를 구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탄소수 6 ~ 30의 지방산과 평균중합도가 3 이상 100 미만인 폴리글리세린을 에스테르화시키는 방법으로는 통상의 에스테르화법을 들 수 있다.
성분 (A)로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구체적으로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10인 디올레인산 폴리글리세릴,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6 ~ 10인 올레인산 폴리글리세릴,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3 ~ 10인 카프릴산 폴리글리세릴,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10인 라우린산 폴리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10인 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10인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A)로서, 1종류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만을 함유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성분 (A)로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사라코스 PG-218"(유효성분: 디올레인산 폴리글리세릴,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 10) 및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사라코스 PG-180"(유효성분: 올레인산 폴리글리세릴,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 10) 등이 적당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2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 내의 성분 (A)로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화장료용 조성물을 배합하는 화장료에서 원하는 기능(예를 들어, 유화제, 가용화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양이라면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용 조성물 내의 성분 (A)로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배합량은 화장료용 조성물의 전 질량에 대하여 1 ~8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용 조성물 내의 성분 (A)로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배합량은 화장료용 조성물의 전 질량에 대하여 4 ~ 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의 배합량이 1 ~ 80%라면, 성분 (B)의 물이 고배합될 수 있고, 특히 클렌징 화장료용 조성물 및 클렌징 화장료의 경우 젖은 손에서도 클렌징능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씻어내기가 용이하여 잔류하지 않는 화장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를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B)로서 물을 함유한다. 물은 일반적으로 화장료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일 수 있고, 이온 교환수, 증류수, 과일이나 야채 유래의 물, 탈염 해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과일이나 야채 유래의 물이라는 것은 야채즙이나 과일즙의 농축액을 조정할 때 증류에 의해 제거되는 물을 의미하며, 물에 미량의 향기성분이나 장류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탈염 해수는 해수 또는 해양 심층수로부터 염분을 제거한 미네랄 성분이 풍부한 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 내의 성분 (B)로서의 물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성분 (A) 등의 그 외의 성분의 배합량 등을 고려하여 적당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용 조성물을 클렌징 화장료나 또는 목욕용 화장료 등의 수분 함유량이 비교적 적은 화장료에 배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화장료용 조성물 내의 성분 (B)로서의 물의 배합량은 비교적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화장료용 조성물 내의 성분 (B)로서의 물의 배합량은 화장료용 조성물의 전 질량에 대하여 0.001 ~ 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 ~ 1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화장료용 조성물 내의 성분 (B)로서의 물의 배합량은 화장료용 조성물의 전 질량에 대하여 1 ~ 50 질량%가 바람직하다.
성분 (B)의 배합량이 0.001 ~ 50 질량%라면 점도가 낮고, 다룸성이나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감촉이 우수함과 동시에 수용성의 유효성분을 배합할 수 있으므로, 보다 넓은 범위의 처방에 응용할 수 있다.
성분 (A)와 (B)를 포함하는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A)만을 가지는 것보다도 점도가 낮고, 다룸성이나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감촉이 우수하다. 또한, 성분 (B)를 포함함으로써 수용성의 유효성분 등을 배합할 수 있고, 보다 넓은 범위의 처방에 응용할 수 있다.
한편으로, 성분 (A)와 (B)를 포함하는 것은 시간에 따라서 취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A)로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성분 (B)로서 물에 성분 (B)로서 특정의 화합물을 더 함유함으로써, 경시적으로 성분 (A)로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발생하는 취기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취기가 발생하는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물과 접촉함으로써 그 일부가 가수분해되어 취기의 원인물질이 산생되는 것으로 짐작된다.
성분 (C)로서의 화합물로는,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의 염,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염, 트레할로오스, 수크로오스, 시트르산 및 시트르산의 염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모두 수용성 화합물이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또는 시트르산의 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며, 또한 수용성 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용성 염으로는 L-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 L-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시트르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시트르산나트륨으로는 시트르산삼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C)로서, 1종류의 화합물만을 함유하고 있을 수 있고,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조합하여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성분 (C)로서의 화합물로서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의 염,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염, 시트르산, 시트르산의 염, 트레할로오스 및 수크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 L-아스코르브산 글루코시드,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트레할로오스 및 수크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의 염,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및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염 중 1종류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의 염,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및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관련 수용성 화합물의 구체예를 들자면, 아스코르브산으로는 L-아스코르브산을 들 수 있고, 아스코르브산의 염으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바륨염, 암모늄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염 및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로는 L-아스코르브산 글루코시드, L-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3-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6-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2-폴리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2-황산에스테르 등의 L-아스크로브산 모노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염으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바륨염, 암모늄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염 및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특히, L-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나트륨, L-아스코르브산 글루코시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르산염으로는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칼슘, 시트르산알루미늄, 시트르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시트르산나트륨으로는 시트르산삼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 내의 성분 (C)로서의 화합물의 배합량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의 경시적인 취기 발생에 대한 억제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는데 충분한 농도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성분 (A)의 종류나 배합량, 성분 (C)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적당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장료용 조성물 내의 성분 (C)로서의 화합물의 배합량은 성분 (A)의 질량에 대하여 0.005 ~ 2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 2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 15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01 ~ 10 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C)의 배합량이 0.005 ~ 20 질량%라면, 석출되지 않고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D)로서 유성성분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D)로서의 유성성분으로는 통상 화장품에 이용할 수 있는 기름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합성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동식물이나 합성 정유성분, 지용성 비타민, 인지질, 고급 알코올, 불소계 유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반합성 유지, 탄화수소유, 합성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동식물이나 합성 정유성분이 바람직하다.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로는 아보카드유, 아마인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소맥 배아유, 호마유, 쌀배아유, 미강유, 해바라기유, 대두유, 달맞이꽃유, 옥수수유, 채종유, 마지, 팜유, 팜핵유, 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호호바유, 마카데미아너트유, 야자유, 경화 야자유, 땅콩유, 라놀린, 동백유, 거북이유, 밍크유, 난황유, 퍼식유, 애기동백유, 포도씨유, 면실유, 임유, 다실유, 비유, 쌀겨유, 동유, 일본동유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대두유, 달맞이꽃유, 채종유, 팜유, 팜핵유, 피마자유, 호호바유, 마카데미아너트유, 야자유, 동백유, 포도씨유가 바람직하다.
탄화 수소유로는 스쿠알란,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이소파라핀, α-올레핀 올리고머, 바세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이소파라핀, α-올레핀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
합성에스테르유로는 예를 들어, 이소소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데실,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팔미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2-에틸헥실, 스테아린산부틸,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올레인산데실, 옥탄산세틸,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옥틸도데실, 락트산테트라데실, 아세트산라놀린, 스테아린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이소스테아릴,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콜레스테롤,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피토스테릴, 올레인산피토스테릴,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 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알킬글리콜, 디에틸헥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이소스테아린산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트리에틸헥사노인),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미리스틴산/스테아린산)글리세릴, 트리미리스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이소스테아린산/세바신산)디트리메틸올프로판올리고에스테르, 트리에틸헥산산에리스리틸, 트리폴리히드록시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스리틸, 이소스테아린산트레할로오스에스테르즈, 펜타이소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스리틸, 트리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 테트라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올레인산올레일, 아세트글리세라이드, 팔미틴산2-헵틸운데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아디핀산·2-에틸헥산산·세바신산)디글리세릴올리고에스테르,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핀산디-2-헵틸운데실, 라우린산헥실, 라우린산에틸, 세바신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틴산2-헥실데실, 팔미틴산2-헥실데실, 아디핀산2-헥실데실, 세바신신디이소프로필, 숙신산2-에틸헥실, 파라메톡시계피산에스테르, 테트라로진산펜타에리스리톨, 트리테트라데칸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린,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시트르산트리에틸, 트리(베헨산/이소스테아린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숙신산비스에톡시디글리콜, 디이소노난산네오펜틸글리콜, (이소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2-/다이머-디리놀산)코폴리머, 다이머-디리놀산 수첨 피마자유, 디(카프릴산/카프린산)프로판디올, 디이소스테아린산프로판디올, 옥타카프릴산폴리글리세릴-6, 시클로헥산-1,4-디카르본산비스에톡시디글리콜,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이소옥틸산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에틸헥산산세틸,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트리에틸헥사노인)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유로는 예를 들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등의 쇄상 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타르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히드로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환상 폴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알킬실록산, 스테아록시실리콘 등의 고급 알콕시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어,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베헤닌)산, 올레인산, 운데실렌산, 톨산, 이소스테아린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의 직쇄 알코올;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등의 분기쇄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인지질로는 대두 인지질, 수첨 대두 인지질, 채종 인지질, 수첨 채종 인지질, 난황 인지질, 수첨 난황 인지질 등의 레시틴 및 수첨 레시틴류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첨 대두 인지질, 수첨 채종 인지질, 수첨 난황 인지질 등의 수첨 레시틴이 바람직하다.
불소계 유제로는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데칼린, 퍼플루오로아다만탄, 퍼플루오로부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퍼플루오로옥탄, 퍼플루오로노난, 퍼플루오로펜탄, 퍼플루오로데칸, 퍼플루오로도데칸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비타민으로는 예를 들어, 토코페롤이나 그 유도체, 레티놀이나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성분 (D)로는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에틸헥산산세틸,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유동파라핀, 트리에틸헥사노인 및 수첨 레시틴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D)로서의 유성 성분으로서 1종류의 유성성분만을 함유할 수 있고, 2종류 이상의 유성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성분 (D)로는 시판되고 있는 유성성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 내의 성분 (D)로서의 유성성분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성분 (A) 등의 그 외의 성분의 배합량, 본 발명의 화장료용 조성물을 배합하는 화장료용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 내의 성분 (D)로서의 유성성분의 배합량은 화장료용 조성물의 전 질량에 대하여 10 ~ 9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85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 80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5 ~ 80 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D)의 배합량이 10 ~ 90 질량%라면, 피부에의 친화성이 좋고, 특히 클렌징 화장료용 조성물 및 클렌징 화장료로서 사용할 때 메이크와의 친화성이 좋고, 클렌징능이 우수한 것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A) ~ (C)에 성분 (E)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E)로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화장료용 조성물의 전 질량에 대하여 0.0001 ~ 60 질량% 함유할 수 있다. 클렌징 화장료 등의 세정력이 요구되는 화장료에 배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 내의 성분 (E)로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한 측면에서 화장료용 조성물의 전 질량에 대하여 1 ~ 4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3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 내의 성분 (E)로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다른 측면에서 화장료용 조성물의 전 질량에 대하여 0.7 ~ 6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E)의 배합량을 1 ~ 40 질량%로 성분 (A)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성분 (D)가 배합될 때에 안정성이 높은 화장료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특히 클렌징 화장료용 조성물 및 클렌징 화장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메이크 친화력이 좋고, 클렌징능이 우수한 것을 제조할 수 있다.
성분 (D)로서의 유성성분과 성분 (E)로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께 함유하는 경우, 성분 (D)로서의 유성성분과 성분 (E)로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 비율은 질량비로 10:0.1 ~ 0.1:10이 바람직하다. 성분 (D)로서의 유성성분과 성분 (E)로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본 발명의 화장료용 조성물을 클렌징 화장료나 또는 목욕용 화장료 등의 수분함유량이 비교적 적은 화장료에 배합한 경우에도 성분 (A)로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성분 (E)로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친수기로서 이온화되는 기를 가지지 않는 계면활성제이며,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가지는 것;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폴리알킬렌글리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알칸올 아미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과 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의 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당에테르, 지방족 아민과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과의 축합물, 알킬 또는 알케닐폴리글리코시드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성분 (E)로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에는 성분 (A)로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포함되지 않는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POE-소르비탄모노올리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모노올리에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리에이트 등의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리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리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POE-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모노올리에이트,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리에이트, 디스테아린산에틸렌글리콜 등의 POE-지방산 에스테르류; 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탄올에테르 등의 POE-알킬에테르류; 플루로닉 등의 플루로닉형류; 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모노부틸에테르, POE·POP-수첨 라놀린, POE·POP-글리세린에테르 등의 POE·POP-알킬에테르류; 테트로닉 등의 테트라 POE·테트라POP-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 POE-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타민산모노이소스테아린산디에스테르, POE-경화 피마자유 말레인산 등의 POE-피마자유 유도체나 POE-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POE-소르비트 밀랍 등의 POD-밀랍·라놀린 유도체;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코카미도DEA), 라우린산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의 알칸올아미드; POE-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지방산 아미드;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POE-노닐페닐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 트리올레일인산; 메틸폴리실록산·세틸메틸폴리실록산·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변성 실리콘; 소르비탄모노올리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키올리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리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데실글리코시드, 모노 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르카산글리세린, 세스키올레인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α,α'-올레인산피로글루타민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모노올레인산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모노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 축합리시놀레인산글리세릴 등의 디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세스키카프릴산폴리글리세릴, 디카프릴산폴리글리세릴, 모노라우린산폴리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 디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 디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 등의 폴리글리세린의 중합도가 2 이하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POE"는 폴리옥시에틸렌을 의미하여, "POP"는 폴리옥시프로필렌을 의미한다.
성분 (E)로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탄소수 6 ~ 22의 지방산과 수산기를 2 ~ 4개 가지는 다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시켜 얻어지는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이며, 상기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가 다가 알코올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이하, '모노에스테르'라 칭함) 및 다가 알코올 지방산 디에스테르(이하, '디에스테르'라 칭함)를 포함하는 혼합물이고, 모노에스테르의 질량과 디에스테르의 질량의 합계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의 전 질량의 50% 이상인 한편,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와의 질량비율이 (모노에스테르의 질량) / (디에스테르의 질량)으로 나타내어 12 이하인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4 이하인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고, 2.3 ~ 1.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의 원료가 되는 탄소수 6 ~ 22의 지방산은 직쇄상일 수 있고, 분기상일 수도 있다. 또한, 포화지방산일 수 있고, 불포화지방산일 수도 있다. 탄소수 6 ~ 22의 지방산으로는 구체적으로는, 헥산산, 옥탄산(카프릴산), 노난산, 데칸산(카프린산), 도데칸산(라우린산), 테트라데칸산(미리스틴산), 펜타데칸산, 헥사데칸산(팔미틴산), 옥타데칸산(스테아린산), 이코산산, 도코산산(베헨산) 등의 직쇄 포화지방산; 2-에틸헥산산, 3,5,5-트리메틸헥산산, 이소트리데칸산, 2-헥실데칸산, 2-헥실도데칸산, 2-옥틸데칸산, 이소스테아린산, 2-옥틸도데칸산 등의 분기 포화지방산; 2-옥틸도데칸산, 10-운데칸산(운데실렌산), 9-테트라데칸산(미리스톨레인산), 2-헥사데칸산, 9-헥사데칸산, 9-옥타데칸산(올레인산), 13-도코센산, 9,12-옥타데칸디엔산(리놀산), 6,9,12-옥타데칸트리엔산(리놀렌산), 톨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의 불포화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의 원료가 되는 수산기를 2 ~ 4개 가지는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펜타에리스리톨, 네오펜틸글리콜, 소르비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소르비탄, 펜타에리스리톨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E)로서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 6 ~ 22의 지방산과 수산기를 2 ~ 4개 가지는 다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성분 (E)로서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임의의 합성 방법으로부터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과 지방산의 에스테르화 반응, 다가 알코올과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다가 알코올과 유지류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필요에 따라서 증류정제, 탈색처리,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2종 이상의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를 배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성분 (E)로서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1 분자의 다가 알코올에 1종류의 지방산이 에스테르결합된 것일 수 있고, 1 분자의 다가 알코올에 2종류 이상의 지방산이 에스테르결합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이 클렌징 화장료 등의 세정력이 요구되는 화장료에 배합되는 경우, 성분 (E)로서 함유시키는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내의 모노에스테르의 질량과 디에스테르의 질량의 합계는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의 전 질량에 대하여 질량비로 5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합계를 50% 이상으로 함으로써, 물의 가용화율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내의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질량비율은 (모노에스테르의 질량) / (디에스테르의 질량)으로 나타내어 12 이하가 바람직하고, 2.3 ~ 12가 보다 바람직하고, 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3 ~ 0.4가 특히 바람직하고, 1.5 ~ 0.4가 가장 바람직하다.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의 질량비율을 12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물의 존재하에서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E)로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 1종류의 계면활성제만을 함유할 수 있고, 2종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성분 (E)로는 시판되고 있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세스키카프릴산폴리글리세릴(폴리글리세린의 중합도: 2,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합계: 68%,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질량비율: 1), 및 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 2,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합계: 100%,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질량비율: 11) 등이 적당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않는 범위에서 관능개량, 피부영양 부여, 품질노화 방지 등을 목적으로 상기 성분 (A) ~ (E)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적으로 화장료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각종 성분을 필요에 따라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천연 수용성 고분자,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 합성 수용성 고분자, 무기 수용성 고분자, 자외선 흡수제, 금속이온 봉쇄제,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단당, 올리고당, 다당, 아미노산, 유기아민, 합성수지 에멀전, 방부제, pH 조정제, 비타민류, 식물추출 엑기스, 산화방지제, 산화방지조제, 향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갈락탄, 구아검, 캐롭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퀸스시드(마르멜로), 조류 콜로이드(갈조 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등의 식물계 고분자, 덱스트란, 숙시노글리칸, 플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및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를 들 수 있다.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스나트륨, 결정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카보폴)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공중합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및 양이온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벤토나이트, 규산AlMg(비검), 라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및 무수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파라아미노안식향산(이하, PABA라 칭함), PABA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토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l-캄퍼, 3-벤질리덴-d,l-캄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에스테르,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잘아진,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닐리덴)-3-펜탄-2-온, 및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 디메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 안식향산헥실(예를 들면, 상품명: 유비날A+, BASF사 제품), 에틸헥실트리아진(예를 들면, 상품명: 유비날 T-150, BASF사 제품), 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예를 들면, 상품명: 파솔1789, DSM사 제품),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예를 들면, 상품명: 틴소브S, 치바사 제품), 디에틸헥실부타미드트리아존(예를 들면, 상품명: 유바소브HEB 3V, sigma사 제품), 옥시벤존-3(예를 들면, 상품명: 유비날M-40, BASF사 제품) 등은 실리콘유에는 용해되기 어렵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를 용해시킨 유제에 실리콘유가 상용하면 자외선 흡수제의 용해도가 저하되고, 석출 등이 일어나는 일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용 조성물에서는 자외선 흡수제를 용해시킨 유제와 실리콘유가 상용하지 않는 상태라도 유화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자외선 흡수제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로는 예를 들어,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염 및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저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의 원료가 되는 수산기를 2 ~ 4개 가지는 다가 알코올로서 예시된 것과 동일한 것들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이 바람직하다.
단당으로는 예를 들어, D-글리세릴알데히드, 디히드록시아세톤 등의 삼탄당; D-에리트로오스, D-에리트룰로오스, D-트레오스 등의 사탄당; L-아라비노스, D-자일로스, L-리소오스, D-아라비노스, D-리보오스, D-리불로오스, D-자일룰로오스, L-자일룰로오스 등의 오탄당; D-글루코스, D-타가토스, D-사이코스, D-갈락토스, D-프룩토스, L-갈락토스, L-만노오스, D-타가토스 등의 육탄당; 알도헵토오스, 헵툴로오스 등의 칠탄당; 옥토오스 등의 팔탄당; 2-데옥시-D-리보오스, 6-데옥시-L-갈락토스, 6-데옥시-L-만노오스 등의 데옥시당; D-글루코사민, D-갈락토사민, 시알산, 아미노우론산, 무라민산 등의 아미노당; 및 D-글루쿠론산, D-만누론산, L-글루론산, D-갈락트론산, L-이두론산 등의 우론산 등을 들 수 있다.
올리고당으로는 예를 들어, 겐티아노스, 움벨리페로스, 락토오스, 플란테오스, 이소리크노오스류, 라피노스, 리크노오스류, 움빌리신 및 스타키오스 베바스코스류 등을 들 수 있다.
다당으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콘드로이틴황산, 덱스트린, 글루코만난, 키틴, 갈락탄, 테르마탄황산, 글리코겐, 아라비아검, 헤파란황산, 트라간트검,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 무코이틴황산, 구아검, 덱스트란, 케라토황산, 로커스트콩검, 숙시노글루칸 및 카로닌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는 예를 들어,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몰포린,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및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수지 에멀전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알킬 중합체 에멀전, 메타크릴산알킬 중합체 에멀전,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전, 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전, 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전, 메타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전, 아크릴산알킬·스티렌 공중합체 에멀전, 메타크릴산알킬·스티렌 공중합체 에멀전, 아세트산비닐중합체 에멀전,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전, 아세트산비닐함유 공중합체 에멀전, 비닐피롤리돈·스티렌 공중합체 에멀전, 실리콘함유 공중합체 에멀전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수지 에멀전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방부제로는 예를 들어,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pH 조정제로는 예를 들어, 에데트산, 에데트산이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비타민류로는 예를 들어,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E, 비타민 K 및 그것들의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식물추출 엑기스로는 알로에베라, 위치하젤, 하마멜리스, 오이, 레몬, 라벤더, 장미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유용성 비타민 C 유도체, 토코페롤류 및 그것들의 유도체 그리고 그것들의 염,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및 몰식자산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산화방지조제로는 예를 들어, 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 마론산, 숙산산, 푸마르산, 케팔린,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트산 및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화장료의 원료로서 사용되지만, 그 외에도 의약부외품, 의약품, 세정제 등의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클렌징 화장료나 목욕용 화장료 등의 수분함유량이 비교적 적은 화장료의 원료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을 화장료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장료 내의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함유비율은 10 ~ 90 질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예비혼합된 복합원료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복합원료의 하나로서 화장료에 함유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한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구체적으로는 성분 (B)와 성분 (C)를 혼합하고, 이어서 성분 (A)를 추가하여 화장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료용 조성물이 성분 (D) 및 (E)를 포함하는 경우는, 성분 (B) 및 (C)를 혼합하고, 이어서 그것을 성분 (A), (D) 및 (E)를 혼합한 것에 추가하여 화장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제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특히 클렌징 화장료, 유액, 크림, 미용액, 화장수, 연고, 팩 등에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관능개량, 피부영양 부여, 품질노화방지 등을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각종 성분을 필요에 따라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비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 무기안료, 유기안료, 산화철, 탈크 등의 분말성분; 천연 수용성 고분자,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 합성 수용성 고분자, 무기 수용성 고분자, 자외선 흡수제, 금속이온 봉쇄제, 저급 알코올, 단당, 올리고당, 다당, 아미노산, 유기아민, 합성수지 에멀전, 염류, 방부제, pH 조정제, 비타민류, 식물추출 엑기스, 산화방지제, 산화방지조제,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의 성분으로는 상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으며, 이것들의 성분은 1종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종래 공지의 화장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장료의 제조방법으로는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각종 성분으로서 상술한 성분을 혼합하여 화장료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원하는 제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본 발명의 화장료용 조성물로서 예를 든 성분 (A) ~ (C){필요에 따라 성분 (D), (E)를 더 함유) 중 어느 1종 또는 여러 종을 함유한 화장료를 제조하고, 그 후 상기 화장료에 나머지 성분 또는 그것들을 포함하는 화장료 원료를 첨가하여 화장료를 완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는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로 예를 든 성분 (A) ~ (C){필요에 따라서 성분 (D), (E)를 더 포함} 중 어느 1종 또는 여러 종을 함유한 화장료이다. 본 발명의 제2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는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에 그 외의 원료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성분 (A) ~ (C)를 그 외의 원료와 함께 별개로 첨가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태양에 따른 함수 화장료의 탈취방법은, 성분 (A) 및 (B)를 포함하는 함수 화장료에 성분 (C)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성분 (A)로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성분 (B)로서 물을 포함하는 함수 화장료에 대하여, 성분 (C)로서의 화합물 1종 또는 여러 종을 적당량 첨가함으로써 상기 함수 화장료의 보존 후 취기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태양에 따른 함수 화장료의 탈취방법은, 성분 (A) 및 성분 (B)를 포함하는 함수 화장료에 성분 (D)를 더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태양에 따른 함수 화장료의 탈취방법은, 성분 (A) 및 성분 (B)를 포함하는 함수 화장료에 성분 (E)를 더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성분 (A) 및 성분 (B)를 포함하는 함수 화장료에 성분 (C), 성분 (D) 및 성분 (E)를 첨가하는 경우, 성분 (A)에 성분 (D) 및 성분 (E)를 첨가하고, 이어서 미리 혼합해놓은 성분 (B) 및 성분 (C)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A) ~ (C)를 포함하며, 성분 (A)은 수산기가 400 ~ 630이고, 지방산의 탄소수가 16 ~ 20인 한편,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8 ~ 12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이고, 성분 (B)는 물이고, 성분 (C)는 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 L-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트레할로오스 및 수크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A) ~ (C)를 포함하며, 성분 (A)는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10인 디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6 ~ 10인 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3 ~ 10인 카프릴산폴리글리세릴,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10인 라우린산폴리글리세릴,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10인 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10인 디이소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이고, 성분 (B)는 물이고, 성분 (C)가 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 L-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트레할로오스 및 수크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A) ~ (C)를 포함하며, 성분 (A)는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10인 한편 수산기가가 300 ~ 700인 디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 또는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10인 한편 수산기가가 300 ~ 700인 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이고, 성분 (B)는 물이며, 성분 (C)는 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 L-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트레할로오스 및 수크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A) ~ (E)를 포함하며, 성분 (A)는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10인 한편 수산기가가 300 ~ 700인 디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 또는 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10인 한편 수산기가가 300 ~ 700인 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이고, 성분 (B)는 물이며, 성분 (C)는 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 L-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트레할로오스 및 수크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성분 (D)는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에틸헥산산세틸,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유동 파라핀, 트리에틸헥사노인 및 수첨 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이고, 성분 (E)는 탄소수 6 ~ 22인 지방산 에스테르와 수산기를 2 ~ 4개 가지는 다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시켜 얻어지는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합계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내의 50% 이상인 한편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와의 질량비가 (모노에스테르의 질량)/(디에스테르의 질량)으로 나타내어 12 이하인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따른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A) ~ (E)를 포함하며, 성분 (A)는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10인 한편 수산기가가 300 ~ 700인 디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 또는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10인 한편 수산기가가 300 ~ 700인 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이고, 성분 (B)는 물이며, 성분 (C)는 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 L-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트레할로오스 및 수크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성분 (D)는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에틸헥산산세틸,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유동 파라핀, 트리에틸헥사노인 및 수첨 레시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이고, 성분 (E)는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2인 세스키카프릴산폴리글리세릴 또는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2인 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2, 비교예 1 ~ 5]
(제법)
표 1에 나타낸 배합에서, 물과 아스코르브산 및 L-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 이외의 모든 성분을 비커에 칭량하여 넣고, 혼합하여 80℃로 가열하여 용해하고, 교반하면서 천천히 냉각하였다. 냉각 후, 얻어진 혼합물에 물과 아스코르브산 및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을 균일하게 용해시킨 것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탈기하고, 얻어진 화장료용 조성물을 샘플로 하였다.
또한, 표 1 중 "디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10"은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10인 디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성분(A))이다.
"세스키카프릴산폴리글리세릴-2"는 폴리글리세린의 평균중합도가 2인 세스키카프릴산폴리글리세릴(성분 (E))이다. "사라코스 99" 및 "사라코스 816T"는 유성성분(성분 (D))이다. "노무코트 HK-G"는 유성의 겔화제이며, 유성성분(성분 (D))이다.
(평가)
50℃에서 1개월 보존한 후의 샘플의 냄새를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산과 같은 냄새가 나지 않음.
○: 산과 같은 냄새가 거의 나지 않음.
△○: 미묘하게 산과 같은 냄새가 남.
△: 약간 산과 같은 냄새가 남.
×: 산과 같은 냄새가 남.
××: 매우 산과 같은 냄새가 남.
실시예 1 ~ 2, 비교예 1 ~ 5 (질량%)
표 1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5
디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10*1 14 14 14 - 14 20 14
세스키카프릴산폴리글리세릴-2*2 6 6 6 6 - - 6
이소노난산이소노닐*3 8 8 8 8 8 - 8
에틸헥산산세틸*4 69.99 69.99 70 84 76 - 71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5 1 1 1 1 1 - 1
1 1 1 1 1 80 -
아스코르브산 0.01 - - - - - -
L-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 - 0.01 - - - -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냄새(50℃, 4주간 보존) ×× ×× ××
*1 : 수산기가 447.7
*2 : 폴리글리세린의 중합도:2,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합계: 68%,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질량비율:1
*3 : "사라코스 99"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4 : "사라코스 816T"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5 : "노무코트 HK-G"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성분 (A)로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지만 성분 (B)로서 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5에서는 50℃에서 4주간 보존(장기고온보존) 후의 샘플에서는 산과 같은 냄새는 거의 나지 않았으나, 성분 (A)로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성분 (B)로서 물을 포함하는 한편 성분 (C)로서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3 및 4에서는 50℃에서 4주간보존(장기고온보존) 후의 샘플은 매우 산과 같은 냄새가 났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의 샘플로부터 성분 (A)로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만을 제외한 비교예 2의 샘플에서는 장기고온보존 후에도 냄새는 나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의 샘플에 성분 (C)로서의 화합물을 배합한 실시예 1 및 2의 샘플은 모두 장기고온보존 후에도 냄새는 나지 않았다. 따라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조성물에 아스코르브산을 시작으로 특정 화합물을 더 첨가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취기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6, 비교예 6]
(제법)
표 2에 나타낸 배합에서, 물,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트레할로오스 및 수크로오스 이외의 모든 성분을 비커에 칭량하여 넣고, 혼합하여 80℃로 가열하여 용해하고, 교반하면서 천천히 냉각하였다. 냉각 후, 얻어진 혼합물에 물,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트레할로오스 및 수크로오스를 균일하게 용해한 것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탈기하고, 얻어진 화장료용 조성물을 샘플로 하였다.
(평가)
각 샘플을 50℃에서 1개월 보존하고, 1주간 경과한 후에 냄새를 실시예 1 등과 같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5 (질량%)
표 2
실시예
3 4 5
디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10*1 14 14 14
세스키카프릴산폴리글리세릴-2*2 6 6 6
이소노난산이소노닐*3 8 8 8
에틸헥산산세틸*4 69.99 69.99 69.99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5 1 1 1
1 1 1
시트르산 0.02 - -
시트르산나트륨 0.08 - -
트레할로오스 - 0.01 -
수크로오스 - - 0.01
100 100 100
냄새(50℃, 1주간보존)
냄새(50℃, 2주간보존)
냄새(50℃, 3주간보존)
냄새(50℃, 4주간보존) △○
*1 : 수산기가 447.7
*2 : 폴리글리세린의 중합도:2,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합계: 68%,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질량비율:1
*3 : "사라코스 99"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4 : "사라코스 816T"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5 : "노무코트 HK-G"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각종의 성분 (C)로서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3 ~ 5의 샘플에서는 효과의 다소는 있으나, 모두 비교예 1의 샘플보다도 고온보존 후에 발생하는 산과 같은 냄새가 억제되었다.
[비교예 6, 7]
(제법)
표 3에 나타낸 배합에서, 물 이외의 모든 성분을 비커에 칭량하여 넣고, 혼합하여 80℃로 가열하여 용해하고, 교반하면서 천천히 냉각하였다. 냉각 후, 얻어진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탈기하고, 얻어진 화장료용 조성물을 샘플로 하였다.
(평가)
각 샘플을 50℃에서 1개월 보존하고, 1개월 보존한 후의 냄새를 실시예 1 등과 같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7 (질량%)
표 3
비교예
6 7
디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10*1
세스키카프릴산폴리글리세릴-2*2
이소노난산이소노닐*3
에틸헥산산세틸*4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5
토코페롤*6
BHT*7
냄새(50℃, 4주간보존)
*1 : 수산기가 447.7
*2 : 폴리글리세린의 중합도:2,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합계: 68%,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질량비율:1
*3 : "사라코스 99"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4 : "사라코스 816T"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5 : "노무코트 HK-G"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6 : "토코페롤 100"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7 : "요시녹스 BHT" (요시토미파인케미칼사 제품)
토코페롤 및 BHT(2,6-디-t-부틸-p-크레졸)는 모두 산화방지 작용을 가진다. 성분 (C)로서의 화합물을 대신하여 이것들을 배합한 비교예 6 및 7의 샘플은 성분 (C)로서의 화합물을 배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샘플과 동일하게 50℃에서 4주간 보존한 후, 산과 같은 냄새가 나고, 이들 산화방지제로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경시적으로 발생하는 산과 같은 냄새를 억제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이들 결과로부터 아스코르브산이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염에 따른 취기방지효과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가지는 산화방지 작용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6 ~ 13]
(제법)
표 4에 나타낸 배합에서 물과 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외의 모든 성분을 비커에 칭량하여 넣고, 혼합하고 80℃로 가열하여 용해하고, 교반하면서 천천히 냉각하였다. 냉각 후, 얻어진 혼합물에 물과 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 및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을 균일하게 용해한 것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탈기하고, 얻어진 화장료용 조성물을 샘플로 하였다.
(평가)
* 냄새
각 샘플을 50℃에서 1개월 보존하고, 1개월 보존한 후의 냄새를 실시예 1 등과 같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 클렌징력
립스틱을 2cm ×2cm의 면적으로 팔뚝에 도포한 후, 각 조성물을 0.5g으로 30초간 더러움을 씻어내듯이 마사지하고, 물로 씻어내었다. 더러움이 씻겨나간 상태를 육안으로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 완전히 씻김
○: 거의 씻김
×: 그다지 잘 씻기지 않음

실시예
6 7 8 9 10 11 12 13
디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10*1 14 14 14 14 14 14 14 14
세스키카프릴산폴리글리세릴-2*2 6 6 6 6 6 6 6 6
이소노난산이소노닐 8 8 8 8 8 8 8 8
에틸헥산산세틸 60 60.9 50 20 69.84 69.99 10 69.999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1 1 1 1 1 1 1 1
10 10 20 50 1 1 60 1
L-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 1 0.1 1 1 0.1 - 1 0.001
L-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 - - - - 0.01 - -
시트르산나트륨 - - - - 0.06 - -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냄새(50℃, 4주) △○ △○ △○ △○
클렌징력 ×
*1 : 수산기가 447.7
*2 : 폴리글리세린의 중합도:2,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합계: 68%,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질량비율:1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포함하는 실시예 6 ~ 13의 화장료용 조성물은 고온보존 후에 발생하는 산과 같은 냄새가 억제됨과 동시에 클렌징력이 우수한 것이 많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4 ~18, 비교예 8]
(제법)
표 5에 나타낸 배합에서 물과 L-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 및 시트르산나트륨을 균일하게 용해하고, 그것을 디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10에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탈기하고, 얻어진 화장료용 조성물을 샘플로 하였다.
(평가)
* 냄새
각 샘플을 50℃에서 1개월 보존하고, 1개월 보존한 후의 냄새를 실시예 1 등과 같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14 15 16 17 18 8
디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10*1 50 50 50 50 50 50
43 49 49.9 49 40 50
L-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 7 1 - - - -
시트르산나트륨 - - 0.1 1 10 0
100 100 100 100 100 100
냄새(50℃, 4주) △○ △○ ××
*1 : 수산기가 447.7
(C)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8과 비교하여, 실시예 14 ~ 18에서는 고온보존 후에 발생하는 산과 같은 냄새가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9, 비교예 9]
(제법)
표 6에 나타낸 배합에서, 물과 시트르산나트륨,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이외의 모든 성분을 비커에 칭량하여 넣고, 혼합하여 80℃로 가열하여 용해하고, 이어서 균일하게 용해된 물과 시트르산나트륨,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고, 냉각하였다. 감압하에서 탈기하고, 얻어진 화장료용 조성물을 샘플로 하였다.
(평가)
* 냄새
각 샘플을 50℃에서 1개월 보존하고, 1개월 보존한 후의 냄새를 실시예 1 등과 같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19 9
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10*1 4.25 4.25
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2*2 0.75 0.75
유동 파라핀 40 40
트리에틸헥사노인*3 37.5 37.5
수첨 레시틴*4 1.5 1.5
3.59 3.6
시트르산나트륨 0.01 0
프로필렌글리콜 1 1
글리세린 11.4 11.4
100 100
냄새(50℃, 4주) ××
*1 : 수산기가 447.7
*2 : 폴리글리세린의 중합도:2,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합계: 100%,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질량비율:11
*3 : "T.I.O"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4 : "베이시스 LS-60HR"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C)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비교예 9와 비교하여 실시예 19에서는 고온보존 후에 발생하는 산과 같은 냄새가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화장료용 조성물은 특히, 각종 화장료의 제조 분야에서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을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취기발생이 억제되는 한편 클렌징력이 우수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 성분 (A) ~ (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성분 (A) : 탄소수 6 ~ 30의 지방산과 평균중합도가 3 이상 100 미만인 폴리글리세린과 에스테르화시켜 얻어지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성분 (B) : 물
    성분 (C) :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의 염,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염, 트레할로오스, 수크로오스, 시트르산 및 시트르산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D)로서 유성성분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성분 (E)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다만, 성분 (A)를 제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E)로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6 ~ 22의 지방산과 수산기를 2 ~ 4개 가지는 다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시켜 얻어지며, 모노에스테르의 질량과 디에스테르의 질량의 합계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의 전 질량의 50% 이상인 한편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질량비율이 (모노에스테르의 질량) / (디에스테르의 질량)으로 나타내어 12 이하인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를 2 ~ 4개 가지는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소르비탄 및 펜타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다가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용 조성물 내의 상기 성분 (B)의 배합량은 화장료용 조성물의 전 질량에 대하여 0.001 ~ 5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용 조성물은 클렌징 화장료용 조성물 또는 목욕용 화장료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9. 하기 성분 (A) ~ (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성분 (A): 탄소수 6 ~ 30의 지방산과 평균중합도가 3 이상 100 미만인 폴리글리세린을 에스테르화시켜 얻어지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성분 (B): 물
    성분 (C):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의 염,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염, 트레할로오스, 수크로오스, 시트르산 및 시트르산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10. 하기 성분 (A) 및 성분 (B)를 포함하는 함수 화장료에 성분 (C)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수 화장료의 방취방법.
    성분 (A): 탄소수 6 ~ 30의 지방산과 평균중합도가 3 이상 100 미만인 폴리글리세린을 에스테르화시켜 얻어지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성분 (B): 물
    성분 (C):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의 염,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염, 트레할로오스, 수크로오스, 시트르산 및 시트르산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KR1020147004900A 2011-09-29 2012-09-28 화장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KR101939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14366 2011-09-29
JP2011214366 2011-09-29
PCT/JP2012/075070 WO2013047743A1 (ja) 2011-09-29 2012-09-28 化粧料用組成物及び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029A KR20140072029A (ko) 2014-06-12
KR101939428B1 true KR101939428B1 (ko) 2019-01-16

Family

ID=4799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900A KR101939428B1 (ko) 2011-09-29 2012-09-28 화장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227217A1 (ko)
EP (1) EP2762129B1 (ko)
JP (1) JP5978544B2 (ko)
KR (1) KR101939428B1 (ko)
CN (1) CN103781464B (ko)
WO (1) WO2013047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1027A (zh) * 2013-04-27 2013-07-10 珀莱雅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固态的使用时具有温热感的卸妆膏
JP6233896B2 (ja) * 2014-08-20 2017-11-22 ホシケミカルズ株式会社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6355105B2 (ja) * 2014-10-08 2018-07-11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油性液状皮膚洗浄剤組成物
WO2016152614A1 (ja) * 2015-03-26 2016-09-29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洗浄料
US10702475B2 (en) * 2017-09-05 2020-07-07 Richard Rigg Liposome containing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personal care and food products
JP7178232B2 (ja) * 2018-10-10 2022-11-25 株式会社シーボン 化粧料
WO2022004802A1 (ja) * 2020-07-01 2022-01-06 株式会社Merry Plus 化粧品組成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7643A (ja) 2004-09-22 2006-05-11 Kao Corp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
JP2009019049A (ja) 2008-09-01 2009-01-29 Nisshin Oillio Group Ltd 油中水型乳化皮膚外用剤
WO2011052674A1 (ja) * 2009-10-30 2011-05-05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化粧料用組成物、化粧料、水中油型乳化化粧料の製造方法、及び二層分離型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6632A (en) * 1974-06-06 1976-06-29 G. D. Searle & Co. Vegetable oil emulsion
US4454113A (en) * 1982-09-21 1984-06-12 Scm Corporation Stabilization of oil and water emulsions using polyglycerol esters of fatty acids
JPS6395287A (ja) * 1986-10-09 1988-04-26 Shiseido Co Ltd 抗酸化剤
JPH06128135A (ja) 1992-03-27 1994-05-10 Sunstar Inc W/o型乳化化粧料
JPH08173787A (ja) * 1994-08-12 1996-07-09 Lion Corp 界面活性剤組成物
EP0758641B1 (en) * 1995-08-11 2000-08-30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A fatty acid esters composition of a polyglycerine,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highly-purified fatty acid esters composition of a polyglycerine, a highly-purified fatty acid esters composition of a polyglycerine, an additive for food-stuffs, a resin composition, and a composition for cosmetics or detergents
JPH10330211A (ja) * 1997-05-29 1998-12-15 Lion Corp 皮膚化粧料
JP2001342126A (ja) * 2000-06-01 2001-12-11 Shiseido Co Ltd 乳化組成物
JP2002241745A (ja) * 2001-02-19 2002-08-28 Pola Chem Ind Inc エアゾール組成物
JP4225717B2 (ja) * 2001-09-21 2009-02-18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CN100348184C (zh) * 2002-11-22 2007-11-14 日本水产株式会社 含有高度不饱和脂肪酸、其盐或其酯的外用组合物
WO2004060077A1 (ja) * 2002-12-27 2004-07-22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不快味及び/又は不快臭の低減方法
JP3954972B2 (ja) * 2003-01-23 2007-08-08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洗浄用の化粧料用組成物
JP4145238B2 (ja) * 2003-12-04 2008-09-03 太陽化学株式会社 ポリグリセリン中鎖脂肪酸エステル含有組成物
KR101224345B1 (ko) * 2004-06-30 2013-01-18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JP5058457B2 (ja) 2004-06-30 2012-10-24 太陽化学株式会社 化粧料用組成物及び化粧料
JP4664062B2 (ja) 2004-12-22 2011-04-06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低臭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変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化粧料添加剤および化粧料
FI121468B (fi) * 2006-06-07 2010-11-30 Valtion Teknillinen Betuliiniperäiset yhdisteet antimikrobisina aineina
JP5342102B2 (ja) * 2006-07-04 2013-11-13 昭和電工株式会社 エマルション組成物
JP2009185023A (ja) * 2008-01-07 2009-08-20 Fujifilm Corp 粉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含む食品組成物、化粧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US20090196942A1 (en) * 2008-02-01 2009-08-06 Goyarts Earl C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citrus jabara extract
JP2009234971A (ja) 2008-03-26 2009-10-15 Kose Corp 水中油型乳化化粧料
US20100129303A1 (en) * 2008-10-17 2010-05-27 Dueva-Koganov Olga V Sunscreen and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random terpolymer
US9272165B2 (en) * 2009-02-20 2016-03-01 L'oreal Composition comprising a sucrose ester and a polyglycerol ester
JP2011099020A (ja) * 2009-11-05 2011-05-19 Seiwa Kasei Co Ltd 抗酸化剤
DE102010007958A1 (de) 2010-02-12 2011-08-18 Beiersdorf AG, 20253 Wirkstoffkombinationen aus Acylarginaten und quaternären Ammoniumverbindungen
US8338348B2 (en) * 2010-12-21 2012-12-25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Skin cleansing compositions with polyglycerol esters and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m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7643A (ja) 2004-09-22 2006-05-11 Kao Corp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
JP2009019049A (ja) 2008-09-01 2009-01-29 Nisshin Oillio Group Ltd 油中水型乳化皮膚外用剤
WO2011052674A1 (ja) * 2009-10-30 2011-05-05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化粧料用組成物、化粧料、水中油型乳化化粧料の製造方法、及び二層分離型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2129A1 (en) 2014-08-06
WO2013047743A1 (ja) 2013-04-04
CN103781464A (zh) 2014-05-07
KR20140072029A (ko) 2014-06-12
JP5978544B2 (ja) 2016-08-24
CN103781464B (zh) 2016-03-16
EP2762129A4 (en) 2015-07-01
EP2762129B1 (en) 2019-08-07
JPWO2013047743A1 (ja) 2015-03-26
US20140227217A1 (en)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428B1 (ko) 화장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KR101877064B1 (ko)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및 화장료
JP5230975B2 (ja) アルキレンオキシド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WO2003059315A1 (fr) Preparation d'une emulsion a phase continue huileuse a usage cutane externe
JP2010024159A (ja) 微細エマルシ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033757A1 (ja) 皮膚外用組成物
JP5234942B2 (ja) 油中水型乳化皮膚外用剤
JP5554985B2 (ja) 化粧料用組成物、化粧料及び当該化粧料の製造方法
JP5121527B2 (ja) 皮膚外用剤
EP3539532A1 (en) Skin care composition
JP2010024161A (ja) 微細エマルシ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22086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化粧料
JP2014019645A (ja) 化粧料
JP5260103B2 (ja) 皮膚外用剤
JP7351662B2 (ja) 白濁液状化粧料
JP4349883B2 (ja) 皮膚外用組成物
WO2023042687A1 (ja) 水中油型洗浄料組成物
WO2023042688A1 (ja) 水中油型組成物
JP2010024160A (ja) 微細エマルシ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045133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06256966A (ja) 皮膚外用組成物
JP4301499B2 (ja) 皮膚外用組成物
CN114939069A (zh) 水包油乳化体系用组合物
WO2022259917A1 (ja) 洗浄料組成物
JP2011241187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