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286B1 - 롤러 - Google Patents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286B1
KR101937286B1 KR1020147001141A KR20147001141A KR101937286B1 KR 101937286 B1 KR101937286 B1 KR 101937286B1 KR 1020147001141 A KR1020147001141 A KR 1020147001141A KR 20147001141 A KR20147001141 A KR 20147001141A KR 101937286 B1 KR101937286 B1 KR 101937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andle
actuating
actuating part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752A (ko
Inventor
권터 호프리히터
칼-하인츠 플라우츠
게오르그 하인
Original Assignee
텐트 게엠베하 앤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트 게엠베하 앤 코. 카게 filed Critical 텐트 게엠베하 앤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041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3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type of wheels
    • B60B33/0042Double or twi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4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 B60B33/005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the rolling axle being offset from swiv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 B60B33/021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combined with braking of casto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 B60B2200/24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 B60B2200/24Beds
    • B60B2200/242Hospital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30Increase in
    • B60B2900/325Reli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8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ing on rim or side portion of tyre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Handcart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Toy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Pulley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휠(2)들 및 잠금 장치를 갖는 롤러(1)에 관한 것이다. 작동부(10)는 방향성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 및/또는 완전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해제 또는 잠금을 위해 잠금 장치 상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10)는 구동부에 의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발생되는 전달부(7)의 선형 이동은 작동부(10)를 이동시키기 위해 스프링력을 통하여 작동부에 전달된다. 완전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또는 방향성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작동부(10)는 완전 잠금 또는 방향성 잠금을 오버라이드하기 위해, 구동부에 독립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동으로 이동 가능한 동작 핸들(11)에 의해, 전달부 상에 장착된 스프링에 대항하여 고정 전달부에 대해 해제 위치로 추가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 해제에 대해 유리하게 디자인되는 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동작 핸들(11)의 기하학적 회전축(d)이 휠(2)의 회전축(D)에 대하여 작동부(10)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부는 수직 섹션에서 휠(2)의 회전축(D)으로부터 오프셋되어 배열되는 것에 의해 성취된다.

Description

롤러 {ROLLER}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휠들 및 잠금 장치, 방향성 잠금(directional lock)에 대응하는 위치 및/또는 완전 잠금(total lock)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해제 또는 잠금을 위해 잠금 장치 상에 작용할 수 있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작동부는 구동부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발생되는 전달부의 선형 이동은 작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스프링력을 통하여 작동부에 전달되고, 완전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임의의 경우 또는 방향성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임의의 경우에, 상기 작동부는 완전 잠금 또는 방향성 잠금을 오버라이드하기 위해 구동부에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동작 핸들에 의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동으로, 전달부 상에 지지된 스프링에 대항하여 고정 전달부에 대해 해제 위치로 추가로 이동될 수 있는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타입의 롤러들에 관하여, 예컨대 DE 10 2007 039 208 A1호(US 2010/0077562 A1호)가 제 1 예에서 참조된다. 특히 이러한 롤러들이 방향성 및/또는 완전 잠금에 관하여 전기 모터에 의해 이동될 때, 모터 고장의 경우에, 해제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능하도록 예방책들이 취해져야만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유리한 실시예는 비상의 경우에 수동 개입에 의해 가능한 해제가 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하게는 비상 해제에 관하여 형성되는, 특히 전술된 타입의 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교시에 따르면, 이 목적을 위해 동작 핸들의 기하학적 회전축은 휠의 회전축에 대해 작동부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고, 작동부는 수직 섹션에서, 휠의 회전축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것이 제공된다. 동작 핸들 및 작동부는 서로 구조적으로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힘의 유리한 인가가 가능하다. 특히, 하우징 내의 유리한 수용이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한 바와 같이, 작동부가 장착 저널의 영역에 배치될 때, 필요하다면 그의 수직 연장부에서, 동작 핸들은 또한 하우징의 연관된 영역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이 이하에, 또한 도면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종종 이미 전술된 특징과의 이들의 바람직한 연관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이들은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단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별 특징들과 관련하여 또는 독립적으로 또는 몇몇 다른 전체 개념으로 중요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동작 핸들의 기하학적 회전축은 작동부를 통해 연장하고 및/또는 휠을 통과하는 수평 평면 내에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이 작동부를 통과한다는 사실은 동작 핸들 및 작동부가 서로 바로 옆에 배열되는 것을 의미하고, 여기서 초점은 바람직하게는 방향성 잠금 또는 완전 잠금의 경우에 양단부 위치를 포함하여 작동부의 이동의 전체 범위 상에 있다. 이 방식으로,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동작 핸들과 작용될 부분, 즉 작동부 사이의 최단 가능한 거리가 성취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회전축이 또한 휠을 통과하는 수평 평면 내에서 연장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장치가 롤러와 관련하여 비교적 멀리 아래에 제공되는 것이 동시에 명백해진다.
더욱이, 휠 축을 통과하는 수평 평면은 또한 동작 핸들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롤러의 휠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수직 높이에서 동작 핸들의 배열을 설명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성은 동작 핸들이 작동부의 이동 중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원리적으로 제 1 경우에 작동부의 이동과 함께, 동작 핸들이 작동부와 함께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또한 동작 핸들을 통한 수동 개입과 독립적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동작 핸들은 고정되어 (모터 구동된) 롤러의 동작 중에, 동시에 동작 핸들의 어떠한 이동도 외부로부터 가시화되지 않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하자면,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결합 해제 메커니즘을 통하여 작동부와 동작 핸들 사이의 결합 해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롤러의 영역에서 직립하여 있는 물체 또는 구성 단차부에서, 예를 들어 외부에서 걸리게 되는 동작 핸들에 기인하는 작동부의 (모터 구동된) 이동의 비의도적인 차단이 방지된다.
작동부와 상호 작용하는 외팔보(cantilever)는 작동부의 이동의 방향에서 하우징 내에 안내된 슬라이딩부와 상호 작용하는 것이 특히 또한 바람직하다. 이 구성은 동시에 또한 언급된 결합 해제에 대해 필수적이다. 외팔보가 슬라이딩부를 이동시키는 사실에 기인하여, 슬라이딩부는 외부로부터 차폐되기 위해 롤러의 내부에 또는 롤러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슬라이딩부는 동작 핸들이 이를 통과하는 고정 하우징 인서트 내에서 안내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우징 인서트는 롤러 하우징의 부분이다. 슬라이딩부는 또한 하우징 쉘부 내에 직접 안내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과 관련하여, 이러한 하우징 인서트를 하우징 내에 부가의 특징부로서 제공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동작 핸들은 슬라이딩부 상에 직접 작용하는 관통 핀을 가질 수도 있다. 동작 핸들은 회전에 의해 동작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편심으로 배열되거나 편심부를 포함하는 이러한 관통 핀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동시에 수직 이동을 경험하지 않고 동작 핸들의 회전 중에 슬라이딩부 상에 작용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는 완전 잠금 또는 방향성 잠금의 해제를 위해 관통 핀에 의해 작용될 수 있는 하부 제한 정지부 및 상부 제한 정지부를 갖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작동부가 언급된 위치들 중 하나에 있으면, 관통 핀을 갖는 동작 핸들은 슬라이딩부의 대응 제한 정지부와 접촉하거나 제한 정지부가 짧은 이동 후에 도달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배열된다. 다음에, 동작 핸들과 슬라이딩부 사이의 기계적 커플링이 설정되어, 추가의 이동이 이어서 외팔보 상에, 따라서 작동부 상에 직접 작용하게 된다.
그 회전 이동과 관련하여, 동작 핸들은 중립 위치로 스프링 편향(bias)될 수 있다. 이 중립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전술된 거의 결합 위치에 대응한다. 작동부가 완전 잠금 또는 방향성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을 때, 관통 핀은 중립 위치에 기인하여, 슬라이딩부의 대응 제한 정지부와 접촉하거나 거의 접촉한다.
동작 핸들은 제 1 경우에 수동으로, 예를 들어 그 외부에 형성된 리브 또는 돌출부에 의해 직접 동작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단지 코인, 이중 클로(claw) 등과 같은 간단한 도구로 동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취급이 비상의 경우에 항상 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바람직하지 않은 동작이 또한 비-비상의 경우에 또한 방지될 수 있는 것이 성취될 수 있다.
수동에 의해 설정되는 비상 해제 위치는 래치 결합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래치 결합은 예를 들어 언급된 제한 정지부들 중 하나와 관통 핀의 상호 작용의 도중에, 관통 핀이 제한 정지부들 중 하나 내의 멈춤쇠(detent) 리세스 내로 이동하는 점에서 성취될 수 있다. 그러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래치 결합을 위한 대안 구성이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동작 핸들 자체의 회전부는 예를 들어 원주방향 리세스 내로 이동하는 멈춤쇠 캠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멈춤쇠는 이 방식으로 비상 해제될 때 롤러의 방해받지 않은 이동 가능성을 제공한다. 해제 위치는 수동으로 유지될 필요가 없다.
동작 핸들을 통한 비상 해제의 완료 후에, 동작 핸들의 중립 위치는 작동부의 모터 구동된 이동에 의해 재차 설정될 수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는 중립 위치로 동작 핸들의 전술된 스프링 바이어싱과 함께 바람직한,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성취될 수 있다. 멈춤쇠 위치를 해제할 때, 동작 핸들은 이어서 스프링 편향에 기인하여 언급된 중립 위치로 후퇴 이동한다. 그러나, 멈춤쇠 위치가 해제된 후에, 동작 핸들은, 예를 들어 중력에 기인하여 멈춤쇠가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대안적으로 또한 가능하다.
중립 위치를 재설정하기 위해, 작동부는 초기에 동작 핸들에 의해 강제된 이동의 방향으로 더 모터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또한 특히 바람직하다. 일단 해제되면, 방향성 잠금은 동작 핸들의 동작에 기인하여 성취되고, 이어서 완전 잠금에 대응하는 대응 방향에서의 작동부의 추가의 이동이 발생하여, 이에 의해 멈춤쇠 위치를 분리하는데, 구체적으로 언급된 제한 정지부들 중 하나 내의 멈춤쇠 리세스로부터 관통 핀을 분리하고, 그 결과 동작 핸들이 해제되고 재차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없는데, 이는 더 이상 멈춤쇠 또는 간단히 중립 위치를 야기하지 않는다. 역으로, 완전 잠금으로부터 비상 해제의 경우에, 그러나 이후에 단지 전기 모터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방향성 잠금의 방향에서 작동부의 추가의 이동이 동일한 효과를 성취하도록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작동부가 모터, 특히 전기 모터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에, 이 모터는 항상 초기에 소정의 사이클을 통과하여, 비상 해제가 미리 발생하는 경우에, 비상 해제가 신뢰적으로 해제되고 모터는 이어서 맞춤형 작동 사이클에 있게 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러한 롤러의 경우, 전달부가 작동부 상에 형성되고 스프링을 위해 제공되는 지지 영역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달부는 작동부 상의 스프링 지지부에 대하여 - 수직으로 - 이동될 수 있다. 작동부와 전달부를 서로 포개는 가능성이 따라서 성취된다. 특히, 작동부는 상부에서 적어도 수직으로 개방되고 작동부 내로의 전달부의 대응 결합, 및 작동부에 대한 전달부의 대응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가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스프링들의 경우에 양 스프링들을 지지하기 위한 영역을 수직으로 통과하도록 작동부 상에 전달부가 제공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스프링들 중 하나 이상과 전달부 사이의 상호 작용이 또한 스프링 또는 스프링들을 위한 작동부 상의 지지 영역 아래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게 된다. 전달부는 바람직하게는 단지 선형 이동에 의해서만, 따라서 회전 없이 지지 영역을 통과한다.
구동부는 전기 모터 구동부일 수 있고, 표준 전기 모터의 회전자 샤프트에 상응할 수 있는 구성 요소가 (단지) 선형 변위 가능한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전기 모터와 연관되고, 이 전기 모터의 회전자 샤프트는 중앙 외부 나사산을 갖는 부분과 상호 작용하는 내부 나사산을 갖는 중공부로서 형성되고 따라서 회전자가 회전할 때 선형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전기 모터는 또한 선형 액추에이터로서 나타내어진다. 선형 액추에이터들에 관하여, 예컨대 EP 1 555 446 B1호 및 DE 20 2009 015 840 U1 호가 또한 참조된다. 본 내용에서, 선형으로 이동하는 부분(스핀들)이 중앙에 배치되고, 선형으로 이동되는 부분을 구동하는 너트(나사산 형성 회전자)가 구동부 내에, 선형으로 이동되는 부분을 둘러싸서 배치되는 선형 액추에이터가 바람직하다.
완전 잠금 및/또는 방향성 잠금의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편향, 즉 편향 가능성을 위한 공간이 또한 존재하여, 적절한 조작에 의해 작동부가 스프링 장전 방식으로 항복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전술된 비상 해제와 관련하여 유리하다. 이 구성은 또한 예를 들어 치형부가 형성된 잠금부와 같은 포지티브-끼워맞춤(positive-fit) 잠금의 경우에 유리하다. 잠금 해제시에 즉시 가능하지 않은 래치 결합이 높이의 견지에서 보상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정도로 위치를 오버런(overrun)하는 대응 가능성이 적어도 일시적으로 또는 초기에 또한 구동부와 관련하여 중요하다. 하나 또는 양 언급된 잠금 위치에서, 모터는 "블록에 대항하여" 운전되지 않고, 따라서 예를 들어 이 위치가 중실부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스프링 권선의 직접적인 결합이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모터에 기인하여, 특정 정도로 이 위치를 오버런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단지 스프링력의 가능한 증가를 야기할 것이다.
전달부와 작동부 사이에 작용하는 2개의 스프링의 경우에, 스프링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은 수직 방향으로, 즉 양 스프링이 가능하게 연장하는 수직 중첩 영역을 형성하지 않고 서로 접촉한다.
하부 스프링은 작동부 상에 그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 스프링은 작동부 상에 그 하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 목적으로, 작동부는 예를 들어 그 양 측면이 이들 스프링들 중 하나를 지지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반경방향 내향 돌출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완전 해제 또는 완전 잠금일 수 있는, 더 바람직하게는 또한 단지 방향성 잠금일 수 있는 작동 상태와 독립적으로, 스프링 또는 2개의 스프링의 경우에 2개의 스프링 중 하나는 작동부 내에 배치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양 스프링은 언급된 위치들 중 하나에 독립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작동부 내에 배치된다.
더욱이, 하나의 스프링의 경우에, 하나의 스프링, 다르게는 임의의 경우에 하나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양 스프링이 전달부 외부에 배치된다.
전달부 및 작동부는 기하학적으로 간단한 본체로서, 예를 들어 봉(rod) 또는 튜브로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스프링을 위한 지지 영역의 구조체와 관련하여, 이는 단지 언급된 기하학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부터 일탈을 필요로 한다.
전달부가 원통형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하나 또는 양 스프링이 실린더의 외부면과 관련하여 외부에 배치되어 있으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외부 실린더 표면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되고 전달부를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이다.
더 상세하게, 전달부는 중공부로서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또한 실질적으로 중실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나사산이 그 상단부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전달부는 내부 나사산에 의해 선형 액추에이터의 선형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형 액추에이터의 선형부는 또한 중실부일 수 있다. 전달부를 향해 지향하는 그 단부에서, 선형부는 이들 부분을 연결하기 위해 전달부의 내부 나사산 내에 나사 결합 가능한 외부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전기 모터는 바람직하게는 스텝퍼 모터, 더 바람직하게는 하이브리드 스텝퍼 모터 또는 영구 자석 스텝퍼 모터이다. 구체적으로, 이는 또한 클로폴형(claw pole) 스텝퍼 모터이다.
작동부는 관형 디자인을 가질 수도 있다. 관형 형상으로부터의 변형예에서, 언급된 내향 돌출 플랜지가 여기에 제공되고, 이 플랜지 위에는 스프링 또는 언급된 스프링이 선택적으로 와셔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작동부에 대하여 관형 형상으로부터의 다른 변형예가, 방향성 잠금으로의 작동부의, 이하에 설명되는, 연결부일 수 있다.
회전 구동부와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핸들에 의한 비상 해제와 관련하여, 작동부가 이동 연장부를 갖고 형성되고, 이 이동 연장부는 더욱이 작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부에 대해 외부에 바람직하게 끼워지고 특히 수동으로 직접 이동 가능한 것이 더욱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작동부가 예를 들어 언급된 회전 구동부에 의해 이동될 때, 비상 해제를 위한 핸들은 선택적으로 가시적인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을 또한 경험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비상 해제가 수행되어야 하면, 작동부의 요구된 이동이 핸들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핸들은 특히 회전 레버로서 또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에 고정되는 지지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 레버는 작동부 상에 수직 상향으로 또는 수직 하향으로 변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동부에 고정식으로 연결되어 이동 연장부로서 기능하는 외팔보가 작동부와 회전 레버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회전 레버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외부에 끼워진다. 전달부 또는 작동부를 동작시킬 때, 회전 레버는 수직 상향으로 또는 수직 하향으로 이동하지만, 이와 같이 함으로써 회전 이동을 경험하지 않고, 오히려 언급된 수직 이동만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프링은 전달부에 의해 작동부 상의 지지 영역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대응 캐리어가 바람직하게는 전달부 상에 형성되고, 작동부에 대한 전달부의 대응 이동 중에 작동부로부터 스프링을 들어올린다.
더욱이, 작동부는 바람직하게는 저부에서 개방되어 있고 스프링들 중 하나 또는 스프링이 수용되는 하부 중앙 챔버를 형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작동부는 벨형 디자인을 갖는다. 저부에서 개방되어 있는 중앙 챔버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원통형 챔버이다.
전술된 지지 영역으로부터 스프링의 들어올림과 관련하여, 상향 들어올림이 바람직하게는 가능하지만, 대응 제한 정지부를 통한, 예를 들어 작동부 상의 내향 돌출 단차부를 통한 잠금이 저부에서 가능한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스프링이 작동부에 대해 더 아래로 수직으로 이동할 때, 이는 이 관점에서 규정된 위치를 넘어 이동될 수는 없다.
더욱이, 스프링을 위한 상부 지지 영역은 전달부 상에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이 지지 영역과 관련하여, 스프링이 하향 방향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또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언급된 작동부 상의 언급된 지지부와 유사하게, 스프링이 전달부에 대해 상향으로 이동될 때, 이는 지지 영역을 넘어 이동될 수 없다.
필요하다면, 비상 해제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핸들과 관련하여, 핸들은 작동부와 함께 이동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방향성 잠금 및/또는 중립 위치 및/또는 완전 잠금과 같은 다양한 맞춤형 작동 상태가 취해질 때, 이들 작동 위치들 사이의 변화는 수직 방향에서 핸들의 대응 변위의 형태로 외부로부터 가시화된다.
다른 관점에서, 핸들은 바람직하게는, 작동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작동부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더욱이, 핸들과 연관된 1개 또는 2개의 접촉부(abutment)가 하우징 상에, 바람직하게는 그 외부에 형성된다. 핸들은 고정 접촉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접촉부 상의 지지가 발생할 수 있고, 작동부를 향한 지지 이동은 따라서 완전 잠금 또는 방향성 잠금으로부터 중립 위치로 작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핸들에 의한 작동부의 이러한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지지 영역 또는 스프링의 지지 영역을 따라 운반하면서 고정 전달부에 대해 수행된다. 지지 영역과 관련하여, 스프링이 이를 통하여 작동부의 대응 이동 중에 운반되는 작동부 상의 상부 지지 영역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이는 방향성 잠금으로부터 중립 위치로 작동부의 이동에 특히 관련된다.
2개의 스프링이 제공되면, 하나의 스프링은 작동부를 완전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요구되고, 하나의 스프링은 작동부를 방향성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들의 기능은 이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하나가 하나의 위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2개의 스프링의 경우에, 하부 스프링은 작동부 상에 그 [상]단부로 지지될 수 있고, 상부 스프링은 작동부 상에 그 하단부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및/또는 제 1 스프링 및/또는 제 2 스프링은 작동부 내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스프링이 각각의 경우에 작동부 내에, 임의의 경우에 중립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완전히 배치된다. 그러나, 방향성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 및/또는 완전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가 또한 바람직하다. 이는 스프링 또는 적용 가능하면 2개의 스프링이 특히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작동부의 전체 관형 디자인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예를 들어 언급된 벨형 확장부에 의해 작동부의 하부 부분에서만 성취될 수도 있다. 더욱이, 스프링 또는 2개의 스프링이 제공되면 2개의 스프링 중 하나 이상 또는 양 스프링은 전달부 외부에 배치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전달부는 따라서 임의의 경우에 중실부로서, 이 영역에서도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달부는 작동부 내에 배치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달부는 또한 작동부 내에 유리한 방식으로 안내될 수 있다. 작동부 내의 전달부의 안내는 또한 예를 들어 지지부 및/또는 지지하는 부분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핸들과 관련하여, 핸들은 캐리어 또는 이동 연장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부 및/또는 전달부 및/또는 작동부의 각각의 단부 위치와 관련하여, 이들은 센서에 의해, 더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 외부에 배열된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단부 위치는 전기 모터의 제어기 내에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단부 위치가 도달되지 않으면 또는 소정 시간 후에 도달되지 않으면, 경고 메시지가 예를 들어 또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하나를 참조하여 설명되고,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거기에 강조된 특정 특징에 기인하여 다른 부분에 의해 (구체적으로) 대체되지 않는 부분은 따라서 또한 이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임의의 경우에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부분으로서 설명된다.
도 1은 이중 롤러로서 구현된 롤러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롤러의 배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2의 라인 III-III을 따른 단면으로 나타낸, 도 1 및 도 2에 따른 롤러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방향성 잠금의 상태에서 도 2에 따른 도면을 도시하며,
도 5는 라인 V-V를 따른 단면으로 나타낸, 도 4에 따른 물체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6은 완전 잠금의 상태에서 도 2에 따른 도면을 도시하며,
도 7은 도 6의 라인 VII-VII을 따른 단면으로 나타낸, 도 6에 따른 물체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8은 비상 해제의 완료 후에, 도 1 및 도 2, 도 4 또는 도 6에 따른 롤러의 도면을 도시하며,
도 9는 도 5에 따른 위치로부터 비상 해제 후에, 평면 IX-IX를 따른 단면으로 나타낸, 도 8에 따른 물체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9a는 도 7의 위치로부터 비상 해제 후에, 도 9에 따른 도면을 도시하며,
도 10은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롤러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1은 비상 해제의 영역에서 작동부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도 12는 방향성 잠금 및 완전 잠금에 관련하여 상호 작용하는 부분들의 아래로부터 대각선으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3은 다른 실시예의 도 1에 대응하는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4는 중립 위치에서 도 13에 따른 롤러의 배면도를 도시하며,
도 15는 도 14의 평면 XV-XV에서 단면으로 나타낸, 도 13 및 도 14에 따른 롤러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6은 방향성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도 14에 따른 롤러의 도면을 도시하며,
도 17은 도 16의 평면 XVII-XVII에서 단면으로 나타낸, 도 16에 따른 롤러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8은 도 17의 영역 XVIII의 확대 상세도를 도시하며,
도 19는 방향성 잠금에 관련하여 상호 작용하는 부분들의 세부 사항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0은 완전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도 14에 따른 롤러의 도면을 도시하며,
도 21은 도 20의 평면 XXI-XXI에서 단면으로 나타낸, 도 20에 따른 롤러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2는 비상 해제의 완료 후에 도 14에 따른 롤러의 도면을 도시하며,
도 23은 도 17의 위치로부터 비상 해제 후에, 평면 XXIII-XXIII에서 단면으로 나타낸, 도 22에 따른 롤러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3a는 도 21의 위치로부터 비상 해제의 완료 후에, 도 23에 대응하는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4는 도 14에 따른 위치에서 도 13 및 도 14의 실시예의 사시 절단도를 도시하며,
도 25는 다른 실시예에서 롤러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6은 도 25에 따른 롤러의 배면도를 도시하며,
도 27은 방향성 잠금 또는 완전 잠금으로부터 비상 해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도 26에 따른 배면도를 도시하며,
도 28은 중립 위치에서, 도 25 내지 도 27에 따른 롤러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9는 방향성 잠금에서 도 28에 따른 도면을 도시하며,
도 30은 완전 잠금에서 도 28에 따른 도면을 도시하며,
도 31은 비상 해제를 위해 상호 작용하는 부분들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도 32는 비상 해제의 완료 후에, 도 29의 세부 사항 XXXII에 따른 확대 상세도를 도시하며,
도 33은 비상 해제의 완료 후에, 도 29의 세부 사항 XXXII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다.
먼저 특히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이중 롤러로서 형성된 롤러(1)가 설명되어 있다. 롤러(1)는 2개의 휠(2) 및 장착 저널(3)을 갖는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기 모터(4)가 장착 저널(3) 내에 배치되고, 전기 모터의 전력 접속부(5)는 장착 저널(3)의 상부의 외부로 바람직하게는 중앙으로 이어진다. 전기 모터(4)는 수직 조정을 위해 전달부(7) 상에 작용하는 선형부(6)(도 3 참조)의 선형 구동 이동을 실행한다.
전달부(7)는 압축 스프링(8, 9)을 통하여 작동부(10)와 상호 작용한다.
도 1에 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롤러(1)의 비상 해제를 위한 핸들(11)이 롤러(1)의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장착 저널(3) 상에 또는 그 연장부 내에,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그 하부 영역에 끼워진다. 회전 레버로서 구체적으로 형성되는 핸들(11) 위 아래에는, 접촉부(12, 13)가 하우징 상에 형성된다.
도 2에서 또한 도 14에서, 도 1에 따른 롤러의 배면도가 중립 위치에서 표현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어떠한 방향성 잠금 및 어떠한 완전 잠금도 존재하지 않는다. 롤러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휠은 자유롭게 구를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고 또한 예를 들어 도 15를 참조하면, 휠(2)이 굴대(axle)(14) 상에 배치된다. 단면도는 휠(2)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 하우징부(15)를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부(15)는 마찰 방지 베어링(16)에 의해 조립 상태에서 고정되는 장착 저널(3)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배열된다. 휠(2)은 회전 잠금을 위해 제공된 내부 치형부(17)를 더 포함한다. 결합부(18), 예를 들어 휠당 하나의 결합부와의, 뿐만 아니라 필요하다면 휠당 2개의 결합부(제 2 실시예 참조)와의 상호 작용시에, 내부 치형부(17)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장치의 제 1 부분을 형성한다. 결합부(18)는 레그 스프링(19)에 의해 도 3에 따른 해제 위치로 편향된다. 레그 스프링(19)은 한편으로는 결합부(18) 상에, 다른 한편으로는 하우징부(15)의 내부 영역 상에, 즉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부(15)의 부분으로서 형성되는 그 저부 부분(20) 상에 지지된다.
더욱이, 결합부(18)는 하우징(15) 또는 저부 부분(20)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굴대(21)를 통하여 유지된다. 굴대(21)는 굴대(21) 및 다른 굴대(22)를 위한 2개의 베어링 리셉터클(23)을 갖는 피벗부(43) 내에 형성된다. 굴대(22)는 레그부(42) 상에 결합부(18)를 지지한다. 작용부(24)가 베어링 리셉터클(23) 및 굴대(21)를 수용하는 부분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따른 도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작용부(24)는 2개의 측방향 작용부(25) 사이의 굴대(14)를 향한 방향으로 중심 설정된다. 각각의 측방향 작용부(25)는 각각의 휠(2)과 연관된 2개의 결합부(18) 중 하나 상에 직접 작용한다.
하나의 스프링 대 2개의 스프링이라는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특히 2개의 실시예의 전술된 디자인은 서로 대응한다.
작동부(10)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관형이다. 더욱이, 작동부(10)는 지지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그 내부 상에 지지 플랜지(26)를 갖고, 이 지지 플랜지 상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압축 스프링(8) 및 또한 압축 스프링(9)이 지지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는 와셔(27)에 의해 발생한다.
제 1 실시예에서 제공된 2개의 스프링(8, 9)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열된다.
지지 플랜지(26)에 의해 작동부(10) 상에서, 하부 스프링(9)은 그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 스프링(8)은 그 하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있는 스프링들의 배열은 수직 중첩부 없이 제공된다.
상부 스프링(8)은 작동부(10)를 완전 잠금(도 7 참조)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하부 스프링(9)은 작동부(10)를 방향성 잠금(도 5 참조)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전달부(7)는 작동부(10) 내에서 그리고 그에 대해 동축으로 연장한다. 양 실시예에서, 전달부(7)는 실질적으로 중실 디자인을 가지며, 전달부는 그 상단부(28)와 연관된 내부 나사산을 갖는다. 내부 나사산은 선형부(6)의 외부 나사산과 상호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내부 나사산을 갖는 너트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전기 모터(4)의 회전자의 회전 이동에 의해, 선형부(6) 및 따라서 전달부(7)는 따라서 상향으로 또는 하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전달부(7)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단지 선형으로만, 따라서 회전 없이 상하로 이동된다.
하측면에서, 전달부(7)는 나사 헤드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헤드(29)를 갖는다. 헤드(29)는 또한 작동부(10) 내의 안내를 보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안내 효과가 지지 플랜지(26)의 내부면에 의해 제공되고, 이 지지 플랜지를 통해 전달부(7)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통과한다.
헤드(29)의 상측면에서, 추가의 와셔가 배열되고, 이 와셔는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또한 지지부(48)로서 지정되고, 그 위에는 압축 스프링(9)의 하측면이 지지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부(10) 상의 스프링(9)의 지지부 및/또는 작동부(10) 상의 스프링(9)의 지지부 및/또는 하부 영역에 있건 상부 영역에 있건 간에 작동부(10) 상의 압축 스프링(44)의 지지부는 각각의 경우에 전달부(7)에 의해 통과될 수 있다.
더욱이, 작동부(10)는 임의의 경우에 수직 방향으로, 외팔보(30)로서 형성된 이동 연장부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외팔보(30)는 예를 들어 또한 작동부(10)에 용접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방향성 잠금을 위한 구조체(31)가 외팔보(30) 상에서 상측면에 형성되고(도 10 및 도 11 참조), 하측면에는(도 12 참조) 돌출부(32)가 완전 잠금의 경우에 방향성 잠금을 위해 형성되어 있다. 외팔보(30)의 배열(이 관점에서, 양 실시예는 서로를 따른 것임)은 작동부(10)의 하단부 및/또는 상단부로부터 수직 간격을 구비한다. 더욱이, 외팔보(30)의 배열은 바람직하게는 작동부(10)의 수직 높이에 대해 편심되도록, 즉 바람직하게는 작동부(10)의 하단부에 더 근접하여 제공된다. 작동부(10)의 하단부로부터 외팔보(30)의 간격은 재차 바람직하게는 작동부(10)의 (외부) 직경의 1 내지 3배의 범위에, 적용 가능하면 다른 경우에 그 하부 영역에 대해 대략 대응한다.
작동부(10)로의 그 고정식 연결에 기인하여, 외팔보(30)는 수직 방향으로 작동부와 함께 이동한다.
더욱이, 핸들(11)은 특히 제 1 실시예에서 슬라이딩부(33)에 의해 외팔보(30)에 연결된다. 슬라이딩부(33)는 하우징 상에 고정되고 특히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이드(34) 내에서 단지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부(33)는 포지티브 잠금 연결부(35)에 의해 외팔보(30)에 연결된다. 연결부는 임의의 경우에 수직 방향에서 슬라이딩부(33)의 이동이 외팔보(30)에, 따라서 작동부(10)에 직접 전달되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슬라이딩부(33)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배열되고, 또는 적용 가능한 경우 그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슬라이딩부 상에 직접 배열되는 핸들(11)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기 모터(4)가 동작될 수 없으면 비상 해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롤러(1)는 이하와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선형부(6)는 전달부(7)의 수직 이동이 발생하는 방식으로 전기 모터(4)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데, 도 3 및 도 5의 전달부(7)의 위치의 차이를 비교하라. 전달부(7)의 헤드(29)와 작동부(10)의 지지 플랜지(26) 사이의 간격의 감소를 향한 경향이 존재하기 때문에, 힘은 이에 의해 스프링(9)을 통하여 작동부(10) 상에 인가되고, 이 힘은 작동부를 수직 상향으로 이동시킨다. 작동부(10)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외팔보(30)는 따라서 마찬가지로 수직 상향으로 이동하고 하우징 상에 고정식으로 장착된 방향성 잠금부(36)와 상호 작용한다. 방향성 잠금부(36) 내에는, 구조체(31)(멈춤쇠 리세스)가 롤러(1)의 휠(2)의 대응 정렬시에 결합하여, 방향성 잠금이 선택된 방향과 관련하여 성취되게 하는 구조체(즉, 리세스)(37)가 형성된다.
반대 방향에서 전기 모터(4)의 선형부(6)의 선형 이동은 전달부(7)의 하향 변위, 따라서 도 3 또는 도 5의 위치로부터 도 7에 따른 위치로의 변위를 야기한다. 스프링(8)은 작동부(10)의 하향 이동을 야기하는데, 스프링은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또한 지지부(45)로서 그리고 접촉부로서 보유 요소(43)로서 지시되는 디스크(38)에 의해 전달부(7) 상에 축방향으로 고정 지지된다. 작동부(10)의 전방 단부(41)는 따라서 작용부(24) 상에 작용하여, 이에 의해 도 7에 따른 결합 위치로 레그 스프링(19)의 작용에 대해 결합부(18)를 이동시킨다.
동시에, 외팔보(30)는 작동부(10)와 함께 하향으로 이동한다. 외팔보의 상측면 상에 형성된 돌출부(32)는 잠금부(40)의 유지 리세스(39)(돌출부)와 결합되고, 따라서 방향성 잠금을 실행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음에 잠금될 수 있는 일 방향은 다수의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단일 회전 잠금의 경우에(특히 도 5 및 관련 설명 참조), 이는 단지 일 방향으로만 잠금하도록(각각의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방향으로부터 단지 일 방향만을 잠금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잠금부(40)는 하우징 상에 고정식으로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정전에 기인하여 전기 모터(4)가 동작될 수 없는 가능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방향성 잠금 또는 완전 잠금이 수동으로 해제될 수 있는 예방 조치가 취해진다.
이는 단지 그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슬라이딩부(33) 상에 배치된 핸들(11)을 회전하는 것만을 요구한다. 방향성 잠금의 결과로서, 핸들(11)이 도 4에 따른 위치에 있으면, 이 핸들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핸들은 바람직하게는 원호형이 아닌 대응 지지면을 갖는 접촉부(12) 상에 지지될 수 있어, 이에 의해 전달부(7)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작동부(10)는 수직 하향으로 이동되어, 이에 의해 스프링(9)을 압축한다.
롤러(1)가 도 6에 따른 완전 잠금 상태에 있으면, 핸들(11)은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접촉부, 이제 하부 접촉부(13) 상에 동일한 방식으로 지지될 수 있어, 작동부(10)가 전달부(7)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스프링(8)의 작용에 대해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완전 잠금으로부터의 비상 해제 후의 위치는 도 9a에 도시되어 있다. 비상 해제에 대응하는 핸들 위치는 래치 결합될 수 있다.
임의의 비상 해제 중에 이동하지 않는 작동부(10) 및 전달부(7)의 위치는 도 9 및 도 9a에 도시되어 있다.
그 회전 가능성과 관련하여, 핸들(11)은 도 1에 따른 그 중립 위치로 스프링 편향될 수 있다.
핸들을 그 초기 위치로 재차 유도하기 위해, 그 중립 위치로의 핸들의 수동 동작이 요구된다.
다른 실시예가 특히 도 13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전술된 실시예와의 상당한 차이점은 단지 하나의 스프링, 즉 압축 스프링(44)이 전달부(7)와 작동부(10) 사이에 제공된다는 것이다.
지지부와 관련하여, 압축 스프링(44)은 전달부(7) 또는 작동부(10) 상에 교대로 지지될 수 있다.
상부 영역에서, 압축 스프링은 제 1 경우에 지지부(45)에 의해 그 자체로 전달부(7) 상에 지지된다. 이를 위해, 특히 지지부(45)를 위한 대응 제한 정지부(46)가 전달부 상에 형성된다. 더욱이, 대응 제한 정지부(46)는 바람직하게는 전달부(7)의 섕크 직경을 테이퍼지게 함으로써 성취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숄더는 상향 방향으로 지지부(45)를 위한 대응 제한 정지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도 15의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전달부(7)가 더 상향으로, 예를 들어 도 17의 위치로 이동할 때, 지지부(45)는 전달부(7) 상의 대응 제한 정지부(46)를 따를 수 없고, 대신에 작동부(10) 상의 지지부에 도달하거나 잔류한다. 특히, 대응 제한 정지부(47)가 이 목적으로 작동부(10) 상에 형성되고, 이 대응 제한 정지부는 특히 작동부(10)의 명확한 내부 치수의 증가로부터 발생하는 단차부에 의해 성취된다.
이와 관련하여, 중립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방향성 잠금부로 전달부(7)의 이동 중에, 압축 스프링(44)의 지지부의 변화, 즉 전달부(7) 상의 지지부로부터 작동부(10) 상의 지지부로의 변경이 발생한다. 지지부(45)는 대응 제한 정지부(46) 상의 지지부로부터 대응 제한 정지부(47) 상의 지지부로 스위칭한다. 동시에, 이전에 아직 발생하지 않았다면, 대응 변화가 또한 압축 스프링(44)의 하부 영역에 발생할 수 있다. 지지부(48) 및 따라서 압축 스프링(44)은 임의의 경우에 더 이상 제한 정지부(50) 상에 지지되지 않고, 오히려 단지 헤드(29) 상에만 따라서 전달부(7) 자체 상에만 지지된다.
지지부(45)와 동일한 지지부(48)는 임의의 경우에 더 얇은 직경을 갖는 섕크부(49)의 영역에서 전달부(7)에 대해 변위 가능하다.
더욱이,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제한 정지부가 작동부(10)의 하측면 상에 형성되고, 이 제한 정지부는 지지부(48)에 의해 오버런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이 위치에서 전달부(7)의 내부 홈 내에 삽입되는 서클립(circlip)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제한 정지부(50)이다. 이와 관련하여,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전달부(7)가 통과할 수 있는 - 이 경우에, 하향 방향으로 - 지지 영역이 형성된다.
게다가, 전방 단부 상의 중첩부는 전술되어 있고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또한 설명되는 전달부(7)의 헤드(29)에 의해 지지부(48) 상에 결합한다. 따라서, 지지부(48)는 전달부(7)의 전방 단부 상으로 연장할 수 없다.
재차 도 17에 대략적으로 대응하여, 전달부(7)가 이제 도 15의 위치로부터 상향으로 이동하면, 지지부(48)는 이를 따라 운반된다. 따라서, 제 1 경우에 의도된 바와 같이, 작동부(10)가 스프링력의 결과로서 상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면, 압축 스프링(44)은 단축되고 그 압축력이 증가된다. 스프링력에 의한 이 상향 이동은 작동부(10) 상의 지지부(45) 및 대응 제한 정지부(47)를 통하여 발생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방향성 잠금을 성취하기 위한 구조 및 부분들 사이의 상호 작용이 더 설명된다.
또한 제 1 경우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서 결합 구멍(51)을 갖는 외팔보(30)가 작동부(1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방향성 잠금이 복수의 가능한 방향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외팔보(30)는 핸들(11)이 하우징(15)의 외부에 장착되는 포지티브 잠금부(35)에 의해 일 측면 상에서 포위된다. 작동부(10)의 좁은(바람직하게는 원통형) 외경의 영역에서, 외팔보(30)는 임의의 경우에 수직 이동과 관련하여, 작동부(10)에 대해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팔보는 협소화에 기인하여 형성된 단차부(52)에 의해 상부에서 미리 연결된다. 더욱이, 하향 이동과 관련하여, 외팔보는 또한 예를 들어 수축 끼워맞춤 연결 또는 용접 또는 임의의 다른 고정식 연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상에 고정식으로 장착되는 방향성 잠금부(36)는 하향으로 지향하는 결합 돌출부(53)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결합 돌출부는 이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외팔보(30)의 결합 구멍(51) 내에 결합한다.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방향성 잠금의 결과로서, 마찰 방지 베어링(16)에 기인하여 원리적으로 장착 저널(3)에 대해 및 따라서 특히 작동부(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하우징(15)은 작동부(10)에 회전식으로 잠금된다.
완전 잠금과 관련하여, 대응 결합 돌출부(54)가 또한 작동부(10)의 완전 잠금의 위치에 대응하는 외팔보(30)의 하측면에 형성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결합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대응 하우징부와 단일편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1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디스크형인 외팔보(30)는 원형으로부터 벗어난 내부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면하는 편평부(55)가 제공될 수 있다. 편평부(55)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은 전달부(7)의 외부 윤곽 상의 대응 편평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포지티브 잠금부(35)가 하우징의 가이드(34) 내에 수용되어, 이에 의해 슬라이딩부(33)를 형성한다. 포지티브 잠금부는 따라서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포지티브 잠금부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11)을 따라 수직으로 대응적으로 운반되지만, 이 핸들은 슬라이딩부 또는 외팔보(30)에 다른 방식으로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더욱이, 완전 잠금을 위해, 작동부(10)는 제 2 실시예에 제공된 전체 4개의 결합부(18) 상에 작용한다.
결합부(18)는 굴대(58, 59)를 통하여 하우징 내에 고정식으로 장착된 레버부(56, 57) 상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또한 그리드형 방식으로 보강되는 대응 하우징부(60)는 고정되고, 반면에 내부 치형부(17)는 대응적으로 휠과 함께 회전한다.
2개의 레버부(56, 57)는 이들의 서로 대면하는 단부에서 피벗 조인트(61)를 통하여 연결된다. 대응 피벗 조인트 굴대(62)는 세장형 구멍(63) 내에서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욱이, 레버부(56, 57)는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스프링(64)에 의해 이들의 비결합 위치로 편향된다.
제 2 실시예에서, 작동부(10)에 의한 작용은 특히 또한 탄성 디자인을 가질 수 있는 클립부(68)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면도에서 클립부(68)는 2개의 U 레그(64, 66) 및 피벗축(67)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U형이다. 예를 들어 도 2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하부 U 레그(66)는 2겹으로 제공되는데, 2개의 레그는 수평으로 이격되는데, 이들은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휠과 연관된 결합부(18)의 연관 헤드면 상에 작용한다.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하지만 특히 또한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결합부(18)의 디자인은 또한 작동부(10)의 실제 디자인 및/또는 전달부(7)와 이 작동부(10)의 상호 작용과 독립적으로 중요하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연관 단부에 관절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는 레버로서 각각의 결합부의 구조체 및/또는 양 결합부를 결합 위치로 유도하기 위해 각각의 휠과 연관되는 2개의 결합부 중 단지 하나의 작용은 및/또는 클립부에 의한 결합부 상의 작용 및/또는 이와 관련하여 전술된 추가의 세부 사항이 특히 제공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롤러(1)는 기본적으로 제 1 실시예의 롤러(1)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따른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선형부(6)는 완전 잠금과 관련하여, 전달부(7)의 수직 하향 이동, 즉 도 15에 따른 위치로부터 도 21에 따른 위치로의 이동이 발생하는 방식으로 전기 모터(4)에 의해 이동된다. 대응 제한 정지부(46)에 의해 상측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압박되는 압축 스프링(44)은 지지부(48)를 통하여 전달부의 제한 정지부(50)와 그 대향 단부의 접촉의 결과로서 전달부(7)를 하향으로 압박한다. 따라서, 전달부(7)의 단부면은 또한 특히 도 2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클립부(68)의 상부 U 레그 상에 작용한다. 따라서, 동시에, 압축력은 결합부(18)가 클립 스프링(64)의 작용에 대항하여 이들의 잠금 위치로 압박되도록 하부 레그(66)를 통하여 2개의 레버부(57) 상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2겹으로 제공된 레버부(56)와의 레버 연결에 기인하여, 대향으로 위치된 결합부(18)는 또한 잠금 위치로 압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제한 정지부(50)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외팔보부(30)는 마찬가지로 수직 하향으로 이동한다. 결합 구멍(51)은 방향성 잠금을 위해 결합 돌출부(54)와 상호 작용한다.
반대 방향에서 전기 모터(4)의 선형부(6)의 선형 이동은 전달부(7)가 상향으로, 따라서 예를 들어 도 15 또는 도 21의 위치로부터 도 17의 위치로(단지 중립 위치가 도 21의 위치로부터 도달되지 않으면) 이동하게 한다. 압축 스프링(44)은 이에 의해 헤드(29)와 지지부(48)에 의해 상향으로 운반되고, 그 결과 지지부(45) 상의 압축 응력이 증가하고, 대응 제한 정지부(47)에 대해 결합함으로써, 지지부는 언급된 위치가 도달될 수 있도록 작동부를 상향으로 압박한다.
동시에, 또한 여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팔보부(30) 및 따라서 핸들(11)은 작동부(10)와 함께 상향으로 이동한다.
전술된 비상 해제에 유사하게, 비상 해제가 또한 본 제 2 실시예에서 수행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여기에서 성취되는 고정 전달부(7)에 대한 작동부(10)의 변위 가능성이 비상 해제의 예로서 설명되고, 이 특징은 또한 이 예에 독립적으로 중요하다. 이는 각각의 경우에 스프링력에 대해 수행된다.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는 동일한 각각의 압축 스프링(44)의 작용에 대해 수행된다.
양 비상 해제의 경우에,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핸들(11)의 반시계방향 회전 이동이 요구된다. 핸들 외팔보 중 하나는 이어서 하부 접촉부(13) 또는 상부 접촉부(12) 상에 지지된다.
본 제 2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접촉부는 대응적으로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이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돌출 리브로서 형성된다. 상측면에서, 멈춤쇠 리세스가 리브 내에 형성되고, 이 멈춤쇠 리세스에는 핸드 레버의 대응부가 비상 해제의 완료 후에 래치 결합 방식으로 결합한다. 이에 따라, 상부 접촉부(12)의 경우에, 리셉터클이 내부 곡선 가이드의 정점부에 제공되고, 이 리셉터클은 이 방식으로 수행된 비상 해제의 완료 후에 핸드 레버의 대응부 상에 동일한 잠금 방식으로 작용한다.
비상 해제 및 동작 핸들의 다른 실시예가 도 25 내지 도 33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 핸들(11)은 회전축(d)에 대해 회전 가능한 디스크부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 핸들(11)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 영역에서 동작 핸들을 둘러싸는 하우징(15)의 외부 윤곽 내로 실질적으로 일체화된다. 사실상 어떠한 상당한 돌출 영역도 존재하지 않는다. 동작 핸들(11)의 외부면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경우에 도 25에 따른 중립 또는 초기 위치에서 주위 하우징 영역의 구형 곡률을 계속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작동은 특히 2개의 작동 리세스(69) 내에 결합함으로써 포크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 리세스(69)는 회전축에 대해 대향 측면들 상의 직경 라인(diameter line)에 형성된 원형 만입부이다. 대안적으로, 예로서 코인으로 동작될 수 있는 슬롯이 예를 들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도 2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뿐만 아니라 모든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작 핸들(11)은 휠(2)의 회전축(D)에 대해 작동부(10)와 동일한 측에 배치된다.
동작 핸들의 기하학적 회전축(d)은 또한 작동부(10)를 통과한다. 더욱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이 회전축은 휠(2)을 통과하는 수평 평면 내에서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수평 평면은 또한 휠(2)의 물리적 휠 굴대(14)를 통과한다.
도 29에 따른 방향성 잠금으로든 또는 도 30에 따른 완전 잠금으로든 간에 롤러의 잠금 장치를 작동하는 도중에, 작동부(10)는 수직 방향으로 대응적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대조적으로 동작 핸들(11)은 (수직으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특히 도 31 참조), 작동부(10)는 외팔보(30)와 상호 작용하지만, 이는 초기에는 작동부(10)의 이동 방향으로 하우징(15) 내에서 안내되는 슬라이딩부(70)와 상호 작용한다. 예를 들어 또한 도 2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목적으로 외팔보(30)는 슬라이딩부(70)의 수평 슬롯(71) 내에 결합한다.
슬라이딩부(70)는 하우징 인서트부(72) 내에 안내된다. 이 목적으로, 하우징 인서트부(72)는 서로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대향하여 위치된 가이드 홈(73)을 갖는다. 가이드 돌출부(80)가 전체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슬라이딩부(70)의 종방향 에지에서 대향 측면들 상에 형성되고, 가이드 홈(73) 내에 수용된다. 동작 핸들(11)은 작동부(10)를 향한 방향으로 지향하는 관통 핀(74)을 갖는다. 관통 핀(74)은 동작 핸들(11)의 회전축(d)에 대해 편심하여 배열된다. 관통 핀(74)은 하우징 인서트부(72)를 통해 슬라이딩부(70) 상에 직접 작용한다.
슬라이딩부(70)는 상부 제한 정지부(75) 및 하부 제한 정지부(76)를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제한 정지부(75, 76)는 횡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81)로서 형성된다. 도 29에 따른 방향성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관통 핀(74)은 하부 제한 정지부(76)에 더 근접하고, 도 30에 따른 완전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관통 핀은 상부 제한 정지부(75)에 더 근접한다. 각각의 경우에 제한 정지부(75, 76)에 근접하거나 살짝 접촉하는 위치가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디자인은 바람직하게는 중립 위치로부터 완전 잠금의 위치(도 30) 또는 방향성 잠금의 위치(도 29)로의 작동부(10)의 통상의 모터 구동 이동 중에, 동작 핸들(11)의 (회전) 이동이 아직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동작 핸들(11)의 후속의 회전은 각각의 잠금 위치가 따라서 오버라이드되도록 더 상향으로 또는 하향으로 원형 경로 상에서 관통 핀(74)을 이동시킨다.
도 32 및 도 33은 동작 핸들(11)을 회전한 후의 위치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32의 세부 사항의 도면은 모터 구동부에 의해 미리 도달되었던 방향성 잠금의 위치로부터 비상 해제의 완료 후에 슬라이딩부(70) 및 관통 핀(74)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33의 확대된 세부 사항은 완전 잠금 위치로부터 비상 해제의 완료 후에 관통 핀(74) 및 슬라이딩부(70)의 위치를 도시한다. 양 위치에서, 관통 핀(74)은 각각의 멈춤쇠 개구(78 또는 79) 내에 삽입된다.
더욱이, 동작 핸들(11)은 스프링,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권취 스프링(77)에 의해 중립 위치로 편향된다. 비상 해제의 작동시에, 관통 핀(74)은 상부 제한 정지부(75) 및 하부 제한 정지부(76)의 영역에서 각각 멈춤쇠 개구(78, 79) 내로 더 이동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작동부의 중립 위치에 대응하지 않는 비상 해제에 기인하여 도달된 해제 위치가 따라서 고정된다.
작동부(10)의 후속의 (반복적인) 모터 구동 작동 중에, 동작 핸들(11) 및 따라서 관통 핀(74)의 중립 위치가 스프링 편향에 기인하여 재차 도달될 수 있다.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는 작동부(10)가 초기에 비상 해제의 경우에 작동부(10) 상에 강요된 이동의 방향으로 모터에 의해 더 이동되고, 따라서 방향성 잠금으로부터 비상 해제의 경우에 완전 잠금의 방향으로 더 이동되고, 완전 잠금으로부터의 비상 해제의 경우에 방향성 잠금의 방향으로 더 이동되는 것을 요구한다.
개시된 모든 특징은 (자체로) 본 발명에 속한다. 연관된/첨부하는 우선권 문서(우선권 출원의 사본)의 개시 내용은 또한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이들 문서의 특징을 합체하기 위한 것을 포함하여, 본 출원의 개시 내용에 완전히 포함되어 있다. 이들의 선택적 종속 형태의 종속 청구항들은 종래 기술의 독립적인 발명적 개선을 특징화하여, 특히 이들 청구항에 기초하는 분할 출원을 착수한다.
1: 롤러 2: 휠
3: 장착 저널 4: 전기 모터
5: 전력 접속부 6: 선형부
7: 전달부 8: 압축 스프링
9: 압축 스프링 10: 작동부
11: 핸들 12: 접촉부
13: 접촉부 14: 차축
15: 하우징 16: 마찰 방지 베어링
17: 내부 치형부 18: 결합부
19: 레그 스프링 20: 저부 부분
21: 차축 22: 차축
23: 베어링 리셉터클 24: 작용부
25: 측방향 작용부 26: 지지부
27: 와셔 28: 상단부
29: 헤드 30: 외팔보
31: 구조체 32: 돌출부
33: 슬라이딩부 34: 가이드
35: 포지티브 잠금부 36: 방향성 잠금부
37: 멈춤쇠 리세스 38: 디스크
39: 유지 리세스 40: 잠금부
41: 전방 단부 42: 피벗부(레그부)
43: 보유 요소 44: 압축 스프링
45: 지지부 46: 대응 제한 정지부(도 7)
47: 대응 제한 정지부(도 10) 48: 지지부
49: 섕크부 50: 제한 정지부
51: 결합 구멍 52: 단차부
53: 결합 돌출부 54: 결합 돌출부
55: 편평부 56: 레버부
57: 레버부 58: 굴대
59: 굴대 60: 하우징
61: 피벗 조인트 62: 피벗 조인트
63: 베어링 64: 클립 스프링
65: U 레그 66: U 레그
67: 회전축 68: 클립부
69: 작동 리세스 70: 슬라이딩부
71: 수평 슬롯 72: 하우징 인서트부
73: 가이드 홈 74: 관통 핀
75: 제한 정지부 76: 제한 정지부
77: 나선형 권취 스프링 78: 멈춤쇠 개구
79: 멈춤쇠 개구 80: 가이드 돌출부
81: 리브

Claims (10)

  1. 2개의 휠(2)들 및 잠금 장치, 방향성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 및 완전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 중 하나 이상에서의 해제 또는 잠금을 위해 잠금 장치 상에 작용할 수 있는 작동부(10)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10)는 구동부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발생되는 전달부(7)의 선형 이동은 작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스프링력을 통하여 작동부(10)에 전달되고, 완전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임의의 경우 또는 방향성 잠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임의의 경우에, 상기 작동부(10)는 완전 잠금 또는 방향성 잠금을 오버라이드하기 위해 구동부에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동작 핸들(11)에 의해 그리고 수동으로, 전달부 상에 지지된 스프링에 대항하여 고정된 전달부에 대해 해제 위치로 추가로 이동될 수 있는, 롤러(1)에 있어서,
    상기 동작 핸들(11)의 기하학적 회전축(d)이 휠(2)의 회전축(D)에 대해 작동부(10)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부는 수직 섹션에서, 휠(2)의 회전축(D)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핸들(11)의 기하학적 회전축(d)은 작동부를 통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휠(2)의 회전축(D)을 통과하는 수평면은 동작 핸들을 또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핸들(11)은 작동부(10)의 이동 동안 수직으로 고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0)와 상호 작용하는 외팔보(30)는 작동부(10)의 이동의 방향으로 하우징 내에서 안내되는 슬라이딩부(70)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슬라이딩부(70)는 고정 하우징 인서트부(72) 내에서 안내되고 상기 고정 하우징 인서트부를 통해서 동작 핸들(11)이 통과하며, 상기 동작 핸들(11)은 상기 슬라이딩부(70) 상에 직접 작용하는 관통 핀(74)을 갖고, 상기 슬라이딩부(70)는 완전 잠금 또는 방향성 잠금의 해제를 위해 관통 핀(74)이 작용할 수 있는 하부 및 상부 제한 정지부(75, 7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핸들(11)은 중립 위치로 스프링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핸들(11)은 코인 또는 이중 클로(claw)를 포함하는 간단한 도구로 동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동으로 설정되는 해제 위치는 래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핸들(11)의 중립 위치는 작동부의 모터 구동된 이동에 의해 재설정될 수 있고, 상기 중립 위치를 재설정하기 위해, 상기 작동부(10)는 초기에, 동작 핸들(11)에 의해 강제된 이동의 방향으로 모터에 의해 더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KR1020147001141A 2011-06-15 2012-06-01 롤러 KR101937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51068.0 2011-06-15
DE102011051068 2011-06-15
DE102011052693 2011-08-12
DE102011052693.5 2011-08-12
DE102011055417.3 2011-11-16
DE102011055417A DE102011055417A1 (de) 2011-06-15 2011-11-16 Laufrolle
PCT/EP2012/060392 WO2012171816A1 (de) 2011-06-15 2012-06-01 Laufro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752A KR20140041752A (ko) 2014-04-04
KR101937286B1 true KR101937286B1 (ko) 2019-04-09

Family

ID=472282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150A KR101937289B1 (ko) 2011-06-15 2012-06-01 롤러
KR1020147001141A KR101937286B1 (ko) 2011-06-15 2012-06-01 롤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150A KR101937289B1 (ko) 2011-06-15 2012-06-01 롤러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9862229B2 (ko)
EP (2) EP2720883B1 (ko)
JP (2) JP5996639B2 (ko)
KR (2) KR101937289B1 (ko)
CN (2) CN103732419B (ko)
AU (2) AU2012269203B2 (ko)
BR (2) BR112013031966A2 (ko)
CA (2) CA2838937C (ko)
DE (2) DE102011055418A1 (ko)
DK (2) DK2720882T3 (ko)
ES (2) ES2538116T3 (ko)
HU (2) HUE025066T2 (ko)
MX (2) MX359982B (ko)
MY (2) MY164781A (ko)
PL (2) PL2720882T3 (ko)
PT (2) PT2720883E (ko)
SI (2) SI2720882T1 (ko)
WO (2) WO20121718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5418A1 (de) * 2011-06-15 2012-12-20 Tente Gmbh & Co. Kg Laufrolle
KR101331083B1 (ko) * 2011-08-01 2013-11-20 여신동 축과 휠이 한꺼번에 제동되는 캐스터
US10004651B2 (en) 2012-09-18 2018-06-26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apparatus
WO2014075679A1 (en) * 2012-11-13 2014-05-22 Linak A/S Castor control system
US9155392B2 (en) * 2013-05-28 2015-10-13 Royal Technologies Corporation Castor apparatus for a chair base and a chair base with a castor apparatus
USD731932S1 (en) * 2013-08-20 2015-06-16 Sistema Plastics Limited Axle
DE102014100056A1 (de) 2013-11-18 2015-05-21 Tente Gmbh & Co. Kg Steuerung von an einem Verfahrteil angebrachten Rollen
DE202013105191U1 (de) 2013-11-18 2015-02-19 Tente Gmbh & Co. Kg Steuerung von an einem Verfahrteil angebrachten Rollen
JP2016164040A (ja) * 2015-03-06 2016-09-08 有限会社Kクリエイション’ズ キャスタ、及び移動用自助具
US9771092B2 (en) * 2015-10-13 2017-09-26 Globus Medical, Inc. Stabilizer wheel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10568792B2 (en) 2015-10-28 2020-02-25 Stryker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movement of a patient transport apparatus
USD845182S1 (en) * 2016-06-27 2019-04-09 Iseki & Co., Ltd. Axle case for working vehicle
US10252571B2 (en) * 2016-10-17 2019-04-09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JP6701058B2 (ja) * 2016-11-15 2020-05-27 株式会社日乃本錠前 操作ユニット、ブレーキ装置付キャスター、運搬具、及び物体載置具
US9902198B1 (en) * 2016-12-18 2018-02-27 Nanning Fugui Precision Industrial Co., Ltd. Free wheel mechanism and mo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DE102017121146A1 (de) * 2017-09-13 2019-03-14 Tente Gmbh & Co. Kg Formschluss-Feststelleinrichtung für eine Rolle
CN109725497A (zh) * 2017-10-31 2019-05-07 上海微电子装备(集团)股份有限公司 运动台移动机构、运动台系统与光刻装置
US20190160869A1 (en) * 2017-11-27 2019-05-30 Ngs Capital Management, Llc Caster braking system technology
US10806653B2 (en) 2017-12-21 2020-10-20 Stryker Corporation Patient transport apparatus with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DE102018101653A1 (de) 2018-01-25 2019-07-25 Tente Gmbh & Co. Kg Laufrolle, sowie Aufsatz-Dämpfungsteil für eine Laufrolle
US11839576B2 (en) * 2018-06-08 2023-12-12 Sunrise Medical (Us) Llc Dynamic rotary locking member
US11197791B2 (en) 2018-11-21 2021-12-14 Stryker Corporation Patient transport apparatus with cable connected brake and steer lock assemblies
US11324648B2 (en) * 2018-11-21 2022-05-10 Stryker Corporation Patient transport apparatus with steer lock assembly
US10602822B1 (en) * 2018-12-06 2020-03-31 Hsuen-Hsuan Wang Luggage having a brakeable wheel
US10595607B1 (en) * 2018-12-06 2020-03-24 Hsuen-Hsuan Wang Luggage having two brakeable wheels
CN111010979A (zh) * 2019-05-09 2020-04-17 宁波大叶园林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拨杆调节割草高度的割草机
US11498360B2 (en) 2019-05-21 2022-11-15 Ngs Capital Management, Llc Hybrid bearing arrangement caster technology
EP4329694A1 (de) 2021-04-30 2024-03-06 Tente GmbH & Co. KG Steuerung sowie verfahren zur steuerung von an einem verfahrteil angebrachten rollen
DE102022106363A1 (de) 2021-04-30 2022-11-03 Tente Gmbh & Co. Kg Steuerung sowie Verfahren zur Steuerung von an einem Verfahrteil angebrachten Rollen
CN114425933A (zh) * 2021-12-13 2022-05-0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能够提升推拉式脉冲涡流扫查车性能的减震车轮
DE102022103797A1 (de) 2022-02-17 2023-08-17 Tente Gmbh & Co. Kg Formschluss-Verstelleinrichtung für eine Rolle
CN117900210A (zh) * 2024-03-19 2024-04-19 山西海隆石油技术有限公司 一种无动力石油管道涂层防结垢自洁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5222A1 (en) * 2007-06-06 2010-07-15 Fallshaw Holdings Pty Ltd Swivel Castor Brak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1732Y2 (ko) * 1972-05-31 1976-10-09
JPS6022501A (ja) * 1983-07-18 1985-02-05 Kassai Inc キヤスタ
GB8415846D0 (en) 1984-06-21 1984-07-25 Colson Castors Europ Ltd Castor
DE3900889A1 (de) * 1989-01-13 1990-07-19 Arnolf Schulte Feststellbare lenkrolle
DE8910890U1 (ko) 1989-09-11 1991-01-17 Tente-Rollen Gmbh & Co, 5632 Wermelskirchen, De
DE8915173U1 (ko) * 1989-12-23 1991-04-18 Tente-Rollen Gmbh & Co, 5632 Wermelskirchen, De
GB9002555D0 (en) 1990-02-06 1990-04-04 Colson Castors Europ Ltd Castor with brake mechanism
DE4222727A1 (de) * 1992-07-10 1994-01-13 Gross & Froelich Gmbh & Co Kg Lenkrolle
DE4321739A1 (de) * 1993-06-30 1995-01-12 Tente Rollen Gmbh & Co Laufrolle
DE29914681U1 (de) * 1999-08-21 2000-12-28 Tente Rollen Gmbh & Co Lenkrolle
DE10047006C2 (de) * 2000-09-22 2002-10-17 Steinco Paul Vom Stein Gmbh Lenkrolle für Apparate, Möbel, Krankenbetten od. dgl.
EP1555446B1 (en) 2004-01-15 2006-06-21 SIR Societa'Italiana Riduttori S.r.l. Linear actuator
DE102004035220A1 (de) * 2004-07-21 2006-02-16 Tente Gmbh & Co. Kg Lenkrolle mit einem Laufrad
CA2559463A1 (en) * 2005-09-15 2007-03-15 Dynatool Industries Inc. Powered locking caster wheel
DE102007039208A1 (de) 2006-11-07 2008-05-08 Tente Gmbh & Co. Kg Doppelrolle mit zwei Laufrädern sowie Rolle mit einem Laufrad
US8302257B2 (en) 2007-09-27 2012-11-06 Catis Pacific Mfg. Corp. Ltd. Double-pedal double-wheel truckle with independent braking and releasing functions
TW200920617A (en) * 2007-11-06 2009-05-16 K Y C Caster & Co Ltd A double-wheel caster device having traveling straight and braking controls
US7866453B2 (en) 2008-05-08 2011-01-11 Hersun Plastic Co., Ltd. Swivelable trunk wheel assembly
US7937805B2 (en) * 2008-06-19 2011-05-10 Po-Chuan Tsai Castor that is braked solidly and stably without producing vibration
US7950108B2 (en) 2008-11-04 2011-05-31 Sunny Castors Co., Ltd. Castor that is braked and positioned simultaneously
DE202009015840U1 (de) 2009-11-20 2010-02-25 Wilhelm Narr Gmbh & Co. Kg Linearaktuator
DE102010016155A1 (de) 2010-03-26 2011-09-29 Tente Gmbh & Co. Kg Lenkrolle
US8117715B2 (en) * 2010-05-30 2012-02-21 Everglide Caster Corp. Structure of caster
DE102011055418A1 (de) * 2011-06-15 2012-12-20 Tente Gmbh & Co. Kg Laufrolle
US8499413B1 (en) * 2012-06-07 2013-08-06 Po-Chuan Tsai Castor braking and stopping rotating simultaneously
US8850657B1 (en) * 2013-04-29 2014-10-07 Sunny Castors Co., Ltd. Cas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5222A1 (en) * 2007-06-06 2010-07-15 Fallshaw Holdings Pty Ltd Swivel Castor Bra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61807A (en) 2017-05-15
BR112013032176A2 (pt) 2016-12-13
EP2720882A1 (de) 2014-04-23
US8776314B2 (en) 2014-07-15
MX359982B (es) 2018-10-18
KR101937289B1 (ko) 2019-01-10
PT2720883E (pt) 2015-06-22
PL2720883T3 (pl) 2015-10-30
JP6194308B2 (ja) 2017-09-06
PL2720882T3 (pl) 2015-10-30
KR20140041753A (ko) 2014-04-04
ES2538116T3 (es) 2015-06-17
DK2720883T3 (en) 2015-08-24
WO2012171814A1 (de) 2012-12-20
US20140101891A1 (en) 2014-04-17
KR20140041752A (ko) 2014-04-04
CA2838937A1 (en) 2012-12-20
US9862229B2 (en) 2018-01-09
HUE026601T2 (hu) 2016-06-28
MY164781A (en) 2018-01-30
DE102011055418A1 (de) 2012-12-20
JP2014516863A (ja) 2014-07-17
CA2837244A1 (en) 2012-12-20
SI2720883T1 (sl) 2015-10-30
PT2720882E (pt) 2015-07-30
CN103732419A (zh) 2014-04-16
WO2012171816A1 (de) 2012-12-20
CA2838937C (en) 2016-04-26
AU2012269203B2 (en) 2017-02-23
CN103732418A (zh) 2014-04-16
DE102011055417A1 (de) 2012-12-20
ES2538115T3 (es) 2015-06-17
SI2720882T1 (sl) 2015-10-30
EP2720883A1 (de) 2014-04-23
CN103732419B (zh) 2016-10-19
CN103732418B (zh) 2016-04-20
AU2012269203A1 (en) 2013-12-19
EP2720882B1 (de) 2015-05-20
DK2720882T3 (en) 2015-08-31
JP2014516862A (ja) 2014-07-17
MX2013014531A (es) 2014-02-19
CA2837244C (en) 2019-04-09
HUE025066T2 (en) 2016-01-28
BR112013031966A2 (pt) 2016-12-27
AU2012269201B2 (en) 2017-02-02
JP5996639B2 (ja) 2016-09-21
US20140109342A1 (en) 2014-04-24
EP2720883B1 (de) 2015-05-20
MX2013014532A (es)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286B1 (ko) 롤러
JP6412111B2 (ja) キー制御機能を有する電気機械式シリンダー錠
US8739586B2 (en) Electrical liner actuator for lock
EP2708441B1 (en) Brake mechanism for an infant stroller apparatus
JP7063880B2 (ja) 走行輪を有するキャスタ
CN103608212B (zh) 用于车辆座椅的装配系统
WO2014110365A1 (en) Side mounted privacy lock for a residential door
KR200469274Y1 (ko) 클러치 연결이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TWI485312B (zh) 圓筒式鎖具
US11187008B2 (en) Clutch engagement assembly of door lock and driving device thereof
US9683389B2 (en) Movement lock for a locking element or an actuator in a locking system
EP2975202A1 (en) Spring bolt arrangement
KR200446206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장치
KR101759733B1 (ko)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TW201115046A (en)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reverse rotation
JP2009257011A (ja) 電気錠
CN105705374A (zh) 止动件
TW202237961A (zh) 鎖裝置
KR20220070420A (ko) 편심 휠 축을 갖는 롤러 장치
JP4632238B2 (ja) 可変レバータンブラー錠
CN115527793A (zh) 旋转开关用操作机构
JP2001341655A (ja) 車両用操舵装置
KR20130097645A (ko) 모티스 록 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