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814B1 -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및 이것을 갖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및 이것을 갖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814B1
KR101924814B1 KR1020150166898A KR20150166898A KR101924814B1 KR 101924814 B1 KR101924814 B1 KR 101924814B1 KR 1020150166898 A KR1020150166898 A KR 1020150166898A KR 20150166898 A KR20150166898 A KR 20150166898A KR 101924814 B1 KR101924814 B1 KR 101924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eflectance
width
circumferential surface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752A (ko
Inventor
요이치 오사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5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for rotating or oscillating mirr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 Lens Barrel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제조 비용을 줄이고 회전 각도의 오검지를 방지하는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는 부재와 시트를 갖는다. 상기 부재는 원주면을 갖고, 상기 트는 상기 부재의 상기 원주면에 고정된다. 상기 시트의 표면의 반사율은, 상기 부재의 상기 원주면의 반사율과 다르다. 상기 시트는, 원주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폭A의 복수의 구멍을 갖고, 상기 시트는 폭A의 간극이 원주방향의 상기 시트의 양단간에 설치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원주면의 일부는, 상기 부재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구멍과 상기 간극으로부터 정기적으로 노출된다.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및 이것을 갖는 전자기기{ROTATABLE OPERAT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및 이것을 갖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기에 장비된 조작 부재의 회전을 검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에는, 여러 가지 처리와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푸시버튼식, 활주식 및 회전식 등의 여러 가지의 조작 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 부재가 조작되었을 때 그 조작 부재의 동작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다양한 센서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회전식의 조작 부재의 일례인 회전 가능한 링의 회전을, 포토 리플렉터를 사용해서 검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2007-64665호 공보 참조).
구체적으로는, 회전 가능한 링에 반사율이 다른 반사면을 소정의 회전각도의 간격으로 교대로 설치하고, 그 회전 가능한 링이 조작되었을 때에 포토 리플렉터는 선택적으로 온 및 오프(수광/비수광)된다. 이 결과, 회전 가능한 링의 회전이 검지된다. 여기에서, 회전 가능한 링에 반사율이 다른 반사면을 제공하는 방법들로서는, 환형부재의 내주면에 반사면을 직접 형성하는 방법과, 환형부재의 내주면에 반사 시트를 부착한 방법이 있다.
그러나, 환형부재에 반사율이 다른 반사면을 직접 형성해서 회전 가능한 링을 제조할 경우에, 제조(가공)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생길 것이다. 한편, 반사 시트를 환형부재에 부착하여서 회전 가능한 링을 제조할 경우에는, 환형부재에 반사면을 직접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조 비용을 줄인다. 그러나, 360도의 회전이 가능한 회전 가능한 링에서는, 반사 시트를 환형부재의 내주면의 전체 주위에 걸쳐 부착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반사 시트 사이의 이음매에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나, 반사 시트의 이음매에 미소한 겹침이 있는 경우, 반사율의 변화가 규칙적이지 않아서, 회전 각도를 검지했을 때에 오검지가 생길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을 줄이고, 회전 각도의 오검지를 방지하는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원주면을 갖는 부재; 및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는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의 표면의 반사율은, 상기 부재의 상기 원주면의 반사율과 다르고, 상기 시트는, 상기 원주면의 원주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갖고, 상기 시트에 있어서,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원주면의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의 양단이 상기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 보도록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상기 구멍의 폭에 대략 동일한 상기 원주방향의 폭을 갖는 간극은, 상기 시트의 양단간에 설치되는,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원주면을 갖는 부재; 및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는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는, 제1의 반사율을 갖는 제1의 반사 영역과, 제2의 반사율을 갖는 제2의 반사 영역을 갖고, 상기 원주면의 반사율과 상기 제2의 반사율간의 차이가, 상기 제1의 반사율과 상기 제2의 반사율간의 차이보다 작고, 상기 시트는, 상기 제1의 반사 영역과 상기 제2의 반사 영역이 상기 원주면의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또 상기 시트의 양단이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 서로 마주 보도록,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의 반사 영역의 폭에 대략 동일한 상기 원주방향의 폭을 갖는 간극은, 상기 시트의 양단간에 설치되고, 상기 간극이 상기 시트의 상기 제1의 반사 영역에 끼워지는,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원주면을 갖는 부재;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는 시트; 및
상기 시트를 향해서 광을 투사하고, 상기 시트에서 반사한 광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광에 근거해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의 표면의 반사율은, 상기 부재의 상기 원주면의 반사율과 다르고, 상기 시트는, 상기 원주면의 원주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갖고, 상기 시트에 있어서,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원주면의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의 양단이 상기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 보도록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의 반사 영역의 폭에 대략 동일한 상기 원주방향의 폭을 갖는 간극은, 상기 시트의 양단간에 설치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원주면을 갖는 부재;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는 시트; 및 상기 시트를 향해서 광을 투사하고, 상기 시트에서 반사한 광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광에 근거해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는, 제1의 반사율을 갖는 제1의 반사 영역과, 제2의 반사율을 갖는 제2의 반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원주면의 반사율과 상기 제2의 반사율간의 차이가, 상기 제1의 반사율과 상기 제2의 반사율간의 차이보다 작고, 상기 시트는, 상기 제1의 반사 영역과 상기 제2의 반사 영역이 상기 원주면의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또 상기 시트의 양단이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 서로 마주 보도록,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상기 구멍의 폭에 대략 동일한 상기 원주방향의 폭을 갖는 간극은, 상기 시트의 양단간에 설치되고, 상기 간극이 상기 시트의 상기 제1의 반사 영역에 끼워지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의 제조 비용을 줄인다. 또한,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 각도를 검지할 때에 오검지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례인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다.
도 2a는, 도 1의 촬상 장치를 구성하는 원통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2b는, 도 2a의 원통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링을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3b는, 도 3a의 회전 가능한 링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평면 전개도다.
도 4는, 도 1의 촬상 장치를 구성하는 원통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다.
도 5a는, 도 4의 회전 가능한 링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포토 리플렉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파형의 예를 나타내는 도다.
도 5b는, 도 4의 회전 가능한 링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포토 리플렉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파형의 예를 나타내는 도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링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평면 전개도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링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평면 전개도다.
도 6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링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평면 전개도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링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평면 전개도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링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평면 전개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다. 촬상 장치(1)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례다. 촬상 장치(1)는, 주로, 본체부(1a) 및 원통부(1b)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a)는, 도시되지 않은 촬상 소자, 화상처리 회로, 신호 처리 회로 및 메모리 카드 등을 가진다. 촬상 소자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광전 변환한다. 화상처리 회로는,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신호 처리 회로는, 원통부(1b)에 설치된 후술하는 포토 리플렉터(10a, 10b)(도 4 참조)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회전 가능한 링(4)의 회전을 검지한다. 메모리 카드는, 화상처리 회로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원통부(1b)는, 본체부(1a)의 정면측 중앙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원통부(1b)는, 촬상 렌즈(2) 및 경통(3)을 가진다. 촬상 렌즈(2)는, 촬상 소자에 결상하는 피사체상을 형성한다. 경통(3)은, 촬상 소자에 도달하는 광량을 조정하는 도시되지 않은 셔터 장치와 조리개 장치를 갖는다.
또, 원통부(1b)의 외주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링(4), 원통외장(5) 및 캡(6)이 설치된다. 회전 가능한 링(4)은, 촬상 소자의 감도조정이나 셔터 속도등의 각종의 촬상 파라미터를 변경하는데 조작되는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다. 촬상 장치(1)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설정 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한 링(4)의 조작에 의해 설정 값의 변경이 가능한 촬상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가능한 링(4)을 회전함으로써, 미리 설정한 원하는 촬상 파라미터의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캡(6) 및 원통외장(5)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에 설명한다. 또한, 촬상 장치(1)의 그 밖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직접 관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a는, 원통부(1b)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2b는, 도 2a의 영역S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다. 도 2a, 2b에서는, 경통(3) 내부에 배치된 촬상 렌즈(2)등의 부품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직접 관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생략하고 있다.
원통부(1b)는, 경통(3)의 외주에 배치된 베이스 부재(8)를 가진다. 베이스 부재(8)의 선단(피사체측)에는, 캡(6)이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8)의 외주에는, 회전 가능한 링(4) 및 원통외장(5)이 배치되어 있다. 원통외장(5)과 베이스 부재(8)는, 도시되지 않은 부품을 통해 본체부(1a)에 고정된다. 캡(6)은, 캡(6)과 원통외장(5) 사이에 회전 가능한 링(4)을 끼우도록, 도시되지 않은 나사에 의해, 베이스 부재(8)를 통해 본체부(1a)에 고정된다. 회전 가능한 링(4)은 경통(3)의 광축L의 방향으로 원통외장(5)과 캡(6) 사이에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유극 이외의 광축L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링(4)의 이동은 규제되어 있다. 그러나, 회전 가능한 링(4)의 이동은, 광축L을 중심축으로 한 회전 방향으로 규제되지 않고, 360도로 회전할 수 있다.
캡(6)에는, 홈(6a)이 형성되어 있다. 홈(6a)의 내부에는, 수지재료의 일례인 고무 재료로 제조된 링 부재(7)가 끼워 넣어져 있다. 링 부재(7)의 내경만이 홈(6a)의 외경보다 작고, 그 때문에, 링 부재(7)는 연장되어 있으면서 홈(6a)에 끼워 넣어진다. 회전 가능한 링(4)이 광축L의 방향으로 원통외장(5)과 캡(6) 사이에 협지된 경우에, 링 부재(7)는, 회전 가능한 링(4)에 설치된 돌출부(4e)에 의해, 광축L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레이디얼 방향)으로 힘을 받아(가압되어), 압축된다. 돌출부(4e)는, 회전 가능한 링(4)의 내주의 3군데에 원주방향으로 대략 규칙적인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링 부재(7)는 균형 잡히게 돌출부(4e)에 의해 가압된다. 돌출부(4e)에 의한 링 부재(7)에의 가압에 의해, 회전 가능한 링(4)을 회전할 때에 소정의 조작 부하가 가해지고, 이에 따라, 회전 가능한 링(4)이 부주의로 회전해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조작의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돌출부(4e)는, 4군데 이상에 설치되어도 좋다.
도 3a는, 회전 가능한 링(4)을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3b는, 회전 가능한 링(4)의 내주면 (원주면)을 나타내는 평면 전개도다. 회전 가능한 링(4)은, 환형부재(12)와, 그 환형부재(12)의 내주면에 장착된 시트(11)를 가진다.
환형부재(12)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부재를 갈아서 제조된다. 그 환형부재(12)의 외주는 요철형이고, 그 표면은 블라스팅(blasting) 처리에 의해 거칠게 마무리된다. 이에 따라, 회전 가능한 링(4)의 외주면을 파지해서 회전 가능한 링(4)을 회전할 때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고, 조작의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환형부재(12)의 내주면에 적어도 시트(11)를 부착한 영역은, 반사율이 높은 면의 일례인 광택면(12a)으로 마무리된다.
환형부재(12)의 내주면에는, 시트(11)가, 시트의 양단이 환형부재(12)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 보도록 부착되어 있다. 시트(11)의 표면은, 반사율이 낮은 면의 일례인 비광택면(11a)이다.
이때, 도 3b에서는, 비광택면(11a)과 광택면(12a)을 구별하기 위해서, 편의상, 비광택면(11a)이 해칭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도 6a, 6b, 6c, 7a, 7b에서도, 같은 이유로, 비광택면에도 해칭되어 있다.
시트(11)의 재질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시트(11)에는, 환형부재(12)의 원주방향에 대응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폭A의 복수의 구멍(11b)이 폭A의 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즉, 시트(11)에 있어서 인접하는 구멍(11b)간의 비광택면(11a)도, 폭A다. 환형부재(12)의 원주방향에서의 시트(11)의 길이는, 서로 대향된 양단간에 소정의 폭B의 간극(12b)이 형성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상기 간극(12b)의 폭B는, 구멍(11b)의 폭A와 실질적으로 같은 값으로 설정된다.
이때, 광택면인지 비광택면인지의 판단은, 크게 그 면을 본 사람에 의해 주관에 의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택면과 비광택면을, 반사율이 다른 면의 전형적인 조합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후술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식 센서의 일례인 포토 리플렉터의 발광부로부터 회전 가능한 링(4)의 내주면을 향해서 광빔이 투사된다. 회전 가능한 링(4)의 내주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포토 리플렉터의 수광부가 수광한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신호에 근거하여, 회전 가능한 링(4)의 회전이 검지된다. 이에 따라, 광택면은 포토 리플렉터의 수광부가 수광가능한 반사광을 생기게 하는 면의 일례로서 사용되고, 비광택면은 포토 리플렉터의 수광부가 수광불가능한 반사광을 생기게 하는 면의 일례로서 사용된다. 이렇게 하여, 환형부재(12)의 내주면과 시트(11)의 표면은, 반사광의 수광과 비수광이 포토 리플렉터에 의해서 식별가능한 반사율의 차이를 갖기만 하면 된다.
회전 가능한 링(4)의 내주면에는, 구멍(11b)과 간극(12b)의 각 영역에서는, 환형부재(12)의 내주면인 광택면(12a)이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구멍(11b)과 간극(12b)의 각 영역에서 노출하고 있는 광택면(12a)과, 시트(11)의 인접한 구멍(11b)간의 비광택면(11a)이, 회전 가능한 링(4)의 내주면의 전체 주위에 걸쳐서 교대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멍(11b) 및 간극(12b)의 폭이 4도분의 폭으로 설정되고, 또한, 인접한 구멍(11b) 사이의 폭A의 영역의 폭이 4도분의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광택면(12a)과 비광택면(11a)은 8도 피치, 즉 4도 간격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환형부재의 내주면에 시트를 부착하는 경우에, 시트의 양단간에 간극을 남기지 않고 그 시트의 단부면끼리를 합쳤을 경우에는, 시트의 양단간에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기도 하거나, 미소한 겹침도 있기도 하다. 한편, 환형부재(12)의 내주면에 시트(11)를 부착하였을 때에, 시트(11)의 양단면간에 폭B의 간극(12b)을 의도적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시트(11)의 양단간에 미소한 간극이나 겹침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것처럼, 회전 가능한 링(4)의 회전을 검지할 때에 오검지가 방지된다.
도 3a 및 3b에는 각각, 회전 가능한 링(4)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2개의 포토 리플렉터(10a, 10b)가 도시되어 있고, 도 3a에는, 2개의 포토 리플렉터(10a, 10b)가 실장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9)이 도시되어 있다.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발광부와 수광부는, 회전 가능한 링(4)의 내주측에, 회전 가능한 링(4)의 외주측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포토 리플렉터(10a, 10b)를 사용하여 회전 가능한 링(4)의 회전을 검지하기 위해서는, 포토 리플렉터(10a, 10b)와 대면한 회전 가능한 링(4)의 내주면에, 반사율이 다른 면을, 적어도 교대로 설치해야 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대로, 환형부재(12)의 내주면은 광택면(12a)으로 마무리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발광부으로부터 광택면(12a)에 투사되고 광택면(12a)에서 반사한 광을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수광부에서 수광할 수 있도록, 환형부재(12)의 내주면과 포토 리플렉터(10a, 10b) 사이의 거리를 정한다. 이때, 시트(11)의 표면의 비광택면(11a)의 반사율은,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발광부로부터 비광택면(11a)에 투사되어서 비광택면(11a)에서 반사한 광을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수광부에서 검지 불가능한 반사율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수광부에 수광상태와 비수광상태를 교대로 생기게 하고, 촬상 장치(1)가 갖는 도시되지 않은 신호 처리 회로에 수광상태와 비수광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제, 회전 가능한 링(4)이 회전되었을 때의 회전 각도의 검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원통부(1b)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회전 가능한 링(4) 및 그 주위의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베이스 부재(8)에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9)이 고정되어 있고, 플렉시블 배선 기판(9)에 2개의 포토 리플렉터(10a, 10b)가 실장되어 있다. 포토 리플렉터(10a, 10b)가 배치된 피치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이 광택면(12a)(구멍(11b) 또는 간극(12b)의 영역)의 거의 중심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 다른쪽이 광택면(12a)과 비광택면(11a) 사이의 경계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것은, 2개의 포토 리플렉터(10a, 10b)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파형간의 위상차를 최대화한다.
회전 가능한 링(4)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포토 리플렉터(10a, 10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파형간에 위상차가 있을 필요가 있다. 즉, 포토 리플렉터10a가 수광했을 때에, 회전 가능한 링(4)의 회전 방향에 따라 포토 리플렉터10b가 수광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가 달라질 필요가 있다. 이 차이에 근거하여, 회전 가능한 링(4)이 회전하고 있는 방향은,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판별된다.
도 5a는, 촬상 장치(1)의 배면측에서 본 것처럼 시계방향(CW)(도 4 참조)으로 회전 가능한 링(4)이 회전되었을 때에 포토 리플렉터(10a, 10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파형을 나타낸다. 도 5b는, 상기 시계방향의 역방향인 반시계방향(CCW)(도 4 참조)으로 회전 가능한 링(4)이 회전되었을 때에 포토 리플렉터(10a, 10b)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파형이다. 이때, 도 5a 및 도 5b에서는, 포토 리플렉터10a를 PR10a로서 지정하고, 포토 리플렉터10b를 PR10b로서 지정한다. 신호 파형이 High일 경우, 이것은 포토 리플렉터(10a, 10b)가 각각 수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신호 파형이 Low일 경우, 이것은 포토 리플렉터(10a, 10b)가 비수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포토 리플렉터(10a, 10b)로부터 출력된 신호 파형간의 위상차가 없을 경우에는, 회전 가능한 링(4)을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포토 리플렉터(10a, 10b)로부터 출력된 신호 파형이 같기 때문에, 회전 가능한 링(4)의 회전 방향을 검지할 수는 없다. 한편, 포토 리플렉터(10a, 10b)로부터 출력된 신호 파형간의 위상차가 작을 뿐일 경우에는, 위상차의 유무의 판정은 달라지고, 회전 방향은 오검지되기도 한다.
따라서, 원통부(1b)에서는, 포토 리플렉터(10a, 10b)으로부터 출력된 신호 파형에, 대강, 반위상분의 위상차를 생기게 하고 있다. 회전 가능한 링(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포토 리플렉터10a의 수광부가 (1)High, (2)High, (3)Low, (4)Low로 변화될 때에, 포토 리플렉터10b의 수광부의 수광상태는 (1)High, (2)Low, (3)Low, (4)High로 변화된다. 회전 가능한 링(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경우, 포토 리플렉터10a의 수광부가 (1)High, (2)High, (3)Low, (4)Low로 변화되는 동안에, 포토 리플렉터10b의 수광부의 수광상태는 (1)Low, (2)High, (3)High, (4)Low로 변화된다. 이러한 순서가 뒤따를 경우에는, 회전 가능한 링(4)의 회전 방향을 회전이 시작되는 타이밍이 무엇이든지간에 검지된다. 상기 (1)로부터 (4)까지의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순서적인 변화에 의거하여, 본체부(1a)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신호 처리 회로는, 회전 가능한 링(4)의 회전 각도를 판별한다, 즉, 회전 방향과 회전 시작 위치에 상관없이, 회전 가능한 링(4)이 1피치(1주기)를 회전한 것을 판별한다.
상술한 것처럼, 회전 가능한 링(4)의 내주면에 있어서, 구멍(11b) 및 간극(12b)에 있어서 노출한 광택면(12a)과 시트(11)의 비광택면(11a)이 원주방향의 전체 주위에 걸쳐 약 4도의 간격으로 교대로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 가능한 링(4)의 내주면에는, 합계로 45군데의 광택면(12a)이 노출한다. 그 때문에, 회전 가능한 링(4)을 8도 회전시킬 때마다 회전 가능한 링(4)의 회전이 검출된다.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 포토 리플렉터(10a)로부터의 신호의 인접하는 상승 엣지 α사이의 간격이, 회전 가능한 링(4)의 8도의 회전에 해당한다.
이상의 설명한 것처럼, 회전 가능한 링(4)은, 환형부재(12)의 내주면에 시트(11)를 부착한 영역 전체가 광택면(12a)이 되도록 제조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환형부재(12)의 내주면에 다른 반사율의 반사면을 직접 형성할 경우보다도 몰딩과 가공이 용이해서, 제조 비용을 하강시킨다. 표면이 비광택면(11a)이고 폭A의 구멍(11b)이 폭A의 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된 시트(11)는, 환형부재(12)의 내주면에 부착된다. 이것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시트(11)의 양단간에, 폭A와 대략 같은 폭B를 갖는 간극(12b)을 형성하고, 광택면(12a)을 노출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 가능한 링(4)의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은 오검지 없이 정확히 검지되고, 더 나아가, 촬상 장치(1)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에 대해서, 도 6a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링(24)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평면 전개도다. 회전 가능한 링(24)은, 이하에 설명하는 것처럼, 상술한 회전 가능한 링(4)의 내주면에서의 광택면과 비광택면의 배치가 반대가 된 구조를 가진다.
회전 가능한 링(24)은, 환형부재(22)와, 환형부재(22)의 내주면에 부착된 시트(21)를 가진다. 환형부재22는, 그 내주면이 비광택면(22a)으로서 형성된다는 점에서 다르지만,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환형부재12와 같다.
시트(21)에는, 환형부재(22)의 원주방향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폭A의 복수의 구멍(21b)이 폭A의 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시트(21)의 표면은 광택면(21a)이다. 시트(21)가 환형부재(22)에 부착된 원주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양단간에는, 폭B의 간극(22b)이 형성된다. 회전 가능한 링(24)에서는, 시트(21)에 형성된 폭A의 구멍(21b) 및 원주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양단간에 형성된 폭B의 간극(22b)의 영역들에서는, 환형부재(22)의 비광택면(22a)이 노출하고 있다. 또한, 시트(21)는, 폭B가 폭A와 대략 같아지도록 구성된다. 내주면에 설치된 광택면(21a)과 비광택면(22a)의 정의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의 정의와 같다.
회전 가능한 링(24)을 원통부(1b)에 적용했을 경우에, 시트(21)의 광택면(21a)은,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발광부로부터 광택면(21a)에 광이 투사했을 때의 광택면(21a)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수광부에서 검지가능한 반사율로 조정되어 있다. 한편, 환형부재(22)의 비광택면(22a)은,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발광부로부터 비광택면(22a)에 광을 투사했을 때의 비광택면(22a)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수광부에서 검지불가능한 반사율로 조정되어 있다. 그 결과, 회전 가능한 링(24)의 내주면의 전체 주위에 걸쳐서, 폭A의 광택면과 비광택면은, 실질적으로 폭A의 간격으로 교대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회전 가능한 링(24)이 회전되었을 때에 포토 리플렉터(10a, 10b)로부터 얻어진 파형 신호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해서 상술한 것과 같은 반주기 위상 시프트된 파형 신호다. 따라서, 회전되었을 때의 회전 가능한 링(24)의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링(4)이 회전되었을 때의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과 같이 검지가능하다. 그 결과, 회전 가능한 링(24)도, 회전 가능한 링(4)이 얻어진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에 대해서, 도 6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링(34)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평면 전개도다. 회전 가능한 링(34)은, 환형부재(12)와, 환형부재(12)의 내주면에 부착된 시트(31)를 가진다. 환형부재(12)는, 상기 제1실시예의 환형부재(12)와 같고, 그 환형부재(12)의 내주면은 광택면(12a)이다.
시트(31)는, 환형부재(12)의 원주방향에 대응한 시트(31)의 길이 방향으로, 제1의 반사 영역인 폭A의 비광택면(31b)과 제2의 반사 영역인 폭A의 광택면(31a)이 교대로 나란히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시트(31)에서는,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도 6b에서는 수직방향)에 있어서, 광택면(31a)이 비광택면(31b)의 일부 사이에 끼워져 있지만, 폭방향 단부의 비광택면(31b)은 항상 필요한 것이 아니다.
시트(31)로서는, 표면전체가 비광택면(31b)의 시트에 광택면(31a)을 인쇄 등에 의해 형성한 것, 또는, 표면전체가 광택면(31a)의 시트에 비광택면(31b)을 인쇄 등에 의해 형성한 것을 사용하여도 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환형부재(12)의 내주면에 시트(31)를 부착한 환형부재(12)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시트(31)의 양단간에는, 폭B의 간극(12b)이 형성된다. 시트(31)는, 폭B가 폭A와 대략 같아지도록 구성된다.
시트(31)의 표면의 광택면(31a) 및 비광택면(31b)의 반사율들과, 환형부재(12)의 내주면의 광택면(12a)의 반사율간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포토 리플렉터(10a, 10b)가, 광택면(31a)으로부터의 반사광은 수광하지만, 비광택면(31b)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할 수 없도록, 광택면(31a)과 비광택면(31b)간에 반사율에는 차이가 있을 필요가 있다. 광택면(12a)이 노출하고 있는 간극(12b)은, 환형부재(12)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비광택면(31b)에 끼워져 있을 필요가 있다. 포토 리플렉터(10a, 10b)가, 광택면(12a)으로부터 반사된 광은 수광하지만, 비광택면(31b)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할 수 없도록, 광택면(12a)과 비광택면(31b)간의 반사율에는 차이가 있을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광택면(31a), 비광택면(31b) 및 광택면(12a)의 반사율은, 광택면(12a)의 반사율과 광택면(31a)의 반사율간의 차이가, 비광택면(31b)의 반사율과 광택면(31a)의 반사율간의 차이보다도 작아지도록 결정된다. 이 결과, 회전 가능한 링(34)이 회전되었을 때에 포토 리플렉터(10a, 10b)로부터 얻어진 파형 신호를,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해서 설명한 파형 신호와 동등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택면(12a)은,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발광부로부터 광택면(12a)에 광을 투사했을 때의 광택면(12a)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수광부에서 검지가능한 반사율로 조정되어 있다. 시트(31)의 광택면(31a)은, 광택면(12a)과 동등한 반사율을 갖도록 조정되어 있다. 한편, 시트(31)의 비광택면(31b)은,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발광부로부터 비광택면(31b)에 광을 투사했을 때의 비광택면(31b)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수광부에서 검지불가능한 반사율로 조정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가능한 링(34)이 회전되었을 때의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링(4)이 회전되었을 때의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과 같이 검지가능하다. 그 결과, 회전 가능한 링(34)이라도, 회전 가능한 링(4)에 의해 얻어진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에 대해서, 도 6c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링(44)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평면 전개도다. 회전 가능한 링(44)은, 환형부재(22)와, 환형부재(22)의 내주면에 부착된 시트(41)를 가진다. 환형부재(22)는, 상술한 제2실시예의 환형부재(22)와 같고, 환형부재(22)의 내주면은 비광택면(22a)이다.
시트(41)는, 환형부재(22)의 원주방향에 대응한 시트(41)의 길이 방향으로, 제1의 반사 영역인 폭A의 광택면(41a)과 제2의 반사 영역인 폭A의 비광택면(41b)이 교대로 나란히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시트(41)에서는,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도 6c에서는 수직방향)에 있어서, 비광택면(41b)이 광택면(41a)의 일부 사이에 끼워져 있지만, 폭방향 단부의 광택면(41a)은 항상 필요한 것이 아니다.
시트(41)로서는, 표면전체가 광택면(41a)의 시트에 비광택면(41b)을 인쇄 등에 의해 형성한 것, 또는, 표면전체가 비광택면(41b)의 시트에 광택면(41a)을 인쇄 등에 의해 형성한 것을 사용하여도 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환형부재(22)의 내주면에 시트(41)를 부착한 환형부재(22)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시트(41)의 양단간에는, 폭B의 간극(22b)이 형성된다. 시트(41)는, 폭B가 폭A와 대략 같아지도록 구성된다.
시트 41의 표면의 광택면 41a 및 비광택면 41b의 반사율들과, 환형부재 22의 내주면의 비광택면 22a의 반사율간의 관계는, 시트 31의 표면의 광택면 31a 및 비광택면 31b의 반사율들과 환형부재 12의 내주면의 광택면 12a의 반사율간의 상술한 제3실시예에 따른 관계와 같다. 따라서, 광택면 41a, 비광택면 4lb 및 비광택면 22a의 반사율은, 비광택면 22a의 반사율과 비광택면 4lb의 반사율과의 차이가, 비광택면 41b의 반사율과 광택면 41a의 반사율과의 차이보다도 작아지도록 결정된다. 이 결과, 회전 가능한 링(44)이 회전되었을 때에 포토 리플렉터(10a, 10b)로부터 얻어진 파형 신호를,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해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반주기 위상 시프트된 파형 신호와 동등하다.
예를 들면, 시트(41)의 광택면(41a)은,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발광부로부터 광택면(41a)에 광을 투사했을 때의 광택면(41a)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수광부에서 검지가능한 반사율로 조정되어 있다. 한편, 시트(41)의 양단간의 간극(22b)으로부터 노출된 비광택면(22a)은,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발광부로부터 비광택면(22a)에 광을 투사했을 때의 비광택면(22a)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포토 리플렉터(10a, 10b)의 수광부에서 검지불가능한 반사율로 조정되어 있다. 시트(41)의 비광택면(4lb)은, 비광택면(22a)과 동등한 반사율을 갖도록 조정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가능한 링(4)이 회전되었을 때의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링(4)이 회전되었을 때의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과 같이 검지가능하다. 이 결과, 회전 가능한 링 44이라도, 회전 가능한 링 4에 의해 얻어진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에 대해서, 도 7a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링(54)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평면 전개도다. 회전 가능한 링(54)은, 환형부재(12)와, 환형부재(12)의 내주면에 부착된 시트(51)를 갖는다. 환형부재(12)는, 상기 제1실시예의 환형부재(12)와 같고, 그 환형부재(12)의 내주면은 광택면(12a)이다. 환형부재(12)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시트(51)의 표면은, 비광택면(51a)이다. 또한, 시트(51)에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시트(11)와 같이, 환형부재(12)의 원주방향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으로, 폭A의 복수의 구멍(51b)이 폭A의 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환형부재(12)에 부착된 시트(51)의 환형부재(12)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양단간에, 폭B의 간극(12b)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51)는, 폭B가 폭A와 대략 같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트(51)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의 볼록부(51c) 및 제2의 볼록부(51d)가 설치된다. 제1의 볼록부(51c) 및 제2의 볼록부(51d)는, 시트(5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구멍(51b)과 정렬되어 있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볼록부(51c) 및 제2의 볼록부(51d)는 각각, 시트(5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의 양단부(도 7a에서는 상하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멍(51b)은 폭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간극(12b)에서의 광택면(12a)의 노출 정도와 상기 구멍(51b) 각각에서의 광택면(12a)의 노출 정도가 동등하므로, 회전 가능한 링(54)의 회전은 포토 리플렉터(10a, 10b)에 의해 어떠한 지장도 없이 검지된다. 시트(51)를 환형부재(12)의 내주면에 부착할 때에, 제1의 볼록부(51c) 및 제2의 볼록부(51d)는 각각, 시트(51)의 다른쪽의 단부면을 향해서 돌출한다.
제1의 볼록부(51c)의 돌출 길이는, 구멍(51b)의 폭A보다 짧고, 폭A의 반(A/2)보다 길다. 제2의 볼록부(51d)의 돌출 길이는, 구멍(51b)의 폭A보다 길고, 폭A의 1.5배보다 짧다. 이 때문에, 환형부재(12)의 내주면에 시트(51)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제1의 볼록부(51c)는 원주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시트(51)의 다른쪽의 단부면에 겹치지 않지만, 제2의 볼록부(51d)는, 원주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시트(51)의 다른쪽의 단부면에 겹친다.
제1의 볼록부(51c) 및 제2의 볼록부(51d)는, 환형부재(12)의 내주면에 시트(51)가 적절하게 부착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지표가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볼록부(51c)는 대향하는 시트(51)의 단부와 겹칠 때, 이것은, 시트(51)의 일부가 환형부재(12)의 내주면에 앉혀있지 않고, 시트(51)의 양단간의 간극(12b)의 폭B가 시트(51)에 형성된 구멍(51b)의 폭A보다 좁은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회전 가능한 링(54)의 회전 각도와 회전 방향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되는 우려가 있으므로, 시트(51)를 재부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제2의 볼록부(51d)는 대향하는 시트(51)의 단부에 겹치지 않을 때, 이것은, 시트(51)가 환형부재(12)의 내주면에서 비틀리고, 시트(51)의 양단간의 간극(12b)의 폭B가, 시트(51)에 형성된 구멍(51b)의 폭A보다 넓은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도, 회전 가능한 링(54)의 회전 각도와 회전 방향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시트(51)를 재부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회전 가능한 링 54는 회전 가능한 링 4에서 얻어진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얻고, 간편한 방법으로 시트(51)가 규정대로 부착된 것인가 아닌가를 결정한다.
이때, 제1의 볼록부(51c) 및 제2의 볼록부(51d)의 돌출 길이는, 상술한 범위내에서, 부품의 치수 오차등의 변동을 고려해서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부품의 치수 오차등의 변동이 클 경우, 시트(51)의 길이 방향의 양단간에 형성된 간극(12b)의 폭B를 구멍(51b)의 폭A에 가능한 한 가까이 할 필요가 있다. 즉, 제1의 볼록부(51c) 및 제2의 볼록부(51d)의 돌출 길이를 폭A에 가까이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부착된 시트(51)의 오정렬에 대한 허용량은 작다.
한편, 부품의 치수 오차등의 변동이 작을 경우, 시트(51)의 길이 방향의 양단간에 형성된 간극(12b)의 폭B와 구멍(51b)의 폭A간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경우도, 포토 리플렉터로부터 출력되는 파형 신호간의 위상차는, 오검지가 발생하지 않는 허용 범위내로 허용된다. 이 결과, 제1의 볼록부(51c)는 구멍(51b)의 폭A의 절반의 길이에 가깝게 하고, 제2의 볼록부(51d)는 폭A의 1.5배의 길이에 가깝게 한다. 이 경우, 부착된 시트(51)의 오정렬에 대한 허용량은 크다.
제1의 볼록부(51c) 및 제2의 볼록부(51d)와 동등한 볼록부는, 도 6a, 6b, 6c를 참조해서 설명한 시트 21, 31, 41에 설치되어도 된다. 회전 가능한 링(54)에서는, 시트(51)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면에 제1의 볼록부(51c)와 제2의 볼록부(51d)를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한쪽의 단부면에 제1의 볼록부(51c)를 형성하고, 다른쪽의 단부면에 제2의 볼록부(51d)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제1의 볼록부(51c)와 제2의 볼록부(51d)는, 환형부재(12)의 원주방향으로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더욱이, 회전 가능한 링(24)의 광택면과 비광택면이 꼭 회전 가능한 링(4)의 것들의 반대인 것처럼, 회전 가능한 링(54)의 광택면과 비광택면은 반대이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에 대해서, 도 7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링(64)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평면 전개도다. 회전 가능한 링(64)은, 환형부재(62)와, 환형부재(62)의 내주면에 부착된 시트(11)를 갖는다. 시트(11)는, 상기 제1실시예의 시트(11)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시트(11)가 환형부재(62)의 내주면에 부착된 상태로, 시트(11)의 길이 방향의 양단간에는, 소정의 폭B의 간극(62b)이 형성된다.
환형부재 62의 내주면은, 환형부재 12의 광택면 12a와 같이 광택면 62a다. 환형부재(62)의 내주면에는, 제1의 마커(62c) 및 제2의 마커(62d)가 형성되어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의 마커(62c) 및 제2의 마커(62d)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1의 마커(62c) 및 제2의 마커(62d)는, 예를 들면, 환형부재(62)에 형성된 오목부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인이나 인쇄(잉크로 도포)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거나, 씰(seals)을 부착하여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제1의 마커(62c) 및 제2의 마커(62d)는, 환형부재(62)에 형성된 볼록부이어도 좋다.
제1의 마커(62c) 및 제2의 마커(62d)는, 환형부재(62)의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구멍(11b)과 정렬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마커(62c) 및 제2의 마커(62d)는 각각, 환형부재(62)에 부착된 시트(11)의 폭방향의 양단부(도 7b에 보여진 것처럼 상하의 단부측)의 근방에 설치된다. 따라서, 간극(62b)에서의 광택면(62a)의 노출 정도와 각 구멍(11b)에서의 광택면(62a)의 노출 정도를 동등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지장도 없이 회전 가능한 링(64)의 포토 리플렉터(10a, 10b)에 의해 회전이 검지된다.
환형부재(62)의 원주방향에서의 제1의 마커(62c)의 길이(폭)는, 시트(11)에 형성된 상기 구멍(11b)의 폭A보다 짧고, 폭A의 반(A/2)보다 길다. 환형부재(62)의 원주방향에서의 제2의 마커(62d)의 길이(폭)는, 구멍(11b)의 폭A보다 길고, 폭A의 1.5배보다 짧다. 이 때문에, 환형부재(62)의 내주면에 시트(11)가 부착된 상태로, 제1의 마커(62c)가 시트(11)와 겹치지 않지만(제1의 마커(62c)가 시트(11)로 덮어지지 않지만), 제2의 마커(62d)가 시트(11)와 겹친다(제2의 마커(62d)가 시트(11)로 일부 덮어진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의 마커(62c) 및 제2의 마커(62d)는, 원주방향에서의 중심이 환형부재(62)의 스러스트(thrust) 방향에 평행한 직선M상에 위치하도록, 환형부재(62)에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제1의 마커(62c) 및 제2의 마커(62d)를 형성하는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적어도, 환형부재(62)의 스러스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1의 마커(62c)가 제2의 마커(62d)로 덮인 위치에 형성되기만 하면 된다.
제1의 마커(62c) 및 제2의 마커(62d)는, 환형부재(62)의 내주면에 시트(11)가 적절하게 부착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지표가 되고, 또한, 환형부재(62)의 내주면에 시트(11)를 부착하기 위한 마커가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마커(62c)가 시트(11)의 길이 방향의 단부와 겹칠 때, 이것은, 시트(11)가 환형부재(62)에 정착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이때, 간극(62b)의 폭B는, 시트(11)에 형성된 구멍(11b)의 폭A보다 좁다. 이 경우에는, 회전 가능한 링(64)의 회전 각도와 회전 방향이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시트(11)를 재부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제2의 마커(62d)가 시트(11)의 길이 방향의 단부와 겹치지 않을 때, 이것은, 환형부재(62)의 내주면에 부착된 시트(11)가 비틀어지고, 간극(62b)의 폭B가 시트(11)에 형성된 구멍(11b)의 폭A보다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도, 회전 가능한 링(64)의 회전 각도와 회전 방향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시트(11)를 재부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환형부재(62)의 원주방향에서의 제1의 마커(62c) 및 제2의 마커(62d)의 길이(폭)는, 상술한 범위내에서 부품의 치수 오차등의 변동을 고려하여, 제1의 볼록부(51c) 및 제2의 볼록부(51d)의 돌출길이와 같이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의 마커(62c) 및 제2마커(62d)를, 환형부재(62)에 시트(11)를 상기 스러스트 방향으로 부착한 상기 폭내에 설치되고, 이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제1의 마커(62c) 및 제2의 마커(62d)는 환형부재(62)의 스러스트 방향으로 시프트된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술한 것처럼, 회전 가능한 링 64도, 회전 가능한 링 4에 의해 얻어진 것들과 동등한 효과를 얻고, 간편한 방법으로 시트 11이 규정대로 부착된 것인가 아닌가가 결정된다.
이때, 회전 가능한 링 64는, 회전 가능한 링 24에 사용된 시트(31)를 환형부재(62)의 내주면에 부착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회전 가능한 링은, 비광택면으로서 형성된 환형부재(62)의 내주면에 제1의 마커(62c) 및 제2의 마커(62d)를 형성하고, 시트 21 또는 41을 환형부재(62)의 내주면에 부착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환형부재의 곡면의 1개인 내주면에 반사율이 다른 면을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설치한 회전 가능한 조작부재를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환형부재나 원주형 부재의 곡면인 외주벽면에 반사율이 다른 면을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설치한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에 적용되어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은, 여기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14년 12월 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2014-243242와 2015년 9월 1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2015-179613의 이점을 청구한다.

Claims (16)

  1. 원주면을 갖는 부재; 및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는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의 표면의 반사율은, 상기 부재의 상기 원주면의 반사율과 다르고,
    상기 시트는, 상기 원주면의 원주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갖고,
    상기 시트에 있어서,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원주면의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의 양단이 상기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 보도록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상기 구멍의 폭에 대략 동일한 상기 원주방향의 폭을 갖는 간극은, 상기 시트의 양단간에 설치되는,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표면의 반사율은, 상기 부재의 상기 원주면의 반사율보다 낮은,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표면의 반사율은, 상기 부재의 상기 원주면의 반사율보다 높은,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의 한쪽 단에서 다른쪽 단을 향해서 돌출하는 제1의 볼록부 및 제2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1의 볼록부 및 상기 제2의 볼록부는,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과 정렬되지 않고,
    상기 제1의 볼록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간극의 폭보다 짧고,
    상기 제2의 볼록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간극의 폭보다 길고,
    상기 제1의 볼록부가 상기 시트의 상기 다른쪽 단과 겹치지 않고, 또 상기 제2의 볼록부가 상기 시트의 상기 다른쪽 단과 겹치도록, 상기 시트는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는,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면의 상기 간극에는, 제1의 마커와 제2의 마커가 형성되고,
    상기 제1의 마커 및 상기 제2의 마커는,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과 정렬되지 않고,
    상기 제1의 마커의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간극의 폭보다 짧고,
    상기 제2의 마커의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간극의 폭보다 길고,
    상기 제1의 마커가 상기 시트의 상기 양단과 겹치지 않고, 또 상기 제2의 마커가 상기 시트의 상기 양단과 겹치도록, 상기 시트는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는,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6. 원주면을 갖는 부재; 및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는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는, 제1의 반사율을 갖는 제1의 반사 영역과, 제2의 반사율을 갖는 제2의 반사 영역을 갖고,
    상기 원주면의 반사율과 상기 제2의 반사율간의 차이가, 상기 제1의 반사율과 상기 제2의 반사율간의 차이보다 작고,
    상기 시트는, 상기 제1의 반사 영역과 상기 제2의 반사 영역이 상기 원주면의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또 상기 시트의 양단이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 서로 마주 보도록,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의 반사 영역의 폭에 대략 동일한 상기 원주방향의 폭을 갖는 간극은, 상기 시트의 양단간에 설치되고,
    상기 간극이 상기 시트의 상기 제1의 반사 영역에 끼워지는,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반사율은 상기 제2의 반사율보다 높은,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반사율은 상기 제2의 반사율보다 낮은,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9. 원주면을 갖는 부재;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는 시트; 및
    상기 시트를 향해서 광을 투사하고, 상기 시트에서 반사한 광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광에 근거해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의 표면의 반사율은, 상기 부재의 상기 원주면의 반사율과 다르고,
    상기 시트는, 상기 원주면의 원주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갖고,
    상기 시트에 있어서,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원주면의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의 양단이 상기 원주방향으로 서로 마주 보도록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상기 구멍의 폭에 대략 동일한 상기 원주방향의 폭을 갖는 간극은, 상기 시트의 양단간에 설치되는, 전자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표면의 반사율은 상기 부재의 상기 원주면의 반사율보다 낮은, 전자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표면의 반사율은 상기 부재의 상기 원주면의 반사율보다 높은, 전자기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의 한쪽 단에서 다른쪽 단을 향해서 돌출하는 제1의 볼록부 및 제2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1의 볼록부 및 상기 제2의 볼록부는,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과 정렬되지 않고,
    상기 제1의 볼록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간극의 폭보다 짧고,
    상기 제2의 볼록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간극의 폭보다 길고,
    상기 제1의 볼록부가 상기 시트의 상기 다른쪽 단과 겹치지 않고, 또 상기 제2의 볼록부가 상기 시트의 상기 다른쪽 단과 겹치도록, 상기 시트는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는, 전자기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면의 상기 간극에는, 제1의 마커와 제2의 마커가 형성되고,
    상기 제1의 마커 및 상기 제2의 마커는,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과 정렬되지 않고,
    상기 제1의 마커의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간극의 폭보다 짧고,
    상기 제2의 마커의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간극의 폭보다 길고,
    상기 제1의 마커가 상기 시트의 양단과 겹치지 않고, 또 상기 제2의 마커가 상기 시트의 양단과 겹치도록, 상기 시트는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는, 전자기기.
  14. 원주면을 갖는 부재;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는 시트; 및
    상기 시트를 향해서 광을 투사하고, 상기 시트에서 반사한 광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광에 근거해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는, 제1의 반사율을 갖는 제1의 반사 영역과, 제2의 반사율을 갖는 제2의 반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원주면의 반사율과 상기 제2의 반사율간의 차이가, 상기 제1의 반사율과 상기 제2의 반사율간의 차이보다 작고,
    상기 시트는, 상기 제1의 반사 영역과 상기 제2의 반사 영역이 상기 원주면의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또 상기 시트의 양단이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 서로 마주 보도록,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의 반사 영역의 폭에 대략 동일한 상기 원주방향의 폭을 갖는 간극은, 상기 시트의 양단간에 설치되고,
    상기 간극이 상기 시트의 상기 제1의 반사 영역에 끼워지는, 전자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반사율은 상기 제2의 반사율보다 높은, 전자기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반사율은 상기 제2의 반사율보다 낮은, 전자기기.
KR1020150166898A 2014-12-01 2015-11-27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및 이것을 갖는 전자기기 KR101924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3242 2014-12-01
JP2014243242 2014-12-01
JP2015179613A JP6614883B2 (ja) 2014-12-01 2015-09-11 操作部材及び電子機器
JPJP-P-2015-179613 2015-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752A KR20160065752A (ko) 2016-06-09
KR101924814B1 true KR101924814B1 (ko) 2018-12-04

Family

ID=5612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898A KR101924814B1 (ko) 2014-12-01 2015-11-27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및 이것을 갖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6614883B2 (ko)
KR (1) KR101924814B1 (ko)
CN (1) CN105652563B (ko)
TW (1) TWI5823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1645A1 (ja) * 2016-09-13 2018-03-22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装置
JP7098488B2 (ja) * 2018-09-07 2022-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回転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装置
US11480448B2 (en) 2018-09-07 2022-10-25 Canon Kabushiki Kaisha Rotation detection apparatus, operation apparatus, lens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7374628B2 (ja) * 2018-09-21 2023-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光学機器、およびアクセサリ装置
KR20200129578A (ko) 2019-05-09 2020-11-18 강민구 임플란트용 나사 풀림방지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지대주
CN111586216B (zh) * 2020-04-30 2021-06-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终端、折叠状态确定方法和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0384A (ja) 2000-04-06 2001-10-19 Ricoh Co Ltd シームレス筒状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シームレス筒状フィルム
US20030173119A1 (en) 2002-03-14 2003-09-18 Dieter Spark Method for fabricating an annular scale
WO2006095883A1 (en) 2005-03-08 2006-09-14 Ricoh Company, Ltd. Lens barrel,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JP2007047652A (ja) 2005-08-12 2007-02-22 Canon Inc 光学機器
JP2010243876A (ja) 2009-04-08 2010-10-28 Canon Inc 光学機器
WO2014034603A1 (ja) 2012-08-29 2014-03-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鏡胴に着脱自在な駆動装置,その処理制御を行う方法および調整方法,
WO2014057726A1 (ja) 2012-10-11 2014-04-17 ソニー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レンズ鏡筒、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1354A (en) * 1978-06-09 1979-12-20 Mitsutoyo Seisakusho Linear digital sca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S60122316A (ja) * 1983-12-05 1985-06-29 Du Pont Japan Ltd 反射式位置検出装置
JPH0820206B2 (ja) * 1987-05-21 1996-03-04 新明和工業株式会社 駆動システム
US5267088A (en) * 1989-11-10 1993-11-30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Code plate mounting device
JP2516837Y2 (ja) * 1989-11-10 1996-11-13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コード板取付け構造
JPH05203465A (ja) * 1992-01-27 1993-08-10 Omron Corp ロータリエンコーダ
ES2293878T3 (es) * 1999-09-28 2008-04-01 Snap-On Equipment Gmbh Maquina de equilibrado de ruedas para una rueda de automovil con codificador angular compacto.
JP2002139347A (ja) * 2000-11-01 2002-05-17 Yaskawa Electric Corp 磁気式エンコーダ
AT410372B (de) * 2000-11-30 2003-04-25 Rsf Elektronik Gmbh Winkelmesssystem
US7265336B2 (en) * 2003-12-01 2007-09-04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Encoder utilizing a reflective cylindrical surface
JP2007003505A (ja) * 2005-05-23 2007-01-11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光学式リニアエンコーダ
JP4724496B2 (ja) * 2005-08-29 2011-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式エンコーダ
JP2012052853A (ja) * 2010-08-31 2012-03-15 Canon Inc 電子機器
JP2013080079A (ja) * 2011-10-04 2013-05-02 Canon Inc レンズ駆動機構
JP6300431B2 (ja) * 2012-04-27 2018-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エンコーダ、レンズ装置、および、カメラ
JP6081830B2 (ja) * 2013-03-12 2017-02-15 新日本無線株式会社 反射型フォトセンサを用いた位置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0384A (ja) 2000-04-06 2001-10-19 Ricoh Co Ltd シームレス筒状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シームレス筒状フィルム
US20030173119A1 (en) 2002-03-14 2003-09-18 Dieter Spark Method for fabricating an annular scale
WO2006095883A1 (en) 2005-03-08 2006-09-14 Ricoh Company, Ltd. Lens barrel,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JP2007047652A (ja) 2005-08-12 2007-02-22 Canon Inc 光学機器
JP2010243876A (ja) 2009-04-08 2010-10-28 Canon Inc 光学機器
WO2014034603A1 (ja) 2012-08-29 2014-03-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鏡胴に着脱自在な駆動装置,その処理制御を行う方法および調整方法,
WO2014057726A1 (ja) 2012-10-11 2014-04-17 ソニー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レンズ鏡筒、撮像装置
US20150211840A1 (en) 2012-10-11 2015-07-30 Sony Corporation Position detection device,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52563A (zh) 2016-06-08
TW201623923A (zh) 2016-07-01
CN105652563B (zh) 2020-02-07
TWI582394B (zh) 2017-05-11
JP6614883B2 (ja) 2019-12-04
JP2016110070A (ja) 2016-06-20
KR20160065752A (ko) 2016-06-09
JP6833939B2 (ja) 2021-02-24
JP2019207440A (ja)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814B1 (ko)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및 이것을 갖는 전자기기
EP2343510B1 (en) Rotary encoder
US10200576B2 (en) Rotatable-swingabl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JP5574899B2 (ja) 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及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US2019001784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rotary scale, rotary scale, rotary encoder, driving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and robot apparatus
JP6639178B2 (ja) 電子機器
WO2016092599A1 (ja) 光学式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
US9823096B2 (en) Reflective type optical encoder
JP4882840B2 (ja) 面導光円板、光学式エンコ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
US11592643B2 (en) Image pickup apparatus equipped with rotary ring, optical device, and accessory device
JP2016128849A (ja) 回転式操作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9602706B2 (en) Rotatable operat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7183010B2 (ja) 回転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ンズ装置並びに撮像装置
US20050040323A1 (en) Cylindrical encoder
JP7098488B2 (ja) 回転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装置
KR100703208B1 (ko) 회전수 검출 장치
JPH08101027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回転角度検出装置
TWI420083B (zh) 電子裝置、偵測裝置及其編碼器
JP2016224295A (ja) 回転操作リング、及び電子機器
JPH03157607A (ja) レンズ回動位置検出装置
JPH08101026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回転角度検出装置
JP2005207766A (ja) 光学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