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578A - 임플란트용 나사 풀림방지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지대주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나사 풀림방지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지대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9578A KR20200129578A KR1020190054198A KR20190054198A KR20200129578A KR 20200129578 A KR20200129578 A KR 20200129578A KR 1020190054198 A KR1020190054198 A KR 1020190054198A KR 20190054198 A KR20190054198 A KR 20190054198A KR 20200129578 A KR20200129578 A KR 202001295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butment
- screw
- loosening
- implant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매식체에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지대주가 연결나사의 풀림에 의해 느슨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지대주 내측의 오목홈 구조에 풀림방치 장치가 고정됨으로써 풀림방지장치 아래에 위치한 나사의 상방 움직임을 제한하여 풀림을 방지하는 것으로써, 풀림방지장치의 슬라이딩부가 스프링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확장되는 힘을 이용하여 지대주의 오목홈 구조에 고정되는 풀림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매식체에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지대주가 연결나사의 풀림에 의해 느슨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임플란트용 나사 풀림방지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지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는 잇몸뼈에 삽입되는 매식체와 그 매식체에 일부가 삽입되는 나사, 매식체와 결합하는 지대주 및 지대주 위에 씌워지는 크라운(인공치아)로 구성된다.
그러나 "구치부 임플란트 고정성 수복물에서의 지대주 나사 풀림 현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8, 가천대학교 홍수정, 배정윤, 김현희""에 의하면, 구치부 임플란트 수복물에서 지대주 나사 풀림의 발생빈도는 7.4%로 조사 보고된 사례가 있다.
나사 풀림 현상은 저작운동, 칫솔질 등의 진동과 충격에 의해 발생하며 나사가 풀림으로써 그와 결합되는 보철물이 파손될 수 있고 주변의 잇몸뼈 소실을 촉진시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나사 풀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나사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풀림방지장치와 그와 조립되는 지대주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작활동 시, 나사 풀림 발생에 수반하는 진동으로 인해 주변 잇몸뼈가 소실되거나 염증 등의 합병증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나사 풀림방지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지대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측 원통 면에 오목홈 구조을 가지는 지대주와, 스프링의 탄성력과 스토퍼의 균형을 이용하여 나사의 상방 움직임을 제한하는 풀림방지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풀림방지장치를 지대주 오목홈 구조에 고정 시 풀림방지장치의 상하 운동이 지대주의 오목홈 구조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그 하부에 위치한 나사의 상하운동을 제한하며, 이로 인해 나사의 풀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사의 풀림에 수반되는 임플란트 구조 진동으로 인해 주변부 조직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픽스쳐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며 지대주 구조와 풀림방지장치만을 추가로 사용하여 나사의 풀림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나사와 접촉하는 지대주의 하측 부는 응력이 집중되어 변형에 취약하므로, 지대주의 하측 구조가 아닌 상측의 빈 원통 구조를 활용하여 오목홈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임플란트의 하중분포와 변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대주 및 풀림방지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나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대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풀림방지장치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b)는 풀림방지장치가 축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는 풀림방지장치와 풀림방지장치의 몸체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b)는 풀림방지장치와 풀림방지장치의 슬라이딩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나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대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풀림방지장치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b)는 풀림방지장치가 축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는 풀림방지장치와 풀림방지장치의 몸체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b)는 풀림방지장치와 풀림방지장치의 슬라이딩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매식체에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지대주가 연결나사의 풀림에 의해 느슨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체를 나타낸 것으로써, 매식체(400)은 치조골에 식립되며, 나사(300)은 매식체(400) 내부에 체결된다. 지대주(100)는 매식체(400) 상부와 맞닿으며 내측 원통면(120)에서 나사(300)와 맞닿는다. 나사(300)은 매식체(400)에 고정되고 지대주(100)와 맞닿음으로써 매식체(400)와 지대주(1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장치(200)은 지대주(100) 내측의 오목홈 구조(110)에 위치하여 고정되며, 하부의 나사 머리 윗면(310)과 맞닿는다. 나사(300)가 풀리는 상황이 발생하면 나사(300)는 상방으로 이동하는데, 이 때 풀림방지장치(200)가 지대주(100)에 고정되어 있고 나사머리 윗면(310)과 맞닿아 있으므로 나사(300)의 상방이동을 제한하여 나사(300)의 풀림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사(300)을 나타낸 것으로, 지대주(100)와 결합 시 나사머리 윗면(310)이 풀림방지장치(200)와 맞닿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대주를 나타낸 것으로, 지대주 내측 원통면(120)을 통하여 하강함으로써 풀림방지장치(200)가 오목홈 구조(110)와 조립된다. 오목홈 구조(110)에 끼워진 풀림방지장치(200)는 상방, 하방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고정되게 되고, 따라서 그 아래에 위치한 나사(300)을 고정한다.
도 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장치(200)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써 풀림방지장치 몸체 홈(260)으로 기구를 집어넣어 잡아당김으로써 축소된 상태의 풀림방지장치(200)이다.
도 4의(b)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장치(200)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과 스토퍼(250)가 균형을 이룬 확장된 상태의 풀림방지장치(200)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장치(200)와 풀림방지장치 몸체(230)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풀림방지장치 몸체 홈(260)를 통하여 들어온 기구는 슬라이딩 부 홈(270)을 당겨 풀림방지장치(200)를 축소시킴으로써 풀림방지장치(200)를 지대주 내측 원통면(120)으로 집어 넣을 수 있다.
도 5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장치(200)와 풀림방지장치 슬라이딩 부(22)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풀림방지장치(200)는 외력이 없는 한 스프링(210)의 장력으로 인해 확장려는 힘을 가지며, 이 때 슬라이딩 부(220)의 걸림턱(240)이 풀림방지장치 몸체(230)의 스토퍼(250)에 걸림으로써 슬라이딩 부(22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가 된다. 오목홈 구조(110)에 끼워진 풀림방지장치(200)는 스프링(210)의 탄성으로 인해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그 아래에 위치하는 나사(300)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풀림을 방지한다.
100 : 지대주 110 : 오목홈 구조
120 :지대주 내측 원통면
200 : 풀림방지장치 210 : 스프링
220 : 슬라이딩 부 230 : 풀림방지장치 몸체
240 : 걸림턱 250 : 스토퍼
260 : 풀림방지장치 몸체 홈 270 : 슬라이딩 부 홈
300 : 나사 310 : 나사머리 윗면
400 : 매식체
Claims (1)
- 하측 구조가 아닌 상측 구조의 원통 면에 위치한 오목홈 구조를 가지는 지대주;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풀림방지장치 슬라이딩 부가 바깥으로 확장되는 힘을 제한하기 위해 몸체의 스토퍼가 슬라이딩부의 걸림턱에 걸리게 함으로써 확장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구조를 유지하는 풀림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4198A KR20200129578A (ko) | 2019-05-09 | 2019-05-09 | 임플란트용 나사 풀림방지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지대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4198A KR20200129578A (ko) | 2019-05-09 | 2019-05-09 | 임플란트용 나사 풀림방지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지대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9578A true KR20200129578A (ko) | 2020-11-18 |
Family
ID=7369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4198A KR20200129578A (ko) | 2019-05-09 | 2019-05-09 | 임플란트용 나사 풀림방지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지대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29578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5752A (ko) | 2014-12-01 | 2016-06-09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및 이것을 갖는 전자기기 |
KR20170003579A (ko) | 2014-06-09 | 2017-0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서비스 가이드 정보 송신 방법, 서비스 가이드 정보 수신 방법, 서비스 가이드 정보 송신 장치 및 서비스 가이드 정보 수신 장치 |
KR20170119238A (ko) | 2016-04-18 | 2017-10-26 | 주식회사 영신테크 | 차량용 조향장치 |
-
2019
- 2019-05-09 KR KR1020190054198A patent/KR20200129578A/ko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3579A (ko) | 2014-06-09 | 2017-0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서비스 가이드 정보 송신 방법, 서비스 가이드 정보 수신 방법, 서비스 가이드 정보 송신 장치 및 서비스 가이드 정보 수신 장치 |
KR20160065752A (ko) | 2014-12-01 | 2016-06-09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 및 이것을 갖는 전자기기 |
KR20170119238A (ko) | 2016-04-18 | 2017-10-26 | 주식회사 영신테크 | 차량용 조향장치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구치부 임플란트 고정성 수복물에서의 지대주 나사 풀림 현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8, 가천대학교 홍수정, 배정윤, 김현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4802B1 (ko) |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 |
US10111735B2 (en) | Double-cushioned dental implant | |
KR102323729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 |
US9522053B2 (en) | Dental implant assembly for uniform distribution of occlusal forces | |
KR101140620B1 (ko) |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 |
US20130084541A1 (en) | Implant system | |
KR100997553B1 (ko) | 일체형 임플란트 | |
JP2008212586A (ja) | 歯科補綴物維持装置 | |
US9204943B1 (en) | Coreflex abutment system | |
KR100807150B1 (ko) |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 |
KR200473225Y1 (ko) |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 |
KR101155702B1 (ko) | 일체형 임플란트 | |
KR101380919B1 (ko) | 지대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장치 | |
KR20200020025A (ko) |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 |
KR102378801B1 (ko) | 상악 전치부 순측 잇몸 두께 확보가 가능한 치과용 앵글형 어버트먼트 | |
KR20200129578A (ko) | 임플란트용 나사 풀림방지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지대주 | |
KR101840672B1 (ko) | 인조치아 고정장치 | |
CN105939689B (zh) | 义齿装置 | |
KR20110064402A (ko) |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 |
KR101597151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101978322B1 (ko) | 임플란트 크라운 | |
US20230414329A1 (en) | Dental implant attachment system in screw-retained configuration for implant-supported and implant-retained removable dentures and method of use | |
KR200456293Y1 (ko) | 원바디형 솔리드 어버트먼트 | |
KR101144154B1 (ko) | 임플란트용 인공뼈 고정구 | |
KR101296740B1 (ko) | 넌-서브머지드 타입 임플란트용 지대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