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225Y1 -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 Google Patents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225Y1
KR200473225Y1 KR2020120004180U KR20120004180U KR200473225Y1 KR 200473225 Y1 KR200473225 Y1 KR 200473225Y1 KR 2020120004180 U KR2020120004180 U KR 2020120004180U KR 20120004180 U KR20120004180 U KR 20120004180U KR 200473225 Y1 KR200473225 Y1 KR 200473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denture
magnetic assembly
magnetic
abutment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826U (ko
Inventor
대경 이
Original Assignee
(주)카이노스메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이노스메덴텍 filed Critical (주)카이노스메덴텍
Priority to KR2020120004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22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8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8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2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1Magnetic dental implant reten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35Magnetic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Implant Supported Overdenture)에 적용되는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는, 내부에 마그넷이 수용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원추형 외주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버덴쳐에 고정되는 마그네틱 어셈블리; 및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의 상기 원추형 외주면부를 수용하기 위한 원추형 홈부를 포함하고 환자의 잇몸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와 결합 유지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오버덴쳐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결합 유지력을 확보하면서도 오버덴쳐의 착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Magnetic attachment device for overdenture}
본 고안은, 치과용 어태치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버덴쳐에 적용되는 것으로 자력에 의해 오버덴쳐에 대한 결합 유지력을 확보하는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혹은 자기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시술법은 본래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술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근 즉 치아뿌리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들어진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 시술법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덴쳐(denture, 틀니)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법은, 치아가 빠진 개수만큼 식립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많은 치아가 소실된 경우에는 이를 임플란트로 모두 대체하자면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남아 있는 잇몸 뼈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 시술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시술법(이하, '임플란트 오버덴쳐 시술법'이라 칭함)이 각광을 받고 있다.
임플란트 오버덴쳐 시술법이란, 일반적으로 하악에는 2개 이상의 임플란트를, 상악에는 4개 이상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에 바(bar)와 자석(magnet) 등 다양한 유지장치를 이용하여 오버덴쳐(overdenture)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시술법으로, 잇몸 외에는 음식물을 씹는 힘을 지지하는 구조가 없어 유지력 및 지지력이 떨어지는 통상적인 덴쳐(denture, 틀늬) 시술법의 단점을 보완하면서도 임플란트 시술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에 고비용의 임플란트 시술법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다.
도 1은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20)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잇몸부에 이식된 복수개의 임플란트(10)에 의해 지지된다. 참고로, 임플란트(10)는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fixture)와, 픽스츄어에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오버덴쳐(20)에 구비된 리텐션(retention) 기구와 결합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 혹은 키퍼(keep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임플란트(10)를 구성하는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는 하나의 몸체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리텐션 기구(미도시)는 접착용 레진 등으로 오버덴쳐(20)의 하단부에 접착용 레진 등으로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10)는 오버덴쳐(20)와 결합하는 방식에 있어서 스냅-온(Snap-On) 방식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임플란트(10)의 상단부는 오버덴쳐(20)의 리텐션 기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오버덴쳐(20)의 리텐션 기구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임플란트(10)의 상단부에 스냅-온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오버덴쳐(20)는 임플란트(1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오버덴쳐(20)의 유지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는 임플란트(10)로부터 오버덴쳐(20)를 빼낼 수 있음은 물론, 다시 임플란트(10)에 오버덴쳐(20)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위와 같은 스냅-온 방식으로 임플란트(10)와 오버덴쳐(20) 사이의 결합 유지력을 확보하는 것과 다르게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기구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와 오버덴쳐 사이의 결합 유지력을 확보할 수도 있다.
도 2는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에 적용되는 종래의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기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기구(1)는 환자의 잇몸에 삽입되는 어버트먼트(10, abutment) 및 오버덴쳐(overdenture) 내에서 고정되고 자력에 의해 어버트먼트(110)와 결합 유지되는 마그네틱 어셈블리(20, magnetic assembly)를 포함한다. 이때, 어버트먼트(10)는 환자의 잇몸에 삽입되어 그 하단부를 구성하는 나사산부(13)에 의해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fixture, 미도시)와 상호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네틱 어셈블리(20)는 마그넷(미도시)이 구비되며 접착용 레진 등에 이해 오버덴쳐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기구(1)는 오버덴쳐에 고정된 마그네틱 어셈블리(20)의 평평한 하면이 어버트먼트(10)의 평평한 상면(11)에 자력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오버덴쳐에 대한 결합 유지력이 확보할 수 있다. 참고로, 어버트먼트(10)는 '키퍼(keeper)'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기구(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10)와 마그네틱 어셈블리(20)가 평면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오버덴쳐에 대한 결합 유지력, 특히 수평 방향 혹은 접촉면 방향으로의 결합 유지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기구(1)가 적용된 오버덴쳐는 사용 중 수평 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할 여지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오버덴쳐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결합 유지력을 확보하면서도 오버덴쳐의 착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Implant Supported Overdenture)에 적용되는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마그넷이 수용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원추형 외주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버덴쳐에 고정되는 마그네틱 어셈블리; 및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의 상기 원추형 외주면부를 수용하기 위한 원추형 홈부를 포함하고 환자의 잇몸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와 결합 유지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원추형 홈부는, 상기 원추형 외주면부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상기 어버트먼트의 일단부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추형 외주면부와 상기 원추형 홈부는, 40°내지 50°범위의 경사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는, 접착용 레진에 의해 상기 오버덴쳐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오버덴쳐에 접착 고정되는 일단부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턱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 홈부는,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원추형 외주면부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어셈블리와, 마그네틱 어셈블리의 원추형 외주면부를 수용하기 위한 원추형 홈부를 어버트먼트를 사용하여 오버덴쳐에 대한 결합 유지력을 확보함으로써, 어버트먼트와 마그네틱 어셈블리가 평면으로 접촉 결합되는 종래 기술과 다르게, 어버트먼트와 마그네틱 어셈블리가 이른바 '홈과 돌기' 구조로 상호 결합되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임 구속되므로 어버트먼트와 마그네틱 어셈블리 사이에서 보다 안정적인 결합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어버트먼트와 마그네틱 어셈블리가 원추 형상의 곡면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오버덴쳐의 착용 시 서로 대응하는 마그네틱 어셈블리와 어버트먼트의 위치나 방향이 정확하게 들어맞지 않더라도 마그네틱 어셈블리의 원추형 외주면부가 어버트먼트의 원추형 홈부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오버덴쳐가 상대적으로 다양한 방향 혹은 각도에서 환자의 잇몸에 착용될 수 있다.
도 1은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에 적용되는 종래의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기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의 사시도로 마그네틱 어셈블리와 어버트먼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를 마그네틱 어셈블리와 어버트먼트가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응하는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의 사시도로 마그네틱 어셈블리와 어버트먼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를 마그네틱 어셈블리와 어버트먼트가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대응하는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100, Magnetic attachment device for overdenture)는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Implant Supported Overdenture)에 적용되는 것으로, 환자의 잇몸에 삽입되는 어버트먼트(110, abutment) 및 오버덴쳐(overdenture) 내에서 고정되고 자력에 의해 어버트먼트(110)와 결합 유지되는 마그네틱 어셈블리(120. magnetic assembly)를 포함한다.
어버트먼트(110)는 '지대치(支臺齒)'라고도 하며, 환자의 잇몸에 삽입되어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fixture, 미도시)와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참고로, 어버트먼트(110)는 픽스츄어와 함께 임플란트(implant)를 구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어버트먼트(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가 나사산부(113)로 이루어져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통상 어버트먼트(110)는 스테인리스강(SUS)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어버트먼트(110)는 환자의 잇몸에 착용되는 오버덴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110)는 픽스츄어와 별도로 제작되어 픽스츄어와 상호 체결되는 구성이지만, 이와 다르게 본 고안은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고안은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가 한 몸체로 형성된 임플란트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부에 원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원추형 홈부(111)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원추형 홈부(111)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마그네틱 어셈블리(120)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마그네틱 어셈블리(120)는 오버덴쳐에 고정되고 내부에 수용된 마그넷(122A)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어버트먼트(110)와 결합 유지되는 것으로, 오버덴쳐를 환자의 잇몸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리텐션(retention) 기구라 할 수 있다. 이때, 마그넷(122A)은 도 4 및 도 6에 마그네틱 어셈블리(120)의 내부에 형성된 마그넷수용홈부(122)에 수용되는데, 이를 위해 마그네틱 어셈블리(120)는 뚜껑 혹은 캡(126, cap)이 별도로 제작되어 마그넷(122A)이 수용된 몸체에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마그네틱 어셈블리(120)는 내부에 수용된 마그넷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자성체, 예컨대 스테인리스강(SUS)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마그네틱 어셈블리(120)는 일단부(도 3 및 도 4에서 상단부)가 접착용 레진 등에 의해 오버덴쳐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네틱 어셈블리(120)의 캡(126)의 외주면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상의 절개홈(127)이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홈(127)은 마그네틱 어셈블리(120)를 접착용 레진 등을 사용하여 오버덴쳐에 접착시키는 과정에서 오버덴쳐의 내부에 있는 접착용 레진의 잉여분이 밖으로 흘러나오는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마그네틱 어셈블리(120)는 오버덴쳐에 접착 고정되는 일단부의 외주면에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턱 홈부(1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턱 홈부(125)는 마그네틱 어셈블리(120)와 오버덴쳐 사이의 접착 고정력을 증가시키기는 한편, 전술한 절개홈(127)과 유사하게 마그네틱 어셈블리(120)를 접착용 레진 등을 사용하여 오버덴쳐에 접착시키는 과정에서 오버덴쳐의 내부에 있는 접착용 레진의 잉여분이 외부로 원활히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단턱 홈부(125)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어셈블리(120)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 면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마그네틱 어셈블리(120)는 일측(도 3 및 도 4에서 상측)에서 타측(도 3 및 도 4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원추형 외주면부(121)를 포함하고, 어버트먼트(110)는 마그네틱 어셈블리(120)의 원추형 외주면부(121)를 수용하기 위한 원추형 홈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원추형 홈부(111)는 마그네틱 어셈블리(120)의 원추형 외주면부(121)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즉 원추형 외주면부(121)와 맞물리는 형상 및 크기로 어버트먼트(110)의 상단부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10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10)와 마그네틱 어셈블리(20)가 평면으로 접촉하여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움직임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는 종래의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1)와 다르게, 어버트먼트(110)와 마그네틱 어셈블리(120)가 이른바 '홈과 돌기' 구조로 상호 결합되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임 구속되므로 어버트먼트(110)와 마그네틱 어셈블리(120) 사이에서 보다 안정적인 결합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100)는 어버트먼트(110)와 마그네틱 어셈블리(120)가 원추 형상의 곡면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오버덴쳐의 착용 시 서로 대응하는 마그네틱 어셈블리(120)와 어버트먼트(110)의 위치나 방향이 정확하게 들어맞지 않더라도 마그네틱 어셈블리(120)의 원추형 외주면부(121)가 어버트먼트(110)의 원추형 홈부(111)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오버덴쳐의 착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100)는 어버트먼트(110)와 마그네틱 어셈블리(120)가 상호 접촉하는 부분이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오버덴쳐가 상대적으로 다양한 방향 혹은 각도에서 환자의 잇몸에 착용될 수 있다.
만약, 본 고안과 다르게 어버트먼트와 마그네틱 어셈블리가 상호 접촉하는 부분이 예컨대 원기둥이나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오버덴쳐의 착용 시 서로 대응하는 어버트먼트와 마그네틱 어셈블리의 위치나 방향이 조금이라도 틀리게 되더라도 오버덴쳐가 환자의 잇몸에 착용되기 어렵게 되는데, 이는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 항목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 시술법에서는 2개 이상의 임플란트가 상악 또는 하악에 식립된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어셈블리(120)의 원추형 외주면부(121)와 어버트먼트(110)의 원추형 홈부(111)에 있어서 경사각도(α,β)는 40°내지 50°범위(더 바람직하게는 45°)에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원추형 외주면부(121)와 원추형 홈부(111)는 40°내지 50°범위의 경사각도(α,β)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어버트먼트(110)와 마그네틱 어셈블리(120) 사이의 결합 유지력이 떨어지고, 반대로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오버덴쳐의 착용 편의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110 : 어버트먼트
111 : 원추형 홈부
120 : 마그네틱 어셈블리
121 : 원추형 외주면부
122A : 마그넷
122 : 마그넷수용홈부
125 : 단턱 홈부

Claims (5)

  1.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Implant Supported Overdenture)에 적용되는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마그넷이 수용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원추형 외주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버덴쳐에 고정되는 마그네틱 어셈블리; 및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의 상기 원추형 외주면부를 수용하기 위한 원추형 홈부를 포함하고 환자의 잇몸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와 결합 유지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원추형 홈부는, 상기 원추형 외주면부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상기 어버트먼트의 일단부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는, 상기 마그넷을 수용하기 위한 마그넷수용홈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마그넷수용홈부를 덮도록 상기 몸체에 접합되는 캡을 포함하고 접착용 레진에 의해 상기 오버덴쳐에 접착 고정되며,
    상기 오버덴쳐에 접착 고정되는 상기 캡의 외주면에는,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를 상기 접착용 레진을 사용하여 상기 오버덴쳐에 접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오버덴쳐의 내부에 있는 상기 접착용 레진의 잉여분이 외부로 원활히 흘러나오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외주면부와 상기 원추형 홈부는,
    40°내지 50°범위의 경사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는,
    상기 오버덴쳐에 접착 고정되는 일단부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턱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 홈부는,
    상기 마그네틱 어셈블리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KR2020120004180U 2012-05-18 2012-05-18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KR200473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180U KR200473225Y1 (ko) 2012-05-18 2012-05-18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180U KR200473225Y1 (ko) 2012-05-18 2012-05-18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26U KR20130006826U (ko) 2013-11-27
KR200473225Y1 true KR200473225Y1 (ko) 2014-06-19

Family

ID=5149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180U KR200473225Y1 (ko) 2012-05-18 2012-05-18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2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702B1 (ko) 2014-07-10 2015-01-28 이호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KR101701122B1 (ko) 2015-08-03 2017-02-02 신원덴탈(주)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그넷 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026B1 (ko) * 2015-02-23 2016-10-05 이아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WO2020153528A1 (ko) * 2019-01-24 2020-07-30 장희성 마그네틱 틀니 고정장치
KR102303341B1 (ko) * 2020-09-14 2021-09-17 최정일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464000B1 (ko) * 2020-09-22 2022-11-04 김정환 임플란트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5642A (ja) * 1999-11-24 2001-05-29 Gc Corp 歯科用磁性アタッチメント
KR100807150B1 (ko) * 2007-08-27 2008-02-2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5642A (ja) * 1999-11-24 2001-05-29 Gc Corp 歯科用磁性アタッチメント
KR100807150B1 (ko) * 2007-08-27 2008-02-2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702B1 (ko) 2014-07-10 2015-01-28 이호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KR101701122B1 (ko) 2015-08-03 2017-02-02 신원덴탈(주)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그넷 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26U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225Y1 (ko)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KR102171584B1 (ko) 고정식 하이브리드 치아 부착 기기
US11638632B2 (en) Dental implant
KR101633259B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ES2688592T3 (es) Dispositivo de fijación dental extraíble
KR10238770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결합조립체
KR101662026B1 (ko)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US20090191508A1 (en) Mini implant
KR200470574Y1 (ko) 오버덴쳐용 볼 타입 어태치먼트 장치
KR20140018674A (ko) 충격 완충기능을 갖는 틀니용 지대치
KR100662583B1 (ko) 크라운 임시고정용 임플란트 유니트
KR100842318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슬리브 및 그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
US10709526B2 (en) Dental implant
KR100807150B1 (ko)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KR101540559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지지플레이트
KR20160033019A (ko)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EP3185812B1 (en) Restoration dental implant fixture
KR1014868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KR101380919B1 (ko) 지대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장치
US10682208B2 (en) Abutment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88392B1 (ko) 오버덴처용 자력 어태치먼트
KR20140026132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KR101671711B1 (ko) 뼈 성장의 촉진을 도모하는 자장 발생 장치와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
KR20200020025A (ko)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