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702B1 -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702B1
KR101486702B1 KR20140086805A KR20140086805A KR101486702B1 KR 101486702 B1 KR101486702 B1 KR 101486702B1 KR 20140086805 A KR20140086805 A KR 20140086805A KR 20140086805 A KR20140086805 A KR 20140086805A KR 101486702 B1 KR101486702 B1 KR 101486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body
abutment
detection rod
gum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규
Original Assignee
이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규 filed Critical 이호규
Priority to KR20140086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1Magnetic dental implant reten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및 방법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115)이 형성된 몸체부(114)와 상기 몸체부(114)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자성체 수용홈(113)이 형성되는 머리부(112)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110), 어버트먼트(110)의 자성체 수용홈(113)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자성을 띄는 자성체(130), 어버트먼트(110)가 잇몸 내부에 위치시, 잇몸 외부에서 상기 자성체(130)를 탐지하여 상기 자성체(130)와 자력 결합하도록 자성을 띄는 탐지봉(150), 및 탐지봉(150)이 자성체(130)와 자력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탐지봉(150)을 덮은 후 잇몸을 절개하여 어버트먼트(110)를 노출시키도록 하는 티슈 펀치(170)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어버트먼트(1100에 자성체(130)를 삽입하고 자성의 성질을 갖는 탐지봉(150)을 이용하여 자성체(130)와 자력으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고, 탐지봉(150)과 자성체(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티슈 펀치(170)가 탐지를 덮은 후 티슈 펀치(170)를 이용해 잇몸 조직을 절개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잇몸의 최소 부위만을 절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임플란트 시술을 빠르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잇몸 조직이 절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Apparatus for procedure of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잇몸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의 위치를 탐지하고 조직을 제거하여 인공치아를 빠르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분야에서 사용되는 임플란트란 구강 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의 치조골에 식립함으로써 치조골과 유착되어 인공치근으로서 역할을 하는 금속 구조물을 말한다. 임플란트는 인접 치아를 깍을 필요가 없고, 치조골이 흡수되는 것을 막아 기능 및 심미적으로 우수한 보철물을 만들 수 있으며, 말하거나 웃을 때 또는 식사시 틀니가 탈락되는 일이 없는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다.
임플란트의 일반적인 시술 방법은 나사 형상의 픽스츄어(fixture)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일정 기간동안 뼈와 융합되도록 하는 1차 수술과, 픽스츄어를 노출시켜 그 위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연결하는 2차 수술을 한 후, 임플란트가 뼈에 고정된 것이 확인되면 인상본을 떠서 인공치아를 제작한 후 상기 어버트먼트에 나사 체결방식 또는 시멘트방식 등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법은, 치아가 빠진 개수만큼 식립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데, 1개의 임플란트가 심어진 경우는 별문제가 없지만 복수 개의 임플란트가 연이어서 심어진 경우 개별 임플란트의 위치를 정확히 찾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즉, 상기 2차 수술 후 어버트먼트 위에 잇몸이 덮혀져 있으므로 인상본을 뜨기 위해 핀이나 별도 도구로 누르거나 하는 방식으로 임플란트(어버트먼트)의 위치를 찾은 후, 잇몸 조직을 메스나 또는 티슈 펀치로 일부 절개해야 하게 된다. 이때 정확한 임플란트의 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어 시술 시간이 길어지고 또한 부정확한 잇몸의 위치를 절개함으로 인해 불필요한 잇몸 조직을 절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잇몸을 절개하지 않고 어버터먼트 위치에 실로 본을 뜨는 방법(코드 작업)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잇몸으로 덮혀져 있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도록 하며, 또한 필요한 잇몸의 최소 부위만을 절개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115)이 형성된 몸체부(114)와, 상기 몸체부(114)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자성체 수용홈(113)이 형성되는 머리부(112)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110); 상기 어버트먼트(110)의 자성체 수용홈(113)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자성을 띄는 자성체(130); 상기 어버트먼트(110)가 잇몸 내부에 위치시, 잇몸 외부에서 상기 자성체(130)를 탐지하여 상기 자성체(130)와 자력 결합하도록 자성을 띄는 탐지봉(150); 및, 상기 탐지봉(150)이 자성체(130)와 자력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탐지봉(150)을 덮은 후 잇몸을 절개하여 어버트먼트(110)를 노출시키도록 하는 티슈 펀치(170)를 포함한다.
상기 티슈 펀치(170)는 상기 탐지봉(150)을 덮도록 일정 직경과 높이를 가지며 하단에 날이 형성되는 펀칭컵(172)과, 상기 펀칭컵(172)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펀칭컵(172)을 조작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조작부(174)를 포함한다.
상기 탐지봉(150) 및 티슈 펀치(170)의 펀칭컵(172)은 그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자성체(130)는 상부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하부가 밑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원추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 수용홈(113)은 상부가 6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변이 가운데가 전방으로 돌출된 곡면의 형상을 가져, 상기 복수의 곡면 돌출부에 상기 자성체의 외주면이 접촉하며, 하부가 밑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원추형상을 가진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방법은, a) 어버트먼트(110)의 자성체 수용홈(113)에 자성체(130)를 삽입하는 단계; b) 어버트먼트(110)를 픽스츄어에 연결하는 단계; c) 잇몸 외부에서 탐지봉(150)을 이용해 자성체(130)가 삽입된 어버트먼트(110)를 탐지하여 탐지봉(150)을 자성체(130)와 자력으로 결합하는 단계; 및, d) 상기 탐지봉(150)에 티슈 펀치(170)의 펀칭컵(172)을 씌운 후, 조작부(174)를 조작하여 잇몸 티슈를 절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버트먼트에 자성체를 삽입하고 자성의 성질을 갖는 탐지봉을 이용하여 상기 자성체와 자력으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고, 탐지봉과 자성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티슈 펀치가 탐지를 덮은 후 티슈 펀치를 이용해 잇몸 조직을 절개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잇몸의 최소 부위만을 절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임플란트 시술을 빠르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잇몸 조직이 절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의 어버트먼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어버트먼트에 자성체가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자성체가 삽입된 어버트먼트가 잇몸 내부에 있을 때 잇몸 외부에서 탐지봉이 자성체를 탐지하여 자력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티슈 펀치의 펀칭컵이 탐지봉 위에 씌워진 상태에서 잇몸을 절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미도시)와,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110)와, 자성체(130)와, 탐지봉(150) 및 티슈 펀치(17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의 어버트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어버트먼트에 자성체가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어버트먼트(110)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결합되도록 나사산(115)이 형성된 몸체부(114)와, 몸체부(114)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자성체 수용홈(113)이 형성되는 머리부(112)를 포함한다. 머리부(112)는 상부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중앙부에 자성체 수용홈(113)이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자성체 수용홈(113)은 6각형의 형상을 가지나, 복수의 변이 평면이 아니라 전방으로 약간 돌출된 곡면의 형상을 가지며, 이 복수의 곡면 돌출부에 자성체(130)의 외주면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자성체 수용홈(113)의 하부는 하부는 밑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원추형상을 가지게 된다.
자성체(130)는 자성을 띄며 어버트먼트(110)의 자성체 수용홈(113)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자성체(130)는 상부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하부가 밑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원추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이 자성체 수용홈(113)의 내측면의 돌출된 곡면 부위와 접촉함으로써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자성체 수용홈(113)에 삽입되게 된다. 자성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희토류 자석인 네오디뮴(Nd), 코발트-사마리움(Co-Sm), NdFeB 자석 또는 내부식성이 강한 Platimun-Iron(PtFe) 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자성체(130)와 자성체 수용홈(113)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자성체(130)의 하부 외부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자성체 수용홈(113)의 하부 내측면에는 상기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자성체(130)의 상부면에는 자성체를 회전시켜 나사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손잡이 돌기나 또는 공구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자성체가 삽입된 어버트먼트가 잇몸 내부에 있을 때 잇몸 외부에서 탐지봉이 자성체를 탐지하여 자력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티슈 펀치의 펀칭컵이 탐지봉 위에 씌워진 상태에서 잇몸을 절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 및 도 4에서는 어버트먼트(110)가 결합되는 픽스츄어를 도시하지 않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탐지봉(150)은 자성을 띄며 자성체(130)와 대응되게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어버트먼트(110)가 잇몸으로 덮혀져 있어 잇몸 내부에 위치시, 탐지봉(150)은 잇몸 외부에서 어버트먼트(110)의 자성체(130)와 자력 결합을 하게 되어, 어버트먼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탐지봉(150)은 원통 형상을 가지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사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티슈 펀치(170)는 탐지봉(150)이 자성체(130)와 자력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탐지봉(150)을 덮은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잇몸을 절개하여 어버트먼트(110)를 노출시키도록 한다.
티슈 펀치(170)는 탐지봉(150)을 덮도록 일정 직경과 높이를 가지며 하단에 날이 형성되는 펀칭컵(172)과, 상기 펀칭컵(172)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펀칭컵(172)을 조작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조작부(17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조작부(174)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펀칭컵을 조작할 수 있으며 특정의 구조 또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탐지봉(150)은 그 단면이 원형이므로 이를 덮는 펀칭컵(172) 역시 그에 대응되게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데, 탐지봉(150)이 다각형의 단면을 가질 경우 이에 대응되게 펀칭컵(172) 역시 다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의 동작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픽스츄어(미도시)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일정 기간동안 뼈와 융합되도록 한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잇몸을 절개하여 픽스츄어를 노출시키도록 한 후, 어버트먼트(110)의 자성체 수용홈(113)에 자성체(130)를 삽입하고(S210), 어버트먼트(110)를 픽스츄어에 연결하도록 한다(S220).
여기서 상기 순서를 바꾸어도 무방하다. 즉, 먼저 어버트먼트(110)를 픽스츄어에 연결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110)의 자성체 수용홈(113)에 자성체(130)를 삽입해도 된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어버트먼트 역시 잇몸으로 살짝 덮혀지지게 되는데, 잇몸 외부에서 탐지봉(150)을 이용해 자성체(130)가 삽입된 어버트먼트(110)를 탐지하여 탐지봉(150)을 자성체(130)와 자력으로 결합시키도록 한다(S230).
이 상태에서, 탐지봉(150)에 티슈 펀치(170)의 펀칭컵(172)을 씌운 후, 조작부(174)를 조작하여 잇몸 티슈를 절개하게 된다(S240).
그 후, 인상본을 떠서 인공치아를 제작한 후 상기 어버트먼트에 나사 체결방식 또는 시멘트방식 등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어버트먼트(110)에 삽입된 자성체(130)는 제거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어버트먼트에 자성체를 삽입하고, 어버트먼트가 잇몸으로 덮혀져 있는 상태에서, 자성의 성질을 갖는 탐지봉을 이용하여 상기 자성체와 자력으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탐지봉과 자성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티슈 펀치의 펀칭컵이 탐지봉을 덮은 후 티슈 펀치를 이용해 잇몸 조직을 절개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잇몸의 최소 부위만을 절개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잇몸 조직이 절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 어버트먼트 112. 머리부
113. 자성체 수용홈 114. 몸체부
130. 자성체 150. 탐지봉
170. 티슈 펀치 172. 펀칭컵
174. 조작부 190. 잇몸

Claims (5)

  1.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115)이 형성된 몸체부(114)와, 상기 몸체부(114)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자성체 수용홈(113)이 형성되는 머리부(112)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110);
    상기 어버트먼트(110)의 자성체 수용홈(113)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자성을 띄는 자성체(130);
    상기 어버트먼트(110)가 잇몸 내부에 위치시, 잇몸 외부에서 상기 자성체(130)를 탐지하여 상기 자성체(130)와 자력 결합하도록 자성을 띄는 탐지봉(150); 및,
    상기 탐지봉(150)이 자성체(130)와 자력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탐지봉(150)을 덮은 후 잇몸을 절개하여 어버트먼트(110)를 노출시키도록 하는 티슈 펀치(170)를 포함하며,
    상기 티슈 펀치(170)는 상기 탐지봉(150)을 덮도록 일정 직경과 높이를 가지며 하단에 날이 형성되는 펀칭컵(172)과, 상기 펀칭컵(172)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펀칭컵(172)을 조작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조작부(1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봉(150) 및 티슈 펀치(170)의 펀칭컵(172)은 그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130)는 상부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하부가 밑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원추형상을 가지며,
    상기 자성체 수용홈(113)은 상부가 6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변이 가운데가 전방으로 돌출된 곡면의 형상을 가져, 상기 복수의 곡면 돌출부에 상기 자성체의 외주면이 접촉하며, 하부가 밑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원추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5. 삭제
KR20140086805A 2014-07-10 2014-07-10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KR101486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6805A KR101486702B1 (ko) 2014-07-10 2014-07-10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6805A KR101486702B1 (ko) 2014-07-10 2014-07-10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702B1 true KR101486702B1 (ko) 2015-01-28

Family

ID=5259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6805A KR101486702B1 (ko) 2014-07-10 2014-07-10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7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418B1 (ko) * 2019-08-28 2019-10-18 김기수 치과용 어버트먼트 커버 스크류
KR20200137365A (ko) 2019-05-30 2020-12-09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티슈제거장치
CN117017536A (zh) * 2023-07-25 2023-11-10 广东中科安齿生物科技有限公司 植牙定位组件及其定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615B1 (ko) 2007-06-05 2009-11-02 이요섭 치과용 임플란트 덮개
KR101124067B1 (ko) 2010-12-23 2012-03-23 주식회사 닥터파트너스 최소 침습용 임플란트 수술 기구
KR101309095B1 (ko) 2012-03-05 2013-09-17 최인혁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KR200473225Y1 (ko) 2012-05-18 2014-06-19 (주)카이노스메덴텍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615B1 (ko) 2007-06-05 2009-11-02 이요섭 치과용 임플란트 덮개
KR101124067B1 (ko) 2010-12-23 2012-03-23 주식회사 닥터파트너스 최소 침습용 임플란트 수술 기구
KR101309095B1 (ko) 2012-03-05 2013-09-17 최인혁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KR200473225Y1 (ko) 2012-05-18 2014-06-19 (주)카이노스메덴텍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365A (ko) 2019-05-30 2020-12-09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티슈제거장치
KR102264151B1 (ko) 2019-05-30 2021-06-11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티슈제거장치
KR102034418B1 (ko) * 2019-08-28 2019-10-18 김기수 치과용 어버트먼트 커버 스크류
CN117017536A (zh) * 2023-07-25 2023-11-10 广东中科安齿生物科技有限公司 植牙定位组件及其定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4177B2 (en) Stopper housing case
KR10148670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US20170189136A1 (en) Implant surgical guide apparatus
KR102204414B1 (ko) 힐링 어버트먼트
US11399921B2 (en) Dental flattening drill
KR101854349B1 (ko) 어버트먼트 지그
KR102146836B1 (ko) 힐링 어버트먼트
KR101707596B1 (ko)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EP2907473B1 (en) Palatal implant for overdenture
KR20180014995A (ko)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장치
KR101437376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어버트먼트 홀더
KR101977127B1 (ko) 치조골용 트리밍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키트
KR101265819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포인트 드릴 보조구
WO2011063958A1 (en) A directional precision implant
EP2329792A1 (en) Abutment for dental magnetic attachment
EP2570098A2 (en) Implant detector cover screw
KR101566457B1 (ko)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KR10196358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키트
KR101935504B1 (ko) 일정 토크값을 갖는 임플란트 스크류
KR101309095B1 (ko)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KR20150138615A (ko)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쳐 분리장치
KR102279149B1 (ko) 치근형 임플란트 식립 시스템
KR102576600B1 (ko) 임플란트용 밀링 버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홀 형성방법
KR101295821B1 (ko) 치과용 드릴의 절삭깊이 제한장치 및 그 보관대
KR200487737Y1 (ko) 치아용 플래트닝 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