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600B1 - 임플란트용 밀링 버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홀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밀링 버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홀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600B1
KR102576600B1 KR1020220065367A KR20220065367A KR102576600B1 KR 102576600 B1 KR102576600 B1 KR 102576600B1 KR 1020220065367 A KR1020220065367 A KR 1020220065367A KR 20220065367 A KR20220065367 A KR 20220065367A KR 102576600 B1 KR102576600 B1 KR 102576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ling
hole
bur
alveolar bone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채헌
Original Assignee
허채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채헌 filed Critical 허채헌
Priority to KR1020220065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600B1/ko
Priority to US18/202,466 priority patent/US20230380930A1/en
Priority to PCT/KR2023/007274 priority patent/WO202322942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6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61B5/4509Bone density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30Surgical robots

Abstract

인공치아의 식립을 위한 홀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임플란트용 밀링 버는 스틱형태로 구성되고, 수술 로봇에 체결되는 상단에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를 가지고, 끝단에는 임플란트를 위해 치조골에 인공치아의 식립을 위한 홀을 형성하기 위한 밀링 날이 설치되며, 상기 밀링 날의 직경은 상기 끝단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밀링 버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홀 형성방법{Milling bur for implant and method for forming implant ho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밀링 버와 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에 필요한 홀을 치조골에 형성하는 임플란트용 홀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에 있어서 치아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서, 치아의 손상으로 치아가 발치되면 음식물의 섭취가 힘들게 되어 영양학적으로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치아가 한 두개 발치된 경우에는 성한 치아를 지주로 삼아 보철로서 인공의 치아를 형성하거나, 또는 치아가 대부분 손상되어 발치된 경우에는 잇몸과 구강에 맞게 형성한 틀니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인공 치아를 사용하는 보철의 경우에는, 인공 치아가 손상이 없는 치아를 통해 지지되기 때문에 딱딱한 음식을 먹는데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있고 또한 이물감이 있다. 그리고, 틀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틀니의 형상과 구강의 형상이 일치하지 않으면 불편한 착용감을 느끼는 한편 틀니로 인해 구강에 상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딱딱한 음식을 섭취하기가 어려우며, 무엇보다도 저녁 취침전에 틀니의 빼내어 위생을 위해 세척 또는 소독을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타공을 한 후에 나사선이 아래에 설치된 인공치아를 치조골에 매립하는 임플란트가 등장하였다.
임플란트 시술은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의료용 드릴로, 인공치아 이식을 위한 적절한 깊이로 천공한 후에, 하부에 나사가 설치된 인공치아를 상기 천공에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인공치아 식립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치조골은 외부에 위치하는 지지치조골과 지지치조골 내측에 위하는 고유치조골로 이루어지고, 지지치조골이 고유치조골보다 단단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람마다 고유치조골의 골밀도가 상이하고 또한 깊이방향을 따라 골밀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치조골에 의료용 드릴을 사용하여 인공치아 이식을 위한 홀을 천공할 때, 인공치아에 적절한 직경을 홀을 천공하는 것이 중요하고, 또한 이식된 인공치아와 치조골의 밀찰력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홀의 직경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의료용 드릴을 통한 천공은 드릴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천공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직경의 드릴을 구비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또한, 드릴을 이용한 천공시에 마찰열이 발생하고, 이러한 마찰열을 낮추기 위해 식염수가 함께 공급되게 된다. 그러나, 드릴의 측면부와 천공된 치조골의 벽은 거의 밀착한 상태가 되어 식염수가 원활히 제공되지 못해 열을 적절히 제거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수의 기구를 사용하면서, 천공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한편 치조골에 3차원적인 형상의 천공을 형성할 수 있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0893287호(2009.04.07.)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610341호(2016.04.01.)
본 발명의 목적은 치조골에 깊이 방향으로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천공을 형성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밀링 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플란트용 밀링 버를 사용하여 치조골에 인공치아 이식을 위한 3차원 홀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공치아의 식립을 위한 홀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임플란트용 밀링 버는 스틱형태로 구성되고, 수술 로봇에 체결되는 상단에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를 가지고, 끝단에는 임플란트를 위해 치조골에 인공치아의 식립을 위한 홀을 형성하기 위한 밀링 날이 설치되며, 상기 밀링 날의 직경은 상기 끝단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플란트용 밀링 버의 끝단 위쪽에 임플란트용 홀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눈금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플란트용 밀링 버에서, 밀링 날은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외측면에는 치조골의 절삭을 위한 절삭날과, 절삭된 골편을 배출하기 위한 절삭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삭날과 절삭홈은 상기 밀링 날의 밑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플란트용 밀링 버에서, 밀링 날은 원형, 역삼각형, 나선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외측면에는 치조골의 절삭을 위한 절삭날과, 절삭된 골편을 배출하기 위한 절삭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삭날과 절삭홈은 상기 밀링 날의 밑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플란트용 밀링 버에서, 밀링 날은 사각형, 원형 또는 역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외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위에 치조골의 절삭을 위한 다이아몬드 분말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플란트용 밀링 버 수술로봇에 설치되고, 상기 수술로봇은 밀링 버를 상하 방향과, 좌우 원형으로 구동시켜 치조골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밀링 버의 밀링날의 직경은 상기 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링 버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홀형성 방법에서, 수술로봇에 밀링 버를 설치하는 단계와, 골밀도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치조골에 대한 골밀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한 골밀도를 데이터를 수술로봇에 저장하는 단계와, 시술자가 밀링 버를 파지하고서 홀을 형성할 치조골에 밀링 버의 밀링날을 이동시켜, 밀링 버를 치조골 깊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좌우 원형으로 이동시키면서 치조골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플란트용 밀링 버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홀 형성 방법에서, 홀에 설치되는 인공치아의 체결나사가 치조골과 균일한 접촉력을 가지도록, 높은 골밀도 부분은 체결나사와 얕게 접촉하도록 절삭하고, 낮은 골밀도 부분은 체결나사와 깊게 접촉하도록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홀 형성 방법에서, 홀은 치조골의 골밀도에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밀링 버와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홀 형성방법에서, 하나의 밀링 버를 통해 다양한 직경의 홀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의 시술에 필요한 공구의 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링 버에 의해, 치조골의 골밀도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홀을 한 번의 작업을 통해 형성할 수 있고, 그리고 골밀도에 따라 홀의 직경을 조절함에 따라 임플란트용 체결나사와 치조골 사이에 균일하고도 견고한 접촉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드릴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링 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치조골의 형상에 따른 기존 드릴 사용의 단점과 본 발명에 따른 밀링 버의 장점을 비교해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기존 드릴에 의한 홀 형성과, 본 발명의 밀링 버에 의한 홀 형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극단적인 골밀도 상황에서 비대칭적인 홀 형성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밀링 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밀링 버의 측명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b)는 밀링 날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a)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밀링 버(100)는 스틱형태로 구성되고, 수술 로봇(미도시)에 체결되는 한편 작업자가 파지하게 되는 상단부(10)와, 일단이 상기 상단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봉의 타단에는 임플란트를 위해 치조골에 인공치아의 식립을 위한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밀링 날(20)이 설치된다. 상기 밀링 날의 직경은 상기 지지봉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은 임플란트용 홀을 형성할 때 홀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임플란트용 홀의 깊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15mm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링 날이 연결되는 상기 지지봉의 소정의 지점에서는 임플란트용 홀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눈금선(30)이 형성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링 날(20)은 도면에서는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지만, 임플란트 시술에 따라 원형 또는 역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치조골에 홀을 형성함과 동시에 임플란트의 체결나사와 결합을 위한 나사선을 형성하기 위해, 밀링 날은 디스크 형태로 제작될 수 있며, 절삭날은 측면과 밑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치조골에 홀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성된 홀에 나사선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밀링 날(20)의 외면에는 치조골의 절삭을 위한 절삭날(21)과, 절삭된 골편을 배출하기 위한 절삭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절삭날과 절삭홈은 밀링 날 밑면까지 연장 형성된다.
그러나, 밀링 날의 외면에는 절삭날과 절삭홈을 형성하지 않고, 미세한 다수의 공업용 다이아몬드 분말을 부착하여 절삭을 시행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 임플란트용 드릴을 사용하여 치조골에 인공치아 식립을 위한 홀을 천공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여준다.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듯이, 치조골의 중간 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종래 임플란트용 드릴로 인공치아 식립을 위한 홀을 뚫을 때 드릴이 돌추부의 측면부와 부딪치면 의도하지 않게 드릴의 진행방향이 미세하게 틀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인공치아 식립용 홀은 정확하게 형성되지 않게 되어 궁극적으로 완벽한 인공치아 식립이 이루어지지 않게 될 수 있다. 특히 여러 개의 인공치아 식립이 이루어지는 경우, 식립된 인공치아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링 버를 사용하게 되면, 밀링 버 끝단에 위치한 밀링 날은 치조골의 바닥면뿐만 아니라 측면도 절삭하게 되므로, 돌출부의 측면부와 부딪힌다고 하더라도 진행방향의 틀어짐이 없이 정확하게 수직으로 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밀링 버를 사용함으로써 정확하고 또한 정밀한 인공치아 식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치조골은 치밀골과 치밀골 내측에 위하는 해면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치밀골은 골밀도가 상당히 높아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지만, 해면골은 치밀골보다 골밀도 낮고 또한 상측에서 턱부위로 갈수록 골밀도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는 통상적인 것이며, 사람에 따라 해면골은 깊이 방향으로 다양한 골밀도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골밀도를 가지는 치조골을 통상적인 임플란트 드릴을 사용하여 홀을 형성하게 되면, 동일한 직경을 가지게 된다. 홀의 직경은 인공치아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인공치아의 체결나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러나, 골밀도가 높은 치조골에서는 인공치아의 체결나사와 과도한 압박을 주는 견고한 접촉이 이루어지지만, 골밀도가 낮은 치조골에서는 인공치아의 체결나사와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의 (a)는 기존 임플란트용 드릴을 이용하여 인공치아용 홀을 형성하고, 이에 인공치아의 체결나사와 결합하게 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옅은색은 치조골이 골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나타내고, 색상이 짙어질 수록 골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나타낸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임플란트용 드릴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인공치아용 홀은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드릴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인공치아의 체결나사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성을 가지고 된다. 따라서, 기존 드릴로 형성한 홀에 인공치아의 체결나사를 삽입하게 되면, 골밀도가 높은 상측에서는 높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체결나사 부분과 접촉하게 되어 견고한 접촉력이 발생하게 되지만,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체결나사 부분들은 골밀도가 낮은 하측에서 접촉하게 되어 접촉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치조골에 인공치아의 체결나사가 견고히 고정될 수 없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골밀도가 낮은 하측에서 접촉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홀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게 되면, 골밀도가 높은 상측 부분에서 체결나사와 과도한 접촉력이 발생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은 과도한 접촉력은 치조골을 괴사시킬 가능성도 있다.
도 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밀링 버를 사용하여 치조골에 홀을 형성한 것을 보여준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기존의 임플란트용 드릴과 본 발명에 따른 밀링 버는 수술로봇에 체결되어 구동되게 된다. 기존의 드릴은 수술로봇에 의해 상하로만 이동, 즉 2차원 운동만이 가능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밀링 버는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로 원형 이동이 가능하게, 즉 3차원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링 버는 기존의 드릴과는 다르게 측면에서도 절삭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2차원 이동만이 가능한 드릴에 의해 드릴의 직경에 대응하는 홀을 치조골에 형성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밀링버는 3차원 이동을 통해 홀을 치조골에 형성하기 때문에, 밀링버의 밀링날은 형성하고자 하는 최소 직경의 홀에 대응하는 또는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직경의 밀링날을 가지는 밀링 버를 수술로봇에 설치한 후, 골밀도 높은 상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넓은 직경을 가지도록 치조골을 절삭하고, 골밀도 낮아지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좁은 직경을 가지도록 치조골을 절삭한다. 따라서, 형성된 홀의 단면 형상은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홀에 인공치아의 체결나사를 삽입하게 되면, 치조골의 상하측 모두에서 균일하고도 높은 접촉력을 가지게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인공치아의 식립 초기부터, 기존의 드릴을 통한 인공치아의 식립보다 높은 안정성을 가지게 된다.
도 4의 (c)는 치조골의 골밀도에 따라 형성된 홀의 예를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치조골의 골밀도에 따라 형성되는 홀의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임플란트용 드릴을 사용하여 치조골에 다양한 직경의 홀을 형성하고자 하면, 형성하고자 하는 홀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드릴을 교체하여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형성하고자 하는 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밀링날을, 수술로봇을 통해 상하 및 좌우 3차원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치조골에 형성하고자 하는 홀의 크기에 상관없이 하나의 밀링 버를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즉, 치조골에 홀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 즉 공구의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극단적인 골밀도를 가지는 치조골에 비대칭적인 홀을 형성하여 체결나사를 설치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D1 영역이 가장 높은 골밀도를 가지는 영역을 나타내고, D2는 그 다음으로 높은 골밀도를 가지는 영역을 나타내며, D4는 가장 낮은 골밀도를 가지는 영역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가장 높은 골밀도를 가지는 영역 D1은 체결나사와 접촉하는 면이 낮도록 천공하고(T1, T5), 다음으로 높은 골밀도를 가지는 영역 D2는 D1 영역보다는 더 많이 체결나사와 접촉하도록 천공하고(T4), 그리고 가장 낮은 골밀도를 가지는 D4 영역은 가장 많이 체결나사와 접촉하도록 천공한다(T2, T3, T6). 이때 임플란트의 체결나사의 직경보다 작게 밀링하여 임플란트의 체결나사가 자체적으로 치조골을 절삭하여 추가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천공하여 체결나사를 홀에 삽입함으로써 체결나사의 모든 접촉면에 걸쳐 균일하고도 견고한 접촉력이 유지되게 되며, 과도한 접촉압력으로 인한 치조골의 괴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링 버를 사용하여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위한 홀을 형성하는 방법을 다시 한 번 설명하면, 먼저 치조골에 대한 골밀도를 측정한다. 골밀도의 측정은 CT와 같은 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측정한 골밀도를 수술로봇에 저장하고, 수술로봇에 본 발명에 따른 밀링 버를 설치한다. 그런 다음, 치과의사인 시술자가 밀링 버를 파지하고서 홀을 형성할 치조골에 밀링 버의 밀링날을 이동시켜, 밀링 버를 치조골 깊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좌우 원형으로 이동시키면서 치조골에 홀을 형성한다.
이때, 수술로봇에 저장된 골밀도에 따른 밀링 버의 이동 한계치를 벗어나면 밀링 버의 햅틱기능으로 시술자에게 경고를 한다. 그러나, 수술로봇에 저장된 골밀도의 정보와 실제 골밀도의 정보가 상이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과도한 또는 충분치 못한 치조골의 절삭이 이루어질 위험성이 있다. 이와 같은 위험성을 해결하기 위해, 밀링 버에 가해지는 토크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밀링 버가 설치되는 수술로봇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수술로봇에 저장된 골밀도 정보와 함께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토크값을 기반으로 밀링 버를 작동시키면 최초에 의도한 홀을 안전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11)

  1. 인공치아의 식립을 위한 홀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임플란트용 밀링 버에 있어서,
    밀링 버는 스틱형태로 구성되고, 수술 로봇에 체결되는 한편 작업자가 파지하게 되는 상단부와, 일단이 상기 상단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봉의 타단에는 임플란트를 위해 치조골에 인공치아의 식립을 위한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밀링 날이 설치되며, 상기 밀링 날의 직경은 상기 지지봉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밀링 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에는 임플란트용 홀의 천공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눈금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밀링 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링 날은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외측면에는 치조골의 절삭을 위한 절삭날과, 절삭된 골편을 배출하기 위한 절삭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삭날과 절삭홈은 상기 밀링 날의 밑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밀링 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링 날은 원형 또는 역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외측면에는 치조골의 절삭을 위한 절삭날과, 절삭된 골편을 배출하기 위한 절삭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삭날과 절삭홈은 상기 밀링 날의 밑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밀링 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링 날은 사각형, 원형 또는 역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외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위에 치조골의 절삭을 위한 다이아몬드 분말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밀링 버.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링 버는 수술로봇에 설치되고, 상기 수술로봇은 밀링 버를 상하 방향과, 좌우 원형으로 구동시켜 치조골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밀링 버의 직경은 상기 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밀링 버.
  7. 청구항 1에 따른 임플란트용 밀링 버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홀형성 방법에 있어서,
    수술로봇에 밀링 버를 설치하는 단계와, 골밀도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치조골에 대한 골밀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한 골밀도를 데이터를 수술로봇에 저장하는 단계와, 시술자가 밀링 버를 파지하고서 홀을 형성할 치조골에 밀링 버의 밀링날을 이동시켜, 밀링 버를 치조골 깊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좌우 원형으로 이동시키면서 치조골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밀링 버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홀형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에 설치되는 인공치아의 체결나사가 치조골과 균일한 접촉력을 가지도록, 높은 골밀도 부분은 체결나사와 얕게 접촉하도록 절삭하고, 낮은 골밀도 부분은 체결나사와 깊게 접촉하도록 비대칭으로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홀형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에 치조골의 골밀도에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가지도록 비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홀형성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링 날은 디스크 형상으로 구성되고, 외측면에는 치조골의 절삭을 위한 절삭날과, 절삭된 골편을 배출하기 위한 절삭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삭날과 절삭홈은 상기 밀링 날의 밑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밀링 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형상의 밀링 날을 가지는 밀링 버는 치조골에 홀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의 체결나사와 결합을 위한 나사선을 상기 홀에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밀링 버.


KR1020220065367A 2022-05-27 2022-05-27 임플란트용 밀링 버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홀 형성방법 KR102576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367A KR102576600B1 (ko) 2022-05-27 2022-05-27 임플란트용 밀링 버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홀 형성방법
US18/202,466 US20230380930A1 (en) 2022-05-27 2023-05-26 Milling bur for implant and method for forming implant hole using the same
PCT/KR2023/007274 WO2023229424A1 (ko) 2022-05-27 2023-05-26 임플란트용 밀링 버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홀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367A KR102576600B1 (ko) 2022-05-27 2022-05-27 임플란트용 밀링 버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홀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600B1 true KR102576600B1 (ko) 2023-09-07

Family

ID=8797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367A KR102576600B1 (ko) 2022-05-27 2022-05-27 임플란트용 밀링 버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홀 형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80930A1 (ko)
KR (1) KR102576600B1 (ko)
WO (1) WO202322942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9002A (ja) * 2005-09-05 2007-03-22 Straumann Holding Ag ストッパ要素付歯科用ドリル装置
KR100893287B1 (ko) 2007-08-07 2009-04-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
KR20100021954A (ko) * 2007-06-01 2010-02-26 가부시끼가이샤 와까요시 세이사꾸쇼 의료용 절삭구 및 그 가이드 부재 및 절제골 채취구
KR101205841B1 (ko) * 2011-09-22 2012-11-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드릴, 드릴셋트 및 치조골의 천공방법
US20150190146A1 (en) * 2004-06-21 2015-07-09 Straumann Holding Ag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rotary cutting tools and disposable rotary tool for dental or medical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261B1 (ko) * 2007-01-15 2007-09-17 주식회사 메가젠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90146A1 (en) * 2004-06-21 2015-07-09 Straumann Holding Ag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rotary cutting tools and disposable rotary tool for dental or medical applications
JP2007069002A (ja) * 2005-09-05 2007-03-22 Straumann Holding Ag ストッパ要素付歯科用ドリル装置
KR20100021954A (ko) * 2007-06-01 2010-02-26 가부시끼가이샤 와까요시 세이사꾸쇼 의료용 절삭구 및 그 가이드 부재 및 절제골 채취구
KR100893287B1 (ko) 2007-08-07 2009-04-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
KR101205841B1 (ko) * 2011-09-22 2012-11-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드릴, 드릴셋트 및 치조골의 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80930A1 (en) 2023-11-30
WO2023229424A1 (ko)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952B1 (ko) 천공 깊이 조절 가능한 골 천공 드릴
US10973607B2 (en) Surgical guide system for dental implantolog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9782235B2 (en) Implant surgical guide apparatus
US20130022942A1 (en) Self-osteotomizing and grafting bone implant
KR101758803B1 (ko)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US20140023990A1 (en) Self-osteotomizing bone implant and related method
KR101566456B1 (ko) 임플란트용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
KR20110027461A (ko) 임플란트 드릴용 스토퍼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2484720B1 (ko) 임플란트용 밀링 버
US20140322665A1 (en) Guiding template for dental implantology
KR102576600B1 (ko) 임플란트용 밀링 버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홀 형성방법
KR101810972B1 (ko) 치과용 드릴
BR112021013166A2 (pt) Implantes dentários, sistemas de implantes dentários e métodos para fazer e usar os mesmos
KR20180104382A (ko) 임플란트용 상악동거상술을 위한 플래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GR20190100040A (el) Συστημα ταπων διατηρησης του μετεξακτικου φατνιου και χρηση
KR100929258B1 (ko) 의료용 탭핑기구
KR102484721B1 (ko) 임플란트용 스레딩 버
US20220008172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esigning and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US20110244416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implants
TWI541009B (zh) 植牙固定物
KR10209354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2027336B1 (ko)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
KR101181923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KR100918820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리머
KR20160041606A (ko)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