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606A -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606A
KR20160041606A KR1020140135886A KR20140135886A KR20160041606A KR 20160041606 A KR20160041606 A KR 20160041606A KR 1020140135886 A KR1020140135886 A KR 1020140135886A KR 20140135886 A KR20140135886 A KR 20140135886A KR 20160041606 A KR20160041606 A KR 20160041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bone
alveolar bone
neck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덴테크
Priority to KR1020140135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1606A/ko
Publication of KR2016004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61C5/77Methods or devices for making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포스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는, 상기 치조골에 삽입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인공 치조골에 접촉하는 넥부와, 상기 넥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상기 넥부의 폭과 상이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머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치아 임플란트 시술은 대체적으로, 환자의 잇몸(치은)을 절개한 후 그 속에 있는 잇몸뼈(이를 '치조골'이라 한다)에 임플란트용 포스트를 삽입하고, 임플란트용 포스트에 인공치아(Crown)를 결합함으로써 완성된다.
모든 수술은 수술 부위의 조직이 손상된다. 특히 장시간 시술 등으로 수술 부위가 장시간 노출되어 있으면 주변 조직의 손상이나 훼손 정도가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치유 기간이 길어 질 수 있으며, 예후 또한 영항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피시술자도 그 만큼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두려움이 커질 수 있다.
치과 임플란트 시술은 골조직을 드릴링하여 형성된 홀에 티타늄 등의 임플란트를 식립한다. 일반적으로 작은 직경의 드릴을 사용하며, 원하는 지점까지 홀의 깊이를 생성하기 위해 3~4회의 드릴링을 한다. 이렇게 반복적인 드릴링으로 주변의 골조직이 많은 손상을 입을 수 있고, 시술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장시간의 시술 시간은 치유 기간을 길게 하며, 피시술자에게도 고통스럽게 한다.
임플란트 시술될 치조골은 일반적으로 치아 상실, 또는 염증이나 노화 등으로 인한 치조골의 붕괴 등으로 소실된 부위가 존재한다. 소실 부위를 수복하기 위해 골재생 유도술이 사용될 수 있다. 소실 부위가 수복되어 임플란트과 견고히 결합되어야, 임플란트가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 인공골이 재생되는 기간은 뼈이식 후 3~6 개월의 장시간을 요하는데, 이로 인해 피시술자는 상실된 상태 또는 정상적인 저작 기능을 하지 못한 채 장시간을 대기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임플란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포스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는, 상기 치조골에 삽입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인공 치조골에 접촉하는 넥부와, 상기 넥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상기 넥부의 폭과 상이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는 임플란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넥부의 폭은 상기 바디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넥부의 폭은 상기 머리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의 폭은 상기 머리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넥부의 단면적은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넥부의 단면적은 상기 머리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의 단면적은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는,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가 상기 치조골에 식립된 후 상기 치조골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시술이 완료된 후 상기 치은과 골 이식재의 경계는 상기 넥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임플란트 시술 후 골 이식재가 넥부에 다량 채워짐으로써 재생골이 신속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재생골과 임플란트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임플란트 시술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임플란트가 시술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골막 타입 임플란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임플란트 시술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임플란트 시술시, 정상적인 치조골(B) 이외에, 소실 부위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소실 부위에 골 재생이 되도록, 골(뼈) 이식재(40)를 충진하여 시술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이때, 골 재생의 안정화를 위해 차폐막(30)이 사용될 수도 있다.
임플란트 포스트(1)는 치관(crown) 또는 어버트먼트(abutment)(미도시)가 연결되는 머리부(20)와, 치조골(B)에의 결합을 매개하는 몸체부(10)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 포스트(1)는 어버트먼트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인터널(internal) 또는 익스터널(external) 타입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인터널 타입의 임플란트 포스트(1)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일부가 머리부(1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익스터널 타입의 임플란트 포스트(1)는 머리부(10)의 일부가 상기 어버트먼트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일체형인 경우 머리부(20)는 상부에 치관과의 결합을 매개하는 구조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인터널 타입인 경우, 머리부(20)는 내부에, 어버트먼트의 외부 헥사와 결합하는 내부 헥사 결합공 및 어버트먼트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익스터널 타입인 경우, 머리부(20)는 어버트먼트의 내부 헥사공과 결합하는 외부 헥사 및 어버트먼트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포스트(1)는 망치와 같은 기구들을 사용하여 타격함으로써 치조골에 식립하는 방법이나 기구를 통하여 임플란트 포스트(1)를 회전시킴으로써 치조골에 식립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모든 구조의 임플란트 포스트(1)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터널 타입의 임플란트 포스트(1)를 사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임플란트가 시술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임플란트(미표기)는 치조골(B)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포스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포스트(100)에 결합하는 치관(미도시) 및 어버트먼트(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임플란트 포스트(100)에는 상기 치관이 직접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어버트먼트를 매개로 상기 치관이 임플란트 포스트(100)와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플란트 포스트(100)에 상기 어버트먼트가 결합되고, 상기 어버트먼트에 상기 치관이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임플란트 포스트(100)가 상기에서 설명한 인터널 타입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 포스트(100)는, 몸체부(130)와, 몸체부(130)와 연결되는 머리부(110)를 포함한다.
몸체부(130)는, 소실된 환자의 치조골(B)에 식립되는 부분이다. 이때, 몸체부(130)는 최대한 잔존 치조골에 식립되고, 일부만 인공 치조골에 접하도록 시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부(130)는 원뿔이나 삼각뿔, 사각뿔 등의 다각형 뿔 형태의 테이퍼진 형상, 칼날형 등 여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몸체부(130)는 상기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타격이나 회전으로 인하여 치조골(B)에 원활하게 형성되는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몸체부(130)가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130)의 표면에는 식립 후 치조골(B) 또는 재생골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거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나사산, 몸체부(130)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 몸체부(130)의 외면으로부터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홈 등과 같은 결합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4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결합부(140)는 바디부(130)의 외주면의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부(140)는 바디부(13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140)는 바디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결합부(140)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치조골(B)과 몸체부(13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모든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부(140)가 몸체부(130)의 몸체를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머리부(1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관 또는 어버트먼트와 결할 수 있다. 어버트먼트의 종류 또는 결합에 따른 임플란트 타입, 즉 일체형, 인터널 타입, 및 익스터널 타입에 따라, 머리부(110)의 형상이나 구조는 달라질 수 있다. 일체형인 경우 머리부(110)는 상부에 상기 치관과의 결합을 매개하는 구조물(어버트먼트)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터널 타입인 경우, 머리부(110)는 내부에는 어버트먼트의 외부 헥사와 결합하는 내부 헥사 결합공(112) 및 어버트먼트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익스터널 타입인 경우, 머리부(110)는 어버트먼트의 내부 헥사공과 결합하는 외부 헥사 및 어버트먼트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 포스트(100)는 몸체부(130)와 머리부(110) 사이에 배치되는 넥(neck)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넥부(120)의 단면적은 몸체부(130)의 단면적 또는 몸체부(13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넥부(120)의 폭은 몸체부(130)의 폭 또는 몸체부(13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30)의 단면적 또는 몸체부(130)의 폭은 머리부(110)의 단면적 또는 몸체부(13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30)와 몸체부(1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넥부(120), 몸체부(130) 및 몸체부(130)의 단면적의 차이로 인해, 넥부(120)에는 골 이식재(뼈가루; BP)가 더 많이 채워질 수 있으며 넥부(120)의 주위 공간에 골 이식재가 잘 안착될 수 있다. 넥부(120) 주위의 공간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시술후에 재생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치은(G)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머리부(1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넥부(120) 보다 측면 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성됨으로써 골 이식재(BP)가 잘 안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골유도 재생술을 시술하여 재생골이 재생하는 경우 물리적으로 안정되도록 차폐막이 사용될 수 있는데, 머리부(110)의 단면적은 넥부(14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머리부(110)의 돌출된 형상은 이러한 차폐막 역할을 하거나 차폐막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임플란트 포스트(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30), 머리부(110), 및 넥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각 요소가 분리되어 시술시 서로 체결(조립)되는 경우, 각 요소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다. 이러한 간극은 최초 체결시 없더라도, 기계적인 저작 작용이나 진동 등에 의해 발생한다. 간극은 세균이 서식하기에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각 요소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체로 임플란트를 형성하기 위해, 3D 프린팅 기법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시술 전 환자의 소실된 치조골 형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스캔장치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구강을 3차원 이미지로 스캔하여,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이를 기초로 몸체부 및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의 최적 형상을 설계한다.
스캔장치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마이크로 레이저 광학 장치와 같은 3D 모델리티(3D modelity), 컴퓨터 단층촬영(CT), 구강 카메라(intra-oral camera) 또는 초음파 장치, 자기 공명 영상장치(MRI), MRI-CT(MRT), 콘 빔 CT(CBCT), 공초점 스캐닝 장치 및/또는 환자의 구강의 구강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가 모두 이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여기서, 최적 형상이라 함은, 소실된 치조골 형상에 임플란트 포스트(100)가 식립될 경우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소실된 치조골을 재생시킬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한 지지력을 확보한 상태에서 골유도 재생술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식립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소실된 치아나 손상된 치아를 제거한 후 치은(G)을 절개하여 몸체부(13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30)의 삽입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이나 타격을 통하여 치조골(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치조골(B)에 몸체부(130)가 삽입되면, 시술자는 치조골(B) 중 소실된 정도에 따라서 골 이식재(BP)를 충진될 수 있다. 이때, 골 이식재(BP)를 통하여 재생골을 형성하기 위하여 골 이식재(BP) 상부 및 치조골(B) 상부에 차폐막(미도시)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막은 치조골(B)에 나사 등을 통하여 고정됨으로써 골 이식재(BP)의 상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으며, 시술자가 원하는 형태의 재생골을 만들기 위하여 골 이식재(BP)의 형태를 잡아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차폐막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차폐막은 임플란트 포스트(100)에 삽입된 상태로 시술되거나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시술 후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시술 후 상기 차폐막이 설치되는 경우 머리부(110) 부분은 상기 차폐막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넥부(120)에는 피시술자의 치조골(B) 일부와 골 이식재(BP)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넥부(120)에는 치조골(B)과 골 이식재(BP)가 삽입됨으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골 이식재(BP)와 임플란트 포스트(10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넥부(120)의 상하에는 머리부(110)와 몸체부(130)가 배치되며, 골 이식재(BP)에는 머리부(110)의 하면과 몸체부(130)의 상면 일부가 접촉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임플란트 포스트(100)와 골 이식재(BP)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머리부(110)는 골 이식재(BP)의 상부 일부를 덮음으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차폐막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절개한 치은(G)을 다시 봉합한 후 골 이식재(BP)를 고착시켜 재생골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머리부(110)의 두께는 치은(G)의 두께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됨으로써 치은(G)과 상기 재생골 사이의 경계는 넥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시술이 진행되는 머리부(110)의 나사공(111)에는 임시나사(미도시) 또는 임시볼트(미도시)가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플란트 시술 시 골 이식재(BP)가 재생골을 형성하여야 어버트먼트를 머리부(1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는 머리부(110)의 나사공(111)에 상기 결합나사 또는 결합볼트 등이 삽입되어 머리부(110)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포스트(100)를 식립 후 나사공(111)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음식물 등이 나사공(1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임시나사 또는 임시볼트를 통하여 나사공(11)을 차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재생골이 완성되면, 상기 임시나사 또는 상기 임시볼트를 나사공(111)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어버트먼트의 헥사를 헥사 삽입공(112)에 삽입하고 결합나사(미도시) 또는 결합볼트(미도시)를 나사공(111)에 결합하여 상기 어버트먼트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에는 상기 치관이 결합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치관은 상기 결합나사 또는 상기 결합볼트 등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포스트(100)를 통하여 간편하게 시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넥부(120)를 구비함으로써 골 이식재(BP)를 통한 재생골의 형성 시 골 이식재(BP)와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결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임플란트 시술 후 임플란트 포스트(1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식립과 동시에 치조골 이식을 할 수 있어 시술의 회수를 줄임과 동시에 빠른 기능회복을 제공하여, 피시술자와 시술자 모두 시간을 아낄 수 있고 환자의 고통 및 경제적 부담을 줄이며, 시술자에게 간편한 시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차폐막과 함께 머리부(110)가 골 이식재를 차폐시킴으로써 재생골의 형태를 시술자가 원하는 형태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 임플란트 포스트 110 : 머리부
120 : 넥부 130 : 바디부
140 : 결합부

Claims (6)

  1.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포스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는,
    상기 치조골에 삽입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인공 치조골에 접촉하는 넥부; 및
    상기 넥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상기 넥부의 폭과 상이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넥부의 폭은 상기 바디부의 폭 및 상기 머리부의 폭 보다 작은 임플란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폭은 상기 머리부의 폭보다 작은 임플란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넥부의 단면적은 상기 바디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임플란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는,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가 상기 치조골에 식립된 후 상기 치조골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임플란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시술이 완료된 후 치은과 골 이식재의 경계는 상기 넥부에 배치되는 임플란트.
KR1020140135886A 2014-10-08 2014-10-08 임플란트 KR20160041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886A KR20160041606A (ko) 2014-10-08 2014-10-08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886A KR20160041606A (ko) 2014-10-08 2014-10-08 임플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606A true KR20160041606A (ko) 2016-04-18

Family

ID=5591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886A KR20160041606A (ko) 2014-10-08 2014-10-08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16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8819A (zh) * 2017-11-21 2018-04-20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帐篷钉
KR20180135620A (ko) * 2017-06-13 2018-12-2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620A (ko) * 2017-06-13 2018-12-2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
CN107928819A (zh) * 2017-11-21 2018-04-20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帐篷钉
CN107928819B (zh) * 2017-11-21 2024-04-16 上海仁杰实业有限公司 帐篷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4453B2 (ja) 治癒支台柱
US10299895B2 (en) Fabrication and installation of a dental implant
US8226410B2 (en) Mount device for dental implant
US7530810B2 (en) Dental fixture implant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RU2543036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KR101954988B1 (ko) 임플란트용 상악동거상술을 위한 플래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10129175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KR20140127066A (ko)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
US20140038134A1 (en) Custom dental implants, systems, devices and methods
KR102068525B1 (ko)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TWI578965B (zh) Dental implants
KR100894315B1 (ko) 응급 임플란트용 고정체
KR20190040590A (ko) 시술 과정이 감소되는 범용 어버트먼트
KR20200053276A (ko)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JP4359528B2 (ja) 人工歯根および人工歯根製造システム
KR20160041606A (ko) 임플란트
KR1010252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BR112021013166A2 (pt) Implantes dentários, sistemas de implantes dentários e métodos para fazer e usar os mesmos
KR101820489B1 (ko) 시술 과정이 감소되는 범용 어버트먼트
KR102125419B1 (ko) 발치후 즉시 식립이 가능한 맞춤형 임프란트
KR20150040776A (ko) 속빈 원통형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US20210186664A1 (en) Bone-bonded artificial tooth structure
KR102212408B1 (ko) 오버덴쳐 구조물 및 오버덴쳐 구조물의 구축방법
KR101604910B1 (ko)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쳐 분리장치
US11273015B2 (en) Fabrication and installation of a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