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0776A - 속빈 원통형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 Google Patents

속빈 원통형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0776A
KR20150040776A KR20140135409A KR20140135409A KR20150040776A KR 20150040776 A KR20150040776 A KR 20150040776A KR 20140135409 A KR20140135409 A KR 20140135409A KR 20140135409 A KR20140135409 A KR 20140135409A KR 20150040776 A KR20150040776 A KR 20150040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veolar bone
spiral
bone
implant
implant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5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덴테크
Publication of KR20150040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19Blade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39Details of the shape in the form of hollow cylinder with an open botto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단부에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치조골에 식립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치조골에의 식립시 상기 치조골이 들어차는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가 형성됨으로써, 치조골에 대한 견고한 지지력을 갖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속빈 원통형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CYLINDERICAL IMPLANT POST FOR DENTAL CLINIC}
본 발명은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조골과의 지지력이 강하며, 1회 또는 적은 수의 드릴링으로 시술할 수 있어 최소한의 침습으로 식립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치아 임플란트 시술은 대체적으로, 환자의 잇몸(치은)을 절개한 후 그 속에 있는 잇몸뼈(이를 '치조골'이라 한다)에 임플란트용 포스트를 삽입하고, 임플란트용 포스트에 인공치아(Crown)를 결합함으로써 완성된다.
모든 수술은 수술 부위의 조직이 손상된다. 특히 장시간 시술 등으로 수술 부위가 장시간 노출되어 있으면 주변 조직의 손상이나 훼손 정도가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치유 기간이 길어 질 수 있으며, 예후 또한 영항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피시술자도 그 만큼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두려움이 커질 수 있다.
치과 임플란트 시술은 골조직을 드릴링하여 형성된 홀에 티타늄 등의 임플란트를 식립한다. 일반적으로 작은 직경의 드릴을 사용하며, 원하는 지점까지 홀의 깊이를 생성하기 위해 3~4회의 드릴링을 한다. 이렇게 반복적인 드릴링으로 주변의 골조직이 많은 손상을 입을 수 있고, 시술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장시간의 시술 시간은 치유 기간을 길게 하며, 피시술자에게도 고통스럽게 한다.
임플란트 시술될 치조골은 일반적으로 치아 상실, 또는 염증이나 노화 등으로 인한 치조골의 붕괴 등으로 소실된 부위가 존재한다. 소실 부위를 수복하기 위해 골재생 유도술이 사용될 수 잇다. 소실 부위가 수복되어 임플란트과 견고히 결합되어야, 임플란트가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 인공골이 재생되는 기간은 뼈이식 후 3~6 개월의 장시간을 요하는데, 이로 인해 피시술자는 상실된 상태 또는 정상적인 저작 기능을 하지 못한 채 장시간을 대기해야 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골내 임플란트 시술시 식립된 임플란트 포스트가 강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함은 물론, 시술 시간을 단축시키고 수명이 연장된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임플란트 포스트는 상단부에 형성된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치조골에 식립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치조골에의 식립시 상기 치조골이 들어차는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회전 동작으로 상기 치조골에의 삽입 결합을 위한 제1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의 내주면에는 회전 동작으로 상기 치조골에의 삽입 결합을 위한 제2 나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나선부와 상기 제2 나선부는 회전 방향이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나선부는 상기 몸체부가 회전될 때 상기 치조골을 향하는 회전 저항이 상기 제2 나선부에 비하여 작은 회전 방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나선부 및 상기 제2 나선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선부의 경사 방향과 상기 제2 나선부의 경사 방향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나선부의 경사방향은 상기 몸체부의 하측 방향이고, 상기 제2 나선부의 경사 방향은 상기 몸체의 상측방향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몸체부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은 서로 이격되어 격자 모양 또는 메쉬(Mesh)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상기 치조골에의 최초 식각을 위하여 형성된 식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각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치조골에의 식립을 위한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사면과, 상기 사면의 반대면에 구비되어 지지하는 지지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머리부 및 상기 몸체부는 3D 프린팅 기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몸체부의 내부에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치조골과의 강한 결합력을 제공하며, 몸체부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나선부 및 제2 나선부 또는 제1 및 제2 나선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치조골과의 강한 결합력을 제공하며, 제1 및 제2 나선부의 회전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치조골에의 식립 후 보다 강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몸체부와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를 관통하여 연통시키는 관통홀이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재생되는 치조골이 상기 관통홀에 들어참으로써 보다 강한 결속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몸체부 및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를 포함하는 모든 부분을 환자의 치료 부위인 소실된 치조골에 맞춤되도록 3D 프린팅 기법으로 제작되는 바, 맞춤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임플란트 시술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써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나선부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써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1의 B방향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8은 도 7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및
도 9는 도 7의 식각부를 구성하는 톱날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는, 일반적으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심어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픽스츄어에 치아 보철을 고정하여 형성된 인공 치아 구조를 의미한다. 임플란트라는 용어는 넓게 이러한 치과 시술 방법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고, 좁게는 픽스츄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구조는 주로 임플란트 포스트가 식립되는 시술 또는 임플란트 포스트 자체를 의미하는 일반적인 인공 치아 구조로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0은 치조골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정상적인 치조골(B)에 치아의 상실이나 치조골이 붕괴로 인한 상실된 치조골(P)은 임플란트 시술시 임플란트의 지지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에 상시로딘 치조골(P)에 골 재생을 한 후, 임플란트 시술을 하거나 임플란트 식립하면서 골 재생 시술을 같이 하기도 한다.
도 1은 임플란트 시술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임플란트 시술시, 정상적인 치조골(B) 이외에, 소실 부위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소실 부위에 골 재생이 되도록, 뼈 이식재를(40)를 충진하여 시술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뼈 이식재로 동종, 이종, 또는 인공 뼈가루(bone powder)가 사용될 수 있다. 골 재생의 안정화를 위해 차폐막(30)이 사용될 수도 있다.
임플란트 포스트(1)는 치관(crown) 또는 어버트먼트(abutment)(미도시)가 연결되는 머리부(20)와, 치조골(B)에의 결합을 매개하는 몸체부(10)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 포스트(1)는 어버트먼트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인터널(internal) 또는 익스터널(external) 타입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체형인 경우 머리부(20)는 상부에 치관과의 결합을 매개하는 구조물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인터널 타입인 경우, 머리부(20)는 내부에, 어버트먼트의 외부 헥사와 결합하는 내부 헥사 결합공 및 어버트먼트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익스터널 타입인 경우, 머리부(20)는 어버트먼트의 내부 헥사공과 결합하는 외부 헥사 및 어버트먼트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써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나선부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써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몸체부(105)와 머리부(120)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포스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5)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부분이다. 치조골은 본래 있던 자연(잔존) 치조골 또는 골유도 재생술 등에 의한 인공(재생) 치조골일 수 있다. 몸체부(105)는 최대한 잔존 치조골에 식립되고, 일부만 인공 치조골에 접하도록 시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05)의 저면에는 치조골에 식립될 때 치조골이 몸체부의 내부로 들어참으로써 지지력을 강화시키도록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는 대략 원주형상으로 형성된 빈 공간이다. 그러나, 반드시 원주형상일 필요는 없고, 후술하겠지만, 3D 프린팅 기법으로 생성될 수 있는 여하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이 빈 공간에는, 몸체부(105)가 치조골에 식립될 때 피시술자의 치조골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의 치조골이 들어차고, 환자의 치조골의 소실된 상태에 따라 인공 뼈가루가 충진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는 식립되는 치조골과의 사이에서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지지력을 더욱 상승시키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05)의 외주면에는 나선 형상의 제1 나선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선부(110)는, 임플란트 포스트(100)를 치조골에 식립할 때 회전 도구를 이용하여 몸체부(105)를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이다.
또한,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의 내측면에는 제2 나선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나선부(160)는, 치조골에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몸체부(105)가 식립된 후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치조골과의 보다 많은 접촉면적을 제공하여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2 나선부(160)는, 몸체부(105)가 치조골에 식립될 때, 치조골과의 접촉면을 본래의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의 내측면보다 더 증가시켜 줌으로써 치조골과의 지지력 및 치조골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 나선부(110)와 제2 나선부(160)는 회전 방향이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다른 실시예는, 몸체부(105)에, 본래 개구된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의 하방을 제외하고,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와 몸체부(105)의 외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된 관통홀(260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관통홀(260A)은 복수개가 몸체부(105)의 강도를 너무 약화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조밀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관통홀(260A)은, 각각 격자 모양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관통홀(260A)은, 몸체부(105)의 외부와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를 상호 연통시킴으로써, 몸체부(105) 내부의 치조골에 혈액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통(몸체부) 내부의 골조직의 재생력을 증대시켜, 몸체부(105)와 골조직의 유착을 증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개의 관통홀(260A)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제1 나선부(110) 및 제2 나선부(160)가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제1 나선부(110) 중 몸체부(105)의 하단 부분은 일부만이 형성되어도 좋다. 이는, 최초 몸체부(105)를 회전시켜 치조골에 식립할 때 용이하게 식립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머리부(120)는 치관 또는 어버트먼트와 결합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의 종류 또는 결합에 따른 임플란트 타입, 즉 일체형, 인터널 타입, 및 익스터널 타입에 따라, 머리부(120)의 형상이나 구조는 달라질 수 있다. 일체형인 경우 머리부(120)는 상부에 치관과의 결합을 매개하는 구조물(어버트먼트)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터널 타입인 경우, 머리부(120)는 내부에, 어버트먼트의 외부 헥사와 결합하는 내부 헥사 결합공(131) 및 어버트먼트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공(133)이 형성될 수 있다. 익스터널 타입인 경우, 머리부(20)는 어버트먼트의 내부 헥사공과 결합하는 외부 헥사 및 어버트먼트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 포스트(100)는 몸체부(105)와 머리부(120) 사이에 배치되는 넥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넥부(140)의 단면적은 몸체부(105)의 단면적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 하다. 단면적의 차이로 인해, 인공 뼈가루가 더 많이 채워질 수 있으며 넥부(140)의 주위 공간에 인공 뼈가루가 잘 안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넥부(140) 주위의 공간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시술후에 재생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치은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머리부(120)는 넥부(140) 보다 더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인공 뼈가루가 잘 안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골유도 재생술은 인공 골이 재생될 때까지 물리적으로 안정되도록 차폐막이 사용될 수 있는데, 머리부(120)의 돌출된 형상은 이러한 차폐막 역할을 하거나 차폐막이 고정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식립된 임플란트의 초기 지지력은 픽스쳐(fixture)(본 실시예에서는,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하부 끝 단 부위 및 상부(치관 방향) 부위에서 주로 고정력을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충분한 길이의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하부는 잔존 치조골과 단단히 결합할 수 있으며, 내부 스페이스(150)로 인한 넓은 직경은 잔존 치조골 및 인공 재생뼈가 동시에 넓은 면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하여 단단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는 흡수된 치조골 깊이와 동일하거나 평균 깊이, 또는 일정한 범위내에 넥(140)의 길이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임플란트 식립과 동시에 뼈이식을 하면서 빠른 기능 회복을 할 수 있게 한다.
치조골이 많이 소실된 대부분의 경우, 소실된 만큼 뼈이식을 한 후 수개월 동안 치조골을 재생시킨 후 임플란트 시술이 행해져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임플란트 식립과 동시에 치조골 이식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의 회수를 줄임과 동시에 빠른 기능회복을 제공하여, 환자와 술자 모두 시간을 아낄 수 있고 환자의 고통 및 경제적 부담을 줄이며, 술자에게 간편한 시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105), 머리부(12), 및 넥부(14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요소가 분리되어 시술시 서로 체결(조립)되는 경우, 각 요소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다. 이러한 간극은 최초 체결시 없더라도, 기계적인 저작 작용이나 진동 등에 의해 발생한다. 간극은 세균이 서식하기에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각 요소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체로 임플란트를 형성하기 위해, 3D 프린팅 기법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몸체부(105)가 대략 원주형으로 형성되되,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가 몸체부(105)의 하단부 중 일부의 속이 빈 원주형상을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몸체부(105)의 형상 및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의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치료 대상이 되는 환자의 소실된 치조골의 형상은 환자마다 상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형상이 일률적으로 동일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환자마다 상이한 치조골의 소실된 부분에 맞춤 제작되어 식립됨으로써 치료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100)는 3D 프린팅 기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시술 전 환자의 소실된 치조골 형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스캔장치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구강을 3차원 이미지로 스캔하여,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이를 기초로 몸체부 및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의 최적 형상을 설계한다.
스캔장치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마이크로 레이저 광학 장치와 같은 3D 모델리티(3D modelity), 컴퓨터 단층촬영(CT), 구강 카메라(intra-oral camera) 또는 초음파 장치, 자기 공명 영상장치(MRI), MRI-CT(MRT), 콘 빔 CT(CBCT), 공초점 스캐닝 장치 및/또는 환자의 구강의 구강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가 모두 이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여기서, 최적 형상이라 함은, 소실된 치조골 형상에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100)가 식립될 경우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소실된 치조골을 재생시킬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한 지지력을 확보한 상태에서 골유도 재생술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300)는, 몸체부(305)와 머리부(320)을 포함할 수 있다. 머리부(320)는 몸체부(30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넥부(340)를 통하여 몸체부(305)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머리부(320)와 몸체부(305)가 넥부(340)를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305), 머리부(320) 및 넥부(340)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몸체부(305)에는 외면에 제1 나선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05) 내부에는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350)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350)가 형성되는 몸체부(305)의 내부에는 제2 나선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나선부(310) 및 제2 나선부(360)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나선부(310)의 경사 방향과 제2 나선부(360)의 경사 방향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나선부(310)의 경사 방향은 몸체부(305)의 길이 방향으로 몸체부(305)의 상측에서 몸체부(305)의 하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나선부(360)의 경사 방향은 몸체부(305)의 길이 방향으로 몸체부(305)의 하측 방향에서 몸체부(305)의 상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나선부(310)의 경사 방향으로 인하여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300)를 치조골에 식립할 때, 용이하게 치조골 내부로 식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2 나선부(360)의 경사 방향으로 인하여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300)를 치조골에 식립한 후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300)의 식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300)가 치조골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몸체부(305)에는 관통홀(36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360a)은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350)로부터 몸체부(305)의 외면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관통홀(360a)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관통홀(360a)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통홀(360a)은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350)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통홀(360a)은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350)의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360a)은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350)의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관통홀(360a)이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350)의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관통홀(360a)은 몸체부(305)의 외면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360a)이 관통된 몸체부(305)의 외면은 제1 나선부(310)가 형성되지 않고,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관통홀(360a)이 관통된 몸체부(305)의 외면에 제1 나선부(31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관통홀(360a)이 관통된 몸체부(305)의 외면에 제1 나선부(31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관통홀(360a)은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300)가 식립된 후 치조골이 관통하여 재생함으로써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300)에 강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360a)을 통하여 치조골의 재생에 필요한 영양분이나 혈액 등이 통과할 수 있으므로 치조골 재생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B방향에서 바라본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식각부를 구성하는 톱날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임플란트 포스트(100)를 치조골에 회전시켜 식립하기 위하여는 초기에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하단에 의하여 치조골을 파내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100)는,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몸체부(105)의 하단에 형성된 식각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각부(300)는, 톱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부(105)를 치조골에 회전 식립할 때, 식각부(300)가 최초 치조골을 파면서 내부로 파고 들어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식각부(300)는, 도 7 및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몸체부(105)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경사면을 이루는 사면(310)과, 사면(310)의 반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면(3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제로, 치조골을 식각하는 부분은 사면(310)인 바, 사면(310)의 외측단은 지지면(320)에 비하여 더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사면(310)은 몸체부(105)와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 중 몸체부(105)에만 제1 나선부(110)가 형성된 경우 외부를 향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에만 제2 나선부(160)가 형성된 경우 내부를 향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식각부(300)의 개별 톱날 형상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 8a 내지 도 8d에 잘 나타나 있다. 도 9의 (a) 내지 (d)에 나타난 개별 톱날 형상은 대략 하단이 좁아지는 육각면체에서 사면(310) 부분을 형성하는 일부가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면(310)의 형상은 일부가 절개되는 형상에 따라 상이한 각도를 가질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식립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시술자의 소실된 치조골 부위를 스캔장치를 이용하여 구강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여, 제작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3차원 형상을 프린트하는 3D 프린팅 기법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포스트(100)를 제작한다.
다음으로,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몸체부(105)의 하단부를 소실된 치조골 부위에 밀착시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식립하게 된다. 이때,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 내부 또는 몸체부(105)의 외부의 소실된 치조골의 재생을 위한 부분에 인공 뼈가루(bone powder)를 충진시킬 수 있다.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몸체부(105)를 회전시켜 소실된 치조골에 식립하면, 몸체부(105)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나선부(110)에 의하여 용이하게 회전 식립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몸체부(105)가 치조골에 완전히 식립되면,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 내부로 본래의 치조골이 들어차면서 식립된 몸체부(105)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의 내측면과 치조골과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몸체부(105)가 치조골에 완전히 식립되면,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 나선부(160)에 의하여 몸체부(105)의 역회전(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15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 나선부(160)는 제1 나선부(110)와 상이한 회전 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며, 제2 나선부(160)에 의하여 몸체부(105)는 치조골에 대한 보다 강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창출하게 된다.
그리고, 임플란트 포스트(100)의 몸체부(105)가 치조골에 완전히 식립된 후에는 치조골로부터 재생되는 재생 뼈가 복수개의 관통홀(260A)에 들어참으로써 몸체부(105)의 치조골에 대한 결합력을 상승시키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임플란트 포스트 105: 몸체부
110: 제1 나선부 120: 머리부
130: 치관 결합공 140: 넥부
150: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 160: 제2 나선부
260A: 관통홀

Claims (13)

  1. 상단부에 형성된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치조골에 식립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치조골에의 식립시 상기 치조골이 들어차는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가 형성된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된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회전 동작으로 상기 치조골에의 삽입 결합을 위한 제1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의 내주면에는 회전 동작으로 상기 치조골에의 삽입 결합을 위한 제2 나선부가 형성된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부와 상기 제2 나선부는 회전 방향이 상이하도록 형성된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부는 상기 몸체부가 회전될 때 상기 치조골을 향하는 회전 저항이 상기 제2 나선부에 비하여 작은 회전 방향을 갖도록 형성된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부 및 상기 제2 나선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선부의 경사 방향과 상기 제2 나선부의 경사 방향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부의 경사방향은 상기 몸체부의 하측 방향이고, 상기 제2 나선부의 경사 방향은 상기 몸체의 상측방향인 임플란트 포스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치조골 결합 스페이스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의 일부에 형성되는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은 서로 이격되어 격자 모양 또는 메쉬(Mesh)를 형성하는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상기 치조골에의 최초 식각을 위하여 형성된 식각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치조골에의 식립을 위한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사면과, 상기 사면의 반대면에 구비되어 지지하는 지지면으로 이루어진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및 상기 몸체부는 3D 프린팅 기법으로 제작되는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KR20140135409A 2013-10-07 2014-10-07 속빈 원통형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KR201500407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535 2013-10-07
KR20130119535 2013-10-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776A true KR20150040776A (ko) 2015-04-15

Family

ID=5303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5409A KR20150040776A (ko) 2013-10-07 2014-10-07 속빈 원통형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07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503A (ko) 2017-12-29 2019-07-09 디에스글로벌 (주) 포토 프린터의 용지간 색차보정 방법
KR20200068827A (ko) * 2018-12-06 2020-06-16 문현규 매립형 이중 절삭 임플란트 고정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503A (ko) 2017-12-29 2019-07-09 디에스글로벌 (주) 포토 프린터의 용지간 색차보정 방법
KR20200068827A (ko) * 2018-12-06 2020-06-16 문현규 매립형 이중 절삭 임플란트 고정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2183B (zh) 牙科植體之牙根
US7530810B2 (en) Dental fixture implant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10109231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US20100291507A1 (en) Polyaxial Dental Implant
KR10112213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160098105A (ko) 임플란트용 차폐막
KR10109231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894315B1 (ko) 응급 임플란트용 고정체
JP2019517848A (ja) バイオニックインプラント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50040777A (ko) 임플란트
KR102068525B1 (ko)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KR20150040776A (ko) 속빈 원통형 치과 치료용 임플란트 포스트
KR20200053276A (ko)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KR1010252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JP2020168429A (ja) 医療用デバイス
KR20160041606A (ko) 임플란트
KR101905579B1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881224B1 (ko) 치과용 템플릿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이식 방법
KR20140105098A (ko) 경사형 임플란트
KR101452477B1 (ko) 다수개의 종방향 톱니부를 갖는 프레스 핏 치과 임플란트
KR20140077128A (ko) 고정요소 및 고정방법
JP5450046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フィクスチャー
US20220031430A1 (en) Dental implant and surgery guide therefor
KR20150133671A (ko) 임플란트용 차폐막
KR101015193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