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095B1 -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095B1
KR101309095B1 KR1020120022276A KR20120022276A KR101309095B1 KR 101309095 B1 KR101309095 B1 KR 101309095B1 KR 1020120022276 A KR1020120022276 A KR 1020120022276A KR 20120022276 A KR20120022276 A KR 20120022276A KR 101309095 B1 KR101309095 B1 KR 101309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space
implant fixture
search
implan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266A (ko
Inventor
최인혁
Original Assignee
최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혁 filed Critical 최인혁
Priority to KR1020120022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09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치조골 내에 매식한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를 금속을 끌어당기는 자기력을 통해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어 엑스레이 촬영이 불필요하고, 정확한 위치의 잇몸절개가 가능함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잇몸을 크게 절개할 필요가 없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설치공간 내에 작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치조골 내 매식된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를 확인 및 표시하는 탐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APPARATUS OF SEARCHING A IMPLANT FIXTURE}
본 발명은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치조골 내에 매식한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를 금속을 끌어당기는 자기력을 통해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어 엑스레이 촬영이 불필요하고, 정확한 위치의 잇몸절개가 가능함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잇몸을 크게 절개할 필요가 없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체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근 즉 치아뿌리를 이식하는 것으로,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를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뼈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게 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통상적인 임플란트 시술방법은 2단계에 걸쳐서 진행되는데, 1단계 시술은 마취를 한 후 잇몸을 절개하고 턱뼈의 모양이 보이도록 절개된 잇몸을 벌려 준다. 그런 다음 임플란트 위치를 확인하고 드릴링(drilling)을 하여 턱뼈 안에 임플란트가 들어갈 공간(hole)을 만들어준 뒤 임플란트 직경에 맞는 크기가 될 때까지 여러 번의 드릴링 한 후 조심스럽게 임플란트를 심는다. 이때 시술자의 판단에 따라 임플란트가 보이지 않도록 잇몸을 완전히 덮고 봉합을 하는 2회 수술 방법으로 시술하거나, 임플란트의 치유 지대주가 보이는 상태로 잇몸을 봉합하는 1회 수술법으로 임플란트를 턱뼈에 식립한다.
시술자가 2회 수술 방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잇몸을 완전히 덮고 봉합한 경우, 2단계 시술은 수개월 후 보통 국소 마취 후 잇몸을 절개하고 임플란트 식립물이 보이도록 잇몸을 벌려 만족할 만한 골 유착이 이루어졌는지 검사하여 치유 지대주를 연결하고 잇몸을 봉합한다. 그런 다음 잇몸이 치유되면 인공 치아 보철물을 만드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2단계 시술시 잇몸을 절개할 때 식립물, 즉 치조골 내에 매식된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가 육안으로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예측하기가 어려워 잇몸 절개선을 협측이나 설측으로 치우쳐 설정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치유지대주의 한쪽에서 잇몸이 부족한 경우가 종종 발생해 봉합시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잇몸의 치유상태가 불량하거나 치유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치조골 내에 매식한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를 금속을 끌어당기는 자기력을 통해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어 엑스레이 촬영이 불필요하고, 정확한 위치의 잇몸절개가 가능함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잇몸을 크게 절개할 필요가 없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설치공간 내에 작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치조골 내 매식된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를 확인 및 표시하는 탐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연결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동일 중심축 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구강 내 진입이 용이하도록 그 일측이 상향 절곡 형성된 다음 재차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탐색수단은, 상기 헤드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설치공간 하부를 폐쇄하고 중심부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자기력을 갖는 탐색돌기와, 상기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되 하단에는 표시부재가 상기 관통홀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단에는 누름부재가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표시부재를 위치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 구비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설치공간 내에 위치되되 상기 탐색돌기 및 이동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상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탐색수단은, 상기 헤드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설치공간 하부를 폐쇄하고 중심부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자기력을 갖는 탐색돌기와, 상기 연결부 상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헤드부의 직상부에 이격 위치되며 누름 여부에 따라 상기 헤드부 측으로 위치이동되되 누름 압력 제거시 탄성적으로 원위치 가능한 형상기억부재와, 상기 설치공간 내에 위치되되 상단이 상기 형상기억부재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형상기억부재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설치공간의 하부 외측으로 출납 이동하는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표시부재는 잇몸과의 접촉시 출혈이 유발되도록 그 선단이 날카롭게 형성되거나, 잇몸 상에 표시 가능하도록 잉크가 충전되는 것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치조골 내 매식된 임플란트 픽스쳐 상부에는 상기 탐색돌기의 자기력에 의해 고정 가능한 금속재질의 스크류가 노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치조골 내에 매식한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를 금속을 끌어당기는 자기력을 통해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어 엑스레이 촬영이 불필요하고, 정확한 위치의 잇몸절개가 가능함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잇몸을 크게 절개할 필요가 없어 시술자의 입장에서는 신속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고 환자의 입장에서는 진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복이 빠르고 부작용 가능성이 줄어들어 향상된 수술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에 대한 작동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에 대한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4a 내지 도 4c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1)는 손잡이부(100)와, 상기 손잡이부(10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200)와, 상기 연결부(200)의 선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공간(310)이 형성되는 헤드부(300)와, 상기 설치공간(310) 내에 작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치조골 내 매식된 임플란트 픽스쳐(500)의 위치를 확인 및 표시하는 탐색수단(400)을 포함을 포함한다.
여기서 손잡이부(100)는 시술자가 시술시 파지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외주연 상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 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며 그 크기나 두께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가능하다.
전술한 손잡이부(100)의 일단에는 연결부(200)가 연장 형성되는데 이 연결부(200)는 추후에 설명될 헤드부(300)가 구강 내에 진입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부(200)는 구강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인바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잡이부(100)와 동일 중심축 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구강 내 진입이 용이하도록 그 일측이 한차례 상향 절곡 형성된 다음 재차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연장부의 선단에는 헤드부(300)가 구비되는데 이 헤드부(300)는 추후에 설명될 탐색수단(400)이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헤드부(300) 내에는 하단이 개방된 소정의 설치공간(310)이 형성된다. 전술한 헤드부(300)는 탐색수단(40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바 연장부와 수직방향으로 연결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설치공간(310)의 내부에는 탐색수단(400)이 작동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 작동수단은 치조골 내 매식된 임플란트 픽스쳐(500)의 위치를 확인 및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탐색수단(400)은, 헤드부(300)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설치공간(310) 하부를 폐쇄하고 중심부에는 상기 설치공간(310)과 연통되는 관통홀(411)이 형성되며 자기력을 갖는 탐색돌기(410)와, 설치공간(310) 내에 설치되되 하단에는 표시부재(421)가 관통홀(411)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단에는 누름부재(423)가 가압여부에 따라 표시부재(421)를 위치이동시킬 수 있도록 헤드부(300)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 구비되는 이동부재(420)와, 설치공간(310) 내에 위치되되 탐색돌기(410) 및 이동부재(420) 사이에 개재되어 이동부재(420)를 상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스프링부재(430)를 포함한다.
전술한 탐색돌기(410)는 헤드부(300)의 하측에 나사결합되어 설치공간(310)의 하부를 폐쇄하는데 치조골 내에 매식되어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임플란트 픽스쳐(500)를 자기력을 이용해 탐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치조골 내 매식된 임플란트 픽스쳐(500) 상부에는 상기 탐색돌기(410)의 자기력에 의해 고정 가능한 금속재질의 스크류(510)가 노출 구비되며, 이 스크류(510)는 인체에 무해한 의료용 스크류(510)인 것으로 한다.
즉, 탐색돌기(410)를 이용해 임플란트 픽스쳐(500)가 매식된 잇몸 근처를 접촉하며 탐색하면 탐색돌기(410)의 자기력에 의해 스크류(510)가 감지되고 시술자는 해당 지점에서 누름부재(423)를 가압해 표시부재(421)의 선단이 잇몸에 접촉되도록 해서 그 지점을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재(421)는 잇몸과의 접촉시 출혈이 유발되도록 그 선단이 날카롭게 형성될 수도 있고, 접촉시 잇몸 상에 표시 가능하도록 잉크가 충전될 수도 있는데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 인체에 무해한 잉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1)를 이용한 전체적인 시술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치조골 내에 임플란트 픽스쳐(500)가 육안으로 식별 불가하게 매식된 환자의 잇몸에 국소 마취를 시행한다.
그런 다음 시술자는 손잡이부(100)를 파지하고 탐색돌기(410)가 시술부위에 접근되도록 헤드부(300)를 구강 내로 이동시 뒤, 탐색돌기(410)의 자기력을 이용해 임플란트 픽스쳐(500) 상에 구비된 스크류(510)를 탐색한다.
탐색돌기(410)의 자기력에 의해 임플란트 픽스쳐(500)의 스크류(510)가 감지되면 시술자는 해당 지점에서 누름부재(423)를 가압해 표시부재(421)의 선단을 잇몸에 접촉시켜 그 지점을 표시하고, 표시된 잇몸 주위를 조심스럽게 절개한 뒤 다음 시술을 진행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1')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1)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
여기서 전술한 탐색수단(400)은, 헤드부(300)의 하측에 마련되어 설치공간(310) 하부를 폐쇄하고 중심부에는 설치공간(310)과 연통되는 관통홀(411)이 형성되며 자기력을 갖는 탐색돌기(410)와, 연결부(200) 상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헤드부(300)의 직상부에 이격 위치되며 누름 여부에 따라 헤드부(300) 측으로 위치이동되되 누름 압력 제거시 탄성적으로 원위치 가능한 형상기억부재(440)와, 설치공간(310) 내에 위치되되 상단이 형상기억부재(440)의 타단에 고정되어 형상기억부재(440)의 가압여부에 따라 관통홀(411)을 통해 설치공간(310)의 하부 외측으로 출납 이동하는 표시부재(421)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표시부재(421)는 잇몸과의 접촉시 출혈이 유발되도록 그 선단이 날카롭게 형성되거나, 잇몸 상에 표시 가능하도록 잉크가 충전된다.
또한 치조골 내 매식된 임플란트 픽스쳐(500) 상부에는 상기 탐색돌기(410)의 자기력에 의해 고정 가능한 금속재질의 스크류(510)가 노출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1')는 누름부재(423) 및 탄성스프링부재(430)의 구성없이 가압여부에 따라 표시부재(421)를 이동시키는 형상기억부재(440)가 구비된다는 점만 다를 뿐 전체적인 발명의 구성 및 작동관계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1)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 픽스쳐의 스크류 위치를 탐색하는 용도로 사용되지만 그 외의 골 내측에 삽입된 철제 보형물의 위치를 탐색하는 용도로도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1' :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100 : 손잡이부
200 : 연결부
300 : 헤드부
310 : 설치공간
400 : 탐색수단
410 : 탐색돌기
411 : 관통홀
420 : 이동부재
421 : 표시부재
423 : 누름부재
430 : 탄성스프링부재
440 : 형상기억부재
500 : 임플란트 픽스쳐
510 : 스크류

Claims (6)

  1.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설치공간 내에 작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치조골 내 매식된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를 확인 및 표시하는 탐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탐색수단은,
    상기 헤드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설치공간 하부를 폐쇄하고 중심부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자기력을 갖는 탐색돌기;
    상기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되 하단에는 표시부재가 상기 관통홀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단에는 누름부재가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표시부재를 위치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 구비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설치공간 내에 위치되되 상기 탐색돌기 및 이동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상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2.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설치공간 내에 작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치조골 내 매식된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를 확인 및 표시하는 탐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탐색수단은,
    상기 헤드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설치공간 하부를 폐쇄하고 중심부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자기력을 갖는 탐색돌기;
    상기 연결부 상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헤드부의 직상부에 이격 위치되며 누름 여부에 따라 상기 헤드부 측으로 위치이동되되 누름 압력 제거시 탄성적으로 원위치 가능한 형상기억부재; 및
    상기 설치공간 내에 위치되되 상단이 상기 형상기억부재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형상기억부재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설치공간의 하부 외측으로 출납 이동하는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동일 중심축 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구강 내 진입이 용이하도록 그 일측이 상향 절곡 형성된 다음 재차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는 잇몸과의 접촉시 출혈이 유발되도록 그 선단이 날카롭게 형성되거나, 잇몸 상에 표시 가능하도록 잉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치조골 내 매식된 임플란트 픽스쳐 상부에는 상기 탐색돌기의 자기력에 의해 고정 가능한 금속재질의 스크류가 노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6. 삭제
KR1020120022276A 2012-03-05 2012-03-05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KR101309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276A KR101309095B1 (ko) 2012-03-05 2012-03-05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276A KR101309095B1 (ko) 2012-03-05 2012-03-05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266A KR20130101266A (ko) 2013-09-13
KR101309095B1 true KR101309095B1 (ko) 2013-09-17

Family

ID=4945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276A KR101309095B1 (ko) 2012-03-05 2012-03-05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702B1 (ko) 2014-07-10 2015-01-28 이호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90Y1 (ko) * 2014-09-19 2014-12-12 신정철 정비 공구 수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3223A (en) 1979-01-12 1980-05-20 Northwestern University Periodontal probe
JPH0612745Y2 (ja) * 1989-03-02 1994-04-06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歯肉ポケットプローブ
KR20090084076A (ko) * 2008-01-31 2009-08-05 최인혁 치과용임플란트 식립위치표시기
US20100203468A1 (en) 2009-02-06 2010-08-12 Jennifer Cha Dental hand piece provided with a direction indicating un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3223A (en) 1979-01-12 1980-05-20 Northwestern University Periodontal probe
JPH0612745Y2 (ja) * 1989-03-02 1994-04-06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歯肉ポケットプローブ
KR20090084076A (ko) * 2008-01-31 2009-08-05 최인혁 치과용임플란트 식립위치표시기
US20100203468A1 (en) 2009-02-06 2010-08-12 Jennifer Cha Dental hand piece provided with a direction indicating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702B1 (ko) 2014-07-10 2015-01-28 이호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266A (ko) 201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717B1 (ko) 상악동 거상용 드릴 툴
SE0104431D0 (sv) Anordning och arrangemang för att medelst mall ta upp hål till implantat i ben, företrädesvis käkben
US8535055B2 (en) Method and kit for producing dental implant drilling guides
KR20090096767A (ko)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지그
KR101473835B1 (ko)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보호 캡
KR101309095B1 (ko)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KR10098171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20180017457A (ko) 어버트먼트 지그
JP5792883B2 (ja) 上顎洞膜を直接調節して上顎洞膜を所望の方向に所望するだけ安全に挙上できるようにした安全上顎洞膜挙上器
KR20190041668A (ko) 치조골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가이드 키트
KR101516950B1 (ko) 어버트먼트 프로파일 드릴장치
KR20100011761A (ko)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
US11364092B2 (en) Fixing piece firing device for dental membrane
KR101307767B1 (ko) 핸드피스 커넥터
KR101037892B1 (ko) 임플란트 디텍터 커버스크류
KR101114735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잇몸제거장치
KR100995836B1 (ko) 임플란트 장치
SE0401808D0 (sv) Dental implanting system
KR20130127319A (ko) 임플란트 식립용 거리측정기
KR20100119593A (ko) 치조골 두께 측정자
KR20110057744A (ko) 치과용 설측벽 드릴링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매식홈형성방법
KR101254650B1 (ko) 상악동막 수동 거상기구
KR10153628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링 가이드 장치
US20090104582A1 (en) Male threaded implant drill
KR20120111484A (ko) 임플란트용 상악동 거상 시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