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593A - 치조골 두께 측정자 - Google Patents

치조골 두께 측정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593A
KR20100119593A KR1020090038593A KR20090038593A KR20100119593A KR 20100119593 A KR20100119593 A KR 20100119593A KR 1020090038593 A KR1020090038593 A KR 1020090038593A KR 20090038593 A KR20090038593 A KR 20090038593A KR 20100119593 A KR20100119593 A KR 20100119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lveolar bone
measuring unit
coupled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이 후판
Original Assignee
추이 후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이 후판 filed Critical 추이 후판
Priority to KR1020090038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9593A/ko
Publication of KR20100119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시술시 인공치근을 치조골에 식립하는 과정에서 치조골의 설측 또는 협측이 뚫리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치조골의 두께를 미리 측정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치조골 두께 측정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구성은, 드릴링을 통하여 형성된 치조골의 구멍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측정부와, 상기 제1측정부의 하단에 수직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측정부와, 상기 치조골과 밀착되도록 상기 제2측정부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임플란트를 시술하고자 할 때 교정자의 치조골에 드릴링을 한 후 치조골의 두께를 미리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시 교정자의 치조골에 인공치근이 식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공치근으로 인하여 교정자의 치조골 설측 또는 협측으로 구멍이 뚫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복잡한 장비의 구성 없이도 제1측정부에 결합된 제2측정부와 제3측정부를 통하여 치조골의 측정하고자 하는 뼈두게를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이룰 수 있다.
셋째, 임플란트 시술시 인공치근이 삽입되는 교정자의 치조골 뼈 두께를 미리 측정하여 상기 치조골에 식립하고자 하는 인공치근의 식립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교정자의 치조골 형상에 따라 편리하고 효율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이룰 수 있 다.
넷째, 교정자의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을 하고자 할 때 교정자의 치조골 형상 및 치조골의 뼈 두께를 원활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하고자 하는 임플란트의 치조골 위치에 교정자가 가장 효율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받을 수 있다.
인공치아, 임플란트, 치은, 치조골

Description

치조골 두께 측정자{Thickness of measuring apparatus of alveolar bone}
본 발명은 치조골 두께 측정자에 관한 것으로서, 복잡한 장비의 구성 없이도 임플란트를 시술하고자 하는 교정자의 치조골 뼈 두께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시 교정자의 치조골에 인공치근을 식립하는 과정에서 치조골의 설측 또는 협측으로 구멍이 뚫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임플란트 시술시 교정자의 인공치근이 삽입되는 교정자의 치조골 뼈 두께를 미리 측정함으로써 치조골에 식립하고자 하는 인공치근의 식립위치 및 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어 교정자의 치조골 뼈 두께 및 형상에 따라 효율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할 수 있는 치조골 두께 측정자에 관한 것이다.
사전적 의미로의 임플란트란 상실된 인체 조직을 회복시켜주는 대치물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최근에는 치과에서 시술하는 인공치아 이식을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치아가 손실 혹은 상실된 경우 치아가 빠진 부위에 인공 치근을 심고, 상기 인공치에 치아의 머리 부분에 해당하는 보철물을 장착하는 시술법을 말하는 것으로서 주위의 치아나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자연치와 가장 유사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술방법을 말하는 것이다.
상술한 임플란트의 역사는 1969년 경 스웨덴 의과대학 교수였던 Branemark 가 뼈와 티타늄 금속과의 골성 결합을 우연히 발견함으로써 치과 임플란트의 치료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여 이것이 현대적인 임플란의 효시과 되었으며, 현재 심어지고 있는 거의 모든 임플란트가 Branemark 임플란트를 약간씩 변형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예컨대,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수술은 크게 연조직수술과 골삭제 수술로 이루어진다. 연조직 수술은 일반 치주 수술의 원리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특히 연조직이 모자라는 경우에 이를 보충하기 위한 특별한 테크닉들이 많이 필요한 것이 특징이며, 골삭제술은 크게 피질골을 삭제하고 망상골을 삭제하는 과정인데 기본 원리는 구멍을 작게 내고 차례로 넓혀 식립하고자 하는 임플란트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약간 작은 크기까진 확대를 한다음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은,
1) 연조직 절개 및 박리 - 임플란트 수술에 있어서 연조직을 어떻게 다루느냐는 향후 치료 및 심미성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과정의 하나이다.
상기 절개는 거의 대부분이 치조정에 가해지며 부착치은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개측이나 설측으로 치우치기도 하나 하악에서는 설측에 있는 신경, 혈관이 굵은 것들이 지나가기 때문에 절개가 너무 설측으로 가지는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개가 너무 협측으로 치우쳐 부착 치은이 없는 점막 치은 경계부(mucogingival junction)를 지나면 여기에는 역시 혈관들이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술후에 동통과 부종이 심하게 되며 부종이 심하면 그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봉합 부위가 튿어지게 된다.
시야 확보와 모자라는 연조직의 확보를 위해 수직 절개가 필요할 수 있다. 많은 절개의 종류가 있지만 기본적인 것을 중심으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절개의 종류
① 치조정 절개(crestal incision)
② 설측 절개(lingualiy placed or palatally placed incision)
③ 협측 절개( bucally placed incision)
④ 열구 절개(sulcular incision)
⑤ 수직 절개(vertical incision)
⑥ 원거리 절개(remote incision)
⑦ 이완 절개(releasing incision)
박리는 골막 기자(페리오스티얼 엘리베이터,periosteal elevator)를 사용하 여 섬세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골막에는 골생성에 관여하는 세포들이 있기 때문에 깨끗한 연조직의 박리는 연조직뿐 아니라 골의 치유 및 재생에도 영향을 끼친다. 이공과 이신경등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들을 확인해가며 박리하며 연조직이 상하지 않도록 깨끗이 박리하여야 한다.
상기 박리 결과, 형성되는 피판(flap)은 태깅 슈쳐(tagging suture)에 의해 시술중의 손상을 방지하고, 견인(retraction)에 필요한 수고를 덜 수 있다. 설측 피판은 반대쪽 구치부에, 협측 피판은 협측 점막에 봉합하여 준다. 구개부 피판은 봉합을 한 후에 지혈감자(mosquito)로 실을 잡고 늘어뜨림으로써 태깅 슈쳐를 대신 할 수 있다.
2) 골삭제-골삭제는 먼저 임플란트를 심고자하는 부위의 치조정에 위치한 골을 임플란트의 머리 부분이 위치하기 좋게 편편하게 다듬는 일부터 시작된다. 다소 큰 라운드 버로 다듬는다. 때로 인접골과의 높이차이가 커서 임플란트를 심고 나서 골내낭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경우가 있다. 수술직후에는 문제가 없지만 나중에 보철물을 올리고 나서 임플란트 주위염이 생기게 되는 환경을 제공할 수가 있기 때문에 구멍부터 내고 보자는 급한 마음에 또는 뼈를 아껴야지 하는 마음에 이 과정을 소홀이 하면 나중에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하다면 치즐등을 사용해서 식립부위 주변을 다듬으며 긁어 모은 뼈들을 모았다가 필요할 때 쓰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은
① 식립부위의 준비-(비교적 큰 라운드 버로 식립할 주위의 골을 다듬는다.)
② 식립 부위 표시-(작은 라운드 버나 끝이 뾰족한 버로 임플란트를 식립할 부위를 표시 한다. 큰 라운드 버를 사용할 경우 처음에 표시가 잘 않되고 미끄러 지기 때문에 작은 라운드 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③ 피질골의 천공-(피질골은 두께가 대개 2-3mm 정도이다. 피질골의 천공은 직경2-3mm 정도의 라운드 버로한다. 이과정은 식립 부위 표시과정과 같이 이루어 질 수 있다.)
④ 2mm 드릴링 및 방향 확인(2mm 직경의 드릴로 일단 7mm 깊이까지 드릴링을 한다. 그 후 평행핀을 삽입하고 방사선 촬영을 하여 방향 및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과의 거리등을 확인한다. 그리고, 평행핀을 삽입하여 방사선 사진 촬영을 한 결과 인접치와의 방향이 잘 맞고 하악관까지의 거리가 충분함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피질골이 천공 되고 나면 방향을 잘 확인 하면서 직경 2mm 드릴로 약 7mm 정도 깊이로 처음 드릴링을 한다. 이 때 술자는 협설 방향을 보조자는 근원심 방향을 확인 하며 드릴링을 할 수 있다. 7mm까지 드릴링을 하면 평행핀(parallelling pin)을 삽입하여 엑스레이 사진을 촬영하여 드릴링 방향이 잘 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⑤ 전체 깊이 드릴링 및 파일럿 드릴링-(파일럿 드릴의 아래는 2mm로서 이미 형성된 드릴홀에 쉽게 들어가며 방향도 맞게 해준다.)
파일럿 드릴링후 위 1/2은 3mm 직경의 홀이 아래 1/2은 2mm 직경의 홀이 그대로 유지된다. 엑스레이 사진에서 방향이 맞는 것이 확인이 되면 식립 하고자 하 는 전체 깊이까지 2mm 드릴링을 마저 하고 이후 3mm 직경으로 넘어가기 전에 드릴링을 부드럽게 되게하기 위해 아래는 2mm이고 위에는 3mm이인 파일럿 드릴을 통해 윗부분을 넓힌다.
⑥ 3mm 드릴링-(파일럿 드릴링이 끝나면 직경 3mm 의 드릴링이 쉬워진다.)
⑦ 카운터 싱크 드릴링-(이 과정은 임플란트 종류에 따라 또는 식립 방법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초기에 나온 브레네막 계열의 임플란트 개념에서 나온 과정이나 지금은 브레네막 계열의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많은 술자들고 이과정을 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매우 조심스럽게 하고 있다.)
이 과정은 쉽게 말하면 임플란트의 모양이 위가 조금 넓을 경우 그 넓은 부분이 피질골 높이와 비교하여 톡 튀어 나오지 않고 쏙 잠기도록 하기 위해 위 입구만 조금 넓히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초기에 임플란트의 개념은 이 카운터 싱크를 통하여 임플란트가 피질골에 안착하여 안정성을 높인다는 생각이었는데 지금에 와서는 이 카운터 싱크때 피질골이 손상을 입어 오히려 나중에 골 흡수에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피하고 있다.
⑧ 마지막 드릴링-(마지막 드릴링은 임플란트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까지 확대 된다. 표준형(보통 직경이 4mm 내외)임플란트를 식립 할 경우 3.5mm 정도의 직경까지 드릴링하며 더 넓은 직경의 임플란트를 식립 할 경우 는 물론 한 단계 더 넓은 직경의 드릴링이 필요하다.)
⑨ 프리 탭핑(pretapping)-(임플란트가 쉽게 삽입되도록 미리 나사산과 골을 파는 과정이다. 골질이 매우 단단할 경우에 바로 임플란트를 식립하면 식립이 어려 우므로 임플란트와 같은 모양의 삭제 기구로 미리 자리를 내는 것이다. 골질이 단단하지 않을 경우는 바로 임플란트를 식립하는데 이때 임플란트의 나사산은 식립되면서 골을 약간 파고 들어가며 식립된다. 이것을 셀프 탭핑(self tapping)이라 한다.)
⑩ 임플란트 식립-(보통 손으로 렌치(wrench, 임플란트를 돌려서 식립하는 기구)을 써서 하거나 핸드피스에 연결하여 저속으로 회전 시키면서 식립한다.)
⑪ 커버스크루 연결-(임플란트 식립이 끝나면 커버 스크루(cover screw)를 연결하여 임플란트의 가운데 나 있는 구멍으로 연조직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3)봉합 - 봉합은 골이식등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어렵지 않게 이루어진다. 가장 많이 쓰이는 봉합 방법은 단속 봉합(interupted suture)이며 매트리스 봉합을 하기도 한다. 골이식등의 술식을 동반한 식립에는 매우 꼼꼼한 봉합이 되어야 합병증 없이 잘 치유 될 수 있다. 이봉합 과정은 술자 뿐 아니라 보조자의 역할이 중요해서 봉합의 원리에 대해 잘 알고 적극적으로 도와 주는 것이 필요하다. 긴 봉합을 해야 하는 경우 보조자의 역할에 따라 시간을 꽤 절약할 수 있다.
4)후처치 - 봉합을 하므로 출혈이 문제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가볍게 거즈를 물려 주거나 아니면 그냥 놔두어도 된다. 발치후 주의 사항과 같은 주의 사항을 전달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임플란트의 시술을 통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받는 교정자의 상실된 치아를 대신할 수 있는 인공치근을 형성하고, 상기 인공치근에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대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은 상기 골삭제 단계에서 교정자의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한 드릴링 및 임플란트 식립시, 교정자의 치조골 형상 및 치조골의 뼈 두께에 따라 교정자의 설측 또는 협측으로 구멍이 뚫릴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이 임플란트를 시술받는 교정자의 치조골에 구멍이 뚫리거나 손상되는 경우에는 원활한 임플란트의 시술이 어려워 시술하는 시술자는 물론이고 임플란트 시술을 받고자 하는 교정자 또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기 어려워 불필요한 치료비용이 발생되거나 효율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잡한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임플란트를 시술하고자 하는 교정자의 치조골 뼈 두께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경우 교정자의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과정에서 교정자의 치조골 설측 또는 협측으로 구멍이 뚫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치조골 두께 측정자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플란트를 시술하고자 하는 교정자의 치조골 뼈 두께를 미리 측정함으로써 교정자의 치조골에 식립하고자 하는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및 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이룰 수 있는 치조골 두께 측정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드릴링을 통하여 형성된 치조골의 구멍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측정부와, 상기 제1측정부의 하단에 수직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측정부와, 상기 치조골과 밀착되도록 상기 제2측정부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구멍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삽입돌기의 일측으로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파지공과, 상기 제2측정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측정부는 상기 삽입공에 상,하 유동되게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단으로 상기 제3측정부가 삽입되며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3측정부는 상기 관통공에 수평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측정부의 관통공에 관통 결합되는 측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정부와 제3측정부 간의 결합시, 상기 관통공에 상기 삽입부가 결합된 후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돌기의 방향으로 밀착되는 경우 상기 측정돌기가 상기 삽입돌기의 하향 수직선상 끝단에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열 형성되는 다수개의 눈금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 및 관통공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 및 삽입부의 결합상태가 노출되게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외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눈금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 및 삽입부에는 상기 통공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눈금을 가리키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결합부 및 삽입부의 유동이 원활하게 형성되는 표시돌기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제2측정부와 제3측정부 간의 결합시, 상기 관통공에 결합된 삽입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마개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임플란트를 시술하고자 할 때 교정자의 치조골에 드릴링을 한 후 치조골의 두께를 미리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시 교정자의 치조골에 인공치근이 식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공치근으로 인하여 교정자의 치조골 설측 또는 협측으로 구멍이 뚫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복잡한 장비의 구성없이도 제1측정부에 결합된 제2측정부와 제3측정부를 통하여 치조골의 측정하고자 하는 뼈두게를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이룰 수 있다.
셋째, 임플란트 시술시 교정자의 치조골 뼈 두께를 미리 측정하여 상기 치조골에 식립하고자 하는 인공치근의 식립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교정자의 치조골 형상에 따라 편리하고 효율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이룰 수 있다.
넷째, 교정자의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을 하고자 할 때 교정자의 치조골 형상 및 치조골의 뼈 두께를 원활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하고자 하는 임플란트의 치조골 위치에 교정자가 가장 효율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이하의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원 발명인은 종래에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경우 임플란트의 식립을 위한 드릴링 및 식립 과정에서 임플란트 시술을 받는 교정자의 설측 및 협측으로 구멍이 뚫리는 현상을 방지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치조골 두께 측정자를 제안하게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5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드릴링을 통하여 형성된 치조골(10)의 구멍(10a)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1측정부(100)를 형성하고, 상기 제1측정부(100)의 하단으로는 수직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제2측정부(20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제2측정부(200)에는 상기 치조골(10)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측정부(200)의 일측으로 수평 방향을 이루며 유동 가능하게 제3측정부(300)를 연결 구성한다.
상기 제1측정부(100)는 상기 치조골(10)의 구멍(10a)에 삽입 가능하게 장형의 돌기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삽입돌기(110)와, 상기 삽입돌기(110)의 일측으 로 사용자가 원활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공(120)이 형성하며, 상기 제2측정부(2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공(130)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삽입돌기(110)는 임플란트를 시술받는 교정자의 치조골(1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임프란트의 시술시, 교정자의 치조골(10)에 구멍(10a)을 뚫는 드릴링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2~3mm의 직경을 형성하는 바늘 형상의 돌기 형태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파지공(120)은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시술자가 상기 삽입돌기(110)를 교정자의 치조골(10)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집게, 핀셋과 같은 시술기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인 치조골 두께 측정자를 원활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공(130)은 상기 제2측정부(200)가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돌기(11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게 형성하는 것이며, 이는 즉, 상기 제1측정부(100)의 하단에 제2측정부(200)가 결합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유동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측정부(100)에 상기 제2측정부(200)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삽입공(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측정부(200)가 상,하 유동되는 것이다.
상기 제1측정부(100)에 결합되는 제2측정부(200)는 상기 삽입공(130)에 상,하 유동되게 결합되는 결합부(210)와, 상기 결합부(210)의 하단으로 상기 제3측정부(300)가 삽입되며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3측정부(300)는 상기 제2측정부(200)의 관통공(220)에 수평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삽입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10)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측정부(200)의 관통공(220)에 관통 결합되게 측정돌기(32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2측정부(200)와 상기 제3측정부(300)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관통공(220)에 상기 삽입부(310)가 결합된 후 상기 삽입부(310)가 상기 삽입돌기(110)의 방향으로 밀착되는 경우 상기 측정돌기(320)가 상기 삽입돌기(110)의 하향 수직선상 끝단에 밀착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삽입돌기(110)의 하향 수직선상에 상기 측정돌기(320)가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교정자의 치조골(10) 두께를 측정하는 경우 상기 측정돌기(320)가 상기 치조골(1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며 밀착되게 구성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삽입돌기(110)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다수개의 눈금(110a)이 배열 형성되어 교정자의 치조골(1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치조골(10)에 삽입된 삽입돌기(110)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공(130) 및 관통공(220)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210) 및 삽입부(310)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210) 및 삽입부(310)의 결합상태가 외부에서 시술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통공(131,22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통공(131,221)의 외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눈금(131a,231a)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10) 및 삽입부(310)가 상기 삽입공(130) 및 관통공(2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된 거리를 시술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부(210) 및 삽입부(310)에는 상기 통공(131,221)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눈금(131a,221a)을 가리키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결합부(210) 및 삽입부(310)의 내측에서 더욱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표시돌기(211,311)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는 즉, 상기 삽입공(130) 및 관통공(220)에 결합된 결합부(210) 및 삽입부(310)를 사용자가 원활하게 파지하여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임플란트를 시술받는 교정자의 치조골(10)에 상술한 제1측정부(100)의 삽입돌기(110)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측정부(200)의 결합부(210) 및 상기 제3측정부(300)의 삽입부(310)를 원활하게 유동하며 그 유동된 거리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공(130) 및 관통공(220)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210) 및 삽입부(310)가 유동된 후에는 상기 삽입공(130) 및 관통공(220)에 형성된 눈금(131a,221a)을 상기 결합부(210) 및 삽입부(310)에 형성된 표시돌기(211,311)가 가리키게 함으로써 상기 제2측정부(200) 및 상기 측정돌기(320)의 유동된 거리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며 교정자의 치조골(10)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통공(220)에는 상기 제2측정부(200)에 제3측정부(300)가 결합되어 상기 관통공(220)에 결합된 삽입부(310)가 유동되는 경우 상기 삽입부(310)가 상기 관통공(220)에서 이탈되어 빠지지 않도록 고정마개(400)가 더 결합되어 구성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임플란트를 시술하고자 하는 교정자의 치조골(10)에 드릴링을 통하여 구멍(10a)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멍(10a)에 도 4에서와 같이, 시술자가 상기 제1측정부(100)의 파지공(120)을 파지한 상태로 상기 제1측정부(100)의 삽입돌기(110)를 삽입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삽입돌기(110)가 교정자의 치조골(10) 구멍(10a)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상기 삽입돌기(1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눈금(110a)을 통하여 상기 구멍(10a)에 삽입된 삽입돌기(110)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위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2측정부(200)의 결합부(210)에 유동되게 결합된 상기 제3측정부(300)를 교정자의 치조골(10) 방향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측정부(100)의 삽입돌기(110)가 교정자의 치조골(10)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3측정부(300)의 측정돌기(320)가 상기 치조골(10)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유동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측정부(100)의 삽입돌기(110)가 상기 교정자의 치조골(10)에 삽입된 길이를 시술자의 육안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치조골(10)의 깊이에 따라 상기 치조골(10)의 일측에 밀착된 상기 제3측정부(300)의 측정돌기(320)가 유동된 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측정부(200)와 상기 제3측정부(300)가 결합되는 경우에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측정부(200)에 결합된 상기 제3측정부(300)의 삽입부(310)가 상기 제1측정부(100)의 삽입돌기(110)의 방향으로 완전히 밀착되는 경우 상기 측정돌기(320)가 상기 삽입돌기(110)의 하향 수직선상 끝단(b)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3측정부(300)의 측정돌기(320)가 상기 제2측정부(200)의 결합부(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측정부(100)의 삽입돌기(110) 방향으로 밀착되는 경우 상기 삽입돌기(110)와의 거리가 0을 이루도록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3측정부(300)가 상기 제2측정부(200)의 결합부(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되어 상기 측정돌기(320)가 상기 제1측정부(100)의 삽입돌기(110)와 거리를 형성하게 되는 경우에만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돌기(110)와 상기 측정돌기(320)의 거리(a)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이 상기 삽입돌기(110)와 상기 측정돌기(320)의 거리 차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측정부(200)의 통공(221)에 형성된 눈금(221a)에 상기 삽입부(310)에 형성된 표시돌기(311)가 상기 눈금(221a)을 가리키도록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삽입돌기(110)와 상기 측정돌기(320) 간의 거리가 더욱 명확하게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돌기(110)와 상기 측정돌기(320) 간의 거리(a)는 상기 결합부(210)에 상기 삽입부(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210)의 일측과 상기 삽입부(310)의 표시돌기(311)가 유동된 거리(a')와 동일하 게 형성됨으로써 측정하고자 하는 교정자의 치조골(10)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측정부(100)의 삽입돌기(110)를 교정자의 치조골(10) 구멍(10a)에 삽입한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2측정부(200)의 결합부(210)에 결합된 삽입부(310)를 유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3측정부(300)의 측정돌기(320)가 교정자의 치조골(10)과 밀착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삽입부(310)의 표시돌기(311)가 상기 제2측정부(200)의 통공(221)에 형성된 눈금(221a)을 가리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측정부(100)의 삽입돌기(110)가 상기 교정자의 치조골(10)구멍(10a)에 삽입된 길이를 상기 제1측정부(100)의 삽입공(130)에 결합된 제2측정부(200)의 결합부(210)를 유동시켜 원활하게 조절함으로써 시술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교정자의 치조골(10) 두께를 더욱 원활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교정자의 치조골(10)에 드릴링을 통하여 구멍(10a)을 형성한 후에 상기 제1측정부(100)의 삽입돌기(110)를 삽입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측정부(100)의 삽입공(130)에 결합된 상기 제2측정부(200)를 상,하 유동시켜 측정하고자 하는 교정자의 치조골(10) 두께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제2측정부(200)의 결합부(210)에 결합된 상기 제3측정부(300)를 유동시켜 교정자의 치조골(10)에 상기 제3측정부(300)의 측정돌기(320)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교정자의 치조골(10) 두께 측정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교정자의 측정하고자 하는 치조골 두께 측정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어 교정자의 치조골 설측 또는 협측으로 임플란트의 식립시 구멍이 뚫리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임플란트의 효과적인 식립 각도 및 위치를 결정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두께 측정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두께 측정자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2측정부 및 제3측정부가 유동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치조골 두께 측정자의 제1측정부를 통하여 교정자의 치조골 구멍에 삽입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인 치조골 두께 측정자의 제3측정부를 통하여 교정자의 치조골 일측으로 측정돌기가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3측정부의 측정돌기가 교정자의 치조골 일측에 밀착되어 교정자의 치조골 두께가 측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치조골 10a: 구멍
20: 치은 100: 제1측정부
110: 삽입돌기 110a,131a,221a: 눈금
120: 파지공 130: 삽입공
131,221: 통공 200: 제2측정부
210: 결합부 211,311: 표시돌기
220: 관통공 300: 제3측정부
310: 삽입부 320: 측정돌기
400: 고정마개

Claims (6)

  1. 드릴링을 통하여 형성된 치조골(10)의 구멍(10a)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측정부(100)와,
    상기 제1측정부(100)의 하단에 수직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측정부(200)와,
    상기 치조골(10)과 밀착되도록 상기 제2측정부(200)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측정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두께 측정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부(100)는
    상기 구멍(10a)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돌기(110)와,
    상기 삽입돌기(110)의 일측으로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파지공(120)과,
    상기 제2측정부(2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공(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두께 측정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측정부(200)는
    상기 삽입공(130)에 상,하 유동되게 결합되는 결합부(210)와,
    상기 결합부(210)의 하단으로 상기 제3측정부(300)가 삽입되며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3측정부(300)는
    상기 관통공(220)에 수평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부(310)와,
    상기 삽입부(31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측정부(200)의 관통공(220)에 관통 결합되는 측정돌기(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정부(200)와 제3측정부(300) 간의 결합시, 상기 관통공(220)에 상기 삽입부(310)가 결합된 후 상기 삽입부(310)가 상기 삽입돌기(110)의 방향으로 밀착되는 경우 상기 측정돌기(320)가 상기 삽입돌기(110)의 하향 수직선상 끝단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두께 측정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110)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열 형성되는 다수개의 눈금(110a)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130) 및 관통공(220)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210) 및 삽입부(310)의 결합상태가 노출되게 통공(131,221)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31,221)의 외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눈금(131a,221a)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두께 측정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10) 및 삽입부(310)에는
    상기 통공(131,221)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눈금(131a,221a)을 가리키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결합부(210) 및 삽입부(310)의 유동이 원활하게 형성되는 표시돌기(211,311)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두께 측정자.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220)에는
    상기 제2측정부(200)와 제3측정부(300) 간의 결합시, 상기 관통공(220)에 결합된 삽입부(3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마개(40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두께 측정자.
KR1020090038593A 2009-05-01 2009-05-01 치조골 두께 측정자 KR20100119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593A KR20100119593A (ko) 2009-05-01 2009-05-01 치조골 두께 측정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593A KR20100119593A (ko) 2009-05-01 2009-05-01 치조골 두께 측정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593A true KR20100119593A (ko) 2010-11-10

Family

ID=43405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593A KR20100119593A (ko) 2009-05-01 2009-05-01 치조골 두께 측정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95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158A3 (ko) * 2011-04-26 2013-01-17 Wang Je-Won 치조골형태 및 방향표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측정방법
KR101244180B1 (ko) * 2011-04-26 2013-03-25 왕제원 치조골형태 및 방향표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측정방법
KR20190041668A (ko) 2017-10-13 2019-04-23 (주) 코웰메디 치조골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가이드 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158A3 (ko) * 2011-04-26 2013-01-17 Wang Je-Won 치조골형태 및 방향표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측정방법
KR101244180B1 (ko) * 2011-04-26 2013-03-25 왕제원 치조골형태 및 방향표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측정방법
CN103764067A (zh) * 2011-04-26 2014-04-30 王济源 牙槽骨形态、方向表示装置及其测定方法
KR20190041668A (ko) 2017-10-13 2019-04-23 (주) 코웰메디 치조골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가이드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lar Guidelines for flapless surgery
Hahn Clinical uses of osteotomes
Tatum Jr Maxillary and sinus implant reconstructions
Babbush Titanium plasma spray screw implant system for reconstruction of the edentulous mandible
US8535055B2 (en) Method and kit for producing dental implant drilling guides
US20160081765A1 (en) A precision surical guidance tool system and delivery method for implementing dental implants
Bedrossian et al. Veneer grafting: a technique for augmentation of the resorbed alveolus prior to implant placement. A clinical report.
KR20090096767A (ko)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지그
US20090291414A1 (en) Method for forming a dental implant
KR20130016540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EP2844184B1 (en) Oval platform dental implant system and it&#39;s components
KR20100119593A (ko) 치조골 두께 측정자
KR20190041668A (ko) 치조골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가이드 키트
Bajaj et al. Implants in orthodontics-A brief review
EP2944286A2 (en) Osteotome for dental medicine with variable angulation of the active tip
US20110295294A1 (en) Ultrasonic tip for minimally invasive crown lengthening
US20210236247A1 (en) Medical implant and medical implant system for malar process of the maxilla
KR100879777B1 (ko) 플랩리스술식 혹은 미니플랩술식을 위한 임플란트
RU2799138C1 (ru) Двухэтапный имплантат из диоксида циркония
Price et al. Dental implant placement including the use of short implants
AU2021246750B2 (en) Endosteal horizontally placed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Gulia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zygomatic implants
RU2778599C1 (ru) Способ одноэтапной имплантации и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RU19688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Melchner et al. The importance of implant-supported overdentures in a bimaxillary complete edentulous patient–case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