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341B1 -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341B1
KR102303341B1 KR1020200117809A KR20200117809A KR102303341B1 KR 102303341 B1 KR102303341 B1 KR 102303341B1 KR 1020200117809 A KR1020200117809 A KR 1020200117809A KR 20200117809 A KR20200117809 A KR 20200117809A KR 102303341 B1 KR102303341 B1 KR 102303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ing abutment
denture
magnet
dentures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일
Original Assignee
최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일 filed Critical 최정일
Priority to KR1020200117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1Magnetic dental implant reten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틀니의 내부에 자석을 삽입하고, 힐링어버트먼트에 자성체를 포함시킴으로써, 틀니가 자력에 의해 상기 힐리어버트먼트에 부착되어 틀니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는, 임플란트용 픽스처(10)에 임시로 체결되며, 상부에 틀니(20)가 설치되는 힐링 어버트먼트 조립체에 있어서,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힐링어버트먼트(100); 틀니(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틀니(20)를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에 부착시키는 결합체(2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Healing abutment assembly for denture}
본 발명은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임플란트 시술시 잇몸에 삽입된 힐링어버트먼트 위에 틀니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시술법은 본래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술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근 즉 치아뿌리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들어진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 시술법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덴쳐(denture, 틀니)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법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일예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드릴링(drilling) 및 탭핑(tapping) 과정을 거쳐 픽스처(10)(fixture) 치수에 부합하는 홈을 형성하고, 픽스처 상부에 마운트(mount)를 체결한다. 그리고 나서 수술용 핸드 피스를 이용하여 픽스처와 마운트를 치조골에 매식한 다음 마운트를 픽스처에서 제거함으로써, 치조골에 픽스처를 매식하게 된다. 그리고 픽스처의 상부에 덮개 나사(cover screw)를 체결하여 픽스처를 봉합함으로써 1차 수술이 완료된다.
덮개 나사는 픽스처의 골융합을 기다리는 동안 구강 내에 존재하는 세균 및 이물질이 픽스처의 내부로 침입하는것을 차단한다. 골융합 기간은 환자의 골질과 매식 위치에 따라 다소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3개월 내지 6개월이 소요된다.
이어서, 2차 수술을 통해 잇몸을 열어 덮개 나사를 노출시킨 후 픽스처(10)의 골융합 정도를 확인하고 덮개 나사를 제거한다. 그리고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해 힐링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를 픽스처의 상부에 체결하고, 2주 내지 3주 동안 기다린다. 근래에는 이러한 2차 시술법의 복잡성을 개선하기 위해, 덮개 나사를 체결 및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힐링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1차 시술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힐링 어버트먼트는 치아를 대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장기간 임플란트 치료를 해야하는 경우 틀니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틀니는 힐링 어버트먼트가 설치된 부분에 치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틀니는 결합력이 약하여 음식물이 잘 안씹히거나 발음이 잘 안되는 등의 많은 불편함이 따르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283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틀니(20)의 내부에 자석(220)을 삽입하고, 힐링어버트먼트(100)에 자성체를 포함시킴으로써, 틀니(20)가 자력에 의해 상기 힐리어버트먼트에 부착되어 틀니(2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는, 임플란트용 픽스처(10)에 임시로 체결되며, 상부에 틀니(20)가 설치되는 힐링 어버트먼트 조립체에 있어서,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힐링어버트먼트(100); 틀니(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틀니(20)를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에 부착시키는 결합체(200); 를 포함한다.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는, 치조골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치은의 형상 성장을 유도하는 치형부(110); 상기 치형부(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픽스처(10)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체결되는 수나사부(120); 를 포함한다.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는 트림라이트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체(200)는, 일단에 삽입홈(211)이 개방 형성되고, 외주연을 따라 걸림돌기(212)가 돌출형성된 하우징(210); 상기 삽입홈(211)에 삽입 고정되는 자석(220); 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에는 상기 삽입홈(211)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되 내경이 상기 자석(220)의 외경과 같거나 작은 조임부(213)가 구비된다.
상기 자석(220)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자석(220)의 자력을 증가시키는 철편부재(300); 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틀니(20)가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므로 종래의 틀니(20)보다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음식물의 섭취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의 하우징(210)과 자석(220)의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의 하우징과 자석의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는, 힐링어버트먼트(100) 및 결합체(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는 환자의 잇몸에 삽입되어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fixture,10)와 상호 체결된다.
이러한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는 상기 픽스처(10)의 구멍을 막아주는 뚜껑과 같은 역활을 한다.
구체적으로 임플란트 수술시 1차 수술을 통해 픽스처(10)를 치조골에 식립하고, 2차 수술을 통해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을 식립하게 되는데, 2차 수술 전 잇몸이 단단하게 유착되도록 하기 위해 일정 시일 기다리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가 상기 픽스처(10)의 구멍을 막아주어 임플란트 내부로 세균과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는 치형부(110)와 수나사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치형부(110)는 상단 직경이 하단보다 큰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치조골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치은의 형상 성장을 유도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수나사부(120)는 상기 치형부(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픽스처(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체결된다.
한편,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는 자석(220)에 잘 붙는 재질, 즉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는 트림라이트(trimrite)로 이루어진다.
트림라이트는 스텐리스420 유형의 스틸이며, 의료용 합금으로 녹이 잘 슬지 않는 금속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는 스텐리스63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트림라이트는 내식성이 우수하여 의료용기구 등으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트림라이트는 철 성분으로 이루어져 자석(220)에 잘 붙는다.
이와 같이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에는 후술할 상기 결합체(200)에 의해 틀니(20)가 부착 고정된다.
상기 결합체(200)는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의 상부에 장착되는 틀니(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210)과 자석(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10)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원형의 삽입홈(211)이 개방 형성되며, 상단 테두리에는 둘레를 따라 지지돌기(212)가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212)는 틀니(20)의 내부에 고정되어 하우징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자석(220)은 원통형 형상의 영구자석(2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홈(211)에 삽입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자석(220)은 자력에 의해 틀니(20)가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시술 중 최종 보철물이 들어가기 까지 몇 개월이 시간이 소요되며, 그 동안 힐링어버트먼트(100) 만으로는 음식물의 섭취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힐링어버트먼트(100) 위에 틀니(20)를 장착하는 경우가 있으나, 틀니(20)의 경우도 고정력이 약하여 불편함이 완전히 해소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틀니(20)가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므로 종래의 틀니(20)보다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음식물의 섭취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220)의 일면에는 자력 증강을 위한 철편부재(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철편부재(300)는 납작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211)에 삽입되어 상기 자석(220)과 상기 하우징(210) 사이에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철편부재(300)는 자기를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 방향으로 유도하여 상기 자석(220)과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 사이 인력 작용을 강화하게 되며 이로인해 부착력이 더 강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0)에는 상기 삽입홈(211)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조임부(2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조임부(213) 사이의 최대 직경은 후술할 상기 자석(220)의 외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임부(213)는 약간의 탄성을 갖고 있어 상기 자석(220)가 내부에 끼워질 때 벌어지면서 상기 자석(220)의 외측면을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해 고정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힐링어버트먼트
110 : 치형부
120 : 수나사부
200 : 결합체
210 : 하우징
211 : 삽입홈
212 : 걸림돌기
213 : 조임부
220 : 자석
300 : 철편부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임플란트용 픽스처(10)에 임시로 체결되며, 상부에 틀니(20)가 설치되는 힐링 어버트먼트 조립체에 있어서,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힐링어버트먼트(100);
    틀니(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틀니(20)를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에 부착시키는 결합체(200)를 포함하되,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는,
    치조골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치은의 형상 성장을 유도하는 치형부(110);
    상기 치형부(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픽스처(10)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체결되는 수나사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힐링어버트먼트(100)는 트림라이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체(200)는,
    일단에 삽입홈(211)이 개방 형성되고, 외주연을 따라 걸림돌기(212)가 돌출형성된 하우징(210);
    상기 삽입홈(211)에 삽입 고정되는 자석(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에는 상기 삽입홈(211)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되 내경이 상기 자석(220)의 외경과 같거나 작은 조임부(2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220)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자석(220)의 자력을 증가시키는 철편부재(3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0200117809A 2020-09-14 2020-09-14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303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809A KR102303341B1 (ko) 2020-09-14 2020-09-14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809A KR102303341B1 (ko) 2020-09-14 2020-09-14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341B1 true KR102303341B1 (ko) 2021-09-17

Family

ID=7792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809A KR102303341B1 (ko) 2020-09-14 2020-09-14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34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6505A (ja) * 1998-03-27 1999-10-12 Aichi Steel Works Ltd 義歯アタッチメント
JP2007054618A (ja) * 2005-07-26 2007-03-08 Neomax Co Ltd 磁性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れを用いた保定装置及び矯正装置
KR101172838B1 (ko) 2010-08-20 2012-08-09 동 욱 신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KR101311250B1 (ko) * 2012-04-06 2013-09-27 김만용 틀니용 어태치먼트
KR20130006826U (ko) * 2012-05-18 2013-11-27 대경 이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KR101701122B1 (ko) * 2015-08-03 2017-02-02 신원덴탈(주)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그넷 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6505A (ja) * 1998-03-27 1999-10-12 Aichi Steel Works Ltd 義歯アタッチメント
JP2007054618A (ja) * 2005-07-26 2007-03-08 Neomax Co Ltd 磁性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れを用いた保定装置及び矯正装置
KR101172838B1 (ko) 2010-08-20 2012-08-09 동 욱 신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KR101311250B1 (ko) * 2012-04-06 2013-09-27 김만용 틀니용 어태치먼트
KR20130006826U (ko) * 2012-05-18 2013-11-27 대경 이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KR101701122B1 (ko) * 2015-08-03 2017-02-02 신원덴탈(주)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그넷 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4806B1 (en) Snap-in healing cap
US7291013B2 (en) Organic shaped interface for dental implant devices
US6644969B2 (en) Snap-in healing cap and insertion tool
EP0423798B2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and healing cap
US5759034A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for posterior and anterior teeth
US5145372A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reinforced healing cap and abutment
US6431866B2 (en) Heal in-place abutment system
KR100677870B1 (ko) 치유 지대주 및 그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0909912B1 (ko) 입의 미관부에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
JP4747240B2 (ja) 骨に使用するための固定要素
JP5017285B2 (ja) セラミック/金属製の歯科用アバットメント
KR101633258B1 (ko)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1633259B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196640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1140620B1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US8657602B2 (en) Waved implant integrating soft tissue area and osseous tissue area
JP2012523873A (ja) 磁石の仮設ネジを含む歯科用インプラント・アセンブリ
KR101406043B1 (ko) 맞춤 시술이 가능한 분리형 힐링 어버트먼트
KR102303341B1 (ko)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KR20170139414A (ko) 의료용 임플란트
JP2008149121A (ja) 人工歯根
US10682208B2 (en) Abutment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9067013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EMENT-FREE FIXATION OF DENTAL CROWNS ON IMPLANTS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