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122B1 -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그넷 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그넷 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122B1
KR101701122B1 KR1020150109358A KR20150109358A KR101701122B1 KR 101701122 B1 KR101701122 B1 KR 101701122B1 KR 1020150109358 A KR1020150109358 A KR 1020150109358A KR 20150109358 A KR20150109358 A KR 20150109358A KR 101701122 B1 KR101701122 B1 KR 101701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keeper
mold
patient
mal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칠
Original Assignee
신원덴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원덴탈(주) filed Critical 신원덴탈(주)
Priority to KR1020150109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35Magnetic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덴쳐용 마그넷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오버덴쳐용 마그넷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의 구성은 오버덴쳐 시술 환자의 잇몸에 식립된 임플란트(4)에 결합된 키퍼(12P)에 부착되는 마그넷(16); 상기 마그넷(16)을 감싸며 하단부에는 상기 마그넷(16)의 한쪽면이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구비된 하우징(17);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7)에는 단턱부(1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그넷 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Magnet attachment impression cap for overdeuture magnet keeper transfer}
본 발명은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그넷 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버덴쳐 치료를 받는 환자의 잇몸 상태 등의 조건에 정확하게 부합하도록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를 제조할 수 있으며, 치과 의사와 오번덴쳐를 제작하는 기공사의 분업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오버덴쳐용 마그넷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시술법은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술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근 즉 치아뿌리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들어진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 시술법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덴쳐(denture, 틀니)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법은, 치아가 빠진 개수만큼 식립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많은 치아가 소실된 경우에는 이를 임플란트로 모두 대체하자면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남아 있는 잇몸 뼈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 시술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시술법(이하, '임플란트 오버덴쳐 시술법'이라 칭함)이 각광을 받고 있다.
임플란트 오버덴쳐 시술법이란, 일반적으로 하악에는 2개 이상의 임플란트를, 상악에는 4개 이상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에 바(bar)와 자석(magnet) 등 다양한 유지장치를 이용하여 오버덴쳐(overdenture)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시술법으로, 잇몸 외에는 음식물을 씹는 힘을 지지하는 구조가 없어 유지력 및 지지력이 떨어지는 통상적인 덴쳐(denture, 틀니) 시술법의 단점을 보완하면서도 임플란트 시술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에 고비용의 임플란트 시술법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편, 기존에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기구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와 오버덴쳐 사이의 결합 유지력을 확보할 수도 있다.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에 적용되는 종래의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기구는 환자의 잇몸에 삽입되는 어버트먼트 및 오버덴쳐(overdenture) 내에서 고정되고 자력에 의해 어버트먼트와 결합 유지되는 마그넷을 포함한다. 이때, 어버트먼트는 환자의 잇몸에 삽입되어 그 하단부를 구성하는 나사산부에 의해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fixture)와 상호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넷이 접착용 레진 등에 의해 오버덴쳐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기구는 오버덴쳐에 고정된 마그넷의 하면이 어버트먼트의 상면에 자력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오버덴쳐에 대한 결합 유지력이 확보할 수 있다. 참고로, 어버트먼트는 '키퍼(keeper)'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편, 오버덴쳐를 시술받는 환자마다 잇몸이나 치열 등의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환자마다 인상(임프레션)을 떠서 그러한 인상에 맞추어서 오버덴쳐를 제작해야 한다. 특히, 임플란트 지지 마그네틱 오버덴쳐 시술을 받는 환자의 경우에는 상악, 하악 별 임플란트 위치와 마그넷 키퍼의 높이에 맞춰 오버덴쳐에 마그넷을 고정시켜야 하므로 잇몸 안에 먼저 마그넷 키퍼(상기 어버트먼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편의상 키퍼라 칭하기로 함)를 심어서 키퍼의 일부가 잇몸 밖으로 노출되도록 시술한 다음, 의사가 환자의 잇몸과 키퍼의 위치의 인상채득을 위한 임프레션 캡을 키퍼에 씌워서 실리콘 등의 인상재로 음각의 인상(Impression)을 형성한 다음, 상기 인상재가 경화된 상태의 인상을 환자의 잇몸에서 떼어내서 거기에 맞추어 석고재료로 석고모형을 양각으로 제작하여 모형에 맞춰 마그네틱 오버덴쳐를 제작하게 된다.
그런데, 의사가 오버덴쳐만을 기공소에서 먼저 제작하고 임플란트 시술을 하고 힐링기간을 거친 뒤 키퍼를 시술한 후 직접 키퍼의 위치에 맞춰 오버덴쳐에 마그넷을 고정하는 경우도 있으나 오버덴쳐에 마그넷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는 기술이 없는 의사의 경우에는 외부의 기공사에게 의뢰하여 마그네틱 오버덴쳐를 제작해야 하는 실정이다.
또한, 오버덴쳐에 마그넷을 의사가 직접 고정할 경우에도 의사와 기공사가 분업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에 비하여 진료 시간적으로 능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의사가 인상을 뜨고 모형을 제작하고 기공사는 의사가 보내주는 모형에 맞추어 오버덴쳐를 제작하여 납품하는 분업화가 되지 않을 경우 오버덴쳐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등의 품질 저하 문제도 생길 수가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73225호(2014.06.11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807150호(2008.02.19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283772호(2013.07.02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4-0018674호(2014.02.13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버덴쳐 치료를 받는 환자의 잇몸 상태 등의 조건에 정확하게 부합하도록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를 제조할 수 있으며, 치과 의사와 오버덴쳐를 제작하는 기공사의 분업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오버덴쳐의 품질 향상과 제작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그넷 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오버덴쳐 시술 환자에 식립된 임플란트에 결합된 키퍼에 부착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을 감싸며 하단부에는 상기 마그넷의 한쪽면이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구비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마그넷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이 제공된다.
상기 마그넷의 한쪽면에는 랩 아날로그에 결합된 키퍼가 부착되며, 상기 랩 아날로그에 결합된 키퍼가 상기 마그넷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단턱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외경이 더 작은 인서트 슬리브부를 구비하여, 상기 인서트 슬리브부와 상기 하우징의 연결 부위에 상기 단턱부가 구비되며, 상기 인서트 슬리브부에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마그넷의 한쪽면이 걸려서 지지되도록 하는 내부 단턱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키퍼의 상단부에 임프레션캡이 부착된 임프레션캡 어셈블리(10ASY)에서 상기 임프레션캡을 분리하여 오버덴쳐 시술 환자의 잇몸에 심어져 있는 임플란트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잇몸에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경화되기 이전의 암몰드 페이스트를 부착시켜서 상기 암몰드 페이스트 내부에 환자의 잇몸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성형 홈부를 확보하는 단계(잇몸의 인상을 뜨는 단계); 상기 암몰드 페이스트를 일정 시간 동안 경화시켜서 암몰드를 형성하여 상기 암몰드에 형성된 상기 성형 홈부의 내부에 상기 임프레션캡을 매입시키는 단계; 상기 암몰드에 매입된 상기 임프레션캡의 마그넷에 랩 아날로그에 결합된 키퍼를 부착하여 상기 암몰드의 상기 성형 홈부에 상기 키퍼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암몰드의 상기 성형 홈부에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경화되기 이전의 숫몰드 페이스트를 충전시키는 단계; 상기 숫몰드 페이스트를 경화시켜서 숫몰드를 형성하여 상기 숫몰드에 상기 키퍼가 구비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숫몰드에 구비된 상기 키퍼에 상기 환자의 잇몸에 식립된 상기 임플란트에 부착되기 위한 덴쳐용 마그넷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키퍼에 상기 덴쳐용 마그넷이 부착되어 있는 상기 숫몰드에 의해 환자에게 제공될 오버덴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 제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암몰드의 상면에 상기 환자의 잇몸 형상과 대응하는 성형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성형 홈부에는 상기 환자 잇몸의 임플란트에 붙어 있는 상기 임프레션캡이 매입 고정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임프레션캡의 마그넷에서부터 상기 성형 홈부의 표면까지에는 상기 임플란트가 상기 환자의 잇몸에서 돌출된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의 마그넷 키퍼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숫몰드의 외관 형상은 상기 암몰드의 상기 성형 홈부에 의해 오버덴쳐 시술 환자의 잇몸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숫몰드의 내부에 상기 랩 아날로그가 매입되어 상기 랩 아날로그 외주면의 걸림턱이 상기 숫몰드 내부에 걸려지고, 상기 랩 아날로그와 그에 결합된 키퍼의 나머지 일부가 상기 오버덴쳐 시술 환자의 잇몸에서 돌출된 상기 임플란트의 돌출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숫몰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사가 임프레션캡을 이용하여 오버덴쳐용 몰드(본)를 뜨고 이에 맞추어 오버덴쳐를 제작하기보다는 의사측에서는 오버덴쳐 제작용 몰드를 만들고, 오버덴쳐는 기공사측에서 의사가 제공하는 오번덴쳐용 몰드에 맞추어 제작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의사와 기공사의 분업화가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기존에 비하여 비용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능률이 많이 올라가는 장점이 있고, 상기와 같이 의사가 오버덴쳐 제작용 몰드를 뜨는 작업을 하고 기공사는 의사가 보내주는 오버덴쳐용 몰드에 맞추어서 오버덴쳐를 제작하여 납품하는 분업화가 가능함으로써, 오버덴쳐의 정밀도가 향상되는 등의 품질 향상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나 상기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버덴쳐용 마그넷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임프레션캡과 랩 아날로그에 키퍼가 결합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임프레션캡과 랩 아날로그에 결합된 키퍼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오버덴쳐 제작 방법에서 형성된 암몰드의 내표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암몰드에 키퍼를 역으로 세워서 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임프레션캡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암몰드를 이용하여 성형된 숫몰드의 외표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프레션캡과 키퍼와 암몰드 및 숫몰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9와 도 10의 숫몰드에 구비된 랩 아날로그의 키퍼에 덴쳐용 마그넷을 부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오버덴쳐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오버덴쳐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오버덴쳐를 환자의 잇몸에 착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의 챠트도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덴쳐용 마그넷과 키퍼에 마운팅링(Mounting ring)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오버덴쳐용 마그넷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은 오버덴쳐(6)를 시술받는 환자의 잇몸(2) 상태에 맞는 암몰드(20)와 숫몰드(30)을 임프레션캡(10)을 활용하여 형성하고, 숫몰드(30)에 의해 실제 환자의 잇몸(2)에 장착될 오버덴쳐(6)를 제작하는 것에 주요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은 자석붙이 임프레션캡(10)을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도 6에서 미설명부호 21은 암몰드(20)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보조 커버이다.
상기 임프레션캡(10)은 임프레션 어셈블리(10ASY)를 형성한다. 즉, 임프레션캡 어셈블리(10ASY)는 랩 아날로그(12)(Lab analogue)와, 이 랩 아날로그(12)의 상단부에 부착(랩 아날로그(12)의 상단부에 결합된 키퍼(12P)에 부착)되는 임프레션캡(10)을 포함한다.
상기 랩 아날로그(12)는 상기 환자 잇몸(2)에 식립되어 있는 임플란트의 상부와 내부의 형상이 동일한 것으로 외형은 일자형 바아 형상으로 더미 임플란트이다. 본 발명에서 랩 아날로그(12)는 후술하는 숫몰드(30)에 하단부측 일부가 매입된다. 상기 랩 아날로그(12)는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외주면에 걸림턱(13)을 구비하며, 랩 아날로그(12)와 키퍼(12P)가 결합된 것을 키퍼 결합체(12ASY)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랩 아날로그(12)는 볼트홀과 볼트축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키퍼(12P)를 구비하며, 상기 키퍼(12P)에는 랜치홈이 구비된다. 랩 아날로그(12)가 후술하는 숫몰드(30)에 매입되고, 랩 아날로그(12)에 결합된 키퍼(12P)가 상기 환자의 잇몸(2)위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와 동일한 높이로 숫몰드에 결합되므로 키퍼 결합체(12ASY)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랩 아날로그(12)의 상단부에서 내부로는 상기 환자의 잇몸(2)에 식립된 임플란트와 동일하게 일정 깊이의 볼트홀이 형성되고, 키퍼(12P)는 하단부에 볼트축이 구비되어, 키퍼(12P)의 볼트축을 랩 아날로그(12) 내부의 볼트홀에 결합함으로써 키퍼(12P)를 랩 아날로그(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술 환자의 잇몸(2) 상태에 따라 키퍼(12P)를 종류별로 채택하여 쓸 수 있다. 다시 말해, 랩 아날로그(12)에 높이가 다른 키퍼(12P)를 결합하면 오버덴쳐(6)를 시술받는 환자의 잇몸(2)에서 임플란트(4)가 돌출된 높이와 같은 환자의 조건에 맞추어 키퍼(12P)를 채택하여 랩 아날로그(12)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환자의 잇몸(2)에 삽입된 임플란트(4)에 키퍼(12P)를 체결시 잇몸의 두께와 임플란트(4) 식립 깊이에 맞춰서 키퍼(12P)를 선정하여 임플란트(4)에 체결한 후 키퍼(12P)에 자석붙이 임프레션 캡(10)을 붙여서 암몰드(20)를 제작하고 암몰드(20) 내에 식립된 임프레션 캡(10)에 랩 아날로그(12)의 키퍼(12P)를 매입하여 자력에 의해 고정 후 숫몰드(30)를 제작하게 된다. 숫몰드(30)에 상기 랩 아날로그(12)가 매입된다. 한편, 상기 키퍼(12P)에는 랜치홈이 구비되어, 랜치홈에 랜치를 삽입하여 키퍼(12P)를 회전시킴으로써 랩 아날로그(12)에 키퍼(12P)를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임프레션캡(10)은 마그넷(16)이 하우징(17)에 의해 감싸진 구조를 취한다. 즉, 임프레션캡(10)은 마그넷(16)과, 이러한 마그넷(16)을 감싸며 하단부에는 마그넷(16)의 한쪽면이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구비된 하우징(17)을 포함한다.
상기 마그넷(16)은 랩 아날로그(12)에서 분리(랩 아날로그(12)의 키퍼(12P)에서 분리)되어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에 심어져 있는 임플란트(4)에 결합된 키퍼(12P)에 부착된다. 상기 마그넷(16)의 한쪽면에는 랩 아날로그(12)가 부착되며, 상기 랩 아날로그(12)에서 마그넷(16)이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랩 아날로그(12)는 후술하는 숫몰드(30)에 일부가 매입되는 부품이다.
한편, 오버덴쳐(6) 시술 환자는 치아가 다 빠져서 남아 있지 않고 치근(잇몸(2) 안에 잔존하는 치근골)의 일부만 남아 있는 사람으로서, 이러한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을 관통하여 치근에 임플란트(4)가 심어진다. 상기 키퍼(12P)는 치과 의사가 오버덴쳐 시술 환자의 치근에 심어진 임플란트(4)에 체결하게 된다. 이때, 임플란트(4)는 하단부에 나사부가 구비되어, 나사부에 의해 환자의 잇몸 속에 있는 치근골에 심어질 수 있다. 치근골에 심어진 임플란트(4)는 자성체가 아니므로 자석에 붙을 수 있는 자성체인 키퍼(12P)를 임플란트(12)에 체결하여 시술 환자의 잇몸(2) 밖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된 키퍼(12P)에 상기 자석붙이 임프레션캡(10)의 마그넷(16)이 부착된다. 즉, 마그넷(16)은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어셈블리(10ASY)의 키퍼(12P)에도 부착되고 오버덴쳐(6) 시술 환자 잇몸(2)의 임플란트(4)에 결합된 키퍼(12P)에도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랩 아날로그(12)에 결합된 키퍼(12P)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마그넷(16)은 하우징(17)에 내장된다. 하우징(17)은 외주면에 단턱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7)은 외경이 더 작은 인서트 슬리브부(18IS)를 구비한다. 하우징(17)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인서트 슬리브부(18IS)가 연장되어 있으면서 인서트 슬리브부(18IS)의 외경이 하우징(17)의 외경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인서트 슬리브부(18IS)와 하우징(17)의 연결 부위에 단턱부(1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인서트 슬리브부(18IS)에 개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인서트 슬리브부(18IS)의 개방부에 의해 숫몰드(30)에 일부가 매입된 랩 아날로그(12)에 결합된 키퍼(12P)가 임프레션캡(10)의 내부로 들어와서 마그넷(16)의 한쪽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키퍼 결합체(12ASY)의 상부측이 임프레션캡(10)의 내부로 들어와서 키퍼(12P)의 상단부가 마그넷(16)의 한쪽면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후술할 암몰드(20)의 성형 홈부(22)에 형성된 수용 결합홈(24)에 임프레션캡(10)이 내장될 때에 하우징(17)의 단턱부(18)가 암몰드(20)의 내부에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보통 치과 의사가 경화되기 이전의 암몰드 페이스트(밀가루 반죽처럼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재료)를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에 붙인 다음, 일정 시간 경과되어 암몰드 페이스트를 경화시키면 암몰드(20)가 성형되고, 암몰드(20)의 내부에는 성형 홈부(22)(성형 홈부(22)의 환자의 잇몸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 형상임)가 형성되며, 상기 성형 홈부(22)에는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치근골에 심어져서 잇몸(2)으로 돌출된 실제 임플란트(4)에 결합된 키퍼(12P)에 의해 수용 결합홈(24)이 형성되는데, 상기 암몰드(20)의 성형 홈부(22)에 형성된 수용 결합홈(24)에 임프레션캡(10)이 내장되어 하우징(17)의 외주면에 구비된 단턱부(18)가 암몰드(20)의 내부에 걸려지는 걸림턱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마그넷(16)은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하우징(17)에 의해 감싸지는데, 하우징(17)에 형성된 단턱부(18)가 암몰드(20)의 내부에 걸려지는 지지턱 기능을 하게게 되므로, 임프레션캡(10)이 암몰드(20)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임프레션캡(10)과 임프레션캡 어셈블리(10ASY)를 이용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이 제공된다. 설명의 편의상 오버덴쳐 제작 방법을 먼저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오버덴쳐 제작 방법은 랩 아날로그(12)의 상단부에 임프레션캡(10)이 부착된 구조의 임프레션캡 어셈블리(10ASY)에서 임프레션캡(10)을 분리하여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에 심어져 있는 임플란트(4)에 결합된 키퍼(12P)부착하는 단계(Step 1)와, 환자의 잇몸(2)에 형상 변형이 가능한 경화되기 이전의 암몰드 페이스트를 부착시키는 단계(Step 2)와, 암몰드 페이스트를 일정 시간 동안 경화시켜서 암몰드(20)를 형성함으로써 암몰드(20)의 내부에 임프레션캡(10)을 매입시키는 단계(Step 3)와, 상기 암몰드(20)에 매입된 임프레션캡(10)의 마그넷(16)에 랩 아날로그(12)와 키퍼(12P)가 결합된 랩 아날로그 결합체(12ASY)를 부착하는 단계(Step 4)와, 상기 암몰드(20)의 성형 홈부(22)에 형상 변형이 가능한 경화되기 이전의 숫몰드 페이스트를 충전시키는 단계(Step 5)와, 숫몰드 페이스트를 경화시켜서 숫몰드(30)을 형성함으로써 숫몰드(30)에 랩 아날로그(12)의 하단부측 일부가 매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랩 아날로그(12)의 다른 일부와 키퍼(12P)가 숫몰드(3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단계(Step 6)와, 상기 숫몰드(30)의 외부로 돌출된 랩 아날로그(12)의 키퍼(12P)에 실제 환자가 사용할 오버덴쳐(6)에 매입되기 위한 덴쳐용 마그넷(16RM)(다시 말해, 오버덴쳐(6)에 내장되는 실제 자석)을 부착하는 단계(Step 7)와, 상기 숫몰드(30)에 의해 환자에게 제공될 오버덴쳐(6)를 형성하여 덴쳐용 마그넷(16RM)이 오버덴쳐(6)에 매입되도록 하는 단계(Step 8)를 포함한다.
상기 Step 1에서는 임프레션캡 어셈블리(10ASY)의 구성인 랩 아날로그(12)와 키퍼 결합체(12ASY)에 임프레션캡(10)이 붙어 있는 상태에서 임프레션캡(10)을 키퍼(12P)로부터 분리하여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에 심어져 있으면서 돌출된 임플란트(4)와 결합된 키퍼(12P)에 부착한다. 암몰드 페이스트를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에 붙여서 암몰드(20)를 성형하기 이전에 미리 상기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에 심어진 실제 임플란트(4)와 결합된 키퍼(12P)에 임프레션캡(10)을 붙여놓는 것이다.
상기 Step 2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형상 변형이 가능한 경화되기 이전의 암몰드 페이스트를 환자의 잇몸(2)에 부착시킨다. 후술할 숫몰드(30)의 외표면 형상을 환자의 잇몸(2) 형상과 딱 맞는 형상으로 만들기 위한 암몰드(20)를 성형하기 위해 상기 암몰드 페이스트를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에 부착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암몰드 페이스트의 내부에 환자의 잇몸 형상과 딱 맞는 성형 홈부(22)가 확보된다. 다시 말해, 환자의 잇몸(2)에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경화되기 이전의 암몰드 페이스트를 부착시키면, 암몰드 페이스트 내부에 환자의 잇몸(2)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성형 홈부(22)가 확보될 수 있다. 이러한 Step 2는 오버덴쳐(2)를 시술받는 환자의 잇몸(2)의 인상(Impression)을 뜨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상기 Step 3에서는 암몰드 페이스트가 환자의 잇몸(2)에 부착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경과시켜서 암몰드(20)를 형성한다. 암몰드 페이스트가 굳어지면 암몰드(20)로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암몰드(20)의 내부에는 오버덴쳐(6)를 시술받을 환자의 잇몸(2) 형상에 딱 맞는 성형 홈부(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암몰드(20)의 상면에 환자의 잇몸(2) 형상과 대응하는 성형 홈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성형 홈부(22)에는 임플란트(4)와 결합된 키퍼(12P)에 붙어 있던 임프레션캡(10)이 매입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임프레션캡(10)의 마그넷(16)에서부터 암몰드(20)의 성형 홈부(22)의 표면까지에는 환자의 잇몸(2)에 심어져서 일부가 돌출된 실제 임플란트(4)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암몰드측 수용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암몰드 페이스트를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에 붙이면 암몰드 페이스트가 경화되지 이전의 말랑말랑한 상태이므로 상기 암몰드 페이스트의 내부에 환자의 잇몸(2) 형상과 딱 맞는 성형 홈부(22)가 형성됨과 동시에 환자의 잇몸(2)에서 돌출된 실제 임플란트(4)와 이에 부착된 임프레션캡(10)이 암몰드 페이스트의 성형 홈부(22) 표면에서 안쪽으로 파고들어서 암몰드 페이스트의 성형 홈부(22)에 더 깊은 오목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오목홈 부분에는 실제 임플란트(4)에 부착되어 있던 임프레션캡(10)이 내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암몰드 페이스트를 경화시켜서 암몰드(20)를 형성하며, 상기 암몰드(20)에 내장된 임프레션캡(10)의 마그넷(16)에서부터 암몰드(20)의 성형 홈부(22)의 표면까지의 깊이가 환자의 잇몸(2)에 심어진 실제 임플란트(4)와 결합된 키퍼(12P)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암몰드측 수용 결합홈이 된다. 즉, 암몰드측 수용 결합홈에 환자의 잇몸(2)에서 돌출된 실제 임플란트(4)와 결합된 키퍼(12P)가 딱 맞게 들어간다. 후술할 오버덴쳐(6)의 저면에는 환자의 잇몸(2)에 맞게 끼워질 오목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 장착홈에 환자의 잇몸(2)에 심어진 임플란트(4)와 결합된 키퍼(12P)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오버덴쳐측 수용 결합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오버덴쳐(6)에 형성된 오버덴쳐측 수용 결합홈은 암몰드(20)에 형성되는 암몰드측 수용 결합홈과 동일한 홈 구조를 취한다.
정리하면, 형상 변형이 가능한 경화되기 이전의 암몰드 페이스트가 상기 환자의 잇몸(2)에 부착된 다음 일정 시간이 지나서 경화될 때에 암몰드(20)가 형성되며, 상기 암몰드(20)의 상면에 성형 홈부(22)가 형성됨과 동시에 성형 홈부(22)에 임프레션캡(10)이 심어져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암몰드(20)의 수용 결합홈(24)의 시작단에서 임프레션캡(10)의 마그넷(16)까지의 깊이가 암몰드측 수용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암몰드측 수용 결합홈의 상태는 환자의 잇몸(2)에서 돌출된 실제 임플란트(4)에 결합된 키퍼(12P)가 임프레션캡(10)의 마그넷(16)에 균일한 면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랩 아날로그(12)에 결합된 키퍼(12P)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임프레션캡(10)은 하우징(17)에 마그넷(16)이 내장된 구성이고, 상기 하우징(17)은 외주면에 단턱부(18)가 형성되어, 상기 암몰드(20)의 성형 홈부(22)의 외표면 아래에 임프레션캡(10)이 내장된 상태에서 하우징(17)의 단턱부(18)가 암몰드(20)의 내부에 걸려진다. 따라서, 상기 암몰드(20)에서 임프레션캡(10)이 임의로 빠지는 경우가 방지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7)의 내주면에는 마그넷(16)의 한쪽면이 걸려서 지지되도록 하는 내부 단턱부(17I)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내부 단턱부(17I)는 마그넷(16)이 암몰드(20)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에 있어서 보다 확실하다. 내부 단턱부(17I)로 인하여 임프레션캡(10)의 신뢰성이 보다 높아지는 것이라 하겠다.
상기 Step 4에서는 암몰드(20)에 형성된 성형 홈부(22)에 임프레션캡 어셈블리(10ASY)를 구성하는 랩 아날로그(12)와 키퍼(12P)의 결합체(12ASY)를 거꾸로 세워서 삽입한다. 오버덴쳐 시술 환자의 잇몸의 두께와 임플란트(4) 식립 깊이에 맞춰서 키퍼(12P)를 선정하여 임플란트(4)에 체결한 후 키퍼(12P)에 자석붙이 임프레션 캡(10)을 붙여서 암몰드(20)를 제작한 다음 상기 키퍼(12P)와 랩 아날로그(12)의 결합체(12ASY)를 거꾸로 세워서 암몰드(20)의 수용 결합홈에 삽입한다. 즉, 상기 암몰드(20)의 수용 결합홈(24)의 시작단에서 마그넷(16)까지 일정 깊이의 암몰드측 수용 결합홈이 확보되며, 상기 암몰드측 수용 결합홈에는 키퍼(12P)와 랩 아날로그(12)의 결합체(12ASY)가 거꾸로 삽입된다. 키퍼(12P)의 상단부가 암몰드(20)에 내장된 임프레션캡(10)의 마그넷(16)의 한쪽면에 부착되어 암몰드(20)의 성형 홈부(22)에 거꾸로 세워져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Step 5에서는 암몰드(20) 내부에 헝성된 성형 홈부(22)에 형상을 변형없이 양각으로 숫몰드를 제작할 수 있는 석고를 충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숫몰드 석고의 외표면에서부터 안쪽으로 랩 아날로그(12)의 일부가 매입된다. 랩 아날로그(12)의 상단부측 일부와 키퍼(12P)는 암몰드(20)의 성형 홈부(22)에 형성된 암몰드측 수용 결합홈에 삽입되고 랩 아날로그(12)의 나머지 부분은 암몰드(20)의 내부 성형 홈부(22)에 배치된 상태에서 암몰드측 수용 결합홈의 외부로 돌출되는데, 이러한 랩 아날로그(12)의 나머지 돌출된 부분이 숫몰드 석고에 내장된다. 즉, 랩 아날로그(12)가 숫몰드 석고에 심어지는 것이다.
상기 Step 6에서는 암몰드(20)의 성형 홈부(22)에 충전되어 있는 숫몰드 석고를 일정 시간 경과시켜 경화시킴으로써 숫몰드(30)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숫몰드(30)에 랩 아날로그(12)의 하단부측 일부가 매입되고 동시에 랩 아날로그(12)의 일부와 키퍼(12P)가 숫몰드(30)의 외부로 돌출된다. 숫몰드(30)의 내부에 랩 아날로그(12)의 하단부측 일부가 매입되고, 숫몰드(30)의 외표면으로 랩 아날로그(12)의 상단부측 일부와 키퍼(12P)가 노출된다. 이때, 상기 숫몰드(30)의 외관 형상은 암몰드(20)의 성형 홈부(22)에 의해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암몰드 페이스트를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에 붙여서 암몰드(20)를 뜰 때에 암몰드(20)의 내부에 환자의 잇몸(2) 형상과 딱 맞는 형상의 성형 홈부(22)가 형성되므로, 상기 암몰드(20)의 성형 홈부(22)에 숫몰드 석고를 충전시킨 다음 경화시켜 숫몰드(30)을 형성하면 숫몰드(30)의 외관 형상이 암몰드(20)의 성형 홈부(22) 형상 그대로 성형되므로, 상기 숫몰드(30)의 외표면 형상이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 형상과 딱 맞는 형상이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숫몰드(30)에 심어진 랩 아날로그(12)는 오버덴쳐(6)를 시술받을 환자의 잇몸(2)에서 돌출된 실제 임플란트(4)와 이에 결합된 키퍼(12P)의 상태와 딱 맞는 상태로 돌출되어 있다. 즉, 상기 랩 아날로그(12)의 나머지 일부(숫몰드(30)에 매입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가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에서 돌출된 임플란트(4)와 이에 결합된 키퍼(12P)동일한 상태(즉, 동일한 높이와 기울기)로 숫몰드(3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숫몰드(30)의 내부에 랩 아날로그(12)의 하단부측 일부가 매입된 상태에서는 랩 아날로그(12) 외주면의 걸림턱(13)이 숫몰드(30) 내부에 걸려지게 되므로, 숫몰드(30)에서 랩 아날로그(12)가 임의로 빠지는 일은 없게 된다.
상기 숫몰드(30)의 외관 형상은 암몰드(20)의 성형 홈부(22)에 의해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숫몰드(30)의 내부에 랩 아날로그(12)가 매입되어 랩 아날로그(12) 외주면의 걸림턱(13)이 상기 숫몰드(30) 내부에 걸려지고, 상기 랩 아날로그(12)의 나머지 일부와 키퍼(12P)가 상기 숫몰드(20)의 외부로 돌출된 높이는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에서 상기 임플란트(4)와 키퍼(12P)가 환자의 잇몸(2) 외부로 돌출된 높이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환자 잇몸(2)의 임플란트(4)에 결합되는 키퍼(12P)는 랩 아날로그(12)의 상단부에 결합된 키퍼(12P)와 동일한 높이와 외경으로 구성된다.
상기 Step 7에서는 숫몰드(30)의 외부로 돌출된 랩 아날로그(12)에 결합된 키퍼(12P)에 덴쳐용 마그넷(16RM)을 부착한다. 덴쳐용 마그넷(16RM)은 환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오버덴쳐(6)에 매입되는 실제 자석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덴쳐용 마그넷(16RM)을 숫몰드(30) 위로 돌출된 랩 아날로그(12)에 결합된 키퍼(12P)의 상단부에 부착하는 것이다. Step 7은 숫몰드(30)의 외표면으로 돌출된 랩 아날로그(12)에 결합된 키퍼(12P)의 상단부에 덴쳐용 마그넷(16RM)을 부착시켜서 오버덴쳐(6)의 오목 장착홈 내부에 덴쳐용 마그넷(16RM)이 매입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덴쳐용 마그넷(16RM)이 숫몰드(30)에 구비된 랩 아날로그(12)에 결합된 키퍼(12P)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 덴쳐용 마그넷(16RM)과 랩 아날로그(12) 상단부의 키퍼(12P)에 동시에 끼워지는 마운팅링(11)을 더 구비한다. 즉, 숫몰드(30)에 의해 오버덴쳐(6)를 형성하기 이전에 마운팅링(11)을 덴쳐용 마그넷(16RM)과 랩 아날로그(12)의 키퍼(12P)에 동시에 끼워지도록 결합하면, 마운팅링(11)이 덴쳐용 마그넷(16RM)을 랩 아날로그(12)의 키퍼(12P)에 잡고 있으므로, 상기 숫몰드(30)에 의해 오버덴쳐(6)를 성형하여 오버덴쳐(6) 내부에 덴쳐용 마그넷(16RM)을 매입시키는 과정에서 덴쳐용 마그넷(16RM)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마운팅링(11)은 이러한 역할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상기 Step 8에서는 숫몰드(30)에 의해 환자에게 제공될 오버덴쳐(6)를 형성한다. 오버덴쳐(6)는 환자의 잇몸(2)에 부착될 장착 바디부와, 이 장착 바디부에 구비된 치아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치아부가 미리 식재되어 있는 장착 바디부 성형 재료(장착 바디부 성형 재료도 경화되기 이전의 말랑말랑한 페이스트형 재료임)를 숫몰드(30)의 외표면에 부착시킨 다음 일정시간 동안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오버덴쳐(6)를 형성한다. 이처럼 숫몰드(30)에 맞추에 오버덴쳐(6)를 제작(성형)하면 오버덴쳐(6)의 내부에 환자의 잇몸(2)과 딱 맞는 오목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 장착홈에는 환자의 잇몸(2)으로 돌출된 실제 임플란트(4)와 키퍼(12P)에 딱 맞는 수용 결합홈이 형성된다. 숫몰드(30)의 외표면을 돌출된 랩 아날로그(12)와 키퍼(12P)의 상태는 오버덴쳐(6) 시술 환장의 잇몸(2)에서 돌출된 실제 임플란트(4)와 키퍼(12P)의 상태와 동일하므로, 상기 오버덴쳐(6)의 내부 오목 장착홈의 형상은 환자의 잇몸(2) 형상과 동일하며 상기 수용 결합홈의 상태는 환자의 잇몸(2)에서 돌출된 실제 임플란트(4)와 키퍼(12P)가 딱 맞게 삽입될 수 있는 홈의 상태(즉, 실제 임플란트(4)와 키퍼(12P)가 잇몸(2)에서 돌출된 높이와 각도에 맞는 홈의 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말해, 상기 실제 임플란트(4)와 키퍼(12P)의 상태라 함은 키퍼가 환자의 잇몸(2)에서 돌출된 길이와 각도, 위치를 통칭하는 것이며, 랩 아날로그(12)와 키퍼(12P)의 상태 역시 실제 임플란트(4)와 키퍼(12P)가 대응하도록 숫몰드(30)에서 돌출된 길이와 각도, 위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실제 임플란트(4)와 키퍼(12P)의 상태와 랩 아날로그(12)와 키퍼(12P)의 상태가 동일하다 함은 상기 실제 임플란트(4)와 키퍼(12P)가 환자의 잇몸(2)에서 돌출된 길이와 각도와 위치가 랩 아날로그(12)와 키퍼(12P)가 숫몰드(30)에서 돌출된 길이와 각도와 위치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한편, 오버덴쳐(6)의 내부에는 덴쳐용 마그넷(16RM)이 매입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Step 8의 오버덴쳐(6) 제작은 기공사측에서 실시한다. 따라서, 상기 오버덴쳐(6)를 환자의 잇몸(2)에 맞추어 착용하면, 상기 오버덴쳐(6) 내부의 수용 결합홈에 환자의 잇몸(2)에서 돌출된 실제 임플란트(4)에 결합된 키퍼(12P)가 딱 맞게 수용되고 동시에 오버덴쳐(6)에 내장된 덴쳐용 마그넷(16RM)이 상기 실제 임플란트(4)에 결합된 키퍼(12P)에 자력으로 부착되므로, 오버덴쳐(6)를 환자가 안정적으로 잇몸(2)에 착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은 의사가 오버덴쳐(6)용 몰드(본), 다시 말해, 암몰드(20)와 숫몰드(30)을 뜨고 이에 맞추어 오버덴쳐(6)를 제작하기보다는 의사측에서는 오버덴쳐(6) 제작용 암몰드(20)와 숫몰드(30)을 만들고, 오버덴쳐(6)는 기공사측에서 상기 숫몰드(30)에 맞추어 제작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의사와 기공사의 분업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의사와 기공사가 분업하여 작업을 할 수 있어서 비용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능률이 많이 올라가는 장점이 있고, 의사가 오버덴쳐(6) 제작용 몰드, 구체적으로 암몰드(20)와 숫몰드(30)을 뜨는 작업을 하고 기공사는 의사가 보내주는 숫몰드(30)에 맞추어 오버덴쳐(6)를 제작하여 납품하는 분업화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오버덴쳐(6)의 정밀도가 향상되는 등의 품질 향상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임프레션캡 어셈블리(10ASY)에서 주요부인 임프레션캡(10)의 경우, 마그넷(16)이 하우징(17)에 의해 보호되고, 암몰드(20)에 임프레션캡(10)이 내장된 상태에서 하우징(17) 외주면의 단턱부(18)가 암몰드(20)의 내부에 걸려지는 부분을 형성하므로, 암몰드(20)에서 임프레션캡(10)이 임의로 쉽게 빠지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암몰드(20)에서 임프레션캡(10)이 빠져서 유실되는 등의 경우를 방지하는 것과 같이 신뢰도가 더 높아지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버덴쳐(6)에 덴쳐용 마그넷(16)이 내장된 상태에서도 마운팅링(11)에 의해 오버덴쳐(6)와 키퍼(12P)와의 측면방향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음식물 저작시 발생하는 측면 방향에서의 저작압력에 의한 키퍼로부터 전달되는 임플란트에 받는 측면 방향에서의 저작압력으로 인한 임플란트의 흔들림에 의한 영향을 줄여 오버덴쳐(6)의 제품 신뢰성 등을 높이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랩 아날로그(12)는 외주면에 걸림턱(13)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걸림턱(13)은 랩 아날로그(12)가 숫몰드(30)에 내장된 상태에서 숫몰드(30)와의 사이에 걸림 부분을 형성하므로, 숫몰드(30)에서 랩 아날로그(12)가 쉽게 빠지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숫몰드(30)에서 랩 아날로그(12)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역시 제품 신뢰성 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잇몸 4. 마그넷키퍼
6. 오버덴쳐 10. 임프레션캡
12. 키퍼 13. 걸림턱
16. 마그넷 17. 하우징
18. 단턱부 20. 암몰드
22. 성형 홈부 30. 숫몰드

Claims (10)

  1. 마그넷(16);
    상기 마그넷(16)을 감싸며 하단부에는 상기 마그넷(16)의 한쪽면이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구비된 하우징(17);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7)에는 단턱부(18)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7)은 외경이 더 작은 인서트 슬리브부(18IS)를 구비하여, 상기 인서트 슬리브부(18IS)와 상기 하우징(17)의 연결 부위에 상기 단턱부(18)가 구비되며, 상기 인서트 슬리브부(18IS)에 상기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7)은 외경이 더 작은 인서트 슬리브부(18IS)를 구비하여, 상기 인서트 슬리브부(18IS)와 상기 하우징(17)의 연결 부위에 단턱부(18)가 구비되며, 상기 인서트 슬리브부(18IS)에 의해 형성된 상기 단턱부(18)가 암몰드(20)의 내부에 걸려지고 상기 하우징(17)은 상기 개방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암몰드(20)에 매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마그넷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16)의 한쪽면에는 랩 아날로그(12)의 키퍼(12P)가 부착되며, 상기 랩 아날로그(12)의 상기 키퍼(12P)에서 상기 마그넷(16)이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마그넷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10).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7)의 내주면에는 상기 마그넷(16)의 한쪽면이 걸려서 지지되도록 하는 내부 단턱부(17I)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마그넷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10).
  6. 마그넷(16)을 하우징(17)이 감싸고 상기 하우징(17)의 하단부에는 상기 마그넷(16)의 한쪽면이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구비된 자석붙이 임프레션캡(10)이 랩 아날로그(12)의 상단부에 부착된 임프레션캡 어셈블리(10ASY)에서 상기 자석붙이 임프레션캡(10)을 분리하여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에 결합된 키퍼(12P)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잇몸(2)에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경화되기 이전의 암몰드 페이스트를 부착시켜서 상기 암몰드 페이스트 내부에 환자의 잇몸(2)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성형 홈부(22)를 확보하는 단계;
    상기 암몰드 페이스트를 일정 시간 동안 경화시켜서 암몰드(20)를 형성하여 상기 암몰드(20)에 형성된 상기 성형 홈부(22)의 내부에 상기 자석붙이 임프레션캡(10)을 매입시키는 단계;
    상기 암몰드(20)에 매입된 상기 자석붙이 임프레션캡(10)의 마그넷(16)에 랩 아날로그 결합체(12ASY)를 부착하여 암몰드(20)의 상기 성형 홈부(22)에 상기 랩 아날로그(12)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암몰드(20)의 상기 성형 홈부(22)에 형상 변형없이 양각으로 숫몰드를 제작할 수 있도록 숫몰드 석고를 충전시키는 단계;
    상기 숫몰드 석고를 경화시켜서 숫몰드(30)을 형성하여 상기 숫몰드(30)에 상기 랩 아날로그 결합체(12ASY)가 구비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숫몰드(30)에 구비된 상기 랩 아날로그(12)의 키퍼(12P)에 상기 환자의 잇몸(20)에 식립된 임플란트(4)의 키퍼(12P)에 부착되기 위한 덴쳐용 마그넷(16RM)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랩 아날로그(12)의 상기 키퍼(12P)에 상기 덴쳐용 마그넷(16RM)이 부착되어 있는 상기 숫몰드(30)에 의해 환자에게 제공될 오버덴쳐(6)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7)은 외경이 더 작은 인서트 슬리브부(18IS)를 구비하여, 상기 인서트 슬리브부(18IS)와 상기 하우징(17)의 연결 부위에 단턱부(18)가 구비되며, 상기 인서트 슬리브부(18IS)에 의해 형성된 상기 단턱부(18)가 상기 암몰드(20)의 내부에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 제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몰드(20)의 상면에 상기 환자의 잇몸(2) 형상과 대응하는 성형 홈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성형 홈부(22)에는 상기 환자 잇몸(2)의 임플란트(4)에 결합된 키퍼(12P)에 붙어 있는 상기 임프레션캡(10)이 매입 고정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임프레션캡(10)의 마그넷(16)에서부터 상기 성형 홈부(22)의 표면까지에는 상기 임플란트(4)와 이에 결합된 키퍼(12P)가 상기 환자의 잇몸(2)에서 돌출된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의 마그넷 키퍼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숫몰드(30)의 외관 형상은 상기 암몰드(20)의 상기 성형 홈부(22)에 의해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숫몰드(30)의 내부에 상기 랩 아날로그(12)가 매입되어 상기 랩 아날로그(12) 외주면의 걸림턱(13)이 상기 숫몰드(30) 내부에 걸려지고, 상기 랩 아날로그(12)의 나머지 일부와 키퍼(12P)가 상기 숫몰드(30)의 외부로 돌출된 높이는 상기 오버덴쳐(6) 시술 환자의 잇몸(2)에서 상기 임플란트(4)와 키퍼(12P)가 환자의 잇몸(2) 외부로 돌출된 높이와 동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 제작 방법.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랩 아날로그(12)는 볼트홀과 볼트축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키퍼(12P)를 구비하며, 상기 키퍼(12P)에는 랜치홈이 구비되어, 시술 환자의 잇몸(2)에서 임플란트(4)가 돌출된 높낮이에 따라 랩 아날로그(12)에 동일한 키퍼(12P)를 사용하여 높낮이를 맞출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오버덴쳐(6)를 제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 제작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덴쳐용 마그넷(16RM)이 상기 숫몰드(30)에 구비된 랩 아날로그(12)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덴쳐용 마그넷(16RM)과 상기 랩 아날로그(12)에 동시에 끼워지는 마운팅링(11)을 더 구비하여, 상기 숫몰드(30)에 의해 상기 오버덴쳐(6)에 상기 덴쳐용 마그넷(16RM)이 매입될 때에 상기 마운팅링(11)에 의해 상기 덴쳐용 마그넷(16RM)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 제작 방법.
KR1020150109358A 2015-08-03 2015-08-03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그넷 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 KR101701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358A KR101701122B1 (ko) 2015-08-03 2015-08-03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그넷 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358A KR101701122B1 (ko) 2015-08-03 2015-08-03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그넷 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122B1 true KR101701122B1 (ko) 2017-02-02

Family

ID=58154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358A KR101701122B1 (ko) 2015-08-03 2015-08-03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그넷 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1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023Y1 (ko) * 2019-03-20 2019-09-10 윤장현 시소 운동 구조를 갖는 반구형 자석 결합형 임플란트용 틀니 구조
KR102303341B1 (ko) * 2020-09-14 2021-09-17 최정일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4856A (ja) * 1995-12-01 1997-06-17 Hasegawa Takashi 義歯の固定装置と固定用アタッチメント
JPH10229992A (ja) * 1997-02-19 1998-09-02 Joji Tanaka 改良型歯科用磁性アタッチメント及び磁性アタッチメントを利用した印象採取方法
KR100807150B1 (ko) 2007-08-27 2008-02-2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JP2011224109A (ja) * 2010-04-19 2011-11-10 Aichi Steel Works Ltd 義歯アタッチメント
KR101283772B1 (ko) 2011-06-29 2013-07-08 대경 이 의치 어태치먼트 시스템
KR20140018674A (ko) 2012-08-03 2014-02-13 주식회사 쿠보텍 충격 완충기능을 갖는 틀니용 지대치
KR200473225Y1 (ko) 2012-05-18 2014-06-19 (주)카이노스메덴텍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KR20150036762A (ko) * 2012-08-01 2015-04-07 아이치 세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임플란트 오버 덴처 시스템 및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4856A (ja) * 1995-12-01 1997-06-17 Hasegawa Takashi 義歯の固定装置と固定用アタッチメント
JPH10229992A (ja) * 1997-02-19 1998-09-02 Joji Tanaka 改良型歯科用磁性アタッチメント及び磁性アタッチメントを利用した印象採取方法
KR100807150B1 (ko) 2007-08-27 2008-02-2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JP2011224109A (ja) * 2010-04-19 2011-11-10 Aichi Steel Works Ltd 義歯アタッチメント
KR101283772B1 (ko) 2011-06-29 2013-07-08 대경 이 의치 어태치먼트 시스템
KR200473225Y1 (ko) 2012-05-18 2014-06-19 (주)카이노스메덴텍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KR20150036762A (ko) * 2012-08-01 2015-04-07 아이치 세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임플란트 오버 덴처 시스템 및 임플란트
KR20140018674A (ko) 2012-08-03 2014-02-13 주식회사 쿠보텍 충격 완충기능을 갖는 틀니용 지대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023Y1 (ko) * 2019-03-20 2019-09-10 윤장현 시소 운동 구조를 갖는 반구형 자석 결합형 임플란트용 틀니 구조
KR102303341B1 (ko) * 2020-09-14 2021-09-17 최정일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475B1 (ko) 볼 및 소켓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처 제작방법
US5915962A (en) Dental implant and prosthesis positioning
US8419429B2 (en) Implant prosthetic part s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plication plaster model including abutment using the same
TWI524881B (zh) 能夠收容以多種角度製作的核冠並在附著帽後用作牙齦成形器的基台和利用該基台的種植體補綴物的製作方法
KR101375154B1 (ko) 치아 형상에 대응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KR10129175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US20090017421A1 (en) Method of Preparing an Artificial Dental Prosthetic and Seating Thereof
KR102226949B1 (ko) 인상용 트레이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의치 제작 방법
KR101701122B1 (ko)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그넷 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
KR101895328B1 (ko) 틀니 제조방법
KR102068525B1 (ko)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KR101406043B1 (ko) 맞춤 시술이 가능한 분리형 힐링 어버트먼트
KR101388186B1 (ko) 치아 형상에 대응하며 임시치아 시술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JP4338882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義歯の固定基盤
KR101571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KR200408616Y1 (ko) 임플란트용 지대주 아날로그
RU2454967C2 (ru) Способ временного протезирования зубов в период остеоинтеграции двухэтапных дентальных имплантатов
KR20140118136A (ko) 치과 임플란트용 티타늄금속계 다용도 지대주
KR102198248B1 (ko) 레진광중합힐링부가 구비된 힐링 어버트먼트
KR20140077436A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의 지대주와 크라운 결합 구조 및 그 결합 방법
KR20100008774U (ko) 임시의치 제작용 간이 인상 트레이
KR200426910Y1 (ko) 임플란트용 지지대
KR20160095260A (ko)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킨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KR20140030369A (ko) 임플란트 보철 부품세트 및 그를 이용한 인공치관의 제작방법
KR20210028029A (ko) 유지력이 향상된 임플란트용 스마트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