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025A -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025A
KR20200020025A KR1020180095209A KR20180095209A KR20200020025A KR 20200020025 A KR20200020025 A KR 20200020025A KR 1020180095209 A KR1020180095209 A KR 1020180095209A KR 20180095209 A KR20180095209 A KR 20180095209A KR 20200020025 A KR20200020025 A KR 20200020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elastic abutment
artificial tooth
abutment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형
Original Assignee
김철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형 filed Critical 김철형
Priority to KR1020180095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0025A/ko
Publication of KR20200020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 후 인공치아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을 구조물 내에서 완충할 수 있도록 하여 치조골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치조골에 매식되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의 상부로 부터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부; 상기 고정나사 부의 상부와 융합되는 임플란트용 탄성어버트먼트 하부; 상기 임플란트용 탄성어버트먼트 하부와 융합되고, 인공치아의 내부에 위치되어 인공치아를 통해 전달되는 저작력을 완충하는 탄성을 가진스프링부; 상기 스프링부의 상부와 융합되고 인공치아의 내부에 위치되는 임플란트용 탄성어버트먼트 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elastic abutment for implan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탄성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 후 인공치아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을 탄성 어버트먼트내에서 완충할 수 있도록 하여 치조골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하며, 치주인대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교합운동 또는 측방운동시 미세한 유동이 있도록 하면서 이탈될 우려가 없도록 한 탄성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인공적인 치아뿌리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 치아와 흡사하게 제작된 인공치아를 결합하여 환자가 실제 치아를 사용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치조골에 매식된 픽스츄어는 치아의 뿌리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인공치아와 픽스츄어를 일체화 하는 연결구성이 된다. 상기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는 인공치아를 정 위치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 구조물이 되며, 이와 같은 임플란트 구조물은 주로 물리적/화학적 강성이 우수한 티타늄 합금으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 구조물은 물리적/화학적 강도가 높은 반면, 높은 강도에 의해 인공치아를 통해 외력이 전달될 경우 그 충격을 치조골에 그대로 인가하게
된다. 즉, 치료한 부분에는 치주인대가 없음으로 충격을 완화해 줄 수단이 없으며, 특히 측방운동의 경우에 거의 충격에 무방비상태가 되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면 임플란트 구조물 주변 치조골이 약해질 우려가 높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치주인대 역할을 할 수 있는 탄성력의 스프링을 어버트먼트 중간부위에 삽입해 임플란트 시술에 의해 형성된 인공치아를 통해 전달 되는 외력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하여 치조골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탄성 어버트먼트는 픽스츄어의 상부로부터 나사 결합하는 고정나사; 상기 고정나사에 연결되고 인공치아 하방에 위치되며 치주조직에 위치하는 탄성어버트먼트 하부; 탄성어버트먼트 하부와 연결되며 어버트먼트의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탄성 어버트먼트 중부); 스프링부와 연결되며 인공치아의 최상부와 결합되는 탄성어버트먼트 상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탄성을 가진 스프링은 위아래의 어버트먼트 상부,하부사이에 개재된다.
본 발명은, 인공치아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이 탄성 어버트먼트 중간부위의 탄성 스프링 부에 의해 감소되어 치조골에 인가되는 충격이 완화되므로써, 치조골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된 충격 완화에 의해 인공치아가 미세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치주인대역할을 하여 측방운동에도 아무런 문제가 발생치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와 상부의 크라운, 하부의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와 상부의 크라운, 하부의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결합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와 상부의 크라운과의 결합을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의 각 부위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는 고정나사부(30), 탄성 어버트먼트 하부(40a),스프링부(40b), 탄성 어버트먼트 상부(40c)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상기 픽스츄어(10)는 치조골의 내부에 매식되어 견고히 고정됨은
주지된 바와 같다. 상기 고정나사 부(30)는 치조골의 외 측으로 위치되는 픽스츄어(10)의 노출 상단부 즉, 상부 내측으로 나사 결합하여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10)를 일체화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정나사 부(30)는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하부(40a)와 융합되며, 이는 스프링 부(40b)와 융합되며, 그 위로 탄성 어버트먼트 상부(40c)와 융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스프링 부(40b)는 추후 성형되는 인공치아(50)의 내부에 게재되어 인공치아(50)를 통해 전달되는 힘을 완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스프링 부(40b)는 탄성이 높은 금속재질, 예를 들면 탄소강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부(40b)는 중심축 선을 따라 도는 나선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게 된다. 인공치아(50)을 통해 전달된 저작압은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상부(40c)로 전달되며, 이는 스프링 부(40b)의 탄성에 의해 완충 돼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하부(40a)에 전달되고 이는 그와 융합된 고정나사 부(30)에 전달되고 또한 일체화된 픽스쳐에 완충되어진 저작압이 전달되며, 이는 치조골에 완충된 저작압을 전달한다.
10: 픽스츄어
30: 고정나사부
40a: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하부
40b: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스프링부
40c: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상부
50: 인공치아

Claims (2)

  1. 치조골에 매식되는 픽스츄어(10);
    상기 픽스츄어(10)의 상부로부터 나사 결합하는 고정나사부(30);
    상기 고정나사 부(30)의 상부와 융합되는 임플란트용 탄성어버트먼트 하부(40a);
    상기 임플란트용 탄성어버트먼트 하부(40a)와 융합되고, 인공치아(50)의 내부에 위치되어 인공치아(50)를 통해 전달되는 저작력을 완충하는 탄성을 가진 스프링부(40b);
    상기 스프링 부(40b)의 상부와 융합되고 인공치아(50)의 내부에 위치되는 임플란트용 탄성어버트먼트 상부(4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2. 청구항 1에서, 스프링 부(40b)의 외 측에 연질막을 둘러싸 타액이나 기타 이물질의 함입을 막는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KR1020180095209A 2018-08-16 2018-08-16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KR20200020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209A KR20200020025A (ko) 2018-08-16 2018-08-16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209A KR20200020025A (ko) 2018-08-16 2018-08-16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025A true KR20200020025A (ko) 2020-02-26

Family

ID=6963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209A KR20200020025A (ko) 2018-08-16 2018-08-16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00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714B1 (ko) 2020-12-30 2021-09-29 이노덴 주식회사 유동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2311246B1 (ko) 2021-01-28 2021-10-14 이노덴 주식회사 유동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714B1 (ko) 2020-12-30 2021-09-29 이노덴 주식회사 유동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2311246B1 (ko) 2021-01-28 2021-10-14 이노덴 주식회사 유동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802B1 (ko)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Kim et al. Occlusal considerations in implant therapy: clinical guidelines with biomechanical rationale
KR10208506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9044296B2 (en) Dental bridge
PT1928345E (pt) Implantes dentários de duas partes feitos de cerâmica biocompatível
KR101684019B1 (ko) 치과 임플란트 유닛
KR20150095696A (ko) 고정식 하이브리드 치아 부착 기기
US4525145A (en) Connecting device for joining a superstructure element with an implant member
JP4369491B2 (ja) 歯科補綴物維持装置
Dos Santos et al.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in peri‐implant bone with relined dentures and different heights of healing caps
Hasan et al. The effect of implant splinting on the load distribution in bone bed around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with different framework materials: A finite element study
KR100662583B1 (ko) 크라운 임시고정용 임플란트 유니트
KR101839424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60082511A (ko) 더블 쿠션 덴탈 임플란트
KR100997553B1 (ko) 일체형 임플란트
KR20200020025A (ko) 임플란트용 탄성 어버트먼트
KR101660183B1 (ko) 임플란트 유닛
KR100807150B1 (ko)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KR101380919B1 (ko) 지대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장치
CN105939689B (zh) 义齿装置
KR101909323B1 (ko) 치아 임플란트
KR101608169B1 (ko) 임플란트 유닛
KR101097477B1 (ko) 미니 임프란트를 고정원으로 구비한 치아교정기구
KR20210071682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2311246B1 (ko) 유동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