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629B1 -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629B1
KR101922629B1 KR1020160134015A KR20160134015A KR101922629B1 KR 101922629 B1 KR101922629 B1 KR 101922629B1 KR 1020160134015 A KR1020160134015 A KR 1020160134015A KR 20160134015 A KR20160134015 A KR 20160134015A KR 101922629 B1 KR101922629 B1 KR 101922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locking device
pumping
contents
pump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824A (ko
Inventor
손수진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60134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6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1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5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1039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the outlet valve being mechanically opened after a defined accumulation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the dispensing stroke being affected by the stored energy of a spring
    • B05B11/3039
    • B05B11/30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811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ir supplying means actuated by the operator to pressurise or compress the container
    • B05B9/0816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ir supplying means actuated by the operator to pressurise or compress the container the air supplying means being a manually actuated air pump
    • B05B9/082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ir supplying means actuated by the operator to pressurise or compress the container the air supplying means being a manually actuated air pump a discharge device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트리거의 배면 내측에 위치하는 잠금구조를 탈피하여 한 손으로 간단하게 조작이 가능한 새로운 잠금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잠금구조를 통해 용기의 단가 절감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TRIGGER TYPE SPRAYER WITH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트리거의 배면 내측에 위치하는 잠금구조를 탈피하여 한 손으로 간단하게 조작이 가능한 새로운 잠금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잠금구조를 통해 용기의 단가 절감이 가능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트리거의 조작에 따른 펌핑작동에 의해 용기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을 분무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트리거식 분무장치가 등록특허 제10-0685741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용기(10)에 담겨진 액체를 흡입 펌핑할 수 있도록 플런저(52)가 진퇴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실린더(51)를 구비한 실린더본체(60)와, 상기 실린더본체(60)의 선단에 설치된 분무노즐(70)과, 상기 실린더본체(60)의 선단부위에 힌지 장착되어 반복적으로 당김 동작이 가능하며 배면에 상기 플런저(52)의 선단이 결합된 트리거(80)와, 상기 트리거(80)를 록킹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록킹수단(90)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90)은; 상기 실린더(51)의 개방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플런저(52)의 선단이 여유있게 관통하도록 링 형태로 마련되며, 외주에는 원주방향으로 띠 형태의 결합홈(92)이 형성된 결합-링(91)과; 상기 결합-링(91)의 전면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트리거(80)가 전진된 상태에서 이의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된 경우 상기 트리거(80)의 당김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록킹-노브(93A)(93B)와; 상기 결합-링(91)의 결합홈(92)에 결합되도록 상기 실린더(51)의 개방단부 내벽에 띠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결합-링(9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턱(51a)과; 상기 록킹-노브(93A)(93B)를 상기 트리거(80)의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재(51b)(94)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록킹노브(93B)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 회전에 의해 트리거(80)의 록킹 또는 록킹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록킹 상태에서 트리거(80)의 작동이 불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록킹노브(93B)가 트리거(80)의 배면 내측에 위치함에 따라 록킹노브(93B)의 회전 조작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결합-링(91), 결합홈(92), 록킹-노브(93A)(93B), 걸림턱(94) 등으로 이루어지는 록킹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용기의 단가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574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리거의 배면 내측에 위치하는 잠금구조를 탈피하여 한 손으로 간단하게 조작이 가능한 새로운 잠금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잠금구조를 통해 용기의 단가 절감이 가능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펌핑작동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핑부재;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펌핑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체; 상기 펌핑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노즐부; 사용자의 가압여부에 따라 전,후진 이동하며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트리거;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트리거가 결합되는 힌지부가 구비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 또는 타측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노즐부의 승하강을 단속하여 상기 트리거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가이드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트리거와 대향되는 상기 잠금장치의 후면부에는 상기 잠금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조작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는 상기 펌핑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되, 그 외주면 양측에 펌핑방지돌기가 구비되는 내용물 이동관과, 상기 내용물 이동관과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 이동관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내용물 토출홀이 형성되는 내용물 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회전조작돌기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관; 상기 노즐부의 내용물 이동관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그 내주면 양측에 상기 펌핑방지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턱이 구비되는 삽입관; 및 상기 회전관의 상부 내주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관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의 하부 외주면에는 상기 잠금장치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이 구비되며, 상기 잠금장치의 회전관 내주면에는 상기 이탈방지턱의 하단에 지지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리거의 전면부에는 상기 노즐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트리거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트리거의 조작시 상기 노즐부를 가압하여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가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펌핑작동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핑부재; 상기 펌핑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노즐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펌핑부재를 고정시키며, 상기 노즐부의 승하강을 단속하는 잠금장치; 사용자의 가압여부에 따라 전,후진 이동하며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트리거; 및 상기 잠금장치를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 또는 타측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트리거 및 노즐부를 함께 회전시켜 상기 잠금장치를 통한 상기 트리거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가이드하는 회전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캡의 전면부에는 상기 노즐부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그 내측 후면부에는 상기 트리거가 결합되는 힌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는 상기 펌핑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되, 그 외주면 양측에 펌핑방지돌기가 구비되는 내용물 이동관과, 상기 내용물 이동관과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 이동관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내용물 토출홀이 형성되는 내용물 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노즐부의 내용물 이동관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그 내주면 양측에 상기 펌핑방지돌기가 안착되도록 안착턱이 구비되는 삽입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의 외주면 하부에는 상기 회전캡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제한돌기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한돌기 사이에서 이동하는 회전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트리거의 배면 내측에 위치하는 잠금구조를 탈피하여 한 손으로 간단하게 조작이 가능한 새로운 잠금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잠금구조를 통해 용기의 단가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이며,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용기본체(100), 펌핑부재(200), 고정체(300), 노즐부(400), 트리거(500), 지지체(600), 잠금장치(700)가 포함된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된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경질의 플라스틱 용기를 포함하여, 튜브용기, 블로우용기 등 다양한 용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핑부재(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펌핑작동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것으로서, 그 하부에는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내용물 흡입관(2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핑부재(200)를 이루는 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체(3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펌핑부재(20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그 내주면 상부에는 지지체(600)의 고정설치가 가능하도록 결합부가 구비된다.
상기 노즐부(400)는 상기 펌핑부재(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핑부재(200)의 펌핑작동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것으로서, 펌핑부재(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내용물 이동관(410)과, 상기 내용물 이동관(410)과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 이동관(410)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내용물 토출홀(421)이 형성되는 내용물 토출관(42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400)를 구성하는 내용물 이동관(410)의 외주면 양측에는 펌핑방지돌기(411)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펌핑방지돌기(411)는 평상시 보관 상태에서는 후술할 잠금장치(700)의 안착턱(721)에 안착되어 내용물 이동관(410)이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트리거(500)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트리거(500)는 사용자의 가압여부에 따라 전,후진 이동하며 상기 펌핑부재(200)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것으로서, 그 전면부에는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노즐부(400)가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관통홀(5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트리거(500)의 내부 상측에는 트리거(500)의 조작시 펌핑부재(200)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노즐부(400)를 가압하는 가압돌기(52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체(600)는 상기 고정체(30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하부 외주면에는 고정체(300)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며, 그 상단에는 트리거(500)가 결합되도록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힌지부(61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600)의 외측에는 후술할 잠금장치(7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잠금장치(7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체(600)의 하부 외주면에는 이탈방지턱(620)이 구비된다.
상기 잠금장치(700)는 상기 지지체(600)를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또는 타측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노즐부(400)의 승하강을 단속하여 상기 트리거(50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회전관(710), 삽입관(720), 지지대(7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관(710)은 상기 지지체(600)를 감싸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잠금장치(700)의 회전을 위한 회전조작돌기(711)가 구비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돌기(711)는 트리거(500)와 대향되는 회전관(710)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회전조작돌기(711)는 회전관(710)의 후면부에 위치함으로써, 트리거(500)와의 간섭 없이 간단하게 한 손으로 트리거(500)의 잠금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용기본체(100)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통해 조작이 용이하도록 약 45도 내지 60도의 회전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관(7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체(6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탈방지턱(620)의 하단에 지지되는 걸림턱(7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관(710)은 그 외주면에 후가공 등을 통한 다양한 장식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삽입관(720)은 회전관(710)의 상부 내주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73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회전관(7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노즐부(400)의 내용물 이동관(410)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720)의 내주면 양측에는 상기 펌핑방지돌기(411)가 안착되는 안착턱(721)이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안착턱(721)은 회전관(710)의 회전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하게 되는데, 펌핑방지돌기(411)의 직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노즐부(400)의 내용물 이동관(41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펌핑작동을 방지하며, 회전관(710)의 회전에 의해 펌핑방지돌기(511)와 어긋나 위치한 상태에서는 노즐부(400)의 내용물 이동관(410)이 안착턱(721) 사이의 펌핑공간을 통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펌핑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평상시 보관상태에서는 펌핑방지돌기(411)가 안착턱(721)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하여 트리거(500)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는데, 이 상태에서 트리거식 분무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 손으로 용기본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회전조작돌기(711)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회전조작돌기(711)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관(710)이 함께 회전함에 따라 회전관(710)과 연결된 삽입관(72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관(720)이 회전하게 되면, 삽입관(720)의 내측에 구비된 안착턱(721)의 위치가 변화하게 되는데, 펌핑방지돌기(411)의 직하방에 위치하여 펌핑방지돌기(411)를 지지하던 안착턱(721)이 펌핑방지돌기(411)와 어긋난 상태로 위치함에 따라 펌핑방지돌기(411)가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트리거(500)를 조작하게 되면, 트리거(500)의 가압돌기(520)에 의해 내용물 이동관(41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펌핑부재(200)를 가압하여 펌핑부재(200)의 펌핑작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내용물이 내용물 흡입관(210)을 거쳐 내용물 토출관(420)의 내용물 토출홀(421)을 통해 분무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한 손으로 간단하게 조작이 가능한 잠금장치 구조를 통해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용기본체(100), 펌핑부재(200), 노즐부(400), 트리거(500), 잠금장치(700'), 회전캡(800)이 포함되는데, 상기 용기본체(100), 펌핑부재(200), 노즐부(400), 트리거(5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잠금장치(700'), 회전캡(800)과 연계한 잠금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잠금장치(700')는 용기본체(100)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어 펌핑부재(20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700')는 노즐부(400)의 승하강을 단속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내측 중앙부에 노즐부(400)의 내용물 이동관(410)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그 내주면 양측에 펌핑방지돌기(411)가 안착되도록 안착턱(721')이 구비되는 삽입관(720')이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안착턱(721')은 펌핑방지돌기(411)의 직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노즐부(400)의 내용물 이동관(41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펌핑작동을 방지하며, 회전캡(800)의 회전에 의해 펌핑방지돌기(511)와 어긋나 위치한 상태에서는 노즐부(400)의 내용물 이동관(410)이 안착턱(721') 사이의 펌핑공간을 통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펌핑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잠금장치(700')의 외주면 하부에는 회전캡(80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제한돌기(740)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한 쌍의 제한돌기(740)가 형성하는 공간에서 회전캡(800)의 회전가이드돌기(830)가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데, 트리거(500)의 잠금 상태에서는 회전가이드돌기(83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한돌기(740)와 인접하여 고정돌기(75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750)는 제한돌기(740)와 소폭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여 회전캡(800)의 회전가이드돌기(830)가 고정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캡(800)은 상기 잠금장치(700')를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800)은 일측 또는 타측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트리거(500) 및 노즐부(400)를 함께 회전시켜 잠금장치(700')를 통한 트리거의(500)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가이드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회전캡(800)의 전면부에는 트리거(500)의 조작에 의해 노즐부(40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노즐부(40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수직가이드홈(810)이 형성되며, 그 내측 후면부에는 트리거(500)가 결합되는 힌지부(8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캡(800)의 내주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한돌기(740) 사이에서 이동하며 회전캡(80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회전가이드돌기(830)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평상시 보관상태에서는 펌핑방지돌기(411)가 안착턱(721')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하여 트리거(500)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는데, 이 상태에서 트리거식 분무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회전캡(800)을 파지하여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회전캡(800)을 회전하게 되면, 수직가이드홈(8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내용물 토출관(420) 및 트리거(500)가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내용물 토출관(420)의 회전에 의해 내용물 이동관(410)이 회전함에 따라 내용물 이동관(410)의 외주면에 구비된 펌핑방지돌기(411)가 직하방에 위치하는 안착턱(721')으로부터 벗어나며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용기본체(100) 및 회전캡(800)에는 내용물의 분무 가능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8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트리거(500)를 조작하게 되면, 트리거(500)의 가압돌기(520)에 의해 내용물 이동관(41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펌핑부재(200)를 가압하여 펌핑부재(200)의 펌핑작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내용물이 내용물 흡입관(210)을 거쳐 내용물 토출관(420)의 내용물 토출홀(421)을 통해 분무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회전캡(800)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 회전에 의해 노즐부(400) 및 트리거(500)를 함께 회전시켜 잠금장치(700')와 연계한 트리거의(500)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간단한 잠금장치 구조를 통해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기본체 200: 펌핑부재
210: 내용물 흡입관 300: 고정체
400: 노즐부 410: 내용물 이동관
411: 펌핑방지돌기 420: 내용물 토출관
421: 내용물 토출홀 500: 트리거
510: 관통홀 520: 가압돌기
600: 지지체 610: 힌지부
620: 이탈방지턱 700,700': 잠금장치
710: 회전관 711: 회전조작돌기
712: 걸림턱 720,720': 삽입관
721,721': 안착턱 730: 지지대
740: 제한돌기 750: 고정돌기
800: 회전캡 810: 수직가이드홈
820: 힌지부 830: 회전가이드돌기
840: 표시부 900: 마감캡

Claims (10)

  1.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펌핑작동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핑부재;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펌핑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체;
    상기 펌핑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노즐부;
    사용자의 가압여부에 따라 전,후진 이동하며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트리거;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트리거가 결합되는 힌지부가 구비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 또는 타측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노즐부의 승하강을 단속하여 상기 트리거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가이드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트리거와 대향되는 상기 잠금장치의 후면부에는 상기 용기본체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통해 상기 잠금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조작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펌핑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되, 그 외주면 양측에 펌핑방지돌기가 구비되는 내용물 이동관과, 상기 내용물 이동관과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 이동관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내용물 토출홀이 형성되는 내용물 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회전조작돌기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관;
    상기 노즐부의 내용물 이동관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그 내주면 양측에 상기 펌핑방지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턱이 구비되는 삽입관; 및
    상기 회전관의 상부 내주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관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하부 외주면에는 상기 잠금장치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이 구비되며, 상기 잠금장치의 회전관 내주면에는 상기 이탈방지턱의 하단에 지지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5.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펌핑작동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핑부재;
    상기 펌핑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노즐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펌핑부재를 고정시키며, 상기 노즐부의 승하강을 단속하는 잠금장치;
    사용자의 가압여부에 따라 전,후진 이동하며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트리거; 및
    상기 잠금장치를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 또는 타측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트리거 및 노즐부를 함께 회전시켜 상기 잠금장치를 통한 상기 트리거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가이드하는 회전캡;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캡의 전면부에는 상기 노즐부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그 내측 후면부에는 상기 트리거가 결합되는 힌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펌핑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되, 그 외주면 양측에 펌핑방지돌기가 구비되는 내용물 이동관과, 상기 내용물 이동관과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 이동관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내용물 토출홀이 형성되는 내용물 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노즐부의 내용물 이동관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그 내주면 양측에 상기 펌핑방지돌기가 안착되도록 안착턱이 구비되는 삽입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의 외주면 하부에는 상기 회전캡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제한돌기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한돌기 사이에서 이동하는 회전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10.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의 전면부에는 상기 노즐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트리거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트리거의 조작시 상기 노즐부를 가압하여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가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KR1020160134015A 2016-10-17 2016-10-17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KR101922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015A KR101922629B1 (ko) 2016-10-17 2016-10-17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015A KR101922629B1 (ko) 2016-10-17 2016-10-17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24A KR20180041824A (ko) 2018-04-25
KR101922629B1 true KR101922629B1 (ko) 2018-11-27

Family

ID=6208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015A KR101922629B1 (ko) 2016-10-17 2016-10-17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6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0854A (ja) * 2001-12-06 2003-08-19 Mitani Valve Co Ltd 噴出ポンプ装置、噴出バルブ装置、およびトリガー式噴出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4705A (ja) * 2004-08-02 2006-02-16 Mitani Valve Co Ltd ガス抜き用ストッパ部材付きトリガー式エアゾール噴射装置、およびトリガー式エアゾール噴射器
KR200414636Y1 (ko) * 2006-02-03 2006-04-21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KR100632143B1 (ko) * 2006-03-27 2006-10-11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트리거식 분무장치
KR200425584Y1 (ko) * 2006-06-26 2006-09-06 김규진 화장품용기의 뚜껑회전식 노즐 개폐장치
KR100903402B1 (ko) * 2007-08-17 2009-06-18 주식회사 다린 용기용 캡
KR101218741B1 (ko) * 2010-12-03 2013-01-07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20150042900A (ko) * 2013-10-13 2015-04-22 김병창 배출용량 조절 및 잠금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0854A (ja) * 2001-12-06 2003-08-19 Mitani Valve Co Ltd 噴出ポンプ装置、噴出バルブ装置、およびトリガー式噴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24A (ko)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1972B2 (ja) エアゾル作動装置
CA2834718C (fr) Generateur aerosol a poignee amovible et dispositif d'interdiction de manoeuvre
JP2005193234A (ja) ロック可能な分配ヘッド
JP2009500162A (ja) ロック付きディスペンサ
CN101300082B (zh) 喷雾器微型泵
EP2265516B1 (en) Testing apparatus for testing a gas or smoke detect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an aerosol dispenser and the detector
JP2014507346A (ja) スプレーアクチュエータ
KR101922629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KR20030047725A (ko) 분출펌프장치 및 트리거식 분출기
JP4974008B2 (ja) 流体又は粘着物の投与装置
JP2002337912A (ja) 噴出容器
JP4166542B2 (ja) 双頭液体噴出容器
JP2003267417A (ja) 接着液容器
JP4153256B2 (ja) 噴出器用ロック機構、および噴出器
JP6057336B2 (ja) 2剤混合容器
JP3974006B2 (ja) エアゾール容器
US5025956A (en) Safety top sprayer
JP6395561B2 (ja) 吐出兼用噴出容器
JP4762667B2 (ja) 噴出装置
JP6182466B2 (ja) 吐出容器
JP3939538B2 (ja) エアゾール容器の肩カバー
JP5677228B2 (ja) 吐出器
JP2004082052A (ja) 液体噴出ポンプ
JP6689538B2 (ja) 吐出器の封印機構
JPH08324660A (ja) エアゾール式噴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